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02/2019 금요일
쓰레기에서 보물로
주말에 “도서관 이용시간”이 되면 동네 아이들이 이 집으로 몰려옵니다. 책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각 방들을 돌아다니며 아이들은 이 허름한 집을 그냥 호세 아저씨의 집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소중한 보물의 집인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이들도 이와 같습니다. 보잘것없는 진흙으로 빚어진 우리는 금이 가고 쉽게 부서집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상하고 망가진 세상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게 하는 권능의 성령이 머무는 집으로 우리를 믿고 정하셨습니다. 평범하고 망가지기 쉬운 사람들에게 그 일은 매우 큰 사명입니다.
바울 사도는 옛 도시 고린도에서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심히 큰 능력은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고린도후서 4:7)고 성도들에게 말했습니다. 바울은 그들도 그 지역 사람들의 성향을 그대로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을 전파하려는” 충동에 쉽게 빠질 수 있다고 했습니다(5절).
그러나 바울은 오히려 우리 안에 사시는 존귀하신 그분에 대해 사람들에게 전하라고 말합니다. 우리의 평범한 삶을 말할 수 없이 소중한 보고로 바꾸는 것은 바로 그분, 그리고 모든 것을 능가하시는 그분의 권능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4:5-7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 릇에 가졌으니 이는 심 히 큰 능력은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
고린도후서 4:7
우리 안에 성령이라는 보물이 있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해줍니까? 그분이 우리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해주신다는 것을 알 때 얼마나 힘이 됩니까?
예수님, 평범한 우리 삶을 주의 성령으로 충만케 하소서.
Daily Article
08/02/2019 FRIDAY
From Trash to Treasure
Local kids crowd into the house during weekend “library hours.” Prowling through every room, each packed with books, the children recognize the humble home as more than Señor Jose’s house— it’s a priceless treasury.
The same is true for every follower of Christ. We’re made of humble clay—marred by cracks and easily broken. But we’re entrusted by God as a home for His empowering Spirit, who enables us to carry the good news of Christ into a hurting, broken world. It’s a big job for ordinary, fragile people.
“We have this treasure in jars of clay to show that this all-surpassing power is from God and not from us” (2 CORINTHIANS 4:7), the apostle Paul told his congregation in the ancient city of Corinth. They were a cross section of people from across this region, so many might have been tempted to “go around preaching about [them]selves,” Paul said (V 5 NLT ).
Instead, Paul said, tell others about the priceless One living inside of us. It’s Him and His all-surpassing power that turns our ordinary lives into a priceless treasury.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4:5–7We have this treasure in jars of clay to show that this all-surpassing power is from God and not from us.
2 Corinthians 4:7
What does it mean to you that you have a treasure, the Holy Spirit, inside you?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that He enables us to share the good news?
Jesus, fill up my ordinary life with the power of Your Spirit.
오늘의 말씀
08/01/2019 목요일
불도그와 스프링클러
피피의 주인이 끈 을 풀어주면 불도그는 온 힘을 다해 가장 가까운 스프링클러로 달려가 물줄기에 달려 들어 얼굴을 흠뻑 적십니다. 피피가 스프링클러를 먹을 수만 있다면 아마도 먹을 것 같습니다. 이 장면은 피피가 물에 대해 결코 질리지 않고 흠뻑 젖어보고 싶어 하는, 무언가로 완전히 채우고자 하는 한없는 욕구를 보여줍니다.
성경에는 불도그도 스프링클러도 등장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 에베소서 3장에 있는 바울의 기도는 피피를 생각나게 합니다. 바울은 그의 기도에서 에베소 교회 성도들이 하나님의 사랑으로 가득 채워져 “능히 모든 성도와 함께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그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 우리가 “하나님의 모든 충만하신 것으로 충만하게” 되기를 기도하고 있습니다(18-19절).
오늘날까지도 우리는 다 이해할 수 없는 무한한 사랑의 하나님을 경험하여 그분의 선하심에 흠뻑 젖고 채워져 온전한 기쁨을 누리라는 초대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마음과 삶을 사랑과 의미와 목적으로 채우실 수 있는 유일하신 그분과의 관계 속으로 자유롭고 즐겁고 기쁜 마음으로 뛰어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3:14-21하나님의 모든 충만하 신 것으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시기를 구하노라
에베소서 3:19
해변에서 파도 속으로 뛰어들었던 경험이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무한하신 사랑을 어떻게 상징해줄까요?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벽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입니까?
하나님, 무한하고 충만한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향하신 하나님의 사랑을 알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01/2019 THURSDAY
The Bulldog and the Sprinkler
Fifi’s owner lets her off her leash. The bulldog sprints with all her might to the nearest sprinkler, attacking the stream of water as it douses her face. If Fifi could eat the sprinkler, I think she would. It’s a portrait of utter exuberance, of Fifi’s seemingly infinite desire to be drenched by the liquid she can never get enough of.
There are no bulldogs in the Bible, or sprinklers. Yet, in a way, Paul’s prayer in Ephesians 3 reminds me of Fifi. There, Paul prays that the Ephesian believers might be filled with God’s love and “have power, together with all the Lord’s holy people, to grasp how wide and long and high and deep is the love of Christ.” He prayed that we might be “filled to the measure of all the fullness of God” (VV 18–19).
Still today, we’re invited to experience a God whose infinite love exceeds anything we can comprehend, that we too might be drenched, saturated, and utterly satisfied by His goodness. We’re free to plunge with abandon, relish, and delight into a relationship with the One who alone can fill our hearts and lives with love, meaning, and purpose. - ADAM HOLZ
Today's Reading
Ephesians 3:14–21I pray that you … may be filled to the measure of all the fullness of God
Ephesians 3:17, 19
How does the experience of plunging into waves at a beach symbolize the immensity of God’s love for you? What barriers do you think potentially keep you from experiencing God’s love?
God, thank You for Your infinite and satisfying love. Please help us to know and experience the love You have for each one of us.
오늘의 말씀
07/01/2019 월요일
너 지금 배고프니?
“만일 사람이 믿음이 있노라 하고 행함이 없으면 무슨 유익이 있으리요” 라고 묻고 있는 야고보서 2:14-18 말씀을 읽을 때, 토마스는 자기 나라의 한 어린 여자아이가 “엄마, 나 지금 배고파!” 하고 외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자신이 어렸을 때 너무 배가 고파 쓰레기통을 뒤져 먹을 것을 찾던 일이 기억났습니다. 토마스는 배고픈 아이들을 돕기 위해 몇 년을 더 기다릴 수 없어서 “지금 당장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토마스가 시작한 보육원에는 지금 50명의 어린이들이 양질의 급식과 보살핌 아래 예수님에 대해 배우고 또 일반 교육도 받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하라고 하신 일이 무엇인지 알았던 한 사람이 그 일을 미루지 않았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입니다.
야고보의 메시지는 우리에게도 적용이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때 우리는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님과 교제할 수 있고 풍성한 삶과 희망 찬 미래를 누리게 됩니다. 그렇지만 도움이 절실한 사람들에게 실제로 다가가 도와주지 않는다면 그 믿음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나 지금 배고파”라는 외침이 들리지 않습니까?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2:14-18내 형제들아 만일 사람이 믿음이 있노라 하고 행함이 없으면 무슨 유익이 있으리요
야고보서 2:14
주위에 당신 마음을 울리는 어떤 도움이 필요한 일이 있습니까? 비록 하찮게 보일지라도,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어떤 일입니까?
하나님, 우리 발걸음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향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소서. 이 땅에서 우리가 하나님의 사역에 참여할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01/2019 Monday
Are You Hungry Now?
Then, after reading James 2:14–18 in which the apostle asks, “What good is it . . . if someone claims to have faith but has no deeds?” Thomas heard a little girl in his native country cry out to her mother: “But Mommy, I’m hungry now!” He was reminded of the times he had been intensely hungry as a child—searching through trash cans for food. Thomas knew he couldn’t wait years to help. He decided, “I’ll start now!”
Today the orphanage he began houses fifty well-fed and cared for children who are learning about Jesus and getting an education—all because one man didn’t put off what he knew God was asking him to do.
James’s message applies to us as well. Our faith in Jesus Christ provides us with great advantages—a relationship with Him, an abundant life, and a future hope. But what good is it doing anyone else if we don’t reach out and help those in need? Can you hear the cry: “I’m hungry now?”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ames 2:14–18What good is it, my brothers and sisters, if someone claims to have faith but has no deeds?
James 2:14
What needs around you touch your heart? What’s one thing you can do to help others—even if it seems insignificant?
Direct my steps, O God, toward the actions You want me to take to help someone in need.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be a part of Your work on earth.
오늘의 말씀
06/30/2019 주일
새 렌즈를 통하여
성경을 읽을 때 어떤 부분들은 안경 없이 나무를 보는 것처럼 흐릿해 보입니다. 그래서 볼 것이 그리 많지 않아 보입니다. 그러나 자세한 것을 알게 되면 지루해 보였던 구절이 아름답게 드러나 보이기도 합니다.
내가 출애굽기를 읽을 때 그랬습니다.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하나님이 거하실 임시처소인 성막을 짓기 위해 하나님이 내리신 지시들은 지루할 만큼 자세하여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등잔대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시는 25장 끝 부분에서 나는 잠시 멈추었습니다. 등잔대의 밑받침과 줄기, 등잔, 꽃받침, 그리고 꽃은 “순금으로” 만들어야 했고(31절), 등잔은 “살구꽃 형상”이어야 했습니다(34절).
살구나무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 자연의 아름다움을 성막에 포함시키신 것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창조물을 통해 보이고 알려지게 된다고 기록했습니다 (로마서 1:20).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보려면 때로는 새 렌즈를 끼고 하나님의 창조물과 성경의 재미없어 보이는 구절들을 보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5:31-40그(하나님)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려졌나니
로마서 1:20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새롭게 보려면 어떻게 성경을 보아야 할까요?
하나님의 아름다운 창조물이 어떻게 당신을 하나님께 더 가까이 이끌어주었나요?
.
Daily Article
06/30/2019 Sunday
Through a New Lens
When reading Scripture, I view certain books like I do when I look at trees without my glasses. There doesn’t seem to be much to see. But noticing details can reveal the beauty in what might seem to be a boring passage.
This happened to me when I was reading Exodus. God’s directions for building the tabernacle—His temporary dwelling place among the Israelites —can seem like a blur of boring details. But I paused at the end of chapter 25 where God gave directions for the lampstand. It was to be hammered out “of pure gold,” including its base and shaft and its flowerlike cups, buds, and blossoms (V 31). The cups were to be “shaped like almond flowers” (V 34).
Almond trees are breathtaking. And God incorporated that same natural beauty into His tabernacle!
Paul wrote, “God’s invisible qualities—his eternal power and divine nature” are seen and understood in creation (ROMANS 1:20). To see God’s beauty, sometimes we have to look at creation, and what might seem like uninteresting passages in the Bible, through a new lens. - JULIE SCHWAB
Today's Reading
Exodus 25:31–40God's invisible qualities-his eternal power and divine nature-have been clearly seen, being understood from what has been made.
Romans 1:20
How can you look at Scripture in a new way to see God’s beauty in it?
How has God’s beautiful creation drawn you closer to Him?
.
오늘의 말씀
06/29/2019 토요일
상어가 물지 않을 때
잠언서의 한 구절을 통해 상어를 만질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가 되었습니다. “배부른 자는 꿀이라도 싫어하고 주린 자에게는 쓴 것이라도 다니라”(잠언 27:7). 배고픔, 곧 내면의 공허함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분별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를 채워주는 것이라면 심지어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게 되더라도 무엇이든 받아들여도 괜찮다는 확신을 가지게 만듭니다.
하나님은 그저 욕망을 따라 사는 것 이상의 삶을 우리에게 원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충만해서 모든 일을 주님이 주시는 평강과 안정감으로 행하기를 바라십니다. 우리는 조건 없이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늘 깨달음으로 자신감을 얻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인생에서 성공이나 재산, 인간관계 같은 “달콤한” 것들에 마음을 쓸 때 신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우리는 오직 예수님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진정한 만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를 향한 그분의 놀라운 사랑을 온전히 깨달아 우리 자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해 “하나님의 모든 충만하신 것으로 충만하게”(에베소서 3:19) 되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7:1-10배부른 자는 꿀이라도 싫어하고 주린 자에게는 쓴 것이라도 다니라
잠언 27:7
우리 삶에서 가장 절실한 것이 무엇입니까? 왜 예수님은 다른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방법으로 우리를 채워주실까요?
예수님을 생명의 양식으로 삼는 사람들은 절대 굶주리지 않는다.
Daily Article
06/29/2019 Saturday
When Sharks Won’t Bite
What I learned about shark petting makes sense according to a proverb: “One who is full loathes honey from the comb, but to the hungry even what is bitter tastes sweet” (PROVERBS 27:7). Hunger—that sense of inner emptiness—can weaken our discernment as we make decisions. It convinces us that it’s okay to settle for anything that fills us up, even if it causes us to take a bite out of someone.
God wants more for us than a life lived at the mercy of our appetites. He wants us to be filled with Christ’s love so that everything we do flows from the peace and stability He provides. The constant awareness that we’re unconditionally loved gives us confidence. It enables us to be selective as we consider the “sweet” things in life—achievements, possessions, and relationships.
Only a relationship with Jesus gives true satisfaction. May we grasp His incredible love for us so we can be “filled to the measure [with] all the fullness of God” (EPHESIANS 3:19) for our sake—and the sake of others.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roverbs 27:1–10One who is full loathes honey from the comb.
Proverbs 27:7
What are you most hungry for in life? Why does Jesus fulfill you in a way that nothing else can?
Those who see Jesus as the Bread of Life will never be hungry.
오늘의 말씀
06/28/2019 금요일
하나님의 방향 전환
사도행전 16장을 보면 하나님은 바울과 그 일행의 여정을 두 번이나 바꾸셨습니다. 처음에는 “성령이 아시아 에서 말씀을 전하지 못하게 하셨고” (6절), 그 다음에는 “그들이 무시아 앞에 이르러 비두니아로 가고자 애쓰되 예수의 영이 허락하지 아니하였습니다” (7절). 그들은 알지 못했지만 하나님은 그분의 일과 그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다른 계획을 갖고 계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의 이전 계획에 대해 ‘안 돼’라고 하셨을 때, 그들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확신 가운데 그분의 인도하심을 따르게 되었습니다(9-10절).
감당하기 힘든 손해를 당한다고 생각을 하면 누구나 처음에는 슬플 것입니다. 직장을 구하지 못했을 때, 섬길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 그리고 이전하려는 계획이 무산되어 버렸을 때 우리는 마음의 상처를 받습니다. 그런 일들이 당시에는 심각해보일 수 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 사실은 주님이 우리를 그분이 원하시는 곳으로 이끄시기 위해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방향 전환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우리는 그것에 감사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6:6-10무시아 앞에 이르러 비두니아로 가고자 애쓰되 예수의 영이 허락하지 아니하시는지라
사도행전 16:7
몹시 바라던 것을 얻지 못해 괴로워 하다가 결국은 감사로 바뀐 적이 있습니까? 그런 상황이 주님을 더 신뢰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지혜로 우리의 삶을 가장 잘 준비해 나가시는 줄 알기에 찬양을 드립니다. 아버지께서 우회로를 마련해 우리를 보호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28/2019 Friday
Divine Diversions
Twice in Acts 16 Paul and company were redirected by God. First, they were “kept by the Holy Spirit from preaching the word in the province of Asia” (V 6). Then, “When they came to the border of Mysia, they tried to enter Bithynia, but the Spirit of Jesus would not allow them to” (V 7). Unknown to them, God had other plans that would be right for His work and workers. His no to the previous plans put them in a position to listen to and be confidently led by Him (VV 9–10).
Who among us hasn’t grieved what we initially thought to be a painful loss? We’ve felt wounded when we didn’t get a certain job, when a service opportunity didn’t materialize, when a relocation got derailed. Though such things can momentarily be weighty, time often reveals that such detours are actually divine diversions that the Lord graciously uses to get us where He wants us, and we are grateful.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Acts 16:6–10They tried to enter Bithynia, but the Spirit of Jesus would not allow them to.
Acts 16:7
What loss have you grieved only to be grateful that what you desired you didn’t get? How did the situation serve to bolster your trust in the Lord?
Father, I praise You that in Your wisdom You know how to best arrange my life. Thank You for protecting me through Your detours.
오늘의 말씀
06/27/2019 목요일
밧줄 풀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찾아오는 사람을 용서할 때 우리와 그 사람은 우리가 겪었던 그 잘못이 주는 괴로움과 아픔에서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창세기를 보면 야곱이 에서의 장자권을 빼앗은 후 두 형제가 20년간 떨어져 지내게됩니다. 이 긴 세월이 지난 후 하나님은 야곱에게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말씀하십니다(창세기 31:3). 야곱은 순종했지만 겁이 나서 에서에게 많은 가축을 선물로 먼저 보냈습니다(32:13-15). 두 형제가 만났을 때 야곱은 에서에게 일곱 번이나 겸손히 절을 했습니다(33:3). 에서가 뛰어와 그를 부둥켜안았을 때 야곱이 얼마나 놀랐을지 상상해보십시오. 두 형제는 눈물을 흘리며 화해했습니다(4절). 야곱은 더 이상 자기 형에게 지은 죄에 묶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분노나 공포, 또는 수치심 때문에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고 느끼십니까? 우리가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면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 예수님과 성령님을 통해 우리를 자유롭게 하신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하나님은 우리가 어떤 밧줄이라도 풀어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그 시작을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3:1-11에서가 달려와서 그를 맞이하여 안고 목을 어긋맞추어 그와 입 맞추고 서로 우니라
창세기 33:4
자기 앞에서 엎드려 절하는 야곱을 본 에서는 어떤 감정이었을까요?
우리도 이처럼 우리가 잘못한 사람 앞에서 겸손해질 수 있을까요?
우리가 용서하여 자유롭게 해주어야 할 사람은 누구입니까?
.
Daily Article
06/27/2019 Thursday
Untying the Rope
Offering forgiveness to someone who comes to us in sorrow for their wrongdoing begins the process of releasing us and them from the bitterness and pain that can cling to us over wrongs we’ve suffered. In Genesis, we see two brothers separated for twenty years after Jacob stole Esau’s birthright. After this long time, God told Jacob to return to his homeland (GENESIS 31:3). He obeyed, but nervously, sending ahead to Esau gifts of herds of animals (32:13–15). When the brothers met, Jacob bowed at Esau’s feet seven times in humility (33:3). Imagine his surprise when Esau ran and embraced him, both of them weeping over their reconciliation (V 4). No longer was Jacob held by the sin he committed against his brother.
Do you feel imprisoned by unforgiveness, saddled with anger, fear, or shame? Know that God through His Son and Spirit can release you when you seek His help. He will enable you to begin the process of untying any ropes and setting you fre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Genesis 33:1–11But Esau ran to meet Jacob and embraced him; he threw his arms around his neck and kissed him. And they wept.
Genesis 33:4
How do you think Esau felt to see Jacob bowing before him?
Could you similarly humble yourself before someone you’ve wronged?
Who do you need to release through forgiveness?
.
오늘의 말씀
06/26/2019 수요일
우리의 추도사
전도서는 말합니다. “초상집에 가는 것이 잔칫집에 가는 것보다 나으니”(7:2). 지혜자의 마음은 초상집에 있으되”(7:4). 인생에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를 그곳에서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뉴욕 타임즈의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브룩스는 두 종류의 덕목이 있다고 말합니다. 하나는 이력서를 돋보이게 하는 덕목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장례식에서 언급되기를 바라는 덕목입니다. 두 덕목이 가끔 겹치기도 하지만 서로 다르게 보일 때가 많습니다.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언제나 추도사 쪽의 덕목을 선택하십시오.
관 속에 있는 여인에게는 이력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자녀들은 그녀가 잠언 31장과 거기에 묘사된 경건한 여인의 모습을 확연히 보여주었다고 추모하였습니다. 그녀는 자녀들에게 예수님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을 돌보라고 격려하였습니다. 바울이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 (고린도전서 11:1)고 말한 것처럼, 그 자녀들도 우리에게 예수님을 본받아 산 그들의 어머니처럼 살라고 당부하였습니다.
당신의 장례식에서는 어떤 말들을 할까요? 당신은 어떤 말들이 들리기를 원하십니까? 추도사에서 읽혀질 덕목을 세우는 데 아직도 늦지 않았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쉬십시오. 주님의 구원으로 우리는 자유롭게 되어 가장 중요한 것을 위해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7:1-6모든 사람의 끝이 이와 같이 됨이라 산 자 는 이것을 그의 마음에 둘지어다
전도서 7:2
우리는 이력서나 추도사에 영향을 줄 일을 하며 살고 있습니까?
추도사를 마음에 두고 매일을 산다면 우리의 삶이 어떻게 바뀌게 될까요?
하나님 아버지, 가장 중요한 것을 위해 살 수 있는 용기를 주소서.
Daily Article
06/26/2019 Wednesday
Your Eulogy
Ecclesiastes says, “It is better to go to a house of mourning than to go to a house of feasting” (7:2). “The heart of the wise is in the house of mourning” because there we learn what matters most (7:4). New York Times columnist David Brooks says there are two kinds of virtues: those that look good on a résumé and those you want said at your funeral. Sometimes these overlap, though often they seem to compete. When in doubt, always choose the eulogy virtues.
The woman in the casket didn’t have a résumé, but her children testified that “she rocked Proverbs 31” and its description of a godly woman. She inspired them to love Jesus and care for others. As Paul said, “Follow my example, as I follow the example of Christ” (1 CORINTHIANS 11:1), so they challenged us to imitate their mother’s life as she imitated Jesus.
What will be said at your funeral? What do you want said? It’s not too late to develop eulogy virtues. Rest in Jesus. His salvation frees us to live for what matters most.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cclesiastes 7:1–6Death is the destiny of everyone; the living should take this to heart.
Ecclesiastes 7:2
Are you living out things that will affect your résumé or your eulogy?
How would your life change if you lived each day with your eulogy in mind?
Father, give me the courage to live for what matters most.
오늘의 말씀
06/25/2019 화요일
불타는 허영
사보나롤라는 어쩌면 산상수훈 가운데 어떤 충격적인 말씀에 영감을 얻어 그런 극단적인 행동을 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만일 네 오른 눈이 너로 실족하게 하거든 빼어 내버리라......만일 네 오른 손이 너로 실족하게 하거든 찍어 내버리라”(마태복음 5:29-30). 그러나 예수님의 이 말씀을 글자 그대로 해석한다면 그 메시지의 핵심을 놓치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전체 말씀은 겉보다는 내면에 관한 교훈으로, 즉 외적인 오락과 유혹에 이끌리는 우리의 행위보다 마음의 자세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허영의 소각’이 소유물과 예술품들을 태워버리는 대단한 행사이긴 했어도, 그것으로 그 일에 관련된 사람들의 마음까지도 변화시키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마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분은 오직 하나님뿐이십니다. 그래서 시편 기자도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소서”(시편 51:10)라고 기도한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마음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21-30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시편 51:10
우리의 “허영” 목록에는 어떤 행동이나 오락거리가 들어있습니까?
그것들을 어떻게 다루려 하십니까?
사랑하는 주님, 제게 은혜 주셔서 주님께 제 마음을 복종시키고, 제 삶의 여러 허영들을 성령님의 깨끗케 하시는 불길에 내어놓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25/2019 Tuesday
Vanity on Fire
Savonarola might have found inspiration for his extreme actions in some shocking statements from the Sermon on the Mount. “If your right eye causes you to stumble, gouge it out and throw it away,” said Jesus. “And if your right hand causes you to stumble, cut it off and throw it away” (MATTHEW 5:29–30). But if we interpret Jesus’s words literally, we miss the point of the message. The entire sermon is a lesson on going deeper than the surface, to focus on the state of our hearts rather than blaming our behavior on external distractions and temptations.
The Bonfire of the Vanities made a great show of destroying belongings and works of art, but it is unlikely that the hearts of those involved were changed in the process. Only God can change a heart. That’s why the psalmist prayed, “Create in me a pure heart, O God” (PSALM 51:10). It’s our heart that counts. - REMI OYEDELE
Today's Reading
Matthew 5:21–30Create in me a pure heart, O God.
Psalm 51:10
What behaviors or distractions might be on your list of “vanities”?
How do you try to “manage” them?
Dear Lord, please give me the grace to surrender my heart to You and yield my life’s vanities to the purifyingfire of the Holy Spirit.
오늘의 말씀
06/24/2019 월요일
즐기며 시합하기
바울 사도가 에베소의 장로들에게 했던 마지막 말, “나의 달려갈 길을 기쁨으로 끝마치고자 합니다”(사도행전 20:24, 킹제임스 흠정역)라고 한 말이 생각났습니다. 바울의 목표는 예수님이 그에게 맡기신 사명을 완수하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이 구절을 나의 삶의 지침이자 기도 제목으로 삼았습니다. “나의 달려갈 길을 기쁨으로 달리고 마치게 하소서.” 아들 브라이언의 말로 하자면 “즐기면서 경기에 임하게 하소서!”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브라이언의 팀은
그 해에 주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당연히 불평할 일들이 있습니다. 좋지 않은 소식이나 일상의 스트레스, 건강 문제 등이 그런 것들입니다. 그럼에도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께 구하면 그런 상황들을 뛰어넘어 기쁨을 주십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말씀하신 “내 기쁨”(요한복음 15:11) 을 누릴 수 있습니다.
기쁨은 성령의 열매입니다(갈라디아서 5:22). 그러므로 우리는 매일 아침 잊지 말고 예수님께 “즐겁게 경기하게 하소서!”라고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작가 리처드 포스터는 말합니다. “기도는 변화를 만듭니다. 이것이 큰 은혜입니다. 우리가 기쁨에 넘쳐 살도록 인도하시는 하나님은 참으로 좋으신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22-26성령의 열매는......기쁨입니다.
갈라디아서 5:22, 새번역
왜 풀이 죽어 있습니까?
어디에서 기쁨을 찾고 있습니까?
하나님, 우리 눈을 하나님께로 향합니다. 우리에게 신실하신 하나님을 의지할 수 있어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기쁨 안에 거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24/2019 Monday
Playing with Joy
I thought of the apostle Paul’s last words to the elders of Ephesus: “That I may finish my race with joy” (ACTS 20:24 NKJV ). His aim was to complete the tasks Jesus had given him. I have made these words my motto and my prayer: “May I run and finish my race with joy.” Or as Brian says, “May I play with joy!” And by the way, Brian’s team did win the state championship that year.
We all have good reasons to get grouchy: discouraging news, everyday stresses, health problems. Nevertheless, God can give us a joy that transcends these conditions if we ask Him. We can have what Jesus called, “my joy” (JOHN 15:11).
Joy is a fruit of the Spirit of Jesus (GALATIANS 5:22). So we must remember each morning to ask Him to help us: “May I play with joy!” Author Richard Foster said, “To pray is to change. This is a great grace. How good of God to provide a path whereby our lives can be taken over by . . . joy.”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Galatians 5:22–26The fruit of the Spirit is...joy.
Galatians 5:22
What causes you to be discouraged?
Where do you find your joy?
I turn my eyes to You, God. I’m grateful I can count on Your faithfulness to me. Please bring me into Your jo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