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21/2019     토요일

성경읽기: 전 7-9; 고후 13
찬송가: 36(통 36)

이름 중의 이름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44-1737)의 이름은 음악계에서 전설로 통합니다. 그가 만든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는 상당수가 장인의 솜씨와 맑고 깨끗한 음색으로 각기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매우 귀하게 취급받습니다. 한 예로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아힘(1831-1907)은 ‘메시아-살라브에 스트라디바리우스’라는 이름의 바이올린으로 연주한 후 “그 특별한 ‘메씨’ (연주한 바이올린의 애칭) 스트라드의 소리는 감미로움과 웅장함이 어우러져 내 기억 속에 자꾸 반복해서 떠오릅니다.” 라고 썼습니다.

그런데 스트라디바리우스의 명성과 소리도 훨씬 더 위대하신 만물의 근원 이신 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모세부터 예수님에 이르기까지, 신 중의 신이신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이름이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나다고 말씀하십시다. 하나님은 우리를 위해 자신의 지혜와 친히 하신 일들이 인정받고, 높임 받으며, 음악으로 찬송 받기를 원하십니다(출애굽기 6:1; 15:1-2).

그러나 고난당하는 사람들의 신음에 응답하여 힘을 주시는 것은 단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십자가에 못 박혀 그 연약해진 손으로 언젠가 영원하고 무한한 가치의 유산을 남겨놓으리라고 누가 예상이나 했겠습니까?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보여주시려고 우리의 죄와 거부로 인한 수모를 지니고 돌아가신 주님의 그 이름을 찬양하는 소리가 얼마나 경이롭고 장엄한지 어느 누가 미리 알 수 있었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6:1-8
하나님이 [예수님을]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빌립보서 2:9

우리에게 자기 이름을 새겨놓기 위해 우리 인생을 인내하며 다듬으시는 주님의 손길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우리가 그분의 자녀임을 깨우치시려고 주님은 오늘 어떤 일을 하고 계십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오늘 우리 안에서, 우리를 통해 일하심으로 우리의 모든 것이 주님께로 말미암는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9/21/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7–9 and 2 CORINTHIANS 13
Hymn: 36(old 36)

Name of Names

The name of Antonio Stradivari (1644–1737) is legendary in the world of music. His violins, cellos, and violas are so treasured for their craftsmanship and clarity of sound that many have been given their own names. One of them, for instance, is known as the Messiah-Salabue Stradivarius. After violinist Joseph Joachim (1831–1907) played it, he wrote, “The sound of the Strad, that unique ‘Messie,’ turns up again and again in my memory, with its combined sweetness and grandeur.”

Even the name and sound of a Stradivarius, however, doesn’t deserve to be compared to the work of a far greater Source. From Moses to Jesus, the God of gods introduces Himself with a name above all names. For our sake, He wants the wisdom and work of His own hand to be recognized, valued, and celebrated with the sound of music (EXODUS 6:1; 15:1–2).

Yet this deliverance of strength in response to the groans of a troubled people was only a beginning. Who could have foreseen that, by the weakness of crucified hands, He would one day leave a legacy of eternal and infinite value? Could anyone have predicted the resulting wonder and grandeur of music sung in praise of the name of One who died—bearing the insult of our sin and rejection—to show how much He loves us? - MART DEHAAN

Today's Reading

Exodus 6:1–8
God exalted [Jesus] to the highest place and gave him the name that is above every name.
Philippians 2:9

In what ways can you see the hand of a Master patiently shaping your life to put His name on you?
What is He doing today to remind you that you’re His child?

Father in heaven, please do something in and through us today that helpsothers see that we owe everything to You.

오늘의 말씀

09/20/2019     금요일

성경읽기: 전 4-6; 고후 12
찬송가: 570(통 453)

포도나무에 붙어서

병을 오래 앓고 있는 가족을 돌보며 유난히 음울했던 겨울을 보낸 엠마는 봄이 오자 영국 케임브리지 자기 집 근처의 벚나무 길을 걸으면서 매번 기운을 얻었습니다. 그 벚나무는 분홍색 꽃들 위로 흰 꽃이 활짝 피어 있었습니다. 솜씨 좋은 정원사가 그 나무 꼭대기에 흰 꽃 나뭇가지를 접목했던 것입니다. 엠마는 그 흔치 않은 나무를 지나며 예수님은 포도나무요 주님을 따르는 자들은 가지라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생각했습니다(요한복음 15:1-8).

예수님은 스스로 자신을 포도나무 라고 비유하시면서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익숙했던 이미지를 말씀 하셨습니다. 구약성경에서 포도나무는 하나님의 백성을 상징합니다(시편 80:8-9; 호세아 10:1). 예수님은 이 상징성을 자신 에게 적용하여, 주님은 포도나무요 주님을 따르는 자들은 그에게 접붙인 가지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주님 안에 거하면 주님이 주시는 영양분과 힘을 얻고 열매를 맺게 된다는 것입니다(요한복음 15:5).

엠마는 가족을 돌보면서 자신이 예수님과 접붙여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줄 무언가가 필요했었습니다. 분홍색 꽃 가운데 피어 있는 흰 꽃을 보면서, 자기도 포도나무이신 주님 안에 붙어있어서 주님을 통해 영양분을 받았다는 사실을 생생히 눈으로 보는 것 같았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도 포도나무에 붙어있는 가지처럼 예수님과 가까이 있다는 생각을 품을 때 우리의 믿음은 강해지고 풍성해집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8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스스로 열매를 맺을 수 없음 같이 너희도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러하리라
요한복음 15:4

당신은 어떻게 예수님으로부터 영적 영양분을 받고 있습니까?

주 예수님, 주님 안에 머물 수 있게 도와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 제게 필요한 평강과 소망과 힘을 얻게 하소서.

Daily Article

09/20/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4–6 and 2 CORINTHIANS 12
Hymn: 570(old 453)

In the Vine

One spring after a particularly dreary winter during which she helped a family member through a long illness, Emma found encouragement each time she walked past a cherry tree near her home in Cambridge, England. Bursting out at the top of the pink blossoms grew blossoms of white. A clever gardener had grafted into the tree a branch of white flowers. When Emma passed the unusual tree, she thought of Jesus’s words about being the Vine and His followers the branches (JOHN 15:1–8).

By calling Himself the Vine, Jesus was speaking of an image familiar to the Israelites in the Old Testament, for there the vine symbolized God’s people (PSALM 80:8–9; HOSEA 10:1). Jesus extended this symbolism to Himself, saying He was the Vine and that His followers were grafted into Him as branches. And as they remained in Him, receiving His nourishment and strength, they would bear fruit (JOHN 15:5).

As Emma supported her family member, she needed the reminder that she was connected to Jesus. Seeing the white flowers among the pink ones gave her a visual prompt of the truth that as she remained in the Vine, she gained nourishment through Him.

When we who believe in Jesus embrace the idea of being as close to Him as a branch is to a vine, our faith is strengthened and enriched.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John 15:1–8
No branch can bear fruit by itself; it must remain in the vine. Neither can you bear fruit unless you remain in me.
John 15:4

How are you receiving spiritual nourishment from Jesus?

Lord Jesus, thank You for helping me to remain in You.
May I find the peace, hope, and strength I need today.

오늘의 말씀

09/19/2019     목요일

성경읽기: 전 1-3; 고후 11:16-33
찬송가: 304(통 404)

작게 느껴질 때

많은 영화 평론가들은 데이비드 린의 ‘아라비아의 로렌스’ 를 역대 최고 영화 중의 하나로 꼽습니다. 끝없는 듯 펼쳐지는 아라비아 사막의 풍경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수상자인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을 비롯하여 한 세대의 영화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스필버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로렌스’를 처음 보고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그 영화는 나 자신의 존재를 작게 느끼게 했으며 지금도 그 영화를 생각하면 같은 기분을 느낍니다. 그것은 이 영화의 위대함의 한 측면에 불과합니다.”

나의 경우 나를 작게 느끼게 해주는 것은 창조의 광대함입니다. 대양을 바라 보거나 북극의 빙산 위를 비행하거나, 또는 밤하늘에 반짝이는 무수한 별들을 헤아릴 때 그렇습니다. 창조된 우주가 그토록 광대하다면, 그것을 말씀으로 지으신 창조주는 얼마나 더 위대하겠습니까!

다윗도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우리의 보잘것없음을 느끼며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 (시편 8:4).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에게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기르시나니 너희는 이것들보다 귀하지 아니하냐” (마태복음 6:26).

나는 자신을 작고 하찮은 존재로 느낄지 모르지만, 하나님 아버지가 보시기에 나는 대단한 존재가치를 지녔습니다. 그 가치는 내가 십자가를 바라볼 때마다 증명됩니다. 주님이 나와 하나님과의 교제를 회복시키려고 기꺼이 치르신 대가야 말로 주님이 나를 얼마나 귀하게 여기시는지 증거가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32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 이까
시편 8:4

당신은 창조의 어떤 경이로운 부분을 보고 하나님께 주목하게 됩니까?
그것을 보고 어떻게 창조주가 당신을 아주 소중히 여기시는지 알게 해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마음이 우리를 향해 있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시고, 하나님 안에서 우리의 참 가치를 찾도록 인도해주소서.

Daily Article

09/19/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3 and 2 COR. 11:16–33
Hymn: 304(old 404)

Feeling Small

Many movie critics consider David Lean’s Lawrence of Arabia one of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With its seemingly endless vistas of the Arabian deserts, it has influenced a generation of filmmakers—including Academy Award-winning director Steven Spielberg. “I was inspired the first time I saw Lawrence ,” said Spielberg. “It made me feel puny. It still makes me feel puny. And that’s one measure of its greatness.”

What makes me feel small is creation’s vastness—when I gaze at an ocean, fly over the polar ice cap, or survey a night sky sparkling with a billion stars. If the created universe is so expansive, how much greater must be the Creator who spoke it into being!

God’s greatness and our feelings of insignificance are echoed by David when he declares, “What are mere mortals that you should think about them, human beings that you should care for them?” (PSALM 8:4 NLT ). But Jesus assures us, “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Are you not much more valuable than they?” (MATTHEW 6:26).

I may feel small and insignificant, but through my Father’s eyes, I have great worth—a worth that is proven every time I look at the cross. The price He was willing to pay to restore me to fellowship with Him is evidence of how He values me.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tthew 6:25–32
What is mankind that you are mindful of them, human beings that you care for them?
Psalm 8:4

What wonder of creation draws your attention to God?
How does it impact you to know how much your Creator values you?

Father, help us to remember Your heart is for us. Guideus to find our true significance in You.

오늘의 말씀

09/18/2019     수요일

성경읽기: 잠 30-31; 고후 11:1-15
찬송가: 342(통 395)

돌아서서 뛰어라

부모님의 사랑 아래 자란 알리는 아름답고 영리하며 재주 많은 십대 아이였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 졸업 후 뭔가에 이끌려 헤로인에 손을 대었습니다. 알리 몸의 이상을 알아챈 부모는 딸이 마침내 헤로인에 중독되었다고 고백하자 그를 재활시설에 보냈습니다. 치료가 끝난 후, 알리의 부모는 딸에게 마약 하는 것에 대해 친구들에게 어떤 말을 해주겠냐고 물었습니다. 알리는 “그냥 돌아서서 뛰어.”라고 대답했습니다. 알리는 “그냥 안 한다고 말하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알리는 마약에 다시 빠져 과다 복용으로 스물두 살의 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상심한 알리의 부모는 사람들이 자기 딸과 같은 비운을 겪지 않도록 지역 뉴스방송에 출연하여 청취자들에게 “알리를 생각하여 뛰어서” 마약이나 다른 위험들에 노출되는 상황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것을 권유했습니다.

바울 사도는 그의 영적 아들 디모데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악에서 달아날 것을 강력하게 권면했으며(디모데후서 2:22), 베드로 사도도 비슷하게 다음과 같이 경고했습니다.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 같이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너희는 믿음을 굳건하게 하여 그를 대적하라”(베드로전서 5:8-9).

유혹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래서 항상 피할 수는 없더라도, 종종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유혹의 상황에서 멀리 벗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성경에 기반을 두고 기도로 강건해져서 하나님을 향한 굳센 믿음을 지닌다면 더 잘 대비할 수 있습니다. “믿음에 굳게 설” 때, 우리는 언제 하나님께로 돌아서서 달려가야 할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5:8-10
너희는 믿음을 굳건하게 하여 [마귀를] 대적하라
베드로전서 5:9

특별히 어떤 일에 유혹을 잘 느낍니까?
무엇이 유혹을 이길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주위에 너무 많은 유혹이 있습니다.
실족하지 않게 잘 지켜보고 기도하도록 도와주소서.
돌아오는 우리를 다시 맞아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18/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30–31 and 2 COR. 11:1–15
Hymn: 342(old 395)

Turn and Run

Ali was a beautiful, smart, and talented teenager with loving parents. But after high school something prompted her to try heroin. Her parents noticed changes in her and sent her to a rehabilitation facility after Ali eventually admitted the impact it was having on her. After treatment, they asked what she would tell her friends about trying drugs. Her advice: “Just turn and run.” She urged that “just saying no” wasn’t enough.

Tragically, Ali relapsed and died at age twenty-two of an overdose. In an attempt to keep others from the same fate, her heartbroken parents appeared on a local news program encouraging listeners to “run for Ali” by staying far from situations where they could be exposed to drugs and other dangers.

The apostle Paul urged his spiritual son Timothy (and us) to run from evil (2 TIMOTHY 2:22), and the apostle Peter likewise warned, “Your enemy the devil prowls around like a roaring lion looking for someone to devour. Resist him, standing firm in the faith” (1 PETER 5:8–9).

None of us is immune to temptation. And often the best thing to do is to steer clear of situations where we’ll be tempted—though they can’t always be avoided. But we can be better prepared by having a strong faith in God based in the Bible and strengthened through prayer. When we “[stand] firm in the faith” we’ll know when to turn and run to Him.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1 Peter 5:8–10
Resist [the devil], standing firm in the faith.
1 Peter 5:9

In what area(s) are you particularly susceptible to temptation?
What has helped you to resist?

ear God, there are so many temptations out there.
Help us to watch and pray so that we won’t fall.
And thank You for welcoming us back when we do.

오늘의 말씀

09/17/2019     화요일

성경읽기: 잠 27-29; 고후 10
찬송가: 305(통 405)

물 그 이상의 것

아주 어린 시절 교회에 관한 기억 중 하나는 세례 중에 목사님이 예배당의 통로를 걸어가며 “너희가 받을 세례의 물을 기억하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물을 기억하라고? 물을 어떻게 기억하란 말이지?’ 나는 궁금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목사님은 사람마다 일일이 물을 뿌리며 세례를 베풀었는데, 그 일은 어린 나를 즐거우면서도 당황스럽게 만들었습니다.

왜 우리는 세례에 대해 생각해야 할까요? 사람이 세례를 받을 때 거기에는 물 이상의 훨씬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세례는 예수님을 믿음으로 우리가 어떻게 그분으로 “옷 입게” 되는지를 상징합니다 (갈라디아서 3:27). 다시 말해, 세례는 우리가 주님께 속해 있고 주님이 우리 안에, 그리고 우리와 함께 사시게 된 것을 공표하는 일입니다.

그 설명으로도 충분하지 않은 듯, 그 구절은 그리스도의 옷을 입으면 우리의 정체성을 주님 안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해줍니다. 우리가 바로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입니다(26절). 이처럼 하나님 앞에 우리가 의롭다 함을 얻은 것은 구약의 율법을 지킴으로 된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된 것입니다(23-25절). 우리는 성별이나 문화, 신분에 의해 서로 차별 받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런 속박에서 자유롭게 되어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가 되었으며, 이제는 주님의 소유가 되었습니다(29절).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세례와 세례가 의미하는 모든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세례 행위 자체보다는 우리가 예수님께 속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주님 안에 우리의 정체성과 미래, 영적인 자유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3:23-29
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기 위하여 세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
갈라디아서 3:27

우리가 그리스도로 옷 입고 그분의 소유가 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어떻게 세례의 의미를 정기적으로 기념하고 기억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예수님을 통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된 것을 절대 잊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7/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7–29 and 2 CORINTHIANS 10
Hymn: 305(old 405)

More than Water

One of my earliest childhood memories of church was a pastor walking down the aisle, challenging us to “remember the waters of our baptism.” Remember the waters? I asked myself. How can you remember water? He then proceeded to splash everyone with water, which as a young child both delighted and confused me.

Why should we think about baptism? When a person is baptized, there’s so much more to it than water. Baptism symbolizes how through faith in Jesus, we’ve become “clothed” with Him (GALATIANS 3:27). Or in other words, it’s celebrating that we belong to Him and that He lives in and through us.

As if that weren’t significant enough, the passage tells us that if we’ve been clothed with Christ our identity is found in Him. We’re the very children of God (V. 26). As such, we’ve been made right with God by faith—not by following Old Testament law (VV. 23–25). We’re not divided against one another by gender, culture, and status. We’re set free and brought into unity through Christ and are now His own (V. 29).

So there are very good reasons to remember baptism and all it represents. We aren’t simply focusing on the act itself but that we belong to Jesus and have become children of God. Our identity, future, and spiritual freedom are found in Him. - PETER CHIN

Today's Reading

Galatians 3:23–29
All of you who were baptized into Christ have clothed yourselves with Christ.
Galatians 3:27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be clothed with Christ and to belong to Him? What are ways in which you can regularly celebrate and remember the meaning of baptism?

God, help me to never forget that through Jesus I am a child of God!

오늘의 말씀

09/16/2019     월요일

성경읽기: 잠 25-26; 고후 9
찬송가: 297(통 191)

악플러에게 응답하지 말라

“트롤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트롤(악플러)”은 오늘날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제로 뉴스나 소셜미디어 토론방에 분노를 일으키고 상처를 주는 글을 의도적으로 계속 올리는 온라인 사용자를
말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그런 댓글들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 트롤(악플러)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다면 그들의 대화 방해는 오래가지 못할 것입니다.

생산적인 대화에 정말 관심 없는 사람들과 부딪히는 것이 물론 전혀 새로운 일은 아닙니다. “악플러에게 응답하지 말라”는 말은 거만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과 언쟁하면 그들의 수준으로 떨어지고 만다는 것을 경고하는 잠언 26장 4절 말씀의 현대적인 표현입니다.

그러나......아무리 완고해 보이는 사람이라도 그 역시 존귀한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입니다. 우리가 남을 쉽게 묵살하게 되면, ‘우리’도 거만해지고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이지 않을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마태복음 5:22 참조).

그런 사실은 왜 잠언 26장 5절 말씀이 정‘반대’의 지침을 주는지 어느 정도 설명이 됩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최선을 다해 사랑을 나타낼 수 있으려면 겸손과 기도로 하나님께 의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골로새서 4:5-6 참조). 우리가 발언해야 할 때가 있지만, 어떤 때는 침묵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여전히 닫힌 마음으로 주님께 반항하던 우리를 가까이 이끌어주신 그 하나님이(로마서 5:6) 각자의 마음속에서 능력으로 역사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알고 마음에 평안을 얻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26:4-12
기회를 선용하십시오. 여러분의 말은......언제나 은혜가 넘쳐야 합니다.
골로새서 4:5-6, 새번역

하나님이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데 전혀 다른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어떻게 진리를 사랑으로 더 잘 전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주위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16/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5–26 and 2 CORINTHIANS 9
Hymn: 297(old 191)

Don’t Feed the Trolls

Ever heard the expression, “Don’t feed the trolls”? “Trolls” refers to a new problem in today’s digital world—online users who repeatedly post intentionally inflammatory and hurtful comments on news or social media discussion boards. But ignoring such comments—not “feeding” the trolls—makes it harder for them to derail a conversation.

Of course, it’s nothing new to encounter people who aren’t genuinely interested in productive conversation. “Don’t feed the trolls” could almost be a modern equivalent of Proverbs 26:4, which warns that arguing with an arrogant, unreceptive person risks stooping to their level.

And yet . . . even the most seemingly stubborn person is also a priceless image-bearer of God. If we’re quick to dismiss others, we may be the ones in danger of being arrogant and becoming unreceptive to God’s grace (SEE MATTHEW 5:22).

That might, in part, explain why Proverbs 26:5 offers the exact opposite guideline. Because it takes humble, prayerful dependence on God to discern how best to show others love in each situation (SEE COLOSSIANS 4:5–6). Sometimes we speak up; other times, it’s best to be silent.

May we find peace in knowing that the same God who drew us near while we were still in hardened opposition to Him (ROMANS 5:6) is powerfully at work in each person’s heart. -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Proverbs 26:4–12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Let your conversation be always full of grace.
Colossians 4:5-6

How have you witnessed very different approaches being used by God to touch others? How can you better speak the truth in love?

Loving God, help me share Your love with others around me.

오늘의 말씀

09/15/2019     주일

성경읽기: 잠 22-24; 고후 8
찬송가: 219(통 279)

하나 됨

지금의 체코공화국 지역에 살았던 모라비아 기독교인 몇 명이 1722년에 박해를 피해 비교적 관대한 독일인 백작 영지로 피난처를 찾아왔습니다. 그 후 4년 동안 300명 이상이나 그곳으로 왔습니다. 그런데 이 정착지는 박해 받던 난민들에게 이상적인 공동체가 되지 못하고 오히려 불화가 만연했습니다. 기독교에 대한 관점의 차이 때문에 분열이 일어난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서로 의견이 다른 관점 보다는 서로 일치하는 관점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이 취한 행동은 작은 선택처럼 보일지 몰라도 믿기 어려운 부흥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하나가 되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에베소교회 성도들에게 연합하여 하나로 살라고 힘써 당부했습니다. 죄는 늘 분란과 이기적인 욕구, 관계의 갈등을 가져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심을 받은” 에베소 성도들은 자신들의 새로운 정체성을 실천적으로 구현하며 살라고 부름 받았습니다(에베소서 5:2). 무엇보다도 그들은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켜야”(4:3) 했습니다.

하나가 된다는 것은 인간의 힘으로 얻어지는 단순한 동지애 같은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해야”(2절) 합니다. 인간적인 관점으로는 이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우리 자신의 능력으로는 하나가 될 수 없습니다. 오직 “우리 가운데서 역사하시는”(3:20) 하나님의 완벽한 능력으로만 하나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6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
에베소서 4:3

믿음의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분열이나 화합을 경험하고 있습니까?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신 것을 지키기 위해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어떻게 노력할 수 있을까요?

만물 위에, 만물을 통해, 만물 안에 계시는 하나님 아버지, 우리 가운데 거하셔서 하나 됨을 이루어주소서.

Daily Article

09/15/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2–24 and 2 CORINTHIANS 8
Hymn: 219(old 279)

Unity

In 1722 a small group of Moravian Christians, who lived in what is now the Czech Republic, found refuge from persecution on the estate of a generous German count. Within four years, more than 300 people came. But instead of an ideal community for persecuted refugees, the settlement became filled with discord. Different perspectives on Christianity brought division. What they did next may seem like a small choice, but it launched an incredible revival: They began to focus on what they agreed on rather than on what they disagreed on. The result was unity.

The apostle Paul strongly encouraged the believers in the church in Ephesus to live in unity. Sin would always bring trouble, selfish desires, and conflict in relationships. But as those who were made “alive with Christ” the Ephesians were called to live out their new identity in practical ways (EPHESIANS 5:2). Primarily, they were to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4:3).

This unity isn’t just simple camaraderie achieved through human strength. We are to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be patient, bearing with one another in love” (V. 2). From a human perspective, it’s impossible to act in this way. We can’t reach unity through our own power but through God’s perfect power “that is at work within us” (3:20).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Ephesians 4:1–6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through the bond of peace.
Ephesians 4:3

How are you experiencing division or unity in your community of faith? What efforts can you make in God’s strength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Father, You who are over all and through all and in all, live among us in such a way that unity will be present.

오늘의 말씀

09/14/2019     토요일

성경읽기: 잠 19-21; 고후 7
찬송가: 336(통 383)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그리스도의 사도, 바울’이라는 영화는 초대교회 시기에 있었던 박해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화 속의 단역배우들까지도 예수님을 따르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잘 보여줍니다. 영화가 끝난 후 보여주는 배역
명단에 나오는 다음 배역들을 한 번 생각해보십시오. 두들겨 맞은 여자, 두들겨 맞은 남자, 희생된 그리스도인 1,2,3.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지면 종종 엄청난 대가를 치렀습니다. 지금도 세계 여러 곳에서는 예수님을 믿는 것이 위험합니다. 오늘날의 많은 교인들도 그와 같은 박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 중에는 이미 “박해를 받았다” 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릅니다. 우리의 믿음이 조롱당했을 때 화가 치밀거나, 우리의 믿음 때문에 승진에서 누락되었다고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사회적 지위가 희생당하는 것과 생명을 잃는 것 사이에는 분명히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자기 이익과 경제적 안정, 사회적 인정 같은 것들이 언제나 인간의 삶에서 강력한 동기요인이 되어왔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따르기로 한 초기 신자들의 행동 가운데서도 그런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요한 사도는 이렇게 전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 처형을 당하시기 불과 며칠 전, 대부분의 이스라엘 사람들은 여전히 그를 거부했지만 (요한복음 12:37) “관리 중에도 그를 믿는 자가 많되”(42절) “드러나게 말하지 못하니......그들은 사람의 영광을 하나님의 영광보다 더 사랑하였더라”(42-43절).

오늘날 우리는 여전히 기독교 신앙을 밖으로 드러내지 말라는 사회적 압력에 (그것도 더 심하게)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 모두 단결하여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사람의 칭찬보다는 하나님으로부터 인정받는 백성들이 됩시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2:37-43
드러나게 말하지 못하니 이는......두려워함이라
요한복음 12:42

신앙을 숨겼던 초대교회의 성도들을 심판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모르지만, 과연 우리의 모습은 그들과 차이가 없는지요?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사람인 것을 숨기려고 침묵하려 한 때는 없습니까?

예수님, 예수님의 절친한 친구가 되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9/14/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9–21 and 2 CORINTHIANS 7
Hymn: 336(old 383)

Whatever the Cost

The film Paul, Apostle of Christ takes an unflinching look at persecu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church. Even the movie’s minor characters reveal how dangerous it was to follow Jesus. Consider these roles listed in the credits: Beaten Woman; Beaten Man; Christian Victims 1, 2, and 3.

Identifying with Christ often came at a high cost. And in much of the world, it’s still dangerous to follow Jesus. Many in the church today can relate to that kind of persecution. Some of us, however, may feel “persecuted” prematurely—outraged any time our faith is mocked or we suspect we were passed over for a promotion because of our beliefs.

Obviously, there’s a colossal difference between sacrificing social status and sacrificing our lives. Realistically, though, self-interest, financial stability, and social acceptance have always been intense human motivators. We see this in the actions of some of Jesus’s earliest converts. The apostle John reports that, mere days before Jesus’s crucifixion, although most Israelites were still rejecting Him (JOHN 12:37), many “even among the leaders believed” (V. 42). However, “They would not openly acknowledge their faith . . . for they loved human praise more than praise from God” (VV. 42–43).

Today we still face societal pressures (and worse) to keep our faith in Christ hidden. Whatever the cost, let’s stand together as a people who seek God’s approval more than human prais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ohn 12:37–43
They would not openly acknowledge their faith for fear.
John 12:42

We might be tempted to judge the early believers who hid their faith, but are we any different?
Are there times we choose to be quiet so we can hide our identification with Jesus?

Jesus, I want to be a close friend of Yours.

오늘의 말씀

09/13/2019     금요일

성경읽기: 잠 16-18; 고후 6
찬송가: 321(통 351)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씨 에스 루이스는 ‘예기치 못한 기쁨’이라는 책에서 자신이 서른세 살에 그리스도인이 되었다고 털어놓으면서, “발길질도 하고 버둥거리며 분개하고 사방으로 눈을 굴리며 도망갈 기회를 엿보았다.”고 했습니다. 대놓고 반항도 했었고 자신이 부족한 점도 많았으며 여러 가지 장애물도 맞닥뜨렸지만, 주님은 그를 용기 있고 창의적인 신앙의 옹호자로 변화시켜주셨습니다. 루이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에세이와 소설작품들을 통해 하나님의 진리와 사랑을 분명히 보여주었습니다. 그의 저술들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55여년이나 지났지만 여전히 읽히고 연구되며 공유되고 있습니다. 그의 삶은 사람은 “아무리 나이 들어도 다른 목표를 세우지 못하거나 새로운 꿈을 꾸지 말라는 법은 없다”는 그의 신념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우리가 계획을 세우고 꿈을 추구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목표를 가다듬어 주시고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하나님께 이바지할 수 있도록 힘을 더해주십니다(잠언 16:1-3). 가장 평범한 과업에서부터 가장 큰 도전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온갖 것을 그 쓰임에 적당하게 지으시는”(4절) 전능하신 창조주의 영광을 위해 살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모든 행동과 말, 그리고 생각들은 진심어린 경배의 표현, 곧 우리를 지켜봐주시는 주님을 높여드리는 화목의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7절).

하나님은 우리가 가진 한계나 의구심에, 혹은 안주하거나 꿈을 작게 갖는다 해도 거기에 구애받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위해 살기로 작정하고 그분께 헌신하고 의지하는 삶을 살 때, 하나님은 우리를 위한 그분의 계획을 보여주실 것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주님과 함께, 주님을 위해, 그리고 오직 주님 때문에 이루어질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6:1-9
너희 행사를 여호와께 맡기라 그리하면 네가 경영하는 것이 이루어지리라
잠언 16:3

우리 은사를 더욱 자신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잠언 16장 3절 말씀이 어떤 도움을 줍니까?
하나님께서 우리 마음에 두신 꿈을 추구하면서 그분을 영화롭게 하기 위해 어떤 과정들을 취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광대한 하나님 나라에서는 그 어떤 일도 하찮은 것이 없으며 그 어떤 꿈도 너무 크지 않다는 것을 다시 알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9/13/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6–18 and 2 CORINTHIANS 6
Hymn: 321(old 351)

Whatever We Do

In Surprised by Joy, C. S. Lewis confessed he came to Christianity at the age of thirty-three, “kicking, struggling, resentful, and darting his eyes in every direction for a chance to escape.” Despite Lewis’s own personal resistance, his short-comings, and the obstacles he faced, the Lord transformed him into a courageous and creative defender of the faith. Lewis proclaimed God’s truth and love through writing powerful essays and novels that are still being read, studied, and shared more than fifty-five years after his death. His life reflected his belief that a person is “never too old to set another goal or dream a new dream.”

As we make plans and follow dreams, God can purify our motives and empower us to devote whatever we do to Him (PROVERBS 16:1–3). From the most ordinary tasks to the greatest challenges, we can live for the glory of our almighty Maker, who “works out everything to its proper end” (V. 4). Every action, every word, and every thought can become an expression of heartfelt worship, a sacrificial gift to honor our Lord, as He watches over us (V. 7).

God can’t be limited by our limitations, our reservations, or our tendencies to settle or dream small. As we choose to live for Him—dedicated to and dependent on Him—He will bring about
His plans for us. Whatever we do can be done with Him, for Him, and only because of Him.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roverbs 16:1–9
Commit to the LORD whatever you do, and he will establish your plans.
Proverbs 16:3

How can Proverbs 16:3 help you be more confident in the use of your gifts?
What steps can you take to honor God as you follow a dream He’s placed on your heart?

God, thank You for reminding us that no jobs are too small and no dreams are too big in Your great kingdom.

오늘의 말씀

09/12/2019     목요일

성경읽기: 잠 13-15; 고후 5
찬송가: 424(통 216)

혀 길들이기

작가 베릴 마크햄은 ‘이 밤과 서쪽으로’라는 책에 캠시스켄 이라는 고집 센 수말을 맡아 힘들게 길들였던 일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작가는 이 말에게서 자신의 적수를 만난 것과 같았습니다. 그 어떤 꾀를 써보아도 결코 그 거만한 말을 완전히 길들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마침내 말의 완고한 의지를 단 한 번 꺾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 혀를 길들이려고 애쓸 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같은 느낌을 가질까요? 야보고는 혀를 말 입에 물리는 재갈이나 배의 방향타에 비교하면서도 (야보고서 3:3-5), “한 입에서 찬송과 저주가 나오는도다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10절)며 한탄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혀와 싸워 이길 수 있을까요? 바울 사도가 혀를 길들이는 데 필요한 조언을 해줍니다. 첫째로 오직 진실만을 말하는 것입니다(에베소서 4:25). 그렇다고 아무 때나 직설적으로 말해 고통을 주라는 것은 아닙니다. 바울은 이어서 “무릇 더러운 말은 너희 입 밖에도 내지 말고 오직 덕을 세우는데 소용되는 대로 선한 말을 하여 듣는 자들에게 은혜를 끼치게 하라”(29절)고 말합니다. 또 쓰레기도 내다버려야 합니다. “모든 악독과 노함과 분냄과 떠드는 것과 비방하는 것을 모든 악의와 함께 버리라” (31절). 이것이 쉬운 일일까요? 우리 힘으로 하려 들면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감사하게도, 우리에게는 의지할 때 도와주시는 성령님이 계십니다.

마크햄이 터득한 대로, 의지의 싸움에서 필요했던 것은 캠시스켄을 일관성 있게 다루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혀를 길들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3:1-6
무릇 더러운 말은 너희 입 밖에도 내지 말고 오직 덕을 세우는데 소용되는 대로 선한 말을 하여
에베소서 4:29

혀를 길들이는데 있어 가장 힘든 점은 무엇입니까? 다가오는 주간에 그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실제로 어떤 조치를 취하시겠습니까?

주 예수님, 제가 하는 말에 주의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주님이 필요합니다

Daily Article

09/12/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3–15 and 2 CORINTHIANS 5
Hymn: 424(old 216)

Tongue Tamers

In West with the Night, author Beryl Markham detailed her work with Camciscan, a feisty stallion she was tasked with taming. She’d met her match with Camciscan. No matter what strategy she employed, she could never fully tame the proud stallion, chalking up only one victory over his stubborn will.

How many of us feel this way in the battle to tame our tongues? While James compares the tongue to the bit in a horse’s mouth or a ship’s rudder (JAMES 3:3–5), he also laments, “Out of the same mouth come praise and cursing. My brothers and sisters, this should not be” (V. 10).

So, how can we win the battle over the tongue? The apostle Paul offers tongue-taming advice. The first involves speaking only the truth (EPHESIANS 4:25). This is not a license to be painfully blunt, however. Paul follows up with “do not let any unwholesome talk come out of your mouths, but only what is helpful for building others up” (V. 29). We can also take out the trash: “Get rid of all bitterness, rage and anger, brawling and slander, along with every form of malice” (V. 31). Is this easy? Not if we attempt to do it on our own. Thankfully, we have the Holy Spirit who helps us as we rely on Him.

As Markham learned, consistency with Camciscan was needed in the battle of wills. Such is the case in the taming of the tongue.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James 3:1–6
Do not let any unwholesome talk come out of your mouths, but only what is helpful for building others up.
Ephesians 4:29

What do you find most challenging in taming your tongue? What practical steps can you take to win the battle in the coming week?

Lord Jesus, I need You to help me be mindful of the words I us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