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3/19/2020 목요일
책 속에서 찾는 즐거움
책에서 즐거움과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은 책 중의 책인 성경을 통해서 더욱 확실해집니다. 나는 새로 임명된 이스라엘의 지도자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을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도록 위임하는 하나님의 지시 부분 (여호수아 1:8)을 읽을 때 성경에 더욱 빠져 듭니다.
앞날의 어려움을 아시는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내가 너와 함께 있을 것”(5절)이라고 확신시켜 주십니다. 하나님의 도움은 한편으로는 여호수아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면 올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이 율법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주야로 그것을 묵상하여 그 안에 기록된 대로 다 지켜 행하라”(8절)고 지시하십니다. 여호수아는 율법책을 가지고 있었지만,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며 자기 백성을 향한 그분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통찰력을 얻기 위해 규칙적으로 그 책을 읽을 필요가 있었습니다.
지금 가르침이나 진리, 혹은 격려가 필요하십니까? 우리가 시간을 내어 성경을 읽고 순종하고 그 속에서 양식을 찾는다면 성경의 각 페이지에 담겨 있는 모든 것을 음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디모데후서 3:16).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1:1-9이 율법책을 네 입에서 떠나지 말게 하며 주야로 그것을 묵상하여 [여호수아 1:8]
성경을 읽지 못하게 하는 가장 많은 문제거리가 무엇입니까?
이번 주에 어떻게 성경을 더 읽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성경을 통해 우리를 인도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어떤 식으로 말씀하시든 그 모든 것에서 더 많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19/2020 Thursday
DELIGHT IN THE BOOK
The idea that we can find enjoyment and help in a book is even more true for the book of books—the Bible. I see the encouragement to immerse oneself in Scripture in God’s instructions to Joshua, the newly appointed leader of Israel, commissioned to lead them into the land promised to the Israelites (JOSHUA 1:8).
Knowing the difficulty ahead, God assured Joshua, “I will be with you” (V. 5). His help would come, in part, through Joshua’s obedience to God’s commands. So God instructed him to “Keep this Book of the Law always on your lips; meditate on it day and night, so that you may be careful to do everything written in it” (V. 8). Although Joshua had the Book of the Law, he needed to regularly search it to gain insight and understanding into who God is and His will for His people.
Do you need instruction, truth, or encouragement for your day? As we take time to read, obey, and find nourishment through Scripture, we can savor all that’s contained in its pages (2 TIMOTHY 3:16).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JOSHUA 1:1–9Keep this Book of the Law always on your lips; meditate on it day and night. [ JOSHUA 1:8 ]
What are the most common issues that keep you from opening Scripture? How might you commit to reading more this week?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Your guidance through Scripture. Help us to desire more and more to hear from You in all the ways You speak.
오늘의 말씀
03/18/2020 수요일
죽음을 기다리는 기쁨
레이에게는 사형수 생활이 힘들었습니다. 다른 사형수들에게 전기의자가 사용될 때마다 교도소 불빛이 깜빡거렸는데, 그 일은 앞으로 자신에게 일어날 일을 암울하게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레이는 거짓말 탐지기 테스트를 통과했지만 그 결과는 무시되었습니다. 그것은 그의 사건에 대한 재심 결정이 나기 전까지 당했던 많은 부당한 일들 중 하나였습니다.
마침내 2015년 성금요일에 미국 대법원은 레이의 유죄판결을 뒤집었습니다. 그는 거의 30년 동안 사형수로 살아 왔습니다. 그런 그의 삶이야말로 하나님의 실재를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레이는 예수님을 믿는 믿음 때문에 시련 중에도 소망을 가질 수 있었으며(베드로전서 1:3-5), 불의 앞에서도 초자연적인 기쁨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8절). 레이는 풀려난 후에 “내가 가진 이 기쁨은 감옥에서 절대 빼앗을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 기쁨은 그의 믿음이 참된 것임을 증명해 주었습니다(7-8절).
사형수가 기뻐할 수 있다고요? 그것은 억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기쁨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살아 계시고 시련 중에 우리를 붙드시는 하나님을 가리켜 보여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3-9이제도 보지 못하나 믿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니 [베드로전서 1:8]
시련 중에 하나님의 기쁨을 경험했던 사람들을 떠올려 보십시오. 그들의 믿음의 특징이 무엇이었습니까? 바로 지금 억울함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기쁨을 전해줄 수 있을까요?
모든 소망의 하나님, 우리가 어떤 상황에도 하나님을 신뢰할 때 우리를 당신의 기쁨과 평화로 채워주소서. 하나님을 사랑합니다.
Daily Article
03/18/2020 Wednesday
DEATH ROW JOY
Life on death row was hard for Ray. Prison lights flickered whenever the electric chair was used for others, a grim reminder of what lay ahead. Ray passed a lie detector test but the results were ignored, one of many injustices he faced getting his case reheard.
Finally, on Good Friday 2015, Ray’s conviction was overturned by the US Supreme Court. He’d been on death row for nearly thirty years. His life is a testament to the reality of God. Because of his faith in Jesus, Ray had a hope beyond his trials (1 PETER 1:3–5) and experienced supernatural joy in the face of injustice (V. 8). “This joy that I have,” Ray said after his release, “they couldn’t ever take that away in prison.” Such joy proved his faith to be genuine (VV. 7–8).
Death row joy? That’s hard to fabricate. It points us to a God who exists even though He’s unseen and who’s ready to sustain us in our own ordeal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PETER 1:3–9Though you do not see him now, you believe in him and are filled with an inexpressible and glorious joy. [ 1 PETER 1:8 ]
Reflect on others who’ve experienced God’s joy in their ordeals. What have been the qualities of their faith? How can you bring God’s joy to someone facing injustice right now?
God of all hope, fill us with Your joy and peace as we trust in You despite our circumstances. We love You!
오늘의 말씀
03/17/2020 화요일
묻기도 전에
하나님께서 우리가 아는 그리고 사랑하는 그 어떤 사람보다도 우리를 잘 아시고 돌보신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위안이 됩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다가올 하나님의 나라에서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과 부드럽고 친밀한 관계를 갖게 될 거라고 설명합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그들이 부르기 전에 내가 응답하겠고 그들이 말을 마치기 전에 내가 들을 것”(이사야 65:24)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어떻게 그처럼 될 수 있을까요? 내게는 오래 동안 기도해 왔지만 아직 응답 받지 못한 것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나는 우리가 하나님과 가까워지고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의 마음과 통한다면 하나님의 때와 돌보심을 신뢰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럴 때 하나님이 바라시는 대로 우리도 바라게 됩니다. 우리가 기도할 때도 다른 어떤 것보다 이사야 65장에서 말하고 있는 하나님 나라에 속한 것들을 구하게 됩니다. 즉 슬픔이 끝나고(19절), 하나님의 모든 백성을 위한 안전한 거처와 풍족함과 헛되지 않은 수고(21-23절), 그리고 이 세상의 평화(25절)를 위해 간구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나라가 완전한 모습으로 임할 때, 하나님께서 이 기도들을 온전히 응답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5:17-25그들이 부르기 전에 내가 응답하겠고 그들이 말을 마치기 전에 내가 들을 것이며 [이사야 65:24]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이루는 일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요?
오늘 하나님께 무엇을 구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언제나 제 기도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저를 사랑하시며 부르심을 입은 자들을 위해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어가신다는 것을 믿습니다. 제 소원을 바꾸셔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저도 바라게 하소서.
Daily Article
03/17/2020 Tuesday
BEFORE YOU EVEN ASK
It’s comforting that God knows and cares for us even more than any person we know and love. When the prophet Isaiah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people in the coming kingdom, he describes a tender, intimate relationship. God says about His people, “Before they call I will answer; while they are still speaking I will hear” (ISAIAH 65:24).
But how can this be true? There are things I’ve prayed about for years without receiving a response. I believe that as we grow in intimacy with God, aligning our hearts with His, we can learn to trust in His timing and care. We can begin to desire what God desires. When we pray, we ask for—among other things—the things that are part of God’s kingdom as described in Isaiah 65: An end to sorrow (V. 19). Safe homes and full bellies and meaningful work for all people (VV. 21–23). Peace in the natural world (V. 25). When God’s kingdom comes in its fullness, God will answer these prayers completely.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ISAIAH 65:17–25Before they call I will answer; while they are still speaking I will hear. [ ISAIAH 65:24 ]
How might you participate in bringing God’s kingdom to earth?
What will you ask God for today?
God, thank You for always hearing my prayers. I trust that You love me and are working all things together for good for those whom You’ve called. Please transform my desires so that I want what You want.
오늘의 말씀
03/16/2020 월요일
놀라운 기술
다윗 왕은 훨씬 더 큰 경이로움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주께서 하시는 일이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시편 139:14). 사람의 능력이든 자연의 기묘함이든, 창조의 경이로움은 우리로 창조주의 위엄을 바라보게 합니다.
언젠가 우리가 하나님 앞에 설 때, 각각 여러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이 모여 이렇게 하나님을 경배할 것입니다. “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권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요한계시록 4:11).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놀라운 재능과 하나님의 창조의 위대한 아름다움은 그분을 경배할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7-16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주께서 하시는 일이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
[시편 139:14]
당신은 하나님의 창조 중 어떤 부분 때문에 그분을 경배합니까?
하나님이 당신에게 주신 재능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하고 찬양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참으로 경이로우신 하나님! 어디서나 당신의 흔적을 봅니다. 그리고 창조하신 모든 것을 보며 감사를 드립니다.
Daily Article
03/16/2020 Monday
AMAZING SKILL
King David expressed an even greater sense of wonder when he wrote, “Thank you for making me so wonderfully complex! Your workmanship is marvelous—how well I know it” (PSALM 139:14 NLT). Whether in people’s abilities or nature’s marvels, the wonders of creation point us to the majesty of our Creator.
One day, when we’re in God’s presence, people from every generation will worship Him with the words, “You are worthy, our Lord and God, to receive glory and honor and power, for you created all things, and by your will they were created and have their being” (REVELATION 4:11). The amazing skills God gives us and the great beauty God has created are ample reason to worship Him.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139:7–16I praise you because I am fearfully and wonderfully made; your works are wonderful, I know that full well.
[ PSALM 139:14 ]
What parts of God’s creation cause you to respond in worship?
Why is it important for you to thank and praise God for the skills He’s given you?
How wonderful You are, God! I see Your fingerprints everywhere. Thank You for all that You’ve made.
오늘의 말씀
03/15/2020 주일
치료비가 완불되었습니다
성경에는 하나님의 재화를 나누는 말씀이 많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약속의 땅에 들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가르치면서, 하나님께 먼저 드리고(신명기 26:1-3 참조),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 같이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라고(12절) 말했습니다. 그들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15절)에 살았기 때문에 궁핍한 자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어야 했습니다.
우리 역시 크든 작든 우리의 물질을 함께 나눔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전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질이 했던 것과 꼭같이 개인적으로 그렇게 베풀 수 있는 기회가 없을지 몰라도,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누구인지 그리고 어떻게 베풀어야 할지 알려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26:12-15그것을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에게 주어
[신명기 26:12]
질의 선행으로 퇴원한 환자들이 어떤 느낌을 가졌을까요?
뜻밖의 은혜의 선물을 경험했을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했습니까?
하나님, 궁핍한 자들을 돌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와 가깝거나 먼 사람들의 물질적, 영적 필요에 눈을 뜨게 하시고, 제가 어떻게 해야 할지 알려주소서.
Daily Article
03/15/2020 Sunday
THE BILL IS PAID
The theme of giving from God’s bounty pulses throughout the Bible. For instance, when Moses instructed the Israelites on how to live in the Promised Land, he told them to give back to God first (SEE DEUTERONOMY 26:1–3) and to care for those in need—the foreigners, orphans, and widows (V. 12). Because they dwelled in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V. 15), they were to express God’s love to the needy.
We too can spread God’s love through sharing our material goods, whether big or small. We might not have the opportunity to personally give exactly like Zeal did, but we can ask God to show us how to give or who needs our help.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DEUTERONOMY 26:12–15You shall give it to the Levite, the foreigner,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 DEUTERONOMY 26:12 ]
How do you think the patients felt who were released because of Zeal?
If you’ve experienced an unexpected gift of grace, how did you respond?
God, thank You for caring for those in need. Open my eyes to the material and spiritual needs of those near and far to me, and help me to know how to respond.
오늘의 말씀
03/14/2020 토요일
생명보다 나은 것
메리가 그렇게 하나님을 찬양하기 오래 전에 다윗은 시편 63편을 썼습니다. 그 시편 앞머리에 “그가 황폐한 유다 땅에 거하고 있을 때” 그 시편을 썼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누구도 바라지 않을 절망스럽기까지 한 상황 속에서도 다윗은 하나님 안에서 소망을 갖고 낙망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내가 간절히 주를 찾되 물이 없어 마르고 황폐한 땅에서 내 영혼이 주를 갈망하며”(1절).
당신은 어쩌면 분명한 방향도 모르고 가진 것도 별로 없는 어려운 지경에 놓여있을지 모릅니다. 난감한 상황으로 혼란스러울 수 있겠지만, 우리를 사랑하시고(3절), 만족시키시며(5절), 우리를 도우시고(7절), 오른손으로 우리를 붙드시는(8절) 주님을 붙잡으면 우리는 실족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생명보다 나으므로, 우리는 메리와 다윗과 같이 하나님을 찬양하고 경외하는 입술로 우리의 만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3-5절).
오늘의 성구
시편 63:1-8주의 인자하심이 생명보다 나으므로 내 입술이 주를 찬양할 것이라 [시편 63:3]
삶이 “삭막한 지경”에 처해 있을 때 어떤 태도를 취하십니까? 시편 63편은 그런 지경에 잘 대처하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예수님, 주님의 사랑이 생명보다 나으므로 제 삶의 삭막하고 절박한 경우에도 주님을 찬양할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3/14/2020 Saturday
BETTER THAN LIFE
Long before Mary expressed her praise to God, David penned the words of Psalm 63. The heading of the psalm notes that David wrote it “when he was in the Desert of Judah.” Though in a less than desirable— even desperate—situation, he didn’t despair because he hoped in God. “You, God, are my God, earnestly I seek you; I thirst for you . . . in a dry and parched land where there is no water” (V. 1).
Perhaps you’ve found yourself in a place of difficulty, without clear direction or adequate resources. Uncomfortable situations can confuse us, but they need not derail us when we cling to the One who loves us (V. 3), satisfies us (V. 5), helps us (V. 7), and whose right hand upholds us (V. 8). Because God’s love is better than life, like Mary and David, we can express our satisfaction with lips that praise and honor God (VV. 3–5).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63:1–8Because your love is better than life, my lips will glorify you. [ PSALM 63:3 ]
How would you describe your attitude when you find yourself in a “desert season” of life? How can Psalm 63 help you to better prepare for such seasons?
Jesus, I’m so grateful that I can praise You in the dry, desperate times of my life because Your love is better than life!
오늘의 말씀
03/13/2020 금요일
두더지 잡기 게임
인생은 때때로 우리에게 그렇게 다가옵니다. 바울 사도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그는 “가난하게 사는 법도 알고,” 그러나 “그 어떤 경우에도 스스로 만족하게 생각하는 비결을 배웠다”(빌립보서 4:12, 현대인의 성경)고 말했습니다. 그의 비결은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13절)는 것입니다. 내가 특히 힘든 시기를 지나고 있을 때 어떤 안부 카드에 쓰여 있는 “여기에 없다면 어디에 있을까?”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 글은 내가 지금 이곳에서 만족하지 못할 때, 다른 상황에만 있다면 만족할 수 있을 텐데 라는 생각을 강렬하게 상기시켜 주는 문구였습니다.
예수님 안에서 안식을 누리는 법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요? 그것은 우리가 어느 것에 집중하는가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주님의 선하심에 대해 즐거워하고 감사하는 것, 신실하신 하나님 아버지에 대해 더 알아가는 것, 신뢰와 인내 속에서 성장해 가는 것, 인생은 내가 아니라 하나님에 관한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주님 안에서 만족하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그분께 기도하는 것 등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0-20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디모데전서 6:6]
당신은 삶의 어느 영역에서 만족하는 것을 배워야 할 필요가 있습니까?
당신의 초점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하나님, 당신은 선하시고 하시는 모든 일이 선합니다. 하나님 안에서 만족하는 법을 가르쳐 주소서. 제가 배우기를 원합니다.
Daily Article
03/13/2020 Friday
WHACK-A-MOLE
Life comes at us like that at times. The apostle Paul certainly could relate. He said, “I know what it is to be in need,” yet he’d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PHILIPPIANS 4:12). His secret? “I can do all this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V. 13). When I was going through a particularly discontented time, I read this on a greeting card: “If it isn’t here, where is it?” That was a powerful reminder that if I’m not content here and now, what makes me think I’d be if only I were in another situation?
How do we learn to rest in Jesus? Maybe it’s a matter of focus. Of enjoying and being thankful for the good. Of learning more about a faithful Father. Of growing in trust and patience. Of recognizing that life is about God and not me. Of asking Him to teach me contentment in Him. - ANNE CETAS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0–20Godliness with contentment is great gain.
[ 1 TIMOTHY 6:6 ]
In what areas of your life do you need to grow in contentment?
How might you change your focus?
God, You are good and all You do is good. Teach me contentment in You. I want to learn.
오늘의 말씀
03/12/2020 목요일
모든 기회
대부분의 휴대폰 게임과는 달리 이 게임을 하려면 움직여야 합니다. 당신이 가는 곳 어디나 게임의 무대가 됩니다. 그 결과, 나는 아주 많이 걷고 있습니다! 아들과 함께 게임을 할 때면 주변에서 불쑥 튀어나오는 생물들을 잡을 수 있는 모든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고 최선을 다합니다.
이용자들을 현혹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임에 몰두하거나, 심지어 중독되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이 게임을 하면서 나는 ‘내 주변의 영적 기회들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고 있는가?’ 하는 자책감이 들었습니다.
바울은 일상에서 일어나는 하나님의 일에 깨어 있어야 할 필요성을 알고 있었습니다. 골로새서 4장에서 그는 복음을 전할 기회를 열어주시도록 기도를 부탁했습니다(3절). 그러고는 “믿지 않는 사람들을 대할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기회를 최대한 이용하십시오”(5절, 현대인의 성경)라고 도전하였습니다. 바울은 골로새 성도들이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할 수 있는 어떤 기회도 놓치지 않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려면 진심으로 그들의 필요를 돌아보고, “항상 은혜 가운데서”(6절) 그들을 도와야 했습니다.
이 세상에는 게임 속 가상의 용들보다 우리의 시간과 관심을 끄는 것들이 훨씬 더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께로 향할 기회를 찾으면서 현실 세계의 모험으로 나아가라고 우리를 부르십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4:2-6믿지 않는 사람들을 대할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기회를 최대한 이용하십시오. [골로새서 4:5,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께서 예상치 않게 누군가를 사용하여 당신을 주님과 더 깊은 관계로 인도하신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평범한 일상 중에 누군가의 삶에 영향을 끼치도록 당신을 사용하신 적이 있습니까?
예수님, 제 주위에 있는 사람들 안에서 항상 일하심을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사랑과 은혜를 보일 수 있는 모든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2/2020 Thursday
EVERY OPPORTUNITY
It’s easy to focus on, even obsess over, a game that’s crafted to captivate users. But as I played the game, I was convicted with this question: Am I this intentional about maximizing the spiritual opportunities around me?
Paul knew the need to be alert to God’s work around us. In Colossians 4, he asked for prayer for an opportunity to share the gospel (V. 3). Then he challenged, “Be wise in the way you act toward outsiders;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V. 5). Paul didn’t want the Colossians to miss any chance of influencing others toward Christ. But doing so would require truly seeing them and their needs, then engaging in ways “full of grace” (V. 6).
In our world, far more things vie for our time and attention than a game’s imaginary dragons. But God invites us to navigate a real-world adventure, every day seeking opportunities to point to Him. - ADAM HOLZ
Today's Reading
COLOSSIANS 4:2–6Be wise in the way you act toward outsiders;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 COLOSSIANS 4:5 ]
When did God use someone in an unexpected way to bring you into deeper relationship with Him?
When has He used you to impact someone’s life during an ordinary day?
Jesus, thank You that You’re constantly at work in the people around me.
Help me to make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I have to demonstrate Your love and grace.
오늘의 말씀
03/11/2020 수요일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
어머니는 나에게 딸아이의 마음을 잘 어루만져주고, “하나님이 모든 것을 다 알고 계신다”고 위로해 주라고 했습니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다 알고 계신다는 것은 나도 알지만, ‘그것이 과연 딸에게 얼마나 위로가 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때 문득 하나님은 우리 삶 속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실 뿐만 아니라, 긍휼로 우리 마음을 살피시면서 그 일들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도 알고 계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나님은 “사소한 일”도 우리의 나이나 과거의 상처, 혹은 결핍의 상황에 따라 큰 일로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아십니다.
예수님은 한 가난한 과부가 성전의 연보궤에 동전 두 개를 넣었을 때 그 헌신과 그 마음의 진정한 크기를 보셨습니다. 주님은 “이 가난한 과부는 헌금함에 넣는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이 과부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마가복음 12:43-44)고 말씀하시며 그 동전이 그녀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설명하셨습니다.
그 과부는 자신의 형편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았지만 예수님은 남들이 아주 적은 헌금이라고 생각했던 동전이 그 과부에게는 희생이었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주님은 우리의 삶도 동일하게 바라보십니다. 주님의 한없는 이해심 가운데 위로를 얻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2:41-44그의 지혜가 무궁하시도다
[시편 147:5]
“작은” 문제로 상심하는 누군가에게 어떻게 공감하는 마음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께 우리의 문제들을 아뢸 때 어떻게 응답해주십니까?
하나님, 저를 온전히 아시고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삶에 대한 하나님의 무한한 지식을 묵상하며 주님의 위로를 느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3/11/2020 Wednesday
HE KNOWS ALL ABOUT IT
My mother advised me to listen closely to my daughter’s feelings and tell her, “God knows all about it.” I agreed that God knows everything, yet wondered, How will that be comforting? Then it occurred to me that God isn’t simply aware of the events in our lives—He compassionately sees into our souls and knows how they affect us. He understands that “little things” can feel like big things depending on our age, past wounds, or lack of resources.
Jesus saw the real size of a widow’s gift—and heart—as she dropped two coins into a temple collection box. He described what it meant for her as He said, “This poor widow has put more into the treasury than all the others. . . . [She put in] all she had to live on” (MARK 12:43–44).
The widow kept quiet about her situation but Jesus recognized that what others considered a tiny donation was a sacrifice to her. He seesour lives in the same way. May we find comfort in His limitless understanding.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MARK 12:41–44His understanding has no limit.
[ PSALM 147:5 ]
How might you show compassion to someone who is upset about a “small” problem? How does God respond when you tell Him about your problems?
God, thank You for knowing me completely and loving me.
Help me to feel Your comfort when I consider Your infinite knowledge of my life.
오늘의 말씀
03/10/2020 화요일
함께 나누며 실의를 극복하기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들이 나눠줄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하자 예수님은 그들이 가진 얼마 안 되는 먹을 것을 수천 배로 만드신 후 제자들에게 돌아서서 나누어줄 빵을 주셨습니다. 그것은 마치 “내가 말하지 않았느냐. 이제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았습니다(누가복음 9:13-16). 기적을 행하시는 주님은 종종 그 기적에 우리를 동참시키십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네 자신과 네가 가지고 있는 것을 내 손에 맡겨라. 너의 실의에 찬 삶. 너의 사정 이야기. 너의 연약함과 실패. 너의 고통과 괴로움을 내 손에 맡겨라. 내가 그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네가 보고 놀라리라.” 예수님은 우리의 부족함을 넘치게 채우실 수 있습니다. 주님은 우리의 약함을 통해 그분의 강함을 나타내십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9:11-17너희가 먹을 것을 주라
[누가복음 9:13]
당신은 어떤 실의를 경험하였습니까? 그 경험을 예수님께 드리고 그것으로 다른 사람들이 활기를 얻게 해 달라고 주님께 간구하면 어떨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나의 “부족함”을 가지고 “넘치는 것”으로 만들어 주소서.
나의 고통, 나의 실패, 나의 연약함을 더 나은 무엇으로 만들어 주소서.
Daily Article
03/10/2020 Tuesday
BROKEN TO BE SHARED
Jesus told His disciples to give the people something to eat. They’d protested that there was nothing to give; Jesus multiplied their meager supplies and then turned back to the disciples and gave them the bread, as if to say, “I meant it: You give them something to eat!” (LUKE 9:13–16). Christ will do the miraculous, but He often chooses to involve us.
Jesus says to us, “Place who you are and what you have in My hands. Your broken life. Your story. Your frailty and your failure, your pain and your suffering. Put it in My hands. You’ll be surprised what I can do with it.” Jesus knows that out of our emptiness, He can bring fullness. Out of our weakness, He can reveal His strength.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LUKE 9:11–17You give them something to eat.
[ LUKE 9:13 ]
What brokenness have you experienced? What would it look like to offer that experience to Jesus and ask Him to bring life to others from it?
Dear Jesus, take my “not enough” and make it “more than enough.”
Take my pain, my failure, and my frailty, and make it something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