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25/2019 월요일
축복이 다가온다
친구의 감정은 이해합니다! 무언가를 목표로 일하는데 결과가 바로 나오지 않으면 실망이 됩니다. 하지만 보상이 언제나 바로 나오거나 바로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비슷한 경우로, 우리가 착한 일을 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고 느끼기가 쉽습니다. 친구를 돕거나 낯선 사람에게 친절을 베풀 때조차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바울은 갈라디아 교회 성도들에게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
(갈라디아서 6:7)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때가 이르면 거둘 것이기 때문에 선을 행하며 낙심하지 말아야”(9절) 합니다. 선한 일을 한다고 구원 받는 것도 아니고, 그 성경구절도 우리가 거두는 것이 지금일지 아니면 천국에서일지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지 않지만, 우리는 “축복을 거둘 때”(6:9)가 있을 거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선한 일을 행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무엇을 “거둘”지 모를 때 더욱 그렇습니다. 하지만 내 친구가 걷기 운동을 통하여 여전히 건강의 혜택을 누리는 것처럼, 축복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선한 일은 계속할 만 합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6:7-10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 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갈라디아서 6:9
낙심하고 계십니까? 하나님이 하라고 하신 일에 충성하기 위해 하나님을 믿게 해 달라고 간구하십시오. 오늘 누군가를 위해 어떤 선한 일을 하실 수 있습니까?
모든 상급이 다 바로 생기거나 보이는 것은 아니다.
Daily Article
03/25/2019 Monday
The Blessing Is Coming
I understand how she feels! Working toward something without immediate results is disheartening. But rewards aren’t always immediate or immediately visible.
When that’s the case, it’s easy to feel that the good things we do are useless, even helping a friend or being kind to a stranger. Paul explained to the church in Galatia, however, that “a man reaps what he sows” (GALATIANS 6:7). But we must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for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V 9). Doing good isn’t the way to gain salvation, and the text doesn’t specify whether what we reap will be now or in heaven, but we can be assured that there will be “a harvest of blessing” (6:9 NLT ).
Doing good is difficult, especially when we don’t see or know what the “harvest” will be. But as with my friend who still gained the physical benefit from walking, it’s worth continuing to do good because the blessing is coming! JULIE SCHWAB
Today's Reading
Galatians 6:7–10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for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if we do not give up.
Galatians 6:9
Are you discouraged? Ask God to help you trust Him to be faithful in what He’s called you to do. What good thing can you do for someone today?
Not all rewards are immediate or visible.
오늘의 말씀
03/24/2019 주일
성령 안에서 노래하기
모건이 묘사한 노래 속에서의 부활은 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경 속의 이야기에도 있습니다. 음악은 승리를 축하할 때(출애굽기 15:1-21), 성전을 봉헌하는 예배에서(역대하 5:12-14), 그리고 군사 전략의 한 부분으로 (20:21-23) 사용되었습니다. 성경책 한 중간에도 시가집이 있습니다(시편 1-150편). 그리고 신약에서 바울은 에베소 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에 성령 안에서의 삶을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는”(에베소서 5:19) 삶이라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다툴 때나 예배할 때나, 우리 삶의 모든 순간에서, 우리 믿음의 음악은 우리가 한 목소리를 찾도록 도와줍니다. 옛 것과 새 것의 조화 속에서 우리는 힘이나 능력이 아닌, 오직 성령과 하나님의 노래를 통하여 새롭고 또 새로워집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7-14오직 성령으로 충만함 을 받으라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에베소서 5:18-19
최근에 어떤 찬송이 당신의 마음에 와 닿았습니까? 어떻게 음악으로 당신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고무시킬 수 있을까요?
성령님은 듣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찬송을 준비하고 계신다.
Daily Article
03/24/2019 Sunday
Singing in the Spirit
The renewal in song that Morgan describes has its story in the Scriptures, where music plays a prominent role. Music was used to celebrate victories (EXODUS 15:1–21); in worshipful dedication of the temple (2 CHRONICLES 5:12–14); and as a part of military strategy (20:21–23). At the center of the Bible we find a songbook (PSALMS 1–150). And in Paul’s New Testament letter to the Ephesians we read this description of life in the Spirit: “[Speak] to one another with psalms, hymns, and songs from the Spirit” (EPHESIANS 5:19).
In conflict, in worship, in all of life, the music of our faith can help us find one voice. In harmonies old and new we’re renewed again and again, not by might, nor by power, but the Spirit and songs of our God. - MART DEHAAN
Today's Reading
2 Chronicles 5:7–14Be filled with the Spirit, speaking to one another with psalms, hymns, and songs from the Spirit.
Ephesians 5:18-19
What song has spoken to your heart recently? How can music encourage you in your relationship with God?
The Spirit has a song for those who listen.
오늘의 말씀
03/23/2019 토요일
구름에 가려짐
바울 사도는 많은 환난을 직면한 가운데, 보이지는 않지만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있음을 믿었습니다. 그는 “잠시 받는 환난” 이 어떻게 “영원한 영광”을 이루어내는지 이야기합니다(고린도후서 4:17). 보이지 않는것은 영원하기 때문에, 이처럼 그는 “보이는 것이 아닌 보이지 않는 것”에 주목할 수 있었습니다(18절). 바울은 고린도 교회 성도들과 우리의 믿음이 성장하여, 비록 고난을 겪더라도 우리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하나님께서 우리를 날마다 새롭게 하심을 믿을 수 있습니다(16절).
그날 밤 구름을 바라보고 그 구름 뒤에 초대형 달이 숨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보이지 않지만 영원히 계시는 하나님을 묵상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하나님이 나에게서 멀어졌다는 생각이 밀려올 때, 보이지 않는 것에 주목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4:16-18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고린도후서 4:18
보이지 않는 것에 주목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삶의 어려운 일들을 당할 때 예수님 안에서 갖는 소망이 당신에게 어떤 도움을 줍니까?
주 하나님, 때때로 주님이 저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느낍니다. 주님의 임재를 느끼지 못하더라도, 주님은 언제나 가까이 계신다는 진리를 믿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3/2019 Saturday
Obscured by Clouds
The apostle Paul faced many hardships but believed that what is unseen will last forever. He said how his “momentary troubles” achieve “an eternal glory” (2 CORINTHIANS 4:17). Thus he could fix his eyes “not on what is seen, but on what is unseen,” because what is unseen is eternal (V 18). Paul yearned that the Corinthians and our faith would grow, and although we suffer, that we too would trust in God. We might not be able to see Him, but we can believe He is renewing us day by day (V 16).
I thought about how God is unseen but eternal when I gazed at the clouds that day, knowing that the supermoon was hidden but there. And I hoped the next time I was tempted to believe that God was far from me, I would fix my eyes on what is unseen.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4:16–18We fix out eyes not on what is seen, but on what is unseen.
2 Corinthians 4:18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fix your eyes on what is unseen?
How does your hope in Jesus help you face the difficulties of life?
Lord God, sometimes I feel like You’re far from me. Help me to believe the truth that You are ever near, whether I feel Your presence or not.
오늘의 말씀
03/22/2019 금요일
잘못된 판결의 짐 감당하기
알렉산더의 말은 깊이 있는 기품을 보여줍니다. 만약 38년의 인생을 부당하게 도둑맞고 우리의 명예가 땅에 떨어졌다면, 우리는 화내고 분노할 만 합니다. 비록 알렉산더가 자신에게 주어진 잘못된 판결의 짐을 감당하며 오랜 세월을 가슴 아프게 지내야 했지만, 그는 악으로 말미암아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힘을 복수하는 데에 사용하지 않고, 베드로가 가르쳐준 삶의 태도를 보여준 것입니다. “악을 악으로, 욕을 욕으로 갚지 말고”(베드로전서 3:9).
성경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베드로 사도는 우리에게 복수하려 하기보다는 ‘복을 빌어야’ 한다고 말합니다(9절). 우리에게 부당한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을 용서하고 그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데까지 나아가야 합니다. 그들의 악한 행동을 규탄하지 말고 하나님의 말할 수 없이 놀라운 자비를 가지고 그들을 만나야 합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우리의 죄짐을 지셨습니다.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은혜를 받았으니 그 은혜를 다른 사람들에게, 심지어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에게까지 베풀 수 있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3:8-14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베드로전서 3:9
상처를 준 그들의 행동들을 용서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에게 자비를 베풀 수 있을까요? 그들을 “축복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하나님, 우리에게 상처 준 사람도 우리가 받은 만큼 상처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님의 자비와 은혜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2/2019 Friday
Bearing the Burden of Wrongs
Alexander’s words evidence a deep grace. If injustice robbed us of thirty-eight years of our lives and destroyed our reputations, we would likely be angry, furious. Though Alexander spent many long, heartbreaking years bearing the burden of wrongs inflicted upon him, he wasn’t undone by the evil. Rather than exerting his energy trying to get revenge, he exhibited the posture Peter instructs: “Do not repay evil with evil or insult with insult” (1 PETER 3:9).
The Scriptures go a step further: rather than seeking vengeance, the apostle Peter tells us we are to bless (V 9). We extend forgiveness, the hope of well-being, for those who have unjustly wronged us. Without excusing their evil actions, we can meet them with God’s scandalous mercy. On the cross, Jesus bore the burden of our wrongs, that we might receive grace and extend it to others—even those who have wronged u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Peter 3:8–14Do not repay evil with evil.
1 Peter 3:9
Without excusing their actions, how can you extend mercy to others who have wronged you?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bless” them?
God, it’s hard not to want those who hurt me to hurt just as much. Help me to live out Your mercy and grace.
오늘의 말씀
03/21/2019 목요일
우리를 위한 수공품
나를 향한 할머니의 사랑을 담고 있었으며, 나의 장래에 대한 그분의 믿음을 강력히 웅변해 보여주었습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인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 세상 삶의 목적을 언급하면서, 그들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하나님의 작품” 이라고 묘사했습니다(2:10). 여기서 “작품” 은 예술작품, 즉 걸작품을 말합니다. 바울은 이어서 설명하기를,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작업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 선한 일을 하는 우리의 작업, 다시 말해 우리와 예수님과의 관계 회복을 이끌어낸다고 했습니다. 우리 자신의 선행으로는 결코 구원받을 수 없지만, 하나님의 손길이 그분의 목적을 위해 우리를 작품화할 때 우리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들을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 앞으로 인도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문나 할머니는 나에 대한 사랑과 내가 이 세상에서 목적을 찾아 살기를 바라는 할머니의 열정을 내게 전해주려고 바늘에 머리를 대고 수공품들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가 스스로 하나님을 체험하고 그분의 작품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손가락으로 우리의 하루하루를 빚으시며 우리의 가슴에 자신의 사랑과 목적을 수놓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4-10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
에베소서 2:10
하나님은 무슨 일을 위해 당신을 지으셨습니까?
오늘 누구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손수 만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 아버지를 세상에 알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21/2019 Thursday
Hand Made for You
Paul wrote to the Ephesians of their purpose in this world, describing them as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2:10). Here “handiwork” denotes a work of art or a masterpiece. Paul goes on to describe that God’s handiwork in creating us would result in our handiwork of creating good works—or expressions of our restored relationship with Jesus—for His glory in our world. We can never be saved by our own good works, but when God hand makes us for His purposes, He can use us to bring others toward His great love.
With her head bowed over her needle, my Munna hand made items to communicate her love for me and her passion that I discover my purpose on this planet. And with His fingers shaping the details of our days, God stitches His love and purposes in our hearts that we might experience Him for ourselves and demonstrate His handiwork to other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Ephesians 2:4–10We are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which God prepared in advance for us to do.
Ephesians 2:10
What has God created you to do?
Who can you show His love to today?
Dear Father, thank You for hand making me; help me to show You tomy world.
오늘의 말씀
03/20/2019 수요일
비탄에서 경배로
비참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은 우리의 울부짖음을 춤으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치유가 항상 우리가 바라거나 기대했던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처럼 보여도, 우리는 하나님이 일하시는 방식이 옳다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시편 30:1-3). 우리의 가는 길이 아무리 눈물로 얼룩질지라도 하나님을 찬양할 수밖에 없는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4절). 우리가 하나님 안에서 기뻐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확고한 믿음을 담보해주시기 때문입니다 (5-7절).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의 자비를 울부짖는 많은 경배자들에게 하나님이 가져다주실 소망을 찬양합니다(8-10절). 오직 하나님만이 절망의 통곡을 어떤 상황과도 관계없이 힘찬 기쁨으로 바꾸실 수 있는 분입니다(11-12절).
자비하신 하나님은 슬픔에 빠진 우리를 위로하면서 평화 속에서 우리를 감싸주시고, 우리에게 힘을 주셔서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 자신과 똑같은 연민의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해주십니다. 그래서 사랑이 많으시고 신실하신 주님은 우리의 통곡을 마음속 깊은 신뢰와 찬양, 그리고 심지어 기쁨의 춤까지 추게 하는 경배로 ‘돌려놓으실 수’ 있으며 실제로 ‘돌려놓기도’ 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0주께서 나의 슬픔이 변하여 내게 춤이 되게하시며......기쁨으로 띠 띠우셨나이다
시편 30:11
진정한 평화와 기쁨의 근원이 무엇입니까? 당신의 모든 것을 하나님께 진정으로 맡긴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하나님, 우리의 슬픔을 경배로 바꾸실 수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우리를 가까이 붙잡아주소서.
Daily Article
03/20/2019 Wednesday
From Wailing to Worship
praise as she encourages others.
Even when we’re in dire circumstances, God can turn our wailing into dancing. Though His healing won’t always look or feel like we’d hoped or expected, we can be confident in God’s ways (PSALM 30:1–3). No matter how tear-stained our path may be, we have countless reasons to praise Him (V 4). We can rejoice in God, as He secures our confident faith (VV 5–7). We can cry out for His mercy (VV 8–10), celebrating the hope He’s brought to many weeping worshipers. Only God can transform wails of despair into vibrant joy that doesn’t depend on circumstances (VV 11–12).
As our merciful God comforts us in our sorrow, He envelops us in peace and empowers us to extend compassion toward others and ourselves. Our loving and faithful Lord can and does
turn our wailing into worship that can lead to heart-deep trust, praise, and maybe even joyful dancing.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30You turned my wailing into dancing; you...clothed me with joy.
Psalm 30:11
What’s the source of true peace and joy?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truly surrender your all to God?
God, please hold us close as we trust You can transform our wails to worship.
오늘의 말씀
03/19/2019 화요일
‘맘마’가 남긴 믿음의 발자취
디모데후서 1:3-7에 의하면, 디모데의 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는 디모데의 삶에 아주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할머니와 어머니의 삶과 가르침은 성경이라는 토양에 뿌리박고 있었고(5절; 디모데후서 3:14-16), 그들의 믿음은 나중에 디모데의 마음속에서 활짝 피어났습니다. 성경에 바탕을 둔 가정교육은 디모데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바탕이 되었을 뿐 아니라, 주님의 사역에도 쓰임 받게 해주었습니다(1:6-7).
디모데 시대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하나님은 믿음이 깊은 남녀들을 택하여 다음 세대에 믿음의 자국을 남기십니다. 우리의 기도와 언어, 행동, 봉사는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이나 세상을 떠난 후에도 주님이 능력 있게 사용하실 것입니다. 그런 이유로 나와 우리 형제들은 지금도 ‘맘마’로부터 물려받은 믿음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나는 ‘맘마’의 유산이 우리 세대에서 끝나지 않기를 기도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3-7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 신한 일에 거하라 너는 네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을 알며
디모데후서 3:14
예수님 안에서 다른 사람들의 믿음을 성장시키는데 당신의 기도와 언어, 행동, 봉사를 어떻게 사용하고 계십니까? 당신은 어떤 믿음의 유산을 남기고 싶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의 삶을 주님의 영광과 다른 사람들의 풍요로운 삶을 위한 믿음의 유산으로 사용해주소서.
Daily Article
03/19/2019 Tuesday
Marked by Momma
According to 2 Timothy 1:3–7, Timothy’s grandmother Lois and his mother Eunice had a huge impact on his life. Their living and teaching were rooted in the soil of Scripture (V 5; 2 TIMOTHY 3:14–16) and eventually their faith blossomed in Timothy’s heart. His biblically based upbringing was not only foundational for his relationship with God, but it was also vital to his usefulness in the Lord’s service (1:6–7).
Today, as well as in Timothy’s time, God uses faithful women and men to mark future generations. Our prayers, words, actions, and service can be powerfully used by the Lord while we live and after we’re gone. That’s why my siblings and I still rehearse things that were passed on to us from Momma. My prayer is that Momma’s legacy will not stop with us.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2 Timothy 1:3–7Continue in what you have learned and have become convinced of, because you know those from whom you learned it.
2 Timothy 3:14
How are you using your prayer, words, actions, and service to grow others in Jesus? What would you like your legacy to be?
Heavenly Father, use our living as a legacy for Your glory and the enrichment of others.
오늘의 말씀
03/18/2019 월요일
험한 곳에서의 기쁨
하박국 은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선지자인 그에게 다가올 앞날에 백성들이 먹고 살아야 하는 곡식이나 가축 어느 것도 열매를 맺지 못하고 새끼를 낳지 못하리라는 것을 미리 보여주셨습니다(3:17). 다가올 고난을 이겨내려면 낙관적인 마음 이상의 것이 필요했습니다. 이스라엘 온 백성이 극도의 가난에 처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박국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입술이 떨리며 다리가 후들거리는 두려움을 겪었습니다(16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박국은 말합니다.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기뻐하리로다”(18절). 그는 험한 곳도 걸어갈 수 있는 힘을 주시는 하나님께 소망이 있음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선포합니다(19절).
우리는 매우 고통스럽고 힘든 시기를 지날 때가 있습니다. 우리가 모든 것을 잃었거나 원했던 것을 얻지 못했을지라도, 우리도 하박국처럼 사랑의 하나님과의 관계를 기뻐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아무것도 없다고 느낄 때조차도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실망시키거나 버리지 않으십니다(히브리서 13:5). “슬퍼하는 자에게 공급하시는” 하나님 그분이 기쁨의 궁극적인 이유가 되십니다(이사야 61:3).
오늘의 성구
하박국 3:16-19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
하박국 3:18
예수님과의 관계에서 가장 큰 기쁨을 주는 것은 무엇입니까?
최근 어렵고 슬펐을 때 예수님이 당신을 어떻게 만나주셨습니까?
주님, 어떤 상황에서도 주님 안에서 기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8/2019 Monday
Joy in Hard Places
Habakkuk wasn’t experiencing easy circumstances. As a prophet, God had shown him coming days when none of the crops or livestock—on which God’s people depended—would be fruitful (3:17). It would take more than mere optimism to endure the coming hardships. As a people group, Israel would be in extreme poverty. Habakkuk experienced heart-pounding, lip-quivering, leg-
trembling fear (V 16).
Yet despite that, Habakkuk said he would “rejoice in the LORD ” and “be joyful” (V 18). He proclaimed His hope in the God who provides the strength to walk in difficult places (V 19).
Sometimes we go through seasons of deep pain and hardship. But no matter what we’ve lost, or wanted but never had, we can, like Habakkuk, rejoice in our relationship with a loving God. Even when it feels like we have nothing else, He will never fail or abandon us (HEBREWS 13:5). He, the One who “provide[s] for those who grieve,” is our ultimate reason for joy (ISAIAH 61:3).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Habakkuk 3:16–19Yet I will rejoice in the LORD, I will be joyful in God my Savior.
Havakkuk 3:18
What about your relationship with Jesus brings you the greatest joy?
How has He met you recently in a time of hardship or grief?
Lord, no matter my circumstances, help me to find joy in You.
오늘의 말씀
03/17/2019 주일
용기 있게 맞서기
니묄러가 두려움에 저항할 수 있었던 것은 두려움을 못 느끼게 하는 초인적인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 때문이었습니다. 사실, 그는 한때 반유대주의 견해를 가진 적이 있었으나 회개하였고, 하나님은 그를 회복시켜 진리를 말하고 진리대로 살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두려움을 이겨내고 진리 안에서 하나님을 따르라고 격려하였습니다. 백성들이 모세가 곧 자기들로부터 떠날 것을 알고 걱정하자 모세가 단호하게 말했습니다. “너희는 강하고 담대하라 두려워하지 말라......떨지 말라 이는 네 하나님 여호와 그가너와 함께 가실 것임이라”(신명기 31:6). 그들은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하신다는 단 한 가지 이유만으로도 불확실한 미래 앞에서 두려움에 떨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 어떤 어두움이 당신 앞에 나타나고 그 어떤 두려움이 들이닥쳐도 하나님은 당신과 함께 하십니다. 하나님의 자비하심을 믿고 하나님은 “결코 너를 떠나지 아니하시며 버리지 아니하실”(6,8절) 것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두려움에 맞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1:1-8너희는 강하고 담대 하라 두려워하지 말라......떨지 말라
신명기 31:6,8
지금 어떤 두려움에 직면해 있습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임재가 마음에 용기를 줍니까?
두려움 없는 삶이란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굴복하지 않는 것이다.
Daily Article
03/17/2019 Sunday
Standing with Courage
Niemöller wasn’t able to resist fear because he possessed some superhuman antifear gene, but because of God’s grace. In fact, he had once held anti-Semitic views. But he had repented and God restored him and helped him speak and live out the truth.
Moses encouraged the Israelites to resist fear and follow God in truth. When they’d become fearful after learning Moses would soon be taken from them, the leader had an unflinching word for them: “Be strong and courageous. Do not be afraid or terrified . . . for the LORD your God goes with you” (DEUTERONOMY 31:6). There was no reason to tremble before an uncertain future because of one reason: God was with them.
Whatever darkness looms for you, whatever terrors bombard you—God is with you. By God’s mercy, may you face your fears with the knowledge that God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vv. 6, 8).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31:1–8Be strong and courageous....Do not be afraid or terrified.
Deuteronomy 31:6, 8
What fears are you facing?
How does God’s presence bring courage to your heart?
Living unafraid doesn’t mean that we don’t feel fear but that we don’t obey it.
오늘의 말씀
03/16/2019 토요일
상징 그 이상의 의미
보해넌은 자신의 이름이 드러나는것보다 더 중요한 무엇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는 젊은 용사 다윗의 삶에서 이와 비슷한 예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윗이 자기를 따르는 오합지졸들과 동굴에 숨어 지낼 때 자기 고향 베들레헴에 있는 우물물을 몹시 마시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나 그곳은 두려운 블레셋 군대가 점령하고 있었습니다(사무엘하 23:14-15).
용감하게도 다윗의 전사 세 명이 “블레셋 요새 지역에 들어가” 물을 가져와 다윗에게 주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그 물을 자신이 받아 마실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윗은 “이는 목숨을 걸고 갔던 사람들의 피가 아니니이까”라고 하며 “그 물을 여호와 앞에 부어 드렸습니다”(16-17절).
가능하면 무엇이든 낚아채는 사람들이 종종 보상받는 이 세상에서 이 얼마나 강한 사랑과 희생을 보여주는 행동인지요! 그런 행동들은 단순한 상징 그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3:13-17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각각 자기 일을 돌볼 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빌립보서 2:3-4
어떻게 우리 자신이 드러나는 것 대신 다른 사람들과 그들의 노력을 기릴 수 있을까요? 어떻게 우리의 사랑의 행위를 하나님의 사랑처럼 나타낼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오늘 내 마음을 이끌어주소서. 나의 우선순위를 다시 정하여 나의 필요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필요도 소중히 여길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3/16/2019 Saturday
More than a Symbol
Bohannon showed a keen awareness of things more important than his own advancement. We see similar values in the life of the young warrior David. Hiding in a cave with his ragtag army, David longed for a drink from the well in his hometown of Bethlehem, but the dreaded Philistines occupied the area (2 SAMUEL 23:14–15).
In a stunning act of bravery, three of David’s warriors “broke through the Philistine lines,” got the water, and brought it to David. But David couldn’t bring himself to drink it. Instead, he “poured it out before the LORD ,” saying, “Is it not the blood of men who went at the risk of their lives?” (VV 16–17).
In a world that often rewards those who seize whatever they can grasp, how powerful acts of love and sacrifice can be! Such deeds are much more than mere symbol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Samuel 23:13–17In humility value others above yourselves, not looking to your own interests but each of you to the interests of the others.
Philippians 2:3-4
Instead of advancing your own agenda, how can you celebrate someone else and their efforts? How do our acts of love reflect God’s own?
Father, guide my heart today. Rearrange my priorities so that I value the needs of others as well as my ow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