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01/2019     화요일

성경읽기: 사 11-13; 엡 4
찬송가: 545(통 344)

반복해서 먹기

케리와 폴은 결혼했을 때 둘 다 요리를 할 줄 몰랐습니다. 하루는 케리가 스파게티를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너무 많이 만들다보니 스파게티를 다음날 저녁식사로 또 먹게 되었습니다. 셋째 날, 이번에는 폴이 나서서 했는데 큰 냄비 양만큼 하면 주말까지 먹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파스타와 소스의 양을 두 배로 해서 요리했습니다. 그러나 그날 저녁 둘이 식사를 하려고 앉았다가 케리가 먼저 털어놓았습니다. “나 이젠 스파게티가 지겨워요.”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40년이나 같은 음식만 먹는다고 한 번 상상해보십시오. 아침마다 그들은 하나님이 주신 감미로운 “최고급 음식”을 모아서 요리를 했습니다 (그 다음 날이 안식일이 아니면 음식을 남기지 않았습니다. 출애굽기 16:23-26). 아, 물론 재료를 가지고 굽기도 하고 끓이기도 하며 좋은 방법을 찾아 조리를 했지요(23절). 아, 그런데 백성들이 애굽에서 즐겼던 맛있는 음식들을 다시 그리워한 것입니다!(3절; 민수기 11:1-9). 처참한 노예생활의 대가로 얻은 음식이었는데도 말입니다!

우리 역시 사는 것이 옛날 같지 않다고 해서 원망할 때가 있을 것입니다. 아니면 살아가면서 “그날이 그날이라” 불만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출애굽기 16장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신실하게 공급해주심으로 그들로 매일매일 하나님의 돌보심을 신뢰하고 의지하게 했던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다 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간절히 원하는 것들을 충족시켜주시고 우리 영혼을 “좋은 것들”로 채워주십니다(시편 107:9).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6:14-18
이제는 우리의 기력이 다하여 이 만나 외에는 보이는 것이 아무것도 없도다 민수기 11:6

하나님은 지금까지 어떻게 당신에게 공급해주셨습니까? 어떤 욕구 때문에 하나님을 더 신뢰하지 못하나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신실하게 돌보시고 제게 필요한 것을 공급해주겠다고 약속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01/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1–13 and EPHESIANS 4
Hymn: 545(old 344)

Eat and Repeat

When Kerry and Paul got married, neither one knew how to cook. But one night Kerry decided to try her hand at spaghetti—making so much that the couple had it for dinner again the next day. On the third day, Paul volunteered to cook, doubling the amount of pasta and sauce, hoping the huge pot would last through the weekend. As the couple sat down for dinner that night, however, it was Kerry who confessed, “I’m sick of spaghetti.”

Just imagine eating the same meal as the Israelites did—for forty years. Each morning they gathered the sweet “super food” God supplied and cooked it (no leftovers unless the next day was the Sabbath, Exodus 16:23–26). Oh, sure, they got creative—baking it, boiling it (V. 23). But, oh, how they missed the good food they had enjoyed in Egypt (V. 3; NUMBERS 11:1–9), even though that nourishment had come at the high cost of cruelty and enslavement!

We too may sometimes resent that our life isn’t what it once was. Or perhaps the “sameness” of life has caused us to be discontent. But Exodus 16 tells of God’s faithful provision to the Israelites, causing them to trust and depend on His care each day.

God promises to give us everything we need. He satisfies our longings and fills up our soul with “good things” (PSALM 107:9 ESV).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Exodus 16:14–18
We have lost our appetite; we never see anything but this manna! Numbers 11:6

In what ways has God provided for you in the past? What longing is keeping you from trusting Him more?

Father, thank You for Your promise to faithfully care for me and provide what I need.

오늘의 말씀

09/30/2019     월요일

성경읽기: 사 9-10; 엡 3
찬송가: 144(통 144)

응급 치료

나는 공원 안내원을 따라가며 바하마 원시림 식물들에 관한 그의 설명을 받아 적었습니다. 그는 주의해야 할 나무들을 알려주며 말했습니다. 옻나무에서 분비되는 검은 수액은 아프고 가려운 발진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걱정하지 마세요! 대개 바로 근처에서 해독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마닐라 엘레미 고무나무의 붉은 껍질을 벗겨 나오는 진액을 상처에 바르면 금방 나을 겁니다.”

나는 놀라서 연필을 떨어뜨릴 뻔 했습니다. 숲속에서 구원을 묘사한 그림을 마주하게 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는데 그 고무나무에서 예수님을 본 것입니다. 예수님은 죄의 독성이 있는 곳은 어디든 바로 쓸 수 있는 응급 치료제입니다. 그 나무의 붉은 껍질처럼 예수님의 피가 치유해줍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인간에게 치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는 죄의 발진에 걸린 것입니다. 이사야는 “간고를 많이 겪으신 그분”이 우리의 아픔을 대신 지심으로 우리를 치유해주실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이사야 53:3). 그분이 바로 예수님이었습니다. 병든 우리를 대신하여 그리스도께서 우리 대신 기꺼이 상처를 입으셨습니다. 그분을 믿으면 우리의 죄의 병이 치유됩니다(5절). 치유 받은 자로서 우리의 죄를 깨닫고 새로운 신분에 맞게 죄를 멀리하는 삶을 사는 것을 배우는데 한평생이 걸릴지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님 때문에 우리는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1-6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이사야 53:5

자연 속의 어떤 다른 모습들 속에서 우리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구원을 볼 수 있습니까?
그분이 주시는 치유가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습니까?

죄가 있는 어느 곳이든 예수님이 거기 계셔서 바로 구해주신다.

Daily Article

09/30/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9–10 and EPHESIANS 3
Hymn: 144(old 144)

A Ready Remedy

Following the park guide, I scribbled notes as he taught about the plants of the Bahamian primeval forest. He told us which trees to avoid. The poisonwood tree, he said, secretes a black sap that causes a painful, itchy rash. But not to worry! The antidote could usually be found growing right next it. “Cut into the red bark of the gum elemi tree,” he said, “and rub the sap on the rash. It will immediately begin to heal.”

I nearly dropped my pencil in astonishment. I hadn’t expected to find a picture of salvation in the forest. But in the gum elemi tree, I saw Jesus. He’s the ready remedy wherever the poison of sin is found. Like the red bark of that tree, the blood of Jesus brings healing.

The prophet Isaiah understood that humanity needed healing. The rash of sin had infected us. Isaiah promised that our healing would come through “a man of suffering” who would take our sickness upon Himself (ISAIAH 53:3). That man was Jesus. We were sick, but Christ was willing to be wounded in our place. When we believe in Him, we are healed from the sickness of sin (V. 5). It may take a life-time to learn to live as those who’re healed—to recognize our sins and to reject them in favor of our new identity—but because of Jesus, we can.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Isaiah 53:1–6
The punishment that brought us peace was on him, and by his wounds we are healed.
Isaiah 53:5

What other pictures in the natural world do you see of the salvation God offers us?
What has the healing He offers meant to you?

Wherever sin is, Jesus is there, ready to save.

오늘의 말씀

09/29/2019     주일

성경읽기: 사 7-8; 엡 2
찬송가: 214(통 349)

나는 누구인가?

데이브는 자기 일을 즐기지만, 오랫동안 다른 어떤 것에 이끌리는 느낌을 받아왔습니다. 이제 그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선교사역을 막 시작하려고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심각한 의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친구에게 말했습니다. “난 자격이 없어. 선교위원회에서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몰라. 난 아닌 것 같아.”

데이브에게는 제법 좋은 친구 그룹이 있습니다. 모세라는 이름을 언급할 때 우리는 지도력과 능력, 십계명 등을 생각하지만, 모세가 살인한 후 광야로 피신했던 사실은 쉽게 잊어버립니다. 그가 40년을 도망자로 살았다는 것도 무시하고, 화를 잘 내고 하나님께 ‘예’라고 말하기를 아주 꺼려했다는 사실도 간과합니다.

하나님이 나타나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해 내라는 명령을 내리시자(출애굽기 3:1-10) 모세는 자신은 부족한 사람이라고 말했습니다. 심지어 “내가 누구이기에......”(11절)라고 물으며 하나님과 긴 언쟁까지 하였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은 모세에게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14절)라고 ‘하나님 자신’을 드러내셨습니다. 우리가 이 신비스러운 이름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하나님이 자신의 영원한 존재를 모세에게 설명하고 계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자신의 약함을 느끼는 것은 건강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 약함을 하나님이 우리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변명으로 사용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말하는 것은 사실 ‘하나님’이 부족하다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내가 누구인가?’가 아니라 ‘스스로 있는 자가 누구인가?’
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10-17
나는 스스로 있는 자 이니라
출애굽기 3:14

하나님을 섬기는데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한 때가 언제입니까?
하나님께서 성경 인물들의 결점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사용하신 것을 보며 어떤 용기를 얻습니까?

영원하신 하나님,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 같은 자들도 사용하실까 너무 자주 의심합니다.
그러나 우리 같은 자들을 위해 자기 아들을 보내 죽게 하신 하나님, 우리의 의심을 용서해주시고 우리 삶에 주시는 도전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29/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7–8 and EPHESIANS 2
Hymn: 214(old 349)

Who Am I?

Dave enjoyed his job, but for a long time he’d sensed a pull toward something else. Now he was about to fulfill his dream and step into mission work. But strangely, he began to have serious doubts. “I don’t deserve this,” he told a friend. “The mission board doesn’t know the real me. I’m not good enough.”

Dave has some pretty good company. Mention the name of Moses and we think of leadership, strength, and the Ten Commandments. We tend to forget that Moses fled to the desert after murdering a man. We lose sight of his forty years as a fugitive. We overlook his anger problem and his intense reluctance to say yes to God.

When God showed up with marching orders (EXODUS 3:1–10), Moses played the I’m-not-good-enough card. He even got into a lengthy argument with God, asking Him: “Who am I?” (V. 11).
Then God told Moses who He was: “ I AM WHO I AM ” (V. 14). It’s impossible for us to explain that mysterious name because our indescribable God is describing His eternal presence to Moses.

A sense of our own weaknesses is healthy. But if we use them as an excuse to keep God from using us, we insult Him. What we’re really saying is that God isn’t good enough.

The question isn’t Who am I? The question is Who is the I AM ?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xodus 3:10–17
[He]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I AM WHO I AM.
Exodus 3:14

When has thinking you’re not good enough kept you from serving God?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look at Bible characters God used despite their flaws?

Eternal God, so often we doubt that You could ever use people like us.
But You sent Your Son to die for the likes of us, so please forgive our doubts. Help us accept the challenges You bring our way.

오늘의 말씀

09/28/2019     토요일

성경읽기: 사 5-6; 엡 1
찬송가: 186(통 176)

“그냥 일터라고요?”

영국 북부의 랭커셔어에 있는 구릉진 푸른 산지를 바라보다가, 그 주변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 양들을 둘러싸고 있는 돌담이 있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맑은 하늘에 뭉게구름이 지나가고 있었고, 나는 그 광경에 완전히 취해 숨을 깊게 들이마셨습니다. 방문 중인 수양회관에서 일하는 여성에게 그 아름다운 경치에 대해 말했더니 그 여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실은요, 여기 오시는 분들이 말해주기 전까지는 한 번도 그렇게 못 느꼈어요. 우리는 이곳에 오래 살고 있지만, 농사를 지을 때 이곳은 그냥 일터에 불과했어요!”

우리는 바로 앞에 놓여 있는 선물, 특히 일상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아름다운 것을 쉽게 지나칩니다. 매일 우리 안과 우리 주위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아름다운 모습 또한 쉽게 놓칩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바울 사도가 에베소 성도들에게 보낸 편지에 쓴 것처럼, 하나님이 어떻게 일하시는지 알 수 있는 영적인 눈을 뜨게 해달라고 성령님께 간구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그들이 주님을 잘 알도록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지혜와 계시를
주시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에베소서 1:17). 바울은 그들의 마음이 깨달아져 하나님이 주시는 소망과 약속하신 미래, 그리고 그분의 능력에 대해 알게 되기를 기도했습니다(18-19절).

우리는 하나님의 선물인 그리스도의 영을 통해 하나님이 우리 안에, 우리를 통해 일하시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님과 함께하면, 전에 “그냥 일터”로 보이던 것이 이제는 주님의 빛과 영광이 드러나는 곳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1:15-23
여러분의 마음의 눈을 밝혀주셔서 하나님의 부르심에 속한 소망이 무엇이며......여러분이 알게 되기를 바랍니다
에베소서 1:18, 새번역

주변 어디에서 하나님이 일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까?
영적인 눈으로 세상을 보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예수님, 주님의 빛으로 저를 비춰주시고 제 눈과 마음을 열어 주님의 선하심과 은혜를 더 잘 알게 해주소서. 주님의 사랑을 받고 싶습니다.

Daily Article

09/28/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5–6 and EPHESIANS 1
Hymn: 186(old 176)

“Just the Office”?

I gazed out at the rolling, green hills in Lancashire in northern England, noticing the stone fences enclosing some sheep dotted around the hills. Puffy clouds moved across the bright sky, and I inhaled deeply, drinking in the sight. When I remarked about the beautiful scene to the woman working at the retreat center I was visiting, she said, “You know, I never used to notice it before our guests would point it out. We’ve lived here for years; and when we were farmers, this was just the office!”

We can easily miss the gift of what’s right in front of us, especially beauty that’s part of our everyday lives. We can also easily miss the beautiful ways God works in and around us daily. But believers in Jesus can ask God’s Spirit to open our spiritual eyes so we can understand how He is at work, as the apostle Paul wrote in his letter to the Ephesian believers. Paul yearned that God would give them the wisdom and revelation to know Him better (EPHESIANS 1:17). He prayed that their hearts would be enlightened so that they’d know God’s hope, promised future, and power (VV. 18–19).

God’s gift of the Spirit of Christ can awaken us to His work in us and through us. With Him, what may have once seemed like “just the office” can be understood as a place that displays His light and glory.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phesians 1:15–23
I pray that the eyes of your heart may be enlightened in order that you may know the hope to which he has called you.
Ephesians 1:18

Where do you see God at work around you?
How does seeing the world through spiritual eyes help?

Jesus, shine Your light on me and open my eyes and my heart to better understandYour goodness and Your grace. I want to receive Your love.

오늘의 말씀

09/27/2019     금요일

성경읽기: 사 3-4; 갈 6
찬송가: 176(통 163)

예수님이 오시는 듯 살기

나는 컨트리음악 가수 팀 맥그로의 노래 ‘곧 죽을 사람처럼 살라’는 노래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 노래의 가사에는 자신의 건강에 관한 나쁜 소식을 들은 후 한 사람이 실행했던 흥미로운 “버킷 리스트”(죽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일들의 목록)의 일부가 적혀 있습니다. 또한 그 사람은 사람들에게 더욱 부드러운 어조로 말하며 그들을 아낌없이 사랑하고 용서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 노래는 우리의 인생이 곧 끝날 것처럼 생각하며 살아갈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이 노래는 또 우리의 시간이 무한하지 않음을 상기시켜줍니다. 언젠가는 내일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예수님이 언제라도 (어쩌면 이 문장을 읽고 있는 바로 이 순간에) 오실 수 있다고 믿는 신자들에게 더 절실한 이야기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신랑이 돌아올 때를 준비하지 않았던 ‘어리석은’ 다섯 처녀처럼 살지 말고, 미리 준비하고 있으라고 강조하십니다(마태복음 25:6-10).

그러나 맥그로의 노래에는 빠진 이야기가 있습니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우리에게 내일은 절대 없어지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요한복음 11:25-26). 주님 안에서 우리의 삶은 ‘절대’ 끝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죽을 사람처럼 살지 마십시오. 왜냐하면 죽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예수님이 오시는 듯 사십시오. 왜냐하면 그분은 틀림없이 오시니까요!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5:1-13
그런즉 깨어 있으라 너희는 그 날과 그 때를 알지 못하느니라
마태복음 25:13

예수님이 곧 오신다면 오늘을 어떻게 사시겠습니까?
예수님께서 언제라도 오신다는 사실이 당신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이 오실 날을 간절히 기다립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주님을 높이며 다른 사람들을 잘 섬기는 데 사용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9/27/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3–4 and GALATIANS 6
Hymn: 176(old 163)

Live Like Jesus Is Coming

I’m inspired by country singer Tim McGraw’s song “Live Like You Were Dying.” In it he describes some of the exciting “bucket list” things a man did after receiving some bad news about his health. He also chose to love and forgive people more freely—speaking to them more tenderly. The song recommends that we live well, as if knowing our lives will end soon.

This song reminds us that our time is limited. It’s important for us to not put off for tomorrow what we can do today, because one day we’ll run out of tomorrows. This is particularly urgent for
believers in Jesus, who believe that Jesus may return at any moment (perhaps in the very second you’re reading this sentence!). Jesus urges us to be ready, not living like the five “foolish” virgins who were caught unprepared when the bridegroom returned (MATTHEW 25:6–10).

But McGraw’s song doesn’t tell the whole story. We who love Jesus will never run out of tomorrows. Jesus said, “I am the resurrection and the life. The one who believes in me will live, even though they die; and whoever lives by believing in me will never die” (JOHN 11:25–26). Our life in Him never ends.

So don’t live like you’re dying. Because you’re not. Rather, live like Jesus is coming. Because He is!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Matthew 25:1–13
Keep watch, because you do not know the day or the hour.
Matthew 25:13

How will you live today like Jesus is coming soon?
How does knowing He could return any day affect your choices?

Jesus, I look forward to the day You’ll return.
May I use the time I’ve been given to honor You and to serve others well.

오늘의 말씀

09/26/2019     목요일

성경읽기: 사 1-2; 갈 5
찬송가: 459(통 514)

신앙의 지조

데스먼드 도스는 제2차 세계대전 때 비전투원으로 징집 되었습니다. 자신의 종교적 신념에 따라 총기를 다루지 않는 대신 의무병으로 복무한 것입니다. 전투가 있던 어느 날, 그는 격렬하고도 쉴 새 없이 퍼붓는 포화를 무릅쓰고 그의 부대원 일흔다섯 명의 부상병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겼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다큐멘터리 ‘양심적 병역 거부자’에 소개되었고 ‘핵소 고지’ 라는 영화로도 만들어졌습니다.

기독교 신앙의 영웅들 명단에는 아브라함과 모세, 다윗, 엘리야, 베드로, 바울과 같은 용감한 인물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리마대 요셉과 니고데모와 같은 이름 없는 영웅들도 몇 명 있습니다. 그들은 유대 지도자라는 자신들의 지위를 잃을 각오로 십자가에서 처형된 그리스도의 몸을 가져다가 제대로 장사를 치러주었습니다(요한복음 19:40-42). 이것은 겁이 많아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으면서 예수님을 따랐던 사람과 또 다른 사람, 곧 이전에 밤에만 몰래 예수님을 찾아왔던 니고데모, 이 두 인물이 취한 담대한 행동이었습니다(38-39절). 보다 인상적인 사실은 그들이 예수님이 무덤에서 일어나 승리하시기 ‘전에’ 신앙의 지조를 지켰다는 것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 겁 많던 신자들의 여린 믿음이 확고해진 것은 아마도 예수님이 돌아가실 때 보여주신 태도와 그 후에 바로 일어났던 사건들(마태복음 27:50-54)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그들은 인간이 그들에게 할 수 있는 압박보다는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더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을 지도 모릅니다. 어떤 영감이 그들을 사로잡았는지는 모르나, 우리도 그들을 본받아 위험을 무릅쓰고 오늘 다른 사람들을 위해 우리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지키는 용기를 보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9:38-42
이에 예수의 시체를 가져다가 유대인의 장례법대로 그 향품과 함께 세마포로 쌌더라
요한복음 19:40

예수님을 믿는 믿음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용기 있는 삶을 살아왔습니까?
당신의 믿음을 세상에 보여주기 위해 어떤 남다른 일을 할 수 있습니까?

용기는 두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이기는 것이다. 넬슨 만델라

Daily Article

09/26/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ISAIAH 1–2 and GALATIANS 5
Hymn: 459(old 514)

Faith-Stand

Desmond Doss was drafted into World War II as a non-combatant. Though his religious beliefs prevented him from carrying a gun, Doss ably served as a combat medic. In one battle, he withstood intense and repeated enemy fire to pull seventy-five soldiers in his unit to safety after they had been injured. His story is told in the documentary The Conscientious Objector and dramatized in the film Hacksaw Ridge.

A roll call of the heroes of Christian faith includes such courageous characters as Abraham, Moses, David, Elijah, Peter, and Paul. Yet there are some unsung heroes like Joseph of Arimathea and Nicodemus, who risked their standing with the Jewish leaders to take Christ’s crucified body and give Him a decent burial (JOHN 19:40–42). This was a bold move from a fearful, secret disciple of Jesus and another, Nicodemus, who had previously dared to visit Him only at night (VV. 38–39). Even more impressive is that they took their faith-stand before Jesus rose victorious from the grave. Why?

Perhaps the manner of Jesus’s death and the events that immediately followed (MATTHEW 27:50–54) crystallized the fledgling faith of these fearful followers. Maybe they learned to focus on who God is rather than what man could do to them. Whatever the inspiration, may we follow their example and exhibit courage to take risks of faith in our God—for others today. - REMI OYEDELE

Today's Reading

John 19:38–42
Taking Jesus' body, the two of them wrapped it, with the spices, in strips of linen.
John 19:40

In what ways have you lived courageously for your faith in Jesus?
What can you do differently that might show your faith to the world?

Courage [is] not the absence of fear, but the triumph over it. NELSON MANDELA

오늘의 말씀

09/25/2019     수요일

성경읽기: 아 6-8; 갈 4
찬송가: 257(통 189)

잘못 생각한 안전지대

우리 집 개 루퍼트가 강아지였을 때 집 밖에 나가기를 너무 무서워해서 나는 그를 억지로 끌고 공원에 가곤 했습니다. 어느 날 개를 데리고 공원에 갔었는데 아무 생각 없이 끈을 놓아버렸더니, 루퍼트는 자신이 안전지대라고 생각하고 있는 우리 집을 향해 ‘전력으로 뛰어 가버렸습니다.’

그 일로 나는 비행기에서 만났던 한 남자가 떠올랐습니다. 그 사람은 비행기가 활주로를 달리며 이륙 준비를 할 때 나에게 양해를 구하며 말했습니다. “나는 비행 중에 술에 취할 겁니다.” “그런데 그렇게 되기를 별로 바라는 것 같지 않네요.” “맞아요. 취하고 싶지 않아요. 그런데 언제나 술을 마시게 됩니다.” 그는 취했고, 비행기에서 내릴 때 그의 아내가 그를 부축하다가 냄새가 나자 그를 밀쳐버리는 모습이 아주 안쓰럽게 보였습니다. 그의 안전지대는 술을 마시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결코 안전지대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마가복음 1:15)는 말씀으로 사역을 시작하셨습니다. “회개” 는 방향을 반대로 돌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을 사랑으로 통치하시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궁지에 몰리거나 두려움과 중독에 빠지지 않고, 새로운 삶과 자유를 향해 사랑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통치를 받을 수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지금 루퍼트는 즐겁게 짖으며 공원으로 달려갑니다. 비행기에서 만난 그 남자도 잘못 생각한 안전지대를 버리고 루퍼트처럼 기쁨과 자유를 얻게 되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9-15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마가복음 1:15

두렵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당신이 달려가는 잘못 생각한 안전지대는 어디입니까?
오늘 어떻게 그곳을 떠나 하나님이 자유로이 통치하시는 곳으로 가시렵니까?

예수님, 인생과 행복을 찾아 주님이 아닌 다른 것으로 달려간 저를 용서해주소서.
이제 그런 것에서 돌이켜 제 삶을 예수님께로 향합니다.
참된 자유가 있는 곳으로 인도해주소서.

Daily Article

09/25/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6–8 and GALATIANS 4
Hymn: 257(old 189)

False Places of Safety

When our dog Rupert was a puppy, he was so afraid of going outside I’d have to drag him to the park. After getting him there one day, I foolishly let him off his leash. He sprinted home, back to his place of safety.

That experience reminded me of a man I met on a plane, who began apologizing to me as we taxied down the runway. “I’m going to get drunk on this flight,” he said. “It sounds like you don’t want to,” I replied. “I don’t,” he said, “but I always run back to the wine.” He got drunk, and the saddest part was watching his wife embrace him when he got off the plane, smell his breath, then push him away. Drink was his place of safety, but it was no safe place at all.

Jesus began His mission with the words, “The kingdom of God has come near. Repent and believe the good news!” (MARK 1:15). “Repent” means to reverse direction. The “kingdom of God” is His loving rule over our lives. Instead of running to places that entrap us, or being ruled by fears and addictions, Jesus says we can be ruled by God Himself, who lovingly leads us to new life and freedom.

Today Rupert runs to the park barking with joy. I pray the man on the plane finds that same joy and freedom, leaving behind his false place of safety.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Mark 1:9–15
The kingdom of God has come near. Repent and believe the good news!
Mark 1:15

What false place of safety do you run to in times of fear or stress?
How will you leave it behind today and place yourself under God’s freeing rule?

Jesus, forgive me for running to anything but You in search of life and happiness.
I turn away from those things now, and turn my life over to You.
Lead me to real freedom.

오늘의 말씀

09/24/2019     화요일

성경읽기: 아 4-5; 갈 3
찬송가: 320(통 350)

하나님의 눈에 드는 자격

한 기술 자문회사가 컴퓨터 코드 한 줄 쓸 줄 모르고 사업 관련 지식도 거의 없는 나를 대학 졸업 후에 채용했습니다. 신입사원을 뽑는 면접 동안에 나는 회사가 업무경력에 비중을 높이 두지 않고, 그 대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판단을 잘 하며 팀 안에서 화합하며 일을 잘 하는 능력 같은, 개인적인 자질들을 더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회사는 원하는 사람을 찾기만 하면 필요한 기술은 가르칠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노아도 방주를 짓는 일에 맞는 자격을 가진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배 만드는 사람도 아니었고 목수도 아니었습니다. 그는 흙 묻은 옷과 쟁기 든 손이 잘 어울리는 농부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 당시 세상의 악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결정하셨을때 노아가 돋보였습니다. 왜냐하면 “그가 하나님과 동행하였기” 때문입니다(창세기 6:9). 하나님은 주위의 부패에 굴하지 않고 옳은 일을 하는 힘을 지닌, 가르칠 수 있는 노아의 마음을 높이 평가하셨습니다.

하나님을 섬길 기회가 올 때, 우리는 그 일을 할 자격이 안 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고맙게도 하나님은 꼭 우리의 기술을 중히 보시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성품과 그분에 대한 사랑, 그리고 그분을 신뢰하는 의지를 소중히 보십니다. 이런 자질들이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우리 안에 개발되어갈 때, 하나님은 이 세상에 그분의 뜻을 이루시기 위해 크고 작은 일들에 우리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6:9-18
[노아는] 하나님과 동행하였으며
창세기 6:9

하나님이 당신 안에 어떤 성품을 갖춰주시기를 원합니까?
하나님께 간구하십시오.

사랑하는 하나님, 어떤 식으로든 하나님을 섬기고자 하는 마음을 주소서.
경험이 부족한 알들을 할 수 있도록 갖춰주시고, 성령으로 충만케 하셔서 주님을 높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9/24/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4–5 and GALATIANS 3
Hymn: 320(old 350)

Qualified in God’s Eyes

A technology-consulting firm hired me after college although I couldn’t write a line of computer code and had very little business knowledge.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for my entry-level position, I learned that the company did not place high value on work experience. Instead, personal qualities such a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exercise good judgment, and work well with a team were more important. The company assumed new workers could be taught the necessary skills as long as they were the kind of people the company was looking for.

Noah didn’t have the right resume for the job of constructing the ark—he wasn’t a boat builder or even a carpenter. Noah was a farmer, a man comfortable with dirt on his shirt and a plow in his hands. Yet as God decided how to deal with the evil in the world at that time, Noah stood out because “he walked faithfully with God” (GENESIS 6:9). God valued the teachableness of Noah’s heart—the strength to resist the corruption around him and to do what was right.

When opportunities to serve God come our way, we may not feel qualified for the work. Thankfully, God is not necessarily concerned with our skill set. He prizes our character, love for Him, and willingness to trust Him. When these qualities are being developed inside us by the Spirit, He can use us in big or small ways to accomplish His will on earth.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Genesis 6:9–18
[Noah] walked faithfully with God.
Genesis 6:9

What character qualities do you need God to develop in you?
Ask Him.

Dear God, give me a heart that’s willing to serve You in any way.
Equip me in the areas where I lack experience, and fill me with Your Spirit so that I can honor You.

오늘의 말씀

09/23/2019     월요일

성경읽기: 아 1-3; 갈 2
찬송가: 543(통 342)

나를 두른 방패

우리 교회의 재능 있는 예배담당 목사 폴이 서른한 살의 나이에 배 사고로 사망했을 때, 온 교회가 상실의 아픔을 겪었습니다. 사실 폴과 그의 아내 두론다에게 아픔은 낯설지 않았습니다. 유산으로 몇 명의 아이를 이미 잃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아이들의 작은 무덤 옆에 또 하나의 무덤이 생길 것입니다. 이 가정을 사랑하는 사람들은이 가정의 처참한 불행을 보며 마치 머리를 크게 한 대 맞은 것 같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다윗도 개인적으로나 가정적으로 몇 가지 불행을 겪었습니다. 시편 3편을 보면, 아들 압살롬의 반역 때문에 도저히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그는 궁에 남아서 싸우지 않고 집과 왕좌를 버리고 도망가기로 결정했습니다(사무엘하 15:13-23). “많은” 사람들은 그가 하나님께 버림받았다고 생각했지만(시편 3:2), 다윗은 더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주님을 자신의 보호자로 생각했으며(3절), 그래서 주님께 구원을 요청하였습니다(4절). 두론다도 그랬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남편을 추모하러 왔을 때, 그녀는 슬픔 가운데서도 부드럽고 다정한 목소리로 힘을 다해 찬양을 불러 하나님을 향한 믿음을 표현했습니다.

의사의 진단이 절망적일 때, 재정난이 풀리지 않을 때, 관계를 회복하려 했지만 실패했을 때, 소중하게 아끼던 사람을 죽음으로 떠나보냈을 때, 우리도 다음과 같이 고백하며 강건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호와여 주는 나의 방패시요 나의 영광이시요 나의 머리를 드시는 자이시니이다”(3절).

오늘의 성구

시편 3
여호와여 주는 나의 방패시요 나의 영광이시요 나의 머리를 드시는 자이시니이다
시편 3:3

최근 도저히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셨습니까?
하나님이 우리의 방패라는 사실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삶이 괴롭더라도 주님 안에서 위로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23/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1–3 and GALATIANS 2
Hymn: 543(old 342)

A Shield Around Me

Our church experienced an agonizing loss when Paul, our gifted worship minister, died at the age of thirty-one in a boating accident. Paul and his wife, DuRhonda, were no strangers to pain; they had buried several children who hadn’t made it to term. Now there would be another grave near the small graves of these little ones. The life-crushing crisis this family experienced hit those who loved them like a knockout blow to the head.

David was no stranger to personal and family crises. In Psalm 3, he found himself overwhelmed because of the rebellion of his son Absalom. Rather than stay and fight, he chose to flee his home and throne (2 SAMUEL 15:13–23). Though “many” considered him forsaken by God (PSALM 3:2), David knew better; he saw the Lord as his protector (V. 3), and he called upon Him accordingly (V. 4). And so did DuRhonda. In the midst of her grief, when hundreds had gathered to remember her husband, she raised her soft, tender voice in a song that expressed confidence in God.

When doctors’ reports are not encouraging, when financial pressures won’t ease up, when efforts to reconcile relationships fail, when death has left those we cherish in its wake—may we too be strengthened to say, “But you, LORD , are a shield around me, my glory, the One who lifts my head high” (V. 3).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3
But you, LORD, are a shield around me, my glory, the One who lifts my head high.
Psalm 3:3

ow did you respond the last time you found yourself in an overwhelming situation?
How does knowing God is a shield around you help?

Heavenly Father, help me to see that though life can be uncomfortable, I can find comfort in You.

오늘의 말씀

09/22/2019     주일

성경읽기: 전 10-12; 갈 1
찬송가: 453(통 506)

점점 알아가기

“너 교환 학생으로 가게 됐어!” 열일곱 살이던 나는 독일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식에 너무나 기뻤습니다. 그러나 출국까지 겨우 석 달 밖에 안 남은 데다 독일어로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날 이후로 하루에 몇 시간씩 독일어를 공부하면서 손바닥에 단어를 써가며 외우는 등 벼락치기를 했습니다.

몇 달 후 나는 독일 학교에 가서 수업 시간에 앉아 보니 정말 낙담되었습니다.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날 선생님이 다음과 같은 지혜로운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한 나라 말을 배우는 것은 마치 모래 언덕을 오르는 것과 같아. 가끔은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을 테지만 계속 가다 보면 도달하게 될 거야.”

가끔씩 예수님의 제자로 자라가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생각할 때마다 나는 그 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바울 사도도 “그 어떤 경우에도 적응할 수 있는 비결을 ‘배웠다.’”라고 회상했습니다. 바울에게도 개인적인 평안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에게도 그것은 점점 자라가는 어떤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그의 성장 비결을 이렇게 말합니다.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빌립보서 4:12-13).

인생에서는 많은 도전을 만납니다. 그러나 우리가 “세상을 이기신”(요한복음 16:33) 주님께로 향할 때, 주님은 우리가 그 도전을 극복하도록 도우시는 신실하신 분일 뿐 아니라 그분과 가까워지는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주님은 그분의 평화를 우리에게 주시고, 우리를 도와 신뢰할 수 있게 하시며, 우리를 강건케 하여 그분과 함께 먼 길을 걸어갈 수 있게 힘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0-13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빌립보서 4:13

오늘 어떻게 예수님께 집중하시겠습니까?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권면하여 주님께 가까이 이끄시겠습니까?

예수님, 주님께로 향할 때 평강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도 주님과 아주 가까이 지낼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9/22/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0–12 and GALATIANS 1
Hymn: 453(old 506)

Growing to Know

“You’re going to be an exchange student!” I was seventeen and thrilled to hear I was approved to study in Germany. But it was only three months before my departure, and I had never taken a class in German.

The days that followed found me cramming—studying for hours and even writing words on my hands to memorize them.

Months later I was in a classroom in Germany, discouraged because I didn’t know more of the language. That day a teacher gave me wise advice. “Learning a language is like climbing a sand dune. Sometimes you feel like you’re not getting anywhere. But just keep going and you will.”

Sometimes I reflect on that insight when I consider what it means to grow as a follower of Jesus. The apostle Paul recalled, “ 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Even for Paul, personal peace didn’t happen overnight. It was something he grew into. Paul shares the secret of his progress: “I can do all this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PHILIPPIANS 4:12–13).

Life has its challenges. But as we turn to the One who has “overcome the world” (JOHN 16:33), we discover not only that He’s faithful to get us through but also that nothing matters more than closeness to Him. He gives us His peace, helps us to trust, and empowers us to go the distance as we walk with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0–13
I can do all this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Philippians 4:13

In what ways will you focus on Jesus today? How can you encourage others to draw near to Him?

Thank You for the peace You give me as I turn to You, Jesus.
Help me to stay very close to You today!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