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13/2019     목요일

성경읽기: 스 6-8; 요 21
찬송가: 421(통 210)

저 아이는 집시잖아

“아니, 저 아이는 집시잖아.” 1877년에 로드니 스미스가 예배 중에 그리스도를 영접하기 위해 예배당 앞쪽으로 걸어 나갈 때 누군가가 역겨운 듯이 귓속말을 했습니다. 배우지 못한 집시 부모의 아들인 이 십대 소년을 대수롭게 여긴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로드니는 그런 말들을 귀담아 듣지 않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자신의 삶에 어떤 목적을 갖고 계심을 확신했기 때문에 성경과 영어사전을 사서 읽고 쓰는 법을 혼자 공부했습니다. 그가 한번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예수님께로 가기 위해 캠브리지나 하버드, 예일에 가거나 시인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께로 가는 길은......갈보리라고 불리는 오래된 언덕입니다.” 온갖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로드니는 복음전도자가 되어 영국과 미국의 많은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하는데 하나님께 쓰임 받았습니다.

베드로 역시 예수님이 그에게 단 두 마디로 간단하게 “나를 따르라”(마태복음 4:19)라고 하셨을 때 그저 평범한 사람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는 종교적인 랍비 학교에서 교육받은 적이 없는 (사도행전 4:13) 갈릴리 출신의 어부였습니다. 그러나 그런 배경과 늘 겪어온 실패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베드로가 훗날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을 향해 “선택하신 민족이며 왕 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요 하나님의 소유가 된 백성”(베드로전서 2:9, 현대인의 성경)이라고 분명히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교육이나 양육, 성별 또는 인종에 관계없이 모두 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 가족의 한 지체가 될 수 있고 또 주님께 쓰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의 “특별한 소유”가 됩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4-10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하나님)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베드로전서 2:9

우리가 택함 받은 민족이며 왕 같은 제사장이요 하나님의 소유가 되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하나님께서 그분의 영광을 위해 우리를 쓰실 수 있다는 사실이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하나님, 하나님 안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찾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3/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6–8 and JOHN 21
Hymn: 421(old 210)

Only a Gypsy Boy

“Oh, it’s only a gypsy boy,” someone whispered with disgust when Rodney Smith walked to the front of the chapel to receive Christ during a service in 1877. Nobody thought much of this teenager, the son of uneducated gypsy parents. Yet, Rodney didn’t listen to those voices. He was certain that God had a purpose for his life so he bought himself a Bible and an English dictionary and taught himself how to read and write. He once said, “The way to Jesus is not by Cambridge, Harvard, Yale, or the poets. It is . . . an oldfashioned hill called Calvary.” Against all odds, Rodney became an evangelist who God used to bring many to Jesus in the UK and US.

Peter too was just a simple man—untrained in the religious rabbinic schools (ACTS 4:13), a fisherman from Galilee—when Jesus called him with two simple words: “Follow me” (MATTHEW 4:19). Yet the same Peter, despite his upbringing and the failures he experienced along the way, later affirmed that those who follow Jesus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1 PETER 2:9).

Through Jesus Christ all people—whatever their education, upbringing, gender, or ethnicity—can be a part of the family of God and be used by Him. Becoming God’s “special possession” is for all who believe in Jesus.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1 Peter 2:4–10
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1 Peter 2:9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be part of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God’s special possession? How are you encouraged by the fact that God can use you for His honor?

God, I thank You that my identity is found in You.

오늘의 말씀

06/12/2019     수요일

성경읽기: 스 3-5; 요 20
찬송가: 292(통 415)

가리개 벗겨 없애기

참담한 자동차 사고로 메리 앤 프랑코는 완전히 망가지고 말았습니다. 겨우 목숨은 건졌지만 부상으로 앞을 전혀 볼수 없게 되었습니다. “내가 볼 수 있었던 것은 오직 어둠 뿐이었습니다.”라고 프랑코는 말했습니다. 21년 후에 그녀는 낙상 사고로 등을 다쳤습니다. 눈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수술을 받은 후 깨어났는데 기적적으로 시력이 되돌아왔습니다! 프랑코는 20년도 더 지나고 나서 처음으로 딸의 얼굴을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담당 신경외과 의사는 그녀의 시력이 회복된 것은 과학적으로 도저히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바뀔 것 같지 않았던 어두움이 아름다움과 빛으로 바뀐 것입니다.

우리의 경험과 더불어 성경은 무지와 악의 가리개가 세상을 덮어 우리 모두 하나님의 사랑을 볼 수 없게 되었다고 말합니다(이사야 25:7). 이기심과 탐욕, 자만심, 그리고 권력이나 평판에 대한 욕망 등, 이 모든 충동들이 우리의 시야를 흐리게 하여 “놀라운 일들을 신실하고 진실하게 이루신”(1절) 하나님을 환히 볼 수 없게 만듭니다.

어떤 성경 번역은 이 눈앞을 가리는 가리개를 “어둠의 구름” 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만 빠져있으면 오직 어두움과 혼란, 절망만 겪을 뿐입니다. 우리는 자주 갇혀 있다는 느낌에 사로잡혀 앞을 보지 못하고 더듬거리며 넘어집니다. 그러나 감사하게도 이사야는 하나님께서 결국 “모든 민족의 얼굴을 가린 가리개를 제하실”(7절) 것이라고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절망 상태로 내버려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분의 사랑의 광채가 우리 눈을 멀게 하는 모든 것을 다 제거하여 행복한 삶과 풍성한 은혜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심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5:1-9
[하나님이] 모든 민족의 얼굴을 가린 가리개를 제하시며
이사야 25:7

우리 삶의 어느 곳에서 어두움을 느끼고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그런 곳을 없애주신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하나님, 요즈음 어디나 어두워서 주님의 진리와 사랑을 보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주님, 우리를 도와주소서. 주님 외에는 희망이 없습니다.

Daily Article

06/12/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3–5 and JOHN 20
Hymn: 292(old 415)

Destroying the Shroud

A brutal car wreck devastated Mary Ann Franco. Though she survived, the injuries left her completely blind. “All I could see was blackness,” Franco explained. Twentyone years later, she injured her back in a fall. After waking from surgery (which had nothing to do with her eyes), miraculously, her sight had returned! For the first time in more than two decades, Franco saw her daughter’s face. The neurosurgeon insisted there was no scientific explanation for her restored vision. The darkness that seemed so final gave way to beauty and light.

The Scriptures, as well as our experience, tell us that a shroud of ignorance and evil covers the world, blinding all of us to God’s love (ISAIAH 25:7). Selfishness and greed, our selfsufficiency, our lust for power or image—all these compulsions obscure our vision, making us unable to clearly see the God who “in perfect faithfulness [has] done wonderful things” (V 1).

One translation calls this blinding shroud a “cloud of gloom” ( NLT ) Left to ourselves, we experience only darkness, confusion, and despair. We often feel trapped—groping and stumbling, unable to see our way forward. Thankfully, Isaiah promises that God will ultimately “destroy the shroud that enfolds all peoples” (V 7)

God will not leave us hopeless. His radiant love removes whatever blinds us, surprising us with a beautiful vision of a good life and abundant grac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25:1–9
[God] will destroy the shroud that enfolds all peoples.
Isaiah 25:7

Where do you sense the darkness in your world? How do you imagine Jesus destroys that place?

God, the gloom is everywhere these days. It’s so difficult to see Your truth and love. Will You help me? I’m hopeless without You.

오늘의 말씀

06/11/2019     화요일

성경읽기: 스 1-2; 요 19:23-42
찬송가: 520(통 257)

모든 백성들의 하나님

뉴스보이즈 밴드의 전 리드 싱어였던 피터 펄러는 그들의 찬양곡인 “그가 다스리시네” 공연을 설명하면서, 그 곡은 한 마음으로 하나님을 경배하기 위해 모든 종족 모든 나라에서 함께 나아온 성도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는 또 뉴스보이즈 밴드가 그 곡을 부를 때마다 성도들이 모여 있는 곳에 성령께서 운행하시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가 다스리시네 ” 를 부르며 경험한 펄러의 이야기는 아마 오순절에 예루살렘에 모여들었던 무리들도 똑같이 경험했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제자들이 성령으로 충만해지자(사도행전 2 : 4 ) 그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각 나라에서 온 유대인들이 다 혼란에 빠지게 되었는데, 이는 각자가 하나님께서 행하신 놀라운 일들을 자신들의 언어로 말하는 것을 들었기 때문입니다(5-6,11절). 베드로는 무리들에게 그것은 하나님께서 “내가 성령을 모든 사람에게 부어주겠다”(17절, 현대인의 성경)고 하신 구약성경의 예언이 성취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렇게 모든 것을 나타내 보이시는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을 본 무리들은 베드로의 복음 선포를 받아들이고 그날 하루에만 삼천명이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41절). 이 놀라운 사건이 일어난 후 새로 믿게 된 사람들은 복음을 들고 세상의 그들 자신의 지역으로 돌아갔습니다.

이 좋은 소식, 곧 모든 사람들에게 소망을 가져다주는 하나님의 메시지가 오늘도 여전히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다 함께 하나님을 찬양할 때 성령께서 우리 가운데 운행하시면서 모든 나라의 백성들을 놀랍게 하나로 뭉쳐 주십니다. ‘그분이 다스리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1-12
그 때에 경건한 유대인들이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머물러 있더니
사도행전 2:5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서 하나님의 형상을 봅니까? 어떻게 모든 종족 모든 나라의 사람들을 주님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모든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1/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1–2 and JOHN 19:23–42
Hymn: 520(old 257)

God of All People

Former Newsboys lead vocalist Peter Furler describes the performance of the band’s praise song “He Reigns.” The song paints a vivid picture of believers from every tribe and nation coming together to worship God in unity. Furler observed that whenever the Newsboys sang it he could sense the moving of the Holy Spirit in the gathering of believers.

Furler’s description of his experiences with “He Reigns” would likely have resonated with the crowds who converged on Jerusalem at Pentecost. When the disciples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CTS 2:4), things began to happen beyond anyone’s experience. As a result, Jews representing every nation came together in confusion, because each one heard their own language being spoken to make God’s wonders known (VV 5–6, 11). Peter explained to the crowd that this was in fulfillment of the Old Testament prophecy in which God said, “I will pour out my Spirit on all people” (V 17).

This all-inclusive display of God’s awesome power made the crowd receptive to Peter’s declaration of the gospel, leading to three thousand converts that day alone (V 41). Following this spectacular kickoff, these new believers then returned to their corner of the world, taking the good news with them.

The good news still resounds today—God’s message of hope for all people. As we praise God together, His Spirit moves among us, bringing people of every nation together in wonderful unity. He reigns! - REMI OYEDELE

Today's Reading

Acts 2:1–12
Now there were staying in Jerusalem God-fearing Jews from every nation under heaven.
Acts 2:5

In what ways do you see God’s image in other people? How can you view people from every tribe and nation through the lens of Jesus?

Dear heavenly Father, help me to reflect Your heart for all of Your people.

오늘의 말씀

06/10/2019     월요일

성경읽기: 대하 34-36; 요 19:1-22
찬송가: 216(통 356)

나누어 먹는 조각들

퇴역 군인이고 노숙자인 62세의 스티브는 일 년 내내 밖에서 잠을 자도 괜찮은 기후가 따뜻한 곳으로 옮겨갔습니다. 어느 날 저녁 얼마의 돈이라도 벌려고 손으로 직접 그린 그림을 전시했는데 한 젊은 여자가 다가와서 피자 몇 조각을 주었습니다. 그것을 기쁘게 받은 스티브는 잠시 후 그가 받은 것을 다른 배고픈 노숙자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그 젊은 여자는 그가 자기가 받은 것을 후하게 나누어준 것을 알았다며 거의 동시에 다른 피자 한 판을 들고 다시 나타났습니다.

스티브의 이야기는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관대할 때 우리 역시 관대하게 대접받을 수 있다는 잠언 11장 25절의 원리를 잘 보여줍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같이 어떤 대가를 바라고 베풀면 안 됩니다. 우리의 관대함에 대한 대가가 스티브처럼 빠르고 확실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입니다. 그보다는 다른 사람들을 도우라는 하나님의 가르침에 사랑의 응답으로 베풀어야 합니다 (빌립보서 2:3-4; 요한1서 3:17). 그리고 우리가 그렇게 할 때 하나님께서 기뻐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지갑이나 배를 다시 채워주셔야 할 그 어떤 의무도 없으시지만, 때로는 물질적으로 때로는 영적으로 우리를 새롭게 하실 방법을 자주 찾으십니다.

스티브는 두 번째 피자 판도 미소를 머금고 아낌없이 나누어주었습니다. 그는 가진 것은 많지 않았지만, 우리가 가진 것을 자신을 위해 쌓아두지 않고 흔쾌히 즐거운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과 나누며 관대하게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예로 보여주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하시고 능력 주실 때, 우리도 그와 같이 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23-31
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윤택하여지리라
잠언 11:25

당신은 오늘 누구에게 나누어줄 수 있습니까?
지금까지 다른 사람의 관대한 행위로 어떤 축복을 받아보셨습니까?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으로 후하게 베풀 수 있다.

Daily Article

06/10/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4–36 and JOHN 19:1–22
Hymn: 216(old 356)

Sharing Slices

Steve, a sixty-two-year-old homeless military veteran, made his way to a warm climate where sleeping outdoors was tolerable year-round. One evening, as he displayed his hand-drawn art—his attempt to earn some money—a young woman approached and offered him several slices of pizza. Steve gratefully accepted. Moments later, Steve shared his bounty with another hungry, homeless person. Almost immediately, the same young woman resurfaced with another plate of food, acknowledging that he had been generous with what he’d been given.

Steve’s story illustrates the principle found in Proverbs 11:25 that when we’re generous with others, we’re likely to experience generosity as well. But we shouldn’t give with expecting something in return; rarely does our generosity return to us as quickly and obviously as it did for him. Rather, we give to help others in loving response to God’s instruction to do so (PHILIPPIANS 2:3–4; 1 JOHN 3:17). And when we do, God is pleased. While He’s under no obligation to refill our wallets or bellies, He often finds a way to refresh us—sometimes materially, other times spiritually.

Steve shared his second plate of pizza too with a smile and open hands. Despite his lack of resources, he is an example of what it means to live generously, willing to cheerfully share what we have with others instead of hoarding it for ourselves. As God leads and empowers us, may the same be said of u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roverbs 11:23–31
A generous person will prosper; whoever refreshes others will be refreshed.
Proverbs 11:25

With whom can you share today?
How have you been blessed through another’s generosity?

We can be generous with what God’s given us.

오늘의 말씀

06/09/2019     주일

성경읽기: 대하 32-33; 요 18:19-40
찬송가: 361(통 480)

애비의 기도

고등학교 2학년 때 애비와 그녀의 엄마는 어느 청년에 관한 뉴스를 들었습니다. 그 청년은 비행기 사고로 아버지와 새어머니를 잃고 본인도 심하게 다쳤습니다. 두 모녀는 이 청년을 잘 몰랐지만 엄마가 “그 청년과 그의 가족을 위해
지금 기도하자.”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함께 기도했습니다.

몇 년이 지난 어느 날 애비가 대학교 수업에 들어갔을 때 한 학생이 자기 옆에 자리가 있으니 앉으라고 했습니다. 오스틴 해치라는 이름의 학생이었는데, 바로 애비가 전에 기도해주었던 그 비행기 사고의 피해자 청년이었습니다. 곧 그들은 사귀게 되었고 2018년에 결혼했습니다.

애비는 결혼 직전에 가진 어느 인터뷰에서 “내가 미래의 남편을 위해 기도했다는 건 정말 생각도 못할 일이었지요.”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기도할 때 개인적인 필요나 아주 잘 아는 사람들에게만 국한시키다보니 진정 다른 사람들을 위한 기도 시간을 갖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에베소 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든 기도와 간구를 하되 항상 성령 안에서 기도하고 이를 위하여 깨어 구하기를 항상 힘쓰며 여러 성도를 위하여 구하라”(에베소서 6:18)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디모데전서 2장 1절은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비롯한 “모든 사람을 위하여” 기도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 함께 다른 사람들을 위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기도합시다. 이것은 우리가 “짐을 서로 질”(갈라디아서 6:2)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6:16-20
내가......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디모데전서 2:1

개인적으로 전혀 모르는 사람들을 비롯하여 오늘 우리의 기도가 필요한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그들의 필요를 위해 하나님과 대화할 시간을 어떻게 마련하겠습니까?

예수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주위 사람들, 특히 전혀 모르는 사람들에게까지 우리의 마음을 열어주소서. 우리의 진정한 관심을 받으시고 주님의 방법으로 그들을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9/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2–33 and JOHN 18:19–40
Hymn: 361(old 480)

Abby’s Prayer

When Abby was a sophomore in high school, she and her mom heard a news story about a young man who’d been critically injured in a plane accident—an accident that took the lives of his father and stepmother. Although they didn’t know this person, Abby’s mom said, “We just need to pray for him and his family.” And they did.

Fast forward a few years, and one day Abby walked into a class at her university. A student offered her the seat next to him. That student was Austin Hatch, the plane crash victim Abby had prayed for. Soon they were dating, and in 2018 they were married.

“It’s crazy to think that I was praying for my future husband,” Abby said in an interview shortly before they were married. It can be easy to limit our prayers to our own personal needs and for those closest to us, without taking the time to pray for others. However, Paul, writing to the Christians at Ephesus, told them to “pray in the Spirit on all occasions with all kind of prayers and requests. With this in mind, be alert and always keep on praying for all the Lord’s people” (EPHESIANS 6:18). And 1 Timothy 2:1 tells us to pray “for all people,” including those in authority.

Let’s pray for others—even people we don’t know. It’s one of the ways we can “carry each other’s burdens” (GALATIANS 6:2). - DAVE BRANON

Today's Reading

Ephesians 6:16–20
I urge...that petitions, prayers, intercession and thanksgiving be made for all people.
1 Timothy 2:1

Who are the people—some you may not even know personally—who need your prayers today?
How will you carve out some time to talk with God about their needs?

Jesus, open my heart to the needs of people around me—even those I don’t know. Take my heartfelt concern and intervenefor them as only You can.

오늘의 말씀

06/08/2019     토요일

성경읽기: 대하 30-31; 요 18:1-18
찬송가: 191(통 427)

볼링 핀 쓰러뜨리기

내 친구 에린의 발목에 볼링 볼이 핀을 쓰러뜨리는 문신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보고는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에린이 그 독특한 문신을 할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복음가수 사라 그로브의 노래 “핀 세우기”를 듣고 나서였습니다. 그 재치 있는 가사를 들어보면 사람들이 쓰러뜨리는 볼링 핀을 손으로 반복해서 다시 세워 놓는 것과 같이 때로는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반복되는 일상사에서도 기쁨을 찾으라고 합니다.

빨래, 요리. 잔디 깎는 일. 우리 삶은 이것들처럼 한 번 끝내고, 다시 해야 하고, 또 다시 해야 하는 일들로 가득 차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문제가 아니라 예전부터 우리를 힘들게 해왔던 것으로 구약성경의 전도서에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전도서는 “이미 있던 것이 후에 다시 있겠고 이미 한 일을 후에 다시 할”(1:9) 것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반복되는 매일의 삶은 쓸데없으며(1:2-3) 무의미하기까지 하다는 저자의 불평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도서 저자는 내 친구처럼 “하나님을 경외[숭배]하고 그의 명령을 지킬”(12:13) 때 우리의 궁극적인 성취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기억함으로써 기쁨과 의미를 다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일상적인 것과 삶의 평범해 보이는 것들까지도 귀하게 여기시고 우리가 그것들에 충실할 때 보답해주신다는 것을 알면 위로가 됩니다(14절).

우리가 계속 다시 세워야 할 “핀”들은 무엇입니까? 반복되는 일로 피곤하게 느껴지기 시작할 때에는 잠시 멈추어 일 하나 하나를 사랑의 예물로 하나님께 드리는 시간을 갖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1:3-11
이미 있던 것이 후에 다시 있겠고 이미 한 일을 후에 다시 할지라
전도서 1:9

하나님께서 당신의 일을 소중히 여기신다는 것을 알았다면 오늘 어떻게 그 일을 달리 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을 알았을 때 당신의 일상적인 일들에 어떤 의미가 생기나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삶의 평범한 활동들에 가치를 부여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일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8/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0–31 and JOHN 18:1–18
Hymn: 191(old 427)

Knocking Down Pins

I was intrigued when I noticed a tattoo of a bowling ball knocking down pins on my friend Erin’s ankle. Erin was inspired to get this unique tattoo after listening to Sara Groves’s song, “Setting Up the Pins.” The clever lyrics encourage listeners to find joy in the repetitive, routine tasks that sometimes feel as pointless as manually setting up bowling pins over and over again, only to have someone knock them down.

Laundry. Cooking. Mowing the lawn. Life seems full of tasks that, once completed, have to be done again—and again. This isn’t a new struggle but an old frustration, one wrestled with in the Old Testament book of Ecclesiastes. The book opens with the writer complaining about the endless cycles of daily human life as futile (1:2–3), even meaningless, because “what has been will be again, what has been done will be done again” (V 9).

Yet, like my friend, the writer was able to regain a sense of joy and meaning by remembering our ultimate fulfillment comes as we “fear [reverence] God and keep his commandments” (12:13). There’s comfort in knowing that God values even the ordinary, seemingly mundane aspects of life and will reward our faithfulness (V 14).

What are the “pins” you’re continually setting up? In those times when repetitive tasks begin to feel tiring, may we take a moment to offer each task to God as an offering of love. - LISA SAMRA

Today's Reading

Ecclesiastes 1:3–11
What has been will be again, what has been done will be done again.
Ecclesiastes 1:9

How might you do a task differently today knowing God values it?
How does knowing this bring meaning to the mundane?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giving value to the ordinary activities of life. Help us to find joy in the tasks before us today.

오늘의 말씀

06/07/2019     금요일

성경읽기: 대하 28-29; 요 17
찬송가: 67(통 31)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아기들에게 달을 보여줄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라고 웹 여사가 말했습니다. 주중 기도회가 시작되기 전에 우리들 몇몇이 전날 밤의 추석 보름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지평선 위에 걸려있는 것 같았던 그 보름달의 모습은 정말 장관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위대한 창조를 예찬하는 백발의 웹 여사는 우리 대화 팀에서 가장 연장자였습니다. 그녀는 그 시간에 우리 부부가 두 아이를 집에 두고 온 것을 알고 있었으며, 우리가 아이들을 올바르게 훈련시키는 것을 도와주고 싶어 했습니다. ‘아기들에게 달을 보여줄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웹 여사는 아주 훌륭한 시편 기자가 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녀의 성품인 세심한 마음은 다윗이 천체를 묘사한 시편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언어도 없고......그의 소리가 온 땅에 통하고 그의 말씀이 세상 끝까지 이르도다”(시편 19:3-4). 시편 기자나 웹 여사에게는 달이나 별을 숭배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고, 오히려 그 천체들 뒤에 있는 창조주의 손길을 경배하려는 것이었습니다. 궁창이나 하늘은 오직 하나님의 영광만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습니다(1절).

우리도 어린 아이나 청소년에서 배우자, 이웃에 이르기까지 주위 모든 사람들에게 잠시 멈추어 둘러보아 우리 주위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어 선포하고 있는 것을 들어보라고 권면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손으로 빚으신 작품에 주목하면 결국 모든 보이는 것들 뒤에 계시는 놀라우신 하나님을 경배하게 됩니다. 절대로 기회를 놓치지 마십시오.

오늘의 성구

시편 19:1-4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도다
시편 19:1

바로 지금 하던 일을 잠시 내려놓고 하나님께서 손으로 빚으신 작품을살펴볼 수 있습니까?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하도록 어떻게 권면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멈춰서 바라보고 귀 기울일 때 창조물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Daily Article

06/07/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8–29 and JOHN 17
Hymn: 67(old 31)

Don’t Miss the Chance

“Don’t ever miss the chance to show your babies the moon!” she said. Before our midweek prayer service began, a group of us talked about the previous night’s harvest moon. The full moon was striking, as it seemed to sit on the horizon. Mrs. Webb was the eldest voice in our conversation, a grayhaired lover of God’s grand creation. She knew my wife and I had two children in our home at the time, and she wanted to help me train them in a way worth going. Don’t ever miss the chance to show your babies the moon!

Mrs. Webb would’ve made a good psalmist. Her brand of attentiveness is reflected in David’s description of the heavenly bodies that “have no speech . . . . Yet their voice goes out into all the earth, their words to the ends of the world” (PSALM 19:3–4). Neither the psalmist nor Mrs. Webb had any intention of worshiping the moon or the stars, but rather the creative hands behind them. The heavens and skies reveal nothing less than the glory of God (V 1).

We too can encourage those around us—from babies and teenagers to spouses and neighbors—to stop, look, and listen for declarations and proclamations of God’s glory are all around us. Drawing attention to the work of His hands in turn leads to worshiping the awesome God behind the whole show. Don’t ever miss the chance. -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19:1–4
The heavens declare the glory of God; the skies proclaim the work of his hands.
Psalm 19:1

How can you slow down and notice the work of God’s hands right now?
How can you encourage others to do the same?

If we stop, look, and listen, we’ll see creation declaring God’s glory.

오늘의 말씀

06/06/2019     목요일

성경읽기: 대하 25-27; 요 16
찬송가: 85(통 85)

사막에 피는 꽃

모하비 사막은 대부분의 사막과 마찬가지로 모래 언덕과 마른 협곡과 고원 지대 및 산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생물학자 에드먼드 재거가 이 사막에는 매 2-3년마다 풍부한 비가 내려 그 결과 “엄청나게 많은 꽃이 피어 거의 모든 모래와 자갈 흙 바닥이 꽃으로 뒤덮이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하지만 이 사막의 야생화의 향연은 매년 있는 현상은 아닙니다. 연구가들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제 때에 메마른 땅이 폭우로 흠뻑 적셔지고 나서 햇볕으로 데워진 다음에라야 꽃들이 생기 넘치는 색깔로 사막을 뒤덮는다는 것입니다.

메마른 대지에도 생명을 가져다 주시는 하나님의 그런 모습을 보면 이사야 선지자가 떠오릅니다. 그는 온 세상에 임하는 하나님의 심판 메시지를 전하고 나서 용기를 주는 희망의 비전도 함께 전해주었습니다(이사야 35장).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바로 세우실 미래에 대해 설명하면서, “광야와 메마른 땅이 기뻐하며, 사막이 백합화처럼 피어 즐거워할 것이다”(1절, 새번역) 라고 말했습니다. 또 그는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나라에 이르러 “노래하며 그들의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리로다”(10절)라고 선포했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으로 우리의 영원한 미래가 보장되었기에, 가뭄이나 억수같은 폭우가 쏟아지는 인생의 계절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분의 사랑에 깊이 뿌리내림으로 우리는 제 때에 예수님이 다시 오셔서 모든 것을 바로 세우실 그날까지 주님을 닮아가는 꽃을 피우며 자라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35:1-10
그것들이 여호와의 영광 곧 우리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보리로다
이사야 35:2

어떤 폭풍우 속을 지나가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그분의 임재를 어떻게 보여주고 계십니까? 보십시오! 하나님이 살아 계십니다.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 아버지,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시고, 살면서 폭풍우를 겪을 때마다 우리가 자라갈 수 있도록 역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6/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5–27 and JOHN 16
Hymn: 85(old 85)

Blooming in the Desert

The Mojave Desert includes the expected sand dunes, dry canyons, mesas, and mountains of most deserts. But American biologist Edmund Jaeger observed that every few years an abundance of rain results in “such a wealth of blossoms that almost every foot of sand or gravelly soil is hidden beneath a blanket of flowers.” The Mojave wildflower show isn’t a yearly phenomenon, though. Researchers confirm the dry earth needs to be soaked by storms and warmed by the sun, at just the right times, before blooms will cover the desert with vibrant colors.

This image of God bringing forth life despite the arid terrain reminds me of the prophet Isaiah. He shared an encouraging vison of hope after delivering God’s message of judgment on all nations (ISAIAH 35). Describing a future time when God will make all things right, the prophet said, “The desert and the parched land will be glad; the wilderness will rejoice and blossom” (V 1). He declared God’s rescued people will enter His kingdom “with singing; everlasting joy will crown their heads. Gladness and joy will overtake them, and sorrow and sighing will flee away” (V 10).

With our eternal future secured by God’s promises, we can trust Him through life’s seasons of drought and drenching storms. Deeply rooted in His love, we can grow, blooming into His likeness until, at just the right time, Jesus returns and sets all things right.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Isaiah 35:1–10
They will see the glory of the LORD, the splendor of our God.
Isaiah 35:2

What storms have you been facing? How is God showing you His presence? Look! He’s there.

Loving Father, thankYoufor assuring us You’re with us and working to grow us through every stormy moment of our lives.

오늘의 말씀

06/05/2019     수요일

성경읽기: 대하 23-24; 요 15
찬송가: 94(통 102)

보화 찾기

존과 메리가 개를 데리고 자기 집 주위를 걷다가 얼마 전에 내린 비에 씻겨 땅위에 조금 드러난 녹슨 깡통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을 집에 가지고 와서 열어보았더니 그 안에 백년 이상 된 금화가 숨겨져 있었습니다! 두 부부는 그 자리에 다시 가서 일곱 개의 깡통을 더 찾아냈는데, 총 1,427 개의 금화가 들어있었습니다. 그 후 그들은 그 보화를 보호하려고 다른 곳에 다시 묻었습니다.

‘새들 리지 호드’라 불리는 이 은닉된 금화(천만 달러의 가치)는 이 분야에서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액수의 발견입니다. 이 이야기를 읽으며 예수님이 말씀하신 비유 하나가 바로 생각납니다. “천국은 마치 밭에 감추인 보화와 같으니 사람이 이를 발견한 후 숨겨두고 기뻐하며 돌아가서 자기의 소유를 다 팔아 그 밭을 사느니라”(마태복음 13:44).

감춰진 보화가 실제로 발견되는 일은 거의 없지만, 감추어놓은 보화 이야기는 아주 오랫동안 상상력을 계속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자신들의 죄를 자백하고 예수님을 영접하고 따르는 모든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보화에 대해 말씀하시고 있는 것입니다 (요한복음 1:12).

그 보화는 우리에게서 결코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옛 삶을 떠나 하나님과 그분의 목적을 추구할 때 그분의 가치를 발견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자비하심으로써 그 은혜의 지극히 풍성함을”(에베소서 2:7) 통해 상상을 초월하는 보화를 주십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새로운 삶과 이 땅에 사는 새로운 목적, 그리고 그분과 영원히 함께 하는 무한한 기쁨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3:44-46
천국은 마치 밭에 감추인 보화와 같으니
마태복음 13:44

하나님과의 관계를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그 보화를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은 저의 최고의 보화이십니다. 십자가에서 저를 위해 생명을 내어주심으로 용서 받고 주님 안에서 새 삶을 얻게 하신 것을 찬양합니다.

Daily Article

06/05/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3–24 and JOHN 15
Hymn: 94(old 102)

Finding Treasure

John and Mary were walking their dog on their property when they stumbled on a rusty can partially unearthed by recent rains. They took the can home and opened it, discovering a cache of gold coins over a century old! The couple returned to the spot and located seven more cans containing 1,427 coins in all. Then they protected their treasure by reburying it elsewhere.

The cache of coins (valued at $10 million) is called the Saddle Ridge Hoard, the largest find of its kind in US history. The story is strikingly reminiscent of a parable Jesus told: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treasure hidden in a field. When a man found it, he hid it again, and then in his joy went and sold all he had and bought that field” (MATTHEW 13:44).

Tales of buried treasure have captured imaginations for centuries, though such discoveries rarely happen. But Jesus tells of a treasure accessible to all who confess their sins and receive and follow Him (JOHN 1:12).

We’ll never come to an end of that treasure. As we leave our old lives and pursue God and His purposes, we encounter His worth. Through “the incomparable riches of his grace, expressed in his kindness to us in Christ Jesus” (EPHESIANS 2:7), God offers us treasure beyond imagination—new life as His sons and daughters, new purpose on earth, and the incomprehensible joy of eternity with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tthew 13:44–46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treasure hidden in a field.
Matthew 13:44

How are you treasuring your relationship with God?
How can you share that treasure with others?

You are my greatest treasure, Jesus. I praise You for giving Your life for me on the cross, so that I could find forgiveness and new life in You.

오늘의 말씀

06/04/2019     화요일

성경읽기: 대하 21-22; 요 14
찬송가: 408(통 466)

편히 쉴 수 있을까?

다넬은 치료가 무척 고통스러울 것을 각오하고 물리치료사 진료실로 들어갔습니다. 물리치료사는 다넬의 팔을 폈다 굽혔다 하고는 다친 이후로 몇 달 동안 해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했습니다. 물리치료사는 매번 잠깐씩 불편한 자세를 취하게 한 다음에 부드럽게 “자, 이제 편히 쉬세요.”라고 했습니다. 나중에 다넬은 말했습니다. “치료받을 때마다 ‘자, 이제 편히 쉬세요.’라는 말을 적어도 50번은 들은 것 같습니다.”

다넬은 그 말을 생각해보면서 이후에 살아갈 때에도 그 말을 적용할 수 있겠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걱정하는 대신 좋으시고 신실하신 하나님 안에서 편히 쉴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죽음이 임박했을 때 제자들이 그 점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제자들이 격변을 겪고 박해를 받을 때가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격려하시려고 성령을 보내어 그들과 함께 거하게 하시고, 또 그들에게 예수님이 가르치신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4:26). 그래서 이렇게 말씀하실 수 있었습니다. “나의 평안을 너희에게 주노라......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도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라”(27절).

우리의 매일의 삶 속에는 우리를 긴장시키는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영이 우리 안에 사시고, 주님이 우리에게 평안을 주신다는 것을 상기함으로써 하나님을 믿는 믿음 안에서 자라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주님의 능력을 의지할 때, “자, 이제 편히 쉬세요.”라고 했던 물리치료사의 말 속에서 주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25-31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도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라
요한복음 14:27

무엇이 당신을 힘들게 합니까? 하나님의 성품 중에 어떤 것이 그분을 더욱더 신뢰하게 합니까?

예수님, 주님의 신실하심을 믿고, 주님이 함께 계심을 알며, 편히 쉬면서 주님의 평안을 누릴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Daily Article

06/04/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1–22 and JOHN 14
Hymn: 408(old 466)

Can We Relax?

Darnell entered the physical therapist’s office knowing he would experience a lot of pain. The therapist stretched and bent his arm and held it in positions it hadn’t been in for months since his injury. After holding each uncomfortable position for a few seconds, she gently told him: “Okay, you can relax.” He said later, “I think I heard that at least fifty times in each therapy session: ‘Okay, you can relax.’ ”

Thinking of those words, Darnell realized they could apply to the rest of his life as well. He could relax in God’s goodness and faithfulness instead of worrying.

As Jesus neared His death, He knew His disciples would need to learn this. They’d soon face a time of upheaval and persecution. To encourage them, Jesus said He would send the Holy Spirit to live with them and remind them of what He had taught (JOHN 14:26). And so He could say, “Peace I leave with you; my peace I give you. . . .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and do not be afraid” (V 27).

There’s plenty we could be uptight about in our everyday lives. But we can grow in our trust in God by reminding ourselves that His Spirit lives in us—and He offers us His peace. As we draw on His strength, we can hear Him in the therapist’s words: “Okay, you can relax.” - ANNE CETAS

Today's Reading

John 14:25–31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and do not be afraid.
John 14:27

What causes you stress? What characteristics of God can help you learn to trust Him more?

Teach me, Jesus, to trust Your faithfulness, to know Your presence, to experience Your peace—to relax.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