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21/2019 월요일
사랑의 향연
식사가 진행되면서 손님들은 마음이 풀어져 어떤 이들은 용서하는 마음이 생기고, 어떤 이들은 사랑하는 마음이 다시 들고, 또 어떤 이들은 자신들이 목격했던 기적들과 어린 시절에 배웠던 진리들을 떠올립니다. 그들은 말합니다. “그때 배운 것들 기억나나요?” “자녀들아, 서로 사랑하라.” 식사가 끝나자 바베트는 집주인 두 자매에게 자기가 가진 모든 것을 이번 음식 만드는데 썼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친구들이 식사를 하면서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파리에서 인정받던 요리사였던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포함한 모든 것을 주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낯선 사람과 종으로 이 땅에 나타나셔서 우리의 영적 굶주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주셨습니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은 그의 말씀을 듣는 자들에게 그들의 조상이 광야에서 굶주리며 헤맬 때 하나님께서 메추라기와 떡을 주셨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십니다(출애굽기 16장). 그 음식은 한시적으로만 채워줬지만 예수님은 그를 “생명의 떡”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영생하리라” 고 약속해주십니다(요한복음 6:48,51). 예수님의 희생으로 우리의 영적 갈구가 채워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6:47-59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떡이니 요한복음 6:51
하나님께서 당신의 굶주림을 어떻게 채워주셨습니까? 당신은 어떤 희생의 모습으로 드릴 수 있습니까?
예수님은 자신의 몸과 피를 주심으로 주 안에서의 새롭고 영원한 삶을 위한 음식과 마실 것이 되어주셨다.
Daily Article
10/21/2019 Monday
A Feast of Love
As they move from one course to the next, the guests relax; some find forgiveness, some find love rekindled, and some begin recalling miracles they’d witnessed and truths they’d learned in childhood. “Remember what we were taught?” they say. “Little children, love one another.” When the meal ends, Babette reveals to the sisters that she spent all she had on the food. She gave everything—including any chance of returning to her old life as an acclaimed chef in Paris—so that her friends, eating, might feel their hearts open.
Jesus appeared on earth as a stranger and servant, and He gave everything so that our spiritual hunger might be satisfied. In John’s gospel, He reminds His listeners that when their ancestors wandered hungry in the wilderness, God provided quail and bread (EXODUS 16). That food satisfied for a time, but Jesus promises that those who accept Him as the “bread of life” will “live forever” (JOHN 6:48, 51). His sacrifice satisfies our spiritual cravings. AMY PETERSON
Today's Reading
John 6:47–59I am the living bread that came down from heaven. John 6:51
How has God satisfied your hunger? What might it look like for you to give sacrificially?
Jesus gave His body and blood to be for us the food and drink of new and unending life in Him.
오늘의 말씀
10/20/2019 주일
덜 중요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초 대 교 회 지 도 자 들 의 이 름 을 대어보라고 하면 대부분은 베드로, 바울, 디모데와 같이 그 은사가 많이 기록되어있는 몇몇 인물들을 꼽을 것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로마서 16장에서 남자, 여자, 노예, 유대인, 이방인 등, 여러 모로 교회생활에 기여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로 거의 사십 명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바울은 이들을 교회 안에서 덜 중요한 사람들이 아니라 가장 존경받아야할 사람들로 여겼습니다. 바울은 이들을 사도들 가운데서도 뛰어난 사람들(7절), 예수님을 섬기는 데 있어서 칭찬받아야 할 사람들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너무 평범해서 교회의 지도자가 될 수 없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사실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에게는 남을 섬기고 도와줄 수 있는 은사들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 하나님의 능력으로 우리의 은사를 사용하여 주님을 높여드립시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6:3-13내 친척이요 나와 함께 갇혔던 안드로니고와 유니아에게 문안하라 그들은 사도들에게 존중히 여겨지고 로마서 16:7
그리스도의 몸의 한 지체인 우리가 소중하지 않다고 절대 느껴서는 안 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교회의 성도들을 섬길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예수님, 제가 그리스도의 몸의 한 중요한 지체라는 것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20/2019 Sunday
Not Second Rate
If asked to name the leaders of the early church, most of us would list Peter, Paul, and Timothy as a handful possessing well-documented gifts. But in Romans 16, Paul lists nearly forty people of diverse backgrounds—men, women, slaves, Jews, and gentiles—all of whom contributed to the life of the church in diverse ways.
And far from considering them second-rate members of the church, it’s clear that Paul held these people in the highest regard. He describes them as outstanding among the apostles (V. 7)—people to be celebrated for their service for Jesus.
Many of us feel that we’re too ordinary to be leaders in the church. But the truth is that each of us has gifts that can be used to serve and help others. In God’s strength, let’s use our gifts to His honor! PETER CHIN
Today's Reading
Romans 16:3–13Greet Andronicus and Junia, my fellow Jews who have been in prison with me. They are outstanding among the apostles. Romans 16:7
As a member of the body of Christ, why should you never feel like you’re unimportant? What are some ways you can serve the people in your church?
Jesus, help me to remember that I am an important part of the body of Christ!
오늘의 말씀
10/19/2019 토요일
강철과 벨벳
역사 전체를 통틀어 강함과 부드러움, 힘과 연민의 마음이 완벽히 균형을 이루었던 단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요한복음 8장에서 예수님이 한 죄지은 여인을 정죄하는 종교지도자들과 마주했을 때 강철과 벨벳의 면모를 동시에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살기등등한 군중들의 요구를 막아서시면서 바로 그들에게 비판의 시각을 돌리시며 강철의 면모를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7절). 그러신 다음 여인에게는 다음과 같은 말씀으로 부드러운 벨벳의 연민을 보여주셨습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11절).
우리가 사람들을 대할 때 예수님의 “강철과 벨벳”을 보여준다면, 우리를 예수님 닮게 만들려고 일하시는 하나님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벨벳 같은 자비와 강철 같은 정의, 이 두 가지에 목말라 있는 세상에 예수님의 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1-11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요한복음 8:7
이 망가진 세상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정의와 자비가 균형을 이룬 예수님의 태도와 어떻게 비교됩니까?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를 나타내기 위해 그분의 도움이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이 죄악 된 세상을 위해 강함과 부드러움으로 아버지의 마음을 완벽하게 보여주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으로 인하여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0/19/2019 Saturday
Steel and Velvet
Only one person in all history perfectly balanced strength and gentleness, power and compassion. That man is Jesus Christ. In John 8, when confronted by the religious leaders to condemn a guilty woman, Jesus displayed both steel and velvet. He showed steel by withstanding the demands of a bloodthirsty mob, instead turning their critical eyes upon themselves. He said to them, “Let any one of you who is without sin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at her” (V. 7). Then Jesus modeled the velvet of compassion by telling the woman, “Neither do I condemn you . . . . Go now and leave your life of sin” (V. 11).
Reflecting His “steel and velvet” in our own responses to others can reveal the Father’s work of conforming us to be like Jesus. We can show His heart to a world hungry for both the velvet of mercy and the steel of justic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ohn 8:1–11Let any one of you who is without sin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at her. John 8:7
How does your response to the brokenness of this world compare to Christ’s balance of mercy and justice? Where do you need God’s help to enable you to show His compassion to others?
Dear Father, I thank You for Your Son, whose strength and tenderness perfectly reveal Your heart for our lost world.
오늘의 말씀
10/18/2019 금요일
우리가 찬양할 때
그 무서운 상황에서 보여준 윌리의 대처는 바울과 실라가 겪었던 일을 생각나게 합니다. 매를 맞고 투옥된 그들이 “기도하고 하나님을 찬송하자 다른 죄수들이 듣고 있었습니다. 그때 갑자기 큰 지진이 일어나 집터가 흔들리고 감방 문이 모두 열리며 죄수들을 묶은 쇠고랑이 다 풀어졌습니다”(사도행전 16:25-26, 현대인의 성경).
이 엄청난 능력이 나타난 것을 목격한 간수는 바울과 실라의 하나님을 믿고 자신의 가족 모두 함께 세례를 받았습니다(27-34절). 찬양의 길을 통해 그날 밤 육체적인 사슬과 영적인 사슬 모두가 끊어진 것입니다.
우리는 바울과 실라나 윌리의 경우처럼 생생하고도 극적인 구출을 항상 경험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의 찬양에 응답하신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그분이 움직이시면 사슬이 떨어져나갑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6:25-34이에 갑자기......문이 곧 다 열리며 모든 사람의 매인 것이 다 벗어진지라 사도행전 16:26
바울과 실라의 찬양과 기도에서 어떤 교훈을 얻습니까? 이런 원리들을 어려운 상황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스라엘의 찬송 중에 계시는 주여 주는 거룩하시니이다.” 시편 22:3
Daily Article
10/18/2019 Friday
When We Praise
Willie’s response to his dire situation is reminiscent of the experience shared by Paul and Silas. After being flogged and thrown into jail, they reacted by “praying and singing hymns to God, and the other prisoners were listening to them. Suddenly there was such a violent earthquake that the foundations of the prison were shaken. At once all the prison doors flew open, and everyone’s chains came loose” (ACTS 16:25–26).
Upon witnessing this awesome demonstration of power, the jailer believed in the God of Paul and Silas, and his entire household was baptized along with him (VV. 27–34). Through the avenue of praise, both physical and spiritual chains were broken that night.
We may not always experience a visibly dramatic rescue like Paul and Silas, or like Willie. But we know that God responds to the praises of His people! When He moves, chains fall apart. REMI OYEDELE
Today's Reading
Acts 16:25–34At once all the prison doors flew open, and everyone's chains came loose. Acts 16:26
What lessons do you learn from the prayer session held by Paul and Silas? How can you apply these principles to the difficult circumstances you experience?
“[God], You are holy, enthroned in the praises of Israel.” PSALM 22:3 ( NKJV )
오늘의 말씀
10/17/2019 목요일
진리, 쓸까요 달까요?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쓴 약, 곧 비통과 비애의 말이 기록된 두루마리를 삼키라고 명하셨습니다(에스겔 2:10; 3:1-2). 그는 “그 두루마리를 그의 배에 채워서” 하나님이 보시기에 “얼굴이 뻔뻔하고 마음이 굳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 내용을 전해야 했습니다(2:4). 징계의 말로 가득 찬 그 두루마리는 맛이 쓴 약과 같을 거라고 생각되겠지만 에스겔은 그것이 그의 입에 “꿀같이 달았다”고 묘사하고 있습니다(3:3).
에스겔은 하나님의 징계의 맛을 터득했던 것 같습니다. 하나님의 질책을 피해야 할 것으로 여기지 않았던 에스겔은 영혼에 유익한 것은 “단맛이 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으로 훈육하시고 바로잡아주시며, 그분을 영화롭게 하고 기쁘게 해드리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
삼키기에 쓴맛이 나는 진리가 있는가 하면 단맛이 나는 것도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많이 사랑하시는지 기억한다면 그분의 진리는 꿀맛이 날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가 남을 용서하고 험담을 삼가며 부당한 처사를 견디게 해주는 지혜와 능력을 주는 등, 우리의 유익을 위해 주어졌습니다. 하나님, 하나님의 지혜가 참으로 단맛 나는 충고임을 알게 해주소서!
오늘의 성구
에스겔 2:4-3:3내가 먹으니 그것이 내 입에서 달기가 꿀 같더라 에스겔 3:3
하나님이 요즈음 보여주신 진리는 무엇입니까? 그 진리를 쓴맛 나는 약으로 받아들였습니까, 아니면 달콤한 꿀로 받아들였습니까?
하나님의 진리는 단맛이 난다.
Daily Article
10/17/2019 Thursday
Truth: Bitter or Sweet?
God commanded Ezekiel to swallow a bitter pill—a scroll containing words of lament and woe (EZEKIEL 2:10; 3:1–2). He was “to fill [his] stomach with it” and share the words with the people of Israel, whom God considered “obstinate and stubborn” (2:4). One would expect a scroll filled with correction to taste like a bitter pill. Yet Ezekiel describes it being “as sweet as honey” in his mouth (3:3).
Ezekiel seems to have acquired a taste for God’s correction. Instead of viewing His rebuke as something to avoid, Ezekiel recognized that what is good for the soul is “sweet.” God instructs and corrects us with lovingkindness, helping us live in a way that honors and pleases Him.
Some truths are bitter pills to swallow while others taste sweet. If we remember how much God loves us, His truth will taste more like honey. His words are given to us for our good, providing wisdom and strength to forgive others, refrain from gossip, and bear up under mistreatment. Help us, God, to recognize your wisdom as the sweet counsel it truly i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zekiel 2:4–3:3So I ate it, and it tasted as sweet as honey in my mouth. Ezekiel 3:3
What truth has God shown you recently? Did you receive it as a bitter pill or sweet honey?
God’s truth is sweet.
오늘의 말씀
10/16/2019 수요일
조용한 삶을 찾아
그러나 바울이 데살로니가교인들 에게 말한 것이 바로 그 점이었습니다. 우선 그는 서로 사랑하되 하나님의 가족은 특히 더 사랑하라고 권고했습니다(데살로니가전서 4:10). 그런 다음 특별한 어떤 일을 시작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충고를 했습니다. “조용하게 살기를 힘쓰십시오”(11절, 새번역). 바울은 여기서 정확히 무엇을 말하려 했던 것일까요? 그는 “자기 일에 전념하고 자기 손으로 일하여” 외인들에 대해 품위 있게 살고 아무에게도 신세지지 말라고 분명하게 말했습니다(11-12절, 새번역). 우리는 자녀들이 타고난 재능이나 어떤 열정을 추구할 때 그것을 방해하고 싶지는 않겠지만, 무엇을 하더라도 조용한 마음으로 하라고 격려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생각해볼 때 ‘야심 있다’는 말과 ‘조용하다’는 말은 크게 다르게 들립니다. 그러나 성경에는 항상 서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보다 조용히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깊이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4:9-12조용하게 살기를 힘쓰고 데살로니가전서 4:11, 새번역
“자기 일에 전념하라”고 한 바울의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조용하게 사는 사람 중에 본받고 싶은 사람이 누가 떠오릅니까?
예수님, 조용한 삶을 산다는 것이 물론 좋긴 하지만 쉽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제 일에 힘쓰도록 은혜 내려주시고, 세상으로부터 동떨어져 살지 않으면서 또한 세상에 소음을 더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6/2019 Wednesday
Finding a Quiet Life
Yet that’s exactly what Paul told the Thessalonians. First, he urged them to love one another and all of God’s family even more (1 THESSALONIANS 4:10). Then he gave them a general admonition that would cover whatever specific plow they put their hand to. “Make it your ambition to lead a quiet life” (V. 11). Now what did Paul mean by that exactly? He clarified: “You should mind your own business and work with your hands” so outsiders respect you and you’re not a burden on anyone (VV. 11–12). We don’t want to discourage children from pursuing their giftedness or passions but maybe we could encourage them that whatever they choose to do, they do with a quiet spirit.
Considering the world we live in, the words ambitious and quiet couldn’t seem further apart. But the Scriptures are always relevant, so perhaps we should consider what it might look like to begin living quieter. JOHN BLASE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4:9–12Make it your ambition to lead a quiet life. 1 Thess. 4:11
How does Paul’s phrase—“mind your own business”—sit with you? Who comes to mind of someone who lives a quiet life that you might emulate?
Jesus, living a quiet life sounds so inviting, but I know it won’t come easily. I ask for the grace to mind my own business, not so I can close myself off from the world, but that I won’t add to the noise.
오늘의 말씀
10/15/2019 화요일
건초더미에서 드린 기도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자녀들이 공통된 기도제목을 가지고 오는 것을 기뻐하십니다. 그것은 같은 짐을 나누어지면서 한 마음으로 모이는 가족 모임과도 같습니다.
바울 사도는 모진 고난을 겪는 동안 하나님께서 다른 사람들의 기도를 통해 그를 어떻게 도와주셨는지를 인정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앞으로도 건져주실 것입니다. 여러분도 기도로 우리를 도와주십시오”(고린도후서 1:10-11,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 특히 우리가 함께 드리는 기도를 통해 이 세상에 그분의 일을 이루기를 원하십니다. 그래서 위의 구절이 다음과 같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면 많은 사람들의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많은 사람이 감사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선하심 안에서 함께 기뻐할 수 있도록 함께 기도하는 시간을 가집시다.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그분이 우리를 통해 여태껏 상상할 수 없었던 방법으로 일하실 수 있도록 우리가 그분께로 나아오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8-11너희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함으로 도우라 고린도후서 1:11
우리는 모두 어떤 기도제목을 가지고 기도합니까? 다른 사람들과 함께 기도할 때 어떻게 믿음이 강해졌습니까?
함께 기도하는 것은 함께 일하는 것이다.
Daily Article
10/15/2019 Tuesday
Haystack Prayers
Our heavenly Father is delighted when His children approach Him with a common request. It’s like a family gathering where they’re united in purpose, sharing a common burden.
The apostle Paul acknowledges how God helped him through the prayers of others during a time of severe suffering: “He will continue to deliver us, as you help us by your prayers” (2 CORINTHIANS 1:10–11). God has chosen to use our prayers—especially our prayers together—to accomplish His work in the world. No wonder the verse continues: “Then many will give thanks . . . [for the] answer to the prayers of many.”
Let’s pray together so we can also rejoice together in God’s goodness. Our loving Father is waiting for us to come to Him so He can work through us in ways that reach far beyond anything we could ever imagine.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8–11You help us by your prayers. 2 Corinthians 1:11
What request can you and others pray for? How has your faith been strengthened when you pray with others?
When we pray together, we’re working together.
오늘의 말씀
10/14/2019 월요일
노래로 강해지다
다윗도 그의 적 사울이 밤에 그의 집으로 암살단을 보냈던 위험한 때에 노래를 불렀습니다. 하지만 다윗의 노래는 신호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그의 피난처인 하나님께 감사하는 노래였습니다. 그는 이렇게 노래하며 기뻐했습니다. “나는 주의 힘을 노래하며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을 높이 부르오리니 주는 나의 요새이시며 나의 환난 날에 피난처심이니이다”(시편 59:16).
이와 같은 노래는 위험할 때 보내는 “어둠 속의 신호”가 아닙니다. 그것보다는 다윗의 노래는 전능하신 하나님께 보내는 그의 신뢰였습니다. “하나님은 나의 요새이시며 나를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이심이니이다”(17절).
다윗의 찬양과 르 썅봉 마을 주민들의 노래는 우리에게 삶의 근심 걱정이 있더라도 오늘 하나님께 노래로 그분을 찬미하라고 권유합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사랑으로 함께하시는 하나님께서 응답하셔서 우리 마음을 강하게 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59:1,14-17나는 주의 힘을 노래하며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을 높이 부르오리니 주는 나의 요새이시며 시편 59:16
좋아하는 찬송을 부를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찬양을 할 때 더 기운이 나는 것은 왜 그럴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 두려움과 걱정거리들을 하나님을 향한 경배로 바꾸어주는 찬양을 통해 제 마음을 강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0/14/2019 Monday
Strengthened in Song
In another dangerous time, David sang when his enemy Saul sent nighttime assassins to his house. His use of music wasn’t a signal; rather, it was his song of gratitude to God his refuge. David rejoiced, “I will sing of your strength, in the morning I will sing of your love; for you are my fortress, my refuge in times of trouble” (PSALM 59:16).
Such singing isn’t “whistling in the dark” during danger. Instead, David’s singing conveyed his trust in almighty God. “You, God, are my fortress, my God on whom I can rely” (V. 17).
David’s praise, and the villagers’ singing in Le Chambon, offer an invitation to bless God today with our singing, making melody to Him despite the worries of life. His loving presence will respond, strengthening our hearts.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59:1, 14–17I will sing of your strength, in the morning I will sing of your love; for you are my fortress. Psalm 59:16
How do you feel when you’re singing your favorite praise song? Why do praise songs inspire us to feel stronger?
Dear God, strengthen my heart with praises that transform my fears and worries into worship of You.
오늘의 말씀
10/13/2019 주일
기다릴 만한 일
그런데 어느 날 교수가 역에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안타깝게도 근무하던 중에 죽은 것입니다. 그럼에도 하치코는 그의 남은 생애 9년 이상 동안 오후 열차가 도착하는 바로 그 시간에 계속 나타났습니다. 날씨에 관계없이 개는 매일 매일 충성스럽게 주인의 귀가를 기다렸습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교인들에게 그들의 “믿음의 역사,” “사랑의 수고,”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의 인내”(데살로니가전서 1:3)를 언급하며 그들의 충성스러움을 칭찬했습니다. 그들은 가혹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옛날 방식을 버리고 “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을 섬기고......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것을 기다렸습니다”(9-10절).
이 초기의 신자들은 그들의 구주와 그들을 향한 구주의 사랑 안에서 살아 있는 소망을 가지고 어려움을 극복하며 믿음을 열심히 전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을 위해 사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이 없다는 것을 그들은 확신했습니다. 그들에게 큰 힘이 되어 주신 바로 그 성령님이(5절) 오늘도 여전히 우리에게 능력 주셔서 예수님이 다시 오시기를 기다리는 동안 그를 충성스럽게 섬길 수 있게 해주시니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1:1-10주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노니 빌립보서 3:20
예수님과 함께 한다는 것과 관련하여 가장 바라는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주님 안에 있는 소망을 어떻게 전하고 있습니까?
아름다운 구주시여, 우리가 주님을 “강하고 담대하게 기다릴 수 있도록”(시편 27:14)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3/2019 Sunday
Worth the Wait
One day the professor didn’t return to the station; sadly, he’d died at work. But for the rest of his life—more than nine years—Hachiko showed up at the same time as the afternoon train. Day after day, regardless of weather, the dog waited faithfully for his master’s return.
Paul commended the Thessalonians for their faithfulness, citing their “work produced by faith,” “labor prompted by love,” and “endurance inspired by hope in our Lord Jesus Christ” (1 THESSALONIANS 1:3). Despite harsh opposition, they left their old ways “to serve the living and true God, and to wait for his Son from heaven” (VV. 9–10).
These early believers’ vital hope in their Savior and His love for them inspired them to see beyond their difficulties and to share their faith enthusiastically. They were assured there was nothing better than living for Jesus. How good it is to know that the same Holy Spirit who emboldened them (V. 5) still empowers us today to faithfully serve Jesus as we await His return. JAMES BANKS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1:1–10We eagerly await a Savior. Philippians 3:20
What do you look forward to most about being with Jesus? How are you sharing your hope in Him?
Beautiful Savior, please help me to “be strong and take heart and wait” for You! (PSALM 27:14). To learn more about what the New Testament teaches about the Christian faith, visit christianuniversity.org/NT109.
오늘의 말씀
10/12/2019 토요일
이름을 써넣으세요
조카에게 주려고 이 책을 사서는 하나님에게서 온 모든 편지들의 시작 부분에 있는 빈 칸에 조카의 이름을 써넣었습니다. 조카는 자기 이름을 알아보고 기뻐하며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나도 사랑하시네요!” 사랑의 창조주께서 우리를 개인적으로 깊고도 완전하게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니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모릅니다.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직접 말씀하시면서 하늘나라에 대해 더 관심을 갖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별무리”(이사야 40:26, 현대인의 성경)를 다스리시고 별 하나하나의 가치를 정하시며 각각의 별을 사랑으로 이끄신다고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또한 그 백성들에게 어떤 별 하나도, 그리고 미리 정하신 목적대로 무한한 사랑으로 빚으신 소중한 자녀 누구 하나도 잊어버리거나 잃어버리지 않으시겠다고 확실히 말씀하셨습니다.
성경에 나타난 전능하신 주님의 친숙한 약속과 선포된 사랑을 찬양하면서 우리도 우리 이름을 써넣을 수 있습니다. 우리도 믿으며 어린 아이 같이 기쁜 마음으로 이렇게 외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나도 사랑하시네요!”
오늘의 성구
이사야 40:25-31......여호와께서 별무 리를 하나하나 이름을 불러 이끌어내시며 이사야 40:26,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의 필요를 아신다는 것을 알게 될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우리에게 개인적으로 하신 약속으로 기억되는 성경구절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개인적인 선물이라고 분명히 말씀하시니 감사합니다. 또 우리 이름을 아시고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해결해 주신다고 확신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2/2019 Saturday
Fill in Your Name
I bought the book for my nephew and filled in the blanks in the beginning of every note from God. Delighted when he recognized his name, my nephew said, “God loves me too!” What a comfort to know the deeply and completely personal love of our loving Creator.
When God spoke to the Israelites directly through the prophet Isaiah, He called their attention to the heavens. The Lord affirmed that He controls “the starry host” (ISAIAH 40:26), determines each star’s individual value, and directs each one with love. He assured His people that He won’t forget or lose one star . . . or one beloved child that He’s sculpted with deliberate purpose and endless love.
As we celebrate our Almighty Lord’s intimate promises and proclamations of love within Scripture, we can fill in our names. We can trust and declare with childlike delight, “God loves me too!”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Isaiah 40:25–31...He who brings out the starry host one by one and calls forth each of them by name. Isaiah 40:26
How does it feel when you realize God loves you and knows your needs? What Bible verse could you remember that’s a personal promise to you?
God, thank You for affirming that Your love is a personal gift for each and every one of us. Thank You for assuring us that You know our names and can handle all of our nee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