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28/2020     금요일

성경읽기: 민 20-22; 막 7:1-13
찬송가: 458(통 513)

인내하는 믿음

어니스트 섀클턴(1874-1922)은 1914년 남극 대륙을 횡단하는데 실패했던 탐험대의 대장이었습니다. ‘엔듀런스(인내)’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그의 배가 웨델해에서 두꺼운 얼음에 갇혔을 때, 그 배는 단지 살아남기 위한 인내의 경주를 하게 되었습니다. 바깥 세계와 통신도 두절된 채 섀클턴과 그의 승무원들은 구명정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해안인 코끼리섬으로 향했습니다. 대부분의 승무원이 섬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섀클턴과 다섯 명의 승무원은 2주 동안 800마일(약 1300킬로미터)의 바다를 가로 질러 사우스조지아에 가서 코끼리섬에 남아 있는 선원들을 구조해달라고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그들의 용기와 인내 덕분에 섀클턴의 모든 승무원들이 살아남게 되어 이 “실패한” 탐험은 승리의 사건으로 역사책에 기록되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인내한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았습니다. 바울이 예수님을 믿는 믿음 때문에 재판을 받으려고 로마로 향하는 항해 중에, 자기가 탄 배가 폭풍우를 만나 침몰할 것이라고 하나님의 천사로부터 들었습니다. 그러나 배가 침몰해도 승객들은 다 살아남을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 덕분에 바울 사도는 배에 탄 사람들을 안심시킬 수 있었습니다(사도행전 27:23-24).

재난이 닥치면 우리는 하나님께서 모든 일을 당장 좋게 해달라고 간구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에게 인내하면서 성장하는 믿음을 주십니다. 바울이 로마서에 기록한 것처럼 “환난은 인내력을 낳습니다”(로마서 5:3, 새번역). 그 사실을 알면 우리는 어려운 시기에 서로 격려하면서 하나님을 계속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7:27-38
환난은 인내력을 낳고 로마서 5:3, 새번역

고난에 대한 평소의 반응은 무엇입니까?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는 사람을 어떻게 격려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힘들 때에도 계속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8/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0–22 and MARK 7:1–13
Hymn: 458(old 513)

The Faith to Endure

Ernest Shackleton (1874–1922) led an unsuccessful expedition to cross Antarctica in 1914. When his ship, aptly named Endurance, became trapped in heavy ice in the Weddell Sea, it became an endurance race just to survive. With no means of communicating with the rest of the world, Shackleton and his crew used lifeboats to make the journey to the nearest shore— Elephant Island. While most of the crew stayed behind on the island, Shackleton and five crewmen spent two weeks traveling 800 miles across the ocean to South Georgia to get help for those left behind. The “failed” expedition became a victorious entry in the history books when all of Shackleton’s men survived, thanks to their courage and endurance.

The apostle Paul knew what it meant to endure. During a stormy sea voyage to Rome to face trial for his belief in Jesus, Paul learned from an angel of God that the ship would sink. But the apostle kept the men aboard encouraged, thanks to God’s promise that all would survive, despite the loss of the ship (ACTS 27:23–24).

When disaster strikes, we tend to want God to immediately make everything better. But God gives us the faith to endure and grow. As Paul wrote to the Romans, “Suffering produces endurance” (ROMANS 5:3 ESV). Knowing that, we can encourage each other to keep trusting God in hard times.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Acts 27:27–38
Suffering produces endurance. ROMANS 5:3 ESV

What’s your usual response to hardship? How can you encourage someone who’s going through difficult times?

Heavenly Father, I need Your help to keep going, even when it’s tough.

오늘의 말씀

02/27/2020     목요일

성경읽기: 민 17-19; 막 6:30-56
찬송가: 406(통 516)

예기치 못한 변화

1943년 1월, 따뜻한 치누크 바람이 사우스다코다 주의 스피어피쉬에 불어와 섭씨 영하 20도이던 기온이 영상 7도로 빠르게 올라갔습니다. 27도의 온도 차이를 가져온 이 엄청난 날씨 변화는 불과 2분 안에 일어났습니다. 미국에서 24시간 동안에 일어난 가장 큰 온도 변화의 기록은 어마어마하게도 57도입니다! 1972년 1월 15일, 몬타나 주의 로마에서 섭씨 영하 48도에서 영상 9도로 온도가 뛰었습니다.

그러나 급격한 변화는 단순히 기상 현상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때로는 우리 삶의 모습이 바로 그렇습니다. 야고보는 우리에게 이렇게 상기시켜 줍니다. “들으라 너희 중에 말하기를 오늘이나 내일이나 어떤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 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하는 자들아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4:13-14). 예상치 못한 손실과 뜻밖의 진단, 경제적인 좌절 등, 갑작스러운 변화들이 발생합니다.

인생은 예측할 수 없는 요소가 많은 여정입니다. 이것이 바로 야고보가 전능자를 고려하지 않은 “허탄한 자랑”(16절)에서 벗어나라고 우리에게 경고한 이유입니다. 그는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말해야 한다”(15절)고 충고합니다.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불확실할지 모르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인생의 예기치 못한 모든 순간에도 우리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떠나지 않으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일생 동안 변하지 않는 유일한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4:13-17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야고보서 4:14

갑작스러운 변화에 직면할 때 어떻게 대응하십니까? 인생의 놀라운 일들에 대한 적절한 믿음의 반응은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가 예상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걱정한 시간들을 용서해 주시고, 하나님 안에서 안식을 찾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7/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7–19 and MARK 6:30–56
Hymn: 406(old 516)

Unexpected Change

In January 1943, warm Chinook winds hit Spearfish, South Dakota, quickly raising the temperatures from –4° to 45°F (–20° to 7°C). That drastic weather change—a swing of 49 degrees—took place in just two minutes. The widest temperature change recorded in the USA over a twenty-four-hour period is an incredible 103 degrees! On January 15, 1972, Loma, Montana, saw the temperature jump from −54° to 49°F (–48° to 9°C).

Sudden change, however, is not simply a weather phenomenon. It’s sometimes the very nature of life. James reminds us, “Now listen, you who say, ‘Today or tomorrow we will go to this or that city, spend a year there, carry on business and make money.’ Why, you do not even know what will happen tomorrow” (4:13–14). An unexpected loss. A surprise diagnosis. A financial reversal. Sudden changes.

Life is a journey with many unpredictable elements. This is precisely why James warns us to turn from “arrogant schemes” (V. 16) that do not take the Almighty into account. As he advised us, “You ought to say, ‘If it is the Lord’s will, we will live and do this or that’ ” (V. 15). The events of our lives may be uncertain, but one thing is sure: through all of life’s unexpected moments, our God will never leave us. He’s our one constant throughout lif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ames 4:13–17
You do not even know what will happen tomorrow. JAMES 4:14

When facing sudden change, how do you respond? What do you think an appropriate faith response to life’s surprises should look like?

Father, forgive me for the times I worry over things I couldn’t anticipate or can’t control, and help me to find my rest in You.

오늘의 말씀

02/26/2020     수요일

성경읽기: 민 15-16; 막 6:1-29
찬송가: 412(통 206)

기쁨에 관한 여러 가지 생각

빌 샤피로의 인터뷰 모음집 ‘우리가 간직하는 것’에는 인터뷰에 응한 각 사람들이 삶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하고 기쁨이 되는 항목 하나씩을 말하는 대목이 있습니다.

이 대목을 읽으면서 내가 가진 물건 중에 무엇이 가장 의미 있고 기쁨을 주는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하나는 40년 전 어머니가 친필로 쓴 조리법 카드이고 또 다른 하나는 할머니의 분홍빛 찻잔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다른 여러 가지 기억들을 소중하게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그들을 격려해 준 칭찬의 말이나 손주의 키득거림, 성경을 읽다가 얻는 특별한 영감 같은 것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가끔 마음속에 감춰 두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큰 불행을 가져다준 것들입니다. 그것들은 지금은 감춰져 있으나 쉽게 드러날 수 있는 불안함, 수면 아래 있지만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분노, 그리고 조용히 우리 생각의 핵심을 무너뜨리는 적개심 같은 것들입니다.

바울 사도는 빌립보 교회에 보내는 편지에서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는 교회의 교인들에게 항상 기뻐하고 온유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께 기도로 아뢰라고 권면합니다 (빌립보서 4:4-9).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대한 바울의 권면은 어두운 생각을 밀어내고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줍니다(7절). 우리 마음이 참되고, 고결하고, 옳고, 정결하고, 사랑스럽고, 우러러 보이며, 칭찬 받을 만한 것들로 채워질 때, 비로소 우리 마음속에 하나님의 평강이 찾아오게 됩니다(8절).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4-9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빌립보서 4:4

어떤 반갑지 않은 생각들이 내 생각과 마음속에 고집스럽게 자리 잡고 있습니까? 매일 좋은 것으로 내 마음을 채울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무엇입니까?

하나님, 오늘 제 생각들을 인도하셔서 하나님의 보살핌 속에서 제 마음과 삶을 붙들어 주소서.

Daily Article

02/26/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5–16 and MARK 6:1–29
Hymn: 412(old 206)

Thoughts of Joy

In What We Keep, a collection of interviews by Bill Shapiro, each person tells of a single item that holds such importance and joy that he or she would never part with it.

This caused me to reflect on the possessions that mean the most to me and bring me joy. One is a simple forty-year-old recipe card in my mom’s handwriting. Another is one of my grandma’s pink teacups. Other people may value treasured memories—a compliment that encouraged them, a grandchild’s giggle, or a special insight they gleaned from Scripture.

What we often keep stashed away in our hearts, though, are things that have brought us great unhappiness: Anxiety—hidden, but easily retrieved. Anger—below the surface, but ready to strike. Resentment—silently corroding the core of our thoughts.

The apostle Paul addressed a more positive way to “think” in a letter to the church at Philippi. He encouraged the people of the church to always rejoice, to be gentle, and to bring everything to God in prayer (PHILIPPIANS 4:4–9).

Paul’s uplifting words on what to think about helps us see that it’s possible to push out dark thoughts and allow the peace of God to guard our hearts and minds in Christ Jesus (V. 7). It’s when the thoughts that fill up our minds are true, noble, right, pure, lovely, admirable, and praiseworthy that we keep His peace in our hearts (V. 8).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hilippians 4:4–9
Rejoice in the Lord always. I will say it again: Rejoice! PHILIPPIANS 4:4

What unwelcome thoughts have stubbornly taken residence in my mind and heart? What’s one way I can daily fill up my mind with good things?

Guide my thoughts this day, O God, as You hold my heart and life in Your care.

오늘의 말씀

02/25/2020     화요일

성경읽기: 민 12-14; 막 5:21-43
찬송가: 427(통 138)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함

대공황 시기에 자라나신 우리 부모님은 어렸을 때 고생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 결과 부모님은 열심히 일하시며 감사하는 재물의 청지기로 사셨습니다. 하지만 결코 욕심을 부리지 않으시고, 교회나 자선 단체, 가난한 사람들에게 시간과 재능과 물질을 드렸습니다. 정말 부모님은 돈을 현명하게 다루셨고 기쁜 마음으로 기부하셨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이신 부모님은 바울 사도의 경고를 마음에 새기셨습니다. “부하려 하는 자들은 시험과 올무와 여러 가지 어리석고 해로운 욕심에 떨어지나니 곧 사람으로 파멸과 멸망에 빠지게 하는 것이라”(디모데전서 6:9).

이 충고는 바울이 재물이 모든 사람을 유혹했던 부유한 도시 에베소의 젊은 목회자 디모데에게 주었던 것입니다.

바울은 또 이렇게 경고합니다.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을 탐내는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많은 근심으로써 자기를 찔렀도다”(10절).

그렇다면 탐욕에 대한 해독제가 무엇일까요? 예수님은 그것이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누가복음 12:13-21 참조). 무엇보다 우리 하나님 아버지를 찾고 감사하고 사랑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최고의 기쁨으로 존재하시게 됩니다. 시편 기자는 이렇게 썼습니다. “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이 우리를 만족하게 하사 우리를 일생 동안 즐겁고 기쁘게 하소서”(시편 90:14).

날마다 하나님 안에서 즐거워하면 우리는 만족을 얻고 탐심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예수님이 우리 마음의 욕심을 없애시고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게 만들어 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6:6-11
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디모데전서 6:6

돈을 어떻게 잘못 관리했습니까, 아니면 어떻게 정당하게 벌어야 할 것보다 더 많이 벌었습니까? 오늘 재정 문제를 어떻게 하나님께 맡기시겠습니까?

하나님, 아침에 변함없는 사랑으로 우리를 만족시켜 주셔서, 우리의 욕심을 하나님을 향한 거룩한 갈급함으로 바꿔주소서.

Daily Article

02/25/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2–14 and MARK 5:21–43
Hymn: 427(old 138)

Rich Toward God

Growing up during the Great Depression, my parents knew deep hardship as children. As a result, they were hardworking and grateful money stewards. But they were never greedy. They gave time, talent, and treasury to their church, charity groups, and the needy. Indeed, they handled their money wisely and gave cheerfully.

As believers in Jesus, my parents took to heart the apostle Paul’s warning: “Those who want to get rich fall into temptation and a trap and into many foolish and harmful desires that plunge people into ruin and destruction” (1 TIMOTHY 6:9).

Paul gave this advice to Timothy, the young pastor of the city of Ephesus, a wealthy city where riches tempted all.

“The love of money is a root of all kinds of evil,” Paul warned. “Some people, eager for money, have wandered from the faith and pierced themselves with many griefs” (V. 10).

What, then, is the antidote to greed? Being “rich toward God,” said Jesus (SEE LUKE 12:13–21). By pursuing, appreciating, and loving our heavenly Father above all, He remains our chief delight. As the psalmist wrote, “Satisfy us in the morning with your unfailing love, that we may sing for joy and be glad all our days” (PSALM 90:14).

Rejoicing in Him daily relieves us of coveting, leaving us contented. May Jesus redeem our heart’s desires, making us rich toward God!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Timothy 6:6–11
Godliness with contentment is great gain. 1 TIMOTHY 6:6

How have you mishandled money, or made it more than it ought to be? How might you give your financial concerns to God this day?

Satisfy us in the morning, God, with Your unfailing love—replacing our greed with holy hunger for You.

오늘의 말씀

02/24/2020     월요일

성경읽기: 민 9-11; 막 5:1-20
찬송가: 284(통 550)

예수님에 의해 자유롭게

“함께 살던 어머니가 결국 못 견디고 나가셨어요!” 마음을 바로 잡고 예수님께 엎드리기 이전에 아름답지 못한 삶을 살았던 케이씨가 한 말입니다. 그는 물건을 훔치면서 상습적으로 마약을 해온 것을 솔직하게 인정합니다. 심지어 사랑하는 사람들의 물건까지도 훔쳤다고 합니다. 이제 그런 삶은 그의 과거가 되었으며 마약 없이 지낸 날과 달, 햇수를 기록하면서 건전한 삶을 실천합니다. 케이씨와 정기적으로 하나님 말씀을 함께 공부하면서 나는 지금 변화된 사람을 보고 있습니다.

마가복음 5장 15절은 전에 마귀에게 붙들렸다가 역시 변화된 사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치유되기 전에는 ‘도움도 없고 소망도 없고 집도 없으며 절망적’ 이라는 말들이 그 사람에게 딱 맞는 말이었습니다(3-5절). 하지만 예수님이 그를 자유롭게 하신 후 모든 것이 변했습니다(13절). 그러나 케이씨처럼, 예수님을 만나기 전 그의 삶도 정상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마귀에게 붙들렸던 그가 밖으로 표현한 내면의 혼란은 오늘날 사람들이 경험하는 것과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 오늘날 상처받은 사람 중에는 버려진 건물이나 자동차, 그 외 다른 곳에 사는 사람들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비록 자기 집에서 살지만 감정적으로 외톨이입니다. 보이지 않는 사슬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마음과 생각을 묶어버립니다.

예수님 안에는 우리에게 과거와 현재의 아픔과 부끄러움이 있어도 우리가 신뢰할 수 있는 그런 한 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케이씨와 군대귀신에 붙들렸던 그 사람처럼, 하나님은 오늘 그분께로 달려오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비의 팔을 벌리고 기다리고 계십니다(19절).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5:1-20
[그가] 예수께서 자기 에게 어떻게 큰 일 행 하셨는지를......전파 하니 마가복음 5:20

예수님이 당신을 어떻게 변화시키셨습니까? 이런 사실을 들어야할 사람을 아십니까?

하나님, 예수님을 통해 과거에 나를 지배하던 것들을 모두 지나간 과거의 이야기로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24/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9–11 and MARK 5:1–20
Hymn: 284(old 550)

Liberated by Jesus

“I lived with my mother so long that she moved out!” Those were the words of KC, whose life before sobriety and surrender to Jesus was not pretty. He candidly admits supporting his drug habit by stealing—even from loved ones. That life is behind him now and he rehearses this by noting the years, months, and days he’s been clean. When KC and I regularly sit down to study God’s Word together, l’m looking at a changed man.

Mark 5:15 speaks of a former demon-possessed individual who had also been changed. Prior to his healing, helpless, hopeless, homeless, and desperate are words that fit the man (VV. 3–5). But all of that changed after Jesus liberated him (V. 13). But, as with KC, his life before Jesus was far from normal. His internal turmoil that he expressed externally is not unlike what people experience today. Some hurting people dwell in abandoned buildings, vehicles, or other places; some live in their own homes but are emotionally alone. Invisible chains shackle hearts and minds to the point that they distance themselves from others.

In Jesus, we have the One who can be trusted with our pain and the shame of the past and present. And, as with Legion and KC, He waits with open arms of mercy for all who run to Him today (V. 19).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Mark 5:1–20
[He] began to tell . . . how much Jesus had done for him. MARK 5:20

How has Jesus changed you? Who do you know that needs to hear it?

God, I’m so grateful that, through Jesus, things that controlled me in the past can indeed remain in the past.

오늘의 말씀

02/23/2020     주일

성경읽기: 민 7-8; 막 4:21-41
찬송가: 151(통 218)

가시에 찔린 사랑

카알라는 전화도 하고 문자도 보냈습니다. 지금 카알라는 남동생의 집 문 밖에서 그를 깨워 대답을 들을 방법이 없어서 그냥 서 있었습니다. 우울증에 시달리고 중독과 싸우느라 동생은 집 안에만 틀어박혀 있었습니다. 고립된 동생에게 다가가려는 간절함으로 카알라는 용기를 주는 성경구절과 함께 그가 좋아하는 음식 몇 가지를 모아 담장 너머로 꾸러미를 내려놓았습니다.

그러나 그 꾸러미가 손을 벗어나면서 문의 뾰족한 못에 걸려 찢어져 내용물들이 아래 자갈길 위로 쏟아졌습니다. 카알라가 애써 사랑을 담아 베푼 것이 쏟아져버려 낭비된 것 같이 보였습니다. 동생이 누나의 선물을 받아보기나 할까요? 그 선물에 담긴 누나의 희망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을까요? 카알라는 오직 동생의 치유를 기다리면서 소망을 가지고 기도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셔서 (본질적으로) 우리 죄의 담장을 넘어 그분의 독생자를 내려주시고 지치고 버려진 세상에 사랑과 치유의 선물을 가져오셨습니다(요한복음 3:16). 이사야 선지자는 이사야 53장 5절에서 이 사랑의 행동의 대가를 예언한 바 있습니다. 바로 그 아들 예수님이 “우리의 허물 때문에 찔리고 우리의 죄악 때문에 상함을 받는다”고 말입니다. 예수님의 상처는 궁극적인 치유의 소망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 모두의 죄악”(6절)을 직접 짊어지셨습니다.

우리의 죄와 우리의 부족함 때문에 가시에 찔리신, 하나님의 선물인 예수님께서 오늘날 우리 시대에 새로운 능력과 관점으로 들어오십니다. 이 하나님의 선물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오늘의 성구

이사야 53:1-6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이사야 53:5

가시에 찔린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하나님께서 그분의 놀라운 은혜로 어떻게 깨어진 삶을 변화시키는지를 보셨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제게 필요한 하나님의 선물 예수님을 제 마음속 담장을 넘어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3/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7–8 and MARK 4:21–41
Hymn: 151(old 218)

Pierced Love

She’d called. She’d texted. Now Carla stood outside her brother’s gated entry, unable to rouse him to answer. Burdened with depression and fighting addiction, her brother had hidden himself away in his home. In a desperate attempt to penetrate his isolation, Carla gathered several of his favorite foods along with encouraging Scriptures and lowered the bundle over the fence.

But as the package left her grip, it snagged on one of the gate spikes, tearing an opening and sending its contents onto the gravel below. Her well-intended, love-filled offering spilled out in seeming waste. Would her brother even notice her gift? Would it accomplish the mission of hope she’d intended? She can only hope and pray as she waits for his healing.

God so loved the world that—in essence—He lowered His one and only Son over the wall of our sin, bringing gifts of love and healing into our weary and withdrawn world (JOHN 3:16). The prophet Isaiah predicted the cost of this act of love in Isaiah 53:5. This very Son would be “pierced for our transgressions, . . . crushed for our iniquities.” His wounds would bring the hope of ultimate healing. He took on Himself “the iniquity of us all” (V. 6).

Pierced by spikes for our sin and need, God’s gift of Jesus enters our days today with fresh power and perspective. What does His gift mean to you? ELISA MORGAN

Today's Reading

Isaiah 53:1–6
But he was pierced for our transgressions, he was crushed for our iniquities. ISAIAH 53:5

How have you experienced God’s pierced love? How have you seen Him transform a broken life by His amazing grace?

Dear God, thank You for Your gift of Jesus, sent over the fences in my heart to meet my need today.

오늘의 말씀

02/22/2020     토요일

성경읽기: 민 4-6; 막 4:1-20
찬송가: 638(통 363)

옛 약속

1979년에 가브리엘 바케이 박사 팀이 예루살렘의 구시가지 밖에 있는 매장지에서 두 개의 은색 두루마리를 발견했습니다. 25년간의 면밀한 연구 끝에 2004년 학자들은 이 두루마리가 기원전 600년경에 묻혔던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성경본문이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감동적인 것은 두루마리 속에 담겨 있는 제사장의 축복문인데, 그것은 바로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에게 하시고 싶어 했던 말씀입니다.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민수기 6:24-25).

이 축복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하나님을 대신하여 백성들을 축복하는 방법을 보여주셨습니다. 지도자들은 하나님이 주신 형식 안에 들어 있는 말씀들을 기억하여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그대로 백성들에게 말해야 했습니다. 복을 내리는 자가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이 말씀들이 얼마나 강조하고 있는지 주의해 보십시오. 그 속에는 세 번이나 “여호와”가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너”를 여섯 번 말씀하시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사랑과 은총을 받기를 얼마나 원하시는지를 보여줍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성경 두루마리 파편들이 복 주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바람을 전해주고 있다는 사실을 잠깐 생각해 보십시오. 이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과 그분이 얼마나 우리와 관계 맺고 싶어 하는지 일깨워 주는 유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지금 하나님이 멀게 느껴진다면, 이 옛 말씀 안에 있는 약속을 꼭 붙드십시오. 하나님께서 ‘당신’을 복 주시기를 원하며 ‘당신’을 지켜주시기를 원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6:22-27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 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민수기 6:24

하나님이 우리에게 복 주시기를 원한다는 말이 무슨 의미일까요? 그분의 사랑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전할 수 있을까요?

아버지 하나님, 제게 많은 복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게 기쁨과 평안을 주시는 사실을 깨달아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2/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4–6 and MARK 4:1–20
Hymn: 638(old 363)

Ancient Promises

In 1979, Dr. Gabriel Barkay and his team discovered two silver scrolls in a burial ground outside the Old City of Jerusalem. In 2004, after twenty-five years of careful research, scholars confirmed that the scrolls were the oldest biblical text in existence, having been buried in 600 BC. What I find particularly moving is what the scrolls contain—the priestly blessing that God wanted spoken over His people: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make his face shine on you” (NUMBERS 6:24–25).

In giving this benediction, God showed Aaron and his sons (through Moses) how to bless the people on His behalf. The leaders were to memorize the words in the form God gave so they would speak to them just as God desired. Note how these words emphasize that God is the one who blesses, for three times they say, “the Lord.” And six times He says, “you,” reflecting just how much God wants His people to receive His love and favor.

Ponder for a moment that the oldest existing fragments of the Bible tell of God’s desire to bless. What a reminder of God’s boundless love and how He wants to be in a relationship with us. If you feel far from God today, hold tightly to the promise in these ancient words. May the Lord bless you; may the Lord keep you.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Numbers 6:22–27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NUMBERS 6:24

What does it mean to you that God desires to bless you? How can you share His love with others?

Father God, I give thanks for the many blessings You give to me. Help me to notice the ways You bring me joy and peace, that I might praise You.

오늘의 말씀

02/21/2020     금요일

성경읽기: 민 1-3; 막 3
찬송가: 286(통 463)

우리가 속한 자리

각자의 첫 배우자를 비극적으로 잃은 지 몇 년 후에, 로비와 사브리나는 서로 사랑하여 결혼하게 되었고 두 가족을 합쳤습니다. 그들은 새 집을 짓고 그 집을 하빌라(“고통에 몸부림치다”와 “만들어내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그것은 고통을 통해 아름다운 무언가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부부는 자신들의 과거를 잊기 위해서가 아니라 “잿더미에서 생명을 건져 올리고 소망을 기뻐하기 위해” 집을 지었다고 말합니다. 그들에게는 “그곳이 우리가 속한 자리, 삶을 기뻐하는 자리, 가족 모두가 미래의 약속을 붙드는 자리”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과 함께 하는 우리의 삶을 그린 아름다운 한 폭의 그림입니다. 주님은 잿더미에서 우리 생명들을 건져내시고 우리가 속할 자리가 되어 주십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영접할 때, 주님은 우리의 마음에 거하실 집을 만드십니다(에베소서 3:17). 하나님은 예수님을 통해 우리를 주님의 가족으로 택하시고 우리가 그분께 속하게 하십니다 (1:5-6). 비록 우리가 고통스러운 시간을 겪게 되겠지만. 하나님은 우리 삶에서 선한 목적을 이루시기 위해 그런 시간까지도 사용하실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을 즐거워하며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을 기뻐할 때, 날마다 그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하나님 안에는 그분 없이는 가질 수 없는 삶의 충만함이 있습니다(3:19). 그리고 우리는 이 관계가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는 약속을 받았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속한 자리이며, 삶을 기뻐할 수 있는 이유이며, 지금부터 영원토록 우리의 소망이 되십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3:14-21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께서 너희 마음에 계시게 하시옵고 에베소서 3:17

예수님이 어떻게 당신의 삶을 변화시키셨습니까? 예수님께 속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수님, 제가 예수님께 속한 것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영원토록 소망의 삶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2/21/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1–3 and MARK 3
Hymn: 286(old 463)

A Place of Belonging

Some years after the tragic loss of their first spouses, Robbie and Sabrina fell in love, married, and combined their two families. They built a new home and named it Havilah (a Hebrew word meaning “writhing in pain” and “to bring forth”). It signifies the making of something beautiful through pain. The couple says they didn’t build the home to forget their past but “to bring life from the ashes, to celebrate hope.” For them, “it is a place of belonging, a place to celebrate life and where we all cling to the promise of a future.”

That’s a beautiful picture of our life in Jesus. He pulls our lives from the ashes and becomes for us a place of belonging. When we receive Him, He makes His home in our hearts (EPHESIANS 3:17). God adopts us into His family through Jesus so that we belong to Him (1:5–6). Although we’ll go through painful times, He can use even those to bring good purposes in our lives.

Daily we have opportunity to grow in our understanding of God as we enjoy His love and celebrate what He’s given us. In Him, there’s a fullness to life that we couldn’t have without Him (3:19). And we have the promise that this relationship will last forever. Jesus is our place of belonging, our reason to celebrate life, and our hope now and forever. ANNE CETAS

Today's Reading

Ephesians 3:14–21
So that Christ may dwell in your hearts through faith. EPHESIANS 3:17

In what ways has Jesus changed your life?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belong to Jesus?

I’m grateful that I belong to You, Jesus. Thank You for a life of hope for now and forever.

오늘의 말씀

02/20/2020     목요일

성경읽기: 레 26-27; 막 2
찬송가: 337(통 232)

가장 힘든 곳

제프는 한 때 자신이 헤로인을 남용했던 바로 그 도시에서 지금 청소년 담당 목사로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아주 놀라운 방법으로 그의 마음과 환경을 변화시켜 주셨습니다. 제프는 말합니다. “아이들이 저와 똑같은 실수를 저질러 제가 겪었던 고통을 겪지 않도록 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그들을 도와주실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님은 그를 중독의 노예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시고 과거를 딛고 그에게 중요한 사역을 맡기신 것입니다.

하나님은 아무런 희망도 보이지 않는 상황 속에서도 우리가 예상 못하는 방식으로 선을 이루십니다. 요셉이 이집트에 노예로 팔려 가서 누명을 쓰고 여러 해 동안 감옥에 갇혀 있을 때 아무도 그를 기억해주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를 회복시켜 바로 왕 다음의 지위에 앉히시는데, 요셉은 그 지위를 통해 그를 버린 형들을 포함하여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게 됩니다. 요셉은 이집트에서 결혼하여 아이들을 갖고는 둘째 아들의 이름을 에브라임 (“두 번의 수확”을 뜻하는 히브리말에서 따옴)이라고 짓고 그 이유를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가 고생하던 이 땅에서, 하나님이 자손을 번성하게 해주셨다”(창세기 41:52, 새번역).

제프 목사와 요셉의 이야기는 3, 4천년의 차이가 있지만 변함없는 같은 진리를 보여줍니다. 그것은 우리가 아무리 힘든 곳에 있을지라도 그곳이 하나님께서 많은 사람들을 돕고 축복해주는 비옥한 땅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구주이신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은 결코 변하지 않으며, 하나님은 그분을 신뢰하는 자들에게 언제나 신실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41:46-52
요셉이 저장한 곡식의 양은 엄청나게 많아서, 마치 바다의 모래와 같았다. 창세기 41:49, 새번역

하나님께서 당신 삶의 고난을 통해 어떤 선한 일을 이루신 적이 있습니까? 오늘 다른 사람들을 격려하기 위해 어떻게 당신의 어려운 과거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는 능치 못할 일이 없음을 찬양합니다! 지금부터 영원토록 완벽하게 신실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20/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6–27 and MARK 2
Hymn: 337(old 232)

The Hardest Places

Geoff is a youth pastor today in the same city where he once abused heroin. God transformed both his heart and his circumstances in a breathtaking way. “I want to keep kids from making the same mistakes and suffering the pain I went through,” Geoff said. “And Jesus will help them.” Over time, God set him free from the slavery of addiction and has given him a vital ministry in spite of his past.

God has ways of bringing unexpected good out of situations where hope seems lost. Joseph was sold into slavery in Egypt and falsely accused and sent to prison, where he was forgotten for years. But God restored him and placed him in a position of authority directly under Pharaoh, where he was able to save many lives—including the lives of his brothers who’d abandoned him. There in Egypt Joseph married and had children. He named the second Ephraim (drawn from the Hebrew term for “twice fruitful”), and gave this reason: “It is because God has made me fruitful in the land of my suffering” (GENESIS 41:52).

Geoff’s and Joseph’s stories, while separated by three to four thousand years, point to the same unchanging truth: even the hardest places in our lives can become fertile ground for God to help and bless many. Our Savior’s love and power never change, and He’s always faithful to those who trust in Him. JAMES BANKS

Today's Reading

Genesis 41:46–52
Joseph stored up huge quantities of grain, like the sand of the sea. GENESIS 41:49

When have you seen God bring something good out of difficulty in your life? How can you use your past problems to encourage others today?

All-powerful Father, I praise You that nothing is too hard for You! Thank You for Your perfect faithfulness, today and forever.

오늘의 말씀

02/19/2020     수요일

성경읽기: 레 25; 막 1:23-45
찬송가: 400(통 458)

하나님의 실상

C.S. 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 사자와 마녀와 옷장’이라는 소설에서 아슬란이라는 강력한 사자가 오랜만에 다시 나타나자 나니아의 모든 동물들이 열광합니다. 하지만 아슬란이 사악한 흰 마녀의 요구를 받아들이자 나니아의 기쁨은 슬픔으로 변해버립니다. 아슬란이 패배할 것처럼 보이는 상황에서 나니아의 동물들은 아슬란이 고막을 찢는 듯이 포효하는 소리에 마녀가 공포에 떨며 달아나자 아슬란의 능력을 실감합니다. 전부를 잃은 것 같았지만, 아슬란이 궁극적으로 사악한 마녀보다 더 위대한 존재임이 증명됩니다.

루이스의 우화에 나오는 아슬란을 따르는 자들처럼, 엘리사의 하인도 어느 날 아침 그와 엘리사가 적군들에게 포위되어 있는 것을 보고는 절망하여 이렇게 부르짖었습니다. “아아, 내 주여 우리가 어찌 하리이까” (열왕기하 6:15). 그러나 엘리사의 반응은 평온했습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우리와 함께 한 자가 그들과 함께 한 자보다 많으니라”(16절). 그러고 나서 엘리사는 “여호와여 원하건대 그의 눈을 열어서 보게 하옵소서”(17절)라고 기도했습니다. 그러자 “여호와께서 그 청년의 눈을 여시매 그가 보니 불말과 불병거가 산에 가득하여 엘리사를 두르고 있었습니다”(17절). 하인의 눈에는 처음에 현실이 절망적으로 보였지만, 하나님의 능력이 궁극적으로 적들의 무리보다 더 강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우리의 힘든 상황 때문에 우리가 모든 것을 잃었다고 믿게 될지도 모르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눈을 열어 하나님이 더 위대하신 분이라는 실상을 볼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십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6:8-17
여호와께서 그 청년의 눈을 여시매 그가 보니 불말과 불병거가 산에 가득하여 엘리사를 둘렀더라 열왕기하 6:17

지금 어떤 힘든 상황을 겪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이 겪는 어떤 악보다 더 위대하시다는 것을 어떻게 경험해 보았습니까?

하나님,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2/19/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25 and MARK 1:23–45
Hymn: 400(old 458)

The Reality of God

In C. S. Lewis’s The Chronicles of Narnia: The Lion, the Witch and the Wardrobe, all of Narnia is thrilled when the mighty lion Aslan reappears after a long absence. Their joy turns to sorrow, however, when Aslan concedes to a demand made by the evil White Witch. Faced with Aslan’s apparent defeat, the Narnians experience his power when he emits an earsplitting roar that causes the witch to flee in terror. Although all seems to have been lost, Aslan ultimately proves to be greater than the villainous witch.

Like Aslan’s followers in Lewis’s allegory, Elisha’s servant despaired when he got up one morning to see himself and Elisha surrounded by an enemy army. “Oh no, my lord! What shall we do?” he exclaimed (2 KINGS 6:15). The prophet’s response was calm: “Don’t be afraid . . . . Those who are with us are more than those who are with them” (V. 16). Elisha then prayed, “Open his eyes, Lord, so that he may see” (V. 17). So, “the Lord opened the servant’s eyes, and he looked and saw the hills full of horses and chariots of fire all around Elisha” (V. 17). Although things at first seemed bleak to the servant’s eye, God’s power ultimately proved greater than the enemy horde.

Our difficult circumstances may lead us to believe all is lost, but God desires to open our eyes and reveal that He is greater. REMI OYEDELE

Today's Reading

2 Kings 6:8–17
The Lord opened the servant’s eyes, and he [saw] chariots of fire all around Elisha. 2 KINGS 6:17

What difficult times are you facing? How have you experienced that God is greater than any evil you face?

Thank You, God, for Your faithfulnes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