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09/2020     월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8-10; 마가복음 11:19-33
찬송가: 383 (통433)

우리를 지켜보시는 하나님

어린 손자가 헤어질 때 손을 흔들며 인사하더니, 이내 뒤돌아보며 물었습니다. “할머니, 할머니는 왜 우리가 떠날 때까지 현관에 서 계세요?” 나는 아주 어린 손자의 질문이 “귀엽다”고 생각하며 그를 보며 웃었습니다. 그러면서 그 궁금증에 대한 좋은 대답을 생각하다가 말했습니다. “음, 그건 예의란다. 네가 내 손님이라면 네가 떠날 때까지 지켜보는 건 내가 너를 배려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거지.” 내 대답을 듣고 아이는 잠시 생각하더니 여전히 수긍이 안 가는 듯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단순하게 말했습니다. “내가 보는 이유는 내가 너를 사랑하기 때문이야. 네가 탄 차가 길을 빠져나가는 것을 보면서 나는 네가 안전하게 집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아는 거지.” 손자는 웃으며 나를 부드럽게 안아주었습니다. 마침내 알아들은 것입니다.

아이의 천진난만한 이해는 나에게 우리 모두가 기억해야 할 한 가지를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것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도 그분의 소중한 자녀 한사람 한사람을 계속해서 지켜보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시편 121편은 말합니다, “여호와는 너를 지키시는 이시라 여호와께서 네 오른쪽에서 네 그늘이 되시나니”(5절).

이스라엘 순례자들이 예배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길에 오를 때 그들이 가졌던 확신을 떠올려 보십시오. “낮의 해가 너를 상하게 하지 아니하며 밤의 달도 너를 해치지 아니하리로다 여호와께서 너를 지켜 모든 환난을 면하게 하시며 또 네 영혼을 지키시리로다”(6-7절). 이와 같이 우리도 각자 우리의 인생길을 올라가는 동안 영적인 위협이나 해를 당할 때 “여호와께서 [우리의] 출입을 지켜주실 것입니다.” 왜요? 하나님의 사랑 때문입니다. 언제요? “지금부터 영원까지”(8절) 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21:5-8
여호와는 너를 지키시는 이시라
[시편 121:5]

오늘 무슨 “산”을 오르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지켜주고 계신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어떤 확신이 드십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인생길을 가는 동안 우리를 지키시고 안전하게 보호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9/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8–10; MA R K 11:19–33
Hymn: 383 (old433)

WATCHED BY GOD

Our little grandson waved goodbye, then turned back with a question. “Grandma, why do you stand on the porch and watch until we leave?” I smiled at him, finding his question “cute” because he’s so young. Seeing his concern, however, I tried to give a good answer. “Well, it’s a courtesy,” I told him. “If you’re my guest, watching until you leave shows I care.” He weighed my answer, but still looked perplexed. So, I told him the simple truth. “I watch,” I said, “because I love you. When I see your car drive away, I know you’re safely heading home.” He smiled, giving me a tender hug. Finally, he understood.

His childlike understanding reminded me what all of us should remember—that our heavenly Father is constantly watching over each of us, His precious children. As Psalm 121 says, “The Lord watches over you—the Lord is your shade at your right hand” (V. 5).

What assurance for Israel’s pilgrims as they climbed dangerous roads to Jerusalem to worship. “The sun will not harm you by day, nor the moon at night. The Lord keeps you from all harm—he will watch over your life” (VV. 6–7). Likewise, as we each climb our life’s road, sometimes facing spiritual threat or harm, “The Lord will watch over [our] coming and going.” Why? His love. When? “Now and forevermore” (V. 8).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SALM 121:5–8
The Lord watches over you.
[ PSALM 121:5 ]

What “mountain” are you climbing today? What assurance do you find in knowing God is watching over you?

Our loving Father, as we travel the road of life, thank You for watching over us, keeping us safe.

오늘의 말씀

03/08/2020     주일

성경읽기: 신명기 5-7; 마가복음 11:1-18
찬송가: 600 (통242)

순전한 예배

호세는 교회를 목회하고 있었는데, 그 교회는 좋은 프로그램들과 연극 공연으로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것들은 아주 잘 돌아가고 있었지만, 그는 교회가 바쁘게 돌아가는 것이 하나의 사업으로 변질된 것 같아 우려하고 있었습니다. 교회가 성장하는 것이 올바른 이유 때문일까, 아니면 교회의 활동 때문일까? 호세는 그것이 알고 싶어 1년간 교회 외적인 모든 행사들을 취소시켰습니다. 이제 교인들은 그들의 교회가 사람들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살아 있는 성전이 되는 데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었습니다.

호세의 이런 결정은 극단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예수님이 성전 마당에 들어가셨을 때 하셨던 일을 기억하면 이해가 됩니다. 순전한 기도로 가득 차야 할 신성한 장소가 예배 사업으로 번잡한 곳으로 변해 있었습니다. “여러분이 필요한 비둘기가 여기 있습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백합꽃이 여기 있습니다!” 예수님은 상인들의 상을 엎으시고, 물건을 사지 못하게 하셨습니다. 주님은 그들이 하는 일에 분노하시며 이사야 56장과 예레미야 7장을 인용하여 말씀하셨습니다. “내 집은 만민이 기도하는 집이라 칭함을 받으리라고 하지 아니하였느냐 너희는 강도의 소굴을 만들었도다”(마가복음 11:17). 이방인들이 하나님을 예배하도록 따로 마련된 장소가 돈을 벌기 위한 일상적인 시장으로 변질되었던 것입니다.

분주하게 사는 것이나 사업을 하는 것 자체는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교회의 본질은 그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전이며, 우리의 주된 임무는 예수님을 예배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처럼 상을 뒤엎기까지 할 필요는 없겠지만, 그에 상응하는 어떤 과감한 일을 하라고 주님이 요구하실지도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1:15-18
내 집은 만민이 기도하는 집이라 칭함을 받으리라
[마가복음 11:17]

당신은 왜 교회에 출석하며 교인들을 만납니까?
성령님께서 바꾸셔야 할 당신의 교회에 대한 기대들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예배에 대한 기대 중에 하나님께서 기뻐하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 주소서. 예배는 오로지 하나님께만 관한 것임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08/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5–7; MA R K 11:1–18
Hymn: 600 (old 242)

PURE WORSHIP

Jose pastored a church known for its programs and theatrical productions. They were well done, yet he worried the church’s busyness had slipped into a business. Was the church growing for the right reasons or because of its activities? Jose wanted to find out, so he canceled all extra church events for one year. His congregation would focus on being a living temple where people worshiped God.

Jose’s decision seems extreme, until you notice what Jesus did when He entered the temple’s outer courts. The holy space that should have been full of simple prayers had become a flurry of worship business. “Get your doves here! Lily white, as God requires!” Jesus overturned the merchant’s tables and stopped those who bought their merchandise. Furious at what they were doing, He quoted Isaiah 56 and Jeremiah 7: “ ‘My house will be called a house of prayer for all nations.’ But you have made it ‘a den of robbers’” (MARK 11:17). The court of the gentiles, the place for outsiders to worship God, had been turned into a mundane marketplace for making money.

There’s nothing wrong with business or staying busy. But that’s not the point of church. We’re the living temple of God, and our main task is to worship Jesus. We likely won’t need to flip over any tables as Jesus did, but He may be calling us to do something equally drastic. MIKE WITTMER

Today's Reading

MARK 11:15–18
My house will be called a house of prayer.
[ MARK 11:17 ]

Why do you attend church and meet with believers?
What expectations of yours might you need to let the Spirit change?

Father, show us where our expectations of worship fail to please You. Help us see that it’s all about You.

오늘의 말씀

03/07/2020     토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3-4; 마가복음 10:32-52
찬송가: 475 (통272)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말 타기와 올가미 던지기를 겨루는 로데오 시합에 가면, 참가자들의 한 손에 네 손가락만 있고 엄지손가락이 있어야 할 자리에 혹이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것은 이 시합에서 흔히 생기는 부상입니다. 엄지손가락이 줄의 한 끝과 꽤 큰 황소가 다른 쪽에서 당기는 사이에 끼게 되면 엄지손가락은 대개 잘려 나갑니다. 그것은 그 일을 계속 할 수 없게 만드는 부상은 아니지만, 엄지손가락이 없으면 여러 일에 변화가 생깁니다. 엄지손가락을 쓰지 않으면서 이를 닦거나, 셔츠의 단추를 끼거나, 머리를 빗거나, 구두끈을 매거나, 혹은 먹는 일을 해보십시오. 당신 몸에서 평소에 하찮게 생각했던 부분들이 실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교회에서 그와 유사한 상황을 지적합니다. 눈에 잘 띄지 않거나 목소리를 내지 않는 교인들은 가끔 다른 이들로부터 “당신은 없어도 돼” 라는 대우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고린도전서 12:21). 보통은 암묵적으로 눈치를 주는 식이지만, 때로는 노골적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서로 동등한 관심과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하기를 바라십니다(25절). 우리는 모두 각각 그리스도의 몸의 한 부분이며(27절), 우리가 받은 재능이 무엇이든 우리는 서로를 필요로 합니다. 말하자면 우리 중 어떤 이들은 눈이고 귀이며, 어떤 이들은 엄지손가락인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각각은 그리스도의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때로는 눈에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2:20-27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
[고린도전서 12:27]

만약 당신이 “눈”이라면 어떻게 “엄지손가락”에게 용기를 줄 수 있을까요? 그리고 당신이 덜 중요한 교인이라고 생각된다면 성경의 중요한 진리인 고린도전서 12장 27절을 암기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 아버지, 우리 각자가 그리스도의 몸의 한 부분임을 기억하지 못한 것을 용서하소서. 우리는 다 지체이며 오직 주님만이 홀로 머리 되십니다.

Daily Article

03/07/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3–4; MA R K 10:32–52
Hymn: 475 (old272)

MORE THAN MEETS THE EYE

Attend any rodeo with riding and roping competition and you’ll see them—competitors with four fingers on one hand and a nub where their thumb should be. It’s a common injury in the sport—a thumb gets caught between a rope on one end and a decent-sized steer pulling on the other, and the thumb is usually the loser. It’s not a career-ending injury, but the absence of a thumb changes things. Without using your thumb, try to brush your teeth or button a shirt or comb your hair or tie your shoes or even eat. That little overlooked member of your body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apostle Paul indicates a similar scenario in the church. Those often less visible and frequently less vocal members sometimes experience an “I don’t need you” response from the others (1 CORINTHIANS 12:21). Usually this is unspoken, but there are times when it’s said aloud.

God calls us to have equal concern and respect for one other (V. 25). Each and every one of us is a part of Christ’s body (V. 27), regardless of the gifting we’ve received, and we need each other. Some of us are eyes and ears, so to speak, and some of us are thumbs. But each of us plays a vital role in the body of Christ, sometimes more than meets the eye. - JOHN BLASE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2:20–27
Now you are the body of Christ, and each one of you is a part of it. [ 1 CORINTHIANS 12:27 ]

If you’re an “eye,” what’s one way you could encourage a “thumb”? And if you think you’re a lesser member, why not memorize 1 Corinthians 12:27, an important scriptural truth.

Father, forgive us for our failure to remember that each of us is a member of the body of Christ. We’re the members, and You and You alone are the Head.

오늘의 말씀

03/06/2020     금요일

성경읽기: 신명기 1-2; 마가복음 10:1-31
찬송가: 487 (통535)

두 사람이 더 낫다

1997년 하와이에서 열린 철인 삼종경기에서 두 여성이 결승선을 향하여 절뚝거리며 안간 힘을 다해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기진맥진한 두 선수는 간신히 몸을 가누며 달리다가 시안 웰치 선수가 웬디 잉그램에게 부딪혀 두 사람은 땅에 주저앉고 말았습니다. 둘은 겨우 일어나 비틀거리며 앞으로 나아갔지만 결승선을 20미터 남겨놓고 다시 넘어졌습니다. 잉그램 선수가 엉금엉금 기어가자 관중들이 박수 갈채를 보냈습니다. 그녀의 경쟁자도 따라서 기어가자 사람들은 더 크게 환호했습니다. 잉그램은 4등으로 결승선을 통과하여 지지자들이 벌린 팔 안으로 쓰러졌습니다. 그러고는 뒤로 돌아 넘어져 있는 동료 여자 선수에게 손을 내밀었습니다. 웰치는 힘을 다해 몸을 앞으로 내던지며 그의 지친 팔을 잉그램의 손을 향해 뻗으며 결승선을 넘었습니다. 웰치가 5등으로 경기를 마쳤을 때 관중들은 우레와 같은 함성으로 축하해주었습니다.

수영과 자전거 타기, 달리기 등, 총 140 마일(225 킬로미터)에 이어진 이 두 사람의 경기는 많은 이들을 감동시켰습니다. 그러나 지친 경쟁자들이 끝까지 인내하며 함께 견디는 모습은, 전도서 4:9-11의 말씀이 삶에 힘을 주는 진리임을 확인시켜 주면서 내 마음에 각인되어 남아있습니다.

우리가 살면서 필요한 도움을 받아들이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9절). 특히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우리의 어려움을 아닌 척 부인 하거나 숨길 수 없기 때문에 더 그렇습니다. 우리는 모두 때때로 육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넘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 때 우리는 위로를 받고 견딜 수 있습니다. 우리를 도와주시는 사랑의 하나님은 다른 이들이 어려움에 빠져있을 때 그들에게 다가가 그들도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도록 우리에게 능력을 더해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4:9-11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저희가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전도서 4:9]

누군가 당신에게 도움을 준 적이 있습니까?
이번 주에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을까요?

전능하신 하나님, 우리를 도우시고 또 우리가 다른 이들에게 다가가 돕게 하실 때 하나님이 항상 함께 하심을 확신시켜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6/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DEUTERONOMY 1–2; MA R K 10:1–31
Hymn: 487 (old 535)

TWO ARE BETTER

In the 1997 Ironman Triathlon in Hawaii, two women fought to stay on their feet as they hobbled toward the finish line. Exhausted, the runners persevered on wobbly legs, until Sian Welch bumped into Wendy Ingraham. They both dropped to the ground. Struggling to stand, they stumbled forward, only to fall again about twenty meters from the finish line. When Ingraham began to crawl, the crowd applauded. When her competitor followed suit, they cheered louder. Ingraham crossed the finish line in fourth place, and she slumped into the outstretched arms of her supporters. Then she turned and reached out to her fallen sister. Welch lunged her body forward, stretching her weary arm toward Ingraham’s hand and across the finish line. As she completed the race in fifth place, the crowd roared their approval.

This pair’s completion of the 140-mile swimming, biking, and running race inspired many. But the image of the weary competitors persevering together remains ingrained in my mind, affirming the life-empowering truth in Ecclesiastes 4:9–11.

There’s no shame in admitting we require assistance in life (V. 9), especially since we can’t honestly deny our needs or hide them from our all-knowing God. At one time or another, we’ll all fall, whether physically or emotionally. Knowing we’re not alone can comfort us as we
persevere. As our loving Father helps us, He empowers us to reach out to others in need, affirming they too aren’t alon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ECCLESIASTES 4:9–11
Two are better than one, because they have a good return for their labor. [ ECCLESIASTES 4:9 ]

How has someone helped you?
How can you encourage others this week?

All-powerful God, thank You for reassuring us of Your constant presence as You help us and give us opportunities to reach out and help others.

오늘의 말씀

03/05/2020     목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34-36; 마가복음 9:30-50
찬송가: 204 (통379)

어긋난 계획들

제인은 언어치료사가 되려고 계획했지만 인턴을 하는 동안 그 직업이 자신에게 감정적으로 너무 힘든 일이라는 것을 알고는 그 계획을 접었습니다. 그 후 한 잡지사에서 글을 쓰는 직업을 갖게 되었습니다. 제인은 한번도 자신이 작가가 될 거라고는 생각 못했는데, 몇 년이 지난 후 글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가정들을 돕는 작가가 되었습니다. 제인은 말합니다. “지난 날을 되돌아보면 하나님이 제 계획들을 왜 바꾸셨는지 알 것 같아요. 하나님은 저를 위한 더 큰 계획을 가지고 계셨어요.”

성경에도 어긋난 계획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있습니다. 바울은 두 번째 선교 여행길에서 비두니아로 가고자 했지만 성령께서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사도행전 16:6-7). 이 일은 정말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선교의 길을 가려는데 왜 예수님이 막으셨을까?’ 대답은 어느 날 밤 꿈에 나타났습니다. 마게도니아가 그를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나중에 마게도니아에 유럽의 첫 교회를 세우게 됩니다. 솔로몬도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계획이 있어도 오직 여호와의 뜻만이 완전히 서리라”(잠언 19:21).

계획을 세우는 것은 분별 있는 행동입니다. 잘 알려진 격언 중에도 “계획을 세우는데 실패하는 것은 실패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것과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계획을 그분의 계획대로 바꾸시기도 합니다. 그럴 때 우리는 하나님이 신뢰할 수 있는 분이라는 것을 알고, 그분의 계획에 귀를 기울이고 순종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뜻에 우리를 맡기면, 우리는 그분의 목적에 맞추어 가는 삶을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계획을 세울 때 한 가지를 더하여, 귀를 기울이겠다는 계획을 세우십시오. 하나님의 계획에 귀를 기울이십시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6:6-10
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계획이 있어도 오직 여호와의 뜻만이 완전히 서리라 [잠언 19:21]

오늘 어떻게 우리의 계획을 하나님께 맡길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나님의 계획에 귀를 기울일 수 있을까요?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 제 계획이 어긋날 때 하나님께서 제 삶에 더 큰 목적을 갖고 계심을 알고 하나님께 귀를 기울일 수 있는 믿음을 허락하소서.

Daily Article

03/05/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4–36; MA R K 9:30–50
Hymn: 204 (old 379)

PLANS DISRUPTED

Jane’s plans to become a speech therapist ended when an internship revealed the job was too emotionally challenging for her. Then sh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write for a magazine. She’d never seen herself as an author, but years later she found herself advocating for needy families through her writing. “Looking back, I can see why God changed my plans,” she says. “He had a bigger plan for me.”

The Bible has many stories of disrupted plans. On his second missionary journey, Paul had sought to bring the gospel into Bithynia, but the Spirit of Jesus stopped him (ACTS 16:6–7). This must have seemed mystifying: Why was Jesus disrupting plans that were in line with a Godgiven mission? The answer came in a dream one night: Macedonia needed him even more. There, Paul would plant the first church in Europe. Solomon also observed, “Many are the plans in a person’s heart, but it is the Lord’s purpose that prevails” (PROVERBS 19:21).

It’s sensible to make plans. A well-known adage goes, “Fail to plan, and you plan to fail.” But God may disrupt our plans with His own. Our challenge is to listen and obey, knowing we can trust God. If we submit to His will, we’ll find ourselves fitting into His purpose for our lives.

As we continue to make plans, we can add a new twist: Plan to listen. Listen to God’s plan. - LESLIE KOH

Today's Reading

ACTS 16:6–10
Many are the plans in a person’s heart, but it is the Lord’s purpose that prevails. [ PROVERBS 19:21 ]

How can you submit your plans to God today?
How can you listen to His plans?

All-knowing God, give me the faith to listen to You when my plans are disrupted, knowing that You have a greater purpose for my life.

오늘의 말씀

03/04/2020     수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31-33; 마가복음 9:1-29
찬송가: 191(통427)

감전

“나는 온 몸이 감전된 것 같은 전율을 느꼈습니다.” 홀리 오드웨이 교수가 존 단의 웅장한 시 “거룩한 소네트 14”를 읽고서 한 말입니다. ‘이 시 속에 무엇인가가 있어. 도대체 그게 무엇일까?’ 오드웨이는 그것을 자신의 무신론적인 세계관이 초자연적인 것의 가능성을 받아들인 순간으로 기억합니다. 마침내 그녀는 부활하신 예수님이 실제 변화되셨다는 사실을 믿게 되었습니다.

감전된 기분. 예수님이 베드로와 야고보, 요한을 산꼭대기에 데려가셨을 때, 예수님의 극적인 변화를 목격한 순간 그들도 분명 그런 기분을 느꼈을 것입니다. 예수님의 “옷이 광채가 나며”(마가복음 9:3) 엘리야와 모세가 나타났던 그 일은 오늘날 우리에게 변화산 사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에서 내려오시며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주님이 부활하실 때까지 이날 본 것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9절). 그러나 제자들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난다’는 예수님의 말씀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조차 알지 못했습니다 (10절).

죽음과 부활을 함께 감당하는 예수님의 운명을 깨닫지 못했기에 제자들의 예수님에 대한 인식은 안타깝게도 불완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마침내 부활하신 주님을 경험한 후 그들의 삶은 완전히 변화되었습니다. 베드로는 자신의 말년에 예수님의 변형을 목격한 사실을 말하며, 제자들과 함께 처음 “그의 크신 위엄을 친히 본 자라”(베드로후서 1:16)고 말했습니다.

오드웨이 교수와 예수님의 제자들이 느낀 것처럼, 우리도 예수님의 능력을 목격할 때 “온 몸에 전율을” 느낍니다.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살아계신 예수님이 손짓하며 우리를 부르고 계시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9:2-10
우리는 그의 크신 위엄을 친히 본 자라
[베드로후서 1:16]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하나님을 만나 “전율했던” 적이 있습니까?
시간이 지나며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바뀌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는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한 채 기도로 아버지께 나아갑니다. 하나님의 임재의 위엄에 전율하지 못하는 저희를 용서해 주소서.

Daily Article

03/04/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31–33; MA R K 9:1–29
Hymn: 191(old 427)

LIVE WIRE

“I felt like I had touched a live wire,” said Professor Holly Ordway, describing her reaction to John Donne’s majestic poem “Holy Sonnet 14.” There’s something happening in this poetry, she thought. I wonder what it is. Ordway recalls it as the moment her previously atheistic worldview allowed for the possibility of the supernatural. Eventually she would believe in the transforming reality of the resurrected Christ.

Touching a live wire—that must have been how Peter, James, and John felt on the day Jesus took them to a mountaintop, where they witnessed a dramatic transformation. Christ’s “clothes became dazzling white” (MARK 9:3) and Elijah and Moses appeared—an event we know today as the transfiguration.

Descending from the mountain, Jesus told the disciples not to tell anyone what they’d seen until He’d risen (V. 9). But they didn’t even know what He meant by “rising from the dead” (V. 10).

The disciples’ understanding of Jesus was woefully incomplete, because they couldn’t conceive of a destiny that included His death and resurrection. But eventually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resurrected Lord would utterly transform their lives. Late in his life, Peter described his encounter with Christ’s transfiguration as the time when the disciples were first “eyewitnesses of his majesty” (2 PETER 1:16).

As Professor Ordway and the disciples learned, when we encounter the power of Jesus we touch a “live wire.” There’s something happening here. The living Christ beckons u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RK 9:2–10
We were eyewitnesses of his majesty.
[ 2 PETER 1:16 ]

What are some of your “live wire” experiences: moments when you encountered God in a radically new way?
How has your knowledge of Him changed over time?

Father, when we approach You in prayer, we come to what we don’t comprehend. Forgive us for taking for granted the majesty of Your presence.

오늘의 말씀

03/03/2020     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8-30; 마가복음 8:22-38
찬송가: 391(통446)

너무도 잘 알고 계심

“지금 바로 나가야 합니다. 저 위에 계신 누군가가 당신을 지켜주고 계셨네요.” 견인차 운전사가 우리 어머니의 차를 가파른 산골짜기 가장자리에서 끌어내고 사고지점까지 이어진 타이어자국을 살펴본 후 어머니에게 한 말이었습니다. 그때 어머니는 나를 임신하고 있었습니다. 내가 자라는 동안 어머니는 종종 그날 하나님께서 우리 두 사람을 구해주신 이야기를 들려주시며, 하나님은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나를 귀하게 여기셨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셨습니다.

우리 중 그 누구도 모든 것을 알고 계신 창조주의 눈길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2,500년보다도 더 이전에, 그분은 예레미야 선지자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너를 모태에 짓기 전에 너를 알았노라”(예레미야 1:5). 누구보다도 우리를 더 자세히 아시는 하나님은 다른 어느 누구도 주지 못하는 삶의 목적과 의미를 우리에게 주십니다. 그분은 지혜와 권능으로 우리를 지으셨을 뿐 아니라, 우리가 존재하는 모든 순간을 지켜주고 계십니다. 우리 심장의 박동에서부터 우리 뇌의 복잡한 기능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해도 매 순간 일어나는 개인적인 크고 작은 일들을 지켜주십니다. 우리 존재의 모든 면을 함께 주관하시는 하나님 아버지를 떠올리면서 다윗은 이렇게 부르짖었습니다. “하나님이여 주의 생각이 내게 어찌 그리 보배로우신지요” (시편 139:17).

하나님은 우리가 이제 막 내쉰 숨결보다도 더 가까이 계십니다. 그분은 우리를 지으셨고 우리를 아시며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우리의 예배와 찬양을 받으시기에 언제나 합당하신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1-8
내가 너를......짓기 전에 너를 알았고
[예레미야 1:5]

이 시간 하나님의 보살핌의 어떤 면에 대해 하나님을 찬양하고 싶으십니까? 오늘 누군가를 대할 때 하나님께서 그들을 보살피신다는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그들을 격려할 수 있을까요?

놀라우신 하나님, 저를 붙들어 주시고 하루의 매 순간을 감당케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03/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8–30; MA R K 8:22–38
Hymn: 391(old446)

FULLY KNOWN

“You shouldn’t be here right now. Someone up there was looking out for you,” the tow truck driver told my mother after he had pulled her car from the edge of a steep mountain ravine and studied the tire tracks leading up to the wreck. Mom was pregnant with me at the time. As I grew, she often recounted the story of how God saved both our lives that day, and she assured me that God valued me even before I was born.

None of us escape our omniscient (all-knowing) Creator’s notice. More than 2,500 years ago He told the prophet Jeremiah, “Before I formed you in the womb I knew you” (JEREMIAH 1:5). God knows us more intimately than any person ever could and is able to give our lives purpose and meaning unlike any other. He not only formed us through His wisdom and power, but He also sustains every moment of our existence— including the personal details that occur every moment without our awareness: from the beating of our hearts to the intricate functioning of our brains. Reflecting on how our heavenly Father holds together every aspect of our existence, David exclaimed, “How precious to me are your thoughts, God!” (PSALM 139:17).

God is closer to us than our last breath. He made us, knows us, and loves us, and He’s ever worthy of our worship and praise. JAMES BANKS

Today's Reading

JEREMIAH 1:1–8
Before I formed you . . . I knew you.
[ JEREMIAH 1:5 ]

For what aspect of God’s care would you like to praise Him this moment? How can you encourage someone with the thought that He cares for them today?

You’re amazing, God! Thank You for holding me up and getting me through every moment of the day.

오늘의 말씀

03/02/2020     월요일

성경읽기: 민수기 26-27; 마가복음 8:1-21
찬송가: 537 (통329)

떠나라는 부르심

젊었을 때, 나는 고등학교 때부터 사귀었던 남자친구와 결혼하리라고 생각하고 있다가 그만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나의 미래가 허무하게 눈 앞에서 사라졌고, 앞으로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마침내 나는 하나님께서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써 하나님을 섬기도록 나를 인도하신다는 것을 깨닫고 신학교에 등록했습니다. 그러자 고향, 친구 및 가족들과 헤어져야만 하는 현실이 눈 앞에 다가왔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 나는 떠나야 했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 해변을 걸으시다가 베드로와 그의 형제 안드레가 그들의 생업인 고기잡이를 하느라 바다에 그물을 던지는 것을 보시고, 그들에게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를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마태복음 4:19)고 부르셨습니다. 그리고 다른 두 명의 어부, 야고보와 그의 형제 요한을 보시고 그들도 비슷하게 부르셨습니다(21절).

이 제자들이 예수님을 따랐을 때 그들 역시 무언가를 버리고 따랐습니다. 베드로와 안드레는 “그물은 버려 두었고”(20절), 야고보와 요한은 “배와 아버지를 버려 두고 예수를 따랐습니다”(22절). 누가는 그것을 이렇게 기술했습니다. “그들이 배를 육지에 대고 ‘모든 것’을 버려 두고 예수를 따르니라”(누가복음 5:11).

예수님의 부르심은 모두다 그물이나 배, 아버지, 친구들, 집 같은 다른 무언가로부터 떠나라는 부르심을 포함합니다. 하나님은 그분과 관계를 맺도록 우리 모두를 부르시고, 그런 다음 그분을 섬기도록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따로 부르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4:18-22
그들이 곧 그물을 버려 두고 예수를 따르니라
[마태복음 4:20]

왜 하나님은 우리를 부르실 때 다른 무언가를 버리라고 하십니까? 무언가를 버림으로써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 제가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02/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6–27; MA R K 8:1–21
Hymn: 537 (old 329)

A CALL TO LEAVE

As a young woman, I imagined myself married to my high school sweetheart—until we broke up. My future yawned emptily before me and I struggled with what to do with my life. At last I sensed God leading me to serve Him by serving others and enrolled in seminary. Then the reality crashed through that I’d be moving away from my roots, friends, and family. In order to respond to God’s call, I had to leave.

Jesus was walking beside the Sea of Galilee when He saw Peter and his brother Andrew casting nets into the sea, fishing for a living. He invited them to “Come, follow me . . . and I will send you out to fish for people” (MATTHEW 4:19). Then Jesus saw two other fishermen, James and his brother John, and offered them a similar invitation (V. 21).

When these disciples came to Jesus, they also left something. Peter and Andrew “left their nets” (V. 20). James and John “left the boat and their father and followed him” (V. 22). Luke puts it this way: “So they pulled their boats up on shore, left everything and followed him” (LUKE 5:11).

Every call to Jesus also includes a call from something else. Net. Boat. Father. Friends. Home. God calls all of us to a relationship with Himself. Then He calls each of us to serve.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MATTHEW 4:18–22
At once they left their nets and followed
him. [ MATTHEW 4:20 ]

How could God’s call to follow Him also call you from something else? In what ways can you trust Him with what you may be leaving?

Loving God, help me understand what I might need to leave in order to respond to Your call.

오늘의 말씀

03/01/2020     주일

성경읽기: 민수기 23-25; 마가복음 7:14-37
찬송가: 360 (통402)

하나의 목표와 목적

2018년 지구력 운동선수인 콜린 오브래디는 지금까지 그 누구도 시도해 보지 않았던 도보 모험을 감행하였습니다. 보급품 썰매를 앞에서 끌면서 오브래디는 54일에 걸쳐 홀로 932마일(1500 킬로미터)의 남극대륙을 횡단한 것입니다. 그것은 헌신과 용기로 이룩한 역사에 남을 여정이었습니다.

오브래디는 얼음과 추위 속에서 그 엄청난 장거리를 홀로 보낸 시간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그 시간 내내 전력을 다해 몰입하여 깊은 평정심을 유지하는 동시에, 오직 최종 목표에 집중하면서 마음 속으로 이 여정이 내게 주는 심오한 교훈들을 하나 하나 곱씹어 보았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에게는 그 말이 공감이 갑니다. 신앙인으로서 우리의 소명과 상당히 닮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즉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영화롭게 하며) 그분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타내며 살아가는데 삶의 목표를 집중하는 것 말입니다. 여러 가지 위험한 인생여정을 겪었던 바울은 사도행전 20장 24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달려갈 길과 주께 받은 사명 곧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을 마치려 함에는 나의 생명조차 조금도 귀한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노라.”

우리가 예수님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갈 때, 우리가 알고 있는 삶의 목적을 잘 인식하고 우리 구주와 대면할 그 날까지 정진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0:17-24
내가 달려갈 길과 주 예수께 받은 사명......을 마치려 함에는 [사도행전 20:24]

예수님과의 관계가 매일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예수님을 향한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타내기 위해 오늘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살아갈 때 우리가 하는 모든 일에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소서.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과 동행하도록 그들을 권면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01/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NUMBERS 23–25; MA R K 7:14–37
Hymn: 360 (old 402)

A GOAL AND A PURPOSE

In 2018, endurance athlete Colin O’Brady took a walk that had never been taken before. Pulling a supply sled behind him, O’Brady trekked across Antarctica entirely alone—a total of 932 miles in 54 days. It was a momentous journey of dedication and courage.

Commenting on his time alone with the ice, the cold, and the daunting distance, O’Brady said, “I was locked in a deep flow state [fully immersed in the endeavor] the entire time, equally focused on the end goal, while allowing my mind to recount the profound lessons of this journey.”

For those of us who have put our faith in Jesus, that statement might strike a familiar chord. It sounds a lot like our calling as believers: focused on the goal of walking through life in a way that glorifies (honors) God and reveals Him to others. In Acts 20:24, Paul, no stranger to dangerous journeys, said, “I consider my life worth nothing to me; my only aim is to finish the race and complete the task the Lord Jesus has given me—the task of testifying to the good news of God’s grace.”

As we walk on in our relationship with Jesus, may we recognize what we know about the purpose for our journey and press on to the day we’ll see our Savior face to face. DAVE BRANON

Today's Reading

ACTS 20:17–24
My only aim is to finish the race and complete the task the Lord Jesus has given me. [ ACTS 20:24 ]

How does your relationship with Jesus affect your walk in life? What can you do today to reveal to others your love for Him?

Dear heavenly Father, as we walk through life, help us to honor You in all we do. And may we encourage others to journey with You.

오늘의 말씀

02/29/2020     토요일

성경읽기: .
찬송가: 428(통 488)

비밀

가끔 내 고양이 히드클리프가 심한 포모(Fear of Missing Out 상실 공포감)에 걸려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 때가 있습니다. 내가 식료품을 사가지고 집에 오면 히드클리프는 무얼 사왔는지 보려고 달려옵니다. 야채를 다듬고 있으면 뒷발로 몸을 세우고 서서 야채를 쳐다보며 자기도 좀 달라고 구걸합니다. 하지만 정작 그가 좋아함직한 음식을 주면, 금방 흥미를 잃어버리고 기분 나쁘다는 듯이 가 버립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만일 이 꼬마 친구를 야단친다면 그것은 내가 위선적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의 태도 에서 “현재”로는 결코 충분치 않다는 생각에 더 많은 것을 원하며 만족할 줄 모르는 나의 배고픔이 엿보이기 때문 입니다.

바울에 의하면, 만족이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배워야 하는 것입니다(빌립보서 4:11). 우리 자신도 무엇이든 만족을 얻는 것이라 생각하여 필사적으로 추구하다가, 만족을 얻지 못한다고 깨닫는 순간 다른 것으로 옮겨 갑니다. 그러다가 어떤 때는 우리에게 위협이 될지 모르는 어떤 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모습으로 불만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역설적이지만, 가끔은 진정한 즐거움에 빠져들기 위해서는 가장 무서워하는 것을 일부러 경험할 필요도 있습니다. 최악의 삶을 많이 경험했던 바울은 진정한 만족의 “비밀”을 직접 체험으로 증언할 수 있었습니다(11-12절). 신비로운 사실은, 온전해지고자 하는 갈망을 하나님께 올려드리면 그리스도의 능력과 아름다움과 은혜의 깊숙한 곳으로 더 깊이 들어가 설명하기 힘든 평강을 경험한다는 것입니다(6-7절).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0-19
나는......그 어떤 경우에도 스스로 만족하게 생각하는 비결을 배웠 습니다. 빌립보서 4:12, 현대인의 성경

전혀 기대하지도 않았을 때 신비한 평강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당신이 하나님께 올려드려야 할 절실한 바람이나 두려움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행복을 붙잡으려는 저의 시도를 내려놓고, 그 대신 하나님과 함께 하는 매 순간의 선물을 받아들일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29/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
Hymn: 428(old 488)

The Secret

Sometimes I suspect my cat Heathcliff suffers from a bad case of FOMO (fear of missing out). When I come home with groceries, Heathcliff rushes over to inspect the contents. When I’m chopping vegetables, he stands up on his back paws peering at the produce and begging me to share. But when I actually give Heathcliff whatever’s caught his fancy, he quickly loses interest, walking away with an air of bored resentment.

But it’d be hypocritical for me to be hard on my little buddy. He reflects a bit of my own insatiable hunger for more, my assumption that “now” is never enough.

According to Paul, contentment isn’t natural—it’s learned (PHILIPPIANS 4:11). On our own, we desperately pursue whatever we think will satisfy, moving on to the next thing the minute we realize it won’t. Other times, our discontent takes the form of anxiously shielding ourselves from any and all suspected threats.

Ironically, sometimes it takes experiencing what we’d feared the most in order to stumble into real joy. Having experienced much of the worst life has to offer, Paul could testify firsthand to “the secret” of true contentment (VV. 11–12)—the mysterious reality that as we lift up to God our longings for wholeness, we experience unexplainable peace (VV. 6–7), carried ever deeper into the depths of Christ’s power, beauty, and grace. MONICA BRANDS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0–19
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PHILIPPIANS 4:12

How have you experienced mysterious peace when you least expected it? What desperate longings or fears might you need to lift up to God?

Father, help me to surrender my attempts to secure my own happiness in exchange for embracing the gift of each moment with You.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