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4/2019     금요일

성경읽기: 대상 22-24; 요 8:28-59
찬송가: 250(통 182)

“하나님이 내 생명을 구해주셨다”

아론(가명)은 열다섯 살 때 사탄에게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사탄과 나는 동반자 관계라고 느꼈어요.” 아론은 거짓말을 하고 도둑질하며 가족과 친구들을 조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악몽도 꾸었습니다. “어느 날 아침잠에서 깨어나 보니 침대 발치에 있는 마귀를 보았어요. 마귀는 내가 시험에 합격하고 나서 죽을 거라고 말했어요.” 하지만 시험을 치루고 난 후에도 그는 죽지 않았습니다. 그는 곰곰이 생각해보았습니다. “내가 보기에 마귀가 거짓말쟁이라는 사실이 확실했어요.”

아론은 아가씨들을 만날 마음으로 어느 기독교인들의 축제에 갔었는데, 거기서 어떤 남자가 그를 위해 기도해주겠다고 했습니다. “그 사람이 기도하고 있을 때 내 몸 안으로 평화가 밀려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론은 사탄에게서 느꼈던 것보다 “더 강력하고 더 자유롭게 해주는” 무언가를 느꼈습니다. 기도해준 그 남자는 아론에게 하나님께서 계획을 갖고 계시며 사탄은 거짓말쟁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남자의 말은 예수님이 자신을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응하실 때 사탄에 대해 말씀하신 것을 반복해서 들려주는 듯 했습니다. “그가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요한복음 8:44).

아론은 악마숭배에서 그리스도에게로 돌아왔고, 이제는 “하나님께 속한 자”(47절)가 되었습니다. 아론은 도시 공동체 한 곳을 섬기면서 예수님을 따를 때 달라지는 점을 전파하고 있습 니다. 아론은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을 보여주는 산 증거입니다. “나는 하나님이 내 생명을 구해주셨다는 것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요.”

하나님은 모든 선하고 거룩하고 진실된 것들의 원천이십니다. 우리는 그분께 향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42-47
거짓을 말할 때마다 제 것으로 말하나니 이는 그가 거짓말쟁이 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
요한복음 8:44

하나님이 당신을 악으로부터 구원하신 것을 어떻게 경험하셨습니까?
이번 주에 누구와 당신의 간증을 나누시겠습니까?

하나님은 거짓의 아비보다 훨씬 더 강력하시다.

Daily Article

05/24/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and JOHN 8:28–59
Hymn: 250(old 182)

“God Saved My Life”

When Aaron (not his real name) was 15, he began praying to Satan: “I felt like he and I had a partnership.” Aaron started to lie, steal, and manipulate his family and friends. He also experienced nightmares: “I woke up one morning and saw the devil at the end of the bed. He told me that I was going to pass my exams and then die.” Yet when he finished his exams, he lived. Aaron reflected, “It was clear to me that he was a liar.”

Hoping to meet girls, Aaron went to a Christian festival, where a man offered to pray for him. “While he was praying, I felt a sense of peace flood my body.” He felt something “more powerful, and more liberating,” than what he felt from Satan. The man who prayed told Aaron God had a plan and Satan was a liar. This man echoed what Jesus said of Satan when He responded to some who opposed him: “He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JOHN 8:44).

Aaron turned to Christ from Satanism and now “belongs to God” (V 47). He ministers in an urban community, sharing the difference following Jesus makes. He’s a living testament of God’s saving power: “I can say with confidence that God saved my life.”

God is the source of all that is good, holy, and true. We can turn to Him to find truth.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8:42–47
When he lies, he speaks his native language, for he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John 8:44

How have you experienced God rescuing you from evil? Who can you share your story with this week?

God is more powerful than the father of lies.

오늘의 말씀

05/23/2019     목요일

성경읽기: 대상 19-21; 요 8:1-27
찬송가: 252(통 184)

돌로 침

리사는 자신이 결혼생활에 매우 만족하지 못하고 위험한 유혹에 넘어가지 않기 위해 애쓰는 상황에 빠지기 전까지는 배우자 몰래 바람을 피우는 사람들에게 일말의 동정도 느끼지 않았습니다. 그런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고 나서야 리사는 다른 사람들과 새롭게 공감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고,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요한복음 8:7)는 예수님의 말씀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신 것은 성전 뜰에서 가르치고 계실 때였습니다.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 간음하다 잡힌 여인을 예수님 앞으로 막 끌고 와서는 이렇게 도전했습니다. “모세는 율법에 이러한 여자를 돌로 치라 명하였거니와 선생은 어떻게 말하겠나이까”(5절). 그들이 이 질문을 한 것은 예수님이 자신들의 권위에 위협이 된다고 여겼기 때문에, 그 질문으로 “고발할 조건을 얻고자 예수를 시험”(6절)하여 그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이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있으면......”이라고 대응하시자 그 여인을 고발했던 사람들 중 어느 누구도 돌을 집어들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하나하나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

우리가 자기들의 죄는 가볍게 여기면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비판적으로 판단하기 전에, 우리 모두가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로마서 3:23)는 자들임을 기억합시다. 우리 구주께서는 정죄하는 대신 이 여인에게, 아니 우리 모두에게 은혜와 소망을 보여주셨습니다 (요한복음 3:16; 8:10-11). 우리도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이와 똑같이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1-11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요한복음 8:7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데 어떻게 요한복음 8장의 교훈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비슷한 도전에 직면한 다른 사람들을 돕는데
어떻게 당신 자신의 경험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주님, 우리를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을
긍휼히 여기며, 언제나 친절하게 말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3/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and JOHN 8:1–27
Hymn: 252(old 184)

Throwing Stones

Lisa felt no sympathy for those who cheated on their spouse . . . until she found herself deeply unsatisfied with her marriage and struggling to resist a dangerous attraction. That painful experience helped her gain a new compassion for others and greater understanding of Christ’s words: “Let any one of you who is without sin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JOHN 8:7).

Jesus was teaching in the temple courts when He made that statement. A group of teachers of the law and Pharisees had just dragged a woman caught in adultery before Him and challenged, “In the Law Moses commanded us to stone such women. Now what do you say?” (V 5). Because they considered Jesus a threat to their authority, the question was “a trap, in order to have a basis for accusing him” (V 6)—and getting rid of Him.

Yet when Jesus replied, “Let any one of you who is without sin . . .” not one of the woman’s accusers could bring themselves to pick up a stone. One by one, they walked away.

Before we critically judge another’s behavior while looking lightly at our own sin, let’s remember that all of us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ROMANS 3:23). Instead of condemnation, our Savior showed this woman—and you and me—grace and hope (JOHN 3:16; 8:10–11). How can we not do the same for others?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hn 8:1–11
Let any one of you who is without sin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John 8:7

How can you put the lesson of John 8 into action in how you treat others? How can you use your own experience to help others facing similar challenges?

Dear Lord, thank You for loving us! Help us to look with compassion on others and to be gracious in all we say and do.

오늘의 말씀

05/22/2019     수요일

성경읽기: 대상 16-18; 요 7:28-53
찬송가: 532(통 323)

금식의 진정한 의미

너무나 배가 고파 신경이 물어뜯기는 듯 했습니다. 나의 멘토는 하나님께 집중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식을 권했습니다. 그러나 하루가 지났을 때 나는 궁금했습니다. ‘예수님은 어떻게 사십 일 동안 이렇게 하셨을까?’ 나는 평안과 힘과 인내심을 달라고 성령님께 의지하며 매달렸습니다. 특히 인내심을 달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육체적으로 감당할 수만 있다면, 금식으로 영적 양식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말씀 하셨습니다.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마태복음 4:4). 하지만 내가 직접 터득했던 바, 금식 그 자체만으로는 우리가 반드시 하나님께 더 가까이 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실, 하나님께서 한 번은 스가랴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이 금식하는 것이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는 것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아무 소용이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금식이 나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한 것이냐”(스가랴 7:5) 라고 하나님이 예리하게 물으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러한 질문을 하면서 중요한 문제는 그들 백성들의 배가 아니라 그들의 차가운 마음이라는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들은 자신만을 계속 섬겼기 때문에 하나님의 마음에 더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이렇게 강력히 권고하셨습니다. “너희는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라”(9-10절).

어떠한 영적 훈련이든 우리의 목표는 예수님께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과 닮은 모습으로 자라갈 때, 우리는 주님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하는 마음을 갖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스가랴 7:1-10
금식이 변하여 유다 족 속에게 기쁨과 즐거움 과 희락의 절기들이 되리니 오직 너희는 진리와 화평을 사랑할지니라
스가랴 8:19

하나님은 어떻게 영적 훈련을 사용하여 돌밭 같은 우리 마음을
깨뜨리십니까? 최근 무엇이 예수님께 가까이 다가가는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하나님, 저에게는 자신의 즐거움을 추구하고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얻으려는 경향이 너무 많습니다. 제 삶이 다른 사람들을 섬기면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22/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and JOHN 7:28–53
Hymn: 532(old 323)

The Heart of Fasting

Hunger pangs gnawed at my nerves. My mentor had recommended fasting as a way to focus on God. But as the day wore on, I wondered: How did Jesus do this for forty days? I struggled to rely on the Holy Spirit for peace, strength, and patience. Especially patience.

If we’re physically able, fasting can teach us the importance of our spiritual food. As Jesus said, “Man shall not live on bread alone, but on every word that comes from the mouth of God” (MATTHEW 4:4). Yet, as I learned firsthand, fasting on its own doesn’t necessarily draw us closer to God!

In fact, God once told His people through the prophet Zechariah that their practice of fasting was useless since it wasn’t leading to service for the poor. “Was it really for me that you fasted?” God asked pointedly (ZECHARIAH 7:5).

God’s question revealed that the primary problem wasn’t their stomachs; it was their cold hearts. By continuing to serve themselves, they were failing to draw closer to God’s heart. So He urged them, “Administer true justice; show mercy and compassion to one another. Do not oppress the widow or the fatherless, the foreigner or the poor” (VV 9–10).

Our goal in any spiritual discipline is to draw closer to Jesus. As we grow in likeness to Him, we’ll gain a heart for those He love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Zechariah 7:1–10
The fasts ... will become joyful and glad occasions and happy festivals for Judah. Therefore love truth and peace.
Zechariah 8:19

How can God use spiritual disciplines as tools to break up the rocky soil of our hearts? What’s helped you draw closer to Jesus recently?

God, I am so prone to seek my own pleasure and the approval of others. Help my life please You as I serve others.

오늘의 말씀

05/21/2019     화요일

성경읽기: 대상 13-15; 요 7:1-27
찬송가: 20(통 41)

경이로울 정도로 특별한

적어도 런던 동물원에 따르면 인간은 특별하지 않습니다. 2005 년 이 동물원은 “자연환경 속의 인간들”이라는 제목의 전시를 4일간 진행했습니다. “포획된” 인간들은 온라인 콘테스트를
통해 선정 되었습니다. 그리고 방문객들의 인간 이해를 돕기 위해 동물원 직원들이 인간들의 음식, 거주지, 위험 요소 등을 상세히 기술한 표지판을 만들었습니다. 동물원 대변인에 의하면, 그 전시의 목적은 인간이 별로 특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 이라고 하였습니다. 전시에 참여했던 한 사람은 그것에 동의하듯 이렇게 말했습니다. “관람객들이 인간을 여기 있는 동물들처럼 바라보면서, 그들 마음에 어느 정도는 우리가 그렇게 특별하지 않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것은 성경이 말하는 인간과는 완전히 상반됩니다. 성경에는 하나님이 우리를 “심히 기묘하게”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드셨다고 되어있습니다(시편 139:14; 창세기 1:26-27).

다윗은 시편 139편을 자신에 대해 친밀하게 알고 계시는 하나님 (1-6절)과 모든 것을 아우르며 임재하시는 하나님(7-12절)을 송축하며 시작합니다. 하나님은 전문 직공처럼 다윗의 내적, 외적 모습을 복잡하게 만드셨을 뿐 아니라(13-14절) 그를 살아 있는 영혼으로 만들어 영적인 삶과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주셨습니다. 다윗은 하나님께서 손으로 빚으신 것들을 묵상하면서 경외심과 놀라움, 그리고 찬양으로 응답했습니다(14절).

인간은 특별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놀라우리만큼 특별하고도 경이로운 능력으로 우리를 창조하셔서 그분과 친밀한 관계를 갖게 하셨습니다. 다윗처럼 우리가 그분을 찬양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그분의 사랑의 손길로 만들어진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14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시편 139:14

당신이 심히 기묘하게 만들어졌다는 것을 믿고 아는 것이
어떤 실질적인 의미가 있습니까? 이것을 믿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부정적인 결과는 무엇입니까?

하나님은 인간을 자기 형상대로 만드셨다.

Daily Article

05/21/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and JOHN 7:1–27
Hymn: 20(old 41)

Marvelously Unique

Human beings are not special—at least according to the London Zoo. In 2005, the zoo introduced a four-day exhibit: “Humans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The human “captives” were chosen through an online contest. To help visitors understand the humans, the zoo workers created a sign detailing their diet, habitat, and threats. According to the zoo’s spokesperson, the goal of the exhibit was to downplay the uniqueness of human beings. One participant in the exhibit seemed to agree. “When they see humans as animals, here, it kind of reminds them that we’re not that special.”

What a stark contrast to what the Bible says about human beings: God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us in “his image” (PSALM 139:14; GENESIS 1:26–27).

David began Psalm 139 by celebrating God’s intimate knowledge of him (VV 1–6) and His all-encompassing presence (VV 7–12). Like a master weaver, God not only formed the intricacies of David’s internal and external features (VV 13–14), but He also made him a living soul, giving spiritual life and the ability to intimately relate to God. Meditating on God’s handiwork, David responded in awe, wonder, and praise (V 14).

Human beings are special. God created us with marvelous uniqueness and the awesome ability to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Him. Like David, we can praise Him because we’re the workmanship of His loving hands.
-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39:1–14
I praise you because I am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Psalm 139:14

What ar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f knowing and believing you’re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What are some negative consequences of not believing this?

God created human beings to be like Him.

오늘의 말씀

05/20/2019     월요일

성경읽기: 대상 10-12; 요 6:45-71
찬송가: 268(통 202)

하나님의 탈출구

탐정 에르퀼 푸아로가 등장하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추리소설 ‘시계들’에는 연쇄 살인을 저지르는 범인들이 두드러지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범인들의 원래 계획은 한 사람만 죽이는 것이었지만, 첫 범행을 은폐하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을 죽이기 시작했습니다. 푸아로가 공모자 중의 한 사람을 다그치자 그는 “원래 한 사람만 죽이기로 되어 있었습니다.”라고 자백했습니다.

이 이야기 속의 음모자들처럼 종교 지도자들도 음모를 꾸몄습니다. 예수님이 나사로를 다시 살리신 후(요한복음 11:38-44) 그들은 긴급회동을 갖고 예수님을 죽일 모의를 했습니다(45-53절). 그러나 그들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예수님이 부활하신 후 묘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거짓말을 퍼트렸고(마태복음 28:12-15), 그 다음에는 예수님을 따르는 자들의 입을 막기 위한 활동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도행전 7:57-8:3). 나라의 “보다 큰 유익”을 위해 한 사람을 없애려는 종교적 음모로 시작된 것이 거짓말과 속임수와 많은 희생을 낳는 복잡한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죄로 인하여 우리는 종종 끝이 보이지 않는 길로 빠져들지만, 하나님은 언제나 벗어날 길을 제공해주십니다. 가야바 대제사장이 “한 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어서 온 민족이 망하지 않게 되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한 줄을 생각하지 아니하는도다”(요한복음 11:50)라고 말했을 때, 그는 자신이 한 말의 심오한 진리를 자기 스스로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들 종교지도자들의 공모는 오히려 인류의 구원을 가져오는데 도움이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예수님은 죄의 사악한 지배로부터 우리를 구해주십니다. 우리 모두는 주님께서 주시는 자유를 얻고 있는지요?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1:45-53
이 날부터는 그들이 예수를 죽이려고 모의하니라
요한복음 11:53

당신은 어떤 길을 가며 하나님으로부터 더 멀어지고 있습니까?
하나님은 진정한 자유를 주십니다. 오늘 주님께 무엇을
자백하시렵니까?

죄 지을 여지를 주면 죄가 인생 전체를 취해 버린다.

Daily Article

05/20/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and JOHN 6:45–71
Hymn: 268(old 202)

Divine Escape

Agatha Christie’s Hercule Poirot mystery The Clocks features antagonists who commit a series of murders. Although their initial plot targeted a single victim, they began taking more lives in order to cover up the original crime. When confronted by Poirot, a conspirator confessed, “It was only supposed to be the one murder.”

Like the schemers in the story, the religious authorities formed a conspiracy of their own. After Jesus raised Lazarus from the dead (JOHN 11:38–44), they called an emergency meeting and plotted to kill Him (VV 45–53). But they didn’t stop there. After Jesus rose from the dead, the religious leaders spread lies about what happened at the grave (MATTHEW 28:12–15). Then they began a campaign to silence Jesus’s followers (ACTS 7:57–8:3). What started as a religious plot against one man for the “greater good” of the nation became a web of lies, deceit, and multiple casualties.

Sin plunges us down a road that often has no end in sight, but God always provides a way of escape. When Caiaphas the high priest said, “It is better for you that one man die for the people than that the whole nation perish” (JOHN 11:50), he didn’t understand the profound truth of his words. The conspiracy of the religious leaders would help bring about the redemption of mankind.

Jesus saves us from sin’s vicious grip. Have you received the freedom He offers?
- REMI OYEDELE

Today's Reading

John 11:45–53
So from that day on they plotted to take his life.
John 11:53

What road are you going down that could take you further away from God? He offers real freedom. What do you need to confess to Him today?

Give sin room, and it can take over a life.

오늘의 말씀

05/19/2019     주일

성경읽기: 대상 7-9; 요 6:22-44
찬송가: 585(통 384)

비뚤어진 첨탑

교회의 첨탑이 비뚤어져 있으면 사람들이 불안해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어떤 친구들을 방문했을 때, 그들은 당당하게 서있던 교회 첨탑이 어떻게 격렬한 폭풍으로 비뚤어져서 꽤나 불안해했던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물론 교회는 그 처져있는 첨탑을 빨리 고쳤지만, 그 우스꽝스러웠을 모습은 나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종종 교회는 모든 것이 완벽해 보여야 하는 곳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즉 교회는 우리가 비뚤어지게 보일 수 있는 곳으로 여겨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하지만 타락하고 망가진 세상에서 우리 모두는 타고날 때 지니고 나온 각자 나름의 허물로 ‘비뚤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충동적으로 자신의 약점들을 감추려고 할지 모르지만, 성경은 그와 반대되는 태도를 권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린도후서 12장에서 바울은 우리가 약할 때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능력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바울에게는 그의 약함이 “내 육체의 가시”(7절)라고 부르는 모종의 고통이었습니다. 예수님도 바울에게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9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약한 것들과 능욕과 궁핍과 박해와 곤고를 기뻐하노니 이는 내가 약한 그때에 강함이라”(10절).

우리는 우리 자신들의 결점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그것을 숨기는 것은 우리의 그런 모습 안에서 역사하시는 예수님의 능력을 부정하는 것밖에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비뚤어져 있는 곳으로 예수님께 들어오시도록 청하면, 그분은 우리의 노력으로는 결코 이루어낼 수 없는 방식으로 친절하게 고쳐주시고 회복시켜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2:1-10
내 은혜가 네게 족하 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 짐이라
고린도후서 12:9

당신의 삶 속에 어떤 “비뚤어진” 곳들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의
결점을 통해 어떻게 역사하셨는지 보신 적이 있습니까?

예수님께 청하여 당신의 결점을 고쳐주시도록 하라.

Daily Article

05/19/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and JOHN 6:22–44
Hymn: 585(old 384)

The Crooked Steeple

Turns out that crooked church steeples make people nervous. When we visited some friends, they shared how, after a fierce windstorm, their church’s proud steeple was crooked, causing some alarm.

Of course, the church quickly repaired the flagging spire, but the humorous image got me thinking. Often church is seen as a place where everything is expected to look perfect; it’s not seen as a place where we can show up crooked. Right?

But in a fallen, broken world, all of us are “crooked,” each with our own collection of natural weaknesses. We might be tempted to keep our vulnerabilities under wraps, but Scripture encourages the opposite attitude. In 2 Corinthians 12, for example, Paul suggests that it’s in our weaknesses—for him, an unnamed struggle he calls a “thorn in my flesh” (V 7)—that Christ is most likely to reveal His power. Jesus had told Paul,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V 9). So Paul concluded, “For Christ’s sake, I delight in weaknesses, in insults, in hardships, in persecutions, in difficulties. For when I am weak, then I am strong” (V 10).

We may not like our imperfections, but hiding them only denies Jesus’s power to work within those aspects of ourselves. When we invite Jesus into the crooked places in us, He gently mends and redeems in ways our effort could never accomplish.
- ADAM HOLZ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2:1–10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2 Corinthians 12:9

What are some of the “crooked” places in your life? In what ways have you seen God work through your imperfections?

Invite Jesus into your imperfections for His mending.

오늘의 말씀

05/18/2019     토요일

성경읽기: 대상 4-6; 요 6:1-21
찬송가: 412(통 469)

우리는 서로가 필요하다

우리 아이들과 산행을 하던 중, 길가에 작은 군락을 이루어 자라고 있는 밝고 생기 있는 녹색 식물을 발견했습니다. 표지판에는 이 식물이 보통 사슴이끼라고 불린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전혀 이끼가 아닙니다. 그것은 지의류입니다. 지의류란 곰팡이와 해조류라는 두 유기체가 서로에게 유익을 주는 상호 관계 속에서 함께 자라는 것입니다. 고산 지역에서는 곰팡이나 해조류가 따로 살아남을 수 없지만 둘이 함께 강한 식물을 형성하여 4,500년간이나 살 수 있습니다. 이 식물은 가뭄과 저온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한 겨울에 순록의 유일한 식량 공급원이 되고 있습니다.

곰팡이와 해조류의 관계에서 나는 우리의 인간관계를 떠올려봅니다. 우리는 서로 의존하고 있으며, 성장하고 번영하기 위해 상호 관계 속에 있어야 합니다.

바울은 골로새의 성도들에게 편지하면서 우리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기술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의 옷을 입어야 합니다(골로새서 3:12). 서로를 용서하면서 “한 몸의 지체로” 평화롭게 살아야 합니다(15절).

가족이나 친구들과 평화롭게 사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성령께서 힘주셔서 우리의 관계 속에서 겸손과 용서를 나타내게 하시면, 서로를 향한 우리의 사랑은 그리스도를 드러내고(요한복음 13:35)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7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골로새서 3:15

당신의 인간관계는 어떤 식으로 예수님을 드러내고 있습니까?
당신은 어떻게 화평을 추구할 수 있습니까?

성령님, 서로를 향한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으로
우리를 채워주셔서, 세상으로 하여금 우리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을
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18/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4–6 and JOHN 6:1–21
Hymn: 412(old 469)

We Need Each Other

While on a hike with my kids, we discovered a light, springy green plant growing in small clumps on the trail. According to a signpost, the plant is commonly called deer moss, but it’s not actually a moss at all. It’s a lichen. A lichen is a fungus and an alga growing together in a mutualistic relationship in which both organisms benefit from each other. Neither the fungus nor the alga can survive on its own, but together they form a hardy plant that can live in some alpine areas for up to 4,500 years. Because the plant can withstand drought and low temperatures, it’s one of the only food sources for caribou (reindeer) in deep win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gus and the alga reminds me of our human relationships. We rely on each other. To grow and flourish, we need to be in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Paul, writing to believers in Colossae, describes how our relationships should look. We are to clothe ourselve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COLOSSIANS 3:12). We ought to forgive each other and live in peace “as members of one body” (V 15).

It’s not always easy to live in peace with our families or friends. But when the Spirit empowers us to exhibit humility and forgiveness in our relationships, our love for each other points to Christ (JOHN 13:35) and brings glory to God.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7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Colossians 3:15

In what ways do your relationships point to Jesus? How can you pursue peace?

Holy Spirit, fill us with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toward each other so the world may see Your love in us.

오늘의 말씀

05/17/2019     금요일

성경읽기: 대상 1-3; 요 5:25-47
찬송가: 384(통 434)

하나님의 놀라운 손

뉴욕에서 샌안토니오로 비행을 시작한지 20분이 지났을 때, 조용하던 분위기가 매우 혼란해지면서 비행 계획이 수정되었습니다. 비행기 엔진 중 하나가 고장 나서 엔진 파편이 창문 하나를 깨뜨리고 들어와 기내의 압력이 뚝 떨어진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여러 명의 승객이 다쳤고 한 명이 죽었습니다. 조종실에 해군 전투기 조종사 출신의 침착하고 유능한 조종사가 없었더라면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더 악화되었을 것입니다. 우리 지역 신문의 헤드라인에는 “놀라운 손으로”라고 적혀있었습니다.

시편 31편에서 다윗은 주님의 놀랍고도 돌보시는 손길에 관해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다음과 같이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내가 나의 영을 주의 손에 부탁하나이다” (5절). 다윗은 삶이 요동칠 때에도 주님은 신뢰할 수 있는 분이라는 것을 믿었습니다. 다윗은 적대 세력들의 표적이었기 때문에 그의 삶은 매우 편치가 않았습니다. 그는 비록 약점이 많았지만 소망이 없지 않았습니다. 괴로움 가운데서도 그는 신실하시고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그의 신뢰의 근원이었기에 안도의 한숨을 쉬며 기뻐할 수 있었습니다(5-7절).

아마도 살면서 여러 가지 일이 사방에서 몰려오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시기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 불확실하고 혼란스러우며 무질서한 상황 가운데서도 절대적으로 확실한 한 가지 사실이 있습니다. 그것은 주님 안에 안전히 거하는 사람들은 그분의 놀라운 손 안에 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1:1-8
내가 주의 손에 나의 영을 맡깁니다. 진리의 하나님이신 여호와여, 나를 구원하소서
시편 31:5 (현대인의 성경)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의 삶, 그리고 웰빙 등, 당신의 삶을 주님께
맡기셨습니까? 좋을 때든 나쁠 때든 하나님을 신뢰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나타내고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시편 31편 5절 말씀을
기도하셨다는 것을 알고 용기를 얻게 하소서. 고통과 아픔 가운데서도
주님은 자신의 생명을 하나님의 손에 맡기셨습니다.

Daily Article

05/17/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 and JOHN 5:25–47
Hymn: 384(old 434)

God’s Amazing Hands

Twenty minutes into a flight from New York to San Antonio, the flight plan changed as calm gave way to chaos. When one of the plane’s engines failed, debris from the engine smashed through a window causing the cabin to decompress. Sadly, several passengers were injured and one person was killed. Had not a calm, capable pilot been in the cockpit—one trained as a Navy fighter pilot—things could have been tragically worse. The headline in our local paper read, “In Amazing Hands.”

In Psalm 31, David revealed that he knew something about the Lord’s amazing, caring hands. That’s why he could confidently say,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V 5). David believed that the Lord could be trusted even when life got bumpy. Because he was targeted by unfriendly forces, life was very uncomfortable for David. Though vulnerable, he was not without hope. In the midst of harassment David could breathe sighs of relief and rejoice because his faithful, loving God was his source of confidence (VV 5–7).

Perhaps you find yourself in a season of life when things are coming at you from every direction, and it’s difficult to see what’s ahead. In the midst of uncertainty, confusion, and chaos one thing remains absolutely certain: those who are secure in the Lord are in amazing hands.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31:1–8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deliver me, LORD, my faithful God.
Psalm 31:5

Have you committed your life—your earthly and eternal existence and well-being—to the Lord? How are you showing that you are trusting Him in good times and bad?

Father, help me to be encouraged knowing that Jesus prayed Psalm 31:5 when He was on the cross. In the midst of pain and suffering, He committed His life into Your hands.

오늘의 말씀

05/16/2019     목요일

성경읽기: 왕하 24-25; 요 5:1-24
찬송가: 299(통 418)

곰 같은 포옹

우리 손자에게 줄 선물이었던 “곰”은 그 골격 안에 사랑이 듬뿍 담겨져 있는 커다란 봉제 동물인형입니다. 베이비 D의 반응은요? 처음에는 놀라다가 다음에는 경외하는 모습을 보이더니, 나중에는 호기심 때문인지 대담하게 살펴보았습니다. 그 아이는 통통한 손가락으로 곰 인형의 코를 찔렀고, 그것이 앞으로 넘어져 자기 팔에 닿자 너무 너무 즐거워했습니다! 베이비 D는 솜털로 뒤덮인 곰 인형의 가슴에 자기 머리를 대고는 꼭 껴안았습니다. 푹신한 곰 인형에 깊이 파묻혔을 때에는 양 볼에 보조개가 생길 만큼 미소가 가득 번졌습니다. 그 아이는 곰 인형이 사실 자기를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단지 순진하고도 자연스럽게 곰 인형에게서 사랑을 느꼈고 온 마음을 다해 그 사랑을 돌려주었던 것입니다.

요한 사도는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낸 세 통의 편지 중 첫 번째 편지에서 대담하게 하나님 자신이 사랑이라고 분명히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사랑을 우리가 알고 믿었노니 하나님은 사랑이시라”(요한1서 4:16).

하나님은 사랑하십니다. 베개로 사용하는 가짜 동물이 아닌, 뛰기도 하지만 상할 수도 있는 심장을 감싸고 있는 실제 인간의 팔을 뻗어 사랑하십니다(요한복음 3:16). 하나님은 예수님을 통해 우리를 위한 그분의 차고 넘치고도 희생적인 사랑을 알려주셨습니다.

요한은 계속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랑함은 그가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음이라”(요한1서 4:19). 우리가 사랑 받고 있다고 믿으면 사랑을 되돌려줄 수 있습니다. 진정한 하나님의 사랑 때문에 우리는 온 마음 다해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4:13-19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요한1서 4:16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 가운데 가장 놀라운 것은 무엇입니까?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나타내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나를 사랑하실 수 있도록, 그리고 내가
온 마음 다해 하나님의 사랑을 돌려드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6/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4–25 and JOHN 5:1–24
Hymn: 299(old 418)

Bear Hug

“Bear” was a gift for my grandchild—a heaping helping of love contained in a giant stuffed animal frame. Baby D’s response? First, wonder. Next, an amazed awe. Then, a curiosity that nudged a daring exploration. He poked his pudgy finger at Bear’s nose, and when the Bear tumbled forward into his arms he responded with joy joy JOY! Baby D laid his toddler head down on Bear’s fluffy chest and hugged him tightly. A dimpled smile spread across his cheeks as he burrowed deeply into Bear’s cushiony softness. The child had no idea of Bear’s inability to truly love him. Innocently and naturally, he felt love from Bear and returned it with all his heart.

In his first of three letters to early Christians, the apostle John boldly states that God Himself is love. “We know and rely on the love God has for us,” he writes. “God is love” (1 JOHN 4:16).

God loves. Not in the pillow of a pretend animal but rather with the outstretched arms of a real human body encasing a beating but breaking heart (JOHN 3:16). Through Jesus, God communicated His extravagant and sacrificial love for us.

John goes on, “We love because he first loved us” (1 JOHN 4:19). When we believe we’re loved, we love back. God’s real love makes it possible for us to love God and others—with all our
heart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1 John 4:13–19
God is love.
1 John 4:16

What do you find is most amazing about God’s love for you? How will you reveal His love to others today?

Dear God, help me to let You love me and then help me to love You back—
with all my heart.

오늘의 말씀

05/15/2019     수요일

성경읽기: 왕하 22-23; 요 4:31-54
찬송가: 543(통 342)

모든 것을 잃어버린 것처럼 보일 때

제럴드의 삶은 불과 6개월 만에 무너졌습니다. 경제위기로 사업체와 재산을 잃었고, 비극적인 사건으로 아들의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충격을 이기지 못해 심장마비로 사망하였고, 아내는 우울증에 빠졌으며, 어린 두 딸은 계속 슬픔을 가누지 못했습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오직 다음 시편 말씀을 반복해서 읽는 것뿐이었습니다.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시편 22:1).

제럴드가 계속 견뎌 나갈 수 있게 해주었던 것은 오직 예수님을 살리신 하나님께서 언젠가는 그와 그의 가족을 고통에서 건져내어 영원한 기쁨의 삶으로 옮겨주실 것이라는 희망이었습니다.
그것은 도움을 구하는 그의 필사적인 절규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실 거라는 희망이었습니다. 시편 기자 다윗처럼, 절망에 빠진 그는 고통 가운데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기로 결심하고, 하나님께서 그를 건져내고 구원해주시리라는 희망을 꼭 붙들었습니다(4-5절).

그 희망이 제럴드를 지탱케 해주었습니다. 여러 해 동안 어떻게 지내고 있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그가 할 수 있는 대답은 오직 “글쎄, 나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있네.”라는 것뿐이었습니다.

하나님은 그 믿음을 높이 여겨 제럴드에게 위안과 힘과 용기를 주셔서 그 힘든 시기를 견디며 지날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그의 가족은 서서히 위기에서 회복되었고 얼마 안 있어 제럴드는 기쁘게도 첫 손주를 보게 되었습니다. 그의 부르짖음은 이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간증이 되었습니다. “나는 더 이상 ‘왜 나를 버리셨습니까?’라고 묻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나를 축복해주셨습니다.”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는 것 같이 보일 때도, 여전히 희망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2:1-5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 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
시편 22:1

하나님의 확실하고 분명한 구원의 소망을 기억하고 그것에 매달리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무엇입니까?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이 당신을 어떻게 지탱해주었습니까?

버려졌다고 느낄 때,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나에게 주신,
언젠가 영원한 기쁨으로 인도될 것이라는 소망에 매달립니다.

Daily Article

05/15/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2–23 and JOHN 4:31–54
Hymn: 543(old 342)

When All Seems Lost

In just six months, Gerald’s life fell apart. An economic crisis destroyed his business and wealth, while a tragic accident took his son’s life. Overcome by shock, his mother had a heart attack and died, his wife went into depression, and his two young daughters remained inconsolable. All he could do was echo the words of the psalmist, “My God, my God, why have you forsaken me?” (PSALM 22:1).

The only thing that kept Gerald going was the hope that God, who raised Jesus to life, would one day deliver him and his family from their pain to an eternal life of joy. It was a hope that God would answer his desperate cries for help. In his despair, like the psalmist David, he determined to trust God in the midst of his suffering. He held on to the hope that God would deliver and save him (VV 4–5).

That hope sustained Gerald. Over the years, whenever he was asked how he was, he could only say, “Well, I’m trusting God.”

God honored that trust, giving Gerald the comfort, strength, and courage to keep going through the years. His family slowly recovered from the crisis, and soon Gerald welcomed the birth of his first grandchild. His cry is now a testimony of God’s faithfulness. “I’m no longer asking, ‘Why have you forsaken me?’ God has blessed me.”

When it seems there’s nothing left, there’s still hope.
- LESLIE KOH

Today's Reading

Psalm 22:1–5
My God, my God, why have you forsaken me?
Psalm 22:1

What will help you to remember and cling to God’s sure and certain hope of deliverance? How has trusting in God sustained you in a difficult challenge?

When I feel abandoned, I cling to the hope You’ve given me through Christ’s resurrection, that I will be delivered to eternal joy one 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