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10/2019     화요일

성경읽기: 호 1-4; 계 1
찬송가: 280(통 338)

막바지에 받은 은혜

예술가 더그 머키의 출중한 조각품 ‘불굴의 믿음’은 호두나무로 만든 십자가에 필사적으로 매달려 있는 청동 인간상입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이 작품은 우리의 변함없는 적절한 삶의 자세, 곧 그리스도와 복음에 대한 온전하고 무조건적인 친밀함과 의지함을 아주 단순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믿음을 우리는 마가복음 5:25-34에서 이름 없는 한 여인의 말과 행동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여인은 12년간이나 황폐한 삶을 살았습니다 (25절). “그녀는 많은 의사들을 찾아다니며 치료를 받느라고 무척 고생하였고 있던 재산도 다 허비하였으나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병만 더 악화되었습니다”(26절, 현대인의 성경). 그러나 예수님에 관한 소식을 듣고 그 여인은 주님께로 가 주님께 손을 대었고 “병이 나았습니다” (27-29절).

당신도 지금 삶의 막다른 곳에 와 있습니까?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이 다 없어졌습니까? 그러나 불안하고 절망적이며 어찌해야 할지 모르고 괴로움 중에 있어도 낙심하지 않아도 됩니다. 주 예수님은 고통 받는 그 여인이나 머키의 조각에 나타난 그런 절박한 믿음에 지금 응답해주십니다. 이 믿음은 찬송가 작사자 찰스 웨슬리의 노랫말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천부여 의지 없어서 손들고 옵니다.” 그런 믿음이 없다고요? 하나님을 신뢰하게 해달라고 그분께 간구하십시오. 웨슬리의 찬송가는 이 기도로 끝나고 있습니다. “믿음의 주여, 내 지친 눈길을 주께 드오니, 영 죽을 내 영혼 그 선물 받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5:25-34
딸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네 병에서 놓여 건강할지어다 마가복음 5:34

언제 그리스도께 필사적으로 매달려 보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필요를 채워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에 감사드립니다. 제 모든 필요를 채워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10/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HOSEA 1–4 and REVELATION 1
Hymn: 280(old 338)

Grace at the End

Artist Doug Merkey’s masterful sculpture Ruthless Trust features a bronze human figure clinging desperately to a cross made of walnut wood. He writes, “It’s a very simple expression of our constant and appropriate posture for life—total, unfettered intimacy with and dependency upon Christ and the gospel.”

That’s the kind of trust we see expressed in the actions and words of the unnamed woman in Mark 5:25–34. For twelve years her life had been in shambles (V. 25). “She had suffered a great deal under the care of many doctors and had spent all she had, yet instead of getting better she grew worse” (V. 26). But having heard about Jesus, she made her way to Him, touched Him, and was “freed from her suffering” (VV. 27–29).

Have you come to the end of yourself? Have you depleted all your resources? Anxious, hopeless, lost, distressed people need not despair. The Lord Jesus still responds to desperate faith—the kind displayed by this suffering woman and depicted in Merkey’s sculpture. This faith is expressed in the words of hymn writer Charles Wesley: “Father, I stretch my hands to Thee; no other help I know.” Don’t have that kind of faith? Ask God to help you trust Him. Wesley’s hymn concludes with this prayer: “Author of faith, to Thee I lift my weary, longing eyes; O may I now receive that gift! My soul, without it, dies.”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Mark 5:25–34
Daughter, your faith has healed you. Go in peace and be freed from your suffering. MARK 5:34

When have you desperately clung to Christ? How did God meet your need?

Father, thank You for Your power to rescue me. Help me to trust You to meet all my needs.

오늘의 말씀

12/09/2019     월요일

성경읽기: 단 11-12; 유
찬송가: 293(통 414)

인도하시는 빛

한 박물관에서 나는 고대 램프들이 전시되어 있는 곳에서 오래 머물렀습니다. 그 램프들은 이스라엘에서 온 것들이라고 표시되어 있었습니다. 조각된 디자인으로 장식된 이 타원형의 점토 램프에는 두 개의 구멍이 있었는데, 하나는 연료를 넣는 곳이고 다른 하나는 심지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 램프들을 보통 벽면에 우묵하게 들어간 공간에 두고 사용했지만, 하나하나의 크기는 사람 손바닥에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로 작았습니다.

어쩌면 다윗 왕이 그 작은 등불을 보고 영감을 받아 이런 찬양곡을 쓴 것인지도 모릅니다. “여호와여 주는 나의 등불이시니 여호와께서 나의 어둠을 밝히시리이다”(사무엘하 22:29). 다윗이 이 노래를 부른 것은 하나님께서 그가 전투에서 승리하게 하신 후였습니다. 나라 안팎에서 그의 대적들이 그에게 몰래 다가와 그를 죽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겁을 먹고 뒤로 숨지 않았습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확신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 적과 대결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그는 상황을 분명히 파악할 수 있었고, 그래서 자기 자신은 물론 그의 군대와 나라를 위해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다윗이 그의 노래에서 언급한 어둠이라는 말에는 아마도 연약함과 패배,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내포되어 있었을지 모릅니다. 우리들 상당수도 그와 비슷한 걱정거리들로 불안과 스트레스 속에 살고 있습니다. 어둠이 우리를 내리 누를 때 우리가 평강을 누릴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와도 함께 하신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성령님의 성스러운 불꽃이 우리 안에서 타올라 예수님을 대면할 때까지 우리의 앞길을 밝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26-30
여호와여 주는 나의 등불이시니 여호와께서 나의 어둠을 밝히시리이다
사무엘하 22:29

두려울 때 하나님께서 도와주신다고 어떻게 믿을 수 있습니까?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 두려울 때 하나님이 함께 계심을 확실히 믿게 해주소서.
주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주님이 영적인 어둠을 물리치셨음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09/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11–12 and JUDE
Hymn: 293(old 414)

Our Guiding Light

At a museum, I lingered near a display of ancient lamps. A sign revealed they were from Israel. Decorated with carved designs, these oval-shaped clay vessels had two openings— one for fuel, and one for a wick. Although the Israelites commonly used them in wall alcoves, each was small enough to fit in the palm of a person’s hand.

Perhaps a little light like this inspired King David to write a praise song in which he said, “You Lord are my lamp; the Lord turns my darkness into light” (2 SAMUEL 22:29). David sang these words after God gave him victory in battle. Rival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his own nation had been stalking him, intending to kill him. Because of his relationship with God, David didn’t cower in the shadows. He moved forward into enemy confrontations with the confidence that comes from God’s presence. With God helping him, he could see things clearly so he could make good decisions for himself, his troops, and his nation.

The darkness David mentioned in his song likely involved fear of weakness, defeat, and death. Many of us live with similar worries, which produce anxiety and stress. When the darkness presses in on us, we can find peace because we know God is with us too. The divine flame of the Holy Spirit lives in us to light our path until we meet Jesus face to face.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2 Samuel 22:26–30
You, LORD, are my lamp; the LORD turns my darkness into light.
2 SAMUEL 22:29

Why can you trust God to help you with your fears?
What can you do to seek God’s guidance in your life?

God, please assure me of Your presence when I’m afraid.
Help me to remember that You’ve defeated spiritual darkness through Your death and resurrection.

오늘의 말씀

12/08/2019     주일

성경읽기: 단 8-10; 요3
찬송가: 408(통 466)

감사의 태도

미국에서 내가 살고 있는 주의 겨울은 영하의 기온과 쉴 새 없이 내리는 눈으로 가히 혹독하다 할 수 있습니다. 지독히 추운 어느 날, 눈을 치우면서 삽질을 천 번쯤 한 것 같았을때, 우편배달부가 배달 중에 잠시 멈추더니 눈 치우는 일이 어떠냐고 물었습니다. 나는 겨울이 싫고 많은 눈에 진절머리가 난다고 했습니다. 그러고는 그가 하는 일도 이런 지독한 날씨에는 분명 꽤나 힘들 것 같다고 한 마디 했습니다. 그랬더니 그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예, 그렇긴 하지만 적어도 제겐 일이 있잖아요. 일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요. 일할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지요.”

나는 우편배달부의 감사하는 태도를 보며 마치 내가 큰 죄를 지은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삶의 환경이 불편할때, 우리는 감사해야 할 모든 것들을 얼마나 쉽게 지나쳐 버리는지 모릅니다.

바울은 골로새의 성도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골로새서 3:15). 그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도 이렇게 썼습니다.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데살로니가전서 5:18).

정말 힘들고 고통스러운 이 시대에도 우리는 하나님의 평강을 알아 그 평강이 우리 마음을 다스리게 할 수 있습니다. 그 평강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모든 것이 다시 생각나게 될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진정으로 감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2-25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골로새서 3:15

당신이 그만두어야 할 불평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오늘 하나님께 무엇을 감사해야 할까요?

하나님, 단지 좀 불편하다고 제가 얼마나 자주 불평하는지 모릅니다.
하나님의 선하심을 절대 잊지 말게 하시고 제 마음이 온통 감사로 가득 차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2/08/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8–10 and 3 JOHN
Hymn: 408(old 466)

Attitude of Gratitude

In my state in the US, the winters can be brutal, with sub-zero temperatures and never-ending snow. One bitterly cold day, as I shoveled snow for what seemed like the thousandth time, our postman paused in his rounds to ask how I was doing. I told him that I disliked winter and was weary of all the heavy snow. I then commented that his job must be pretty rough during these extreme weather conditions. He responded, “Yeah, but at least I have a job. A lot of people don’t. I’m thankful to be working.”

I have to admit that I felt quite convicted by his attitude of gratitude. How easily we can lose sight of everything we have to be thankful for when the circumstances of life become unpleasant.

Paul told the followers of Christ at Colossae,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And be thankful” (COLOSSIANS 3:15). He wrote to the Thessalonians,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1 THESSALONIANS 5:18).

Even in our times of genuine struggle and pain, we can know God’s peace and permit it to rule our hearts. And in that peace, we’ll find reminders of all that we’ve been given in Christ. In that, we can truly be thankful.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Colossians 3:12–25
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And be thankful.
COLOSSIANS 3:15

What do you need to stop complaining about?
What do you have to thank God for today?

God, how often I complain about things that are mere inconveniences.
Help me never to lose sight of Your goodness.
Give me a heart full of gratitude.

오늘의 말씀

12/07/2019     토요일

성경읽기: 단 5-7; 요2
찬송가: 301(통 460)

베풀어주신 이를 잊지 말라

크리스마스가 코앞에 다가왔는데도 아이들은 감사하는 마음이 별로 없었습니다. 엄마는 누구나 그런 생각에 빠지기 쉽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녀의 아이들은 마음속에 좀 더 좋은 생각을 가지기를 원했습니다. 그래서 온 집안을 두루 돌아다니며 전기 스위치와 찬장, 냉장고 문, 세탁기, 빨래 건조기, 수도꼭지 같은 것에 나비모양의 빨간 리본을 달았습니다. 리본 하나하나 마다 손으로 이런 글을 써붙였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들을 우리가 잘 모르고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이렇게 리본을 달아놓았어. 하나님은 우리 가족에게 너무 좋으신 분이란다. 그 선물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우리 잊지 말자.”

신명기 6장을 보면 이스라엘 민족의 미래는 이미 있는 땅들을 정복하는 일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건설하지 않은 크고 번창한 도시에 들어가(10절) 남들이 좋은 것들로 가득 채워놓은 집들을 차지하고 남이 파놓은 우물과 심어놓은 포도원과 감람나무를 취했습니다(11절). 이 모든 축복은 오직 하나의 근원, 즉 “네 하나님 여호와”(10절)에게서 나왔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 모든 것들을 주셨기에, 모세는 백성들이 주의하여 잊지 않도록 다짐해두고 싶었습니다(12절).

살다보면 어떤 때는 잊어버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모든 복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을 잊지 않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6:4-12
조심하여 여호와를 잊지 말고
신명기 6:12

당신 삶 속에 다섯 가지 축복을 말해보십시오. 왜 그것들에 감사한 마음을 갖습니까?
오늘 그 축복들에 대해 어떻게 감사하겠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우리 삶의 모든 축복의 근원 이십니다.
그런데 우리는 교만하여 그렇지 않다고 자주 생각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더 잘 알고 있습니다. 정말 잘 알고 있습니다.
아버지께서 주신 모든 선물에 감사를 드립니다.

Daily Article

12/07/2019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5–7 and 2 JOHN
Hymn: 301(old 460)

Don’t Forget the Giver

It was just before Christmas, and her kids were having a difficult time with gratitude. She knew how easy it was to slip into that kind of thinking, but she also knew she wanted something better for the hearts of her children. So she went through the house and placed red bows on light switches, the pantry and refrigerator doors, the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the water faucets. With each bow there was a handwritten note: “Some of the gifts God gives us are easy to overlook, so I’ve put a bow on them. He is so good to our family. Let’s not forget where the gifts come from.”

In Deuteronomy 6, we see that the future of the nation of Israel involved the conquest of existing places. So they would move into large flourishing cities they did not build (V. 10), occupy houses filled with good things they didn’t provide, and benefit from wells and vineyards and olive groves they didn’t dig or plant (V. 11). All these blessings could be easily traced back to a single source—“the Lord your God” (V. 10). And while God lovingly provided these things and more, Moses wanted to make sure the people were careful not to forget (V. 12).

During certain seasons of life it’s easy to forget. But let’s not lose sight of God’s goodness, the source of all our blessings. - JOHN BLASE

Today's Reading

Deuteronomy 6:4–12
Be careful that you do not forget the LORD.
DEUTERONOMY 6:12

Name five blessings in your life. Why are you grateful for them?
How will you thank God for them today?

Loving Father, You are the source of every blessing in our lives.
In our pride we often imagine otherwise, but we know better.
We do.Thank You for all Your gifts.

오늘의 말씀

12/06/2019     금요일

성경읽기: 단 3-4; 요1 5
찬송가: 80(통 101)

하늘에서 내려온 선물

옛 이야기에 따르면 니콜라스(기원후 270년에 출생)라는 이름의 남자가 너무 가난해서 세 딸을 먹여 살릴 수 없고 앞으로 닥쳐올 딸들의 결혼 때 해줄 수 있는 것은 더더욱 없었던 어떤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니콜라스는 아무도 모르게 그 아버지를 도와주고 싶어서 금 한 자루를 그 집 열린 창문 안으로 던져 넣었는데 그것이 벽난로에서 말리고 있던 양말인지 신발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성 니콜라스로 알려지게 된 이 사람은 훗날 산타클로스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위에서 내려온 그 선물 이야기를 들었을 때 나는 아버지 하나님을 생각 했습니다. 그분은 사랑과 연민의 마음으로 기적적인 탄생을 통해 가장 위대한 선물인 그분의 아들을 이 땅에 보내주셨습니다. 마태복음에 따르면 한 처녀가 임신하여 낳을 아들이 장차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1:23)는 뜻의 임마누엘이라 불릴 것이라는 구약성경의 예언이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것입니다.

니콜라스의 선물이 아름다운 것이었다면 예수님이라는 선물은 얼마나 더 놀라운 것인지요. 예수님은 하늘나라를 떠나 사람이 되시고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셔서 지금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주님은 우리가 아파하고 슬퍼할 때 위로하시고, 낙담할 때 용기를 주시며, 미혹 당할 때에 우리에게 진실을 드러내 보여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18-25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마태복음 1:23

오늘 예수님이라는 선물을 어떻게 전하시겠습니까?
주님의 함께 하심이 당신의 시간과 지혜와 사랑의 자원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도록 어떻게 이끌어줍니까?

예수님, 하나님 아버지를 떠나 비천한 환경에서 태어나신 것에 감사를 드립 니다. 제 삶 속에 예수님이 함께 하심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06/2019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3–4 and 1 JOHN 5
Hymn: 80(old 101)

Gifts from Above

According to an old story, a man named Nicholas (born in ad 270) heard about a father who was so poor that he couldn’t feed his three daughters, much less provide for their future marriages. Wanting to assist the father, but hoping to keep his help a secret, Nicholas threw a bag of gold through an open window, which landed in a sock or shoe drying on the hearth. That man was known as St. Nicholas, who later became the inspiration for Santa Claus.

When I heard that story of a gift coming down from above, I thought of God the Father, who out of love and compassion sent to earth the greatest gift, His Son, through a miraculous birth. According to Matthew’s gospel, Jesus fulfilled the Old Testament prophecy that a virgin would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son whom they would call Immanuel, meaning “God with us” (1:23).

As lovely as Nicholas’s gift was, how much more amazing is the gift of Jesus. He left heaven to become a man, died and rose again, and is God living with us. He brings us comfort when we’re hurting and sad; He encourages us when we feel downhearted; He reveals the truth to us when we might be deceived.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tthew 1:18–25
The virgin will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son, and they will call him Immanuel.
MATTHEW 1:23

How can you give the gift of Jesus today?
How does His presence lead you to share your resources of time, wisdom, and love with others?

Jesus, thank You for the way You left Your Father to be born in humble circumstances. May I never take for granted Your presence in my life.

오늘의 말씀

12/05/2019     목요일

성경읽기: 단 1-2; 요1 4
찬송가: 459(통 514)

자진해서 베푸는 친절

젊은 엄마 혼자서 아이들을 데리고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그 엄마는 발버둥치며 울어대는 세 살 배기 딸아이를 안간힘을 다해 달랬습니다. 그러더니 이제는 4개월 된 사내아이가 배가 고파 울기 시작했습니다.

엄마 제시카가 딸아이의 안전벨트를 매어줄 동안 옆자리에 앉아 있던 승객이 선뜻 아기를 안아주겠다고 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 승객은 자신의 젊은 아빠 시절을 떠올리면서 엄마가 아기를 먹일 동안 세 살짜리 아이와 색칠놀이를 했습니다. 그 승객은 다음 연결 비행기에서도 필요하다면 도와주겠다고 했습니다.

제시카는 이렇게 회고했습니다. “그때 하나님의 손길에 완전히 감동받았어요. 우리 옆에 누구라도 앉을 수 있었지만, 그때 우리는 지금껏 가장 좋은 사람 옆에 앉았었어요.”

사무엘하 9장에서 우리는 내가 말하는 ‘자진해서 베푸는 친절’ 의 또 다른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울 왕과 그의 아들 요나단이 죽자, 일부에서는 다윗이 왕위 계승 경쟁자는 누구든 다 제거해버릴 거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오히려 이렇게 물었습니다. “사울의 집에 아직도 남은 사람이 없느냐 내가 그 사람에게 하나님의 은총을 베풀고자 하노라”(3절). 그런 다음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이 다윗 앞에 불려오자 다윗은 그가 받을 유산을 물려받게 해주고 그 때부터 그를 자신의 친아들처럼 대해주며 왕의 상에서 같이 식사하게 하는 온정을 베풀어줍니다(11절).

우리 또한 넘치는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자들로서 다른 사람들에게 자진해서 친절을 베풀 수 있는 기회를 찾게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갈라디아서 6:10).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9:3-11
내가 그 사람에게 하나님의 은총을 베풀고자 하노라
사무엘하 9:3

누구에게 하나님의 친절을 보여줄 수 있습니까?
마음이 상하고 낙심해 있는 사람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친절한 행위를 보여줄 수 있을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에게 보여주신 친절에 감사드립니다. 다른 이들에게 그 친절을 풍성히 나눌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5/2019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DANIEL 1–2 and 1 JOHN 4
Hymn: 459(old 514)

Intentional Kindness

Boarding a plane alone with her children, a young mom tried desperately to calm her three-year-old daughter who began kicking and crying. Then her hungry fourmonth-old son also began to wail.

A traveler seated next to her quickly offered to hold the baby while Jessica got her daughter buckled in. Then the traveler—recalling his own days as a young dad—began coloring with the toddler while Jessica fed her infant. And on the next connecting flight, the same man offered to assist again if needed.

Jessica recalled, “I [was] blown away by God’s hand in this. [We] could have been placed next to anyone, but we were seated next to one of the nicest men I have ever met.”

In 2 Samuel 9, we read of another example of what I call intentional kindness. After King Saul and his son Jonathan had been killed, some expected David to kill off any competition to his claim for the throne. Instead, he asked, “Is there no one still
alive from the house of Saul to whom I can show God’s kindness?” (V. 3). Mephibosheth, Jonathan’s son, was then brought to David who restored his inheritance and warmly invited him to share his table from then on—just as if he were his own son (V. 11).

As beneficiaries of the immense kindness of God, may we look for opportunities to show intentional kindness toward others (GALATIANS 6:10).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2 Samuel 9:3–11
I want to show God's kindness to them.
2 SAMUEL 9:3 NLT

Who can you show God’s kindness to?
What specific act of kindness can you demonstrate to someone who is hurting or discouraged?

Heavenly Father, I thank You for the kindness You’ve shown me. Help me to lavish it on others.

오늘의 말씀

12/04/2019     수요일

성경읽기: 겔 47-48; 요1 3
찬송가: 287(통 205)

책망으로부터의 해방

한 부부가 이동식주택 트럭을 몰고 건조한 캘리포니아 북부 지역을 운전하다가 타이어가 터지는 것을 느끼면서 노면에 금속이 긁히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그 불똥이 튀면서 2018년의 카 산불이 일어났습니다(Carr는 트럭이 달리던 도로 이름 Carr Powerhouse Road에서 따옴 – 역주). 거의 23만 에이커(약 930 제곱킬로미터)를 태운 이 산불로 천여 채의 가옥이 소실되었으며 몇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했습니다.

그 부부가 비통해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은 생존자들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부끄러움과 절망에” 빠져 있는 그들에게 “따뜻하게 친절을” 베풀어주었습니다. 한 여성은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이번 화재로 집을 잃어버린 사람으로서 내 가족이 당신들을 탓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집을 잃은 다른 가족들 누구도 당신들을 비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알아주었으면 해요. 사고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어요. 부디 이 사랑의 메시지들을 보고 두 분이 마음의 부담을 덜었으면 해요. 우리는 함께 이 상황을 잘 헤쳐 나갈 거예요.”

책망, 곧 돌이킬 수 없는 일을 저질렀을 때 오는 두려움은 인간의 영혼을 잠식해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맙게도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마음이 혹 우리를 책망할 일이 있어도 하나님은 우리 마음보다 크심을 우리가 아노라”(요한1서 3:20). 우리 내면에 감추어진 부끄러움이 무엇이든 하나님은 그 모든 것보다 더 크십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필요하다면) 회개하여 치유하든지, 아니면 우리를 좀먹는 수치심을 그냥 드러내 보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구원을 만나면서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도 마음을 편안히 가질 수 있습니다”(19절, 현대인의 성경).

원래대로 되돌렸으면 하는 것들로 어떤 후회가 있더라도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 가까이 이끌어주십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보고 웃으시며 “너희 마음은 이제 해방되었다”고 말씀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9-24
우리 마음이 혹 우리를 책망할 일이 있어도 하나님은 우리 마음보다 크시고
요한1서 3:20

부끄러움이나 책망을 당한 적이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우리의 마음을 해방시키셨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하나님, 너무 후회가 됩니다. 이 고통스런 상황을 지워버리고 모든 것을 다시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저에게 은혜 주셔서 교훈을 얻게 하시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2/04/2019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7–48 and 1 JOHN 3
Hymn: 287(old 205)

Free from Condemnation

As a couple drove their trailer through dry Northern California, they felt a tire blow and heard the scrape of metal against pavement. The sparks ignited the 2018 Carr Fire—a wildfire that burned nearly 230,000 acres, destroyed more than 1,000 homes, and resulted in the deaths of several people.

When survivors heard how the couple were overcome with grief, they formed a Facebook page to show “grace and extend kindness . . . for the shame and despair” enveloping them. One woman wrote: “As someone that lost their home to this fire— I need you to know my family [doesn’t blame you], nor [do] any of the other families that lost homes. . . . Accidents happen. I really hope these kind messages ease your burden. We will all get through this together.”

Condemnation, our fear that we’ve done something unredeemable, can cannibalize the human soul. Thankfully, the Scriptures reveal that “if our hearts condemn us, we know that God is greater than our hearts” (1 JOHN 3:20). Whatever our hidden shame, God is greater than all of it. Jesus calls us to the healing act of repentance (if needed) or simply unmasks the shame consuming us. Then, encountering divine redemption, we “set our hearts at rest in his presence” (V. 19).

Whatever our regrets over things we wish we could undo, God draws us near. Jesus smiles at us and says, “Your heart is fre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John 3:19–24
If our hearts condemn us, we know that God is greater than our hearts.
1 JOHN 3:20

How have you experienced shame or condemnation?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know that Jesus has freed your heart?

God, I have such regret. I wish I could erase this painful situation and do it all over. But thank You for giving me grace to learn and move forward.

오늘의 말씀

12/03/2019     화요일

성경읽기: 겔 45-46; 요1 2
찬송가: 216(통 356)

잃어버린 봉투

내가 그것을 발견한 것은 우리가 다른 주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고 집으로 돌아올 때였습니다. 차에 기름을 넣고 있는데, 먼지가 묻은 두툼한 봉투 하나가 땅에 떨어져 있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먼지투성이의 그 봉투를 집어 들고 안을 들여다보았더니 놀랍게도 백 달러의 돈이 들어있었습니다.

누군가가 그 백 달러를 잃어버리고 어쩌면 바로 그 순간에도 애타게 찾고 있을지도 몰랐습니다. 누군가 그것을 찾으러 되돌아올 경우를 생각하여 우리 전화번호를 그곳 직원에게 남겨 놓았습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아무도 연락하지 않았습니다.

누군가가 그 돈을 가지고 있다가 잃어버렸습니다. 이 땅의 보화도 더러는 그와 같습니다. 잃어버릴 수도 있고 도둑맞을 수도 있으며 그냥 낭비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를 잘못하거나 우리가 전혀 통제할 수 없는 금융시장에서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예수님 안에 갖고 있는 하늘의 보화, 즉 회복된 하나님과의 관계와 영생의 약속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주유소뿐 아니라 어디에서도 잃어버릴 수 없습니다.

그것이 바로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보물을 하늘에” 쌓아두라 (마태복음 6:20)고 하신 이유입니다. 우리가 “좋은 일을 많이”(디모데전서 6:18, 새번역) 하거나 “믿음에 부요하게”(야고보서 2:5) 되어 다른 사람들을 사랑으로 도와주며 그들에게 예수님을 전할 때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능력으로 우리 모두 영원한 보화를 쌓으며 하나님과 같이 하는 영원한 미래까지 내다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19-21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 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거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둑질도 못하느니라
마태복음 6:20

이번 주에 영원한 의미가 담긴 어떤 일을 할 수 있습니까?
이 땅의 보화를 하늘나라의 유익을 위한 투자로 어떻게 더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이 세상에서 저희들에게 베풀어주신 모든 것, 돈과 집과 그 외의 것들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그것들을 붙잡고 있는 손을 풀고 영원한 보화를 쌓는 일에 힘을 기울이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3/2019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5–46 and 1 JOHN 2
Hymn: 216(old 356)

The Lost Envelope

We were on the way home from a visit with family in another state when I found it. I was pumping gas when I noticed a dirty, bulky envelope on the ground. I grabbed it, dirt and all, and looked inside. To my surprise, it contained one hundred dollars.

One hundred dollars that someone had lost and who at that very moment was possibly frantically searching to find. I gave our phone number to the attendants at the gas station in case anyone came back looking for it. But no one ever called.

Someone had that money and lost it. Earthly treasure is often like that. It can be lost, stolen, or even squandered. It can be lost in bad investments or even in a monetary market over which we have no control. But the heavenly treasure we have in Jesus—a restored relationship with God and the promise of eternal life—isn’t like that. We can’t lose it at a gas station or anywhere else.

That’s why Christ told us to store up “treasures in heaven” (MATTHEW 6:20). We do that when we become “rich in good deeds” (1 TIMOTHY 6:18) or “rich in faith” (JAMES 2:5)—lovingly helping others and sharing Jesus with them. As God leads and empowers us, may we store up eternal treasure even as we anticipate our eternal future with Him. - DAVE BRANON

Today's Reading

Matthew 6:19–21
Store up for yourselves treasures in heaven, where moths and vermin do not destroy, and where thieves do not break in and steal.
MATTHEW 6:20

What can you do this week that has eternal implications?
How can you better use your earthly treasures as investments for heaven’s good?

Dear God, thank You for everything You’ve given us on this earth—our money, our homes, and more. Help us to hold them loosely while seeking to store up more eternal treasures.

오늘의 말씀

12/02/2019     월요일

성경읽기: 겔 42-44; 요1 1
찬송가: 299(통 418)

사랑의 다른 모습

그리스도 시대에 로마의 여관들은 너무나 평판이 나빠서 랍비들은 그곳에 가축조차 맡기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좋지 않는 환경에서 여행을 하는 기독교인들은 대개 믿는 사람들을 찾아 신세를 졌습니다.

그 초기 여행자들 가운데 예수님이 메시아라는 것을 부인하는 거짓 교사들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요한2서에서 손님 접대를 ‘거부해야’ 할 때가 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말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요한은 그 전에 쓴 편지에서도 이들 거짓 교사들이 바로 “아버지와 아들을 부인하는......적그리스도”(요한1서 2:22)라고 말했습니다. 요한은 요한2서 독자들에게 그 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서 예수님을 메시아로 믿는 사람은 누구나 “아버지와 아들을 모시는”(9절)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런 다음 요한은 이렇게 경고합니다. “누구든지 이 교훈을 가지지 않고 너희에게 나아가거든 그를 집에 들이지도 말고 인사도 하지 말라”(10절). 거짓 복음을 전하는 사람들에게 호의를 베푸는 것은 실제로 사람들을 하나님으로부터 떼어놓는 일을 도와주는 것입니다.

요한의 두 번째 서신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의 “다른 모습” 을 봅니다. 우리는 모든 사람을 두 팔 벌려 맞아주시는 그런 하나님을 섬깁니다. 그러나 속임수를 써서 자신은 물론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들에게는 진실한 사랑이 주어지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회개하며 자기에게 오는 자들은 그분의 팔로 감싸 안으시지만, 거짓말은 절대 받아들이지 않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2서 1:1-11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로부터 진리와 사랑 가운데서 우리와 함께 있으리라
요한2서 1:3

오늘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자신의 삶과 다른 사람의 삶에서 맞닥뜨려야 할 문제에 어떤 것이 있습니까?

저희를 진실로 사랑하시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영이 베푸는 흔들림 없는 은혜로 아버지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02/2019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2–44 and 1 JOHN 1
Hymn: 299(old 418)

The Flip Side of Love

The Roman inns during the time of Christ had a reputation so bad that rabbis wouldn’t even permit cattle to be left at them. Faced with such bad conditions, traveling Christians usually sought out other believers for hospitality.

Among those early travelers were false teachers who denied that Jesus was the Messiah. This is why the letter of 2 John tells its readers there is a time to refuse to extend hospitality. John had said in a previous letter that these false teachers were “antichrist—denying the Father and the Son” (1 JOHN 2:22). In 2 John he elaborated on this, telling his readers that whoever believes Jesus is the Messiah “has both the Father and the Son” (V. 9).

Then he warned, “If anyone comes to you and does not bring this teaching, do not take them into your house or welcome them” (V. 10). To extend hospitality to someone preaching a false gospel would actually help keep people separated from God.

John’s second letter shows us a “flip side” of God’s love. We serve a God who welcomes everyone with open arms. But genuine love won’t enable those who deceitfully harm themselves and others. God wraps His arms around those who come to Him in repentance, but He never embraces a li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John 1:1–11
Grace, mercy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from Jesus Christ, the Father's Son, will be with us in truth and love.
2 JOHN 1:3

How can you reflect God’s love in your relationships today?
What issues might you need to confront in your own life or in the lives of others?

Father, You love us in Your truth. Help us extend that love to others with the unwavering grace that comes only from Your Spirit.

오늘의 말씀

12/01/2019     주일

성경읽기: 겔 40-41; 벧후 3
찬송가: 303(통 403)

희망이 있을까요?

에드워드 페이슨(1783-1827)은 매우 힘든 삶을 살았습니다. 남동생의 죽음으로 그는 뿌리째 흔들렸고 조울증으로 고생했으며 여러 날을 극심한 편두통에 시달렸습니다. 그것도 모자랐는지 말에서 떨어져 팔이 마비되었으며 결핵으로 거의 죽을 뻔도 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는 이런 일들에 절망하거나 희망을 잃지 않았습니다. 그의 친구들은 에드워드가 죽기전에 아주 기뻐했다고 했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요?

바울 사도는 로마의 성도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어떤 상황에도 하나님의 사랑이 함께함을 전적으로 확신한다고 했습니다. 그는 담대하게 이렇게 묻습니다.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로마서 8:31).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자신의 아들 예수님까지 주셨다면, 우리가 이 세상 삶을 잘 마치는데 필요한 모든 것 또한 주실 것입니다. 바울은 자신이 직접 마주했던 견디기 어려워 보이는 일곱 가지 상황, 즉 환난, 곤고, 박해, 굶주림, 헐벗음, 위험, 칼(35절)들을 열거합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에게 닥치는 나쁜 일들을 막아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37절)고 말했습니다.

이 불확실한 세상에서 우리는 그 어떤 것도, 정말 그 어떤 것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다”(39절)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하나님을 완전히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8:31-39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로마서 8:31

희망이 없어 보이는 상황에 처했을 때 보통 어떻게 합니까?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을 이루시는 신실하신 분이라는 것을 알고 그분의 약속에 매달리시겠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 아버지, 저를 사랑하시고 당신의 아들을 희생해서 저에게 영생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지금 당장의 삶이 아무리 어두워 보일지라도 아버지께서 하신 약속들을 신뢰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2/01/2019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EKIEL 40–41 and 2 PETER 3
Hymn: 303(old 403)

Is There Hope?

Edward Payson (1783–1827) led an extremely difficult life. The death of his younger brother shook him to the core. He struggled with bipolar disorder, and he was affected by extreme migraine headaches for days. If this wasn’t enough, a fall from a horse led to paralysis of his arm, and he almost died from tuberculosis! Surprisingly, his response wasn’t one of despair and hopelessness. His friends said that before Edward passed away, his joy was intense. How could that be?

In his letter to the believers in Rome, the apostle Paul expressed his complete confidence in the reality of God’s love regardless of circumstances. He asked with boldness, “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ROMANS 8:31). If God gave His very own Son, Jesus, to save us, then He will provide everything we need to finish this life well. Paul listed seven seemingly unbearable situations that he himself faced: trouble, hardship, persecution, famine, nakedness, danger, and the sword (V. 35). He didn’t imply that Christ’s love would stop bad things from happening. But Paul said that “in all these things we are more than conquerors through him who loved us” (V. 37).

Through the uncertainty of this world, God can be trusted completely, knowing that nothing, absolutely nothing, “will be able to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that is in Christ Jesus our Lord” (V. 39).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Romans 8:31–39
If God is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ROMANS 8:31

When you face seemingly hopeless situations, how do you typically respond?
What promise of God can you cling to, knowing He is faithful to fulfill it?

Faithful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love for me. Thank You for Your Son’s sacrifice so that I can have eternal life. Thank You that, no matter how gray life may seem right now, I can trust in Your promis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