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02/2019     화요일

성경읽기: 욥 22-24; 행 11
찬송가: 410(통 468)

평강을 얻으려면

“평강을 어떻게 생각해?” 점식식사를 같이 하던 친구가 물었습니다. “평강?” 나는 어리둥절하여 되물었습니다. “잘 모르겠네. 그런데 왜 그걸 물어봐?” 친구의 대답입니다. “사실, 네가 교회에서 예배 중에 발을 떨어서 무슨 불안한 일이 있나 해서. 하나님께서 그분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주시는 평강에 대해서 혹시 생각해본 적 있니?”

몇 해 전 일이었는데, 그날 그 친구 말에 마음이 좀 상하기는 했었지만, 그 일은 나에게 어떤 탐구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이 역경 속에서도 안녕과 평강이라는 선물을 어떻게 누리는지 알아보려고 성경을 탐독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바울이 골로새 성도들에게 보낸 서신을 읽으면서 그리스도의 평강이 그들의 마음을 다스리게 하라는 바울의 명령 (골로새서 3:15)을 되새겨보았습니다.

바울은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던 친구 에바브라로부터 전해들은 어떤 교회에 편지를 쓰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이 잘못된 가르침을 접했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평강을 잃어가고 있다고 염려하면서도, 그들을 책망하는 대신 확신과 소망을 주시는 예수님을 신뢰하라고 권면했습니다(15절).

그리스도의 평강이 우리 마음을 다스리도록 받아들일지 거부할지 선택해야 할 때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향하여 우리 안에 거하시기를 간구할 때, 주님은 우리 마음을 짓누르고 있는 근심과 걱정을 가볍게 벗겨주십니다. 우리가 주님께 평강을 간구하면, 주님은 우리를 사랑으로 만나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17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골로새서 3:15

어떤 상황, 혹은 어떤 인간관계가 우리의 생각과 마음을 짓누르고 있습니까? 우리는 어떻게 주님의 평강을 간구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주님께서는 우리의 이해를 초월한 평강을 주십니다.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주님의 평강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02/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2–24 and ACTS 11
Hymn: 410(old 468)

How to Find Peace

“What do you think about peace?” my friend asked as we ate lunch together. “Peace?” I said, puzzled. “I’m not sure—why do you ask?” He answered, “Well, as you jiggled your foot during the church service I wondered if you’re agitated about something. Have you considered the peace God gives to those who love Him?”

That day some years ago, I was a bit hurt by my friend’s question, but it started me on a journey. I began exploring the Bible to see how God’s people embraced this gift of wellbeing, of peace, even in the midst of hardship. As I read Paul’s letter to the Colossians, I chewed over the apostle’s command to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their hearts (COLOSSIANS 3:15).

Paul was writing to a church he’d never visited but had heard about from his friend Epaphras. He was concerned that as they encountered false teaching, they were losing the peace of Christ. But instead of admonishing them, Paul encouraged them to trust Jesus, who would give them assurance and hope (V 15).

We all will encounter times when we can choose to embrace or refuse the rule of Christ’s peace in our hearts. As we turn to Him, asking Jesus to dwell in us, He will gently release us from the anxiety and cares that weigh us down. As we seek His peace, we trust that He will meet us with His lov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17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Colossians 3:15

What situations or relationships weigh on your mind and heart? How can you ask Jesus to bring you His peace?

Jesus, You givepeace that passes all understanding.
Helpme embrace Yourpeace in every area of my life.

오늘의 말씀

08/31/2019     토요일

성경읽기: 시 132-134; 고전 11:17-34
찬송가: 220(통 278)

좁은 원

같은 반 친구가 우리 가족에게 너무 나이가 많아 새끼를 낳을 수 없는 등록된 콜리 개 한 마리를 주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는 이 예쁜 개가 가엾게도 거의 평생을 좁은 개집 안에서 살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 다. 개는 좁은 원을 그리며 빙빙 돌기만 할 뿐, 물건을 물어오지도, 앞으로 똑바로 달려가지도 못했습니다. 심지어 뛰어놀 수 있는 넓은 마당에 풀어놓아도 자신이 갇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대 부 분 이 유 대 인 이 었 던 초 대 그리스도인들도 모세의 율법에 갇혀 사는데 익숙해 있었습니다. 비록 율법이 유익한 것이고 그들의 죄를 알게 하여 예수님께로 오게 하려고 하나님이 주신 것이긴 했지만(갈라디아서 3:19-25), 이제는 하나님의 은혜와 예수님이 주는 자유에 기반을 둔 새로운 믿음에 따라 살아야 할 때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주저했습니다. ‘그 후 그들이 진정 자유로웠을까요?’

우리도 같은 문제를 지니고 있을 수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도 우리를 가두는 엄격한 규칙이 있는 교회에서 자라났거나, 아니면 방임하는 가정에서 자라 이제는 안전한 규칙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지 모릅니다. 어느 경우이든지 지금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유를 받아들일 때입니다(갈라디아서 5:1). 예수님은 우리를 자유롭게 하셔서 사랑으로 그분께 순종하고(요한복음 14:21)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하게”(갈라디아서 5:13) 하셨습니다. “아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면 너희가 참으로 자유로우리라”(요한복음 8:36)는 말씀을 깨닫는 자들에게는 기쁨과 사랑의 들판 전체가 활짝 열려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1,4-14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갈라디아서 5:1

지금까지 어떤 이유로 예수님 안에서 자유를 누리지 못했습니까?
이 자유를 깨닫는 것이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예수님, 주님의 말씀대로 우리가 자유롭다는 것을 믿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31/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2–134 and 1 COR. 11:17–34
Hymn: 220(old 278)

Tight Circles

A classmate gave my family a registered collie that had become too old to breed puppies. We soon learned this beautiful dog had, sadly, spent much of her life inside a small pen. She would only walk in tight circles. She couldn’t fetch or run in a straight line. And even with a large yard in which to play, she thought she was fenced in.

The first Christians, many who were Jews, were used to being fenced in by the Mosaic law. Though the law was good and had been given by God to convict them of sin and lead them to Jesus (GALATIANS 3:19–25), it was time to live out their new faith based in God’s grace and the freedom of Christ. They hesitated. After all this time, were they really free?

We may have the same problem. Perhaps we grew up in churches with rigid rules that fenced us in. Or we were raised in permissive homes and are now desperate for the security of rules. Either way, it’s time to embrace our freedom in Christ (GALATIANS 5:1). Jesus has freed us to obey Him out of love (JOHN 14:21) and to “serve one another humbly in love” (GALATIANS 5:13). An entire field of joy and love is open for those who realize “if the Son sets you free, you will be free indeed” (JOHN 8:36).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Galatians 5:1, 4–14
It is for freedom that Christ has set us free.
Galatians 5:1

How have you been kept from experiencing freedom in Christ? How can realizing this freedom help you serve others?

Jesus, help me to believe I am as free as You say.

오늘의 말씀

08/30/2019     금요일

성경읽기: 시 129-131; 고전 11:1-16
찬송가: 95(통 82)

위대한 일들!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는 소식에 세계가 놀랐습니다. 독일의 베를린을 갈라놓았던 장벽이 무너져 내리고 28년간 분단되었던 도시가 다시 하나가 되려 하고 있었습니다. 기쁨의 중심은 독일이었지만 그 광경을 지켜보는 세계 또한 열광하며 동참했습니다. 정말 굉장한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기원전 538년, 이스라엘 백성들이 거의 70년 동안의 망명생활을 끝내고 본토로 귀환했을 때, 이 또한 중대한 사건이었습니다. 시편 126편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그 기쁨에 차있던 때를 어깨 너머로 바라보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때의 일들은 웃음소리와 기쁨의 노래, 그리고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위해 행하신 위대한 일을 온 세상이 인정하는 것이 주된 것이었습니다(2절). 그러면 하나님의 자비로 구원 받은 사람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하나님이 행하신 위대한 일들이 커다란 기쁨을 불러 일으켰습니다(3절). 나아가 하나님이 과거에 행하신 일들이 현재 새로운 기도의 기초가 되었고, 미래를 위한 밝은 소망이 되었습니다(4-6절).

하나님이 행하신 위대한 일들의 본보기를 찾기 위해 우리의 경험들을 다 돌아볼 필요가 없습니다. 특히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을 믿고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19세기의 찬송가 작가 패니 크로스비는 그런 정서를 잘 포착하여 이런 가사를 썼습니다. “놀라워라 주께서 이루신 일. 큰 영광과 존귀를 늘 돌리세.” 그렇습니다. 위대한 일을 행하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드립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126
그런즉 이 일에 대하여 우리가 무슨 말하리요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로마서 8:31

하나님의 손으로 행하신 위대한 일 중 어떤 것을 경험해보셨습니까?
그 위대한 일들을 묵상하면서 믿음과 소망이 어떻게 자라납니까?

과거의 위대한 일들이 큰 기쁨과 큰 기도, 큰 소망을 불러일으켜 준다.

Daily Article

08/30/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9–131 and 1 COR. 11:1–16
Hymn: 95(old 82)

Great Things!

On November 9, 1989, the world was astonished by the news of the fall of the Berlin Wall. The wall that had divided Berlin, Germany, was coming down and the city that had been divided for twenty-eight years would be united again. Though the epicenter of joy was Germany, an onlooking world shared in the excitement. Something great had taken place!

When Israel returned to her homeland in 538 BC after being exiled for almost seventy years, it was also momentous. Psalm 126 begins with an over-the-shoulder look at that joy-filled time in the history of Israel. The experience was marked by laughter, joyful singing,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that God had done great things for His people (V 2). And what was the response of the recipients of His rescuing mercy? Great things from God prompted great gladness (V 3). Furthermore, His works in the past became the basis for fresh prayers for the present and bright hope for the future (VV 4–6).

You and I need not look far in our own experiences for examples of great things from God, especially if we believe in God through His Son, Jesus. Nineteenth-century hymn writer Fanny Crosby captured this sentiment when she wrote, “Great things He hath taught us, great things He hath done, and great our rejoicing through Jesus the Son.” Yes, to God be the glory, great things He has done!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126
What, then, shall we say in response to these things? 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Romans 8:31

What great things have you experienced from the hand of God? How does reflecting on these increase your trust and hope?

Great things in the past can inspire great joy, great prayer, and great hope.

오늘의 말씀

08/29/2019     목요일

성경읽기: 시 126-128; 고전 10:19-33
찬송가: 366(통 485)

목소리를 사용하라

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피아니스트를 만나는 자리에 초대를 받았습니다. 나는 어릴 적부터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연주하고 교회나 다른 행사에서 주로 독창을 하면서 음악에 푹 빠져 자랐기 때문에 이런 기회를 갖게 된 것이 너무나 기뻤습니다.

도착해서 그 피아니스트를 만나보니 그 사람이 영어를 잘 못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내가 한 번도 만져보지 않았던 악기인 첼로를 주면서 그것을 연주해보라고 했습니다. 그는 첼로를 연주하라고 강권하면서, 그렇게 하면 자기가 반주를 하겠다고 했습니다. 나는 전에 배웠던 바이올린 연주하는 것을 흉내내봤지만 몇 개의 귀에 거슬리는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데 그쳤습니다. 결국 나는 못하겠다고 하고는 서로 헤어졌습니다.

잠에서 깨어난 나는 그 상황이 꿈이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지만 꿈속에 나타난 그 음악적인 배경이 실제와 같았기 때문에 이런 말이 계속 생각 속에 맴돌았습니다. ‘왜 그 사람에게 내가 노래를 할 수 있다고 말하지 못했을까?’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위해 우리의 타고난 재능과 영적 은사를 개발할 수 있도록 우리를 준비시켜 주십니다(고린도전서 12:7). 기도하는 마음으로 성경을 읽고 사람들의 지혜 있는 조언을 들으면서 우리 자신의 고유한 영적 은사(혹은 은사들)를 더 잘 알게 될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의 영적 은사가 무엇이든 성령께서 “그의 뜻대로”(11절) 은사들을 나누어주신다는 것을 알고, 부지런히 그것을 찾아서 사용해야 한다고 일깨워줍니다.

성령께서 우리에게 주신 “목소리”를 사용하여 하나님을 높여드리고 예수님을 믿는 다른 성도들을 섬기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2:1-14
은사는 여러 가지지만, 그것을 주시는 분은 같은 성령이십니다.
고린도전서 12:4, 새번역

우리의 영적 “목소리”는 어떤 것입니까? 그리고 오늘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다른 사람들이 가진 영적 은사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이 왜 잘못된 일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은사와 다른 이들을 위해
그 은사들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9/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6–128 and 1 COR. 10:19–33
Hymn: 366(old 485)

Use Your Voice

I was invited to meet a world-renowned pianist. Since I grew up immersed in music—playing the violin and piano, and primarily singing solos for church and other events—I was thrilled at the opportunity.

When I arrived to meet the pianist, I realized he spoke little English; and to my surprise he provided a cello for me to play—an instrument I’d never touched. He insisted that I play and he would accompany me. I screeched out a few notes, trying to mimic my violin training. Finally admitting that I was lost, we parted ways.

I awoke, realizing the scenario had been a dream. But since the musical background presented in my dream was true, in my mind lingered the words, Why didn’t you tell him you could sing?

God equips us to develop our natural talents and our spiritual gifts for others (1 CORINTHIANS 12:7). Through prayerful reading of the Bible and the wise advice of other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spiritual gift (or gifts) that is uniquely ours. The apostle Paul reminds us that whatever our spiritual gift, we’re to take time to find it and use it, knowing that the Spirit distributes the gifts “just as he determines” (V 11).

Let’s use the “voices” the Holy Spirit has given us to honor God and serve other believers in Jesus. - EVAN MORGAN, GUEST AUTHOR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2:1–14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gifts, but the same Spirit distributes them.
1 Corinthians 12:4

What’s your spiritual “voice,” and how can you use it today? Why is it wrong to want others’ spiritual gifts?

Father, show me how You’ve gifted me and how I’m to
use those gifts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8/28/2019     수요일

성경읽기: 시 123-125; 고전 10:1-18
찬송가: 364(통 482)

살라. 기도하라. 사랑하라.

육상선수였던 제시 오웬스는 믿음이 독실했던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용기 있는 신앙인의 삶을 살았습니다. 1936 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미국 팀의 몇 안 되는 흑인 선수 중 하나였던 오웬스는 증오에 찬 나치당원들과 그들의 지도자 히틀러 앞에서 네 개의 금메달을 받았습니다. 그는 또한 독일인 육상 선수 루츠 롱과 친구가 되었습니다. 나치의 정치선전장 한 가운데서도 믿음에 따라 살았던 오웬스의 단순한 행동이 루츠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훗날 롱은 오웬스에게 보낸 편지에 이렇게 썼습니다. “베를린에서 내가 처음으로 자네에게 말을 걸었을 때 자네는 땅바닥에 무릎을 꿇고 있었지. 그때 나는 자네가 기도 중이라는 것을 알았네...... 나도 하나님을 믿을 수 있을 것 같아.”

오웬스는 바울 사도가 “악을 미워하고” “서로 우애...… 하기를......먼저하라”(로마서 12:9-10)고 한 말씀에 믿는 자들이 어떻게 답해야 하는지 본을 보여주었습니다. 자신 주변의 악에 증오로 대응할 수도 있었던 오웬스는 믿음으로 살면서, 나중에 친구가 되고 마침내 하나님을 믿을 것을 고려하게 된 사람을 사랑으로 대하기로 했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이 “기도에 항상 힘쓰기”(12절)에 전념할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 “서로 마음을 같이 하며 [살아갈]”(16절) 능력을 주십니다.

우리가 기도에 의지하면 믿음대로 생활하고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진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는 일에 전념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 부르짖을 때 그분은 우리가 장벽을 허물고 이웃과 함께 평화의 다리를 놓는 일을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21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 로 악을 이기라
로마서 12:21

우리와 이웃 사이에 어떻게 평화의 다리를 놓을 수 있을까요?
언제 믿음의 기도에 힘써 열매를 맺어보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기도로 하나 되어 서로를 사랑하고
평화롭게 사는데 전념할 수 있도록 힘을 더해주소서.

Daily Article

08/28/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3–125 and 1 COR. 10:1–18
Hymn: 364(old 482)

Live. Pray. Love.

Influenced by parents who were strong believers in Jesus, track star Jesse Owens lived as a courageous man of faith. During the 1936 Olympic Games in Berlin, Owens, one of the few African Americans on the US team, received four gold medals in the presence of hate-filled Nazis and their leader, Hitler. He also befriended fellow athlete Luz Long, a German. Surrounded by Nazi propaganda, Owens’s simple act of living out his faith impacted Luz’s life. Later, Long wrote to Owens: “That hour in Berlin when I first spoke to you, when you had your knee upon the ground, I knew you were in prayer . . . . I think I might believe in God.”

Owens demonstrated how believers can answer the apostle Paul’s charge to “hate what is evil” and be “devoted to one another in love” (ROMANS 12:9–10). Though he could have responded to the evil around him with hate, Owens chose to live by faith and show love to a man who would later become his friend and eventually consider belief in God.

As God’s people commit to being “faithful in prayer” (V 12), He empowers us to “live in harmony with one another” (V 16).

When we depend on prayer, we can commit to living out our faith and loving all who are made in God’s image. As we cry out to God, He’ll help us break down barriers and build bridges of peace with our neighbor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omans 12:9–21
Do not be overcome by evil, but overcome evil with good.
Romans 12:21

How can you build a bridge of peace between you and a neighbor? When have you seen your faithfulness in prayer bear fruit?

Heavenly Father, please strengthen us to come together in prayer, fully committed to loving others and living peacefully.

오늘의 말씀

08/27/2019     화요일

성경읽기: 시 120-122; 고전 9
찬송가: 585(통 384)

노래할 이유

소위 규칙을 잘 지키며 산다는 나에게 큰 실수라 할 일이 있었습니다. 무슨 일이냐고요? 그만 깜빡 잠이 들어버린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에게는 저녁에 외출할 때 지켜야 할 통행금지시간이 있습니다. 착한 아이들이지만 나는 늘 아이들이 현관문 손잡이를 돌리는 소리를 듣기 전까지는 자지 않고 기다립니다. 아이들이 무사히 집에 돌아온 것을 알고 싶은 것이지요. 그렇게까지 안 해도 되지만 난 그렇게 합니다. 그런데 어느 날 밤 딸이 방긋이 웃으며 말하는 소리에 잠이 깼습니다. “아빠, 저 무사히 잘 왔어요. 이제 방에 가서 주무세요.” 아버지들은 최선을 다 한다 해도 때로는 지키던 자리에서 잠들어버립니다. 이것은 우리가 아주 겸손할 수밖에 없는, 하나의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에게는 결코 그런 일이 없습니다. 시편 121편은 자기 자녀들의 후견인이자 보호자이신 하나님으로 인해 안심하게 하는 노래입니다. 시편 기자는 우리를 지키시는 하나님은 “졸지 아니하신다”(3절)고 선언합니다. 그는 강조를 위해 그 사실을 4절에서도 반복합니다. 하나님은 “졸지도 아니하시고 주무시지도 아니하시리로다.”

하나님은 그분이 지키시는 곳에서 결코 잠들지 않으신다는 것이 상상이나 됩니까? 하나님은 우리 아들과 딸, 숙모와 삼촌, 어머니와 아버지까지, 모두를 언제나 지켜주십니다. 하나님은 하는 수 없이 하시는 것이 아니라 그의 크신 사랑 때문에 스스로 하시는 것입니다. 그 약속은 분명히 노래로 기릴만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21
이스라엘을 지키시는 이는 졸지도 아니하시 고 주무시지도 아니하 시리로다
시편 121:4

하나님께서 함께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느끼십니까?
그것을 느끼지 못한다면 어떤 사실에 의지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변함없이 우리의 삶을 보살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것은 문제가 없는 삶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과 임재가 가까이 있는
삶인 것을 압니다. 하나님께서 언제나 그 자리에 계심을 확신하며
담대히 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27/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0–122 and 1 CORINTHIANS 9
Hymn: 585(old 384)

A Reason to Sing

For a man who lives by a code, so to speak, it felt like a major failure. What’d I do? Well, I fell asleep. Our kids have a curfew to meet when they’re out for the evening. They’re good kids, but my practice is to wait up until I hear their hands turn the front doorknob. I want to know they’re home safe. I don’t have to do this: I choose to. But one night I awoke to my daughter saying through a smile, “Dad, I’m safe. You should go to bed.” Despite our best intentions, sometimes fathers fall asleep at their posts. It was very humbling, and also very human.

But that never happens with God. Psalm 121 is a reassuring song about Him as guardian and protector of His children. The psalmist declares that God who watches over us “will not slumber” (V 3). And for emphasis, he repeats that truth in verse 4: He “will neither slumber nor sleep.”

Can you even imagine? God never falls asleep at His post. He is always keeping watch over us—the sons and daughters and aunts and uncles and mothers, and even fathers. It’s not so much that He has to do this, but rather that, out of His great love, He chooses to. That promise is definitely something to sing about. -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121
He who watches over Israel will neither slumber nor sleep.
Psalm 121:4

In what ways do you sense God’s presence? When you don’t, what truths can you depend upon?

Father, thank You for Your constant care over our lives. We know that doesn’t mean a life absent of trouble, but rather a life held close by Your love and presence. Help us to confidently rest in the assurance that You’re always at Your post.

오늘의 말씀

08/26/2019     월요일

성경읽기: 시 119:89-176; 고전 8
찬송가: 304(통 404)

또 한 번의 기회

우리 집 가까이에 있는 중고자전거 가게에서는 버려진 자전거를 자원봉사자들이 다시 조립하여 가난한 아이들에게 나누어줍니다. 이 가게를 시작한 어니 클라크는 노숙자들과 장애인들, 그리고 일반 사회생활에 적응하려고 애쓰는 퇴역 군인들을 포함하여 여러 궁핍한 어른들에게도 자전거를 기증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전거를 고쳐 다시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때로는 받는 사람들도 새로운 출발을 하게 해줍니다. 어떤 퇴역 군인은 새로 받은 자전거를 타고 취업 면접을 보러 가기도 했습니다.

또 한 번의 기회는 사람의 인생을 바꾸기도 하는데 특히 그것이 하나님 으로부터 온 것이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비굴하게 뇌물과 사기와 그 밖의 나쁜 죄들을 범하던 시기에 미가 선지자는 하나님의 그런 은혜를 높이 찬양했습니다. 미가의 한탄처럼 당시 “경건한 자가 세상에서 끊어졌고 정직한 자가 사람들 가운데 없었습니다”(미가 7:2).

미가는 하나님이 마땅히 악을 벌하시는 분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에 회개한 자들에게 한 번 더 기회를 주실 것입니다. 그 사랑에 겸허해진 미가는 이렇게 묻습니다. “주와 같은 신이 어디 있습니까? 주는 [주의 백성의 죄를 못 본 체하시고] 살아남은 주의 백성의 죄를 용서하십니다”(18절, 현대인의 성경).

우리도 용서를 구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죄 때문에 우리를 버리지 않으시기 때문에 기뻐할 수 있습니다. 미가는 하나님에 대해 이렇게 선언합니다. “다시 우리를 불쌍히 여기셔서 우리의 죄악을 발로 밟으시고 우리의 모든 죄를 깊은 바다에 던지시리이다”(19절). 하나님의 사랑은 그분을 찾는 모든 사람들에게 또 한 번의 기회를 줍니다.

오늘의 성구

미가 7:1-3,18-20
다시 우리를 불쌍히 여 기셔서 우리의 죄악을 발로 밟으시고 우리의 모든 죄를 깊은 바다에 던지시리이다
미가 7:19

당신은 어떤 죄를 회개하여 사랑의 우리 하나님으로부터 또 한 번의
기회를 얻으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또 한 번의 기회라는 은혜를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26/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 119:89–76 and 1 CORINTHIANS 8
Hymn: 304(old 404)

Another Chance

At the Second Chance Bike Shop near our neighborhood, volunteers rebuild castoff bicycles and donate them to needy kids. Shop founder Ernie Clark also donates bikes to needy adults, including the homeless, the disabled, and military veterans struggling to make it in civilian life. Not only do the bicycles get a second chance, but sometimes the recipients get a new start too. One veteran used his new bike to get to a job interview.

Second chances can transform a person’s life, especially when the second chance comes from God. The prophet Micah extoled such grace during a time the nation of Israel groveled in bribery, fraud, and other despicable sins. As Micah lamented, “The godly people have all disappeared; not one honest person is left on the earth” (MICAH 7:2 NLT ).

God would rightly punish evil, Micah knew. But being loving, He would give those who repented another chance. Humbled by such love, Micah asked, “Where is another God like you, who pardons the guilt of the remnant, overlooking the sins of his special people?” (V 18 NLT ).

We too can rejoice that God doesn’t abandon us because of our sins if we ask for forgiveness. As Micah declared of God, “Once again you will have compassion on us. You will trample our sins under your feet and throw them into the depths of the ocean!” (V 19 NLT) . God’s love gives second chances to all who seek Him.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icah 7:1–3, 18–20
Once again you will have compassion on us. You will trample our sins under your feet and throw them into the depths of the ocean!
Micah 7:19 NLT

What sin will you repent of and gain a second chance from our loving God?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giving us the grace of second chances.

오늘의 말씀

08/25/2019     주일

성경읽기: 시 119:1-88; 고전 7:20-40
찬송가: 212(통 347)

하나님의 지혜에 놀람

“제가 나이가 들어갈수록 ‘아버지’가 더 지혜로워지는 것 같아요. 가끔 제 아들에게 얘기할 때면 ‘제’ 입에서 ‘아버지’의 말씀이 들리기까지 해요!”

딸의 솔직한 말에 나는 웃었습니다. 나도 ‘우리’ 부모님에 대해 똑같이 느꼈고, 내가 아이들을 키울 때도 ‘부모님’이 하셨던 말씀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내가 아빠가 되자 부모님의 지혜에 대한 시각이 바뀌었습니다. 한 때 어리석은 것으로 “단정했던” 것이 그때 생각보다 훨씬 더 지혜로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처음에는 그 말의 뜻을 제대로 알지 못했던 것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어리석음이 사람의 가장 영리한 지혜보다 더 지혜롭다고 가르칩니다(고린도전서 1:25).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므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구주께서 고난 받으신 것을 전하는 “미련한 것을......기뻐하셨습니다”(21절).

하나님은 언제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십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은 세상이 기대했던 승리의 왕이 아닌 고통 받는 종으로 오셔서 최고의 영광의 모습으로 부활하시기 전 십자가에서 미천한 죽음을 당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지혜 안에서는 겸손이 자부심보다 더 높고, 사랑은 자격 없는 자에게 베푸는 자비와 친절로 그 진정한 가치를 보여줍니다. 아무도 대적할 자 없는 우리의 메시아께서 그를 믿는
모든 사람들을 “온전히 구원하시기”(히브리서 7:25) 위해 십자가에서 최후의 희생제물이 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18-25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 와 지식의 풍성함이여
로마서 11:33

하나님의 방식 때문에 혼란스러웠던 적이 있었습니까? 하나님의 방식이
우리의 방식과 다르다는 것을 아는 것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지혜로운 여러 방식들로 인해 찬양합니다.
오늘 주님을 신뢰하면서 겸손히 함께 걸어갈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5/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 119:1–88 and 1 COR. 7:20–40
Hymn: 212(old 347)

Surprised by Wisdom

“It seems like the older I get, the wiser you become. Sometimes when I talk to my son I even hear your words coming out of my mouth!”

My daughter’s candor made me laugh. I felt the same way about my parents and frequently found myself using their words as I raised my kids. Once I became a dad, my perspective on my parents’ wisdom changed. What I once “wrote off” as foolishness turned out to be far wiser than I had thought—I just couldn’t see it at first.

The Bible teaches that “the foolishness of God is wiser” than the cleverest human wisdom (1 CORINTHIANS 1:25). “For since in the wisdom of God the world through its wisdom did not know him, God was pleased through the foolishness” of the message of a suffering Savior to rescue “those who believe” (V 21).

God always has ways of surprising us. Instead of the triumphant king the world would expect, the Son of God came as a suffering servant and died a humbling death by crucifixion—
before He was raised in unsurpassable glory.

In God’s wisdom, humility is valued over pride and love shows its worth in undeserved mercy and kindness. Through the cross, our unconquerable Messiah became the ultimate victim—in order to “save completely” (HEBREWS 7:25) all who place their faith in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18–25
Oh, the depth of the riches of the wisdom and knowledge of God!
Romans 11:33

When have God’s ways left you confused? How does it help to know God’s ways are not our own?

Heavenly Father, I praise You for the wisdom of Your ways. Help me to trust You and walk humbly with You today.

오늘의 말씀

08/24/2019     토요일

성경읽기: 시 116-118; 고전 7:1-19
찬송가: 384(통 434)

긴장을 푸세요!

“긴장을 풀어야 해요.” 디즈니 만화영화 ‘코디와 생쥐 구조대’ 에서 다쳤으면서도 치료 받기를 꺼려하는 새 윌버를 치료하려는 의사가 분명히 말합니다. “긴장을 풀라고요? 지금 긴장 안 하고 있다고요!” 사실 점점 더 겁이 나서 분명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는 윌버가 빈정대며 하는 말입니다. “여기서 긴장을 더 풀면 난 죽은 거라고요!”

이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습니까? 의사의 이상한 치료법(“표피조직 파쇄기” 로 불리는 전기톱 같은 것)을 생각하면 윌 버 가 불 안 해 하 는 것 도 당 연 해 보입니다. 그러나 이 장면이 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공포에 사로잡힐 때 보통 어떻게 느끼는지를 잘 포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당면한 것이 실제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거나 그렇지 않거나 간에 말입니다.

공포에 질리면 긴장을 풀라고 하는 좋은 말도 통하질 않습니다. 주변에 생명의 위험이 높아가고 고통스러운 “사망의 줄”(시편 116:3) 이 내 속의 모든 것을 단단히 묶어버릴 때 나의 모든 본능은 긴장을 풀기보다는 맞서 싸우려 합니다.

그렇긴 하지만......대개의 경우, 두려운 상태에서 맞서 싸우려들면 불안감만 더 크게 조여들어와 나중에는 두려움으로 꼼짝 못하게 될 뿐입니다. 그러나 내키지는 않더라도 나 스스로 고통을 받아들이면서 그 고통을 하나님께 올려드리면(4절) 무언가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내 속을 동여매고 있던 매듭이 조금씩 풀어지면서 (7절) 알 수 없는 평안이 내 안으로 몰려옵니다.

그리고 성령께서 위로로 나를 감싸주실 때 나는 복음의 중심에 있는 진리를 좀 더 이해하게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강한 팔에 우리를 맡길 때 가장 잘 싸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베드로전서 5:6-7).

오늘의 성구

시편 116:1-9
내 영혼아 네 평안함으 로 돌아갈지어다 여호 와께서 너를 후대하심 이로다
시편 116:7

삶 속에서 어떤 어려움이 “사망의 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어려운 시기에 하나님의 사랑과 돌보심에 우리를 내어맡길 때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우리가 혼자 힘으로 해보려 애쓰지 말고, 불필요한 짐을
다 내려놓고 하나님의 은혜와 선하심 안에서 안식할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4/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6–118 and 1 COR. 7:1–19
Hymn: 384(old 434)

You Have to Relax!

“You must relax,” pronounces a doctor crisply in Disney’s Rescuers Down Under, attempting to treat the injured albatross Wilbur, a reluctant patient. “Relax? I am relaxed!” a clearly not relaxed Wilbur responds sarcastically as his panic grows. “If I were any more relaxed, I’d be dead!”

Can you relate? In light of the doctor’s dubious methods (such as a chainsaw dubbed an “epidermal tissue disruptor”), Wilbur’s misgivings seem justified. But the scene is funny because it captures how we tend to feel when we’re panicking —whether or not what we’re facing is actually life-threatening.

When we’re terrified, encouragement to relax can feel ridiculous. I know when I feel life’s terrors piling up around me, and when painful “cords of death” (PSALM 116:3) tighten my stomach into knots, my every instinct is to fight back, not to relax.

And yet . . . more often than not, my panicked attempts to fight back only tighten anxiety’s vice-grip, leaving me crippled by fear. But when I, albeit reluctantly, allow myself to feel my
pain and lift it up to God (V 4), something surprising happens. The knot inside me relaxes a bit (V 7), and a peace I can’t understand rushes through me.

And as the Spirit’s comforting presence surrounds me, I understand a bit more the truth at the heart of the gospel: we fight best when we surrender into the powerful arms of God
(1 PETER 5:6–7). -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Psalm 116:1–9
Return to your rest, my soul, for the LORD has been good to you.
Psalm 116:7

What struggles do you think of as “cords of death” in your life? How could you grow in surrendering to God’s love and care in the hard times?

God, help us surrender our desperate attempts at control and let go of the burdens we weren’t meant to bear to find rest in Your grace and goodness.

오늘의 말씀

08/23/2019     금요일

성경읽기: 시 113-115; 고전 6
찬송가: 218(통 369)

종의 마음

요리사. 행사 기획자. 영양사. 간호사. 이들이 하는 일은 오늘날의 엄마들이 늘 수행하는 임무의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2016년의 한 연구에 의하면 엄마들은 한 주일에 59시간에서 96시간을 아이와 관련된 일을 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엄마들이 항상 지쳐 있을 수밖에 없지요! 엄마가 된다는 것은 자녀들을 돌보는데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 붓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이들은 세상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데 도움이 아주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루하루가 길게 느껴지고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일이 가치 있는 일이라는 것을 되새길 필요가 있을 때 나는 섬기는 자들을 지지해주시는 예수님을 보면서 큰 소망을 가집니다.

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의 제자들은 자기들 중 누가 가장 큰가를 두고 언쟁하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조용히 앉으시며,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9:35)고 제자들을 일깨우셨습니다. 그런 다음 한 아이를 팔에 안고 다른 사람들, 특히 우리 중 가장 의지할 데 없는 사람들을 섬기는 것의 중요성을 말씀하셨습니다(36-37절).

그리스도의 반응은 하나님 나라에서 위대한 것이 어떤 것인지 그 기준을 다시 세워줍니다. 예수님의 기준은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돌보려는 마음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섬기기로 결심한 사람들에게 능력의 하나님께서 함께 하실 거라고 약속하셨습니다(37절).

가정이나 지역사회를 섬길 기회가 생길 때, 예수님은 다른 이들을 섬기는데 들이는 시간과 노력을 매우 귀하게 여기신다는 것을 알고 힘을 내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9:33-37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 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
마가복음 9:35

오늘 누군가를 어떻게 섬기겠습니까? 친절하게 사랑하고 섬겨주었던
사람에게 오늘 어떻게 시간을 내어 “감사합니다” 하고 말하겠습니까?

주 예수님, 주께서 아이들과 연약한 이들을 사랑으로 돌보신다는 것을
깨우쳐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섬김의 본을 따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23/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3–115 and 1 CORINTHIANS 6
Hymn: 218(old 369)

Servant’s Heart

Cook. Event Planner. Nutritionist. Nurse. These are just some of the responsibilities regularly performed by modern moms. In 2016, research estimated that moms likely worked between fifty-nine and ninety-six hours per week doing child-related tasks.

No wonder moms are always exhausted! Being a mom means giving a lot of time and energy to care for children, who need so much help as they learn to navigate the world.

When my days feel long and I need a reminder that caring for others is a worthy pursuit, I find great hope when I see Jesus affirming those who serve.

In the gospel of Mark, the disciples were having an argument about which one of them was the greatest. Jesus quietly sat down and reminded them that “anyone who wants to be first must be the very last, and the servant of all” (9:35). Then He took a child in His arms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serving others, especially the most helpless among us (VV 36–37).

Christ’s response resets the bar for what greatness looks like in His kingdom. His standard is a heart willing to care for others. And Jesus has promised that God’s empowering presence will be with those who choose to serve (V 37).

As you have opportunities to serve in your family or community, be encouraged that Jesus greatly values the time and effort you give in service to others. - LISA SAMRA

Today's Reading

Mark 9:33–37
Anyone who wants to be first must be the very last, and the servant of all.
Mark 9:35

How might you serve someone today? How could you take time today to say “thank you” to someone who has graciously loved and served you?

Lord Jesus, thank You for reminding us of Your loving care for children and any who are vulnerable. Help us to follow Your example of servic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