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1/19/2020     주일

성경읽기: 창 46-48; 마 13:1-30
찬송가: 299(통 418)

하나님이 간섭하실 때

오 목사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오마우미 에푸예는 ‘사랑받는 이 아이’라는 시에서 그를 임신했을 때 지우려 했던 부모에 대해 쓰고 있습니다. 그의 부모는 몇 번의 우여곡절 끝에 낙태를 할 수 없게 되자 아이를 낳아 잘 키우기로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그의 생명을 지켜주셨던 사실을 알게 된 오마우미는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직업을 포기하고 전임 사역자의 길을 택했습니다. 오늘날 그는 런던의 한 교회에서 신실하게 목회를 하고 있습니다.

오 목사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도 그들의 역사에서 위험한 때에 하나님의 간섭하심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광야를 지날 때 모압의 왕 발락이 그들을 보았습니다. 발락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많은 나라를 정복한 것과 그들의 숫자가 많음을 보고 두려워하여 점술가 발람으로 하여금 아무것도 모르고 지나가는 그들에게 저주를 내리도록 하였습니다(민수기 22:2-6).

그런데 놀라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발람이 저주하려고 입을 열 때마다 축복이 나왔습니다. 그는 이렇게 선언했습니다. “내가 축복할 것을 받았으니 그가 주신 복을 내가 돌이키지 않으리라 야곱의 허물을 보지 아니하시며 이스라엘의 반역을 보지 아니하시는도다 여호와 그들의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계시니......하나님이 그들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셨도다”(민수기 23:20-22). 하나님은 눈앞에 닥친 전쟁을 알지도 못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지켜주셨습니다!

우리가 알든지 모르든지 하나님은 오늘도 그의 백성들을 지켜보고 계십니다. 우리를 축복하시는 그분을 감사와 경외의 마음으로 경배하는 우리가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23:13-23
나의 기름 부은 자를 손대지 말며 나의 선지 자들을 해하지 말라
시편 105:15

하나님께서 매일 우리를 보호하신다는 사실을 당신은 얼마나 자주 깊이 생각하십니까?
그분이 우리를 보이지 않는 위험으로부터 지키신다는 사실이 어떤 의미를 줍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의 보살핌과 보호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그 많은 순간들을 용서하소서.
하나님이 얼마나 많이 축복하시는지 볼 수 있는 눈을 허락하소서.

Daily Article

01/19/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6–48 and MATTHEW 13:1–30
Hymn: 299(old 418)

When God Intervenes

In a poem titled “This Child Is Beloved,” Omawumi Efueye, known affectionately as Pastor O, writes about his parents’ attempts to end the pregnancy that would result in his birth. After several unusual events that prevented them from aborting him, they decided to welcome their child instead. The knowledge of God’s preservation of his life motivated Omawumi to give up a lucrative career in favor of full-time ministry. Today, he faithfully pastors a London church.

Like Pastor O, the Israelites experienced God’s intervention at a vulnerable time in their history. While traveling through the wilderness, they came within sight of King Balak of Moab. Terrified of their conquests and their vast population, Balak engaged a seer named Balaam to place a curse on the unsuspecting travelers (NUMBERS 22:2–6).

But something amazing happened. Whenever Balaam opened his mouth to curse, a blessing issued instead. “I have received a command to bless; he has blessed, and I cannot change it,” he declared. “No misfortune is seen in Jacob, no misery observed in Israel. The Lord their God is with them; . . . God brought them out of Egypt” (NUMBERS 23:20–22). God preserved the Israelites from a battle they didn’t even know was raging!

Whether we see it or not, God still watches over His people today. May we worship in gratitude and awe the One who calls us blessed. - REMI OYEDELE

Today's Reading

Numbers 23:13–23
Do not touch my anointed ones; do my prophets no
harm. PSALM 105:15

How often do you stop to consider the daily protection God extends over you?
What does the knowledge that He saves you from unseen dangers mean to you?

Father in heaven, forgive us for the many times we take Your care and protection for granted.
Give us eyes to see how much You bless us.

오늘의 말씀

01/18/2020     토요일

성경읽기: 창 43-45; 마 12:24-50
찬송가: 196(통 174)

복수 대신에

1956년에 짐 엘리엇과 다른 네 명의 선교사가 후아오라니 부족에게 살해당했을 때, 그 후에 일어날 일을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짐의 아내 엘리자벳과 그의 어린 딸, 그리고 다른 선교사의 여동생이 그들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죽인 그 부족 가운데 들어가 살기로 하고, 몇 년 간을 후아오라니 부족과 살면서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그들을 위해 성경을 번역했습니다. 이 여인들이 용서와 친절을 몸소 보여줌으로써 후아오라니 사람들은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하게 되었고 많은 이들이 예수님을 그들의 구주로 영접했습니다.

엘리자벳과 그녀의 친구가 한 일은 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선으로 갚으라(로마서 12:17)는 말씀의 놀라운 예입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 교회를 향해 하나님이 그들의 삶에 가져다주신 변화를 행동으로 보여주라고 권고하였습니다. 바울이 생각한 바가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은 자연스레 일어나는 복수심을 이기고 음식이나 물을 공급해주는 것처럼, 적들에게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며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왜 이렇게 해야 할까요? 바울은 구약성경의 잠언을 인용해 말합니다. “네 원수가 주리거든 먹이고 목마르거든 마시게 하라” (20절; 잠언 25:21-22). 바울 사도는 믿는 사람이 친절을 베풂으로 적을 이길 수 있고 적의 가슴 속에 회개의 불을 당길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17-21
네 원수가 주리거든 먹이고
로마서 12:20

예수님은 원수를 사랑하라는 계명을 어떻게 실천하셨습니까?
우리에게 해를 끼친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기 위해 오늘 무슨 일을 하시겠습니까?

아바 아버지, 우리의 힘만으로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기가 힘듭니다, 아니 불가능합니다. 성령님을 통해 우리의 원수를 진정 사랑하게 하시고, 우리를 사용하여 그들을 아버지께로 인도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8/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3–45 and MATTHEW 12:24–50
Hymn: 196(old 174)

Instead of Revenge

After Jim Elliot and four other missionaries were killed by Huaorani tribesmen in 1956, no one expected what happened next. Jim’s wife, Elisabeth, their young daughter, and another missionary’s sister willingly chose to make their home among the very people who killed their loved ones. They spent several years living in the Huaorani community, learning their language, and translating the Bible for them. These women’s testimony of forgiveness and kindness convinced the Huaorani of God’s love for them and many received Jesus as their Savior.

What Elisabeth and her friend did is an incredible example of not repaying evil with evil but with good (ROMANS 12:17). The apostle Paul encouraged the church in Rome to show through their actions the transformation that God had brought into their own lives. What did Paul have in mind? They were to go beyond the natural desire to take revenge; instead, they were to show love to their enemies by meeting their needs, such as providing food or water.

Why do this? Paul quotes a proverb from the Old Testament: “If your enemy is hungry, feed him; if he is thirsty, give him something to drink” (V. 20; PROVERBS 25:21–22). The apostle was revealing that the kindness shown by believers to their enemies could win them over and light the fire of repentance in their hearts.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Romans 12:17–21
If your enemy is hungry, feed him.
ROMANS 12:20

How did Jesus live out the command to love one’s enemies?
What will you do today to show God’s love to those who have harmed you?

Abba, Father, it’s difficult, even impossible, for us to love others in our own strength. Help us through Your Spirit to truly love our enemies, and use us to bring them to You.

오늘의 말씀

01/17/2020     금요일

성경읽기: 창 41-42; 마 12:1-23
찬송가: 371(통 419)

폭풍을 쫒는 사람들

워렌 훼이들리는 “토네이도를 쫒는다는 것은 종종 수천 평방 마일에 걸친 거대한 3차원 게임과 비슷하다.”고 말합니다. 사진작가이자 폭풍을 쫒아 다니는 그는 “소프트볼 크기의 우박으로부터 먼지폭풍과 느리게 움직이는 농기계까지 피하면서, 기상정보와 내비게이션을 모두 적절히 사용하여야 제 시간에 제 장소에 있을 수 있다.”고 덧붙여 말합니다.

훼이들리의 글은 손에 땀을 쥐고 심장을 빠르게 뛰게 합니다. 나는 폭풍을 쫒는 사람들의 순수한 용기와 과학을 추구하는 마음에는 감탄하지만, 치명적일 수 있는 기상현상의 한복판에 몸을 던지는 것은 싫습니다.

하지만 경험에 의하면 내가 인생의 폭풍을 쫓지 않아도 폭풍이 ‘나를’ 쫓아다니는 것 같습니다. 시편 107편에 묘사되어 있는 폭풍에 갇힌 선원들이 나의 경험을 잘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잘못 선택한 결과로 곤란을 당하고 있었지만 시편 기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에 그들이 그들의 고통 때문에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그가 그들의 고통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시고 광풍을 고요하게 하사 물결도 잔잔하게 하시는도다 그들이 평온함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는 중에”(시편 107:28-30).

인생의 폭풍이 우리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생겼든 아니면 망가진 세상에 살다보니 생긴 것이든, 우리 하나님 아버지는 그보다 더 크십니다. 우리가 폭풍에 쫒길 때 하나님만이 그 폭풍을 잠재우시거나, 아니면 우리 안의 폭풍을 잠재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7:23-32
광풍을 고요하게 하사 물결도 잔잔하게 하시는도다
시편 107:29

문제가 생기면 누구에게 도움을 구합니까?
오늘 어떻게 우리 앞의 폭풍보다 더 크신 하나님 아버지를 신뢰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고난 중에 저와 함께 해주시고, 아버지의 능력이 제게 닥칠 어떤 폭풍보다도 더 위대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1/17/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41–42 and MATTHEW 12:1–23
Hymn: 371(old 419)

Storm Chasers

“Chasing tornadoes,” says Warren Faidley, “is often like a giant game of 3D-chess played out over thousands of square miles.” The photojournalist and storm-chaser adds: “Being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is a symphony of forecasting and navigation while dodging everything from softball-sized hailstones to dust storms and slowmoving farm equipment.”

Faidley’s words make my palms sweat and heart beat faster. While admiring the raw courage and scientific hunger storm chasers display, I balk at throwing myself into the middle of potentially fatal weather events.

In my experience, however, I don’t have to chase storms in life—they seem to be chasing me. That experience is mirrored by Psalm 107 as it describes sailors trapped in a storm. They were being chased by the consequences of their wrong choices but the psalmist says, “They cried out to the Lord in their trouble, and he brought them out of their distress. He stilled the storm to a whisper; the waves of the sea were hushed. They were glad when it grew calm” (PSALM 107:28–30).

Whether the storms of life are of our own making or the result of living in a broken world, our Father is greater. When we are being chased by storms, He alone is able to calm them— or to calm the storm within us.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107:23–32
He stilled the storm to a whisper; the waves of the sea were hushed.
PSALM 107:29

When facing difficulties, where do you turn for help?
How might you trust your heavenly Father today, who is greater than your storms?

Thank You, Father, that You’re with me in my struggles and Your power is greater than any storm on my horizon.

오늘의 말씀

01/16/2020     목요일

성경읽기: 창 39-40; 마 11
찬송가: 50(통 71)

있는 것을 가져오라

“돌멩이 수프”는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는 옛 이야기인데 한 굶주린 남자가 어떤 마을을 찾아가지만 마을 사람들 중 그에게 아주 적은 음식이라도 나누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러자 그는 돌과 물을 솥에 넣고 끓였습니다. 호기심 많은 마을 사람들은 그가 “수프”를 젓기 시작하자 그를 지켜보았습니다. 마침내 한 사람이 감자 두 개를 가져와 수프에 넣었습니다. 또 다른 사람은 약간의 당근을 가져왔습니다. 한 사람은 양파를, 다른 사람은 보리를 한 움큼 넣었습니다. 한 농부는 우유를 제공했습니다. 마침내 “돌멩이 수프”는 맛있는 수프가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나눔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우리가 가진 것 중에 사소하게 보이는 것까지도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사실 또한 상기시켜 줍니다. 요한복음 6:1-14에서 우리는 많은 군중 가운데 음식을 가져올 생각을 했던 유일한 사람으로 보이는 한 소년을 봅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의 얼마 안 되는 소년의 점심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예수님께 내어드렸을 때 예수님은 그것을 불리셔서 수천 명의 배고픈 사람들을 먹이셨습니다!

나는 전에 누군가가 “여러분은 오천 명의 사람들을 먹일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자기의 떡과 물고기를 가져오기만 하면 됩니다.”라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예수님께서 한 사람의 음식을 가지고 사람의 기대나 상상 이상으로 불어나게 하신 것처럼(11절), 주님은 우리가 드리는 노력과 재능, 섬김도 받아주실 것입니다. 주님은 단지 우리가 가진 것을 기꺼이 주님께로 가져오길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6:4-14
[예수께서] 이르시되 그것을 내게 가져오라 하시고
마태복음 14:18

하나님께 드리지 못하고 붙잡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삶의 그 영역을 하나님께 가져가는 것이 왜 어렵습니까?

예수님, 주님은 적은 것도 많이 불릴 수 있음을 압니다.
제가 가진 무엇이든 주님께 드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1/16/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9–40 and MATTHEW 11
Hymn: 50(old 71)

Bring What You Have

“Stone Soup,” an old tale with many versions, tells of a starving man who comes to a village, but no one there can spare a crumb of food for him. He puts a stone and water in a pot over a fire. Intrigued, the villagers watch him as he begins to stir his “soup.” Eventually, one brings a couple of potatoes to add to the mix; another has a few carrots. One person adds an onion, another a handful of barley. A farmer donates some milk. Eventually, the “stone soup” becomes a tasty chowder.

That tale illustrates the value of sharing, but it also reminds us to bring what we have, even when it seems to be insignificant. In John 6:1–14 we read of a boy who appears to be the only person in a huge crowd who thought about bringing some food. Christ’s disciples had little use for the boy’s sparse lunch of five loaves and two fishes. But when it was surrendered, Jesus increased it and fed thousands of hungry people!

I once heard someone say, “You don’t have to feed the five thousand. You just have to bring your loaves and fishes.” Just as Jesus took one person’s meal and multiplied it far beyond anyone’s expectations or imagination (V. 11), He’ll accept our surrendered efforts, talents, and service. He just wants us to be willing to bring what we have to Him.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John 6:4–14
“Bring them here to me,” [Jesus] said.
MATTHEW 14:18

What have you been holding back from God?
Why is it difficult to bring that area of your life to Him?

Jesus, help me to surrender whatever I have to You,
knowing You can multiply a little into a lot.

오늘의 말씀

01/15/2020     수요일

성경읽기: 창 36-38; 마 10:21-42
찬송가: 430(통 456)

성령님과 동행하며

‘1만 시간’. 작가 말콤 글래드웰은 어느 한 분야에서 숙련이 되려면 1만 시간이 걸린다고 말합니다. 역사상 아무리 위대한 미술가나 음악가들도 뛰어난 선천적 재능만으로는 그들이 나중에 이루었던 그런 수준의 전문성에는 이를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하루도 빠짐없이 자신들의 일에 몰두해야 했습니다.

이상하게 생각될 수도 있지만, 성령의 능력 안에 사는 것을 배울 때에도 이와 비슷한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바울은 갈라디아서에서 교회가 하나님을 위해 구별될 것을 권면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율법에 순종하는 것만으로는 이룰 수 없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성령님과 동행하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바울이 갈라디아서 5장 16절에서 사용한 “행하다” 라는 헬라어 단어를 직역하면 어딘가를 두루 걷거나 여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페리파테오). 바울에게는 성령님과 동행한다는 것은 단지 성령의 능력을 한 번 경험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날마다 성령님과 삶의 여정을 함께 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매일 성령으로 충만하기를 기도합시다. 그리고 성령님이 권고하시고 인도하시며 위로하실 때에, 그리고 우리와 그저 함께 계실 때에도 성령의 역사에 순종하도록 기도합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성령의 인도하시는 바가 되면”(18절) 우리는 성령의 음성을 더 잘 듣고, 그분의 인도하심을 더 잘 따를 수 있게 됩니다. 성령님, 오늘, 그리고 매일 성령님과 동행하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13-18
너희는 성령을 따라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갈라디아서 5:16

우리가 구원 받을 때 성령께서 내주하시는 것은 한 번 일어나는 사건입니다. 그에 비해 성령으로 충만하거나 성령과 동행하는 것은 그것과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당신은 성령의 열매를 어떻게 나타내고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오늘 성령님의 함께하심과 인도하심을 경험하여 하나님과 동행하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5/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6–38 and MATTHEW 10:21–42
Hymn: 430(old 456)

Walking with the Spirit

Ten thousand hours. That’s how long author Malcolm Gladwell suggests it takes to become skillful at any craft. Even for the greatest artists and musicians of all time, their tremendous inborn talent wasn’t enough to achieve the level of expertise that they would eventually attain. They needed to immerse themselves in their craft every single day.

As strange as it might seem, we need a similar mentality when it comes to learning to live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Galatians, Paul encourages the church to be set apart for God. But Paul explained that this couldn’t be achieved through merely obeying a set of rules. Instead we’re called to walk with the Holy Spirit. The Greek word that Paul uses for “walk” in Galatians 5:16 literally means to walk around and around something, or to journey (peripateo). So for Paul, walking with the Spirit meant journeying with the Spirit each day—it’s not just a one-time experience of His power.

May we pray to be filled with the Spirit daily—to yield to the Spirit’s work as He counsels, guides, comforts, and is simply there with us. And as we’re “led by the Spirit” in this way (V. 18), we become better and better at hearing His voice and following His leading. Holy Spirit, may I walk with You today, and every day! - PETER CHIN

Today's Reading

Galatians 5:13–18
Walk by the Spirit, and you will not gratify the desires of the flesh.
GALATIANS 5:16

While being indwelt by the Holy Spirit when we receive salvation is a one-time event, how does this differ from being filled or walking with the Spirit?
How have you been exhibiting the fruit of the Spirit?

Father, help me to experience the presence and leading of the Holy Spirit today, so that I might walk with You and live in a way that pleases You.

오늘의 말씀

01/14/2020     화요일

성경읽기: 창 33-35; 마 10:1-20
찬송가: 532(통 323)

시간 감속

1840년대에 전기 시계가 발명된 이후로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지금은 스마트 워치, 스마트 폰, 그리고 랩탑으로 시간을 맞춥니다. 전반적인 삶의 속도가 빠르게 돌아가고 “산보하는” 걸음걸이마저 빨라졌습니다. 학자들은 도시에서 이런 현상이 더 두드러지며, 우리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리차드 와이즈만 교수는 말합니다. “우리는 점점 더 빠르게 움직이고 사람들에게도 가능한 빠르게 응답합니다. 그러다 보니 무슨 일이든 당장 일어나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가장 오래된 시편 기자의 한 사람인 모세도 시간을 되돌아보며, 우리에게 하나님이 인생의 속도를 조절하시는 분이라고 알려줍니다. 그는 “주의 목전에는 천 년이 지나간 어제 같으며 밤의 한 순간 같을 뿐임이니이다”(시편 90:4)라고 기록했습니다.

그러므로 시간을 잘 관리하는 비결은 더 빠르거나 느리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비결은 하나님 안에 거하며 그분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그 다음에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를 지으시고(139:13) 우리의 목적과 계획을 아시는(16절) 그분과 보조를 맞추는 것이 먼저입니다.

이 세상에서의 우리의 시간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계를 보는 것보다는 매일을 하나님께 드림으로써 시간을 지혜 있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모세는 “우리에게 우리 날 계수함을 가르치사 지혜로운 마음을 얻게 하소서”(90:12)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하나님과 함께 지금부터 영원히 시간을 맞추며 살 수가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0:4, 12-15
우리에게 우리 날 계수함을 가르치사 지혜로운 마음을 얻게 하소서
시편 90:12

당신의 삶의 속도는 어떻습니까?
어떻게 하나님과 보조를 맞추며 더 많은 시간을 그분과 함께 보낼 수 있을까요?

은혜로우신 하나님, 우리가 하나님과 보조를 맞추지 못할 때 가까이 이끌어 하나님 곁에 거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4/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3–35 and MATTHEW 10:1–20
Hymn: 532(old 323)

Slowing Down Time

A lot has changed since the electric clock was invented in the 1840s. We now keep time on smart watches, smart phones, and laptops. The entire pace of life seems faster—with even our “leisurely” walking speeding up. This is especially true in cities and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health, scholars say. “We’re just moving faster and faster and getting back to people as quickly as we can,” Professor Richard Wiseman observed. “That’s driving us to think everything has to happen now.”

Moses, the writer of one of the oldest of the Bible’s psalms, reflected on time. He reminds us that God controls life’s pace. “A thousand years in your sight are like a day that has just gone by, or like a watch in the night,” he wrote (PSALM 90:4).

The secret to time management, therefore, isn’t to go faster or slower. It’s to abide in God, spending more time with Him. Then we get in step with each other, but first with Him— the One who formed us (139:13) and knows our purpose and plans (V. 16).

Our time on earth won’t last forever. Yet we can manage it wisely, not by watching the clock, but by giving each day to God. As Moses said, “Teach us to number our days, that we may gain a heart of wisdom” (90:12). Then, with God we’ll always be on time, now and forever.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90:4, 12–15
Teach us to number our days, that we may gain a heart of
wisdom. PSALM 90:12

What’s your pace in life?
How could you spend more time with God, getting in step with Him?

Gracious God, when we fall out of step with You, draw us closer to abide in You.

오늘의 말씀

01/13/2020     월요일

성경읽기: 창 31-32; 마 9:18-38
찬송가: 395(통 450)

모두에게 긍휼이 필요하다

예수님을 막 믿기 시작한 제프는 대학을 갓 졸업하고 대형 석유 회사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세일즈맨으로 출장을 자주 다니던 그는 출장 중에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는데 그 중엔 가슴 아픈 사연들도 많았습니다. 그는 고객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석유가 아니라 긍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들에게는 ‘하나님’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제프는 하나님의 마음에 대해 더 많이 배우기 위해 신학을 공부했고 나중에 목사가 되었습니다.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제프의 마음은 예수님에게서 온 것입니다. 마태복음 9:27-33에서 우리는 맹인 두 사람과 귀신 들린 한 사람이 기적적으로 고침 받는 것을 보며 그리스도의 긍휼하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주님은 이 땅에서 사역을 하시는 동안 “모든 도시와 마을에 두루 다니시면서”(35절) 복음을 전파하고 병을 고치셨습니다. 왜 그러셨을까요?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36절).

오늘날 세상은 여전히 구세주의 따뜻한 돌보심을 필요로 하는 고난 받고 상처받은 사람들로 가득합니다. 목자가 자기 양들을 인도하고 보호하며 보살피듯이 예수님도 누구든지 그에게로 나아오는 이들에게 긍휼을 베푸십니다(11:28). 인생의 어떤 단계, 어떤 상황에 있든지 우리는 주님 안에서 부드러움과 보살핌이 넘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의 긍휼하심을 입을 때 우리도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몹시 전하고 싶어집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9:27-38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
마태복음 9:36

하나님의 부드러운 손길을 언제 경험해보셨습니까?
누구에게 긍휼한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님 없이는 길을 잃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넘치는 긍휼을 다른 이들에게도 전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3/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31–32 and MATTHEW 9:18–38
Hymn: 395(old 450)

Everyone Needs Compassion

When Jeff was a new believer in Jesus and fresh out of college, he worked for a major oil company. In his role as a salesman, he traveled; and in his travels he heard people’s stories—many of them heartbreaking. He realized that what his customers most needed wasn’t oil, but compassion. They needed God. This led Jeff to attend seminary to learn more about the heart of God and eventually to become a pastor.

Jeff’s compassion had its source in Jesus. In Matthew 9:27–33 we get a glimpse of Christ’s compassion in the miraculous healing of two blind men and one demonpossessed man. Throughout His earthly ministry, He went about preaching the gospel and healing “through all the towns and villages” (V. 35). Why? “When he saw the crowds, he had compassion on them, because they were harassed and helpless, like sheep without a shepherd” (V. 36).

The world today is still full of troubled and hurting people who need the Savior’s gentle care. Like a shepherd who leads, protects, and cares for his sheep, Jesus extends His compassion to all who come to Him (11:28). No matter where we are in life and what we’re experiencing, in Him we find a heart overflowing with tenderness and care. And when we’ve been a beneficiary of God’s loving compassion, we can’t help but want to extend it to others.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Matthew 9:27–38
When he saw the crowds, he had compassion on them, because they were harassed and helpless, like sheep without a shepherd.
MATTHEW 9:36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tender care?
Who can you reach out to in compassion?

Heavenly Father, we’re so grateful You had compassion on us! We would be lost without You.
Help us to extend Your overflowing compassion to others.

오늘의 말씀

01/12/2020     주일

성경읽기: 창 29-30; 마 9:1-17
찬송가: 31(통 46)

찬양하는 삶

월리스 스테그너의 어머니는 쉰 살에 돌아가셨습니다. 월리스는 팔순이 되어 그의 어머니에게 쓴 “너무 늦은 편지”에서 미 서부의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나 결혼하여 두 아들을 키운 여인의 미덕을 찬양하였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많이 부족한 자들에게도 늘 격려를 아끼지 않았던 그런 아내요 어머니였습니다. 월리스는 어머니의 강인함이 그 목소리에 그대로 담겨 있었음을 기억하며, “어머니는 언제나 찬양할 기회를 찾으셨습니다.”라고 썼습니다. 스테그너의 어머니는 살아 있는 동안 언제나 크고 작은 축복들에 감사하며 찬양했습니다.

오늘의 시편 기자도 찬양할 기회를 늘 찾았습니다. 날이 좋을 때에도 찬양하고 나쁠 때에도 찬양하였습니다. 그 노래들은 강제나 억지로 한 것이 아니라, “만물을 지으시고”(146:6), “주린 자에게 먹을 것을 주시며”(7절), “맹인들의 눈을 여시고”(8절), “고아와 과부를 붙드시는”(9절) 하나님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이었습니다. 이것이 진정 찬양하는 삶이며, “영원히 진실함을 지키시는” “야곱의 하나님”(5-6절)을 오랜 세월 날마다 신뢰하면서 강해져가는 삶의 방식입니다.

우리의 목소리가 좋아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변함없는 선하심에 우리가 대답하는 것이 찬양하는 삶이라는 것입니다. “내 맘에 한 노래 있어”라는 오래된 찬송가 가사처럼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6
나의 평생에 내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시편 146:2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 삶의 일상이 될 수 있을까요?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찬송가는 무엇입니까?

천지를 지으신 하나님, 조용히 묵상해보니 날 위해 베푸시고 보호하심이 너무나 벅찹니다.
내 평생 하나님을 늘 찬양하며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2/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9–30 and MATTHEW 9:1–17
Hymn: 31(old 46)

A Lifestyle of Praise

Wallace Stegner’s mother died at the age of fifty. When Wallace was eighty, he finally wrote her a note—“Letter, Much Too Late”—in which he praised the virtues of a woman who grew up, married, and raised two sons in the harshness of the early Western United States. She was the kind of wife and mother who was an encourager, even to those that were less than desirable. Wallace remembered the strength his mother displayed by way of her voice. Stegner wrote: “You never lost an opportunity to sing.” As long as she lived, Stegner’s mother sang, grateful for blessings large and small.

The psalmist too took opportunities to sing. He sang when the days were good, and when they weren’t so good. The songs were not forced or coerced, but a natural response to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146:6) and how He “gives food to the hungry” (V. 7) and “gives sight to the blind” (V. 8) and “sustains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V. 9). This is really a lifestyle of singing, one that builds strength over time as daily trust is placed in “the God of Jacob” who “remains faithful forever” (VV. 5–6).

The quality of our voices isn’t the point, but our response to God’s sustaining goodness—a lifestyle of praise. As the old hymn puts it: “There’s within my heart a melody.” -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146
I will sing praise to my God as long as I live. PSALM 146:2

How can you make singing praises to God a regular part of your day?
What’s your favorite song of praise?

Maker of heaven and earth, when I pause and reflect, Your provision for and protection of me is overwhelming.
May my life be a continuous song of praise to You for as long as I live.

오늘의 말씀

01/11/2020     토요일

성경읽기: 창 27-28; 마 8:18-34
찬송가: 140(통 130)

유일한 왕

예수님이 천국에서 이 땅으로 내려오셨다는 목사님의 말씀을 듣고 있던 다섯 살 난 엘든은 주님이 우리 죄를 위해 죽으심에 감사하는 목사님의 기도를 듣고는 놀라서 숨도 제대로 못 쉬더니 “아, 안돼요! 예수님이 죽으셨다고요?” 라고 말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신 날부터 그가 죽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동방박사들이 헤롯왕이 통치하던 예루살렘에 와서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 우리가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마태복음 2:2) 라고 말했습니다. 헤롯왕은 이 말을 듣고 언젠가 예수님께 자신의 자리를 빼앗길까 두려워 군사들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지경의 두 살 아래의 모든 사내아이를 죽이라고 명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을 보호하시고 천사를 보내 예수님의 부모에게 그 땅을 떠나라고 일러주셨습니다. 그들은 피신하였고 주님은 무사하였습니다(13-18절).

예수님은 모든 사역을 마치신 후 이 세상의 죄를 지고 십자가에 못 박히셨습니다. 주님이 달리신 십자가 위에는 조롱하려고 쓴 “이는 유대인의 왕 예수라” 라는 팻말이 달려있었습니다(27:37). 그러나 사흘 뒤 주님은 무덤에서 일어나 승리하시고, 하늘로 올라가 왕의 왕, 주의 주로서 왕좌에 앉으셨습니다(빌립보서 2:8-11).

왕이신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 곧 당신과 나와 엘든의 죄를 위하여 죽으셨습니다. 우리 모두 주님께서 우리의 마음을 통치하시게 합시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12
그들은......엎드려 아기께 경배하고
마태복음 2:11

예수님을 왕으로 모신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우리 삶에서 그분이 왕이 되지 못한 영역이 있습니까?

예수님, 우리 죄를 위해 기꺼이 죽으시고 용서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통치에 따를 수 있도록 가르쳐주소서.

Daily Article

01/11/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7–28 and MATTHEW 8:18–34
Hymn: 140(old 130)

The Only King

As five-year-old Eldon listened to the pastor talk about Jesus leaving heaven and coming to earth, he gasped when the pastor thanked Him in prayer for dying for our sins. “Oh, no! He died?” the boy said in surprise.

From the start of Christ’s life on earth, there were people who wanted Him dead. Wise men came to Jerusalem during the reign of King Herod inquiring, “Where is the one who has been born king of the Jews? We saw his star when it rose and have come to worship him” (MATTHEW 2:2). When the king heard this, he became fearful of one day losing his position to Jesus. So he sent soldiers to kill all the boys two years old and younger around Bethlehem. But God protected His Son and sent an angel to warn His parents to leave the area. They fled, and He was saved (VV. 13–18).

When Jesus completed His ministry, He was crucified for the sins of the world. The sign placed above His cross, though meant in mockery, read, “This is Jesus, the King of the Jews” (27:37). Yet three days later He rose in victory from the grave. After ascending to heaven, He sat down on the throne as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PHILIPPIANS 2:8–11).

The King died for our sins—yours, mine, and Eldon’s. Let’s allow Him to rule in our hearts. - ANNE CETAS

Today's Reading

Matthew 2:1–12
They bowed down and worshiped him.
MATTHEW 2:11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have Jesus as your King?
Are there areas of your life where He’s not?

Jesus, thank You for willingly dying for our sins and offering forgiveness.
Teach us to submit to Your rule.

오늘의 말씀

01/10/2020     금요일

성경읽기: 창 25-26; 마 8:1-17
찬송가: 351(통 389)

여기에 용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중세 시대 지도의 가장자리에는 지도 제작자들이 당시에 알던 세계의 경계를 표시하면서 그곳에 숨어 있을 지도 모르는 무시무시한 괴물의 생생한 그림과 함께 “여기에 용이 있다”라는 글을 새겨 놓았다고 합니다.

실제로 중세의 지도 제작자들이 그 글을 썼다는 증거는 많지 않지만 그랬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그곳에 접근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몰라도 뭔가 좋지 않을 것 같다는 엄숙한 경고를 주려고, 나라도 그 때에 “여기에 용이 있다”라고 썼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가 선호하는 이런 자기 보호와 위험을 피하는 방식에는 확실히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예수님을 믿는 사람으로서 가져야 할 용기(디모데후서 1:7)와는 정반대가 된다는 것입니다.

혹자는 내가 정말 위험한 것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 그런다고 말할지 모릅니다. 바울의 말처럼, 망가진 이 세상에서 용기 있게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이 때로는 고난일 수 있습니다(8절). 하지만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뒤 성령의 삶이 우리 안에 흐르고 있는데 (9-10,14절) 어찌 그리스도를 따르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께서 이처럼 믿기 어려운 선물을 주시는데 두려움으로 뒤로 물러선다면 정말 큰 비극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리스도를 따라 미지의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만나게 될 어떤 것보다도 더 나쁜 일입니다(6-8,12절). 우리는 주님께 우리의 마음과 미래를 맡겨드려야 합니다(12절).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4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이니
디모데후서 1:7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대적하라고 하시는 어떤 짓누르는 두려움이 있습니까?
다른 성도들의 격려가 어떻게 두려움을 이길 용기를 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우리에게 새 생명을 주시고, 두려움과 부끄러움으로 우리를 무력하게 만드는 모든 것에서 자유롭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 안에서 평안을 찾게 하소서.

Daily Article

01/10/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GENESIS 25–26 and MATTHEW 8:1–17
Hymn: 351(old 389)

Here Be Dragons?

Legend has it that at the edges of medieval maps, marking the boundaries of the world the maps’ creators knew at the time, there’d be inscribed the words “Here be dragons”— often alongside vivid illustrations of the terrifying beasts supposedly lurking there.

There’s not much evidence medieval cartographers actually wrote these words, but I like to think they could have. Maybe because “here be dragons” sounds like something I might’ve written at the time—a grim warning that even if I didn’t know exactly what would happen if I ventured into the great unknown, it likely wouldn’t be good!

But there’s one glaring problem with my preferred policy of self-protection and risk-aversion: it’s the opposite of the courage to which I’m called as a believer in Jesus (2 TIMOTHY 1:7).

One might even say I’m misguided about what’s really dangerous. As Paul explained, in a broken world bravely following Christ will sometimes be painful (V. 8). But as those brought from death to life and entrusted with the Spirit’s life flowing in and through us (VV. 9–10,14), how could we not?

When God gives us a gift this staggering, to fearfully shrink back would be the real tragedy—far worse than anything we might face when we follow Christ’s leading into uncharted territory (VV. 6–8, 12). He can be trusted with our hearts and our future (V. 12). -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2 Timothy 1:6–14
The Spirit God gave us does not make us timid, but gives us power, love and self-discipline.
2 TIMOTHY 1:7

Is there a particularly debilitating fear God may be calling you to confront?
How might the support of other believers encourage you?

Loving God, thank You for the new life You’ve given us, for freedom from all that would cripple us in fear and shame.
Help us to find peace in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