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20/2019 금요일
실패는 있을 수 없다
느헤미야에게도 실패는 선택사항이 아니었습니다. 무엇보다 강력한 조력자, 곧 하나님이 계셨기 때문입니다. 예루살렘 성벽 재건이라는 명분을 하나님께서 축복해주시기를 간구한 후, 그는 바벨론에 유배된 후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사람들과 함께 성벽 재건을 위해 일했습니다. 그 성벽은 사람들을 적들로부터 안전하게 지키는 데 필요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그 명분에 대한 반대가 기만과 위협의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느헤미야는 반대파들이 그를 단념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았습니다. 그 일을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나는 중대한 일을 하고 있다”(느헤미야 6:3, 현대인의 성경)고 전한 후, “나를 강하게 하소서”(9절)라고 기도했습니다. 인내로 버틴 덕분에 그 일은 완료되었습니다(15절).
하나님은 느헤미야에게 반대에 맞서 인내할 힘을 주셨습니다. 혹 포기하고 싶은 일이 있습니까? 우리가 계속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것을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6:1-9우리 하나님께서 이 역사를 이루신 것을 앎이니라 느헤미야 6:16
반대에 부딪쳤을 때 보통 어떻게 처리합니까? 아무리 반대가 강경해도 맞서 싸울 만한 어떤 명분이 있습니까?
존귀하신 하나님,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하나님이 제게 맡겨 주신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20/2019 Friday
Failure Is Impossible
Failure wasn’t an option for Nehemiah either, mainly because he had a Powerful Helper: God. After asking Him to bless his cause—rebuilding the wall of Jerusalem—Nehemiah and those who had returned to Jerusalem from exile in Babylon worked to make that happen. The wall was needed to keep the people safe from enemies. But opposition to the cause came in the form of deception and threats. Nehemiah refused to let opposition deter him. He informed those who opposed the work, “I am carrying on a great project” (NEHEMIAH 6:3). After that, he prayed, “Now strengthen my hands” (V. 9). Thanks to perseverance, the work was completed (V. 15).
God gave Nehemiah the strength to persevere in the face of opposition. Is there a task for which you’re tempted to give up? Ask God to provide whatever you need to keep going.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Nehemiah 6:1–9This work had been done with the help of our God. NEHEMIAH 6:16
How do you normally handle opposition? What cause are you willing to fight for, no matter how tough the opposition?
Precious God, I need Your help to keep going with the work You’ve given me to do, no matter what the cost may be.
오늘의 말씀
12/19/2019 목요일
마음에 기록됨
옛날에 그리스도인들이 여행할 때, 그들은 종종 교회로부터 받은 비슷한 “추천서”를 가지고 다녔습니다. 그런 편지는 여행 중인 형제나 자매가 환대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 주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고린도교회에서 설교할 때 추천서가 필요 없었습니다. 그들은 그를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교회에 보낸 두 번째 편지에서 바울은 사적인 이익을 바라지 않고 오직 성실함으로 복음을 전했다고 썼습니다(고린도후서 2:17). 그러나 그러고 나서 바울은 편지를 읽는 독자들이 혹시 자신이 설교하는 목적을 정당화하기 위해 자신을 위한 추천서를 쓰려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을까 궁금해 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교회 교인들 자체가 추천서와 같으므로 그런 편지가 따로 필요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들의 삶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생생한 사역은 “먹으로 쓴 것이 아니라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령으로 쓴”(3:3) 편지와 같았습니다. 그들의 삶은 바울이 그들에게 설교한 진정한 복음의 증거였습니다. 그들의 삶은 “뭇 사람이 알고 읽을”(3:2) 수 있는 참고서와 같은 편지였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따를 때 우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우리의 삶이 복음의 선함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2:17-3:6너희는 우리의 편지라 우리 마음에 썼고 뭇 사람이 알고 읽는 바라 고린도후서 3:2
사람들이 당신의 인생 “편지”를 읽을 때 그들이 예수님에 대한 무엇을 볼 수 있습니까? 당신에게 자취를 남긴 스승들은 누구입니까?
예수님, 다른 사람들이 제 삶 속에서 예수님을 보기를 원합니다. 제가 작아지고 주님이 커지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19/2019 Thursday
Written on the Heart
When Christians traveled in the ancient world, they often carried with them similar “letters of commendation” from their churches. Such a letter ensured that the traveling brother or sister would be welcomed hospitably.
The apostle Paul didn’t need a letter of recommendation when he spoke to the church in Corinth—they knew him. In his second letter to that church, Paul wrote that he preached the gospel out of sincerity, not for personal gain (2 CORINTHIANS 2:17). But then he wondered if his readers would think that in defending his motives in preaching, he was trying to write a letter of recommendation for himself.
He didn’t need such a letter, he said, because the people in the church in Corinth were themselves like letters of recommendation. The visible work of Christ in their lives was like a letter “written not with ink but with the Spirit of the living God” (3:3). Their lives testified to the true gospel Paul had preached to them—their lives were letters of reference that could be “known and read by everyone” (3:2). As we follow Jesus, this becomes true of us too—our lives tell the story of the goodness of the gospel. AMY PETERS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2:17–3:6You yourselves are our letter, written on our hearts, and read by everyone. 2 CORINTHIANS 3:2
When people read the “letter” of your life, what do they see of Jesus? Who are the teachers who have left their imprint on you?
Jesus, I want others to see You in my life. May I decrease and You increase.
오늘의 말씀
12/18/2019 수요일
하나님과 함께 현재를 걷자
시편 102편에서 기자는 애통해 하면서 그의 날이 “저녁 그림자”와 시들어 가는 풀처럼 덧없는 반면, 하나님은 “대대에 이르리”라고 시인하고 있습니다 (11-12절). 고통에 지친 기자는 하나님이 “영원히 보좌에서 다스리신다”(12절, 새번역) 고 선언합니다. 하나님의 권능과 한결같은 긍휼하심이 기자 자신의 영역을 넘어서까지 미친다고 단언합니다 (13-18절). 시편 기자는 절망 가운데서도(19-24절) 창조주이신 하나님의 권능에 초점을 맞춥니다(25절). 비록 하나님의 창조물들은 없어지겠지만, 하나님은 영원히 그대로 남아있을 것입니다(26-27절).
시간이 정지해 있거나 지연되는 것 같을 때, 우리는 늦거나 반응이 없다고 하나님을 탓하기 쉽습니다. 계속 정지해 있으면 참지 못하고 좌절을 느끼기도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계획하신 길 위의 조약돌 한 개 한 개까지도 하나님이 선택하셨다는 사실을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결코 우리가 혼자 해결해 나가도록 내버려두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믿음으로 살아갈 때, 우리는 하나님과 함께 ‘현재’를 걸어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2:11-13, 18-28주의 종들의 자손은 항상 안전히 거주하고 그의 후손은 주 앞에 굳게 서리이다 시편 102:28
하나님의 시간이 우리가 원하는 시간과 맞지 않을 때, 하나님을 시간의 창조자로 인정하는 것이 하나님을 신뢰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현재를 사는 것이 어떻게 우리에게 평화를 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이 항상 함께 계시다는 것을 확신시키셔서 내일에 대해 염려하지 않고 현재를 살아가게 가르쳐주소서.
Daily Article
12/18/2019 Wednesday
Walk in the Present with God
The psalmist, lamenting in Psalm 102, admits his days are as fleeting as “the evening shadow” and withering grass, while God “endures through all generations” (VV. 11–12). The writer, weary from suffering, proclaims that God sits “enthroned forever” (V. 12). He affirms that God’s power and consistent compassion reach beyond his personal space (VV. 13–18). Even in his despair (VV. 19–24), the psalmist turns his focus on the power of God as Creator (V. 25). Though His creations will perish, He will remain the same for eternity (VV. 26–27).
When time seems to be standing still or dragging on, it’s tempting to accuse God of being late or non-responsive. We can grow impatient and frustrated with remaining still. We can forget He’s chosen every single cobblestone on the path He’s planned for us. But He never leaves us to fend for ourselves. As we live by faith in the presence of God, we can walk in the present with God.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 102:11–13, 18–28The children of your servants will live in your presence; their descendants will be established before you. PSALM 102:28
How can acknowledging God as the Maker of time help you trust Him when His timing doesn’t meet your preference? How can living in the present give you peace?
Loving God, please teach us to be present in life, refusing to worry about tomorrow as You affirm Your constant presence.
오늘의 말씀
12/17/2019 화요일
주님이 못까지......?
타이어 가게로 차를 몰면서 궁금했습니다. ‘그 못이 박힌 지 얼마나 되었을까? 며칠? 몇 주? 나는 도대체 얼마나 오랫동안 있는지조차 몰랐던 그 위협으로부터 보호를 받아 왔을까?’
우리는 때때로 우리자신을 잘 관리하고 있다는 착각 속에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날 내가 본 못은 우리가 자신을 잘 관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러나 삶이 걷잡을 수 없이 불안하게 느껴져도 우리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신실하신 하나님이 계십니다. 시편 18편 에서 다윗은 그를 보살피시는 하나님을 찬양합니다(34-35절). 다윗은 고백합니다. “이 하나님이 힘으로 내게 띠 띠우시며......내 걸음을 넓게 하셨고 나를 실족하지 않게 하셨나이다”(32, 36절). 이 찬양시에서 다윗은 우리와 늘 함께하시는 하나님을 기리고 있습니다 (35절).
나는 개인적으로 다윗처럼 전투에 나아가지 않습니다. 심지어 불필요한 위험을 무릅쓰지 않으려고 양보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나의 삶은 종종 혼란에 빠질 때가 많습니다.
하나님은 삶의 모든 어려움으로부터 꼭 우리를 보호한다고 약속하시지는 않았지만, 내가 어디에 있는지 항상 알고 계십니다. 그래서 나는 안심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내가 어디를 가고 있는지 무엇을 마주칠지 알고 계십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심지어 우리 삶 속의 예기치 않았던 ‘못’ 까지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8:30-36이 하나님이 힘으로 내게 띠 띠우시며 내 길을 완전하게 하시며 시편 18:32
하나님은 언제 당신이 몰랐던 일로부터 당신을 보호해주셨습니까? 어떻게 하나님은 당신의 길을 지켜보시고 당신이 그 위협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모든 발걸음을 하나님이 알고 계신다는 걸 기억하게 하시고, 오늘 마주칠 모든 가능한 문제나 갑작스러운 어려움에 대해 하나님의 도움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17/2019 Tuesday
Lord of the . . . Nails?
As I drove to a tire store, I wondered: How long has that nail been there? Days? Weeks? How long have I been protected from a threat I didn’t even know existed?
We can sometimes live under the illusion that we’re in control. But that nail reminded me we’re not.
But when life feels out of control and unstable, we have a God whose reliability we can trust. In Psalm 18, David praises God for watching over him (VV. 34–35). David confesses, “It is God who arms me with strength. . . . You provide a broad path for my feet, so that my ankles do not give way” (VV. 32, 36). In this poem of praise, David celebrates God’s sustaining presence (V. 35).
I personally don’t march into combat like David; I even go out of my way not to take unnecessary risks. Still, my life is often chaotic.
But I can rest in the knowledge that, though God doesn’t promise us protection from all of life’s difficulties, He always knows where I am. He knows where I’m going and what I’ll encounter. And He’s the Lord of it all—even the “nails” of our lives. ADAM HOLZ
Today's Reading
Psalm 18:30–36It is God who arms me with strength and keeps my way secure. PSALM 18:32
When has God protected you from something that you didn’t even know about? How did He watch over your way or help you stay clear of that threat?
Father, help us to remember daily that You know every step we take. Help us to trust in Your provision for every potential problem or sudden setback we face today.
오늘의 말씀
12/16/2019 월요일
당신의 가치
하나님은 이해하십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사랑으로 돌보셨지만, 하나님이 그들에게 자신의 가치가 얼마 인지를 묻자 “그들은 하나님에게 은화 서른 개를 주었습니다”(스가랴 11:12, 현대인의 성경). 그것은 노예 한 사람의 가격으로, 노예가 사고로 죽임을 당했을 때 주인이 보상받을 수 있는 금액이었습니다(출애굽기 21:32). 하나님은 그 당시 가능한 가장 낮은 가치로 취급 받는 모욕을 당하셨습니다. 하나님은 그것을 “상당히 많은 그 돈”(스가랴 11:13, 현대인의 성경)이라고 풍자적으로 말씀하시면서 스가랴에게 그 돈을 버리게 하셨습니다.
예수님도 이해하십니다. 예수님은 친구에게 단순히 배신당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모욕과 함께 배신당한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멸시했던 유대 지도자들은 유다에게 사람에게 매길 수 있는 가장 낮은 가격인 은화 30개를 주었고, 유다는 그것을 받았습니다(마태복음 26:14-15; 27:9). 유다는 예수님을 아주 하찮게 여겼기 때문에 그를 헐값에 팔아 넘겼습니다.
예수님의 가치를 낮게 매긴 사람들이 우리의 가치를 낮게 매긴다고 해서 놀라지 마십시오. 그 사람들이 매기는 값이 우리의 가치가 아닙니다. 심지어 우리가 스스로 매긴 값도 우리의 가치가 아닙니다. 우리의 가치는 전적으로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에 의해서만 매겨집니다. 하나님은 자신이 우리를 위해 죽으실 정도로 우리가 가치 있다고 여기십니다.
오늘의 성구
스가랴 11:4-13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그 삯을 토기장에게 던지라 스가랴 11:13
당신의 가치를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진정한 가치를 이해시키도록 누구를 도울 수 있을까요?
저를 소중히 여기시는 하나님,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2/16/2019 Monday
What You’re Worth
God understands. He lovingly shepherded Israel, but when He asked them what He was worth, “they paid me thirty pieces of silver” (ZECHARIAH 11:12). This was the price of a slave; what masters must be reimbursed should their slave be accidentally killed (EXODUS 21:32). God was insulted to be offered the lowest possible value—look at “the handsome price at which they valued me!” He said sarcastically (ZECHARIAH 11:13). And He had Zechariah throw the money away.
Jesus understands. He wasn’t merely betrayed by His friend; He was betrayed with contempt. The Jewish leaders despised Christ, so they offered Judas thirty pieces of silver— the lowest price you could put on a person—and he took it (MATTHEW 26:14–15; 27:9). Judas thought so little of Jesus he sold Him for nearly nothing.
If people undervalued Jesus, don’t be surprised when they undervalue you. Your value isn’t what others say. It’s not even what you say. It’s entirely and only what God says. He thinks you are worth dying for. MIKE WITTMER
Today's Reading
Zechariah 11:4–13The Lord said to me, “Throw it to the potter!” ZECHARIAH 11:13
How would you describe your value? Who can you help to grasp true value?
I’m grateful that I’m valued by You, God!
오늘의 말씀
12/15/2019 주일
희망을 주는 물
요한복음 4장에서 예수님은 마르지 않는 활력의 원천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 “생수”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지치고 갈증을 느낀 예수님은 한 사마리아 여인에게 물 한 그릇을 달라고 하셨습니다(4-8절). 그럼으로써 대화가 시작되어 예수님은 여인에게 “생수”를 주겠다고 하셨습니다(9-15절). 바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14절)처럼 그들 ‘안에서’ 생명과 희망의 근원이 될 물이었습니다.
이 생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요한복음의 그 뒷부분에서 말해줍니다. 예수님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고 하시면서, 예수님을 믿는 자들은 누구나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오리라”고 선포하십니다. 요한은 “이는......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7:37-39).
믿는 자들은 성령으로 그리스도와 하나 되고 하나님 안에 있는 무한한 권능과 희망과 기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생수와도 같으신 성령님이 믿는 자들 안에 살아계셔서 우리에게 활기를 주시고 새롭게 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4:4-14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요한복음 7:37
예수님은 어떻게 성령으로 당신의 갈증을 해소시켜 주셨습니까? 예수님이 당신에게 행하신 것을 어떻게 전하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에게 하나님의 영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안에 역사하셔서 우리의 삶으로 다른 이들에게 하나님을 나타낼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2/15/2019 Sunday
Water into Hope
Jesus referred to “living water” in John 4 to capture a similar idea of a continual source of refreshment. Tired and thirsty, Jesus had asked a Samaritan woman for a drink (VV. 4–8). This request led to a conversation in which Jesus offered the woman “living water” (VV. 9–15)—water that would become a source of life and hope within them, like “a spring of water welling up to eternal life” (V. 14).
We discover what this living water is later in John, when Jesus said, “Let anyone who is thirsty come to me and drink,” declaring that whoever believed in Him would have “rivers of living water [flowing] from within them.” John explains, “By this he meant the Spirit” (7:37–39).
Through the Spirit, believers are united to Christ and have access to the boundless power, hope, and joy found in God. Like living water, the Spirit lives inside believers, refreshing and renewing us.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hn 4:4–14Let anyone who is thirsty come to me and drink. JOHN 7:37
How has Jesus satisfied your thirst through His Spirit? How will you share what Jesus has done for You?
Dear God, thank You for leaving us Your Spirit. Work in us so that our lives point others to You.
오늘의 말씀
12/14/2019 토요일
예수님, 그리고 더 큰 이야기
성경 중에는 하나님이 직접 하신 말씀이나 행하신 일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책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룻기입니다. 그렇다보니 이 책은 매우 평범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 책이 두 사람이 관계를 이루어가는 감동적인 한 편의 휴먼 드라마로 주로 읽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의 이야기 속에서는 사실 무언가 특별한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룻기의 마지막 장에서 룻과 보아스가 결혼하여 오벳이라는 아들을 낳는데, 그가 곧 다윗의 할아버지입니다(4:17). 그리고 마태복음 1장 1절에 기록된 것처럼 예수님은 바로 다윗 집안에서 탄생하십니다. 룻과 보아스의 평범한 이야기를 밝혀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과 목적이 이루어지는 특별한 이야기로 드러내신 분이 바로 예수님입니다.
우리도 너무 자주 그처럼 우리 자신들의 삶이 평범하고, 그 어떤 특별한 목적도 없이 살아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 삶을 바라보면, 주님은 가장 평범한 상황과 관계까지도 영원한 의미를 갖게 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4:13-17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 에베소서 2:10
하나님께서 언제 평범한 상황을 아주 특별한 상황으로 바꾸어주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삶의 모든 순간을 거룩하고 특별하도록 만드셨습니까?
예수님, 주님은 지극히 평범한 상황에 영원한 목적과 의미를 부여해 주십니다. 저의 모든 관계와 상황을 주님을 통해 볼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2/14/2019 Saturday
Jesus and the Bigger Story
One of the few books of the Bible that doesn’t record God directly saying or doing anything, the book of Ruth could seem to be pretty ordinary. So some read it as a touching but largely human drama of two people coming together in a relationship.
But in truth, something extraordinary is taking place. In the final chapter of Ruth, we read that Ruth and Boaz’s union results in a son named Obed, the grandfather of David (4:17). And as we read in Matthew 1:1, it’s from David’s family that Jesus was born. It’s Jesus who unveils the ordinary story of Ruth and Boaz and reveals the extraordinary story of God’s amazing plans and purposes at work.
So often we see our own lives in the same way: as ordinary and serving no special purpose. But when we view our lives through Christ, He gives eternal significance to even the most ordinary situations and relationships. PETER CHIN
Today's Reading
Ruth 4:13–17We are God’s handiwork, created in Christ Jesus to do good works, which God prepared in advance for us to do. EPHESIANS 2:10
When has God turned an ordinary situation into one of extraordinary significance for you? How has He made all moments in life something sacred and extraordinary?
Jesus, You give eternal purpose and meaning to the most ordinary of circumstances. Help me to see all my relationships and circumstances through You!
오늘의 말씀
12/13/2019 금요일
하나님께 구함
매우 간결하면서도 진심어린 간구 였습니다. 그래서 나는 기도할 때마다 복잡하고 어렵게 하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리가 도와달라고 진정으로 부르짖으면 온전히 다 들으시기 때문입니다. 다윗도 간결하게 기도했습니다. “여호와여 돌아와 나의 영혼을 건지시며 주의 사랑으로 나를 구원하소서”(시편 6:4).
그것은 다윗이 영적으로 혼란스럽고 낙심될 때 한 기도입니다. 이 시편에는 다윗이 정확히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는지 설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솔직한 그의 간구 속에 하나님의 도우심과 회복을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나는 탄식만 하다가 지치고 말았습니다”(6절, 새번역).
물론 다윗에게 죄를 포함한 자신의 여러 가지 약점이 있었지만, 그것들 때문에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러 나아가지 못할 바는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께서 응답하시기 전에도 기뻐할 수 있었습니다. “여호와께서 내 울음소리를 들으셨도다 여호와께서 내 간구를 들으셨음이여 여호와께서 내 기도를 받으시리로다” (8-9절).
우리 자신의 혼란과 의심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자녀들의 솔직한 간구를 들으시고 받아주십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귀를 여시고 특히 그분을 가장 필요로 할 때 드리는 기도를 들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4-9여호와께서 내 간구를 들으셨음이여 여호와께서 내 기도를 받으시리로다 시편 6:9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는 기도를 방해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오늘 하나님께 어떤 도움을 구하시겠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 마음을 청결케 하셔서, 우리를 들으시고 응답하시는 하나님을 믿으며 하나님의 도움을 간구하는 용기를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12/13/2019 Friday
Asking God
It was such a simple but heartfelt plea that it reminded me to stop complicating every prayer request, because God perfectly hears our righteous cries for help. As David simply asked, “Turn, Lord, and deliver me; save me because of your unfailing love” (PSALM 6:4).
That’s what David declared during a time of spiritual confusion and despair. His exact situation isn’t explained in this psalm. His honest pleas, however, show deep desire for godly help and restoration. “I am worn out from my groaning,” he wrote (V. 6).
Yet, David didn’t let his own limits, including sin, stop him from going to God with his need. Thus, even before God answered, David was able to rejoice, “the Lord has heard my weeping. The Lord has heard my cry for mercy; the Lord accepts my prayer” (VV. 8–9).
Despite our own confusion and uncertainty, God hears and accepts the honest pleas of His children. He’s ready to hear us, especially when we need Him most.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6:4–9The Lord has heard my cry for mercy; the Lord accepts my prayer. PSALM 6:9
What’s stopping you from asking God for His help? What help will you seek from Him today?
Dear God, as you cleanse our hearts, grant us courage to ask for Your divine help, believing that You hear us and will answer.
오늘의 말씀
12/12/2019 목요일
두려움을 극복하기
마찬가지로 이스라엘 사람들도 블레셋 사람들이 엘라 골짜기로 싸우려고 왔을 때 두려움에 짓눌려 있었습니다. 그 위협은 엄연한 현실이었습니다. 적장 골리앗은 키가 거의 3미터나 되었고 입고 있는 갑옷의 무게만 125파운드 (약 57킬로그램)였습니다(사무엘상 17:4-5). 골리앗은 40일간 매일 아침저녁으로 이스라엘 군대에 싸움을 걸어왔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쪽에서는 다윗이 전선을 찾아오기 전까지 아무도 감히 나서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조롱하는 것을 보고 들은 다윗은 골리앗과 싸우겠다고 자청하여 나섰습니다.
이스라엘 병사 모두는 골리앗이 너무 커서 싸울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양치기 소년 다윗은 골리앗이 하나님에 비하면 그렇게 크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인즉 그가 구원하시리라”(47절).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을 때, 우리 모두 다윗의 본을 따라 하나님께 시선을 고정시키고 문제를 똑바로 인식하도록 합시다. 위협이 엄연한 현실일지라도, 우리와 함께 하시고 우리를 위해 계시는 그분은 우리와 맞서는 적보다 더 크십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7:4-7, 45-50어떤 사람은 병거, 어떤 사람은 말을 의지 하나 우리는 여호와 우리 하나님의 이름을 자랑하리로다 시편 20:7
당신은 어떤 거대한 전투에 임하고 있기에 두려움으로 비틀거리고 있습니까? 어떻게 우리가 살아계신 하나님께 의식적으로 시선을 고정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제 인생에서 만난 어떤 거인보다 더 크십니다. 하나님을 신뢰합니다.
Daily Article
12/12/2019 Thursday
Overcoming Fear
Likewise, fear ruled the Israelites when the Philistines challenged them at the Valley of Elah. The threat was real. Their enemy Goliath was 9 feet 9 inches tall and his body armor alone weighed 125 pounds (1 SAMUEL 17:4–5). For forty days, every morning and evening, Goliath challenged the Israelite army to fight him. But no one dared come forward. No one until David visited the battle lines. He heard and saw the taunting, and volunteered to fight Goliath.
While everyone in the Israelite army thought Goliath was too big to fight, David the shepherd boy knew he wasn’t too big for God. He said, “the Lord saves; for the battle is the Lord’s” (V. 47).
When we’re gripped by fear, let’s follow David’s example and fix our eyes on God to gain a right perspective of the problem. The threat may be real, but the One who is with us and for us is bigger than that which is against us. ALBERT LEE
Today's Reading
1 Sam. 17:4–7, 45–50Some trust in chariots and some in horses, but we trust in the name of the Lord our God. PSALM 20:7
What giant battle are you facing that’s crippling you in fear? How can you intentionally fix your eyes on the living God?
Thank You, God, that You’re bigger than any other giant in my life. I trust You.
오늘의 말씀
12/11/2019 수요일
탕감된 빚
빚의 탕감은 살아가기에 급급한 가정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재산이나 급료를 더 이상 차압하지 않는다는 것은 기본 생계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하나님이 7년마다 부채를 면제해 주라고 명하신 것도 바로 그런 어려움 때문이었습니다(신명기 15:2). 하나님은 사람들이 빚 때문에 영원히 무기력해지기를 원치 않으셨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같은 이스라엘 사람에게 빌려준 돈에 이자를 물리지 못하게 되어 있었습니다(출애굽기 22:25). 그렇기 때문에 이웃에게 돈을 빌려주는 목적은 무슨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흉년 같은 일로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도와주는데 있었습니다. 7년마다 빚을 면제받게 되다 보니 결과적으로 빈곤층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신명기 15:4).
오늘날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그런 율법에 매여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때때로 우리가 남에게 준 빚을 면제해줄 마음을 주셔서 어렵게 살아온 사람들이 사회에 도움을 주는 사람들로 새롭게 출발하게 하십니다. 우리가 그런 자비와 너그러움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때, 하나님의 성품을 높여드리고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15:1-8여호와께서는 이 해가 되면 모든 빚이 면제된 다고 하셨습니다. 신명기 15:2, 현대인의 성경
당신의 “빚”은 어떻게 면제받았습니까? 당신에게 진 빚을 면제해주거나 당신에게 행한 잘못을 용서해줌으로써 누구를 높여드릴 수 있습니까?
예수님, 저희가 지고 있는 재정적인 짐을 돌보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12/11/2019 Wednesday
Canceled Debts
For some families, canceling the debt aided greatly in their struggle to survive; no longer having liens on their property or wages being garnished meant they were better able to put food on the table. It was for this kind of hardship that God called for debts to be forgiven every seven years (DEUTERONOMY 15:2). He didn’t want people to be crippled forever by them.
Because the Israelites were forbidden to charge interest on a loan to fellow Israelites (EXODUS 22:25), their motives for lending to a neighbor weren’t to make a profit, but rather to help those who were enduring hard times, perhaps due to a bad harvest. Debts were to be freely forgiven every seven years. As a result, there would be less poverty among the people (DEUTERONOMY 15:4).
Today, believers in Jesus aren’t bound by these laws. But God might occasionally prompt us to forgive a debt so those who’ve been struggling can begin afresh as contributing members of society. When we show such mercy and generosity to others, we lift up God’s character and give people hop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Deuteronomy 15:1–8The Lord's time for canceling debts has been proclaimed. DEUTERONOMY 15:2
How have your “debts” been forgiven? Who can you lift up by forgiving a debt owed or a wrong done to you?
Jesus, thank You for caring about the financial burdens we car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