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18/2020     화요일

성경읽기: 레 23-24; 막 1:1-22
찬송가: 241(통 485)

상상할 수 없는

바트 밀라드는 2001년 “난 단지 상상만 할 수 있어요”를 작곡해서 크게 히트했습니다. 이 노래는 그리스도 앞에 서는 것이 얼마나 놀라운 일일지를 잘 그리고 있습니다. 그 다음 해에 열일곱 살 난 딸 멜리사가 교통사고로 죽었을 때, 밀라드의 가사는 그 애가 하나님의 앞에 있는 것이 어떨지를 상상하게 해주어 우리 가족에게 위안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멜리사가 죽은 후 며칠 동안 ‘상상한다’는 말이 다르게 들려왔습니다. 멜리사의 친구 아버지들이 염려와 고통으로 가득 찬 모습으로 내게 다가와 “얼마나 힘드실지 상상이 안 된다”고 말했던 것입니다.

그들이 우리 딸의 죽음에 대해 같은 마음으로 아파하면서 그 일이 ‘상상하기 힘들다’고 표현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윗은 엄청난 상실의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를 정확하게 집어서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를 다니는 것으로 묘사했습니다 (시편 23:4).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 분명히 그렇습니다. 그리고 때로는 어두움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 전혀 알지 못합니다. 우리는 반대편으로 나갈 수나 있을지조차도 상상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지금 가장 음침한 골짜기에서 우리와 함께 하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리고 골짜기를 지나면 우리가 그분과 함께 있게 될 것이라고 확신시켜 주심으로 미래에 대한 큰 소망도 주십니다. 믿는 자들에게 있어 “몸을 떠난다”는 것은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고린도후서 5:8). 그 사실은 우리가 미래에 하나님과 다른 성도들과 함께 연합할 것을 상상하면서, 상상할 수 없는 상황을 헤쳐 나가는데 도움을 줍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3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시편 23:4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힘들어하는 친구들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말은 무엇입니까? 위로의 시간들을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하나님,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에서도 우리와 함께 하셔서 천국의 영광을 상상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18/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3–24 and MARK 1:1–22
Hymn: 241(old 485)

Unimaginable

Bart Millard penned a megahit in 2001 when he wrote, “I Can Only Imagine.” The song pictures how amazing it will be to be in Christ’s presence. Millard’s lyrics offered comfort to our family that next year when our seventeenyear-old daughter, Melissa, died in a car accident and we imagined what it was like for her to be in God’s presence.

But imagine spoke to me in a different way in the days following Mell’s death. As fathers of Melissa’s friends approached me, full of concern and pain, they said, “I can’t imagine what you’re going through.”

Their expressions were helpful, showing that they were grappling with our loss in an empathetic way—finding it unimaginable.

David pinpointed the depth of great loss when he described walking through “the darkest valley” (PSALM 23:4). The death of a loved one certainly is that, and we sometimes have no idea how we’re going to navigate the darkness. We can’t imagine ever being able to come out on the other side.

But as God promised to be with us in our darkest valley now, He also provides great hope for the future by assuring us that beyond the valley we’ll be in His presence. For the believer, to be “away from the body” means being present with Him (2 CORINTHIANS 5:8). That can help us navigate the unimaginable as we imagine our future reunion with Him and others. DAVE BRANON

Today's Reading

Psalm 23
Though I walk through the darkest valley, I will fear no evil, for you are with me. PSALM 23:4

What’s the best thing you can say to friends who’ve suffered the loss of someone they loved? How can you prepare for those times?

Thank You, God, for being with us even in the darkest valley as we imagine the glories of heaven.
For hope, read Life After Loss at discoveryseries.org/cb131.

오늘의 말씀

02/17/2020     월요일

성경읽기: 레 21-22; 마 28
찬송가: 405(통 395)

늘 함께 하심

2018년 월드컵 경기 때 콜롬비아의 포워드 라다멜 팔카오가 경기시작 70분에 폴란드를 상대로 승리를 굳히는 골을 넣었습니다. 그 극적인 골은 국제경기에서 팔카오의 30번째 골로, 그에게 콜롬비아 선수 중 국제경기 최다 골을 기록한 선수로 명성을 얻게 해주었습니다.

팔카오는 축구경기에서 골을 넣을 때 종종 자신의 믿음을 드러냈는데, 골을 넣은 후 자주 그의 셔츠에 쓰인 “예수님과 함께라면 결코 혼자가 아니다.”라는 문구를 보여주었습니다.

팔카오의 말은 우리에게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마태복음 28:20)고 예수님이 하신 확실한 약속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예수님은 하늘로 승천하실 것을 아시고 제자들에게 성령을 통해 그들과 항상 함께 하실 거라고 확신시켜 주심으로 그들을 위로하셨습니다(20절; 요한복음 14:16-18). 제자들이 가까운 또는 먼 도시에 가서 예수님의 복음을 전할 때 성령께서 그들을 위로하고 인도하며 보호하고 힘을 주실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낯선 곳에서 극심한 외로움의 시기를 지날 때에도 예수님의 말씀은 그들의 귓가에 울려서 예수님이 그들과 함께 계시다는 것을 일깨워줄 것입니다.

우리가 어디를 가든지, 집에서 가까운 곳이든 먼 곳이든 예수님을 따라 미지의 곳으로 갈 때 우리 또한 같은 이 약속에 매달릴 수 있습니다. 우리가 외로움을 느낄 때라도 기도로 예수님께 나아가면 주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것을 알고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6-20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마태복음 28:20

예수님께서 항상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확신이 어떻게 위안을 줍니까? 혼자라고 느낄 때 예수님께서 어떻게 위로해주셨습니까?

예수님, 주님이 저와 함께 계시기 때문에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17/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1–22 and MATTHEW 28
Hymn: 405(old 395)

Ever-Present Presence

During the 2018 World Cup, Colombian forward Radamel Falcao scored in the seventieth minute against Poland, securing a victory. The dramatic goal was Falcao’s thirtieth in international play, earning him the distinction of scoring the most goals by a Colombian player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Falcao has often used his success on the soccer pitch to share his faith, frequently lifting his jersey after a score to reveal a shirt with the words, Con Jesus nunca estara solo: “With Jesus you’ll never be alone.”

Falcao’s statement points us to the reassuring promise from Jesus,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MATTHEW 28:20). Knowing He was about to return to heaven, Jesus comforted His disciples by assuring them He’d always be with them, through the presence of His Spirit (V. 20; JOHN 14:16–18). Christ’s Spirit would comfort, guide, protect, and empower them as they took the message of Jesus to cities both near and far. And when they experienced periods of intense loneliness in unfamiliar places, Christ’s words would likely echo in their ears, a reminder of His presence with them.

No matter where we go, whether close to home or faraway, as we follow Jesus into the unknown we too can cling to this same promise. Even when we experience feelings of loneliness, as we reach out in prayer to Jesus, we can receive comfort knowing He’s with us. LISA M. SAMRA

Today's Reading

Matthew 28:16–20
Surely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MATTHEW 28:20

How does the assurance that Jesus is always with you provide comfort? How has He comforted you when you felt alone?

Jesus, thank You that I’m never alone because You’re with me.

오늘의 말씀

02/16/2020     주일

성경읽기: 레 19-20; 마 27:51-66
찬송가: 366(통 489)

사랑 안에서 갈라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싱가포르 법에 관한 공개 토론이 시작되었을 때, 신자들은 각기 다른 견해로 나누어졌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다른 이들을 “편협하다”고 했고, 다른 이들은 믿음을 타협한다고 비난했습니다.

논쟁은 성도들 사이에 상처를 주고 낙담시키면서 심한 분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나는 성경의 가르침을 내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개인적인 확신들도 중요하지 않은 문제라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비판해온 점에 있어서 나도 분명히 그들과 똑같이 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문제가 견해의 차이나 견해의 표현 방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우리 마음의 태도에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우리는 단지 다른 견해를 말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들을 무너뜨리려 하고 있습니까?

물론 우리가 거짓 가르침을 지적하거나 우리의 입장을 설명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에베소서 4:2-6은 그럴 때 우리에게 겸손과 온유와 인내와 사랑으로 하라고 상기시켜줍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3절)고 말합니다.

어떤 논쟁은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목표가 언제나 사람들의 믿음을 세워주는 것이어야지 무너뜨리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상기시켜 줍니다 (29절). 우리는 논쟁에서 이기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무너뜨리고 있습니까? 아니면 우리가 한 주님 안에서 한 믿음을 갖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면서 주님의 시간과 방법으로 그분의 진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 맡기고 있습니까?(4-6절).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6
모든 겸손과 온유로 하고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에베소서 4:2

민감한 문제에 대해 어떻게 겸손하고 부드럽고 친절하게 우리의 입장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동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제가 진리를 말할 때 사랑의 동기로, 무너뜨리기보다 세우기 위해 그렇게 하도록 인도해주소서.

Daily Article

02/16/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9–20 and MATTHEW 27:51–66
Hymn: 366(old 489)

Divided in Love

When public debate erupted over a controversial Singapore law, it divided believers with differing views. Some called others “narrow-minded” or accused them of compromising their faith.

Controversies can cause sharp divisions among God’s family, bringing much hurt and discouraging people. I’ve been made to feel small over personal convictions on how I apply the Bible’s teachings to my life. And I’m sure I’ve been equally guilty of criticizing others I disagree with.

I wonder if the problem lies not in what or even in how we express our views, but in the attitudes of our hearts when we do so. Are we just disagreeing with views or seeking to tear down the people behind them?

Yet there are times when we need to address false teaching or explain our stand. Ephesians 4:2–6 reminds us to do so with humility, gentleness, patience, and love. And, above all else, to make every effort “to keep the unity of the Spirit” (V. 3).

Some controversies will remain unresolved. God’s Word, however, reminds us that our goal should always be to build up people’s faith, not tear them down (V. 29). Are we putting others down to win an argument? Or are we allowing God to help us understand His truths in His time and His way, remembering that we share one faith in one Lord? (VV. 4–6). LESLIE KOH

Today's Reading

Ephesians 4:2–6
Be completely humble and gentle; be patient, bearing with one another in love. EPHESIANS 4:2

How can you explain your stand on sensitive issues humbly, gently, and lovingly? What will you pray for those who seem to disagree?

God, guide me as I speak the truth so that I do so out of love and seek only to build up, not to tear down.

오늘의 말씀

02/15/2020     토요일

성경읽기: 레 17-18; 마 27:27-50
찬송가: 342(통 202)

포효하는 쥐

몇 년 전 나는 아들들을 데리고 아이다호 북부의 셀웨이 비터루트 윌더니스에서 며칠 동안 캠핑을 했습니다. 회색곰의 서식지였지만, 우리는 곰을 쫓는 스프레이를 몸에 지니고 있고 캠프장을 청결하게 유지했기 때문에 회색곰과 마주할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어느 날 밤, 랜디가 자기 침낭에서 나오려고 애쓰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나는 아들이 성난 회색곰에 붙들려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손전등을 찾아 켰습니다.

거기엔 엉덩이를 땅에 대고 똑바로 앉아서 앞발을 공중에 휘젓고 있는 약 4인치(10센티미터) 크기의 들쥐가 있었습니다. 그 쥐가 랜디의 모자를 이빨로 단단히 물고 있었는데, 이 작은 동물은 랜디의 모자를 계속 잡아당겨 그의 머리에서 벗겨내려 하고 있었습니다. 내 웃음소리에 들쥐는 모자를 떨어트리고 달아났습니다. 우리는 침낭에 다시 기어 들어갔지만, 나는 흥분되어 다시 잠들 수 없었습니다. 그때 나는 악마라는 또 다른 약탈자가 생각났습니다.

사탄이 예수님에게 했던 유혹을 생각해 보십시오(마태복음 4:1-11). 예수님은 그의 유혹을 성경말씀으로 대적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사탄의 물음마다 하나님께서 이 문제에 관해 이미 말씀하셨던 것을 스스로 상기하시고 그에 따라 대답하셨습니다. 그러자 악마가 달아났습니다.

사탄은 우리를 삼키고 싶어 하지만, 그는 작은 쥐처럼 창조된 존재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한은 “[우리] 안에 계신 이가 세상에 있는 자보다 크시다”(요한1서 4:4)고 말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4:1-11
이는 [우리] 안에 계신 이가 세상에 있는 자보다 크심이라 요한1서 4:4

우리에게 있어 가장 큰 유혹은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이 문제들에 관해 뭐라고 하셨으며, 유혹을 받을 때 어떻게 그 말씀으로 대답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에게 닥치는 어떤 유혹의 손길보다 더 위대하심에 감사드립니다. 제게 피할 길을 마련해 주소서.

Daily Article

02/15/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7–18 and MATTHEW 27:27–50
Hymn: 342(old 202)

The Mouse That Roared

Several years ago my sons and I spent a few days camping in the Selway-Bitterroot Wilderness in Northern Idaho. It’s grizzly bear habitat, but we carried bear spray, kept our campsites clean, and anticipated no major grizzly encounters.

One evening, in the middle of the night, I heard Randy scramble around trying to get out of his sleeping bag. I grabbed my flashlight and turned it on, expecting to see him in the clutches of an enraged grizzly.

There, sitting upright on its haunches and waving its paws in the air was a field mouse about 4 inches tall. It had Randy’s cap firmly clenched in its teeth. The little creature had tugged and tugged until he pulled Randy’s cap from his head. As I laughed, the mouse dropped the cap and scampered away. We crawled back into our sleeping bags. I, however, fully adrenalized, couldn’t get back to sleep and thought about another predator—the devil.

Consider Satan’s temptation of Jesus (MATTHEW 4:1–11). He countered his enticements with the Scriptures. With each answer, Jesus reminded Himself that God had spoken on this issue and therefore He wouldn’t disobey. This caused the devil to flee.

Although Satan wants to devour us, it’s good to remember that he’s a created being like the little rodent. John said, “the one who is in [us] is greater than the one who is in the world”
(1 JOHN 4:4).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Matthew 4:1–11
The one who is in [us] is greater than the one who is in the world. 1 JOHN 4:4

What are your greatest temptations? What does God say about these issues and how might you use that when you’re tempted?

Dear God, I’m grateful that You’re greater than any temptation that comes at me. Please provide the way out.

오늘의 말씀

02/14/2020     금요일

성경읽기: 레 15-16; 마 27:1-26
찬송가: 429(통 489)

삶이 힘들 때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그리고 감정적으로 지쳐서 나는 등받이가 젖혀지는 안락의자에 몸을 파묻었습니다. 우리 가족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캘리포니아 주에서 위스콘신 주로 이사했습니다. 도착 후, 차가 고장 나서 우리는 두 달 동안 차가 없이 지냈습니다. 그 동안 남편은 예기치 못한 허리 수술을 받아 제대로 움직일 수 없었고 나도 고질적인 통증 때문에 짐을 풀기가 어려웠습니다. 새로 이사 온 낡은 집은 돈을 많이 들여 고쳐야 할 문제들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우리 나이든 개는 병으로 힘들어 했습니다. 새 강아지가 큰 기쁨을 주기는 했지만 에너지가 넘치는 털북숭이 강아지를 기르는데 생각보다 일이 훨씬 많았습니다. 살기가 싫어졌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험난한 고난의 길을 가면서 내가 어떻게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가질 수 있었을까요?

내가 기도할 때 하나님은 환경에 휘둘리지 않고 찬양했던 시편 기자를 생각나게 해주셨습니다. 다윗은 가끔 크게 상처입기 쉬운 형편에서 그의 감정들을 쏟아내면서 피난처를 찾아 하나님께로 나아갔습니다(시편 16:1). 공급하시고 보호하시는 하나님을 믿고 (5-6절) 하나님을 송축하고 그분의 훈계를 따랐습니다(7절). 다윗은 그의 눈이 “여호와를 항상” 바라보았기에 “흔들리지 않았다”(8절) 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즐거워하며 하나님 임재의 기쁨 안에서 안전히 쉴 수 있었습니다(9-11절).

우리도 우리의 평안이 현재 상황에 달려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 기뻐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살아계시고 또 영원히 계실 하나님께 감사할 때, 함께 하시는 하나님이 우리의 확고한 믿음을 더 북돋아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6
내가 여호와께 아뢰되 주는 나의 주님이시오 니 주 밖에는 나의 복이 없다 하였나이다 시편 16:2

하나님의 한결같은 성품과 경이로운 일들로 그분을 찬양하는 것이 어떻게 어려운 상황 속에서 우리의 믿음을 자라게 합니까? 하나님의 신실하신 손에 맡겨야 할 어떤 상황이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이 우리의 아버지이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14/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5–16 and MATTHEW 27:1–26
Hymn: 429(old 489)

When Life Is Hard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exhausted, I curled up in my recliner. Our family had followed God’s leading and had moved from California to Wisconsin. After we arrived, our car broke down and left us without a vehicle for two months. Meanwhile, my husband’s limited mobility after an unexpected back surgery and my chronic pain complicated our unpacking. We uncovered costly problems with our new-to-us, old home. Our senior dog suffered with health issues. And though our new pup brought great joy, raising a furry ball of energy was far more work than anticipated. My attitude soured. How was I supposed to have unshakeable faith while traveling on a bumpy road of hardships?

As I prayed, God reminded me of the psalmist whose praise didn’t depend on circumstances. David poured out his emotions, often with great vulnerability, and sought refuge in the presence of God (PSALM 16:1). Acknowledging God as provider and protector (VV. 5–6), he praised Him and followed His counsel (V. 7). David affirmed that he would “not be shaken” because he kept his eyes “always on the Lord” (V. 8). So, he rejoiced and rested secure in the joy of God’s presence (VV. 9–11).

We too can delight in knowing our peace doesn’t depend on our present situation. As we thank our unchanging God for who He is and always will be, His presence will fuel our steadfast faith.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6
I say to the Lord, “You are my Lord; apart from you I have no good thing.” PSALM 16:2

How can offering God praise for His unchanging character and wondrous works increase your faith during challenging circumstances? What situations do you need to place in God’s trustworthy hands?

Thanks for being You, Father!

오늘의 말씀

02/13/2020     목요일

성경읽기: 레 14; 마 26:51-75
찬송가: 268(통 523)

우리에 갇혀 있다가 풀려난

작가 마틴 레어드는 밖에서 산책할 때 네 마리의 케리 블루 테리어를 데리고 다니는 어떤 남자와 종종 마주쳤습니다. 그 중 세 마리는 넓은 공간을 마음대로 뛰어다녔는데, 한 마리는 주인 가까이에 머물면서 작은 원을 그리며 뛰어다녔습니다. 레어드가 마침내 멈추어 이런 이상한 행동에 대해 물어보자, 주인은 그 개는 대부분의 삶을 우리에 갇혀 살다가 구조된 개라고 설명해주었습니다. 그 테리어는 마치 비좁은 상자 안에 들어있는 것처럼 계속 원을 그리며 뛰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해 주시지 않으면 우리는 덫에 걸려서 소망이 없는 처지와 같다고 말합니다. 시편 기자는 그를 두르고 있는 “사망의 올무”와 “사망의 줄”에 얽매여 적에게 시달리고 있다고 했습니다(시편 18:4-5). 갇히고 구속된 그는 하나님께 부르짖으며 도움을 청했습니다(6절). 그때 하나님은 대단한 권능으로 “손을 펴서 그를 붙잡아 주셨습니다”(16절).

하나님은 우리에게도 똑같이 하실 수 있습니다. 그분은 사슬을 깨부수어 우리를 가두는 우리에서 풀어주시고, 우리를 자유롭게 하여 “넓은 곳으로” 인도해 주십니다(19절). 그러나 우리가 여전히 감옥에 갇힌 것처럼 계속 작은 원을 그리며 뛴다면 그 얼마나 슬픈 일일까요. 주님의 능력 안에서 우리가 더 이상 두려움과 수치와 억압에 얽매이지 않기를 바랍니다. 하나님께서 그 사망의 우리에 갇힌 우리들을 구원해 주셨습니다. 우리는 자유롭게 맘껏 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8:3-6, 16-19
[하나님께서] 나를 넓은 곳으로 인도하시고 시편 18:19

당신은 어떤 우리에 갇혀 있습니까? 옛 우리에 여전히 갇혀 있는 것처럼 살아가고 있지는 않습니까?

하나님, 하나님은 갇힌 자들을 자유롭게 하셨다고 말씀하십니다. 제가 그것을 믿고, 그렇게 살도록 도와주소서. 자유롭고 싶습니다. 주님의 넒은 품안에 있고 싶습니다.

Daily Article

02/13/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4 and MATTHEW 26:51–75
Hymn: 268(old 523)

Freed from Our Cage

While out taking walks, writer Martin Laird would often encounter a man with four Kerry Blue Terriers. Three of the dogs ran wild through the open fields, but one stayed near its owner, running in tight circles. When Laird finally stopped and asked about this odd behavior, the owner explained that it was a rescue dog that had spent most of his life locked in a cage. The terrier continued to run in circles as though contained inside a confined box.

The Scriptures reveal that we’re trapped and hopeless unless God rescues us. The psalmist spoke of being afflicted by an enemy, entrapped by “the snares of death” with the “cords of death . . . coiled around” him (PSALM 18:4–5). Enclosed and shackled, he cried to God for help (V. 6). And with thundering power, He “reached down . . . and took hold” of him (V. 16).

God can do the same for us. He can break the chains and release us from our confining cages. He can set us free and carry us “out into a spacious place” (V. 19). How sad it is, then, when we keep running in small circles, as if we’re still confined in our old prisons. In His strength, may we no longer be bound by fear, shame, or oppression. God has rescued us from those cages of death. We can run free.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salm 18:3–6, 16–19
[God] brought me out into a spacious place. PSALM 18:19

What are the cages that have you confined? How are you living as though an old cage still traps and holds you?

God, You say You set the captives free. Help me to believe it. Help me to live it. I want to be free. I want to be in Your spacious place.

오늘의 말씀

02/12/2020     수요일

성경읽기: 레 13; 마 26:26-50
찬송가: 254(통 186)

하얀 눈의 기적

17세기에 아이작 뉴턴 경은 프리즘을 사용하여 빛이 어떻게 우리가 다른 색상을 볼 수 있게 하는지를 연구했습니다. 그는 빛이 물체를 통과할 때 그 물체가 특정한 색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나의 얼음 결정체는 투명해 보이지만, 눈은 분말 같은 많은 얼음 결정체들이 모여서 만들어집니다. 빛이 그 모든 결정체들을 통과하면 눈은 하얗게 보입니다.

성경은 특정한 색을 지닌 다른 어떤 것, 죄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하나님은 유다 백성들의 죄를 보시고,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그들의 죄를 “주홍 같고”, “진홍 같이 붉다”고 묘사하셨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이 “눈과 같이 희어질”(이사야 1:18)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어떻게요? 유다 백성들은 그릇된 행동으로부터 돌아서서 하나님께 용서를 구해야 했습니다.

예수님 덕분에 우리는 언제나 하나님의 용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세상의 빛”이라 이르시고, 누구든지 그를 따르는 자는 결코 “어둠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요한복음 8:12)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죄를 고백하면 하나님은 우리를 용서하시고,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의 희생의 빛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보십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흠 없으신 예수님을 보시는 것처럼 우리도 그렇게 보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잘못한 일에 대한 죄책감과 수치심에 빠져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 대신 우리를 “눈처럼 희게” 만드시는 하나님의 용서의 진리를 붙잡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1:15-20
너희의 죄가 주홍 같을 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이사야 1:18

완전히 용서 받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무엇이 하나님께서 당신을 용서하셨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도와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를 값없이 용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12/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3 and MATTHEW 26:26–50
Hymn: 254(old 186)

The Miracle of White Snow

In the seventeenth century, Sir Isaac Newton used a prism to study how light helps us see different colors. He found that when light passes through an object, the object appears to possess a specific color. While a single ice crystal looks translucent, snow is made up of many ice crystals smashed together. When light passes through all of the crystals, snow appears to be white.

The Bible mentions something else that has a certain color—sin. Through the prophet Isaiah, God confronted the sins of the people of Judah and described their sin as “like scarlet” and as “red as crimson.” But God promised they would “be as white as snow” (ISAIAH 1:18). How? Judah needed to turn away from wrongdoing and seek God’s forgiveness.

Thanks to Jesus, we have permanent access to God’s forgiveness. Jesus called Himself “the light of the world” and said whoever follows Him “will never walk in darkness, but will have the light of life” (JOHN 8:12). When we confess our sins, God forgives us and we’re seen through the light of Christ’s sacrifice on the cross. This means that God sees us as He sees Jesus—blameless.

We don’t have to wallow in the guilt and shame of what we’ve done wrong. Instead, we can hold on to the truth of God’s forgiveness, which makes us “white as snow.”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Isaiah 1:15–20
Though your sins are like scarlet, they shall be as white as snow. ISAIAH 1:18

What does it mean to be completely forgiven? What helps you remember that God has forgiven you?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the forgiveness You freely offer.

오늘의 말씀

02/11/2020     화요일

성경읽기: 레 11-12; 마 26:1-25
찬송가: 465(통 523)

가까운 이웃들

우리 동네도 다른 동네에서처럼 인터넷 웹사이트가 있어서 이웃사람들이 주변 사람들과 즉시 연결되도록 도와줍니다. 우리 지역에서는 산에 사는 맹수 퓨마가 나타났을 때나 산불 대피령이 내렸을 때도 서로 경고해 줍니다. 뿐만 아니라 필요하면 아이를 서로 봐주기도 하지요. 웹사이트는 또한 달아난 애완동물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습니다. 인터넷의 힘 덕분에 오늘날의 급변하는 세상에서 종종 멀어졌던 이웃들이 다시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가까이 사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오래 전 솔로몬 왕 시대에도 중요했습니다. 가족 관계가 정말 중요하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바탕이지만, 솔로몬 왕은 ‘친구’의 역할이 특히 “환난 날에”(잠언 27:10) 아주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친척들은 가족 구성원들을 매우 소중히 생각하고 힘든 상황에서 도움을 간절히 주고 싶어 할 것입니다. 하지만 멀리 떨어져 있다면 정작 재난이 닥쳤을 때 그들은 아무것도 해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웃들은 가까이 있기 때문에 무엇이 필요한지 금방 알고 당장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기술이 발달하여 지구의 반대편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들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근처에 사는 사람들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예수님, 주님께서 우리 이웃에 두신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의 성구

잠언 27:1-10
가까운 이웃이 먼 형제 보다 나으니라 잠언 27:10

어려울 때에 누가 도움을 주었습니까? 가장 가까이 살고 있는 사람들과 어떻게 함께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우리에게 이웃을 주셔서 서로 돌아보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11/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1–12 and MATTHEW 26:1–25
Hymn: 465(old 523)

Nearby Neighbors

Our neighborhood, like many others, uses a website to help neighbors connect immediately with those surrounding them. In my community, members warn one another of mountain lion sightings and wildfire evacuation orders, as well as supply one another with child care when the need arises. It has even proven to be a resource for locating runaway pets. By leveraging the power of the internet, those living near one another are connecting again in ways that are often lost in today’s fastpaced world.

Being in relationship with those who live nearby was also important long ago in the days of King Solomon. While family relationships are truly important and can be a source of great support, Solomon indicates that the role of a friend is vital—especially when “disaster strikes” (PROVERBS 27:10). Relatives might care deeply for their family members and desire to be of help in such circumstances. But if they’re far away, there’s little they can do in the moments when calamity strikes. Neighbors, however, because they’re close by, are likely to know of the need quickly and can assist more readily.

Because technology has made it easier than ever to remain connected with loved ones across the globe, we may be tempted to overlook those living nearby. Jesus, help us invest in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You’ve placed around u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roverbs 27:1–10
Better a neighbor nearby than a relative far away. PROVERBS 27:10

Who has brought you aid in your times of need? How can you come alongside those living nearest you?

Thank You, God, for giving us neighbors to show care for one another.

오늘의 말씀

02/10/2020     월요일

성경읽기: 레 8-10; 마 25:31-46
찬송가: 221(통 525)

그 안에서 함께

1994년 두 달 동안 르완다에서는 100만 명가량의 투치족 사람들이 같은 나라 사람들을 죽이기에 혈안이 된 후투족에 의해 학살당했습니다. 이 끔찍한 인종 집단학살 후에 조프리 루부시시 주교는 사랑하는 가족을 학살당한 여성들을 위로하고자 아내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그러자 그의 아내 메리는 “나는 그냥 울기만 할 것”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그 역시 가족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주교는 지혜로운 지도자이자 배려 있는 남편답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메리, 여인들을 모아서 그들과 함께 울어요.” 그는 아내의 고통이 고통 중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특별한 나눔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음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가족인 교회는 좋은 것이든 좋지 않은 것이든 삶의 모든 것을 나눌 수 있는 곳입니다. 신약성경에서 “서로”라는 말은 상호 의존적인 우리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며......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로마서 12:10,16). 우리가 어디까지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지를 15절에서 말해줍니다.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우리의 고통의 깊이와 범위가 인종 집단학살을 겪은 고통에 비할 바가 못 되겠지만, 그럼에도 그 고통은 개인이 겪는 현실입니다. 메리가 겪은 고통의 경우처럼, 우리도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고통이기에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것으로 다른 사람들을 위로하며 그들의 유익을 위해 함께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16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로마서 12:15

당신의 슬픔을 다른 사람과 나눈 적이 있습니까?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는 어떻게 삶의 힘든 시간들을 이겨내도록 도와주고 있습니까?

은혜로우신 하나님, 다른 사람들과 고통을 나누기를 꺼리는 저를 용서 하소서. 주님의 교회의 일원으로 더욱 온전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10/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8–10 and MATTHEW 25:31–46
Hymn: 221(old 525)

In It Together

During a two-month period in 1994, as many as one million Tutsis were slain in Rwanda by Hutu tribe members bent on killing their fellow countrymen. In the wake of this horrific genocide, Bishop Geoffrey Rwubusisi approached his wife about reaching out to women whose loved ones had been slain. Mary’s reply was, “All I want to do is cry.” She too had lost members of her family. The bishop’s response was that of a wise leader and caring husband: “Mary, gather the women together and cry with them.” He knew his wife’s pain had prepared her to uniquely share in the pain of others.

The church, the family of God, is where all of life can be shared—the good and not-so-good. The New Testament words “one another” are used to capture our interdependence. “Be devoted to one another in love. Honor one another above yourselves. . . . Live in harmony with one another” (ROMANS 12:10, 16). The extent of our connectedness is expressed in verse 15: “Rejoice with those who rejoice; mourn with those who mourn.”

While the depth and scope of our pain may pale in comparison with those affected by genocide, it’s nonetheless personal and real. And, as with the pain of Mary, because of what God has done for us it can be embraced and shared for the comfort and good of others.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Romans 12:9–16
Rejoice with those who rejoice; mourn with those who mourn. ROMANS 12:15

When have you allowed someone else to share your sorrow? How does the body of Christ—the church—help you deal with the hard times in life?

Gracious God, forgive me for my reluctance to enter the pain of others. Help me to live more fully as a connected member of Your church.
Learn about loving as Jesus does at discoveryseries.org/q0208.

오늘의 말씀

02/09/2020     주일

성경읽기: 레 6-7; 마 25:1-30
찬송가: 290(통 412)

우리는 먼지에 불과합니다

젊은 아빠가 곤경에 빠졌습니다. 그의 어린 아들이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하면서 소리 지르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붐비는 쇼핑몰 한 가운데에서 아이가 마구 떼를 쓰자 인근의 쇼핑객들이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좋아. 근데 엄마를 위해 먼저 해야 할 일이 있어, 알았지?”라고 아이 아빠가 말했습니다. “아니야아아! 아이스크림!” 그때 신발과 가방이 어울리게 잘 차려 입은 자그마한 여성이 그들에게 다가왔습니다. 아이 아빠는 “아이가 떼를 많이 쓰네요.” 하자 그 여인이 미소 지으며 말했습니다. “사실, 떼가 아이를 쓰는 것 같아요. 애가 아주 어리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아이에게는 당신의 인내심이 필요해요. 가까이 있어주세요.” 상황이 마법처럼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이 여인의 등장은 그 순간에 아버지와 아들에게 필요했던 일시 정지와도 같았습니다.

그 현명한 여성의 말은 시편 103편의 말씀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다윗은 우리 하나님에 대해 “긍휼이 많으시고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시고 인자하심이 풍부하시도다”(8절)라고 쓰고 있습니다. 그는 또 “자식을 긍휼을 여기는” 세상의 아버지의 모습을 그리면서, 그보다도 더 “여호와께서는 자기를 경외하는 자를 긍휼히 여기신다”(13절)고 말합니다. 하나님 우리 아버지는 “우리의 체질을 아시며 우리가 단지 먼지뿐임을 기억하십니다”(14절). 하나님은 우리가 먼지처럼 작고 연약한 존재라는 것을 알고 계십니다.

우리는 가끔 실패하고 이 큰 세상이 우리에게 안겨주는 것에 압도당해 어쩔 줄 몰라 합니다. 그러나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와 늘 함께 하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풍성한 사랑을 알게 되니 얼마나 놀라운 확신이 되는지요.

오늘의 성구

시편 103:8-14
우리가 단지 먼지뿐임 을 기억하심이로다 시편 103:14

언제 어린아이처럼 화를 못 참은 때가 있었습니까? 그 순간 하나님 아버지께서 당신에게 어떻게 반응해 주셨다고 믿습니까?

우리가 하찮은 존재라는 것을 기억하시고 늘 곁에서 인내하시고 함께해 주시는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09/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6–7 and MATTHEW 25:1–30
Hymn: 290(old 412)

We Are Dust

The young father was at the end of his rope. “Ice cream! Ice cream!” his toddler screamed. The meltdown in the middle of the crowded mall began drawing the attention of shoppers nearby. “Fine, but we just need to do something for mommy first, okay?” the father said. “Nooooo! Ice cream!” And then she approached them: a small, well-dressed woman with shoes that matched her handbag. “He’s having a big fit,” the father said. The woman smiled and responded, “Actually, it looks like a big fit is having your little boy. Don’t forget he’s so small. He needs you to be patient and stay close.” The situation didn’t magically resolve itself, but it was just the kind of pause the father and son needed in the moment.

Echoes of the wise woman’s words are heard in Psalm 103. David writes of our God who is “compassionate and gracious, slow to anger, abounding in love” (V. 8). He then continues by invoking the image of an earthly father who “has compassion on his children,” and even more so “the Lord has compassion on those who fear him” (V. 13). God our Father “knows how we are formed, he remembers that we are dust” (V. 14). He knows we’re small and fragile.

We often fail and are overwhelmed by what this big world hands us. What an amazing assurance to know of our Father’s patient, ever-present, abounding love.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103:8–14
He remembers that we are dust. PSALM 103:14

When have you felt overwhelmed like a little child? How do you believe God the Father responded to you in that moment?

Thank You for being our patient, present Father who remembers who and what we ar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