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23/2019     주일

성경읽기: 에 9-10; 행 7:1-21
찬송가: 303(통 403)

주께서 기뻐하신다

최근에 할머니가 옛날 사진으로 가득 찬 앨범 하나를 보내주셨습니다. 훌훌 넘기며 훑어보고 있는데 한 사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사진 속에는 벽난로 앞에 있는 작은 난로의 한쪽 끝에 두 살배기인 내가 앉아 있고, 다른 쪽 끝에는 아빠가 엄마 어깨에 팔을 두르고 있었습니다. 두 분은 사랑과 기쁨의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나는 그 사진을 화장대에 꽂아 놓고 매일 아침 바라봅니다. 그 사진을 볼 때마다 부모님이 나를 얼마나 사랑 하는지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사실 아무리 훌륭한 부모님의 사랑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내가 이 사진을 보관하고 있는 것은 그 사진이 사람의 사랑은 때로 식을 수 있지만 하나님의 사랑은 절대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떠올려주기 때문입니다. 성경에 따르면 부모님이 사진 속에서 나를 바라보는 것처럼 하나님도 그렇게 나를 바라보십니다.

나는 스바냐 선지자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묘사한 것을 보며 놀랐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자기 백성들을 보고 노래를 부르며 기뻐하신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런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따르지도 않았고 서로 연민을 갖고 대해 주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스바냐는 결국에는 하나님의 사랑이 백성들의 잘못을 모두 덮을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받을 형벌을 제하시고(스바냐 3:15), 그들로 인하여 기뻐하실 것입니다(17절).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을 품에 안으시고, 본향으로 데려와 회복시키실 것입니다(20절).

이 사랑을 우리는 매일 아침 묵상할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4-20
[하나님께서]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17

우리를 보고 노래를 부르며 기뻐하시는 하나님에 대해 어떤 기분이 듭니까? 지금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체험했나요?

하나님, 우리를 용서하시고 신실하게 사랑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23/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9–10 and ACTS 7:1–21
Hymn: 303(old 403)

The Lord Rejoices

My grandmother recently sent me a folder full of old photographs, and as I thumbed through them, one caught my eye. In it, I’m two years old, and I’m sitting on one end of a hearth in front of a fireplace. On the other end, my dad has his arm around my mom’s shoulders. Both are gazing at me with expressions of love and delight.

I pinned this photo to my dresser, where I see it every morning. It’s a wonderful reminder of their love for me. The truth is, though, that even the love of good parents is imperfect. I saved this photo because it reminds me that although human love may fail sometimes, God’s love never fails—and according to Scripture, God looks at me the way my parents are looking at me in this picture.

The prophet Zephaniah described this love in a way that astounds me. He describes God as rejoicing over His people with singing. God’s people had not earned this love. They had failed to obey Him or to treat each other with compassion. But Zephaniah promised that in the end, God’s love would prevail over their failures. God would take away their punishment (ZEPHANIAH 3:15), and He would rejoice over them (V 17). He would gather His people into His arms, bring them home, and restore them (V 20).

That’s a love worth reflecting on every morning.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Zephaniah 3:14–20
[God]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Zephaniah 3:17

How does it make you feel that God rejoices over you with singing? How have you experienced His love?

God, thank You for Your forgiveness and faithful love for us.

오늘의 말씀

06/22/2019     토요일

성경읽기: 에 6-8; 행 6
찬송가: 312(통 341)

숨바꼭질

나는 “그 애가 나를 찾을 거야.”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섯 살 사촌 아이의 발소리가 모퉁이에서 들리자 나의 작은 심장이 더 두근거리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이는 점점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다섯 걸음 남았습니다. 세 걸음, 두 걸음, “찾았다!”

숨바꼭질입니다. 대부분은 어렸을 때 그 놀이를 했던 좋은 기억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인생에서는 도망 치고 싶은 깊은 본능 때문에 들킬 거라는 두려움은 전혀 재미있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어쩌면 눈에 띄는 것을 싫어 하는지도 모릅니다.

타락한 세상의 자녀들인 우리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 한 친구의 표현대로 소위 “변질된 숨바꼭질”을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숨바꼭질은 숨는 척하는 놀이에 더 가깝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어떻든 우리의 지저분한 생각과 잘못된 선택을 다 보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 사실을 알면서도 하나님이 실제로 볼 수 없는 것처럼 생각하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계속 찾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밖으로 나오렴. 너의 가장 부끄러운 부분까지도 내가 보기를 원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겁에 질려 두려움으로 몸을 숨겼던 최초의 인간을 부르시며 “네가 어디 있느냐”(창세기 3:9) 라고 하셨던 바로 그 목소리입니다. 정곡을 찌르는 음성으로 우리를 따뜻하게 부르십니다. “사랑하는 아이야, 숨은 곳에서 나오거라. 나와 교제하며 살아야지.”

이것은 너무 위험하고 심지어 어처구니없는 말처럼 들리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 돌보시는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우리 모두는 지금까지의 성공과 실패에 상관없이 온전히 인정받고 사랑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1-10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있느냐
창세기 3:9

하나님께서 우리를 다 보시면서도 우리가 그분께 돌아오기를 아직도 애타게 기다리신다는 것을 알 때 얼마나 위안이 됩니까?
그 사실을 알 때 어떤 자유를 느낍니까?

우리를 온전히 아시는 그분이 우리를 아무 조건 없이 사랑하신다.

Daily Article

06/22/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6–8 and ACTS 6
Hymn: 312(old 341)

Hide-and-Seek

“He’s going to find me,” I thought. I felt my little heart pound faster as I heard my fiveyearold cousin’s footsteps around the corner. He was coming closer . Five steps away. Three. Two. “Found you!”

Hide-and-seek. Most have fond memories of playing the game as children. Yet sometimes in life the fear of being found isn’t fun but is rooted in a deep instinct to flee. People may dislike what they see.

As children of a fallen world, we are prone to play what a friend of mine labels, “a mixedup game of hideandseek” between God and us. It’s more like a game of pretending to hide—because either way, He sees all the way through to our messy thoughts and wrong choices. We know it, though we like to pretend He can’t really see.

Yet God continues to seek. “Come out,” He calls to us. “I want to see you, even your most shameful parts”—an echo of the same voice that called to the first human who hid out of fear: “Where are you?” (GENESIS 3:9). Such a warm invitation voiced in the form of a piercing question. “Come out of hiding, dear child, and come back into relationship with Me.”

It may seem far too risky, preposterous even. But there, within the safe confines of our Father’s care, any of us, no matter what we’ve done or failed to do, can be fully known and loved. - JEFF OLSON

Today's Reading

Genesis 3:1–10
But the LORD God called to the man, "Where are you?"
Genesis 3:9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that God sees you and yet still longs for you to come to Him?
How is that knowledge freeing?

The One who fully knows us unconditionally loves us.

오늘의 말씀

06/21/2019     금요일

성경읽기: 에 3-5; 행 5:22-42
찬송가: 429(통 489)

시기하지 않기

프랑스 화가 에드가 드가는 발레리나를 그린 그림들로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그가 그의 친구이자 예술적 경쟁자이면서 뛰어난 화가였던 에두아르 마네를 시기한 것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드가는 마네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죽어라고 노력해도 제대로 되지 않는데, 그 친구는 항상 무엇을 하든 곧바로 잘 된단 말이야.”

시기는 바울 사도가 열거한 아주 나쁜 특성들 곧 “모든 불의, 추악, 탐욕, 악의, 시기, 살인, 분쟁, 사기, 악독, 수군수군하는 것”(로마서 1:29) 만큼이나 나쁜 이상한 감정입니다. 그것은 어리석은 생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바울이 말한 대로 하나님 대신 우상을 숭배한 결과입니다 (28절).

작가 크리스티나 팍스는 믿는 사람들 사이에 시기심이 생기는 것은 “우리 마음이 단 하나뿐인 진실한 사랑에서 돌아섰기 때문” 이라고 말합니다. 그녀는 말합니다. “시기심이 생기면 우리는 예수님을 바라보는 대신 이 세상의 저급한 쾌락을 좇습니다. 우리가 누구의 것인지를 사실상 잊어버린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바울은 “너희 지체를 하나님께 드리라”(로마서 6:13)라고 했습니다. 특히 우리의 일과 삶을 드려야 합니다. 다른 편지에서 바울은 이렇게 썼습니다. “각 사람은 자기 일을 살펴보십시오. 그러면 자기에게는 자랑거리가 있더라도, 남에게까지 자랑할 것은 없을 것입니다”(갈라디아서 6:4, 새번역).

하나님의 축복에 감사하십시오. 물질이 아니라 거저 주신 은혜에 대해 감사하십시오.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을 보면 다시금 만족감을 갖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6:11-14
각 사람은 자기 일을 살펴보십시오.
갈라디아서 6:4, 새번역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 영적 은사, 그리고 축복 중에 감사하는 것을 잊었던 것이 있습니까? 주신 것들을 헤아려보며 하나님께로 다시 돌이킬 때 어떤 마음이 들까요?

.

Daily Article

06/21/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3–5 and ACTS 5:22–42
Hymn: 429(old 489)

Ending Envy

The famous French artist Edgar Degas is remembered worldwide for his paintings of ballerinas. Less known is the envy he expressed of his friend and artistic rival Édouard Manet, another master painter. Said Degas of Manet, “Everything he does he always hits off straightaway, while I take endless pains and never get it right.”

It’s a curious emotion, envy—listed by the apostle Paul among the worst traits, as bad as “every kind of wickedness, sin, greed, hate, envy, murder, quarreling, deception, malicious behavior, and gossip” (ROMANS 1:29 NLT ). It results from foolish thinking, Paul writes—the result of worshiping idols instead of worshiping God (V 28).

Author Christina Fox says that when envy develops among believers, it’s “because our hearts have turned from our one true love.” In our envy, she said, “we are chasing after the inferior pleasures of this world instead of looking to Jesus. In effect, we’ve forgotten whose we are.”

Yet there’s a remedy. Turn back to God. “Offer every part of yourself to him,” Paul wrote (ROMANS 6:13)—your work and life especially. In another of his letters Paul penned, “Each one should test their own actions. Then they can take pride in themselves alone, without comparing themselves to someone else” (GALATIANS 6:4).

Thank God for His blessings—not just things, but for the freedom of His grace. Seeing our own Godgiven gifts, we find contentment again.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Romans 6:11–14
Each one should test their own actions.
Galatians 6:4

What talents, spiritual gifts, and blessings has God given you that you’ve forgotten to appreciate? Reflecting on them, how does your heart feel as you return to God?

.

오늘의 말씀

06/20/2019     목요일

성경읽기: 에 1-2; 행 5:1-21
찬송가: 70(통 76)

폭풍 속에서 함께 하심

식구가 여섯 명인 우리 교회 한 교인의 집이 완전히 불타버렸습니다. 아버지와 아들은 살아남았지만, 아버지는 아직 입원 중이고 그의 아내와 어머니, 그리고 어린 두 자녀는 목숨을 잃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런 가슴 아픈 사건들은 반복해서 계속 일어납니다. 그런 일이 일어날 때마다 묻게 되는 오래된 질문이 있습니다. ‘왜 좋은 사람들에게 나쁜 일이 일어날까?’ 그리고 이 오래된 질문에 새로운 답이 없다는 것도 그리 놀랍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편 46편의 저자가 언급한 진리 또한 지금껏 계속 되풀이되고 반복하며 받아들여져 왔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힘이시니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이시라”(1절). 2절과 3절에 기록된 땅과 산이 요동치며 바닷물이 맹렬히 넘쳐나는 상황은 큰 재앙과도 같습니다. 이 시적으로 묘사된 폭풍우 한가운데에 우리가 있다고 상상만 해도 오싹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우리는 그러한 상황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불치병으로 극심한 고통을 당하거나 엄청난 경제적 위기에 시달릴 때,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으로 망연자실한 경우 등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함께 계시지 않아서 어려움이 생겼다고 쉽게 합리화합니다. 그러나 그런 생각은 성경의 진리와 상반됩니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야곱의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7,11절). 그분은 우리가 견딜 수 없는 상황에 있을 때 우리와 함께 하시며, 선하시고 사랑하시며 신뢰할 수 있는 그분의 성품 안에서 우리는 위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야곱의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
시편 46:7

살면서 힘든 일로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의심해본 적이 있었습니까?
무엇이 그런 상황을 바꾸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돌보심과 함께 하심을 느끼기 힘들 때 아버지의 진리의 말씀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20/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STHER 1–2 and ACTS 5:1–21
Hymn: 70(old 76)

Present in the Storm

Fire swept through the home of a family of six from our church. Although the father and son survived, the father was still hospitalized while his wife, mother, and two small children were laid to rest. Unfortunately, heartbreaking events like this continue to happen again and again. When they’re replayed, so is the age-old question: Why do bad things happen to good people? And it doesn’t surprise us that this old question doesn’t have new answers.

Yet the truth that the psalmist puts forth in Psalm 46 has also been replayed and rehearsed and embraced repeatedly. “God is our refuge and strength,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V 1). The conditions described in verses 2–3 are catastrophic—earth and mountains moving and sea waters raging. We shudder when we imagine being in the midst of the stormy conditions poetically pictured here. But sometimes we do find ourselves there—in the swirling throes of a terminal illness, tossed about by a devastating financial crisis, stung and stunned by the deaths of loved ones.

It’s tempting to rationalize that the presence of trouble means the absence of God. But the truth of Scripture counters such notions.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the God of Jacob is our fortress” (VV 7, 11). He is present when our circumstances are unbearable, and we find comfort in His character: He is good, loving, and trustworthy.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46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the God of Jacob is our fortress.
Psalm 46:7

When did a challenge in life cause you to question if God was present?
What helped to turn the situation around for you?

Father, help me to trust the truth of Your Word when it’s hard for me to sense Your care or presence.

오늘의 말씀

06/19/2019     수요일

성경읽기: 느 12-13; 행 4:23-37
찬송가: 186(통 176)

우리의 약점

앤 쉬프 밀러는 1999년에 90세로 세상을 떠났지만, 사실 1942년에 유산 후 생긴 패혈증이 어떤 치료로도 낫지 않아 거의 죽을 뻔했었습니다. 그때 같은 병원에 있던 어떤 환자가 놀라운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과학자를 알고 있다고 해서, 담당 의사는 앤이 그 약을 소량이라도 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놀랍게도 약을 투여한 지 하루도 되지 않아 앤의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페니실린이 앤의 생명을 구한 것입니다.

모든 인류는 타락한 이후에 죄가 가져다준 영적인 황폐함을 겪고 있다가 (로마서 5:12) 오직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성령님의 능력으로 우리가 고침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8:1-2). 성령님은 우리가 이 땅에서, 그리고 영원히 하나님과 함께 풍성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해주십니다(3-10절).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 (11절).

우리의 죄성 때문에 생명이 시들어갈 때 구원의 근원 되시는 예수님을 바라보고 성령님의 능력으로 강건해지십시오(11-17절).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26-27절).

오늘의 성구

로마서 8:1-2, 10-17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로마서 8:26

그리스도의 생명과 성령님의 능력을 경험해야 할 부분이 어디입니까?
성령님이 함께 하시고 역사하고 계신다는 것을 어떻게 더 잘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아들이신 예수님을 선물로 주시고 아버지 안에서 진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성령님의 능력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9/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2–13 and ACTS 4:23–37
Hymn: 186(old 176)

In Our Weakness

Although Anne Sheafe Miller died in 1999 at the age of 90, she nearly passed away in 1942 after developing septicemia following a miscarriage and all treatments proved to be unsuccessful. When a patient at the same hospital mentioned his connection to a scientist who’d been working on a new wonder drug, Anne’s doctor pressed the government to release a tiny amount for Anne. Within a day, her temperature was back to normal! Penicillin had saved Anne’s life.

Since the fall, all human beings have experienced a devastating spiritual condition brought about by sin (ROMANS 5:12). Only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and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as made it possible for us to be healed (8:1–2). The Holy Spirit enables us to enjoy abundant life on earth and for eternity in the presence of God (VV 3–10). “And if the Spirit of him who raised Jesus from the dead is living in you, he who raised Christ from the dead will also give life to your mortal bodies because of his Spirit who lives in you” (V 11).

When your sinful nature threatens to drain the life out of you, look to the source of your salvation, Jesus, and be strengthened by the power of His Spirit (VV 11–17).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and “intercedes for God’s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God” (VV 26–27). - RUTH O'REILLY-SMITH

Today's Reading

Romans 8:1–2, 10–17
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t weakness.
Romans 8:26

In what area do you need to experience the life of Christ and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ow can you be more aware of the presence and work of the Holy Spirit?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the gift of Your Son and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o enables me to enjoy real life in You.

오늘의 말씀

06/18/2019     화요일

성경읽기: 느 10-11; 행 4:1-22
찬송가: 498(통 275)

악인 구원하기

만화책에 나오는 영웅은 변함없이 인기가 있습니다. 2017년 한 해에만 슈퍼 영웅이 나오는 여섯 편의 영화가 미국에서 40억 달러 이상의 흥행 수입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왜 사람들이 대형 액션 영화들에 그렇게 빠져드는 것일까요?

그것은 아마도 그런 이야기들이 하나님의 위대한 이야기와 어느 정도 닮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나님의 이야기에도 영웅과 악인, 구원 받아야 할 사람들, 그리고 흥미로운 액션이 많이 있습니다.

그 이야기에서 가장 강력한 악인은 우리 영혼의 적인 사탄입니다. 또한 “조무래기” 악당들도 많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다니엘서의 느부갓네살 왕이 그중 하나인데, 그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왕이었으며 자신의 거대한 신상에 엎드려 절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나 죽이기로 작정하였습니다(다니엘 3:1-6). 세 명의 용감한 유대인 관리가 그것을 거부했을 때(12-18절) 하나님은 맹렬히 타는 풀무불에서 그들을 극적으로 구해주셨습니다(24-27절).

하지만 놀랍게도 우리는 이 악인의 마음이 바뀌기 시작하는 것을 봅니다. 이 극적인 광경을 보며 느부갓네살은 이렇게 반응합니다.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28절).

그러고 나서 왕은 하나님께 반항하는 사람은 누구나 다 죽이겠다고 위협했습니다(29절). 하나님은 그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으셨는데 왕은 그것을 아직 이해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느부갓네살 왕은 4장에서 하나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지만, 이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느부갓네살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단순히 악인이 아니라 영적인 여정을 걷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구원 이야기에서 우리의 영웅이신 예수님은 우리 가운데 있는 악인들을 포함하여 구원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다가가십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3:26-30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 그가 그의 천사들을 보내사......종들을 구원하셨도다
다니엘 3:28

하나님의 구원이 필요한 사람을 알고 있습니까? 그 사람을 돕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은 자신을 박해한 자들을 위해 기도하셨다. 우리도 그렇게 할 수 있다.

Daily Article

06/18/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0–11 and ACTS 4:1–22
Hymn: 498(old 275)

Rescuing Villains

The comic book hero is as popular as ever. In 2017 alone, six superhero movies accounted for more than $4 billion (US) in box office sales. But why are people so drawn to big action flicks?

Maybe it’s because, in part, such stories resemble God’s Big Story. There’s a hero, a villain, a people in need of rescue, and plenty of riveting action.

In this story, the biggest villain is Satan, the enemy of our souls. But there are lots of “little” villains as well. In the book of Daniel, for example, one is Nebuchadnezzar, the king of much of the known world, who decided to kill anyone who didn’t worship his giant statue (DANIEL 3:1–6). When three courageous Jewish officials refused (VV 12–18), God dramatically rescued them from a blazing furnace (VV 24–27).

But in a surprising twist, we see this villain’s heart begin to change. In response to this spectacular event, Nebuchadnezzar said, “Praise be to the God of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V 28).

But then he threatened to kill anyone who defied God (V 29), not yet understanding that God didn’t need his help. Nebuchadnezzar would learn more about God in chapter 4—but that’s another story.

What we see in Nebuchadnezzar isn’t just a villain, but someone on a spiritual journey. In God’s story of redemption, our hero, Jesus, reaches out to everyone needing rescue— including the villains among u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Daniel 3:26–30
Praise be to the God of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who has sent his angel and rescued his servants!
Daniel 3:28

Who do you know in need of God’s rescue? What can you do to help?

Jesus prayed for those who persecuted Him. We can do the same.

오늘의 말씀

06/17/2019     월요일

성경읽기: 느 7-9; 행 3
찬송가: 288(통 204)

막대기 그림의 교훈

내 친구, 아니, 사실은 상담자가 종이 위에 막대기 그림 하나를 그려 놓고 그 위에 “숨겨진” 자아라고 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그림 둘레에 약 반 인치(약 1.3 센티미터) 더 큰 외곽선을 그려놓고는 “드러난” 자아라고 표시하였습니다. 두 그림의 차이, 즉 숨겨진 자아와 드러난 자아의 차이가 우리가 어느 정도 진실한가를 보여줍니다.

나는 친구의 가르침을 잠시 생각해 보다가 궁금했습니다. ‘나는 사람들 앞에서나 나 혼자 있을 때 한결같은가? 나는 진실한 사람인가?’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사랑과 훈계를 잘 엮어가며 예수님처럼 되라고 가르쳤습니다. 바울은 그 편지(고린도후서)를 마무리하면서 글로는 담대하지만 직접 만나면 유약하다고 그의 진실성을 지적하는 비난자들에 관해 썼습니다(10:10). 그 비난자들은 자신들의 전문적인 웅변술을 써서 사람들에게서 돈을 취했습니다. 반면에 바울은 학문적으로 뛰어났음에도 말은 단순하고 알아듣기 쉽게 했습니다. 바울은 이전에 보낸 편지에서 “내 말과 내 전도함이 설득력 있는 지혜의 말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성령의 나타나심과 능력으로 하여”(고린도전서 2:4)라고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보낸 편지에서 그의 진실성을 밝히 보여주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우리가 떠나 있을 때에 편지로 쓰는 말과 함께 있을 때에 행하는 일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고린도후서 10:11, 새번역).

바울은 사람들 앞에서나 혼자 있을 때 한결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0:1-11
우리가 떠나 있을 때에 편지들로 말하는 것과 함께 있을 때에 행하는 일이 같은 것임을 알지라
고린도후서 10:11

우리는 어떻게 숨겨진 모습과 드러난 모습이 하나가 되게 하고 있습니까? 그렇게 온전한 진실함으로 하나님을 더욱 영화롭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혼자 있을 때 하나님 앞에서 먼저 솔직하고, 사람들 앞에서도 제 모습을 진실하게 보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7/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7–9 and ACTS 3
Hymn: 288(old 204)

Stick-Figure Lesson

A friend of mine—okay, it was my counselor—drew a stick figure on a sheet of paper. She labeled this the “private” self. Then she drew an outline around the figure, about a half-inch larger, and named it the “public” sel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igure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lves, represents the degree to which we have integrity.

I paused at her lesson and wondered, Am I the same person in public that I am in private? Do I have integrity?

Paul wrote letters to the church in Corinth, weaving love and discipline into his teachings to be like Jesus. As he neared the end of this letter (2 CORINTHIANS), he addressed accusers who challenged his integrity by saying he was bold in his letters but weak in person (10:10). These critics used professional oratory to take money from their listeners. While Paul possessed academic prowess, he spoke simply and plainly. “My message and my preaching were not with wise and persuasive words,” he had written in an earlier letter, “but with a demonstration of the Spirit’s power” (1 CORINTHIANS 2:4). His later letter revealed his integrity: “Such people should realize that what we are in our letters when we are absent, we will be in our actions when we are present” (2 CORINTHIANS 10:11).

Paul presented himself as the same person in public that he was in private. How about u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0:1–11
What we are in our letters when we are absent, we will be in our actions when we are present.
2 Corinthians 10:11

In what ways are you integrating your private and public life? How might you honor God even more fully with complete integrity?

Dear God, help me to be myself first to You in private, that I might present myself with integrity as the same person in public.

오늘의 말씀

06/16/2019     주일

성경읽기: 느 4-6; 행 2:22-47
찬송가: 90(통 98)

우리를 아시는 구세주

“아빠, 지금 몇 시에요?” 아들이 뒷좌석에서 물었습니다. “5시 30분이야.” 나는 아들이 다음에 무슨 말을 할지 정확히 알고 있었습니다. “아니, 5시 28분이에요!”라고 하며 아들 얼굴이 환해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이의 환한 웃음은 ‘제가 맞았지요!’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나 역시 기뻤습니다. 이는 부모만이 자신의 아이를 알기 때문에 누릴 수 있는 기쁨입니다.

여느 세심한 부모처럼 나도 우리 아이들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잠을 깨울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점심엔 무엇을 먹고 싶어 하는지를 압니다. 그리고 수많은 관심사나 바라는 것들,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결코 주님이 우리를 아시는 것만큼 아이들의 겉과 속을 완전히 알 수는 없을 것입니다.

요한복음 1장에서 우리는 예수님이 자기 백성들을 얼마나 자세히 알고 계신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만나보라는 빌립의 간절한 권유로 나다나엘이 예수님 앞에 나아가자 예수님은 이렇게 선포하셨습니다. “이는 참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47절). 이에 나다나엘이 깜짝 놀라며 반응했습니다. “저를 어떻게 아십니까?” 그러자 예수님은 약간 의아하게도 무화과나무 밑에 있는 그를 보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48절).

예수님이 왜 이 이야기를 하셨는지 우리는 알 수 없지만 나다나엘은 알았던 것 같습니다! 너무나 감격한 나다나엘은 “랍비여,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49절)라고 대답했습니다.

예수님은 이처럼 남들이 나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대로 우리 각자를 자세히, 완전히, 그리고 정확히 아십니다. 주님은 우리를 온전히 받아들이셔서 우리가 주님의 제자가 될 뿐 아니라 사랑하는 친구가 되라고 부르고 계십니다(요한복음 15:15).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3-51
나다나엘이 이르되 어떻게 나를 아시나이까
요한복음 1:48

예수님이 우리의 속과 겉을 속속들이 잘 아신다는 것이 어떤 느낌을 갖게 해주나요?

예수님, 주님을 따르는 모험의 길로 불러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6/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4–6 and ACTS 2:22–47
Hymn: 90(old 98)

The Savior Who Knows Us

“Dad, what time is it?” my son asked from the back seat. “It’s 5:30.” I knew exactly what he’d say next. “No, it’s 5:28!” I watched his face light up. Gotcha! his beaming smile said. I felt delight too—the kind that comes from knowing your child the way only a parent can.

Like any attentive parent, I know my children. I know how they’ll respond when I wake them up. I know what they’ll want in their lunches. I know countless interests, desires, and preferences.

But for all that, I'll never know them perfectly, inside and out, the way our Lord knows us.

We catch a glimpse of the kind of intimate knowledge Jesus has of His people in John 1. As Nathanael, who Philip had urged to meet Jesus, moved toward Him, Jesus pronounced, “Here truly is an Israelite in whom there is no deceit” (V 47). Startled, Nathanael responded, “How do you know me?” Somewhat mysteriously, Jesus replied that He’d seen him under the fig tree (V 48).

We may not know why Jesus chose to share this particular detail, but it seems Nathaniel did! Overwhelmed, he responded, “Rabbi, you are the Son of God” (V 49).

Jesus knows each of us like this: intimately, completely, and perfectly—the way we long to be known. And He accepts us completely—inviting us to be, not only His followers, but His beloved friends (JOHN 15:15). - ADAM HOLZ

Today's Reading

John 1:43–51
"How do you know me?" Nathanael asked.
John 1:48

How does it make you feel that you’re fully known, inside and out, by Jesus?

Jesus, thank You for inviting me into the adventure of following You.

오늘의 말씀

06/15/2019     토요일

성경읽기: 느 1-3; 행 2:1-21
찬송가: 424(통 216)

상처 주는 말

“말라깽이, 말라깽이.” 남자 아이가 놀려댔습니다. “막대기.” 라며 다른 아이가 거들었습니다. 나는 이렇게 외치며 되받아칠 수 있었겠지요. “막대기와 돌로 내 뼈를 부러뜨릴 수는 있지만 말로는 절대로 상처 받지 않아.” 그러나 비록 어린 여자 아이였어도 나는 널리 알려진 이 문구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무례하고 분별없이 하는 말들은 정말 상처를 줍니다. 때로는 그것이 돌이나 막대기로 맞아 부풀어 오른 것보다 훨씬 더 깊고 오래 가는 상처로 남습니다.

한나는 분별없이 하는 말들이 상처를 준다는 것 을 분명히 알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남편 엘가나에게서 사랑은 받았지만 자식이 없었습니다. 반면, 둘째 부인 브닌나에게는 여러 자녀가 있었습니다. 자녀가 있느냐의 여부로 여성의 가치를 판단하던 문화 속에서 브닌나는 한나가 아이를 가지지 못한다는 이유로 계속 그녀를 “격분시켰습니다”. 브닌나는 한나가 울면서 먹을 수 없을 때까지 계속 그렇게 했습니다 (사무엘상 1:6-7).

엘가나는 아마도 좋은 의도로 그렇게 했겠지만, “한나여 어찌하여 우느냐......내가 그대에게 열 아들보다 낫지 아니하냐”(8절)라며 생각 없이 보인 그의 반응은 한나에게 여전히 상처가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한나처럼 상처를 주는 말의 후유증으로 바로 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아마도 받은 상처에 대한 대응으로 자신들의 말로 상대방을 심하게 비난하고 상처를 주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사랑이 많으시고 자비로우신 우리 하나님께로 달려가 힘과 치유를 간구해야 합니다(시편 27:5, 12-14). 하나님은 사랑과 은혜의 말을 하는 우리를 보시고 사랑하며 기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1-8
칼로 찌름 같이 함부로 말하는 자가 있거니와 지혜로운 자의 혀는 양약과 같으니라
잠언 12:18

언제 무례한 말에 상처를 받았습니까? 무엇이 그 상처를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까? 은혜 가득한 말을 들어야 할 사람이 누구입니까?

주님, 주님 안에서 치유와 소망을 얻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우리의 상처를 주님께 가져올 수 있게 하시고 말할 때 언제나 조심하게 하소서. 말하기 전에 먼저 생각할 수 있는 지혜와 인내를 주소서.

Daily Article

06/15/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EHEMIAH 1–3 and ACTS 2:1–21
Hymn: 424(old 216)

Words that Wound

“Skinny bones, skinny bones,” the boy taunted. “Stick,” another chimed. In return, I could have chanted “sticks and stones may break my bones, but words will never hurt me.” But even as a little girl, I knew the popular rhyme wasn’t true. Unkind, thoughtless words did hurt—sometimes badly, leaving wounds that went deeper and lasted much longer than a welt from a stone or stick.

Hannah certainly knew the sting of thoughtless words. Her husband, Elkanah, loved her, but she had no children, while his second wife, Peninnah, had many. In a culture where a woman’s worth was often based on having children, Peninnah made Hannah’s pain worse by continually “provoking her” for being childless. She kept it up until Hannah wept and couldn’t eat (1 SAMUEL 1:6–7).

And Elkanah probably meant well, but his thoughtless response, “Hannah, why are you weeping? . . . Don’t I mean more to you than ten sons?” (V 8) was still hurtful.

Like Hannah, many of us have been left reeling in the wake of hurtful words. And some of us have likely reacted to our own wounds by lashing out and hurting others with our words. But all of us can run to our loving and compassionate God for strength and healing (PSALM 27:5, 12–14). He lovingly rejoices over us—speaking words of love and grace.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1 Samuel 1:1–8
The words of the reckless pierce like swords, but the tongue of the wise brings healing.
Proverbs 12:18

When have you been hurt by unkind words? What helped you to heal? Who needs to hear your grace-filled words?

Lord, thank You for the healing and hope we find in You! Help us to bring our hurts to You—and always to be mindful of the words we say. Giveus the wisdom and patience to think before speaking.

오늘의 말씀

06/14/2019     금요일

성경읽기: 스 9-10; 행 1
찬송가: 366(통 485)

명쾌한 소통

아시아를 여행하던 중에 읽을 자료와 업무 문서를 많이 저장해둔 내 아이패드가 갑자기 작동을 멈춰버렸습니다. “깜깜한 죽은 화면”이라고 하는 경우였습니다. 도움을 구하던 중 컴퓨터 가게 하나를 발견했지만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였습니다. 나는 중국어를 못하고 수리기사는 영어를 하지 못했습니다. 해결책은요? 기사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하나를 열었는데 그가 중국어로 입력하면 나는 그것을 영어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 다음에는 반대로 내가 영어로 입력하면 그가 중국어로 읽었습니다. 소프트웨어 덕분에 우리는 서로 다른 언어로도 명쾌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기도할 때 나는 내 마음을 전달하고 표현할 수 없다는 느낌을 가질 때가 가끔 있습니다. 나만이 그런 것은 아닙니다. 때때로 많은 사람들이 기도하며 힘들어 합니다. 그러나 바울 사도는 이렇게 말합니다.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로마서 8:26-27).

성령이 얼마나 놀라운 선물인지 모릅니다! 성령은 그 어떤 컴퓨터 프로그램보다 더 잘 나의 생각과 바람을 하나님 아버지의 목적에 맞게 분명하게 전달해주십니다. 성령께서 역사하심으로 기도가 제대로 드려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18-27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로마서 8:26

기도생활을 하며 어떤 어려움을 겪으셨습니까? 하나님께 더욱 열심히 기도하려 할 때 어떻게 성령님께 의지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성령을 선물로 주셔서 기도할 수 있는 특권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어떻게 기도해야할지 모를 때 성령님께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4/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9–10 and ACTS 1
Hymn: 366(old 485)

Clear Communication

While traveling in Asia, my iPad (containing my reading material and many work documents) suddenly died, a condition described as “the black screen of death.” Seeking help, I found a computer shop and encountered another problem—I don’t speak Chinese and the shop’s technician didn’t speak English. The solution? He pulled up a software program in which he typed in Chinese, but I could read it in English. The process reversed as I responded in English and he read in Chinese. The software allowed us to communicate clearly, even in different languages.

At times, I feel like I’m unable to communicate and express my heart when I pray to my heavenly Father—and I’m not alone. Many of us struggle sometimes with prayer. But the apostle Paul wrote,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through wordless groans. And he who searches our hearts knows the mind of the Spirit, because the Spirit intercedes for God’s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God” (ROMANS 8:26–27).

How amazing is the gift of the Holy Spirit! Better than any computer program, He clearly communicates my thoughts and desires in harmony with the Father’s purposes. The work of the Spirit makes prayer work!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Romans 8:18–27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through wordless groans.
Romans 8:26

What challenges have you experienced in your prayer life? How can you lean on the Holy Spirit as you seek to pray more passionately to God?

Father, I thank You for the gift of Your Spirit and the privilege of prayer. Help me to lean on Your Spirit in moments when I don’t know how to pr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