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8/2020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3-5; 누가복음 14:25-35
찬송가: 543 (통342)

보살핌을 받음

집 청소 서비스 회사를 운영하는 데비는 사업의 성장을 위해 늘 많은 고객들을 찾고 있었습니다. 한번은 한 여성과 통화하다가 “지금 제가 암 치료 중이어서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없네요.”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때 데비는 “암 치료를 받는 여성은 누구도 소외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에게 무료로 집 청소 서비스를 해주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2005 년에 청소업체들이 암과 투병하는 여성들에게 청소 서비스를 무료로 해주는 비영리단체를 만들었습니다. 어느 여성 암 환자는 깨끗하게 청소된 자신의 집에 돌아오자 자신감이 솟아나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녀는 “그때 처음으로 나는 내가 암을 극복할 수 있다고 정말 믿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어려움을 만나도 돌봄과 도움을 받고 있다고 느끼면 견뎌낼 수 있습니다. 특히 하나님이 함께 하시고 도와주신다는 것을 알 때 우리 영혼을 살리는 희망이 생기기도 합니다. 시련 중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시편 46편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은 피난처이시요 힘이시니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이시라......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내가 세계 중에서 높임을 받으리라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1, 10-11절).

하나님의 약속과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심을 기억하면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있고, 어려운 시기를 지날 때에도 용기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시편 46:11]

당신은 어떤 시련으로 하나님께 힘을 달라고 매달리고 있습니까? 어떤 성경구절이 도움이 되던가요?

약속해 주시고 함께 하시는 하나님, 감사합니다. 하나님과 또 나를 붙드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신뢰하며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8/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3–5; LUK E 14:25–35
Hymn: 543 (old 342)

BEING CARED FOR

Debbie, the owner of a housecleaning service, was always searching for more clients to build up her business. On one call she talked with a woman whose response was, “I won’t be able to afford that now; I’m undergoing cancer treatment.” Right then Debbie decided that “no woman undergoing cancer treatment would ever be turned away. They would even be offered a free housecleaning service.” So in 2005 she started a nonprofit organization where companies donated their cleaning services to women battling cancer. One such woman felt a rush of confidence when she came home to a clean house. She said, “For the first time, I actually believed I could beat cancer.”

A feeling of being cared for and supported can help sustain us when we’re facing a challenge. An awareness of God’s presence and support can especially bring hope to encourage our spirit. Psalm 46, a favorite of many people going through trials, reminds us: “God is our refuge and strength,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and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 . . I will be exalted in the earth.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VV. 1, 10–11).

Reminding ourselves of God’s promises and His presence with us can be a means to help renew our hearts and give us the courage and confidence to go through hard times. ANNE CETAS

Today's Reading

PSALM 46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 PSALM 46:11 ]

For what trials are you depending on God for strength? What Bible verses help you?

I’m grateful, God, for Your presence and Your promises. May I live out an attitude of confidence in You and Your ability to sustain me.

To learn more about why life can sometimes feel unfair, visit bit.ly/2YeZilB.

오늘의 말씀

04/17/2020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하 1-2; 누가복음 14:1-24
찬송가: 377 (통451)

도울 수 있는 힘

뉴욕시의 한 교회에서 위기관리 직원으로 일하고 있는 조의 8주 간의 “휴식”은 휴가가 아니었습니다. 그에 의하면 이 휴식은 “노숙자들과 다시 살면서 그들처럼 되고, 배고픔, 피곤함, 잊혀짐이 어떤 느낌인지를 기억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조가 처음으로 잠시 거리에서 살았던 경험은 직장도 머무를 곳도 없이 피츠버그에서 이곳으로 왔던 9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는 13일 동안 거의 먹지도 못하고 잠도 잘 못 자면서 거리에서 지냈습니다. 하나님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사역을 수십 년 동안 할 수 있도록 그렇게 그를 준비시키셨습니다.

예수님도 이 땅에 오셨을 때 그가 구원하려고 했던 사람들과 같은 경험을 하셨습니다. “자녀들은 혈과 육에 속하였으매 그도 또한 같은 모양으로 혈과 육을 함께 지니심은 죽음을 통하여 죽음의 세력을 잡은 자 곧 마귀를 멸하시며” (히브리서 2:14). 탄생부터 죽음까지 그리스도의 인간으로서의 경험은 죄를 빼고는 하나도 빠뜨린 것이 없었습니다(4:15). 그가 죄를 이기셨기 때문에 우리가 죄의 유혹을 받을 때 우리를 도와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우리가 세상에서 겪는 문제들을 다시 경험할 필요가 없으십니다. 우리를 구원하시는 분은 언제나 우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에게 깊은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인생에 무슨 일이 일어나든지, 우리의 가장 큰 대적인 마귀로부터 우리를 구원하신 이가(2:14)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때에 우리를 도와주실 준비가 되어 있음을 우리는 확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2:14-18
그가 시험을 받아 고난을 당하셨은즉 시험 받는 자들을 능히 도우실 수 있느니라 [히브리서 2:18]

예수님이 우리와 같이 되어 우리를 도우시려고 인간이 되셨다는 사실이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이 인생의 계절을 지날 때 주님이 “우리 입장이 되셨다”는 사실이 어떤 도움을 줍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삶의 모든 영역에서 도우실 준비가 되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7/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SAMUEL 1–2; LUK E 14:1–24
Hymn: 377 (old 451)

ABLE TO HELP

Joe’s eight-week “break” from his job as a crisis care worker at a New York City church was not a vacation. In his words, it was “to live again among the homeless, to become one of them, to remember what hungry, tired, and forgotten feel like.” Joe’s first stint on the streets had come nine years earlier when he arrived from Pittsburgh without a job or a place to stay. For thirteen days he lived on the streets with little food or sleep. That’s how God had prepared him for decades of ministry to needy people.

When Jesus came to earth, He also chose to share the experiences of those He came to save. “Since the children have flesh and blood, he too shared in their humanity so that by his death he might break the power of him who holds the power of death—that is, the devil” (HEBREWS 2:14). From birth to death, nothing was missing from Christ’s human experience—except sin (4:15). Because He conquered sin, He can help us when we’re tempted to sin.

And Jesus doesn’t need to reacquaint Himself with our earthly cares. The One who saves us remains connected to us and is deeply interested in us. Whatever life brings, we can be assured that the One who rescued us from our greatest foe, the devil (2:14), stands ready to help us in our times of greatest need.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HEBREWS 2:14–18
Because he himself suffered when he was tempted, he is able to help those who are being tempted. [ HEBREWS 2:18 ]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that Jesus became one of us to identify with us and help us? What difference does knowing that He “walked in our shoes” make during this season in your life?

Father, help me to remember that You’re ready to help me in all areas of my life.

오늘의 말씀

04/16/2020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30-31; 누가복음 13:23-35
찬송가: 200 (통235)

하나님을 향한 갈망

예수님을 처음 믿게 된 어떤 사람이 정말 간절한 마음으로 성경을 읽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폭발 사고로 시력과 양손을 이미 잃어버렸습니다. 그는 브라유 점자를 입술로 읽는 한 여성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도 따라해 보았지만 입술의 말초신경마저 손상된 사실만 알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혀의 감각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는 기쁨이 넘쳤습니다! 드디어 성경을 읽고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 것입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도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을 때 기쁨과 즐거움을 느꼈습니다. 그는 “내가 주의 말씀을 얻어 먹었사오니 주의 말씀은 내게 기쁨과 내 마음의 즐거움”(예레미야 15:16)이라고 했습니다. 여호와의 말씀을 멸시한 유다 백성들(8:9)과는 달리 예레미야는 말씀 안에서 순종하고 기뻐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순종 때문에 선지자는 자기 백성들에게 거절당하고 부당하게 박해 당하기도 했습니다(15:17).

우리 중에도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한때는 기쁨으로 성경을 읽었지만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 때문에 고난 받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거절당하기도 했을 것입니다. 그럴 때에는 우리의 혼란한 상황을 예레미야처럼 하나님께 가지고 나오면 됩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처음 선지자로 부르실 때 주셨던 약속을 거듭 말씀하심으로써 그에게 응답하셨습니다 (19-21절; 1:18-19 참조).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을 절대 실망시키지 않으신다는 것을 예레미야에게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우리도 이 같은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은 우리를 결코 버리지 않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5:15-21
내가 주의 말씀을 얻어 먹었사오니 주의 말씀은 내게 기쁨과 내 마음의 즐거움이오나 [예레미야 15:16]

언제 성경을 읽으면서 기쁨을 경험했습니까? 하나님을 향한 배고픔과 목마름을 회복하는 데 무엇이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신실하신 하나님, 성경말씀을 통해 저에게 말씀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진심으로 하나님을 찾고 충성하며 순종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6/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30–31; LUK E 13:23–35
Hymn: 200 (old 235)

HUNGRY FOR GOD

A new believer in Jesus was desperate to read the Bible. However, he’d lost his eyesight and both hands in an explosion. When he heard about a woman who read Braille with her lips, he tried to do the same—only to discover that the nerve endings of his lips had also been destroyed. Later, he was filled with joy when he discovered that he could feel the Braille characters with his tongue! He had found a way to read and enjoy the Scriptures.

Joy and delight were the emotions the prophet Jeremiah experienced when he received God’s words. “When your words came, I ate them,” he said, “they were my joy and my heart’s delight” (JEREMIAH 15:16). Unlike the people of Judah who despised His words (8:9), Jeremiah had been obedient and rejoiced in them. His obedience, however, also led to the prophet being rejected by his own people and persecuted unfairly (15:17).

Some of us may have experienced something similar. We once read the Bible with joy, but obedience to God led to suffering and rejection from others. Like Jeremiah, we can bring our confusion to God. He answered Jeremiah by repeating the promise He gave him when He first called him to be a prophet (VV. 19-21; SEE 1:18–19). God reminded him that He never lets His people down. We can have this same confidence too. He’s faithful and will never abandon us.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JEREMIAH 15:15–21
When your words came, I ate them; they were my joy and my heart’s delight. [ JEREMIAH 15:16 ]

When have you experienced joy in reading the Scriptures? What can help you regain your hunger and thirst for God?

Faithful God, thank You for speaking to me through the words of the Bible. Help me to seek You earnestly and to obey You faithfully.

오늘의 말씀

04/15/2020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7-29; 누가복음 13:1-22
찬송가: 91 (통91)

연민에서 찬양으로

어린이들을 위한 외투 기부 행사에서 신이 난 아이들은 고마워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색깔과 몸에 맞는 옷들을 골랐습니다. 행사를 기획했던 사람은 새 외투 덕분에 아이들은 또래 친구들에게 인정도 받고 겨울학기 동안 출석률도 높아지며 자존감도 얻는다고 말했습니다.

바울 사도 또한 외투가 필요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디모데에게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겉옷을 가지고 오라”(디모데후서 4:13)고 편지했습니다. 차가운 로마 감옥에 갇혀 있던 바울은 온기 뿐 아니라 동역자도 필요했습니다. 그는 로마인 재판관 앞에 섰을 때 “나와 함께 한 자가 하나도 없고 다 나를 버렸다”고 한탄했습니다(16절). 이 위대한 선교사의 아픔이 담긴 솔직한 고백이 우리의 마음을 찌릅니다.

그러나 놀라웠던 그의 사역을 마치며 자신의 결론을 적은 마지막 서신의 끝에 가서 바울의 말은 연민에서 찬양으로 바뀝니다. 그는 “주께서 내 곁에 서”(17절) 계신다고 고백하는데 그의 말 이 우리의 마음을 사 로잡습니다. 바울은 이렇게 분명히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내 곁에 계셔서 나에게 힘을 주셨습니다. 그것은 나를 통하여 전도의 말씀이 완전히 전파되게 하시고, 모든 이방 사람이 그것을 들을 수 있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나를 사자의 입에서 건져내셨습니다”(17절, 새번역).

위기에 처해서 따뜻하게 해줄 옷이나 도움을 줄 가까운 친구들이 없다면 ‘하나님을 기억하십시오.’ 하나님은 신실하셔서 우리를 소생시키고 돌보며 건져주십니다. 왜 그러실까요? 바로 하나님의 영광과 그의 나라에서의 우리의 목적을 위해서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4:9-18
주께서 내 곁에 서서 나에게 힘을 주심은 [디모데후서 4:17]

당신의 삶에서 하나님의 크고 따뜻한 능력이 필요한 “추운”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하나님을 찬양할 때 당신의 관점이 어떻게 바뀝니까?

능력의 하나님, 인생의 상황이 우리를 힘들게 할 때 우리와 함께 하시며 우리에게서 찬양이 나오게 하시고 이겨낼 힘을 주소서.

Daily Article

04/15/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7–29; LUK E 13:1–22
Hymn: 91 (old 91)

FROM PITY TO PRAISE

At a coat drive for children, excited kids searched gratefully for their favorite colors and proper sizes. They also gained self-esteem, an organizer said, with new coats boosting their acceptance by peers and school attendance on winter days.

The apostle Paul seemed to need a coat, as well, when he wrote Timothy, “Bring the cloak that I left with Carpus at Troas” (2 TIMOTHY 4:13). Held in a cold Roman prison, Paul needed warmth but also companionship. “No one came to my support, but everyone deserted me,” he lamented, when he faced a Roman judge (V. 16). His words pierce our hearts with the honesty of this great missionary’s pain.

Yet in these final words of Paul’s last recorded letter—his closing thoughts after an astounding ministry—he moves from pity to praise. “But the Lord stood at my side,” he adds (V. 17), and his words rally our hearts. As Paul declared, “[God] gave me strength so that I might preach the Good News in its entirety for all the Gentiles to hear. And he rescued me from certain death” (V. 17 NLT).

If you’re facing a crisis, lacking even the right clothing for warmth or close friends to help, remember God. He’s faithful to revive, provide, and deliver. Why? For His glory and for our purpose in His kingdom.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2 TIMOTHY 4:9–18
But the Lord stood at my side and gave me strength. [ 2 TIMOTHY 4:17 ]

In what “cold” area of your life do you need God’s great and warming strength? As you praise Him, how does your outlook change?

Our strong God, when life’s circumstances overwhelm us, stand with us, stir our praise, giving us Your strength to overcome.

오늘의 말씀

04/14/2020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5-26; 누가복음 12:32-59
찬송가: 428 (통488)

치유의 말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의료진의 격려의 말은 환자가 질병에서 더 빨리 회복할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연구에 참여한 지원자들에게 가려움을 느끼도록 피부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시킨 후 의사로부터 치료될 거라는 장담을 받은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의 반응을 비교해 보는 간단한 실험을 해보았더니, 의사로부터 격려를 받은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불편함과 가려움이 덜했다고 합니다.

잠언서의 저자는 격려의 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선한 말은......뼈에 양약이 되느니라”(잠언 16:24)고 썼습니다. 말의 긍정적인 효과는 우리의 건강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지혜의 가르침에 주의를 기울이면, 우리가 노력할 때 번성할 가능성도 더욱 높아집니다(20절). 또한 격려는 현재 직면하고 있거나 미래에 마주하게 될지도 모를 도전들을 해결해 주기도 합니다.

우리는 왜, 혹은 얼마나 많은 지혜와 격려가 우리 일상 생활에 힘과 치유를 가져오는지 잘 모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이나 코치, 동료들의 환호와 지도를 통해 우리는 어려움을 견뎌내고 성공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도움을 얻습니다. 마찬가지로 성경은 우리가 시련을 만날 때 격려해 주며, 상상도 못할 상황에서도 견디도록 준비시켜 줍니다. 하나님, 하나님의 지혜로 우리를 강건하게 하시고, 우리의 삶에 두신 사람들에게 “선한 말”로 치유와 소망을 전할 수 있게 하소서.

오늘의 성구

잠언 16:20-24
선한 말은 꿀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 [잠언 16:24]

당신의 삶에서 누가 “선한 말”을 해주었습니까? 다른 사람들과 격려의 말을 서로 나누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치유와 소망을 주시는 아버지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4/14/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5–26; LUK E 12:32–59
Hymn: 428 (old 488)

HEALING WORDS

A recent study has shown that encouraging words from a health-care provider can help patients recuperate faster from their ailments. A simple experiment exposed volunteer study participants to a skin allergen to make them itch and then compared the reactions between those who received assurance from their physician and those who didn’t. Patients who received encouragement from their doctors had less discomfort and itching than their counterparts.

The writer of Proverbs knew how important encouraging words are. “Gracious words” bring “healing to the bones,” he wrote (PROVERBS 16:24). The positive effect of words isn’t limited to our health: when we heed the wisdom of instruction, we’re also more likely to prosper in our efforts (V. 20). So too encouragement buoys us for the challenges we face now and may encounter in the future.

We may not yet fully understand why or even how much wisdom and encouragement bring strength and healing to our daily lives. Yet the cheers and guidance of our parents, coaches, and colleagues seem to help us endure difficulty and steer us toward success. Similarly, the Bible brings us encouragement when we face trials, equipping us to bear up under even the most unthinkable circumstances. Help us, God, to be strengthened by Your wisdom and to, in turn, offer the healing and hope of “gracious words” to those You’ve placed in our lives.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ROVERBS 16:20–24
Gracious words are a honeycomb, sweet to the soul and healing to the bones. [ PROVERBS 16:24 ]

Who has spoken “gracious words” into your life? Why is it vital for you to share words of encouragement with others?

Dear Father, thank You for Your words of healing and hope.

오늘의 말씀

04/13/2020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22-24; 누가복음 12:1-31
찬송가: 312 (통341)

하나님을 추구함

꿈을 이루기 위한 사람들의 열정과 헌신을 볼 때면 감동이 됩니다. 최근에 내가 아는 어느 젊은 여성은 혼신의 노력 끝에 3년 만에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어떤 친구는 특별한 자동차를 원하여 그 목표를 이룰 때까지 케이크를 굽고 팔았습니다. 영업사원인 어떤 사람은 매주 100명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상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을 열심히 추구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우리가 추구해야 할 더 중요한 것이 있음을 생각해야 합니다.

다윗 왕은 사막에서 고군분투하며 절망 중에 이렇게 기록하였습니다. “하나님, 주님은 나의 하나님입니다. 내가 주님을 애타게 찾습니다”(시편 63:1, 새번역). 다윗이 하나님께 부르짖자 하나님은 지친 왕에게 가까이 다가오셨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다윗의 깊은 영적 갈증은 그분이 함께 하심으로써만 충족될 수 있었습니다.

다윗 왕은 “성소”에서 하나님을 만나(2절) 생명보다 나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며(3절) 매일매일 주를 송축하며 좋은 것으로 배불리 먹는 것 같은 진정한 만족을 그분 안에서 찾았던 것을(4-5절) 기억했습니다. 밤에도 그는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깊이 생각하며 하나님의 도우심과 보호하심을 깨달았습니다 (6-7절).

오늘날 성령님은 우리에게 하나님을 전심으로 찾으라고 권하십니다. 하나님께 매달릴 때 하나님은 권능과 사랑으로 우리를 그분의 강한 오른손으로 붙들어 주십니다. 성령님의 인도로 모든 좋은 것을 창조하신 그분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3:1-8
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라 내가 간절히 주를 찾되 [시편 63:1]

성령께서 어떻게 하나님을 찾게 하셨습니까?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기 위해 이번 주에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하나님을 찾고, 더 잘 알게 하시며, 더 사랑하게 하시고,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알도록 인도하시니 감사합니다. 제 삶에 함께 하시는 하나님, 정말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4/13/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22–24: LUK E 12:1–31
Hymn: 312 (old 341)

SEEKING GOD

It’s inspiring to watch people’s passion and dedication in pursuing their dreams. A young woman I know recently graduated from college in just three years—a task that took total commitment. A friend wanted a particular car, so he worked diligently baking and selling cakes until he reached his goal. Another person who’s in sales seeks to meet one hundred new people every week.

While it can be good to earnestly seek something of earthly value, there’s a more important kind of seeking that we must consider.

In desperation, struggling in a desert, King David wrote, “You, God, are my God, earnestly I seek you” (PSALM 63:1). As David cried out to Him, God drew close to the weary king. David’s deep spiritual thirst for God could only be satisfied in His presence.

The king remembered meeting with God in His “sanctuary” (V. 2), experiencing His all-conquering love (V. 3), and praising Him day after day—finding true satisfaction in Him that’s not unlike enjoying a full and satisfying meal (VV. 4–5). Even during the night he contemplated God’s greatness, recognizing His help and protection (VV. 6–7).

Today the Holy Spirit convicts us to earnestly seek after God. As we cling to Him, in power and love God holds us up with His strong right hand. By the leading of the Spirit, may we draw close to the Maker of all good things. DAVE BRANON

Today's Reading

PSALM 63:1–8
You, God, are my God, earnestly I seek you. [ PSALM 63:1 ]

How has the Holy Spirit been prompting you to seek God? What are some things you can do this week to grow closer to Him?

Thank You, God, for drawing me to seek after You. To know You better. To love You more. To recognize Your greatness. I’m so grateful for Your presence in my life.

오늘의 말씀

04/12/2020     주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9-21; 누가복음 11:29-54
찬송가: 293 (통414)

슬픔이 변하여

늑대에 관해 지식이 많은 감독 짐 더쳐와 제이미 더쳐에 따르면 늑대들은 기쁠 때에는 꼬리를 흔들며 뛰어논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무리 중 하나가 죽으면 몇 주 동안 슬퍼하는데, 동료가 죽은 곳을 찾아와 꼬리를 늘어뜨리고 슬피 울며 애도를 표한다고 합니다.

애통하는 것은 특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소중한 희망이 사라질 때 우리 모두가 경험하는 강한 감정입니다. 막달라 마리아도 그런 슬픔을 겪었습니다. 그녀는 주님을 따르는 무리에 속해 있었고 예수님과 그의 제자 들과 더불어 돌아다녔습니다(누가복음 8:1-3). 그러나 십자가 위에서의 주님의 처절한 죽음은 이제 그들을 산산히 흩어놓았습니다. 마리아가 할 수 있는 것은 안식일 때문에 하지 못했던, 장례를 위해 주님의 몸에 향료를 바르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러나 마리아가 무덤에 도착하여 생명이 없는 상한 몸이 아니라 살아 계신 구주를 보았을 때 그 느낌이 어떠했을지 상상해 보십시오! 마리아는 처음에 자기 앞에 서 있는 사람을 알아보지 못했지만, 그분이 자기 이름을 부르는 음성을 듣고 그분이 바로 예수님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 순간 슬픔은 기쁨으로 변했습니다. 마리아는 이제 “내가 주님을 보았어요!” (요한복음 20:18, 현대인의 성경) 라고 기쁜 소식을 전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어두운 이 세상에 자유와 생명을 전하려고 오셨습니다. 주님의 부활은 그가 시작한 일을 마침내 성취하셨다는 사실을 기리는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도 마리아처럼 주님의 부활을 기뻐하며 주님이 살아 계시다는 복된 소식을 전할 수 있습니다! 할렐루야!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11-18
내가 주를 보았다 [요한복음 20:18]

언제 슬픔이 기쁨으로 변하는 경험을 해보셨습니까? 이번 주에 주님의 부활의 소식을 어떻게 전하시겠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부활과 주님 안에서 누릴 수 있는 새 생명을 기뻐하며 찬양합니다.

Daily Article

04/12/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9–21; LUK E 11:29–54
Hymn: 293 (old 414)

GRIEF OVERTURNED

According to Jim and Jamie Dutcher, filmmakers known for their knowledge of wolves, when happy, wolves wag their tails and romp about. But after the death of a pack member, they grieve for weeks. They visit the place where the pack member died, showing grief by their drooping tails and mournful howls.

Grief is a powerful emotion that we’ve all experienced, particularly at the death of a loved one or a treasured hope. Mary Magdalene experienced it. She had belonged to Christ’s supporters and traveled with Him and His disciples (LUKE 8:1–3). But His cruel death on a cross separated them now. The only thing left for Mary to do for Jesus was to finish anointing His body for burial—a task the Sabbath had interrupted. But imagine how Mary felt upon arriving at the tomb and finding not a lifeless, broken body but a living Savior! Though she hadn’t at first recognized the man standing before her, the sound of her name spoken by Him told her who He was—Jesus! Instantly, grief turned to joy. Mary now had joyful news to share: “I have seen the Lord!” (JOHN 20:18).

Jesus entered our dark world to bring freedom and life. His resurrection is a celebration of the fact that He accomplished what He set out to do. Like Mary, we can celebrate Christ’s resurrection and share the good news that He’s alive! Alleluia!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JOHN 20:11–18
I have seen the Lord! [ JOHN 20:18 ]

When have you experienced a time when your sadness turned to joy? How will you share the news of Christ’s resurrection this week?

Jesus, I celebrate Your resurrection and the new life I can experience in You.

오늘의 말씀

04/11/2020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7-18; 누가복음 11:1-28
찬송가: 151 (통138)

제거된 휘장

비행기가 순항속도에 이르러 승무원이 일등석을 막았던 커튼을 젖혔을 때 나는 비행기 안에 서로 크게 다른 구역이 있다는 것을 다시금 분명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어떤 승객들은 비행기에 먼저 탑승하고 일등석에서 다리를 뻗고 앉아 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습니다. 그 커튼을 보며 나는 그 같은 특별한 혜택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사람들을 부류에 따라 배타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많은 돈을 지불할 수 있는 능력 때문은 아니었지만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에서도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은 성전 바깥에서만 예배를 드릴 수 있었고, 그 안쪽으로는 여자들에게, 그리고 좀더 안쪽은 남자들에게 허용되었습니다. 하나님이 유일하게 자신을 드러내시는 지성소는 휘장이 쳐져 있고 오직 성별된 제사장 한 사람만이 일년에 한번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히브리서 9:1-10).

그러나 놀랍게도 이런 구분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누구든지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려 할 때 그것을 가로막는 어떤 장벽도, 심지어 우리의 죄마저도 예수님께서 완전히 제거해 주셨습니다(10:17). 그리스도께서 돌아가신 그 순간 성소의 휘장이 둘로 갈라진 것처럼(마태복음 27:50-51),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님의 몸이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것을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을 찢어버리셨습니다. 성도들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영광과 사랑을 체험하지 못하도록 하는 그 어떤 장벽도 이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9-25
우리가 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새로운 살 길이요......하나님께 나아가자 [히브리서 10:19-22]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이 당신이 예배하고 기도할 때 어떤 확신을 갖게 해줍니까? 그것 외에 주님의 죽으심이 성도들에게 무엇을 제공해줍니까?

예수님, 하나님을 간절히 찾는 모든 사람이 온전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도록 기꺼이 생명을 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4/11/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7–18; LUK E 11:1–28
Hymn: 151 (old 138)

CURTAINED OFF

As my flight reached cruising speed, the flight attendant pulled back the curtain that cordoned off first class, and I was given a startling reminder of the stark differences between areas on airplanes. Some travelers get to board first, enjoying premium seating with extra legroom and personalized service. The curtain was a humbling reminder of my separation from those perks.

Exclusionary distinctions between groups of people can be found throughout history, including, in a way, even God’s temple in Jerusalem, though not due to one’s ability to pay more. Non-Jewish people were only allowed to worship in the outer court. Next came the women’s court, and even closer, an area designated for men. Finally, the holy of holies, seen as the place where God uniquely revealed Himself, was concealed behind a curtain and only accessible to one consecrated priest each year (HEBREWS 9:1– 10).

But, wonderfully, this separation no longer exists. Jesus has completely eliminated any barriers that might hinder anyone seeking access to God—even our sin (10:17). Just as the temple curtain was torn in two at the moment of Christ’s death (MATTHEW 27:50–51), His crucified body has torn away all obstructions to God’s presence. There’s no barrier that need separate any believer from experiencing the glory and love of the living God. LISA M. SAMRA

Today's Reading

HEBREWS 10:19–25
Since we have confidence to enter the Most Holy Place . . . by a new and living way . . . let us draw near to God. [ HEBREWS 10:19–22 ]

How does the truth that Christ’s death provides access to God give you confidence when you worship and pray? What else does His death provide believers?

Jesus, thank You for being willing to die to open up full access to God to all who long for it.

오늘의 말씀

04/10/2020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5-16; 누가복음 10:25-42
찬송가: 150 (통135)

굳게 서기

아드리안과 그의 가족은 그들의 나라에서 예수님을 믿는 믿음 때문에 박해를 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그 같은 상황에서도 그리스도의 사랑을 증거합니다. 그는 예전에 테러범들이 교회를 훈련장으로 쓰던 시절에 생긴 총탄 자국이 선명한 교회 마당에 서서, “성 금요일인 오늘,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서 당하신 고난을 기억합니다.”라고 말합니다. 또 그는 그곳의 성도들은 고난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도 아드리안의 가족은 이렇게 말하며 그곳에 계속 머무르기로 선택합니다. “우리는 여전히 이곳에 굳게 서있을 것입니다.”

그곳의 성도들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것을 지켜본 여인들의 본을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마가복음 15:40). 막달라 마리아와 야곱과 요셉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살로메를 포함한 그 여인들은 반역자로 낙인찍힌 사람의 친구나 가족들은 조롱과 처벌을 받을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그 자리에 남아 있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과 함께 있는 것으로 그분을 향한 사랑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수님이 갈릴리에 계실 때 그를 “따르며 섬기던” (41절) 그들은 예수님이 가장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계실 때에도 주님과 함께 서 있었습니다.

우리의 가장 큰 선물인 구주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것을 기념하는 오늘, 우리가 온갖 종류의 시련을 당할 때 어떻게 예수님의 편에 설 수 있을지 잠시 시간을 내어 묵상해 보십시오(야고보서 1:2-4 참조). 그리고 세상 곳곳에서 믿음 때문에 박해를 당하는 성도들도 생각해 보십시오. 아드리안이 요청한 것처럼 “기도로 우리와 함께 서 있어 주지 않으시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5:33-41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견실하며 흔들리지 말고 [고린도전서 15:58]

당신이 사는 곳에서 그리스도의 편에 선다는 것은 어떤 모습입니까? 세상 곳곳에서 핍박 받는 성도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사랑의 구주시여, 주님은 우리의 죄를 사하시려 기꺼이 돌아가셨습니다. 그것을 기념하는 오늘 이 놀라운 선물에 더욱 깊은 감사의 마음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10/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5–16; LUK E 10:25–42
Hymn: 150 (old 135)

STANDING FIRM

In the country where they live, Adrian and his family suffer persecution for their faith in Jesus. Yet, through it all, they demonstrate Christ’s love. Standing in his church courtyard, which was pummeled by bullets when terrorists used it as training ground, he said, “Today is Good Friday. We remember that Jesus suffered for us on the cross.” And suffering, he continued, is something that believers there understand. But his family chooses to remain: “We’re still here, still standing.”

These believers follow the example of the women who stood watching as Jesus died on the cross (MARK 15:40). They—including Mary Magdalene, Mary the mother of James and Joseph, and Salome—were brave to remain, for friends and family members of an enemy of the state could be ridiculed and punished. Yet the women showed their love for Jesus by their very presence with Him. Even as they “followed him and cared for his needs” in Galilee (V. 41), they stood with Him at His hour of deepest need.

On this day when we remember the greatest gift of our Savior, His death on a cross, take a moment to consider how we can stand for Jesus as we face trials of many kinds (SEE JAMES 1:2–4). Think too about fellow believers around the world who suffer for their faith. As Adrian asked, “Can you please stand with us in your prayers?”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MARK 15:33–41
Stand firm. Let nothing move you. [ 1 CORINTHIANS 15:58 ]

What does standing for Christ look like in your neighborhood? How can you support persecuted believers around the world?

Loving Savior, You willingly died to save us from our sins. On this day of remembrance, give us a deeper sense of gratitude for this amazing gift.

오늘의 말씀

04/09/2020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3-14; 누가복음 10:1-24
찬송가: 435 (통492)

그 길에 머물러 있으라

내가 리 바오를 따라 중국 중부지방 산맥을 깎아 만든 계단식 성벽 정상을 따라 걸어가고 있을 때 땅거미가 지고 있었습니다. 초행길인데다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았고, 왼편으로 경사는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가파랐습니다. 침을 꿀꺽 삼키며 나는 리 바오 옆에 바짝 붙었습니다. 우리가 어디를 가고 있는지,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나는 내 친구를 믿었습니다.

당시 나의 상황은 매번 확신이 필요했던 제자 도마와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그들의 거처를 예비하기 위해 떠나야 한다고 말씀하시면서, “자신이 어디로 가는지 그 길을” 제자들이 알고 있다고 하셨습니다(요한복음 14:4). 그 말을 들은 도마는 아주 합리적인 후속 질문을 던집니다. “주여 주께서 어디로 가시는지 우리가 알지 못하거늘 그 길을 어찌 알겠사옵나이까”(5절).

예수님은 제자들을 어디로 데려가시겠다는 설명으로 도마의 의문을 해결해주지 않으시고, 그저 주님 자신이 그곳으로 가는 길이라고 도마에게 확인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그것으로 충분했습니다.

우리 역시 미래에 대한 의문들이 있습니다. 그 누구도 다가올 일을 알 수 없으며, 삶은 우리가 예측 못하는 우여곡절로 가득합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길이요 진리요 생명”(6절) 되시는 예수님을 아는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앞날을 아십니다. 주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우리가 주님과 가까이 동행하는 것뿐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1-7
주여 주께서 어디로 가시는지 알지 못하거늘 그 길을 어찌 알겠사옵나이까 [요한복음 14:5]

미래를 생각할 때 무엇이 가장 두렵습니까? 그 미래로 나아갈 때 예수님을 따르는 것만으로 충분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하나님 아버지, 여정 그 자체가 우리의 목적지이며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이 그 길 되심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04/09/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14; LUK E 10:1–24
Hymn: 435 (old 492)

STAY ON THE WAY

Dusk fell as I followed Li Bao along the tops of terraced walls cut into the mountains of central China. I had never been this way before, and I couldn’t see more than one step ahead or how steep the ground dropped off to our left. I gulped and stuck close to Li. I didn’t know where we were going or how long it would take, but I trusted my friend.

I was in the same position as Thomas, the disciple who always seemed to need reassurance. Jesus told His disciples that He must leave to prepare a place for them and that they knew “the way to the place where [He was] going” (JOHN 14:4). Thomas asked a logical follow-up question: “Lord, we don’t know where you are going, so how can we know the way?” (V. 5).

Jesus didn’t quench Thomas’s doubt by explaining where He was taking them. He simply assured His disciple that He was the way there. And that was enough.

We too have questions about our future. None of us know the details of what lies ahead. Life is full of twists we don’t see coming. That’s okay. It’s enough to know Jesus, who is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V. 6). Jesus knows what’s next. He only asks that we walk close to Him.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HN 14:1–7
Lord, we don’t know where you are going, so how can we know the way? [ JOHN 14:5 ]

What’s your biggest fear about your future? Why is it enough to follow Jesus into that future?

Father, help us see that the journey is the destination, and the way is Your Son.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