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3/2025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8-30; 마가복음 8:22-38
찬송가: 465(통523)

하나님의 사랑을 널리 실천하기

미시간 주의 어느 겨울날 있었던 일입니다. 한 배달원이 어느 할머니가 집 앞의 눈을 치우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배달원은 멈춰 서서 여든 한 살의 할머니에게 자기가 나머지 눈을 다 치우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소포 배달이 늦어질까 걱정이 된 할머니는 다른 삽을 들고 함께 눈을 치웠습니다. 두 사람은 이웃들이 멀리서 지켜보는 가운데 거의 15분 동안 나란히 서서 일했습니다. 할머니는 “도와줘서 고마워요. 하나님이 당신을 보내주셨네요.”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은 율법교사와의 대화 중에 이웃 사랑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 하셨습니다(누가복음 10:25-37). 예수님이 이웃사랑에 대해 그가 잘 알고 있는 법의 해석을 물었을 때, 그 율법교사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27절).

그러자 예수님은 강도 당한 피해자를 외면한 두 종교 지도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시면서, 그 당시 대부분의 유대 지도자들이 멸시했던 사마리아인이 오히려 자신을 희생하며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30-35절). 율법교사가 강도 당한 사람에게 자비를 베푼 그 사람이 이웃처럼 사랑했다는 사실을 깨닫자, 예수님은 그에게 그 사마리아인과 같이 하라고 권면하셨습니다(36-37절).

다른 이들을 사랑하는 일은 항상 쉽고 편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사랑을 넘치도록 우리에게 베푸시는 예수님은 우리도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우리의 이웃을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27-37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누가복음 10:37]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에게 예상치 못한 이웃을 통해 그분의 사랑을 보여 주셨습니까? 이번 주에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을 실제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이 창조한 모든 이들을 사랑하고 내 이웃이라 부를 기회를 주소서.

Daily Article

03/03/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8-30; MARK 8:22-38
Hymn: 465(old 523)

EXTENDING GOD’S LOVE

One winter day in Michigan, a delivery man noticed an elderly woman shoveling snow off her driveway. He stopped and convinced the eighty-one-year-old to let him finish the job. Concerned that he’d be late delivering his other packages, she retrieved another shovel. They worked side by side for almost fifteen minutes as her neighbors watched from afar. “I’m thankful you helped me,” she said. “You’re God-sent.”

During a conversation with an expert in the law, Jesus redefined the concept of loving our neighbors (LUKE 10:25-37). When Jesus asked him to interpret the law he knew so well, the expert said, “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strength and with all your mind’; 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V. 27).

Then Jesus shared a story about two religious leaders who ignored a robbery victim. But a Samaritan—a person most Jewish leaders in those days considered inferior—sacrificed to help the man in need (VV. 30-35). When the expert of the law realized that the one who had mercy on the man had loved like a neighbor, Jesus encouraged him to do likewise (VV. 36-37).

Loving others isn’t always easy or convenient. But as Jesus overwhelms us with His love, He’ll help us love all our neighbors like the Good Samaritan did.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LUKE 10:27-37
Jesus told him, “Go and do likewise.”
[ LUKE 10:37 ]

How has God shown you His love through an unexpected neighbor? Who can you show God’s love to in a practical way this week?

Dear Jesus, please give me opportunities to love all the people You created and call my neighbors.

오늘의 말씀

03/02/2025     주일

성경읽기: 민수기 26-27; 마가복음 8:1-21
찬송가: 388(통441)

예수, 우리의 안식처

1943년, 메릴랜드 주 시골에 있는 “샹그릴라”라는 캠프가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즈벨트를 위한 휴양지로 구입되었습니다. 백악관 웹사이트에 따르면 소박하고 조용하며 외딴 곳에 위치한 이곳은 대통령들이 “혼자서 평온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외국 지도자들을 위해 일하고 접대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드와이트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이 된 후 자신의 아버지와 손자 이름을 따서 이 휴양지 이름을 ‘캠프 데이비드’로 바꿨고, 그 이름이 지금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보안 조치가 강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캠프는 거의 자연 그대로 현대화되지 않아서 미국대통령과 그의 가족이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기에 완벽한 장소로 남아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에게는 격동의 세상 한가운데서 안식을 찾을 수 있는 피난처가 있습니다. 시편 32편 7절에서 다윗 왕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는 나의 은신처이오니 환난에서 나를 보호하시고 구원의 노래로 나를 두르시리이다.” 다윗은 하나님이 그의 진정한 안전한 장소임을 깨달았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주님 안에서 안식과 회복을 찾도록 초대하십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마태복음 11:28-29).

예수님은 언제나, 항상, 그리고 아무 때나 우리의 안식처가 되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2:1-7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게 배우라 그리하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
[마태복음 11:29]

무엇이 당신의 평화와 안식을 빼앗아 가나요?
어떻게 예수님 안에서 안식을 찾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는 지쳤습니다. 이 세상은 험난하고 때때로 제 안의 생명이 고갈된 것처럼 느껴집니다. 제가 주님께 더 나아가고 주님의 은혜로운 임재 안에서 안식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02/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6-27; MARK 8:1-21
Hymn: 388(old 441)

JESUS—OUR PLACE OF REST

In 1943, a camp in rural Maryland called Shangri-La was purchased as a retreat for US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Rustic, quiet, and remote,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olitude and tranquility,” according to the White House website, “as well as an ideal place to work and host foreign leaders.” When Dwight Eisenhower became president, he renamed this retreat Camp David in honor of his father and his grandson, and the name stuck. Aside from increased security measures, there has been very little modernizing of the camp. It remains the perfect place for US presidents and their families to escape and rest.

Believers in Jesus also have a retreat where we can find rest in the midst of our turbulent world. In Psalm 32:7, King David wrote, “You [God] are my hiding place; you will protect me from trouble and surround me with songs of deliverance.” David recognized that God was his true place of safety.

Jesus welcomes us to find rest and restoration in Him. He says, “Come to me,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MATTHEW 11:28-29).

He can be our place of rest any time, every time, and all the time.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 SALM 32:1-7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humble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 MATTHEW 11:29 ]

What robs you of peace and rest?
How might you seek to find rest in Jesus?

Loving God, I’m tired. This world is tough, and sometimes I feel like the very life is drained from me. Please help me to be more intentional about coming to You and finding rest in Your gracious presence.

오늘의 말씀

03/01/2025     토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3-25; 마가복음 7:14-37
찬송가: 199(통234)

성경 이해하기

성경이 얼마나 중요할까요? 많은 나라에서 목숨을 걸고 성경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성경은 우리에게 사활이 달린 책입니다. 이분들은 평신도들이지만 종종 그 나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성경 말씀을 번역하다가 당국에 체포되기도 합니다.

예수를 믿는 이들에게 적대적인 어떤 나라의 여성 번역자는 말했습니다. “저는 이 일을 꼭 완수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경험하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또 어떤 남성은 일반 시민들을 조직하여 비밀리에 성경을 번역하면서 그 나라 교회에서 성숙한 신자들을 양육하는데 성경이 필수적 이라고 설명합니다. “교회를 시작할 수는 있지만... [모국어로 된 성경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한 세대 밖에 지속되지 못합니다.”

이들이 왜 이렇게 성경 번역에 매달릴까요? 이 세상에 성경 같은 책은 없기 때문입니다. 성경이 오랜 세월을 거쳐 보존되어 온 것은 아주 독특합니다. 성경의 진정성과 사람 마음의 표현은 정확합니다. 성경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마음의 생각과 뜻을 판단합니다”(히브리서 4:12). 뿐만 아니라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디모데후서 3:16) 하나님께 영감을 받아 기록되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성경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15절) 근거와 실체를 보여준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을 읽고 소중히 여기며 성경에 의지해 살아갑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능력대로, 전 세계 사람들이 성경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도록 도웁시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3:14-16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마음의 생각과 뜻을 판단하나니
[히브리서 4:12]

성경에서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다른 사람들이 성경을 더 잘 이해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성경을 주심에 감사하며 다른 사람들과 성경을 나눌 수 있는 특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1/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3-25; MARK 7:14-37
Hymn: 199(old 234)

UNDERSTANDING THE BIBLE

How important is the Bible? It’s so vital that people in many countries risk their lives to translate it into their native languages. Often, these are ordinary believers in Jesus who face arrest for translating the words of Scripture into a heart language others can understand.

One female translator from a country hostile to believers in Jesus said, “I must complete this work. I want to see my beloved ones experience salvation in Christ.” And a man who organizes regular citizens to clandestinely translate Scripture explains that the Bible is essential to growing mature believers in local churches: “You can start a church, but . . . [without] the Bible in its heart language, it will typically only last one generation.”

Why are they doing this? Because there’s no other book like the Bible. Its preservation through the centuries is unique. Its authenticity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human heart is accurate. It’s “alive and active . . . [and] judges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heart” (HEBREWS 4:12). And “all Scripture is Godbreathed” (2 TIMOTHY 3:16), inspired by Him. And most important, it reveals the source and reality of “salvation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V. 15).

Let’s read, cherish, and live by the Scriptures. And as God provides, let’s help those around the world receive it and understand it.
-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TIMOTHY 3:14-16
The word of God is alive and active. . . . [It] judges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heart.
[ HEBREWS 4:12 ]

What’s your favorite aspect of the Bible?
How can you help others understand it better?

Dear God, thank You for the Scriptures and for the privilege of sharing them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2/28/2025     금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0-22; 마가복음 7:1-13
찬송가: 412(통469)

그리스도의 평강

논쟁으로 이길 수 있을까요? 절대로 아닙니다. 아디론댁 파크 지역에서 환경운동가들과 소상공인들 사이에 심한 “아디론댁 전쟁”이 시작되자 작은 마을의 한 지도자가 주민들에게 그렇게 경고했습니다. 이 다툼은 뉴욕 주 북부 지역의 천혜의 자연 지역을 그대로 보존할지 개발할지에 대한 싸움이었습니다.

지역의 한 지도자는 환경운동가에게 “네가 왔던 곳으로 돌아가!”라고 소리쳤습니다. 그러나 곧 “서로 고함지르지 말고 대화해 보자”고 하는 새로운 의견이 대두되었습니다. 그리고 서로 싸우는 진영 사이에 다리를 놓기 위한 ‘공동연합전선’이 형성되었습니다. 시민들의 대화가 진척을 보여 거의 백만 에이커의 야생지가 보존되면서 동시에 아디론댁 지역의 마을들은 지난 20년 보다 더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시작으로 바울은 이보다 더 나은 것을 가르쳤습니다. 그는 골로새의 새로운 신자들에게 “분함과 노여움과 악의와 비방과 너희 입의 부끄러운 말을 제하여 버리라”(골로새서 3:8)고 말했습니다. 바울은 그들에게 옛 방식을 버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성품을 가지라고 하면서,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으라”(12절)고 썼습니다.

오늘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불평을 일삼던 옛 삶 대신에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로운 삶으로 초대받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15절). 그럴 때에 세상은 우리의 평강 속에서 예수님을 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8-17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골로새서 3:15]

당신은 오늘 누구를 용서할 수 있습니까?
그리고 누구와 화해할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예전처럼 분노로 차오를 때 하나님의 새로운 평강으로 덮어주소서.

Daily Article

02/28/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0-22; MARK 7:1-13
Hymn: 412(old 469)

PEACE OF CHRIST

Would they win by arguing? Never, a small-town leader warned residents in Adirondack Park where a pitched battle between environmentalists and small-business owners ignited the “Adirondack Wars.” The name described their fight whether to save the area’s pristine wilderness in Upstate New York or develop it.

“Go back wherever you came from!” a local leader had shouted at an environmentalist. But soon a new message emerged. “Don’t yell at each other. Try to talk to each other.” A Common Ground Alliance was formed to build bridges between warring factions. Civic dialogue led to progress—with nearly a million acres of wild land protected even as Adirondack towns grew more prosperous than they’d been in twenty years.

Peaceful coexistence is a start, but Paul taught something even better. To the new believers in Colossae, he said, “Rid yourselves of . . . anger, rage, malice, slander, and filthy language from your lips” (COLOSSIANS 3:8). Paul urged them to exchange their old ways for a new nature in Christ: “Clothe y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he wrote (V. 12).

The invitation is offered today to all believers: surrender our old cantankerous lives to new life in Christ.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V. 15). Then, in our peace, the world will see Jesus.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COLOSSIANS 3:8-17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 COLOSSIANS 3:15 ]

Whom could you forgive today?
With whom can you make peace?

Dear God, when my old life erupts in anger, please grant me new peace in You.

오늘의 말씀

02/27/2025     목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7-19; 마가복음 6:30-56
찬송가: 516(통265)

앞으로 나아갈 길

‘어떻게 할까?’ 스콧과 브리는 성경과 동떨어진 삶을 살아가는 친구와 가족들과 어떤 사이로 지내야 할지 고민이 깊었습니다. 그러다 성경공부를 하고 기도를 하면서 앞길이 보였습니다. 첫째, 친구와 가족들을 더 사랑했습니다. 둘째, 하나님께서 원래 선하게 지으신 그들의 진실되고 좋은 점들을 말해주었습니다. 그 다음, 성경의 지혜를 가지고 그들과 사랑으로 소통하고 싶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콧과 브리가 예수님 닮은 사랑을 보여주면서 대단한 신뢰의 관계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호세아도 하나님과 남편을 존중하지 않는 삶을 사는 아내와 어떻게 지내야 할지 고민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 선지자에게 “너는 다시 가서 간음한 네 아내를 사랑하라”(호세아 3:1, 현대인의 성경)고 지시하셨습니다. 선지자는 아내를 더욱 분명하게 사랑하면서, 동시에 하나님 앞에서 맺은 그들의 관계에 있어 옳고 진실된 것들을 말했습니다(3절). 그와 아내와의 관계는 거역하는 옛 이스라엘 백성을 다루시는 하나님 자신을 상징하였습니다. 그들은 잘못된 길을 선택했지만 하나님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열어주시고 “그들을 마음껏 사랑할 것”(14:4, 현대인의 성경)이라고 하시면서 하나님의 길은 “정직하니” 그 길을 선택하라고 하셨습니다(9절).

하나님이 주시는 지혜와 분별력을 힘입어 비성경적인 삶의 방식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진리를 계속 전합시다.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길이 우리가 나아갈 길입니다.

오늘의 성구

호세아 3
이스라엘 자손이 다른 신을 섬길지라도 여호와가 그들을 사랑하나니 너는... [네 아내를] 사랑하라
[호세아 3:1]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에게 사랑과 진리를 보여주셨습니까?
비성경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진리를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과 동떨어진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진리와 사랑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7/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7-19; MARK 6:30-56
Hymn: 516(old 265)

A PATH FORWARD

What do we do? Scott and Bree agonized over how to relate to friends and family members who’d chosen unbiblical ways of life. As they studied the Scriptures and prayed, a path forward emerged: First, they reinforced their love for their friends and loved ones; second, they expressed what was true and good about them based on God’s good design; and third, they shared how they would lovingly interact with them based on Scriptural wisdom. In time, greater relational trust was built as Scott and Bree extended Christlike love.

Hosea likely wondered how to relate to his wife—a woman whose chosen way of life didn’t honor God or him. God directed the prophet to “show your love to your wife again, though she is . . . an adulteress” (HOSEA 3:1). The prophet evidently reinforced his love for her while also expressing what was right and true for them and their relationship before God (V. 3). His relationship with her symbolized God’s own challenge with rebellious ancient Israel. Though they’d chosen a wrong course, He provided a path forward, telling them His “love will know no bounds” (14:4 NLT) but to choose His ways for they “are right” (V. 9).

As God provides wisdom and discernment, let’s continue to extend His love and truth to those who’ve chosen unbiblical ways of life. His example provides the path forward.
- TOM FELTEN

Today's Reading

HOSEA 3
Love [your wife] as the Lord loves the Israelites, though they turn to other gods.
[ HOSEA 3:1 ]

How has God shown love and truth to you?
How can you show God’s love and truth to those on unbiblical paths?

Loving God, please help me to reflect Your truth and love to those far from You.

오늘의 말씀

02/26/2025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5-16; 마가 6:1-29
찬송가: 211(통346)

주는 기쁨

다섯 시간의 비행기 여행 중에 한 여성이 열심히 스웨터를 뜨고 있었습니다. 실 사이로 뜨게바늘을 왔다 갔다 하던 그 여성은 다섯 달 된 아기가 넋을 잃고 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자 이 여성에게 좋은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만들고 있던 스웨터는 놔두고 대신에 자기만 바라보는 이 아기에게 모자를 만들어주자는 것입니다. 남아 있는 비행 시간 동안 모자를 만들어야 하는데 단 한 시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 여성이 아기 엄마에게 작은 모자를 선물하자 온 가족이 그것을 받으며 기뻐했고 옆의 승객들도 웃으며 갈채를 보냈습니다.

깜짝 선물은 종종 우리 마음을 기쁘게 해줍니다. 필요했던 것이든 그냥 갖고 싶은 것이든, 선물을 주는 사람은 선물을 통해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사랑도 함께 전해줄 수 있습니다. 초대교회 때 다비다는 옷을 나눠주기도 하며 “착한 일과 구제 사업을 많이 하는”(사도행전 9:36, 새번역) 사람이었습니다. 다비다가 죽자 그의 도움을 받았던 사람들은 “[다비다가] 그들과 함께 있을 때에 지은 속옷과 겉옷”(39절)을 내보여 주었습니다. 그들은 다비다의 친절과 그들의 삶에 끼친 영향에 대해 증언했습니다.

이야기는 극적으로 반전되어 베드로가 성령의 능력으로 다비다를 다시 살려냈습니다(40절). 그의 이러한 사역으로 다비다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기쁨이 넘쳤고, 다른 많은 사람들도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습니다(42절).

우리의 친절한 행동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기억에 남는 증언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베푸시는 것으로 우리도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깜짝 선물을 베풀어 줍시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9:36-43
다비다라 하는 여제자가 있으니...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더니
[사도행전 9:36]

당신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선물을 줄 수 있습니까?
친절한 선물을 받았을 때 그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가진 재능과 재물을 나누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을 베풀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26/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5-16; MARK 6:1-29
Hymn: 211(old 346)

THE JOY OF GIVING

On a five-hour flight, a woman vigorously crocheted a sweater. As she moved her hook in and out of her yarn, she noticed a five-month-old baby who was mesmerized by her motions. Then the woman got an idea: instead of finishing the sweater she was working on; she would make a hat for her little admirer. She had to finish the hat in the remaining time of the flight, however—just one hour! When the woman presented the child’s mom with the little hat, the whole family accepted it with joy while the other passengers smiled and applauded.

Surprise gifts are often received with joy. Whether they’re gifts we need or simply want, through them the giver may also show us the kindness of Christ. In the early church, Tabitha was known for sharing clothes and “always doing good and helping the poor” (ACTS 9:36). When she died, her beneficiaries displayed “the robes and other clothing that [she] had made . . . them” (V. 39). They testified about her kindness and how she’d touched their lives.

In a dramatic turn of events, Peter, through the Holy Spirit’s power, brought Tabitha back to life (V. 40). His actions filled those who loved her with joy—and led many others to believe in Christ (V. 42).

Our actions of kindness can be some of the most memorable testifying we do. As God provides, let’s share some surprise gifts with others today.
-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AC TS 9:36-43
Tabitha . . . was always doing good and helping the poor.
[ ACTS 9:36 ]

What gifts can you share with others?
What has it meant for you to receive gifts of kindness?

Heavenly Father, please remind me to be kind to others— sharing my gifts and treasures.

오늘의 말씀

02/25/2025     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12-14; 마가복음 5:21-43
찬송가: 218(통369)

후한 선물을 받았을 때

익명의 기부처에서 1만 달러를 받은 리디아는 그 돈을 자신에게는 거의 쓰지 않고 동료와 가족과 홍수 피해자, 자선 단체에 아끼지 않고 기부했습니다. 리디아는 2백 명을 대상으로 아무 조건 없이 은행 송금으로 1만 달러를 기부했을 때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는 한 연구 프로그램에 자신도 모르게 들어가 있었습니다. 그 연구에 따르면 선물로 받은 돈의 ‘2/3 이상’이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영리 미디어 기관 TED의 책임자 크리스 앤더슨은 이 이야기를 전하면서 “이 결과에 의하면... 우리 인간은 후한 대접을 받으면 자신도 그렇게 한다” 고 설명했습니다.

아끼지 않고 나누며 사는 사람들은 자신을 만드신 하나님의 마음을 삶으로 보여준다는 것을 우리는 성경을 통해 배웁니다. 하나님은 어떤 사람들에게만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심지어 “은혜를 모르는 자와 악한 자” (누가복음 6:35)에게도 후히 주시고 자비롭고 친절하십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하나님의 성품을 보여주려는 사람은 원수까지도 “사랑하고” “선대하며”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주라”고 가르치셨습니다(32-35절).

우리가 되돌려 받을 기대를 하지 않고 베풀 때, 그것이 우리에게 결코 해가 되지 않는 삶의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예수님도 이 점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너희가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도 헤아림을 도로 받을 것이니라”(38절). 후히 주시는 하나님을 따라 우리도 후히 나눌 때 우리 삶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면에서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31-38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누가복음 6:38]

당신은 주는 기쁨을 어떻게 느껴 보았습니까?
다른 사람들의 베풂으로 당신의 삶이 어떻게 풍족해졌습니까?

은혜의 하나님, 주는 기쁨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5/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2-14; MARK 5:21-43
Hymn: 218(old 369)

RESPONDING TO GENEROSITY

When Lydia was gifted $10,000 by anonymous donors, she spent little of it on herself. Instead, she gave generous gifts to coworkers, family, flood victims, and charities. Lydia, unbeknownst to her, was part of a study following how two hundred people responded to a no-strings-attached gift of $10,000 through a bank transfer. That study found that more than twothirds of that gifted money was given away. Sharing this story, Chris Anderson, head of the TED non-profit media organization, reflected, “It turns out that . . . we human beings are wired to respond to generosity with generosity.”

In Scripture, we find that when people live generously, they reflect the heart of the God who made them. God is generous, merciful, and kind, not just to some but to all—even “to the ungrateful and wicked” (LUKE 6:35). So Jesus instructed those who desire to reflect God’s character to “love,” “do good to,” and “lend to” even enemies “without expecting to get anything back” (VV. 32-35).

When we give without expecting anything back, we’ll find that it’s never a way of life that harms us. Jesus pointed this out too, saying, “Give, and it will be given to you. . . . With the measure you use, it will be measured to you” (V. 38). When we respond to God’s generosity by living generously, we find we’re enriched in countless ways.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LUKE 6:31-38
Give, and it will be given to you.
[ LUKE 6:38 ]

How have you found joy through giving?
How has others’ giving enriched your life?

Gracious God, thank You for the joy of giving.

오늘의 말씀

02/24/2025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9-11; 마가복음 5:1-20
찬송가: 484(통533)

무지개와 하나님의 약속

나이아가라 폭포의 놀라운 광경을 서서 바라보고 있는데 다른 관광객들이 갑자기 사진을 찍기 시작하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이 보는 방향을 바라보니 강을 가로질러 아치형의 무지개가 떠 있었습니다. 무지개는 호스슈 폭포 아래에서 시작해 아메리칸 폭포 밑에서 끝나는 것 같았습니다.

원래 무지개는 끝나는 지점이 없습니다. 무지개는 완전한 원형인데 나는 그 모양을 딱 한 번 본 적이 있습니다. 그 때 비행기 창밖을 내다보고 있었는데 마침 해가 꼭 맞는 방향에 위치하면서 구름 위 멀리에 완전 원형을 갖춘 무지개가 나타났습니다. 비행기가 방향을 틀면서 그 원이 사라질 때까지 나는 황홀하게 앉아서 그 광경을 바라보았습니다.

그 무지개를 보며 여러 가지 생각이 났습니다. 하나님에게는 시작도 끝도 없으시며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그분의 약속을 보여주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무한하고 영원하신 우리 하나님은 다시는 이 땅의 홍수로 “모든 육체를 멸하지” 않겠다는 언약의 증거(15절)로 “[그분의]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셨습니다” (창세기 9:13). 지금도 우리 창조주 하나님은 그분의 피조물인 우리에게 무지개를 통해 그 약속을 잊지 않게 하십니다(13-16절).

이사야 40장 28절은 “영원하신 하나님 여호와, 땅 끝까지 창조하신 이는... 명철이 한이 없으시다”고 말합니다. 생각만해도 놀랍습니다! 우리는 우리와의 약속을 지키시는 하나님에 대해 영원히 배워도 다 배우지 못하며, 그분의 명철하심의 깊이에 결코 이르지 못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9:8-17
내가 내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었나니 이것이 나와 세상 사이의 언약의 증거니라
[창세기 9:13]

무지개를 볼 때 하나님이 어떤 분이라는 생각이 듭니까?
하나님의 약속들을 보며 어떤 격려를 받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무지개를 만드시고 우리에게 약속의 증거로 보여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4/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9-11; MARK 5:1-20
Hymn: 484(old 533)

RAINBOWS AND GOD’S PROMISES

While I stood watching the amazing power of Niagara Falls, I noticed that other tourists suddenly began taking photos. Looking in the same direction, I saw a rainbow had appeared—arching across the river. It seemed to begin at the base of the Horseshoe Falls, ending at the base of the American Falls.

In reality, there’s no end to a rainbow. A rainbow is a full circle, something I’ve seen only once. I was gazing out an airplane window when the sun—shining in just the right direction—revealed a fullcircle rainbow in the distance above the clouds. I sat enthralled with the sight until the plane turned and the circle disappeared.

That rainbow gave me much to consider—how God has no beginning or end, and that He reveals His promises to us no matter where we are. Our never-ending, eternal God “set [His] rainbow in the clouds” (GENESIS 9:13) as a promise to never flood the earth again “to destroy all life” (V. 15). Even today, our Creator shares His reminder of that promise with us, His creation (VV. 13-16).

Isaiah 40:28 says, “The Lord is the everlasting God, the Creator of all the earth. . . . No one can measure the depths of his understanding” (nlt). What an amazing thought! We will have eternity to learn about our promise keeper, and we’ll never reach the ultimate depth of His understanding.
- BRENT HACKETT

Today's Reading

GENE SIS 9:8-17
I have set my rainbow in the clouds, and it will be the sign of the covenant between me and the earth.
[ GENESIS 9:13 ]

What attributes of God do you think about when you see a rainbow?
How do His promises encourage you?

Thank You, Father, for creating rainbows and revealing them to us as confirmation of Your promise to us.

오늘의 말씀

02/23/2025     주일

성경읽기: 민수기 7-8; 마가복음 4:21-41
찬송가: 526(통316)

시냇가에 심기다

빌은 은퇴해 혼자 사는 나이 많은 분인데 얼마전부터는 운전하는 것도 그만두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그에게는 식료품을 사고 처방약을 받고 주일에 교회 갈 때에 도움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그거 알아요?” 빌이 말합니다. “나는 집에서 지내는 것이 참 좋아요. 온종일 인터넷에서 무료 찬양과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성경공부를 즐기고 있어요.” 빌은 성경말씀과 기도와 찬양 속에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습관들이 우리 마음이 심겨지는 곳에 영향을 미칩니다. 시편 1편은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자의 습관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진리를 기뻐하고, 그것을 자주 묵상하며, 그래서 거스르는 세상의 패턴을 따르지 않습니다 (1-2절). 고난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하나님의 법도 위에 세워진 삶은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3절)과 같습니다. 각자 인생에서 처한 시절에 따라 우리는 하루에 몇 시간씩 성경공부를 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분께 나아오는 목마른 자들은 누구나 갈증이 해소되고, 성령님이 그분을 따르는 자들을 강같이 채워 주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요한복음 7:37-39). 우리는 찬양과 말씀으로, 그리고 다른 이들을 돌보는 일을 통해, 또한 일하면서 하나님과 대화하며, 그리고 실수했을 때에 용서를 구하면서 우리 마음을 생명수에 담글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지혜를 따르는 것은 기름진 토양에 우리 마음을 심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 삶은 의롭다고 칭함을 받으며, 하나님께서 그 삶을 지켜주십니다 (시편 1:6).

오늘의 성구

시편 1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 같으니
[시편 1:3]

어떤 습관들을 들이면 예수님의 생명의 물가에 계속 심겨질 수 있을까요?
당신의 현재 인생의 시절에서 그것이 어떻게 바뀌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목말라 갈증을 느낄 때 예수님께 나아가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23/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7-8; MARK 4:21-41
Hymn: 526(old 316)

PLANTED BY THE STREAM

Bill is an older retired gentleman who lives alone and recently had to give up driving. He needs help to pick up groceries, prescriptions, and get to church on Sundays. “But you know what,” says Bill, “I love my days at home. I enjoy free worship music online and Bible teaching on the TV all day long.” Bill spends his days surrounded by Scripture, prayer, and praise.

The habits we keep influence where our hearts are planted. Psalm 1 describes the habits of someone who has found favor in God: they delight in His truth, meditate on it often, and therefore do not follow the rebellious pattern of the world (VV. 1-2). Hardship will come to everyone, but a life established in the ways of God “is like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 . . whose leaf does not wither” (V. 3). Depending on our season of life, we might not be able to spend hours a day in Bible study. However, Jesus said He satisfies anyone who is thirsty that comes to Him, and the Holy Spirit fills His followers like a river (JOHN 7:37-39). We can steep our hearts in living water through praise and Scripture, and also through caring for others, talking to God while we work, and asking for forgiveness when we mess up.

Following the wisdom of God plants our hearts in fertile soil. That life gets called righteous, and God watches over it (PSALM 1:6).
- KAREN PIMPO

Today's Reading

PSALM 1
That person is like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 PSALM 1:3 ]

What habits keep you planted by the life-giving water of Jesus?
How does that change depending on what season of life you’re in?

Dear Jesus, may I come to You when I feel thirsty and dry.

오늘의 말씀

02/22/2025     토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4-6; 마가복음 4:1-20
찬송가: 288(통204)

예수님 사랑의 유산

스웨덴에는 ‘d stadning’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그것은 문자 그대로 “깨끗이 치우고 죽기”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나이가 들면서 “물건들” 은 그만 들여놓고 평생 쌓아온 필요없는 것들을 없애기 시작한다는 개념입니다. “스웨덴식 깨끗이 치우고 죽기”가 사실상 자녀와 친구들에 대한 사랑의 선물인 이유가 그렇게 하면 우리가 남긴 것들을 다시 뒤적거리고 정리해야 하는 일을 안해도 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어느 나이가 되면 우리의 유산, 곧 무엇을 뒤에 남길 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이것은 대개 돈이나 유산, 기부 등의 관점에서 다루어지는데, 그것에 대해서는 여러 많은 의견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마지막 시간을 제자들과 함께 보내신 예수님을 생각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내가 가는 곳에 네가 지금은 따라올 수 없으나 후에는 따라오리라” (요한복음 13:36)고 하신 예수님은 두 구절(34-35절)에서 ‘사랑’이라는 말을 네 번이나 사용하셨습니다. 이렇게 예수님의 유산은 사랑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34절)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도 “스웨덴식 깨끗이 치우고 죽기” 같은 것을 하여 불필요한 것들은 없애고 가장 중요한 것들만 남기면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물건이나 돈이 아닙니다. 우리가 남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유산은 예수님을 향한 우리의 사랑입니다. 자녀와 친구들이 우리를 예수님을 사랑했던 사람으로 기억한다면 그것이 바로 최고의 선물이 될 것입니다. 그것으로 “뒤에 남긴 것” 이라는 말에 새로운 의미가 더해질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31-36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요한복음 13:34]

예수님을 향한 당신의 사랑의 표현을 가족과 친구들이 어떻게 보아 알 수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그 사랑을 더 널리 나눌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사랑하시고 제 삶에 예수님을 선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옆의 사람들에게도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2/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4-6; MARK 4:1-20
Hymn: 288(old 204)

LEGACY OF LOVE IN JESUS

In Sweden, there’s a concept known as döstädning. It literally means “death cleaning.” The idea is that as we grow older, we should stop accumulating “stuff” and begin to cut out the clutter we have amassed throughout our lives. “Swedish death cleaning” is actually a gift of love to children and friends, for it simplifies for them the task of wading through what we leave behind.

As believers in Jesus, at a certain age we think about our legacy— what survives us. This is often framed in terms of money, inheritance, or charitable giving—and there’s much to be said for that. But it might be helpful to look at Jesus in His final hours with His disciples: “Where I am going, you cannot follow now, but you will follow later” (JOHN 13:36). In two verses (VV. 34-35), He uses the word love or loved four times—His legacy was love. He told them: “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 (V. 34).

It may be good to do some “Swedish death cleaning” in our lives, removing clutter to leave behind only the most important things. But it really isn’t about things or money. The most important legacy you can leave behind is your love for Jesus. When children and friends remember you as one who loved Jesus, that’s the best gift of all. It gives new meaning to the phrase “left behind.”
-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JOHN 13:31-36
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
[ JOHN 13:34 ]

How do your family and friends see your love for Jesus demonstrated? How might you share that love more openly?

Dear God, thank You for Your love and for the gift of Jesus in my life. Please help me to show Your love to those around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