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01/2019 주일
변하지 않는 것
찾아가보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즐겨 갔던 멕시코 식당이 있던 곳에 가보니 건축자재점이 들어서 있었습니다. 그 건물 벽에는 그 식당이 40년간 지역사회에 이바지한 공을 기념 하기 위해 공들여 만든 철제 명판이 매달려 있었습니다.
지금은 황량하지만 한 때는 갖가지 색깔의 식탁과 화사한 파라솔이 군데군데 분위기 있게 놓여있던, 아직도 눈에 선한 그 보도를 나는 물끄러미 바라보았습니다. 주위를 둘러보니 너무나 많이 변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변화 가운데에도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다윗은 통렬한 마음으로 이렇게 진술했습니다. “인생은 그 날이 풀과 같으며 그 영화가 들의 꽃과 같도다 그것은 바람이 지나면 없어지나니 그곳이 다시 알지 못하거니와 여호와의 인자하심은 자기를 경외하는 자에게 영원부터 영원까지 이르며 그의 의는 자손의 자손에게 미치리니” (시편 103:15-17). 그러나 다윗은 이 시편을 이렇게 끝맺습니다.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22절).
고대 철학자 헤라클리투스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들여놓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를 둘러싼 삶은 늘 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한결같으시며, 언제나 그분이 하신 약속을 지킬 수 있는 분이십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사랑은 대를 이어가며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3:13-22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 토록 동일하시니라 히브리서 13:8
하나님은 절대 변하지 않으신다는 사실이 어떻게 위안이 됩니까? 그와 같은 확신이 필요했던 때가 언제였습니까?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나님, 절대 변하지 않으시고 언제나 신뢰할 수 있는 분이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하나님의 사랑과 신실하심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01/2019 Sunday
Unchanging
I gazed on the barren but still familiar sidewalk, once dotted cheerfully with colorful tables and bright umbrellas. So much had changed around us! Yet in the midst of change, God’s faithfulness never changes. David observed poignantly: “The life of mortals is like grass, they flourish like a flower of the field; the wind blows over it and it is gone, and its place remembers it no more. But from everlasting to everlasting the LORD ’s love is with those who fear him, and his righteousness with their children’s children” (PSALM 103:15–17). David concludes the psalm with these words: “Praise the LORD , my soul” (V. 22).
The ancient philosopher Heraclitus said, “You can never step in the same river twice.” Life is always changing around us, but God remains the same and can always be trusted to keep His promises! His faithfulness and love can be count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103:13-22Jesus Christ is the same yesterday and today and forever. Hebrews 13:8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that God never changes? When have you needed that assurance?
Almighty and eternal God, thank You that You never change and can always be trusted. Help me to rely on Your love and faithfulness today.
오늘의 말씀
07/31/2019 수요일
우리의 모습
나는 그 영특한 대답이 아주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이 어떻게 우리의 과거뿐만 아니라 성장한 오늘의 모습까지 보고 계시는지 알고 하는 대답이기 때문입니다. 사도행전 9장에서 주님은 아나니아에게 교회를 박해하는 사람으로 하나님이 눈을 멀게 하신 사울을 고쳐주라고 지시하십니다. 아나니아는 사울이 예수 믿는 자들을 잡아 박해하고 죽이기까지 한다고 말하면서 그 지시를 받아들여야 할지 망설였습니다. 하나님은 아나니아에게 사울이 과거에 어떤 사람이었는지에 주목하지 말고 어떤 사람으로 변화되어 있는지를 주목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사울은 이방인들(유대인이 아닌 자들)과 왕들을 비롯한 온 세상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할 전도자가 되었다는 것입니다(15절). 아나니아는 사울을 바리새인이자 박해하는 사람으로 보았지만, 하나님은 바울을 사도이자 복음전도자로 보셨던 것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우리 자신을 과거의 모습으로, 이를테면 온통 실패하고 결점 많은 존재로만 볼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를 새로운 피조물로 보시면서, 지난날의 우리가 아니라 예수님 안에서 지금의 우리의 모습과 앞으로 성령의 능력에 의해 변화되어 갈 우리의 모습을 다 보고 계십니다. 하나님,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이렇게 바라볼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9:13-16이 사람은 내 이름을 전하기 위하여 택한 나의 그릇이라
사도행전 9:15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는 사실이 오늘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모습을 어떻게 더 잘 볼 수 있게 해줍니까?
하나님께서 우리를 성장시키고 연단하기를 멈추시지 않는다는 사실이 얼마나 용기를 더해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 안에서 우리가 누구인지 완전히 알게 해주소서.
하나님의 은혜의 눈으로 다른 사람을 겸손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7/31/2019 Wednesday
Who We Are
I loved that clever reply because it also reflects how, in Christ, the Lord sees more than our past. In Acts 9, He directed Ananias to heal Saul, a known persecutor of the church whom God had blinded. Ananias was incredulous at receiving this mission, stating that Saul had been rounding up believers in Jesus for persecution and even execution. God told Ananias not to focus on who Saul had been but on who he had become: an evangelist who would bring the good news to all the known world, including to the gentiles (those who weren’t Jews) and to kings (V 15). Ananias saw Saul the Pharisee and persecutor, but God saw Paul the apostle and evangelist.
We can sometimes view ourselves only as we have been—with all of our failures and shortcomings. But God sees us as new creations, not who we were but who we are in Jesus and who we’re becoming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O God, teach us to view ourselves and others in this way! - PETER CHIN
Today's Reading
Acts 9:13–16This man is my chosen instrument to proclaim my name.
Acts 9:15
How can you begin to better view yourself and others in light of who you are in Christ today?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God isn’t through growing and refining you?
Heavenly Father, help me to find my full identity in You.
Allow me to humbly see others through Your eyes of grace!
오늘의 말씀
07/30/2019 화요일
회복을 향한 준비
감사하게도 완벽한 상상력과 무한한 자원을 가지고 계시는 하나님은 상처 받고 망가진 사람들을 그렇게 쉽게 포기 하지 않으십니다. 시편 85편은 회복 대상에 적합한 사람들과 회복시키는 능력을 가진 하나님에 대해 묘사하고 있습니다. 시대적 배경은 이스라엘 민족이 70년간의 유배생활(하나님을 반역한 죄로 받은 형벌)에서 돌아온 이후로 추정됩니다. 그들은 지난날을 돌아보면서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와 함께 용서해주신 것을 회고하며(1-3절) 이제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고(4-7절) 하나님으로부터 여러 가지 축복을 기대합니다 (8-13절).
우리 가운데 때때로 난타 당해 상처 입고 망가진 느낌을 갖지 않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요? 그것은 때로는 우리가 우리에게 저지른 일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회복과 용서의 하나님이시기에 겸손한 마음으로 그분께로 오는 이들에게는 반드시 희망이 있습니다. 주님은 그분께로 돌이키는 자들을 두 팔 벌려 맞아주시고, 그렇게 하는 자들은 주님 품 안에서 안전함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5주께서 우리를 다시 살리사 주의 백성이 주를 기뻐하도록 하지 아니 하시겠나이까?
시편 85:6
우리 삶에서 회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징표가 있습니까?
회복시키시는 하나님께 어떻게 반응하시렵니까?
주님, 우리 삶에 회복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무시하지 않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30/2019 Tuesday
Ready for Restoration
Thankfully the God of perfect vision and unlimited resources doesn’t give up so easily on battered and broken people. Psalm 85 describes people who were perfect candidates for restoration and the God who is able to restore. The setting is likely after the Israelites had returned from seventy years of exile (their punishment for rebellion against God). Looking back, they were able to see His favor—including His forgiveness (VV 1–3). They were motivated to ask God for His help (VV 4–7) and to expect good things from Him (VV 8–13).
Who among us doesn’t occasionally feel battered, bruised, broken? And sometimes it’s because of something we’ve done to ourselves. But because the Lord is the God of restoration and forgiveness, those who humbly come to Him are never without hope. With open arms He welcomes those who turn to Him; and those who do, find safety in His arms.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85Will you not revive us again, that your people may rejoice in you?
Psalm 85:6
Are there signs in your life that restoration is in order?
What’s your response to the God of restoration?
Lord, help me not to ignore the signs that restoration is needed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7/29/2019 월요일
아무 소용없음
씨 에스 루이스는 상상력에 근거한 그의 책 ‘스크루테이프의 편지’에서 그런 미궁에 빠지는 것에 대해 경고하면서 악마가 유혹하는 기술에 대해 이렇게 설명합니다. 먼저 약간의 쾌락을 주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라. 가능하면 하나님이 허락하신 선한 쾌락 중의 하나를 주되 하나님이 금지하신 방법으로 즐기게 하라. 일단 그 사람이 걸려들면 그 쾌락의 양을 조금 줄여 그가 더 많은 것을 원하도록 유인하라. “쾌락이 점점 줄어들수록 그것을 더욱 더 갈구하게” 하라. 그러면 결국 “그 사람의 영혼을 아무런 대가도 지불하지 않고 차지하게 될 것이다.”
잠언 7장에는 성적인 죄의 유혹으로 인한 파괴적인 순환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성은 하나님이 주신 좋은 선물입니다. 그러나 결혼생활 밖에서 성적인 즐거움을 구할 때 우리는 마치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소와 같습니다”(22절, 새번역). 우리보다 더 강한 사람들도 해로운 쾌락 추구로 스스로를 무너뜨렸습니다. 그러므로 “주의하고” “마음이 [그릇된] 길로 치우치지 말게 하십시오”(24-25절). 죄는 우리를 매혹시켜 중독에 빠지게도 하지만 그 끝은 항상 죽음입니다 (27절). 하나님의 능력으로 죄의 유혹을 피함으로써 우리는 그분 안에서 진정한 기쁨과 충족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7:10-27그의 집은 스올의 길이라 사망의 방으로 내려 가느니라
잠언 7:27
언제 어디에서 유혹에 직면하십니까? 유혹에서 돌아서기 위해 어떻게 하나님의 지혜와 도움을 구할 수 있을까요?
성령님, 우리 스스로 유혹에 저항하기에는 무력하다는 것을 압니다.
성령님의 도움이 필요하오니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7/29/2019 Monday
All for Nothing
C. S. Lewis warned of this downward spiral in Screwtape Letters, his imaginative look at a demon’s explanation of the art of temptation. Start with some pleasure—if possible one of God’s good pleasures—and offer it in a way God has forbidden. Once the person bites, give less of it while enticing him to want more. Provide “an ever increasing craving for an ever diminishing pleasure,” until finally we “get the man’s soul and give him nothing in return.”
Proverbs 7 illustrates this devastating cycle with the temptation of sexual sin. Sex is God’s good gift, but when we seek its enjoyment outside of marriage we’re “like an ox going to the slaughter” (V 22). People stronger than us have destroyed themselves by pursuing highs that are harmful, so “pay attention” and “do not let your heart turn to [wrongful] ways” (VV 24–25). Sin can be alluring and addicting, but it always ends in death (V 27). By avoiding—in God’s strength—the temptation to sin, we can find true joy and fulfillment in Him. MIKE WITTMER
Today's Reading
Proverbs 7:10–27Her house is a highway to the grave, leading down to the chambers of death.
Proverbs 7:27
When and where do you face temptations? How can you seek God’s wisdom and help in turning from them?
Holy Spirit, I know that I am powerless in myself to resist temptation.
Ineed You. Help me.
오늘의 말씀
07/28/2019 주일
하나님을 위한 착실한 걸음걸이
그러나 무엇이 그로 하여금 어려움 속에서도 성경 전체를 6개 언어로 번역하고 다른 29개 언어로 부분 번역을 하는 사역을 계속 하게 하였을까요? 그는 말했습니다. “저는 착실한 걸음걸이로 천천히 걸어갈 수 있습니다. 어떤 분명한 목표를 위해서라면 견딜 수 있습니다.” 그는 어떤 시련에도 아랑곳 않고 하나님을 섬기는 일에 헌신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그리스도를 향한 지속적인 헌신은 히브리서 저자가 했던 조언이기도 합니다. 히브리서는 하나님을 섬길 때 “게으르지 아니하고”(히브리서 6:12), “같은 열성을 끝까지 나타내라”(11절, 새번역) 고 당부합니다. 또 하나님은 “계속 도우면서 보여준 여러분의 행위와 사랑을 결코 잊지 않으실”(10절, 현대인의 성경) 것이라고 말하면서 독자들을 안심시켜 주었습니다.
캐리는 생애 말년에 하나님께서 어떻게 한결같이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셨는지 돌아보았습니다. “하나님은 결코 그분의 약속을 저버리지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나도 그분을 섬기는 일을 멈출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도 날마다 그분을 섬길 수 있도록 능력 부어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6:9-12우리가 간절히 원하는것은 너희 각 사람이 동일한 부지런함을 나타내어 끝까지 소망의 풍성함에 이르러
히브리서 6:11
하나님을 계속 섬길 수 있도록 하나님이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다른 사람들이 어려울 때 그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주 하나님, 어려운 일을 당하거나 즐거울 때 주님을 따르도록 도와주소서.
주님이 항상 저와 함께 하신다는 확신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7/28/2019 Sunday
Plodding for God
What kept him serving amid difficulties as he translated the entire Bible into six languages and parts of it into twentynine others? “I can plod,” he said. “I can persevere in any definite pursuit.” He committed to serving God no matter what trials he encountered.
This continued devotion to Christ is what the writer to the Hebrews counseled. He called for those reading his letter to not “become lazy” (HEBREWS 6:12), but to “show this same diligence to the very end” (V 11) as they sought to honor God. He reassured them that God “will not forget your work and the love you have shown” (V 10).
During William Carey’s later years, he reflected on how God consistently supplied his needs. “He has never failed in His promise, so I cannot fail in my service to Him.” May God also empower us to serve Him day by day.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Hebrews 6:9–12We want each of you to show this same diligence to the very end.
Hebrew 6:11
How has God helped you to keep on going in your service for Him?
In what way can you help someone else in their struggles?
Lord God, help me to follow You—when I face challengesand enjoy good times.
May I know the assurance that You are always with me.
오늘의 말씀
07/27/2019 토요일
직장 교육
관리인이 이유를 캐어보니 청소직원 대부분이 글을 읽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그들을 모두 해고할 수도 있었지만, 그 대신 그들에게 문맹교육을 받게 해주었습니다. 5개월이 되지 않아 모두 기초수준의 글을 읽을 수 있었고 계속해서 청소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종종 우리의 시련을 기회로 사용하셔서 우리가 계속해서 그분을 위해서 일할 수 있도록 준비해주십니다. 베드로의 인생은 미숙함과 실수로 얼룩져 있었습니다. 그는 물위를 걸어가려 할 때 믿음이 흔들렸고, 예수님이 성전세를 내야 하는지도 확실히 몰랐습니다(마태복음 17:24-27). 심지어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에 대한 예언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16:21-23). 그런 문제에 부딪칠 때마다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예수님 자신이 누구신지, 즉 주님이 약속된 메시아라는 것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16절). 베드로는 열심히 듣고 배워서 초대 교회를 세우는데 도움이 되려면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18절).
오늘 당신이 어떤 실패로 낙담했다면, 예수님은 그 실패를 이용하여 당신을 가르치시고 당신이 그분을 섬기는 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신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결점이 많은 베드로와 함께 계속 일하셨던 주님께서는 이제 우리를 사용하셔서 주님이 다시 오실 때까지 계속해서 주님의 나라를 건설해 가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6:21-28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마태복음 16:18
하나님은 어떻게 우리 삶의 어려움을 사용하여 그분을 섬기도록 인도하시고 준비시켜 주십니까?
오늘은 과거 우리의 어떤 실패를 그분께 내어놓아야 할까요?
주님, 주님이 누구신지에 대해 더 많은 것을 가르치시기 위해 어떤 경험도 사용하실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저의 실패를 주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해주소서.
Daily Article
07/27/2019 Saturday
In-Service Training
When the manager looked into the matter, she discovered most of the cleaning employees couldn’t read. She could have fired them, but instead she arranged for them to have literacy lessons. Within five months, everyone was reading at a basic level and continued in their jobs.
God often uses our struggles as opportunities to equip us to continue working for Him. Peter’s life was marked by inexperience and mistakes. His faith faltered as he tried to walk on water. He wasn’t sure if Jesus should pay the temple tax (MATTHEW 17:24–27). He even rejected Christ’s prophecy about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16:21–23). Through each issue Jesus taught Peter more about who He was—the promised Messiah (V 16). Peter listened and learned what he needed to know to help found the early church (V 18).
If you’re discouraged by some failure today, remember that Jesus may use it to teach you and lead you forward in your service for Him. He continued to work with Peter despite his shortcomings, and He can use us to continue to build His kingdom until He returns.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Matthew 16:21–28On this rock I will build my church.
Matthew 16:18
How has God used challenges in your life to lead and equip you to serve Him?
What past failure do you need to release to Him today?
Lord, I believe You can use any experience to teach me more about who You are. Take my failures and use them for Your glory.
오늘의 말씀
07/26/2019 금요일
온전하게 만들기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마태복음 5:9)라고 예수님이 말씀하십니다. 화평하게 하는 것은 ‘샬롬’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샬롬은 이 세상이 올바로 서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신학자는 샬롬을 “두루두루 번성하는 것, 온전함, 기쁨...... 원래대로 되어 있어야 하는 상태”라고 설명합니다. 샬롬은 갈라진 것을 가지고 온전한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안내하시는 대로 우리도 모든 것을 바로 세우는 일에 힘쓸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주님은 우리가 화평하게 하는 자가 되고, “세상의 소금”과 “세상의 빛”이 되라고 요구하고 계십니다(13-14절).
이 세상에는 화평하게 하는 자가 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방법을 쓰건 매번 갈라진 상태에 굴복하지 않고 갈라진 둘을 하나로 합하는 일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어 우호관계가 끊어지거나, 힘들어하는 이웃이 약해지거나 관심을 받지 못하고 고립되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우리 모두 다시 온전케 하는 일에 참여할 수 있는 지혜와 능력을 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면서 갈라진 것들을 찾아봅시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9,13-16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마태복음 5:9
다시 결합되어야 할 두 가지를 알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그 두 가지를 하나로 온전하게 하는데 어떻게 참여하라고 하십니까?
하나님, 우리 주위에 갈라진 것들이 많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주님께서 보여주지 않으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07/26/2019 Friday
Making Things Whole
“Blessed are the peacemakers,” Jesus tells us (MATTHEW 5:9). To make peace is to bring shalom . And shalom refers to the world being set right. One theologian describes shalom as “universal flourishing, wholeness and delight. . . . [It’s] the way things ought to be.” Shalom is taking what’s broken and making it whole. As Jesus guides, may we strive to make things right. He calls us to be peacemakers, to be the “salt of the earth” and the “light of the world” (VV 13–14)
There are many ways to be peacemakers in the world, but with each may we engage brokenness rather than surrendering to it. In God’s power, let’s choose to not allow a friendship to die or let a struggling neighborhood languish or yield to apathy and isolation. Let’s look for the broken places, trusting God to give us the wisdom and skill to participate in making them whole again.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tthew 5:9, 13–16Blessed are the peacemakers.
Matthew 5:9
What are two things you’re aware of that need to be brought back together?
How might God be calling you to participate in making them whole?
There are many broken things around me, God. I don’t know where to begin. Will You show me where to start?
오늘의 말씀
07/25/2019 목요일
겨우 한 순간
때때로 인생은 너무나 짧고 슬픔으로 가득 차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시편 39 편에서 저자 다윗은 자신의 고통을 한탄하며 이렇게 외칩니다. “여호와여 나의 종말과 연한이 언제까지인지 알게 하사 내가 나의 연약함을 알게 하소서 주께서 나의 날을 한 뼘 길이만큼 되게 하시매 나의 일생이 주 앞에는 없는 것 같사오니 사람은 그가 든든히 서 있는 때에도 진실로 모두가 허사 뿐이니이다”(4-5절). 인생은 ‘정말’ 짧습니다. 우리가 백 년을 바라보고 산다고 하지만, 이 땅에서의 삶은 영원에 비하면 한 순간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다윗처럼 우리도 “나의 소망은 주께 있나이다”(7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에 ‘분명’ 의미가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의 육신은 쇠하여 가지만, 믿는 자들인 우리에게는 “우리의 속사람이 날로 새로워지며” 언젠가 그분과 함께 영생을 누릴 거라는 확신이 있습니다(고린도후서 4:16-5:1). 우리가 이것을 아는 것은 하나님이 “이런 일을 우리에게 이루어주시고, 그 보증으로 우리에게 성령을 주셨기”(5:5, 새번역)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9:1-13나의 소망은 주께 있나이다
시편 39:7
하나님께서 우리가 그분의 영생을 누릴 수 있게 해주셨다는 것을 알게 되니 얼마나 위로가 됩니까?
선물로 주신 매 순간순간이 어떻게 시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도록 도움을 줍니까?
주님, 이 땅에서의 인생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에 감사드립니다!
주님을 믿는 모든 이에게 영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 땅에서 우리의 길지 않은 시간을 주님을 섬기면서 보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7/25/2019 Thursday
But a Breath
Sometimes life seems far too short and full of sorrow. In Psalm 39 the psalmist David bemoans his own suffering and exclaims: “Show me, Lord , my life’s end and the number of my days; let me know how fleeting my life is. You have made my days a mere handbreadth; the span of my years is as nothing before you. Everyone is but a breath, even those who seem secure” (VV 4–5). Life is short. Even if we live to see a century, our earthly life is but a drop in all of time.
And yet, with David, we can say, “My hope is in [the Lord]” (V 7). We can trust that our lives do have meaning. Though our bodies waste away, as believers we have confidence that “inwardly we are being renewed day by day”—and one day we’ll enjoy eternal life with Him (2 CORINTHIANS 4:16–5:1). We know this because God “has given us the Spirit . . . guaranteeing what is to come”! (5:5).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Psalm 39:1–13My hope is in you.
Psalm 39:7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that God has made it possible for you to share in His eternal life?
How can the gift of each moment encourage you to make the most of your time?
Thank You, Lord, that this life is not all there is!
You have eternity in store for all who believe in You.
Help us to spend our numbered days here in service to You.
오늘의 말씀
07/24/2019 수요일
자랑해야 할 그 무엇
자랑은 처음은 강하게 시작해도 결국에는 언제나 쇠하여 사라져버립니다. 예레미야는 이 자랑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부분을 세 가지를 듭니다. “지혜......힘...... 부요함”(예레미야 9:23, 현대인의 성경)입니다. 세상 물정을 한두 가지 알 만큼 오래 살아온 이 나이든 지혜로운 선지자는 그런 자랑에 대하여 주님의 진리의 말씀으로 맞섰습니다.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나를 아는 것과 나는 여호와인줄 깨닫는 것이라”(24절).
하나님의 자녀들인 우리는 모두 좋으신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자랑합시다. 그분의 위대하신 사랑이 펼쳐지는 이야기 속에 여러분과 내가 점점 더 진짜 인간이 되어가는 놀라운 길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9:23-26지혜로운 자는 그의 지혜를 자랑하지 말라 용사는 그의 용맹을 자랑하지 말라 부자는 그의 부함을 자랑하지 말라
예레미야 9:23
알고 있는 사람 중에 “주님 안에서 자랑”할 수 있는 능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람을 생각해보십시오. 이번 주에 그 사람의 본을 따라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예레미야의 말을 기억하게 하셔서, 하나님과 영원히 지속되는 아버지의 크신 사랑을 아는 것이 나의 유일한 자랑이 되게 하소서 .
Daily Article
07/24/2019 Wednesday
Something to Brag About
Boasting starts out strong; but in the end, it always fades away. Jeremiah lists three areas where this is evident: “wisdom. . . strength . . . riches” (JEREMIAH 9:23).
The wise old prophet had been around long enough to know a thing or two, and he countered such boasting with the Lord’s truth: “But let the one who boasts boast about this: that they have the understanding to know me, that I am the Lord ” (V 24).
Let us, the children, brag about God, our good Father. In the unfolding story of His great love, it’s the wonderful way you and I grow to become more and more real. - JOHN BLASE
Today's Reading
Jeremiah 9:23–26Let not the wise boast of their wisdom or the strong boast of their strength or the rich boast of their riches.
Jeremiah 9:23
Think of a person you know who embodies the ability to “boast in the Lord.” What is one way this week you can follow their example?
Father, help me to remember Jeremiah’s words. May my only boasting be in the knowledge of You and Your great love which endures forever.
오늘의 말씀
07/23/2019 화요일
내 머리 뒤에 달린 눈
때마다 어머니 머리를 유심히 보았습니다. 그 눈이 보이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붉은 머리카락 속에 덮여 숨겨있는 것인지 말입니다. 커가면서 어머니에게 눈이 두 개 더 있는지 확인하는 일을 그만두었고, 나 자신이 생각한 만큼 악동도 아니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어머니가 나를 지켜본 눈빛은 자식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증명해보인 것뿐이었습니다.
지금 나는 어머니의 세심한 보살핌에 감사해 하고 있습니다 (가끔은 혼날 일들을 모면하지 못해 실망도 했지만!). 어렸을 때 어머니의 보살핌에 대한 감사보다 더욱 감사한 일은 하나님께서 하늘에서 우리를 굽어보시며 “모든 인생을 살피신다”(시편 33:13) 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보고 계십니다. 우리의 슬픔과 기쁨, 서로를 향한 사랑까지 보고 계시니까요.
하나님은 우리의 참 성품을 보고 계시기 때문에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언제나 정확히 아십니다. 하나님은 우리 내면의 움직임까지 볼 수 있는 완벽한 시력으로 그분을 사랑하고 그분께 소망을 두는 사람들을 지켜보십니다(18절). 하나님은 자상하시고 사랑이 많으신 우리 아버지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3:6-19곧 그가 거하시는 곳에서 [하나님이] 세상의 모든 거민들을 굽어 살피시는도다
시편 33:14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보시며 우리를 지켜 보호하고 계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하나님께서 근래에 당신의 성품을 어떻게 다듬고 계십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모든 사람들을 지켜보시고 이 세상과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살펴보고 계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7/23/2019 Tuesday
Eyes in the Back of My Head
As grateful as I am for my mother’s attentive care (despite being occasionally disappointed I hadn’t gotten away with something!), I’m even more grateful that God “sees all mankind” as He looks upon us from heaven (PSALM 33:13). He sees so much more than what we do; He sees our sadness, our delights, and our love for one another.
God sees our true character and always knows exactly what we need. With perfect vision, which even sees the inner workings of our hearts, He watches over those who love Him and put their hope in Him (V 18). He’s our attentive, loving Father.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33:6–19From his dwelling place [God] watches all who live on earth.
Psalm 33:14
How does it comfort you to know that God sees everything and is watching over you? What has He been doing recently to sharpen your character?
Dear Father, thank You for watchingover all people and for seeing what happensin our world and in my l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