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16/2025 주일
휴식의 간격
일정한 휴식 기간을 갖는 것의 중요성은 달리기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휴식은 인생이 요구하는 장기간의 노력을 지속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것은 출애굽기부터 시작해서 성경 전체에 걸쳐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내용입니다. 구약에서 안식의 리듬은 하나님의 창조 사역 속에서 모델로 제시되었습니다. 즉, 6일 동안 일하고 “일곱째 날은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출애굽기 20:10) 로 지키는 것입니다.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일곱째 날에 쉬었음”입니다(11절).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로서 우리가 얼마나 자주 쉬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해진 규정은 없습니다(로마서 14:5-6; 골로새서 2:16-17). 휴식은 우리가 언제, 어떤 식으로 갖든 회복을 위한 것입니다. 휴식을 선택하는 것은 또한 우리의 필요를 신실하게 공급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뢰의 표현입니다. 우리는 영원히 달릴 필요도 없고 달릴 수도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0:8-11엿새 동안 여호와가 하늘과 땅을 만드시고... 일곱째 날에 쉬었음이라
[출애굽기 20:11]
언제, 어떻게 쉬나요?
당신이 믿음의 표현으로써 휴식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필요를 어떻게 공급해 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휴식을 통해 아버지를 신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16/2025 SUNDAY
INTERVALS OF REST
The importance of intervals of rest isn’t limited to running. Rest helps us sustain the lengthy effort life requires. It’s something God addresses throughout the Bible, starting in the book of Exodus. In the Old Testament, the rhythms of rest were modeled after God’s work at the time of creation: to labor for six days and then keep “the seventh day [as] a sabbath to the Lord your God” (EXODUS 20:10) because God “made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sea, and all that is in them, but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V. 11).
As believers in Jesus, there’s no definitive prescription for how often we’re to rest (ROMANS 14:5-6; COLOSSIANS 2:16-17). Rest—whenever and however we enjoy it—is meant to be restorative. Choosing to rest is also an expression of trust in God who’s faithful to supply our needs; we needn’t (and can’t) run forever.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XODUS 20:8-11In six days the Lord made the heavens and the earth . . . but he rested on the seventh day.
[ EXODUS 20:11 ]
How and when do you rest?
How has God supplied your needs when you’ve rested as an expression of faith?
Father, thank You for giving me opportunities to trust You through rest.
오늘의 말씀
03/15/2025 토요일
존중받고 읽혀지는 성경
우리 성경도 그렇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수필가 존 업다이크는 미국 고전인 헨리 쏘로우의 ‘월든’을 언급하면서 “성경처럼 존중받지만 읽히지 않을” 위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와 다른 문화권에서 고대에 쓰인 성경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우리는 성경이 아름답고 사랑스럽지만 읽지 않고 책장에 두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꼭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편 119편의 시편 기자처럼, 우리는 하나님께 “[우리의] 눈을 열어” 성경의 풍성함을 볼 수 있도록 간구할 수 있습니다(18절). 우리는 “[우리가] 읽고 있는 내용을 이해하도록” 도와줄 믿을 만한 교사를 찾을 수 있습니다(사도행전 8:30). 그리고 믿는 사람들은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받아 성경의 모든 내용이 어떻게 그분을 가리키는지 볼 수 있습니다(누가복음 24:27; 요한복음 14:26).
하나님은 성경을 통해 슬픔의 시기에 우리에게 힘을 주시고(시편 119:28), 속임수로부터 우리를 보호하시며(29절), 기쁘게 사는 방법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혀 주십니다(32, 35절). 성경은 귀중한 선물입니다. 성경을 존중하는 동시에 읽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17-32내 눈을 열어서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하소서
[시편 119:18]
성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는 무엇인가요?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해 어떻게 여러분의 삶을 만들어 가시나요?
은혜로우신 하나님, 제가 성경이라는 선물을 읽을 때 주님의 선하심을 볼 수 있도록 제 눈을 열어주소서.
Daily Article
03/15/2025 SATURDAY
REVERED AND READ
There’s a danger that our Bibles can become a bit like that. Essayist John Updike, speaking of the American classic Walden, commented that it risked being as “revered and unread as the Bible.”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ancient Scriptures written in different cultures than our own can tempt us to leave our Bibles on the shelf—beautiful, beloved, but unread.
It doesn’t have to be that way. As the psalmist does in Psalm 119, we can turn to God, asking Him to “open [our] eyes” to see Scripture’s riches (V. 18). We can find trustworthy teachers to help us “understand what [we’re] reading” (ACTS 8:30). And believers have Christ’s Spirit to guide our hearts to see how it all points to Him (LUKE 24:27; JOHN 14:26).
Through Scripture, God can give us strength in times of sorrow (PSALM 119:28), protect us from deception (V. 29), and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how to joyfully live (VV. 32, 35). The Bible is a priceless gift. May it be both revered and read.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PSALM 119:17-32Open my eyes that I may see wonderful things in your law.
[ PSALM 119:18 ]
What resources help you understand the Bible?
How has God used Scripture to shape your life?
Gracious God, please open my eyes to Your goodness as I read the gift of Scripture.
오늘의 말씀
03/14/2025 금요일
하나님의 선한 일을 하기 위해 지음 받았다
알고 보니,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풀 때 우리의 몸은 기분을 좋게 하는 화학 물질을 생산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좋은 일을 할 때 기분이 좋아지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그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우리는 선하신 하나님에 의해 그분을 닮도록 창조되었기 때문입니다.
에베소서 2장 10절은 다른 사람을 축복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지음 받은 목적의 일부임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 이 구절은 단순히 선을 행하라는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만드신 우리 본성의 일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항상 위대한 일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상생활에서 작은 일을 하여 다른 사람을 도울 때, 우리는 만족감이라는 보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라고 하신 일을 함으로써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6-10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에베소서 2:10]
도움의 손길이나 격려의 말이 필요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친구, 동료 또는 이웃에게 어떤 친절한 말이나 간단한 행동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오늘 누군가에게 어떻게 친절을 베풀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제 눈을 열어주세요.
Daily Article
03/14/2025 FRIDAY
MADE TO DO GOOD FOR GOD
It turns out that the human body produces chemicals that improve our mood when we’re kind to others. We’re made to feel good when we do good! That’s not surprising, because we were created by a good God who made us to be like Him.
Ephesians 2:10 shows us that blessing others is a part of our very purpose: “We are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which God prepared in advance for us to do.” This verse doesn’t simply give an instruction to do good; in a way, it also reflects a part of our God-made nature. We don’t have to be doing great things all the time. If we do something small to help others in our daily lives, we not only get the reward of satisfaction, but we also know that we’re pleasing God—doing exactly what He made us to do. LESLIE KOH
Today's Reading
EPHESIANS 2:6-10We are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 EPHESIANS 2:10 ]
Who needs a helping hand or an encouraging word?
What kind word or simple gesture can you extend to a friend, colleague, or neighbor?
Dear Father, please open my eyes to see how I can be kind to someone today.
오늘의 말씀
03/13/2025 목요일
예수님이 주신 새 마음
10년이 지난 후에도 데니스는 여전히 친구를 위해 신실하게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브록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방금 예수님께 헌신했어!” 데니스는 마침내 친구가 자신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하나님을 신뢰하게 되었다는 말을 듣고 기뻐하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데니스는 친구를 위한 기도 속에서 하나님께서 에스겔을 통해 그의 백성에게 하신 약속에 집중했습니다. 비록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증스러운 행위로 하나님에게서 멀어졌지만, 하나님은 그들의 마음을 바꾸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그들에게 한 마음을 주고 그 속에 새 영을 주며 그 몸에서 돌 같은 마음을 제거하고 살처럼 부드러운 마음을 주어 내 율례를 따르며 내 규례를 지켜 행하게 하리니”(19절). 하나님은 백성들의 마음이 변하면 그들이 하나님을 신실하게 따를 것을 알았습니다(20절).
우리가 아무리 하나님에게서 멀어져도 주님은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마음을 주시기를 기뻐하십니다. 우리는 죄에서 구원해 주실 예수님을 믿고, 믿음과 회개로 주님께로 돌아가기만 하면 됩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11:14-21내가 그 몸에서 돌 같은 마음을 제거하고 살처럼 부드러운 마음을 주어
[에스겔 11:19]
내 안의 고집이나 냉담함을 하나님께서 녹이시는 것을 어떻게 경험했나요?
오늘 친구를 위해 어떻게 기도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저의 죄와 수치에서 해방시켜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3/13/2025 THURSDAY
A NEW HEART IN CHRIST
Ten years later, Dennis was still praying faithfully. Then he received a call from Brock: “I just gave my life to Jesus!” Dennis rejoiced, tears brimming, to hear his friend exclaim that he’d finally come to the end of himself and trusted God with his life.
In his prayers, Dennis focused on God’s promises to His people through Ezekiel. Although they’d turned from God with detestable practices, He said He would change their hearts: “I will give them an undivided heart and put a new spirit in them; I will remove from them their heart of stone and give them a heart of flesh” (V. 19). With changed hearts, they would follow their God faithfully (V. 20).
No matter how far we’ve turned from God, He delights to give us warm and loving hearts. We need only to turn to Him with faith and repentance as we trust in Jesus to save us from our sins.
Today's Reading
EZEKIEL 11:14-21I will remove from them their heart of stone and give them a heart of flesh.
[ EZEKIEL 11:19 ]
How have you experienced God melting any stubbornness or coldness within?
How can you pray for a friend today?
Loving God, thank You for releasing me from my sin and shame.
오늘의 말씀
03/12/2025 수요일
서로 돕는 코끼리들
고린도전서 12장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안에서 우리가 서로 도와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여기서 바울은 사람 몸의 각 지체가 지닌 기능을 은유적으로 사용하면서, 하나님이 어떻게 자기 백성들이 그들에게 있는 각기 은사를 받아들여 하나님의 몸이 기능하도록 의도하셨는지 설명합니다(12-26 절). 그런 다음 바울은 다양성 속의 연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합니다. “하나님이 몸을 고르게 하여 부족한 지체에게 귀중함을 더 하사 몸 가운데서 분쟁이 없고 오직 여러 지체가 서로 같이 돌보게 하셨느니라”(24-25절).
약하든 강하든, 화려하든 평범하든 서로 도웁시다. 코끼리처럼 사람들도 서로가 필요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2:21-26몸 가운데서 분쟁이 없고 오직 여러 지체가 서로 같이 돌보게 하셨느니라
[고린도전서 12:25]
언제 하나님의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은 적이 있나요?
오늘 다른 신자들을 돕기 위해 무엇을 할 건가요?
사랑하는 하나님, 그리스도의 몸에서 각 지체의 중요한 가치를 이해하도록 도와주시고, 함께 더 강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받는 방법을 보여주소서.
Daily Article
03/12/2025 WEDNESDAY
ELEPHANT HELPERS
In 1 Corinthians 12, Paul underscores our need to help each other within the body of Christ. He uses the metaphor of the human body and its individual parts to describe how God intends His people to welcome all gifts in all people because all are needed for His body to function (VV. 12-26). Then Paul explains how unity in diversity is accomplished. “God has put the body together,” he wrote, “giving greater honor to the parts that lacked it, so that there should be no division in the body, but that its parts should have equal concern for each other” (VV. 24-25).
Whether weak or strong, fancy or common, let’s help each other. Like the elephants, people need each other too. ELISA MORGA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2:21-26There should be no division in the body, but . . . its parts should have equal concern for each other.
[ 1 CORINTHIANS 12:25 ]
When have you received help from the family of God?
What will you do to help other believers today?
Dear God, please help me to understand the vital value of each member in the body of Christ and show me how to both receive and give help so that together we’re stronger.
오늘의 말씀
03/11/2025 화요일
하나님 구원의 상속자
갈라디아서 4장에서 바울은 비슷한 사례를 통해 아브라함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에서 약속된 상속자로서 이스라엘의 상황을 설명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복을 주겠다고 언약하셨고 할례는 그 약속의 징표였습니다 (창세기 17:1-14 참조). 그러나 그 징표가 약속 그 자체는 아니었습니다. 아브라함의 후손들은 그것을 성취할 미래의 한 후손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이삭이 태어났으며, 그것은 하나님의 백성을 구원할 하나님의 아들이 미래에 탄생할 것을 가리키는 것이었습니다(갈라디아서 4:4-5).
이스라엘은 아비게일처럼 “그의 아버지가 정한 때”(2절)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때 가서야 이스라엘이 그 기업을 온전히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이 원했던 것은 예수의 죽음과 장사, 부활과 함께 때가 되면 곧바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사람은 더 이상 죄의 노예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입니다(7절). 새 언약이 세워졌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분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6절).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4:1-7유업을 이을 자가 모든 것의 주인이나 어렸을 동안에는 종과 다름이 없어서
[갈라디아서 4:1]
예수님을 구주로 고백하면 어떻게 더 이상 죄의 노예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걸까요? 그분을 아버지로 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세상의 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버지의 아들을 보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3/11/2025 Tuesday
HEIRS OF GOD’S SALVATION
In Galatians 4, Paul uses a similar example to illustrate Israel’s situation as promised heirs of God’s covenant with Abraham. God had made a covenant with Abraham to bless him, and circumcision was a sign of that promise (SEE GENESIS 17:1-14). However, the sign wasn’t the promise. Abraham’s descendants would await a future descendant who would fulfill it. Isaac was born and pointed to the future birth of a Son who would redeem God’s people (GALATIANS 4:4-5).
Israel, like Abigail, had to wait until the “time set by his father” (V. 2). Only then could Israel take full possession of the inheritance. What they wanted immediately would arrive in due time with Jesus’ death, burial, and resurrection. All who put their faith in Christ were no longer slaves to sin, “but God’s child” (V. 7). A new covenant has been established. We have access to God! We can call him “Abba, Father” (V. 6).
- MATT LUCAS
Today's Reading
GALATIANS 4:1-7As long as an heir is underage, he is no different from a slave, although he owns the whole estate.
[ GALATIANS 4:1 ]
If you profess Jesus as Savior, how are you no longer a slave to sin but a child of God? What does it mean to know Him as Father?
Loving Father, thank You for sending Your Son to address the sin problem of the world.
오늘의 말씀
03/10/2025 월요일
예수님을 위해 함께 일하기
아마존 지역에서 우기에 교회를 제때 지을 수 있을지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집중 호우는 내리지 않았습니다.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몇몇 현지인들의 도움으로 우리는 기록적으로 단기간 안에 공사를 마쳤습니다.
느헤미야와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기 위해 유배에서 돌아왔을 때 많은 장애물을 만났습니다. 적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게 되자 분노하며 그들을 조롱했습니다(느헤미야 4:1-3). 그러나 느헤미야는 기도했고 백성들은 함께 인내했습니다. “이에 우리가 성을 건축하여 전부가 연결되고 높이가 절반에 이르렀으니 이는 백성이 마음 들여 일을 하였음이니라”(6절). 적의 공격 위협이 있을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기도하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습니다(7-23절). 그들은 52일 만에 성벽을 재건했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벅차고 어려운 일에 직면할 때가 있습니다. 장애물이 우리 앞에 나타나면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 자매된 우리들은 희망을 잃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하나님의 도움을 받으면 승리의 순간이 될 수 있습니다. 폭풍우를 막아 주시는 하나님을 믿고 극복하기 위해 그분을 바라봅시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4:1-9이에 우리가 성을 건축하여 전부가 연결되고 높이가 절반에 이르렀으니 이는 백성이 마음 들여 일을 하였음이니라
[느헤미야 4:6]
단합해서 살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예수님 안에서 다른 신자들과 연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0/2025 Monday
WORKING TOGETHER FOR JESUS
Some people were concerned because they wondered if we could build the church in time during monsoon season. But by God’s grace, the intense rain held off. With help from a few locals and despite various obstacles, we got the job done in record time.
When Nehemiah and the Israelites returned from exile to rebuild Jerusalem’s walls, they faced many obstacles. When their enemies found out what they were doing, they were furious and insulted them (NEHEMIAH 4:1-3). But Nehemiah prayed and the people persevered together: “We rebuilt the wall till all of it reached half its height, for the people worked with all their heart” (V. 6). When their foes threatened to attack, the Israelites prayed and kept guard as they worked (VV. 7-23). They rebuilt the wall in fiftytwo days.
Sometimes we’re faced with a daunting task. Obstacles appear in our way, and we and our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can lose hope. But times like this can be a triumphant moment with God’s help. Trust Him to hold off the rainstorms and look to Him to overcome.
-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NEHEMIAH 4:1-9We rebuilt the wall till all of it reached half its height, for the people worked with all their heart.
[ NEHEMIAH 4:6 ]
Why is it hard to live in unity?
How can you work together with others?
Dear God, please help me to seek unity with other believers in Jesus.
오늘의 말씀
03/09/2025 주일
주 안에서 안식
바쁘다고 해서 생산적이거나 충실하거나 성과가 있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자칫 우리는 바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누가복음 10장 41절에서 예수님은 마르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화가 나” 있을 때, 제자의 자세로 “주님의 발 앞에”(39절) 앉은 동생 마리아의 선택이 더 나은 것이었음을 부드럽게 일깨워 주셨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섬기고자 하는 열망으로 더 많은 일을 하면 그분이 우리를 더 알아봐 주실 거라고 생각하며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는 않나요? 골로새서 3장 17절은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라” 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그분의 이름으로 우리 자신을 소진해가면서까지 하라고는 말씀하지 않습니다. 시편 46편 10절에서 우리는 이런 일깨움을 듣습니다.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
오늘의 할 일 목록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속도를 늦추고 그리스도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그래야만 진정한 “[우리] 마음이 쉼”(마태복음 11:29)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38-42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누가복음 10:41]
너무 바빠서 신실하지 못하거나 열매를 맺을 수 없었던 적은 언제였나요?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일을 이루기 위해 어떻게 예수님 안에서 안식을 찾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바쁨을 잠잠함으로 바꾸어 주님이 하나님이심을 알고 제 삶이 열매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09/2025 Sunday
RESTING IN CHRIST
Being busy is no guarantee for being productive, faithful, or fruitful. Yet, we might think that being busy is what’s most important. In Luke 10:41, Jesus gently reminded Martha that she was “worried and upset about many things” and that her sister Mary’s choice of sitting “at the Lord’s feet” (V. 39)—a posture of discipleship— was the better choice.
In our desire to serve Christ, are we doing too much, thinking that He’ll notice us more if we do more? Colossians 3:17 says, “Whatever you do, whether in word or deed, do it all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However, it doesn’t say to burn ourselves out in His name. In Psalm 46:10, we hear this reminder: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Let’s take some time to slow down and spend time with Christ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our to-do list. Only then can we find true “rest for [our] souls” (MATTHEW 11:29).
- BRENT HACKETT
Today's Reading
LUKE 10:38-42“Martha, Martha,” the Lord answered, “you are worried and upset about many things.”
[ LUKE 10:41 ]
When have you been too busy to be faithful and fruitful?
How can you find rest in Jesus to accomplish what He wants you to do?
Dear Jesus, please help me replace busyness with being still so I can know that You’re God and my life can be fruitful.
오늘의 말씀
03/08/2025 토요일
이 명단은 생명이다
성경에는 여러 명단들이 나오는데, 우리는 그것들을 건너 뛰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름이 너무 많이 나오고 또 너무 많이 반복됩니다. 오늘 읽은 말씀이 너무 지루하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유다 자손의 종족들은 이러하니 셀라에게서 난 셀라 종족과 베레스에게서 난 베레스 종족과...”(민수기 26:20). 누가 이런 것에 관심을 가질까요?
그러나 하나님은 관심을 가지십니다! “이집트 땅에서 나온 이스라엘 자손”이라는 말은 역사의 기록입니다(4절, 새번역). 그 백성들은 곧 그들에게 약속된 땅에서 살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언젠가 바로 이 유다 지파에서 메시아가 오실 것입니다. 이 생명의 명단은 유대 백성들뿐 아니라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의 명단입니다.
우리는 영화 ‘쉰들러 리스트’와 역사적 기록을 통해 오스카 쉰들러의 명단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성경에 기록된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을 알고 있습니다. 성경 말씀을 읽을 때, 성령님이 우리에게 이 구원의 명단의 가치에 대해서 깨우쳐 주시기를 소망합니다. 말씀에 기록된 명단들 또한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26:1-4, 20-22이집트 땅에서 나온 이스라엘 자손은 다음과 같다
(민수기 26:4, 새번역).
성경에서 가장 지루한 부분은 어디인가요?
이런 부분도 새로운 눈으로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성경을 주의 깊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성령께서 각 구절마다 그 가치를 알 수 있도록 인도해 주소서.
Daily Article
03/08/2025 Saturday
THE LIST IS LIFE
The Bible contains its share of lists. We tend to skip them. Too many names; too much repetition. We might even say today’s reading is . . . boring. “The descendants of Judah by their clans were: through Shelah, the Shelanite clan; through Perez, the Perezite clan . . .” (NUMBERS 26:20). Who cares?
God cares! “These were the Israelites who came out of Egypt,” says the historical record (V. 4). Soon the people would inhabit the land promised to them. And one day, Messiah would come from this very clan of Judah. The list is life, not only for the Jewish people, but for all who trust in Jesus.
We know of Oskar Schindler’s list from the powerful film Schindler’s List and historical records. We know of God’s great salvation from the story recorded for us in the Bible. As we read the Scriptures, may His Spirit show us the worth of even the lists. They have something to say to us too.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NUMBERS 26:1-4, 20-22These were the Israelites who came out of Egypt.
[ NUMBERS 26:4 ]
What portions of the Bible are the most boring to you?
How might you read even these sections with new eyes?
Dear God, please help me read the Bible carefully.
May Your Spirit guide me to see the value in each verse.
오늘의 말씀
03/07/2025 금요일
염려를 예수님께 맡기세요
전문의의 진단은 산상수훈에 나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지요.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지 아니하며 몸이 의복보다 중하지 아니하냐” (마태복음 6:25). 예수님의 지침은 의학적 또는 기타 문제나 증상을 무시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예수님은 “염려하지 말라”(25절)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 다음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겠느냐”(27 절) 물으셨습니다.
선지자 이사야도 비슷한 지혜의 말씀을 주었습니다. “겁내는 자들에게 이르기를 굳세어라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희 하나님이 오사”(이사야 35:4). 낸시와 톰 부부는 이제 하루에 8 킬로 이상 걸을 수 있는 용기를 얻었습니다. 더 이상 걱정하며 걷는 것이 아니라 기쁨으로 걸음을 내딛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27목숨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
[마태복음 6:25]
당신에게 가장 큰 두려움은 무엇인가요?
그리스도께 걱정을 맡기면 어떻게 삶이 나아질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제가 오늘 두려움을 느낄 때, 주님의 평안 가운데 주님께 그 두려움을 맡길 수 있도록 담대함을 주소서.
Daily Article
03/07/2025 Friday
GIVE YOUR WORRIES TO JESUS
Such guidance captures Jesus’ instruction in the Sermon on the Mount. He said, “Do not worry about your life, what you will eat or drink; or about your body, what you will wear. Is not life more than food, and the body more than clothes?” (MATTHEW 6:25). Such guidance doesn’t say to ignore medical or other problems or symptoms. Instead, Christ simply said, “Do not worry” (V. 25). He then asked, “Can any one of you by worrying add a single hour to your life?” (V. 27).
The prophet Isaiah offered similar wisdom. “Say to those with fearful hearts, ‘Be strong, do not fear; your God will come’ ” (ISAIAH 35:4). For Nancy and Tom, they’re inspired now to walk more than five miles a day. No longer walking with worry, they step out with joy.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T THEW 6:25-27Do not worry about your life.
[ MATTHEW 6:25 ]
What’s your greatest fear?
How can giving your worry to Christ enhance your life?
If I’m feeling worried today, dear Jesus, please grant me confidence to give my fear to You as I live out Your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