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14/2019     화요일

성경읽기: 왕하 19-21; 요 4:1-30
찬송가: 368(통 486)

친절한 비평

풍경화 수업 시간에 아주 노련한 전문 화가인 선생님이 나의 첫 과제물을 평가했습니다. 그는 내 그림 앞에서 한 손으로 턱을 괴고는 아무 말도 없이 서 있었습니다. ‘시작하려나 보다. 형편없다고 말하겠지.’라고 나는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선생님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색채의 배합과 열린 느낌이 좋다고 말하고는, 멀리 있는 나무들은 밝았으면 좋겠고 잡초 부분은 가장자리를 좀 더 부드럽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원근화법과 색채의 원칙에 근거하여 나의 그림을 비평할 권한이 있었지만, 그의 지적은 진실 되고 친절했습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의 죄를 얼마든지 나무라실 수 있으심에도 불구하고, 아주 오래된 우물가에서 만난 사마리아 여인을 십계명을 들어 타박하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단지 몇 마디 말씀으로 그 여인의 삶을 부드럽게 지적하셨고, 그 결과 여인은 자신의 만족 추구가 자신을 죄로 이끌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예수님은 자신이 영원한 만족의 유일한 근원임을 드러내셨습니다 (요한복음 4:10-13).

이 상황에서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은혜와 진리의 조합은 우리가 주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1:17). 주님의 은혜로 우리는 죄의 지배를 받지 않게 되고, 주님의 진리로 인해 죄가 중대한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가 더욱 예수님을 닮아갈 수 있도록 우리가 성장시켜야 할 삶의 분야가 무엇인지 주님께 제시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으시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4:7-15,28-29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 아 주어진 것이요 은혜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
요한복음 1:17

예수님은 어떻게 은혜와 진리로 당신 삶의 문제들을 지적하십니까?
주님은 당신이 주님을 더욱 온전히 영화롭게 하기 위해
어느 부분이 바뀌기를 원하십니까?

예수님, 죄의 결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의 고쳐주심과 격려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4/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9–21 and JOHN 4:1–30
Hymn: 368(old 486)

A Kind Critique

During a landscape painting class, the teacher, a highly experienced professional artist, assessed my first assignment. He stood silently in front of my painting, one hand cupping his chin. Here we go, I thought. He’s going to say it’s terrible.

But he didn’t.

He said he liked the color scheme and the feeling of openness. Then he mentioned that the trees in the distance could be lightened. A cluster of weeds needed softer edges. He had the authority to criticize my work based on the rules of perspective and color, yet his critique was truthful and kind.

Jesus, who was perfectly qualified to condemn people for their sin, didn’t use the Ten Commandments to crush a Samaritan woman He met at an ancient watering hole. He gently critiqued her life with just a handful of statements. The result was that she saw how her search for satisfaction had led her into sin. Building on this awareness, Jesus revealed Himself as the only source of eternal satisfaction (JOHN 4:10–13).

The combination of grace and truth that Jesus used in this situation is what we experience in our relationship with Him (1:17). His grace prevents us from being overwhelmed by our sin, and His truth prevents us from thinking it isn’t a serious matter.

Will we invite Jesus to show us areas of our lives where we need to grow so we can become more like Him?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John 4:7–15, 28–29
The law was given through Moses; grace and truth came through Jesus Christ.
John 1:17

How is Jesus using grace and truth to point out issues in your life? Where might He want you to make changes to honor Him more fully?

Jesus, thank You for freeing me from the consequences of sin. Help me to embrace Your correction and Your encouragement.

오늘의 말씀

05/13/2019     월요일

성경읽기: 왕하 17-18; 요 3:19-36
찬송가: 249(통 249)

돌에 담긴 갈망

“아, 모든 부두는 돌에 담긴 갈망!” 포르투갈 시인 페르난두 페소아의 “바다의 시가”의 한 구절입니다. 페소아의 부두는 배가 서서히 우리로부터 멀어져 갈 때 느끼는 감정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배는 떠나지만 부두는 그대로 남아 있어, 희망과 꿈, 이별과 갈망을 담은 기념비로 오래도록 남아 있습니다. 우리는 잃어버린 것 때문에, 그리고 우리가 전혀 도달하지 못하는 것 때문에 마음 아파합니다.

“갈망”으로 번역되는 포르투갈 단어 saudade는 우리가 느끼는 감정으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그리움을 일컫습니다. 다시 말해 정의하기가 불가능한 내면 깊은 곳의 아픔입니다. 이 시인은 지금 형언할 수 없는 것을 묘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모세에게는 느보 산이 그의 “돌에 담긴 갈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산 위에서 모세는 그가 결코 도달할 수 없을 땅인 약속의 땅을 응시했습니다. 그러나 “내가 네 눈으로 보게 하였거니와 너는 그리로 건너가지 못하리라” (신명기 34:4)고 하신 하나님의 말씀이 모세에게는 가혹하게 여겨졌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단지 그렇게만 이해한다면 우리는 일어나고 있는 일의 핵심을 놓치게 됩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다음과 같은 엄청난 위로의 말씀을 하시고 있습니다. “이는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여 그의 후손에게 주리라 한 땅이라”(4절). 모세는 곧바로 느보 산을 떠나 가나안보다 훨씬 더 좋은 땅을 향해 떠나게 될 것이었습니다 (5절).

인생이란 때로는 부두에 서 있는 것과 같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떠나가고, 희망은 희미해져가고, 꿈은 사라져갑니다. 그런 모든 일들 가운데서 우리는 에덴동산과 천국에 대해 어렴풋이 느끼게 됩니다. 우리의 갈망은 우리를 하나님께로 향하게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염원하는 것을 이루어주는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4:1-5
내가 네 눈으로 보게 하였거니와 너는 그리 로 건너가지 못하리라
신명기 34:4

갈망하지만 이루지 못한 것이 무엇입니까? 삶의 어떤 부분을 잘못된
것들로 채우려 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나님 안에서만 진정한 성취를
이룰 수 있을까요?

내 인생에서 가장 즐거웠던 일은 그 산에 가서 모든 아름다운 것들이
있는 장소를 찾을 수 있기를 계속 갈망하는 것이었다. C. S. 루이스

Daily Article

05/13/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7–18 and JOHN 3:19–36
Hymn: 249(old 249)

A Longing in Stone

“Ah, every pier is a longing in stone!” says a line in Fernando Pessoa’s Portuguese poem “Ode Marítima.” Pessoa’s pier represents the emotions we feel as a ship moves slowly away from us. The vessel departs but the pier remains, an enduring monument to hopes and dreams, partings and yearnings. We ache for what’s lost, and for what we can’t quite reach.

The Portuguese word translated “longing” ( saudade ) refers to a nostalgic yearning we feel—a deep ache that defies definition. The poet is describing the indescribable.

We might say that Mount Nebo was Moses’s “longing in stone.” From Nebo he gazed into the promised land—a land he would never reach. God’s words to Moses—“I have let you see it with your eyes, but you will not cross over into it” (DEUTERONOMY 34:4)—might seem harsh. But if that’s all we see, we miss the heart of what’s happening. God is speaking immense comfort to Moses: “This is the land I promised on oath to Abraham, Isaac and Jacob when I said, ‘I will give it to your descendants’” (V 4). Very soon, Moses would leave Nebo for a land far better than Canaan (V 5).

Life often finds us standing on the pier. Loved ones depart; hopes fade; dreams die. Amid it all we sense echoes of Eden and hints of heaven. Our longings point us to God. He is the fulfillment we yearn for.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Deuteronomy 34:1–5
I have let you see it with your eyes, but you will not cross over into it.
Deuteronomy 34:4

What are your unfulfilled longings? What places in life are you trying to satisfy with wrong things? How can you find true fulfillment in God alone?

The sweetest thing in all my life has been the longing—to reach the Mountain, to find the place where all beauty came from. C. S. LEWIS

오늘의 말씀

05/12/2019     주일

성경읽기: 왕하 15-16; 요 3:1-18
찬송가: 531(통 321)

사랑은 멈추지 않는다

아직 무선호출기나 핸드폰을 지니기 몇 년 전인 열아홉 살 때 나는 엄마로부터 7백마일(약 1,120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으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아침 볼 일이 있어 일찍 출발하면서 엄마한테 하기로 되어 있던 전화 통화를 잊어버렸습니다. 그날 밤 경찰 두 명이 내 집에 왔습니다. 나는 엄마와 늘 하는 대화를 한 번도 빼먹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엄마가 내내 걱정을 하신 것입니다. 엄마는 여러 차례 전화를 했지만 그때마다 계속 통화중이라 경찰서에 연락해서 나에게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경찰관 한 명이 나를 보고 말했습니다. “사랑하는 마음은 당신을 찾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는 것, 그것을 아는 게 축복입니다.”

나는 엄마한테 전화하려고 전화기를 들었다가, 실수로 전화기를 제자리에 놓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엄마에게 잘못했다고 하자, 엄마는 내가 ‘실종되었다’고 얘기했던 가족과 친구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주어야겠다고 하셨습니다. 나는 엄마가 좀 과잉반응을 하신 게 아닌가 생각하며 전화를 끊었지만, 내가 그렇게까지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에 기분이 좋았습니다.

성경에는 방황하고 있는 자신의 자녀들에게 끈질기게 손짓하며 부르시는, ‘진정’ 사랑이신 하나님의 모습이 아름답게 그려져 있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모든 사랑하는 자녀가 이루 말할 수 없이 소중하다고 분명히 말씀하시면서, 선한 목자처럼 잃어버린 모든 양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찾고 계십니다(누가복음 15:1-7).

‘사랑’은 우리를 찾는 일을 결코 멈추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께로 돌아갈 때까지 계속해서 우리를 찾으실 것입니다. 우리는 ‘사랑’이신 하나님께서 결코 멈추지 않고 다른 사람들도 찾고 계시다는 것을 그들이 알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5:1-7
나와 함께 즐기자 나의 잃은 양을 찾아내었노라
누가복음 15:6

하나님께서 계속해서 당신을 사랑으로 찾고 계시다는 것을 알 때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하나님께서 자신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타내기 위해 당신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십니까?

주님, 지속적으로 우리를 찾으시면서 우리가 주님의 사랑의 품으로
돌아올 때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2/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5–16 and JOHN 3:1–18
Hymn: 531(old 321)

Love Won’t Stop

After I turned nineteen, and years before I owned a pager or a cell phone, I moved more than seven hundred miles away from my mom. One morning, I left early to run errands, forgetting our scheduled call. Later that night, two policemen came to my door. Mom had been worried because I’d never missed one of our chats. After calling repeatedly and getting a busy signal, she reached out to the authorities and insisted they check on me. One of the police officers turned to me and said, “It’s a blessing to know love won’t stop looking for you.”

When I picked up the phone to call my mom, I realized I had accidentally left the receiver off its base. After I apologized, she said she needed to spread the good news to the family and friends she had informed that I’d been missing . I hung up thinking she’d overreacted a bit, though it felt good to be loved that much.

Scripture paints a beautiful picture of God, who is Love, relentlessly beckoning His wandering children. Like a good shepherd, He cares about and seeks out every lost sheep, affirming the priceless value of every beloved child of God (LUKE 15:1–7).

Love never stops looking for us. He will pursue us until we’ve returned to Him. We can pray for others who need to know that Love —God—never stops looking for them eith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Luke 15:1–7
Rejoice with me; I have found my lost sheep.
Luke 15:6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that God continually pursues you in love? How is He using you to reveal His love to others?

Lord, thanks for pursuing us with persistence and providing a safe place when we return to Your loving arms.

오늘의 말씀

05/11/2019     토요일

성경읽기: 왕하 13-14; 요 2
찬송가: 382(통 432)

공급해주시는 주님

학부과정이 끝나고 대학원에 들어갈 때까지 여름 내내 걱정이 점점 커져갔습니다. 나는 모든 일의 계획을 정말 빈틈없이 세우는 편이라 타주에 가서 직장도 없이 대학원에 들어간다는 것에 마음이 편치 않았습니다. 그런데 여름 동안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기 며칠 전에 멀리서 원격으로 회사 일을 계속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나는 그 제의를 받아들였고, 하나님께서 나를 돌보고 계신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안해졌습니다.

하나님께서 공급해주셨습니다. 그러나 나의 때가 아닌 하나님의 때에 그렇게 하셨습니다. 아브라함은 아들 이삭의 일로 훨씬 더 어려운 상황을 겪었습니다. 그는 아들을 산에 데리고 가서 희생 제물로 바 치 라 는 요 구 를 받았습니다( 창 세 기 22:1-2). 아브라함은 주저 없이 순종하여 이삭을 그곳에 데려갔습니다. 삼일 동안 가는 길에 아브라함은 마음을 바꿀 충분한 시간이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3-4절).

이삭이 아버지에게 질문을 하자 아브라함이 대답했습니다. “번제할 어린 양은 하나님이 자기를 위하여 친히 준비하시리라”(8절). 아브라함이 이삭을 제단에 묶으려고 매듭 하나하나를 동여매고 칼을 조금씩 들어 올리는 매 순간마다 아브라함의 불안은 점점 커져갔을 것입니다 (9-10절). 그래서 천사가 그를 중지시켰을 때 그는 틀림없이 커다란 안도감을 느꼈을 것입니다!(11-12절). 사실 하나님은 제물로 잡목 숲에 걸려 있는 숫양을 준비해두셨습니다(13절). 하나님이 아브라함의 믿음을 시험한 것이었는데, 충실한 믿음을 가진 것으로 입증된 것입니다. 제 사간에, 바로 그 순간에 하나님이 공급해주셨습니다(14절).

오늘의 성구

창세기 22:2-14
아브라함이 그 땅 이름을 여호와 이레 (주님께서 준비하신 다)라 하였으므로
창세기 22:14

어떤 기도 응답을 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까? 하나님께서 바로
그 순간에 정확히 응답해주시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공급해주시는 주님, 감사합니다. 너무 오래 기다리고 있는 것 같이 여겨질
때라도, 주님께서 공급해주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1/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3–14 and JOHN 2
Hymn: 382(old 432)

The Lord Will Provide

My anxiety increased throughout the summer between my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I love to have everything planned out, and the idea of going out of state and entering graduate school without a job made me uncomfortable. However, a few days before I left my summer job, I was asked to continue working for the company remotely. I accepted and had peace that God was taking care of me.

God provided, but it was in His timing, not mine. Abraham went through a far more difficult situation with his son Isaac. He was asked to take his son and sacrifice him on a mountain (GENESIS 22:1–2). Without hesitation, Abraham obeyed and took Isaac there. This three-day journey gave Abraham plenty of time to change his mind, but he didn’t (VV 3–4).

When Isaac questioned his father, Abraham replied, “God himself will provide the lamb for the burnt offering” (V 8). I wonder if Abraham’s anxiety grew with each knot he tied as he bound Isaac to the altar and with every inch he raised his knife (VV 9–10). What a relief it must have been when the angel stopped him! (VV 11–12). God did indeed provide a sacrifice, a ram, caught in the thicket (V 13). God tested Abraham’s faith, and he proved to be faithful. And at the right time, to the very second, God provided (V 14).
- JULIE SCHWAB

Today's Reading

Genesis 22:2–14
So Abraham called that place The Lord Will Provide.
Genesis 22:14

What answer to prayer has been long in coming? When have you seen God provide at just the right moment?

Thank You, Lord, for Your provision. Help me to trust that You will provide, even when it seems I’ve been waiting for so long.

오늘의 말씀

05/10/2019     금요일

성경읽기: 왕하 10-12; 요 1:29-51
찬송가: 497(통 274)

고독부 장관

벳시는 남편이 죽은 뒤로 아파트에서 텔레비전을 보거나 혼자 마실 차를 끓이면서 대부분의 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여인 혼자만 외로운 것이 아닙니다. 9백만 명 이상의 영국 사람들이 (전체 인구의 15퍼센트) 자주 혹은 늘 외롭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영국은 그 원인과 도울 방법을 찾기 위해 고독부 장관을 임명했습니다.

외로움의 몇 가지 원인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너무 자주 이사해서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기도 하고, 스스로 잘 관리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여 다른 사람에게 다가갈 이유를 찾지 못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각기 자기 컴퓨터 화면에만 몰입되듯이 과학기술 때문에도 사람들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나도 외로움이 어둡게 나를 감싸고 있는 것을 느낍니다. 아마 다른 사람들 역시 그럴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믿음의 동료들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히브리서는 예수님의 희생에 관한 깊은 이야기를, 우리에게 모이기를 계속 힘쓰라고 권하는 것으로 끝을 맺습니다(10:25). 우리는 다 하나님의 가족에 속해있기에 “서로 형제자매처럼” 사랑하고 “나그네를 대접해야” 합니다(13:1-2). 우리 각자가 노력한다면 모두가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될 것입니다.

외로운 사람들이 우리의 친절에 보답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것이 포기할 이유는 되지 못합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떠나지도 버리지도 않겠다고 약속하셨기에(13:5) 우리는 그분의 우정을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기폭제로 삼을 수 있습니다. 외로우십니까?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의 가족을 섬길 수 있습니까? 예수님 안에서 사귄 친구는 이생에서 내생까지 영원히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3:1-8
형제 사랑하기를 계속하고
히브리서 13:1

누가 당신의 우정을 필요로 합니까? 이번 주에 교회나 이웃에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외로움에 대한 해결책으로 하나님의 가족이 만들어졌다.

Daily Article

05/10/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0–12 and JOHN 1:29–51
Hymn: 497(old 274)

Minister of Loneliness

Following her husband’s death, Betsy has spent most days in her flat, watching television and boiling tea for one. She’s not alone in her loneliness. More than nine million Brits (15 percent of the population) say they often or always feel lonely, and Great Britain has appointed a minister of loneliness to find out why and how to help.

Some causes of loneliness are well known: We move too often to put down roots. We believe we can take care of ourselves, and we don’t have a reason to reach out. We’re separated by technology—each of us immersed in our own flickering screens.

I feel the dark edge of loneliness, and you may too. This is one reason we need fellow believers. Hebrews concludes its deep discussion of Jesus’s sacrifice by encouraging us to meet together continually (10:25). We belong to the family of God, so we’re to love “one another as brothers and sisters” and “show hospitality to strangers” (13:1–2). If we each made an effort, everyone would feel cared for.

Lonely people may not return our kindness, but this is no reason to give up. Jesus has promised to never leave nor forsake us (13:5), and we can use His friendship to fuel our love for
others. Are you lonely? What ways can you find to serve the family of God? The friends you make in Jesus last forever, through this life and beyond.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Hebrews 13:1–8
Keep on loving one another as brothers and sisters.
Hebrews 13:1

Who needs your friendship? How might you serve someone in your church or neighborhood this week?

The family of God is intended to be the answer to loneliness.

오늘의 말씀

05/09/2019     목요일

성경읽기: 왕하 7-9; 요 1:1-28
찬송가: 397(통 454)

최상의 인생 전략

관중석에서 딸의 농구 경기를 보면서 코치가 코트에 있는 선수들에게 “더블”이라고 외치는 한 마디 소리를 들었습니다. 순간 선수들의 수비 전략이 일대일 방어에서 선수 두 명이 조를 이루어, 볼을 잡고 있는 가장 키가 큰 상대 선수를 막는 방어 체제로 바뀌었습니다. 그들은 상대 선수가 슛을 하여 득점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저지할 수 있었고, 결국 공을 그들이 넣을 농구대 쪽으로 가져갈 수 있었습니다.

전도서의 저자인 솔로몬은 이 세상의 힘들고 좌절케 하는 일들과 씨름하고 있을 때, 같이 수고하는 사람이 있으면 “좋은 상” 을 얻는다는 것을 또한 인정하고 있습니다 (전도서 4:9). 혼자서 싸우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12절)습니다. 우리가 넘어질 때 가까이에 있는 친구가 일어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10절).

솔로몬은 우리가 삶의 시련을 혼자 감당하지 않도록 다른 사람들과 인생 여정을 함께 나누라고 권장합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해서 자신의 약점이 드러나는 것이 익숙하지도 않고 불편하기까지 하겠지만, 그러한 친밀감을 너무나 원해서 함께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을 열심히 찾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이든 우리는 노력하기를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농구장이나 삶의 현장에서 불쑥 크게 나타나는 고난을 감당하기에 가장 좋은 전략은 우리 주위에 동료가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솔로몬과 농구 코치의 생각은 일치하고 있습니다. 주님, 우리 삶 속에 격려해주고 도와주는 사람들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4:1-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 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
전도서 4:12

힘든 시기를 지날 때 누가 도와주었습니까? 누가 당신의 도움과
격려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까? 그들을 어떻게 도우시겠습니까?

하나님은 우리가 삶의 고난을 헤쳐나갈 수 있게 도와줄 친구들을 주신다.

Daily Article

05/09/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7–9 and JOHN 1:1–28
Hymn: 397(old 454)

The Best Strategy for Life

As we watched my daughter’s basketball game from the bleachers, I heard the coach utter a single word to the girls on the court: “Doubles.” Immediately, their defensive strategy shifted from one-on-one to two of their players teaming against their tallest ball-holding opponent. They were successful in thwarting her efforts to shoot and score, eventually taking the ball down the court to their own basket.

When Solomon, the writer of Ecclesiastes, grapples with the toils and frustrations of the world, he too acknowledges that having a companion in our labors yields “a good return” (4:9). While a person battling alone “may be overpowered, two can defend themselves” (V 12). A friend nearby can help us up when we fall down (V 10).

Solomon’s words encourage us to share our journey with others so we don’t face the trials of life alone. For some of us, that requires a level of vulnerability we’re unfamiliar or uncomfortable with. Others of us crave that kind of intimacy and struggle to find friends with whom to share it. Whatever the case, we mustn’t give up in the effort.

Solomon and basketball coaches agree: having teammates around us is the best strategy for facing the struggles that loom large on the court and in life. Lord, thank You for the people You put in our lives to encourage and support u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cclesiastes 4:1–12
Though one may be overpowered, two can defend themselves.
Ecclesiastes 4:12

Who has helped you through a difficult time? Who could use your support and encouragement? How will you help them?

God gives us friends to help face life’s battles.

오늘의 말씀

05/08/2019     수요일

성경읽기: 왕하 4-6; 눅 24:36-53
찬송가: 400(통 463)

눈물의 큰 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는 1840년대 후반 아일랜드의 감자 대기근 재앙이 일어났을 때 죽음을 피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대서양을 건넜던 사람들을 기념하는 “눈물의 큰 잔 건너기”라는 제목의 명판이 있습니다.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그 재난으로 죽었고, 또 다른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집을 버리고 대양을 건넜습니다. 존 보일 오레일리는 그 대양을 시적으로 “눈물의 큰 잔”이라고 불렀습니다. 굶주림과 심적 고통으로 내몰린 그들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일말의 희망을 추구했습니다.

시편 55편에서 다윗은 그가 어떻게 소망을 추구했는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다윗이 구체적으로 어떤 위협에 직면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겪은 일의 무게는 그의 감정을 파괴시킬 정도로 너무나 무거웠습니다(4-5절). 이에 그는 본능적인 반응으로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만일 내게 비둘기같이 날개가 있다면 날아가서 편히 쉬리로다”(6절).

다윗처럼 우리도 고통스런 상황 가운데 있을 때 안전한 장소를 찾아 도망치고 싶어 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다윗은 자신의 역경을 깊이 생각한 후, 마음의 고통으로부터 도망치는 것 대신 하나님께로 달려가기로 마음먹고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나는 하나님께 부르짖으리니 여호와께서 나를 구원하시리로다”(16절).

어려움이 찾아올 때, 모든 위로의 하나님께서 가장 암울한 순간과 가장 깊은 심한 두려움을 통과해 나갈 수 있게 해주신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주님은 언젠가 우리 눈의 모든 눈물을 직접 닦아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요한계시록 21:4). 이 확실한 약속에 힘입어 우리는 이제 눈물을 흘리면서도 확신을 가지고 주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5:4-19
나는 하나님께 부르짖 으리니 여호와께서 나를 구원하시리로다
시편 55:16

도망가고 싶게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어려움이 찾아올 때 본능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이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삶이 너무 벅차게 느껴질 때 제게 힘을 주소서.
저와 함께 하시고 위로를 주소서. 주님 없이는 저는 갈 바를 알지 못합니다.

Daily Article

05/08/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4–6 and LUKE 24:36–53
Hymn: 400(old 463)

Bowl of Tears

In Boston, Massachusetts, a plaque titled “Crossing the Bowl of Tears” remembers those who braved the Atlantic to escape death during the catastrophic Irish potato famine of the late 1840s. More than a million people died in that disaster, while another million or more abandoned home to cross the ocean, which John Boyle O’Reilly poetically called “a bowl of tears.” Driven by hunger and heartache, these travelers sought some measure of hope during desperate times.

In Psalm 55, David shares how he pursued hope. While we’re uncertain about the specifics of the threat he faced, the weight of his experience was enough to break him emotionally (VV 4–5). His instinctive reaction was to pray, “Oh, that I had the wings of a dove! I would fly away and be at rest” (V 6).

Like David, we may want to flee to safety in the midst of painful circumstances. After considering his plight, however, David chose to run to his God instead of running from his heartache, singing, “As for me, I call to God, and the LORD saves me” (V 16).

When trouble comes, remember that the God of all comfort is able to carry you through your darkest moments and deepest fears. He promises that one day He Himself will wipe away every tear from our eyes (REVELATION 21:4). Strengthened by this assurance, we can confidently trust Him with our tears now.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55:4–19
As for me, I call to God, and the LORD saves me.
Psalm 55:16

What causes you to want to run away? What’s your instinctive reaction when trouble comes? Bowl of Tears WEDNESDAY  MAY 8 2 KINGS 4–6 and LUKE 24:36–53
Father,

Father, when life feels overwhelming, give me strength. Give me Your presence and comfort, for without You, I’m lost.

오늘의 말씀

05/07/2019     화요일

성경읽기: 왕하 1-3; 눅 24:1-35
찬송가: 86(통 86)

인도자

‘멘토’라는 말을 들을 때 누가 떠오릅니까? 나는 리치 목사님이 떠오릅니다. 그는 나의 가능성을 보셨으며 내가 나 자신을 믿지 못할 때도 나를 믿어주셨습니다. 그는 겸손과 사랑으로 섬기며 인도하는 법을 본으로 보여주셨습니다. 그 결과 이제 나는 다른 사람들을 지도하면서 하나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엘리야 선지자는 엘리사가 지도자로 성장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엘리야는 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자신을 대신할 선지자가 되게 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밭을 갈고 있는 엘리사를 만나 자신의 제자가 될 것을 권했습니다 (열왕기상 19:16,19). 이 젊은 멘티(역주: 멘토에게서 상담이나 조언을 받는 사람) 는 멘토가 믿기지 않는 기적들을 행하는 것과 무슨 일이 있어도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하나님은 엘리야를 사용하여 엘리사가 평생 사역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셨습니다. 엘리야의 삶이 끝날 무렵 엘리사에게 떠날 기회가 있었지만, 오히려 그는 자기 멘토에게 다시 헌신하기로 작정했습니다. 엘리야가 세 번에 걸쳐 엘리사를 자신의 사역에서 놓아주려 했지만, 그때마다 엘리사는 이렇게 말하며 거절했습니다.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과 당신의 영혼이 살아 있음을 두고 맹세하노니 내가 당신을 떠나지 아니하겠나이다”(열왕기하 2:2,4,6). 결과적으로 신실함으로 인해 엘리사 역시 하나님께 특별히 쓰임을 받았습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본을 보여줄 누군가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영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돕는 경건한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보내주시기를 간구합니다. 그리고 우리 또한 성령의 능력으로 다른 이들에게 우리의 삶을 투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1-6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 과 당신의 영혼이 살아 있음을 두고 맹세하노 니 내가 당신을 떠나지 아니하겠나이다
열왕기하 2:6

현재 당신을 양육하고 있거나 당신을 양육했던 멘토들은 누구입니까?
예수님 안에서 다른 이들을 지도하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아버지 하나님, 우리 삶 속에 도전과 용기를 주는 사람들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도 다른 사람들에게 똑같이 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07/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3 and LUKE 24:1–35
Hymn: 86(old 86)

Someone Who Leads

Who do you think of when you hear the word mentor? For me, it’s Pastor Rich. He saw my potential and believed in me when I didn’t believe in myself. He modeled how to lead by serving in humility and love. As a result, I am now serving God by mentoring others.

The prophet Elijah played a critical role in Elisha’s growth as a leader. Elijah found him plowing a field and invited him to be his protégé after God told him to anoint Elisha as his successor (1 KINGS 19:16, 19). The young mentee watched his mentor perform incredible miracles and obey God no matter what. God used Elijah to prepare Elisha for a lifetime of ministry. Toward the end of Elijah’s life, Elisha had the opportunity to leave. Instead, he chose to renew his commitment to his mentor. Three times Elijah offered to release Elisha from his duties, yet each time he refused, saying, “As surely as the LORD lives and as you live, I will not leave you” (2 KINGS 2:2, 4, 6). As a result of Elisha’s faithfulness, he too was used by God in extraordinary ways.

We all need someone who models what it means to follow Jesus. May God give us godly men and women who help us grow spiritually. And may we too, by the power of His Spirit, invest our lives in others.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2 Kings 2:1–6
As surely as the LORD lives and as you live, I will not leave you.
2 Kings 2:6

Who are mentors that are currently building into you or who have built into your life? Why is it vital for us to mentor others in Jesus?

Father God, thank You for placing people in our lives to challenge and encourage us. Help us to do the same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5/06/2019     월요일

성경읽기: 왕상 21-22; 눅 23:26-56
찬송가: 526(통 316)

와서 가져라!

나는 우리 집 뒷마당을 에워싸고 있는 포도나무 울타리 너머를 힐끗 보았습니다. 우리 집 뒤의 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길 주위로 사람들이 달리고, 조깅하고, 산책하며, 또 느릿느릿 걷는 모습들이 보였습니다. ‘힘이 있었을 때는 나도 그랬었지.’ 라고 생각하는데 갑자기 불만의 물결이 엄습해왔습니다.

나중에 성경을 읽다가 우연히 이사야서 55장 1절을 보게 되었습니다. “너희 목마른 자들아 다 물로 나아오라.” 이 말씀을 보고 나는 이 세상 삶에서는 불만이라는 것 (목마름)이 예외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현상임을 다시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 무엇도, 심지어 인생의 좋은 것조차도 우리를 완전히 만족시켜줄 수 없습니다. 내가 세르파 (등반 안내자)처럼 강한 다리를 가지고 있다
해도, 아마 내 삶에는 여전히 불만족스러운 다른 무엇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문화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하고, 무엇을 사고, 무엇을 몸에 걸치고, 뿌리고, 손질하며, 무엇을 타고 다니고 하는 그런 것들이 우리에게 한없는 만족을 줄 것이라는 이런저런 이야기를 늘 듣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거짓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하든,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 그 어떤 것으로도 완전한 만족을 얻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이사야는 우리에게 하나님이 하시는 말씀이 무엇인지 듣기 위해 하나님과 성경말씀으로 몇 번이고 계속 나아오라고 권유합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옛적 다윗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은 “영원”하고 “확실한” 것이었습니다(3절). 그 사랑은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해당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5:1-6
너희는 귀를 기울이고 내게로 나아와 들으라 그리하면 너희의 영혼이 살리라
이사야 55:3

어떤 면에서 갈증을 느끼십니까?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아는 것이 오늘 어떤 도움을 줍니까?

우리 영혼의 갈증을 풀어줄 이, 주님 말고 누가 있으리요?
마르지 않는 샘! 거저 주시는 물! 다른 물줄기는 다 말라 버리리니.
- 메리 보울리

Daily Article

05/06/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21–22 and LUKE 23:26–56
Hymn: 526(old 316)

Come and Get It!

I peeked over the grape-stake fence that encloses our backyard. There I saw folks running, jogging, walking, and shuffling around the track that surrounds the park behind our home. I used to do that when I was stronger, I thought. And a wave of dissatisfaction washed over me.

Later, while reading the Scriptures, I came across Isaiah 55:1, “Come, all you who are thirsty,” and I realized again that dissatisfaction (thirst) is the rule, not the exception in this life. Nothing, not even the good things of life, can fully satisfy. If I had strong legs like a Sherpa (mountain-climbing guide), there would still be something else in my life that I’d be unhappy about.

Our culture is always telling us in one way or another that something we do, buy, wear, spray on, roll on, or ride in will give us endless pleasure. But that’s a lie. We can’t get complete satisfaction from anything in the here and now, no matter what we do.

Rather, Isaiah invites us to come again and again to God and the Scriptures to hear what He has to say. And what does He say? His love for David of old is “everlasting” and “faithful” (V 3).
And that goes for you and me as well! We can “come” to Him.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Isaiah 55:1–6
Give ear and come to me; listen, that you may live.
Isaiah 55:3

In what ways are you thirsty? How can knowing God is faithful help you today?

Whom have we, Lord, but Thee, soul thirst to satisfy? Exhaustless spring! The waters free! All other streams are dry.
- MARY BOWLEY

오늘의 말씀

05/05/2019     주일

성경읽기: 왕상 19-20; 눅 23:1-25
찬송가: 336(통 383)

작지만 중요한

그 날은 평소와 같이 시작됐지만 악몽으로 끝이 났습니다. 어떤 무장 종교단체가 기숙학교에서 에스더(가명)와 다른 수백 명의 여학생들을 납치한 것입니다. 학생들은 한 달 후에 모두 풀려났는데, 에스더만은 그리스도를 부인하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제외되었습니다. 친구와 나는 신앙 때문에 박해 받고 있는 에스더와 다른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읽고는 마음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뭔가 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런데 ‘무엇을’ 해야 하나요?

바울 사도는 고린도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아시아 지역에서 자신이 겪은 환난에 대해 얘기했습니다. 그 박해가 너무나 가혹해서 그와 동역자들은 “살 소망까지 끊어지고”(고린도후서 1:8) 말았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성도들의 기도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11절). 고린도 교회가 비록 바울과는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그들의 기도가 중요했기에 하나님이 그것을 들으셨습니다. 여기에 놀라운 비밀이 있습니다. 주권자이신 바로 그 한 분께서 우리의 기도를 사용하여 그분의 목적을 이루시기로 작정하셨다는 것입니다. 이 얼마나 놀라운 특권인지요!

오늘날 우리는 신앙 때문에 고난당하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형제자매들을 계속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이유로 무시당하고 억압받으며, 매 맞고 고문당하며, 때로는 죽임까지 당하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는 기도해야 합니다. 그들이 하나님의 위로와 격려를 경험하고, 또 예수님과 함께 굳건히 서서 소망 가운데 강건해질 수 있도록 우리 함께 그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8-11
앞으로도 건져주실 것 이며 또 건져주시리라 믿습니다. 여러분도 기도로 우리를 도와주십시오.
고린도후서 1:10-11
(현대인의 성경)

이번 주에 누구의 이름을 놓고 기도하시겠습니까? 박해 받고 있을 때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경험해보신 적이 있었습니까?

기도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능력의 발 앞에 우리 자신을 온전히 맡긴다.

Daily Article

05/05/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KINGS 19–20 and LUKE 23:1–25
Hymn: 336(old 383)

Small but Significant

The day started out like any other, but it ended as a nightmare. Esther (not her real name) and several hundred women were kidnapped from their boarding school by a religious militant group. A month later all were released—except for Esther who refused to deny Christ. As my friend and I read about her and others who are being persecuted for their faith, our hearts were moved. We wanted to do something. But what?

When writing to the Corinthian church, the apostle Paul shared about the trouble he experienced in the province of Asia. The persecution was so severe that he and his companions “despaired of life itself” (2 CORINTHIANS 1:8). However, Paul was helped by the prayers of believers (V 11). Though the Corinthian church was many miles away from the apostle, their prayers mattered and God heard them. Herein lies an amazing mystery: the sovereign One has chosen to use our prayers to accomplish His purpose. What a privilege!

Today we can continue to remember our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who are suffering for their faith. There’s something we can do. We can pray for those who are marginalized, oppressed, beaten, tortured, and sometimes even killed for their belief in Christ. Let’s pray for them to experience God’s comfort and encouragement and to be strengthened with hope as they stand firmly with Jesu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8–11
On him we have set our hope that he will continue to deliver us, as you help us by your prayers.
2 Corinthians 1:10-11

Who can you commit to praying for by name this week?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faithfulness during a time of persecution?

In prayer, we cast ourselves at the feet of divine power.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