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5/2019 화요일
선택받지못했을때
불쌍한 요셉. 그는 하나님에 의해 제외되었습니다. 그는 그 이유를 알고 있었습니다. 요셉은 가룟 유다를 대신할 자리에 추천 받은 두 사람 중의 하나였습니다. 제자들은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모든 사람의 마음을 아시는 주님, 이 두 사람 중에 주님이 택하신 사람이 누군지 보여주소서”(사도행전 1:24,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택하셨습니다. “제비 뽑아 맛디아를 얻”(26 절)음으로 하나님께서 제자들에게 그분의 결정을 알려주셨습니다.
나는 제자들이 맛디아를 축하해줄때 요셉이 어땠을까 궁금했습니다. 그는 선택받지 못한 것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요? 버림받았다고 느꼈을까요? 자기 연민에 빠져 허우적거렸을까요? 다른 사람들과 거리두기를 했을까요? 아니면 하나님을 신뢰하고 도와주는 역할을 하면서 기쁜 마음으로 남아 있었을까요?
어떤 선택이 가장 좋은지 나는 압니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선택이 무엇인지도 압니다. ‘정말 혼란스럽네! 나를 원하지 않아도 상관없어. 나 없이 어떻게 하나 한번 두고 보자구.’ 이렇게 생각하면 마음은 더 편할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오직 이기적인 마음 때문입니다.
요셉이 더 이상 성경에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그가 어떻게 반응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선택받지 못했을 때 어떻게 반응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 예수님의 나라가 우리 자신들의 성공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분이 정해주시는 역할이 무엇이든 우리가 기쁜 마음으로 그것을 감당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15-26제비뽑아맛디아를얻 으니그가열한사도의 수에 들어가니라
사도행전 1:26
선택받지 못했거나 제외되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당신의 태도가 어떻게 삶을 인도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지 못하게 합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하나님 나라에서 섬길 수 있는 한, 어떻게든 어디에서든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Daily Article
03/05/2019 Tuesday
When You’re Not Chosen
Poor Joseph. He was passed over by God, and he knew why. Joseph was one of two men in the running to replace Judas. The disciples prayed, “Lord, you know everyone’s heart. Show us which of these two you have chosen” (ACTS 1:24). God chose the other guy. Then He announced His decision to the group, when “the lot fell to Matthias” (V 26).
As the disciples congratulated Matthias, I wonder about Joseph. How did he handle his rejection? Did he feel jilted, wallow in self-pity, and distance himself from the others? Or did he trust God and cheerfully remain in a supportive role?
I know which option is best. And I know which option I’d want to take. How embarrassing! If you don’t want me, fine. Let’s see how you do without me. That choice might feel better, but only because it’s selfish.
Joseph isn’t mentioned again in Scripture, so we don’t know how he reacted. More relevant is how we respond when we’re not chosen. May we remember that Jesus’s kingdom matters more than our success, and may we joyfully serve in whatever role He select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ts 1:15–26Then they cast lots, and the lot fell to Matthis.
Acts 1:26
How do you feel when you’re not chosen or are left out? How could your attitude be hindering you from seeing God’s direction for your life?
Father, as long as I can serve in Your kingdom, it doesn’t matter how or where.
오늘의 말씀
03/04/2019 월요일
바로 우리 옆에 계심
예수님의 제자들도 바로 그 같은 상황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군중들은 굶주려 있었고 장소는 외딴 곳이었으며 시간은 자꾸 흘러가고 있었습니다. “저녁이 되매 제자들이 나아와 이르되 이곳은 빈들이요 때는 이미 저물었으니 무리를 보내어 마을에 들어가 먹을 것을 사 먹게 하소서”(마태복음 14:15). 이에 예수님이 그들에게 직접 사람들을 돌보라고 하시자 그들은 “여기 우리에게 있는 것은......”(17절)하면서 반응했습니다. 제자들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부족하다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 바로 옆에는 빵을 몇 배로 늘려 주실 뿐 아니라 그분 자신이 생명의 양식이 되시는 예수님이 서 계셨습니다.
우리는 어려운 일들에 아주 사로잡혀 시각이 제한되어 버린 탓에, 우리 스스로 그것들을 해결해보려고 애쓰기 때문에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옆에 계시다는 사실을 놓쳐버립니다. 저 멀리 언덕에서부터 식품점 통로까지, 그리고 그 중간 어느 곳에서든 그분은 임마누엘, 곧 우리 곁에 계시는 하나님이시며 항상 계셔서 어려울 때 도와주시는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4:13-21제자들이 이르되 여기 우리에게 있는 것은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뿐이니이다
마태복음 14:17
예수님이 함께 계시다는 사실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알 수 있을까요?
우리가 직면하는 모든 일에 예수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어떤 곤궁에 처하든지, 임마누엘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하신다.
Daily Article
03/04/2019 Monday
Right There with Us
The disciples had quite the situation on their hands—hungry crowds, a remote place, and time slipping away—“It’s already getting late. Send the crowds away, so they can go to the villages and buy themselves some food” (MATTHEW 14:15). When challenged by Jesus to take care of the people themselves, they responded, “We have here only . . .” (V 17). All they seemed to be aware of was their lack. Yet standing right beside them was Jesus, not just the multiplier of bread but the Bread of Life Himself.
We can get so wrapped up in our challenges and trying to figure them out for ourselves with our often-limited perspective that we miss the abiding presence of the risen Christ. From remote hillsides to grocery store aisles and everywhere else in between, He’s Immanuel—God right there with us,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tthew 14:13–21"We have here only five loaves of bread and two fish," they answered.
Matthew 14:17
How can you increase your awareness of Jesus’s presence?
Why is it vital for us to gain His perspective in what we’re facing?
Wherever we are and whatever the challenge, Immanuel is with us.
오늘의 말씀
03/03/2019 주일
고통에 목적이 있는가?
2년 후, 심신쇠약증을 앓고 있는 교회 친구를 찾아갔을 때 시우 펜은 자신의 투석경험이 쓸모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 아픈 친구는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외로움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마침 시우 펜은 친구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에 공감할 수 있었고, 그녀와 개인적으로 마음이 통할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경험이 그 친구의 아픔과 함께 하며 다른 사람이 줄 수 없었던 특별한 위로를 줄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하나님은 나 같은 사람도 쓰실 수 있다는 것을 이제는 알겠어요.”라고 시우 펜은 말했습니다.
왜 우리가 고통을 당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하나님은 우리의 고난을 예기치 않는 방법으로 사용하시기도 합니다. 시련 가운데 하나님께 나아가 위로와 사랑을 구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는 힘도 함께 얻게 됩니다. 바울이 자신의 고통에 목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도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그는 고통을 통해 하나님의 위로를 얻는 기회를 갖게 되었고, 그 받은 위로로 다른 사람들을 축복할 수 있었습니다 (고린도후서 1:3-5). 우리는 고통과 역경을 부정하기 보다는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용기를 얻어 그 고통을 선한 일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3-7[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 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고린도후서 1:4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위로하기 위해 당신을 어떻게 사용하셨습니까?
당신의 믿음이 인내하는 일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습니까?
주님, 주님의 무한한 위로를 받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고난 가운데서도 계속 주님을 신뢰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3/03/2019 Sunday
A Purpose in Pain?
Two years later, she found her experience coming into play when she visited a friend from church with a debilitating disease. The woman felt alone, as few could truly understand what she was
going through. But Siu Fen was able to identify with her physical and emotional pain and could connect with her in a personal way. Her own journey enabled her to walk alongside the woman, giving her a special measure of comfort others couldn’t. “Now I see how God can still use me,” she said.
It can be hard to understand why we suffer. Yet God can use our affliction in unexpected ways. As we turn to Him for comfort and love in the midst of trials, it also empowers us to help others. No wonder Paul learned to see purpose in his own suffering: It gave him the opportunity to receive God’s comfort, which he could then use to bless others (2 CORINTHIANS 1:3– 5). We’re not asked to deny our pain and suffering, but we can take heart in God’s ability to use it for good. - LESLIE KOH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3–7[God] comforts us in all our troubl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2 Corinthians 1:4
How has God used you to bring comfort to another?
How has your faith helped you to persevere?
Lord, help me to keep trusting in You in the midst of trouble, knowing that I can tap Your unlimited comfort and share it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3/02/2019 토요일
보물찾기
‘그렇게 찾아야만 할 가치가 있는 보물이 과연 있을까?’ 잠언 기자는 우리로 잠시 멈추어 생각해보게 합니다. 잠언 4장 에는 한 아버지가 아들들에게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지 말하면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지혜는 추구할 만한 것이라고 쓰여 있습니다(7절). 그는 지혜야말로 삶을 가르쳐주고 넘어지지 않게 하며 영예로운 면류관을 씌워준다고 말합니다(8-12절). 수백 년 후, 예수님의 제자 야고보도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오직 위로부터 난 지혜는 첫째 성결하고 다음에 화평하고 관용하고 양순하며 긍휼과 선한 열매가 가득하고 편견과 거짓이 없나니”(야고보서 3:17). 지혜를 구할 때 우리의 삶에는 온갖 좋은 것들로 넘쳐나게 됩니다.
지혜를 찾는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모든 지혜와 명철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찾는 것입니다. 그리고 위로부터 내려오는 지혜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어떤 묻혀 있는 보물보다도 더 가치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4:5-19이는 지혜를 얻는 것이 은을 얻는 것보다 낫고 그 이익이 정금보다 나음이니라
잠언 3:14
당신은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지혜를 구하고 있습니까?
오늘은 어떻게 지혜를 구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나의 마음을 훈련시켜 지혜를 갈망하게 하시고, 나의 걸음을 훈련시켜 주님의 길을 걸어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02/2019 Saturday
Searching for Treasure
The author of Proverbs gives us reason to stop and think: Does any kind of treasure merit such a quest? In Proverbs 4, a father writing to his sons about how to live well suggests that wisdom is one thing worth seeking at any cost (V 7). Wisdom, he says, will lead us through life, keep us from stumbling, and crown us with honor (VV 8–12). Writing hundreds of years later, James, one of Jesus’s discipl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isdom. “The wisdom that comes from heaven,” he writes, “is first of all pure; then peace-loving, considerate, submissive, full of mercy and good fruit, impartial and sincere” (JAMES 3:17). When we seek wisdom, we find all kinds of good things flourishing in our lives.
To seek wisdom is ultimately to seek God, the source of all wisdom and understanding. And the wisdom that comes from above is worth more than any buried treasure we could ever imagine.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Proverbs 4:5–19[Wisdom] is more profitable than silver and yields better returns than gold.
Proverbs 3:14
Are you actively seeking God’s wisdom?
How can you do so today?
God, please train my heart to desire wisdom and train my feet to walk in Your ways.
오늘의 말씀
03/01/2019 금요일
비교하지 않기
친구 수가 자기 남편과 함께 점심식사를 하면서 무심코 한 이 한 마디에 나는 큰 소리로 웃어넘기면서도 한편으로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소셜 미디어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친구들과 계속 연락을 취하고 기도도 할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수단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주의하지 않으면 그것은 삶에 대한 비현실적인 태도를 갖게 합니다. 올라와 있는 글 중 우리가 보는 상당수가 “좋은 얘기들”의 “요점 정리”라면, 다른 사람들의 삶은 아무런 문제가 없구나, 그리고 우리 자신의 삶은 어디서 잘못 되었지 라는 잘못된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남들과 비교하는 것은 불행으로 가는 확실한 지름길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자기들끼리 서로 비교하자(누가복음 9:46; 22:24 참조), 예수님께서 황급히 그것을 말리셨습니다. 예수님이 부활하신지 얼마 되지 않아 제자들과 만났을 때 베드로에게 믿음으로 말미암아 고난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시자, 베드로가 요한을 돌아보면서 “주님 이 사람은 어떻게 되겠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내가 올 때까지
그를 머물게 하고자 할지라도 네게 무슨 상관이냐 너는 나를 따르라” (요한복음 21:21-22).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전혀 도움이 안 되는 남과 비교하는 마음에 대한 가장 적절한 처방을 가르쳐주셨습니다. 우리가 마음을 모아 하나님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행하신 모든 일에 집중할 때, 자기중심적인 생각은 사라지고 그분을 간절한 마음으로 따르게 됩니다. 하나님은 세상 속 경쟁에서 오는 긴장과 스트레스 대신에 우리에게 사랑으로 임하시면서 평강을 베풀어주십니다. 아무것도 그분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1:17-25평온한 마음은 육신의 생명이나 시기는 뼈를 썩게 하느니라
잠언 14:30
어떻게 소셜 미디어를 하나님을 높여드리는데 사용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하나님과의 참된 관계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비교하는 마음을 갖지 못하게 할 수 있을까요?
비교는 기쁨을 훔쳐간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Daily Article
03/01/2019 Friday
No Comparison
My friend Sue’s comment—made casually over lunch with her husband—caused me to laugh out loud and also to think. Social media can be a good thing, helping us stay in touch with and pray for friends across the years and miles. But if we’re not careful, it can also create an unrealistic outlook on life. When much of what we see posted is a “highlight reel” of “the good stuff,” we can be misled into thinking others’ lives are without trouble, and wonder where our own went wrong.
Comparing ourselves with others is a sure recipe for unhappiness. When the disciples compared themselves to each other (SEE LUKE 9:46; 22:24), Jesus quickly discouraged it. Soon after His resurrection, Jesus told Peter how he would suffer for his faith. Peter then turned to John and asked, “Lord, what about him?” Jesus answered, “If I want him to remain alive until I return, what is that to you? You must follow me” (JOHN 21:21–22).
Jesus pointed Peter to the best remedy for unhealthy comparisons. When our minds are focused on God and all He’s done for us, self-focused thoughts fall gently away and we long to follow Him. In place of the world’s competitive strain and stress, He gives us His loving presence and peace. Nothing can compare with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John 21:17–25A heart at peace gives life to the body, but envy rots the bones.
Proverbs 14:30
How can you use social media in a God-honoring way?
How can a real relationship with God keep you from making unhealthy comparisons?
Comparison is the thief of joy. THEODORE ROOSEVELT
오늘의 말씀
02/28/2019 목요일
정말 좋은 소식!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이 기사는 그저 하나의 이야기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가족들에게는 서로를 안아보는 것이 인생을 변화시키는 사건이었고, 어떤 가족들에게는 용서와 화해의 과정이 시작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아들을 통해 그분이 우리 죄를 용서하시고 화해를 베푸신 일은 기독교 신앙이 말하는 단순한 사실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화해 소식을 다룬 신문기사를 보면서 예수님의 희생 이야기는 세계 만민 뿐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들에게도 정말 대단한 소식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수님의 희생 이야기는 우리가 한 일 때문에 죄책감에 사로잡힐 때마다 우리가 있는 힘을 다해 매달릴 수 있는 소식입니다. 그렇게 할 때 하나님이 끝없이 자비로우시다는 사실이 우리 개인에게 다가오는 소식이 됩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대신해서 죽으셨기 때문에 우리는 깨끗이 씻음 받아 “눈보다 희어져”(시편 51:7) 하나님 아버지께로 올 수 있습니다. 우리가 그분의 자비를 누릴 자격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는 그런 때에는 하나님의 사랑과 연민은 변함없으시다는(1절), 우리가 의지할 수 있는 그 한 가지 사실에 매달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1:1-7하나님이여 주의 인자 를 따라 내게 은혜를 베푸시며
시편 51:1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것
죄송합니다. 우리가 누릴 자격은 없지만 아버지께서 무조건적으로
약속해주신 이 놀라운 선물과 특권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의 용서는 그저 큰 뉴스가 아니다.
그것은 나에게 해당되는 정말 멋진 소식이다!
Daily Article
02/28/2019 THURSDAY
Great News!
For most readers, it was just a story. But for these families, holding one another was a life-changing event—and for some, the process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as begun.
God’s forgiveness of our sin and offer of reconciliation, made possible through His Son, is more than a mere fact of the Christian faith. The article’s news of reconciliation reminds us that Jesus’s sacrifice is great news not just for the world, but for you and me.
In times when we’re overwhelmed by guilt for something we’ve done, however, it’s news we can cling to desperately. That’s when the fact of God’s unending mercy becomes personal news: because of Jesus’s dying on our behalf, we can come to the Father washed clean, “whiter than snow” (PSALM 51:7). In such times, when we know we don’t deserve His mercy, we can hold on to the only thing we can depend on: God’s unfailing love and compassion (V 1). LESLIE KOH
Today's Reading
Psalm 51:1–7Have mercy on me, O God, according to your unfailing love.
Psalm 51:1
Father, I’m sorry if I’ve taken Your mercy and love for granted. Thank You for this wonderful gift and privilege that I don’t deserve yet You’ve promised unconditionally.
Forgiveness isn’t just big news. It’s wonderful, personal news!
오늘의 말씀
02/27/2019 수요일
젖먹이들의 입으로
그날 사람들은 어린아이의 설교를 듣게 될 거라고는 생각지도 않았습니다. 이 일은 시편 8편에 있는 “젖먹이들의 입으로”라는 구절을 떠올려줍니다. 다윗은 “주의 대적으로
말미암아 어린 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으로 권능을 세우심이여”(2절)라고 기록했습니다. 훗날 예수님은 아이들이 예루살렘 성전에서 소리 높여 예수님을 찬양하는 것을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비난하는 것을 보시고 마태복음 21장 16절에서 이 구절을 인용하셨습니다. 그 지도자들에게 있어 아이들은 성가신 존재에 불과했지만 예수님은 이 성경구절을 인용하시면서 하나님이 이 아이들의 찬양을 진지하게 받으셨다는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아이들은 지도자들이 꺼려하는 일을 했습니다.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메시아에게 영광을 돌린 것입니다.
비올라와 성전에 있던 어린아이들이 보여준 것처럼, 하나님은 그분이 영광을 받으시는데 아이를 쓰시기도 합니다. 기꺼이 하려는 아이들의 마음에서 찬양의 샘이 흘러나왔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4-16주의 대적으로 말미암 아 어린아이들과 젖먹 이들의 입으로 권능을 세우심이여
시편 8:2
오늘 어떻게 하나님께 찬양을 드릴 수 있을까요?
왜 그분은 나의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인가요?
주님, 찬양드릴 때 어린아이처럼 기꺼이 하려는 마음을 갖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2/27/2019 WEDNESDAY
Out of the Mouths of Babes
reach. Viola accepted. Michele, a missionary in South Sudan, wrote, “The crowd was enraptured. . . . A little girl who had been abandoned stood in authority before them as a daughter of the King of kings, powerfully sharing the reality of God’s Kingdom. Half the crowd came forward to receive Jesus” (Michele Perry, Love Has a Face ).
The crowd that day hadn’t expected to hear a child preach. This incident brings to mind the phrase “out of the mouths of babes,” which comes from Psalm 8. David wrote, “Out of the mouth of babies and infants, you have established strength because of your foes” (V 2 ESV ). Jesus later quoted this verse in Matthew 21:16, after the chief priests and scribes criticized the children calling out praise to Jesus in the temple at Jerusalem. The children were a nuisance to these leaders. By quoting this Scripture, Jesus showed that God took seriously the praise of these children. They did what the leaders were unwilling to do: give glory to the longed-for Messiah.
As Viola and the children in the temple showed, God can use even a child to bring Him glory. Out of their willing hearts came a fountain of praise.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Matthew 21:14–16Out of the mouth of babies and infants, you have established strength because of your foes.
Psalm 8:2 ESV
How can I offer praise to God today? Why is He worthy of my praise?
Lord, help me have the willing heart of a child when it comes to praise.
오늘의 말씀
02/26/2019 화요일
잘못된 정보 처리하기
잘못된 정보에 근거해 일하면 처참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 ‘언제나 그렇습니다.’ 잠언서가 우리에게 “훈계를 너의 마음에 간직하고, 지식이 담긴 말씀에 너의 귀를 기울여라”(잠언 23:12, 새번역), 다시 말해 하나님의 지혜에 귀를 기울이라고 권면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고 어리석은 사람들이나, 실제 아는 것보다 더 많이 아는 척하는 사람들, 혹은 하나님에게 등을 돌린 사람들에게서 조언을 구한다면 우리는 곤경에 빠지고 말 것입니다. 그런 사람들은 “지혜로운 말을 업신”여기며, 도움도 안 되고, 잘못 인도하며, 심지어 현혹하는 충고를 하여 우리를 그릇된 길로 이끌 수 있습니다(9절).
그와 반대로 “지식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고(12절), 마음을 열어 자유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가르침과 명쾌하고도 희망을 주는 말씀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심오한 방식을 알고 있는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이면 그들에게서 하나님의 지혜를 받아들이고 따를 수 있는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지혜는 우리를 결코 그릇된
길로 인도하지 않으며, 언제나 우리에게 용기를 주고 생명과 온전함을 향해 나아가게 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3:9-12훈계에 착심하며 지식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라
잠언 23:12
하나님, 저의 귀와 마음이 지혜를 향하게 하소서. 제 마음이 주님의
진리를 향해 열려 있어 모든 어리석음을 몰아내도록 도와주소서.
어리석은 자의 지혜는 항상 막다른 골목으로 인도하지만,
하나님의 지혜는 언제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Daily Article
02/26/2019 TUESDAY
Working off Bad Information
If you’re working with the wrong information, you’re going to end up with disastrous results. Always . This is why Proverbs encourages us to “apply [our] heart to instruction and [our] ears to words of knowledge”—God’s wisdom (PROVERBS 23:12). If we instead seek advice from those who are foolish, those who pretend to know more than they do and who have turned their back on God, we’ll be in trouble. They “scorn . . . prudent words” and can lead us astray with unhelpful, misguided, or even deceptive advice (V 9).
Instead, we can bend our “ears to words of knowledge” (V 12). We can open our heart and receive God’s liberating instruction, words of clarity and hope. When we listen to those who know the deep ways of God, they help us receive and follow divine wisdom. And God’s wisdom will never lead us astray but always encourages and leads us toward life and wholeness.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roverbs 23:9–12Apply your heart to instruction and your ears to words of knowledge.
Proverbs 23:12
God, bend my ears and heart toward wisdom. Help me be open to Your truth and push away every kind of foolishness.
A fool’s wisdom always leads to a dead end, but God’s wisdom always opens up new horizons.
오늘의 말씀
02/25/2019 월요일
피카 정신
학자들에 의하면 예수님의 식사는 아무렇게나 준비된 것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신학자 마크 글랜빌은 예수님의 식사를 구약에서 이스라엘의 향연과 축제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먹는 ‘두 번째 코스’”라고 부릅니다. 식탁에서 예수님은 하나님이 의도 하신바 이스라엘이 지녀야 할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보이셨는데, 그것은 이스라엘이 “온 세상에 기쁨과 축하와 공의의 중심”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오천 명을 먹이신 일부터 최후의 만찬, 나아가 부활하신 후 두 제자와 식사하신 것(누가복음 24:30)에 이르기까지 예수님은 식탁 사역을 하시면서 우리로 하여금 끊임없이 분투만 하지 말고 주님 안에 머무르라고 요청하십니다. 사실 그 두 제자는 예수님과 함께 식사를 하기 전까지는 그분이 부활하신 주님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니 그들의 눈이 밝아져” (30-31절) 살아 계신 그리스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최근에 한 친구와 피카에서 코코아와 롤빵을 먹으면서 우리 또한 예수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주님은 ‘분명히’ 생명의 양식입니다. 우리도 주님의 식탁에 오래 머물러 주님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4:28-35그들과 함께 음식 잡수 실 때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니
누가복음 24:30
주님, 주님의 식탁에 머무를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시간을 내어 생명의 양식을 먹으라.
Daily Article
02/25/2019 MONDAY
The Spirit of Fika
Scholars say Jesus’s meals weren’t random. Theologian Mark Glanville calls them “the delightful ‘second course’” of Israel’s feasts and celebrations in the Old Testament. At the table, Jesus lived what God had intended Israel to be: “a center of joy, celebration and justice for the whole world.”
From the feeding of 5,000, to the Last Supper—even to the meal with two believers after His resurrection (LUKE 24:30)—the table ministry of Jesus invites us to stop our constant striving and abide in Him. Indeed, not until eating with Jesus did the two believers recognize Him as the risen Lord. “He took bread, gave thanks, broke it and began to give it to them. Then their eyes were opened” (VV 30–31) to the living Christ.
Sitting with a friend recently at Fika, enjoying hot chocolate and rolls, we found ourselves also talking of Jesus. He is the Bread of Life. May we linger at His table and find more of Him.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Luke 24:28–35When he was at the table with them, he took bread, gave thanks, broke it and began to give it to them.
Luke 24:30
Lord, thank You for making time and room for us to abide at Your table.
Make time to eat the Bread of Life.
오늘의 말씀
02/24/2019 주일
고요한 가운데 느끼는 경외감
어느 일요일, 완전히 녹초가 되어 뒷마당 나무에 매어놓은 그물침대에 쓰러지듯 누웠습니다. 전화기는 아이들과 남편이 있는 집 안에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잠깐 동안만 앉아 있으려고 했는데 방해 받지 않는 고요함 속에서 나를 더 오래 붙잡아두려고 하는 것들이 눈에 띄기 시작했습니다. 그물 침대가 부드럽게 움직이며 내는 삐걱거리는 소리, 근처에 있는 라벤더 꽃을 맴도는 벌들의
윙윙거리는 소리, 머리 위에서 펄럭거리는 새의 날개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하늘은 눈이 부시게 푸르렀고 구름이 바람에 실려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나는 하나님께서 만드신 모든 것들에 감동되어 눈물이 흘렀습니다.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는 여러 경이로운 것들을 다 받아들일 수 있게 천천히 시간을 가지고 하나님의 창조의 권능에 감사하며 경배 드리고 싶은 마음이 솟았습니다. 시편 104편의 기자도 하나님이 손으로 만드신 작품들을 보고 똑같이 겸손하게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주께서 하시는 일의 결실이 땅을 만족시켜 주는도다”
(13절).
바쁜 생활 가운데서도 고요한 순간을 가져보면 하나님의 창조의 능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높은 산과 새들을 위한 나뭇가지 등, 우리 주위에는 하나님의 능력과 다정함을 보여주는 것들로 가득합니다. “이 모든 것을 주님께서 지혜로 만드셨습니다”(24절, 새번역).
오늘의 성구
시편 104:10-24여호와여 주께서 하신 일이 어찌 그리 많은지 요 주께서 지혜로 그들 을 다 지으셨으니 주께 서 지으신 것들이 땅에 가득하니이다
시편 104:24
주님, 주님의 창조가 참으로 놀랍습니다. 무한한 능력으로 모든 것을
지으시고, 주께서 사방에 지어 놓으신 아름다운 것들을 누리게 하시는
주님. 주님의 작품들을 보며 고요한 순간에 주님을 경배하게 하소서.
하나님의 창조의 권능이 우리 주위에 가득 차 있다.
Daily Article
02/24/2019 SUNDAY
Quiet Awe
I found myself moved to tears in response to all God had made. When I slowed long enough to take in the many wonderful things within my eyesight and earshot, I was stirred to worship in gratitude for God’s creative power. The writer of Psalm 104 was equally humbled by the work of God’s hands, noting “you fill the earth with the fruit of your labor” (V 13 NLT ).
In the midst of a harried life, a quiet moment can remind us of God’s creative might! He surrounds us with evidence of His power and tenderness; He made both the high mountains and branches for birds. “In wisdom [He] made them all” (V 24).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104:10–24How many are your works, LORD! In wisdom you made them all; the earth is full of your creatures.
Psalm 104:24
Lord, Your creation amazes me. You made all things through Your limitless power, inviting us to enjoy the beauty You’ve surrounded us with. Help me to notice Your works and worship You in quiet moments.
We are surrounded by God’s creative po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