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18/2020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4-6; 요한복음 6:1-21
찬송가: 412 (통469)

평화의 선물

조지 H.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바바라 부시가 죽기 전 아들에게 말했습니다. “나는 예수님을 믿고 그분은 나의 구주시니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없단다.” 이 놀랍고 확신에 찬 진술은 그녀의 믿음이 강하고 뿌리가 깊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녀는 죽음에 직면했을 때에도 예수님을 아는 데서 오는 하나님의 평화의 선물을 경험한 것입니다. 1세기 때 예루살렘에 거주한 시므온 또한 예수님 때문에 아주 깊은 평화를 경험했습니다. 마리아와 요셉이 새로 태어난 남자아이를 위해 율법이 정한 할례를 행하려고 아기 예수님을 성전에 데려왔을 때, 시므온도 성령에 감동되어 그리로 갔습니다. 비록 시므온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누가복음의 설명을 통해 그는 오실 메시아를 성실하게 기다리는 의롭고 경건한 하나님의
특별한 사람이었으며, “성령이 그 위에 계셨던”(누가복음 2:25)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므온은 예수님을 보기 전까지는 온전한 성취감을 의미하는 ‘샬롬’(평화)을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시므온은 예수님을 팔에 안고 찬양의 노래를 부르며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만족을 표현했습니다. “주재여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 내 눈이 주의 구원을 보았사오니 이는 만민 앞에 예비하신 것이요”(29-31절). 그는 온 세상의 미래의 소망을 미리 보았기 때문에 평화를 맛볼 수 있었습니다. 약속된 구세주이신 예수님의 삶과 죽음, 그리고 부활을 기념할 때 우리는 하나님이 주시는 평화의 선물로 기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25-35
주재여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 내 눈이 주의 구원을 보았사오니 [누가복음 2:29-30]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평화의 선물이신 예수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수님을 아는데서 오는 이 깊은 만족감과 온전함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어떻게 오늘 하나님의 평화의 선물을 기뻐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18/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4–6; JOHN 6:1–21
Hymn: 412 (Old 469)

THE GIFT OF PEACE

“I believe in Jesus and He is my Savior, and I have no fear of death,” said Barbara Bush, the wife of former US President George H. W. Bush, to her son before she died. This incredible and confident statement suggests a strong and deep-rooted faith. She experienced God’s gift of peace that comes from knowing Jesus, even when faced with death.
Simeon, a resident of Jerusalem during the first century, also experienced profound peace because of Jesus. Moved by the Holy Spirit, Simeon went to the temple when Mary and Joseph brought baby Jesus to be circumcised as required by the law for a newborn boy. Although not much is known about Simeon, from Luke’s description one can tell he was a special man of God, just and devout, waiting faithfully for the coming Messiah, and “the Holy Spirit was on him” (LUKE 2:25). Yet Simeon did not experience shalom (peace), a deep sense of completeness, until he saw Jesus. While holding Jesus in his arms, Simeon broke into a song of praise, expressing full satisfaction in God: “You may now dismiss your servant in peace. For my eyes have seen your salvation, which you have prepared in the sight of all nations” (VV. 29–31). He had peace because he foresaw the future hope of the whole world. As we celebrate the lif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the promised Savior, may we rejoice in God’s gift of peace.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LUKE 2:25–35
You may now dismiss your servant in peace. For my eyes have seen your salvation. [ LUKE 2:29–30 ]

Dear Father, thank You for Jesus, Your gift of peace.

Have you experienced this deep sense of satisfaction and completeness that comes from knowing Jesus? How can you celebrate God’s gift of peace today?

오늘의 말씀

05/17/2020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1-3; 요한복음 5:25-47
찬송가: 197 (통178)

이름에 담긴 뜻

하나님의 시간에 맞추어 우리 아들 코피가 금요일에 태어났습니다. 아들의 이름은 금요일에 태어난 사내아이라는 뜻입니다. 우리는 그 이름을 가나 사람 친구인, 외아들을 잃어버린 목사의 이름을 따라 지었습니다. 그는 우리 코피를 위해 쉬지 않고 기도합니다. 우리에게 큰 영광입니다.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모르면 이름에 담긴 중요한 뜻을 놓치기가 쉽습니다. 누가복음 3장에서 우리는 요셉의 조상 가운데 있는 한 이름에 관한 놀라운 세부사항을 발견합니다. 족보는 요셉의 가계가 아담에게까지, 아니 하나님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38절). 31절을 보면 “그 위는 나단이요, 그 위는 다윗이요.” 나단? 아주 흥미롭습니다. 역대상 3장 5절에서 우리는 나단이 밧세바에게서 태어났다는 것을 보게 됩니다. 다윗이 밧세바의 아들을 나단이라고 이름 지은 것이 우연의 일치일까요? 배경 이야기를 기억하십시오. 밧세바는 결코 다윗의 아내가 되어서는 안 되었습니다. 선지자였던 다른 나단은 왕이 밧세바를 빼앗고 그녀의 남편을 살해하기 위해 자신의 권력을 남용한 것에 대해 용감히 맞섰습니다(사무엘하 12장 참조). 다윗은 선지자의 직설적인 질책을 받아들이고 그의 끔찍한 범죄를 회개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회복되면서 그는 자신의 아들의 이름을 나단이라고 지었을 것입니다. 그가 밧세바의 아들이었으며, 예수님의 이 땅의 아버지인 요셉의 조상 중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 아주 적절하지 않습니까(누가복음 3:23). 성경에서 우리는 잘 읽히지 않는 족보에 있는 모호한 이름 속에서조차 모든 것에 엮여 있는 하나님의 은혜를 계속 발견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어디에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3:31; 역대상 3:4-9
[예수는]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니 [누가복음 3:23]

사랑하는 하나님, 우리가 보는 곳곳마다 하나님의 은혜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살아오면서 어떤 의외의 곳에서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난 것을 보셨습니까? 하나님의 위대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떻게 그 이야기에서 은혜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17/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 JOHN 5:25–47
Hymn: 197 (Old 178)

WHAT’S IN A NAME?

In God’s timing, our son Kofi was born on a Friday, which is exactly what his name means—boy born on Friday. We named him after a Ghanaian friend of ours, a pastor whose only son died. He prays for our Kofi constantly. We’re deeply honored. It’s easy to miss the significance in a name if you don’t know the story behind it. In Luke 3, we find a fascinating detail about a name in the ancestry of Joseph. The genealogy traces Joseph’s line backward all the way to Adam and even to God (V. 38). In verse 31 we read: “the son of
Nathan, the son of David.” Nathan? That’s interesting. In 1 Chronicles 3:5 we learn that Nathan was born to Bathsheba. Is it coincidence that David named Bathsheba’s child Nathan? Recall the backstory. Bathsheba was never supposed to be David’s wife. Another Nathan—the prophet—bravely confronted the king for abusing his authority to exploit Bathsheba and murder her husband (SEE 2 SAMUEL 12). David accepted the prophet’s point-blank rebuke and repented of his horrific offenses. With the healing passage of time, he would name his
son Nathan. How appropriate that this was Bathsheba’s son, and that he would be one of the ancestors of Joseph, Jesus’ earthly dad (LUKE 3:23). In the Bible, we keep finding God’s grace woven into everything— even into an obscure name in a seldom-read genealogy. God’s grace is everywhere.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3:31; 1 CHRONICLES 3:4–9
[Jesus] was the son, so it was thought, of Joseph. [ LUKE 3:23 ]

Dear God, help us to find Your grace everywhere we look.

What unlikely places have you seen God’s grace showing up in your life? How can focusing on God’s big story help you find the grace in your part of that story?

오늘의 말씀

05/16/2020     토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4-25; 요한복음 5:1-24
찬송가: 96 (통94)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옛날 옛적에.’ 이 말은 온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말일 것입니다. 내 소년 시절 가장 오래된 기억 중에도 약간 변형된 그 강력한 문구가 있습니다. 언젠가 어머니는 삽화가 있는 큰 양장본 성경 이야기책, ‘나의 선한 목자 성경 이야기’를 가지고 집에 오셨습니다. 매일 저녁 불을 끄기 전, 형과 나는 기대하는 마음으로 앉아 어머니가 읽어주는 재미있는 사람들과 그들을 사랑한 하나님의 이야기로 가득한 옛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이야기들은 우리가 아주 큰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가 되어 주었습니다. 두말할 필요가 없는 최고의 이야기꾼이 누구냐고요? 바로 나사렛 예수이십니다. 예수님은 우리 모두가 본능적으로 이야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이야기는 예수님이 복음을 전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용하셨던 도구였습니다. ‘옛날 옛적에’ “땅에 씨”를 뿌리는 한 사람이 있었다 (마가복음 4:26). ‘옛날 옛적에’ “겨자씨”가 있었다(31절).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마가복음은 예수님이 매일 사람들과 대화하실 때 이야기를 사용하셨다고 분명히 말하는데(34절), 이것은 사람들이 세상을 더 정확히 알고 그들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더 철저히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이었습니다.
자비와 은혜에 대한 하나님의 좋은 소식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자 할 때 이것을 기억하면 좋습니다. 이야기를 사용하면 거부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4:26-34
비유가 아니면 말씀하지 아니하시고 [마가복음 4:34]

예수님, 주님은 훌륭한 상담가이자 위대하고 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 지금도 이야기를 하면 귀 기울이는 이 세상에 주님의 사랑을 전할 창의적인 방법을 알게 해주소서.

이번 주에 어떻게 하면 대화 속에 이야기나 비유를 엮어넣을 수 있을까요? 아마도 이렇게 말입니다. “옛날 옛적에 하나님께서 놀라운 방법으로 내 기도에 응답해 주셨어요......”

Daily Article

05/16/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4–25; JOHN 5:1–24
Hymn: 96 (Old 94)

TELL ME A STORY

Once upon a time. Those four words just might be among the most powerful in the entire world. Some of my earliest memories as a boy contain a variation on that potent phrase. My mother came home one day with a large, hardcover illustrated edition of biblical stories— My Good Shepherd Bible Story Book. Every evening before lightsout, my brother and I would sit expectantly as she read to us of a time long ago filled with interesting people and the God who loved them. Those stories became a lens for how we looked at the great big world.
The undisputed greatest storyteller ever? Jesus of Nazareth. He knew we all carry inside us an innate love for stories, so that was the medium He consistently used to communicate His good news: Once upon a time there was a man who scattered “seed on the ground” (MARK 4:26). Once upon a time there was “a mustard seed” (V. 31), and on and on. Mark’s
gospel clearly indicates that Jesus used stories in His interactions with everyday people (V. 34) as a way to help them see the world more clearly and understand more thoroughly the God who loved them. That’s wise to remember as we desire to share with others God’s good news of mercy and grace. The use of story is almost impossible to resist. JOHN BLASE

Today's Reading

MARK 4:26–34
He did not say anything to them without using a parable. [ MARK 4:34 ]

Jesus, You’re the Wonderful Counselor and the Great and Mighty God. Give us creativity in the ways in which we share Your love with a world that still slows down to hear a story.

How could you weave a story or parable into your conversations this week? Maybe something like, “Once upon a time, God answered my prayer in a surprising way . . . .”

오늘의 말씀

05/15/2020     금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2-23; 요한복음 4:31-54
찬송가: 79 (통40)

성령과 조율하기

피아노 조율사가 우아한 그랜드 피아노를 조율하는 소리를 들으면서 나는 이 피아노가 쏟아내던 “바르샤바 협주곡”의 믿기지 않을 정도로 놀라운 소리와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의 풍부한 멜로디를 들었던 때가 생각났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피아노는 정말 조율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음 높이에 맞는 건반들도 있지만, 어떤 건반들은 반음이 높거나 낮아서 듣기 싫은 소리를 냈습니다. 피아노 조율사의 책임은 각 건반이 같은 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각 건반의 고유의 음이 다른 음과 결합하여 즐겁고 조화로운 전체 음을 내도록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교회 안에서도 불협화음이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독특한 야망이나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부딪치면 부조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갈라디아서 5장에서 바울은 성도들에게 하나님과의 교제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파괴할 “분쟁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을 없애라고 호소했습니다. 바울은 계속해서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의 성령의 열매를 품으라고 격려합니다(20, 22-23 절). 우리가 성령에 의지하여 살아갈 때 지엽적인 문제를 놓고 일어나는 필요 없는 갈등을 더 쉽게 피할 수 있음을 알게 됩니다. 우리가 목적을 서로 공유하면 우리의 서로 다른 점들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우리는 각자 우리의 마음을 주님께 조율하면서 은혜로 하나된 가운데 성장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16-26
만일 우리가 성령으로 살면 또한 성령으로 행할지니 [갈라디아서 5:25]

은혜로우신 하나님, 성령의 인도로 “조율 받고”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사는 법을 가르쳐 주소서.

우리가 어떤 형태로 성도들 사이에 불화를 일으킬 수 있을까요? 우리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15/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2–23; JOHN 4:31–54
Hymn: 79 (Old 40)

IN TUNE WITH THE SPIRIT

As I listened to the piano tuner work on the elegant grand piano, I thought about the times when I’d heard that very same piano pour out the incredible sound of the “Warsaw Concerto” and the rich melody of “How Great Thou Art.” But now the instrument desperately needed to be tuned. While some notes were right on pitch, others were sharp or flat, creating an unpleasant sound. The piano tuner’s responsibility wasn’t to make each of the keys play the same sound but to assure that each note’s unique sound combined with others to create a pleasing harmonious whole. Even within the church, we can observe notes of discord. People with unique ambitions or talents can create a jarring dissonance when they’re joined together. In Galatians 5, Paul pleaded with believers to do away with “discord, jealousy, fits of rage, [and] selfish ambition,” which would destroy fellowship with God or relationships with others. Paul went on to encourage us to embrace the fruit of the Spirit: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VV. 20, 22–23). When we live by the Spirit, we’ll find it easier to avoid unnecessary conflict on nonessential matters. Our shared sense of purpose can be greater than our differences. And with God’s help, each of us can grow in grace and unity as we keep our hearts in tune with Him.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GALATIANS 5:16–26
Since we live by the Spirit, let us keep in step with the Spirit. [ GALATIANS 5:25 ]

Gracious God, teach me how to “get in tune” with the Spirit’s leading and live in harmony with others.

In what ways might I be causing discord among the body of believers? How can I spread harmony?

오늘의 말씀

05/14/2020     목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9-21; 요한복음 4:1-30
찬송가: 455 (통507)

공사 중

‘이 길은 방금 재포장 했잖아. 그런데 지금 다시 갈아엎고 있네!’ 길이 막히자 나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러고는 궁금해졌습니다. ‘왜 도로공사는 절대 끝나지 않는 걸까? 단 한번도 “도로포장은 끝났습니다. 이제 이 완벽한 도로를 즐기십시오.”라고 쓰인 표지판을 본 적이 없어.’ 그러나 내 영적인 삶도 사실 이와 비슷합니다. 믿음 생활 초기에 나는 믿음에 관한 모든 것을 알고 “매끄럽게 포장되어” 성숙의 순간에 도달하는 모습을 상상했었습니다. 그러나 삼십 년이 지난 지금, 나는 아직도 내가 “공사 중”임을 고백합니다. 마치 내가 운전하고 다니는 빈번히 구멍이 파이는 도로처럼 나 자신도 결코 “완성된” 것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때때로 그것은 공사 중인 도로를 달릴 때와 똑같은 좌절감을 느끼게 합니다. 그러나 히브리서 10장에는 놀라운 약속이 담겨 있습니다. 14절은 “그가 거룩하게 된 자들을 한 번의 제사로 영원히 온전하게 하셨느니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위에서의 일이 ‘이미’ 우리를 완전히, 완벽히 구원하였습니다. 하나님 보시기에 우리는 온전하고 완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 세상에 있는 동안은 우리가 온전해지는 과정이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아직 그분의 모습으로 빚어져 가고 있으며, 아직 “거룩하게 되어 가고 있는 중” 입니다. 언젠가 우리가 주님과 얼굴을 마주하게 될 때 그분과 같게 될 것입니다 (요한1서 3:2). 그러나 그 때까지, 우리는 여전히 “공사 중”에 있는 사람들로서 우리 내면의 작업이 진정으로 완료되는 영광의 날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1-18
그가 거룩하게 된 자들을 한 번의 제사로 영원히 온전하게 하셨느니라 [히브리서 10:14]

신실하신 하나님, 가끔 제 영적 진전이 느려 보여 좌절할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제 삶에 역사하셔서 더욱더 주님을 닮아가도록 저를 빚으시고 도와주신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소서.

영적 진전이 기대보다 느려 보여서 좌절한 적이 있습니까? 이 히브리서의 그 구절이 어떻게 당신의 영적 성장을 돌아보도록 격려해줍니까?

Daily Article

05/14/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9–21; JOHN 4:1–30
Hymn: 455 (Old 507)

UNDER CONSTRUCTION

They just repaved this road, I thought to myself as the traffic slowed. Now they’re tearing it up again! Then I wondered, Why is road construction never done? I mean, I’ve never seen a sign proclaiming, “The paving company is finished. Please enjoy this perfect road.” But something similar is true in my spiritual life. Early in my faith, I imagined reaching a moment of maturity when I’d have it all figured out, when I’d be “smoothly paved.” Thirty years later, I confess I’m still “under construction.” Just like the perpetually potholed roads I drive, I never seem to be “finished” either. Sometimes that can feel equally frustrating. But Hebrews 10 contains an amazing promise. Verse 14 says, “For by one sacrifice he has made perfect forever those who are being made holy.” Jesus’ work on the cross has already saved us. Completely. Perfectly. In God’s eyes, we are whole and finished. But paradoxically,
that process isn’t done yet while we’re still on earth. We’re still being shaped into His likeness, still “being made holy.” One day, we’ll see Him face-to-face, and we shall be like him (1 JOHN 3:2). But until then, we’re still “under construction,” people who anxiously await the glorious day when the work in us is truly complete. ADAM HOLZ

Today's Reading

HEBREWS 10:11–18
For by one sacrifice he has made perfect forever those who are being made holy. [ HEBREWS 10:14 ]

Faithful God, sometimes I get frustrated that my spiritual progress seems slow. Help me to remember that You’re still at work in my life, shaping me and helping me to become more
and more like You.

Do you ever get frustrated that spiritual progress seems slower than you expected? How does this passage from Hebrews encourage you to think about your spiritual growth?

오늘의 말씀

05/13/2020     수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7-18; 요한복음 3:19-36
찬송가: 95 (통82)

예수님의 사진을 망치는 것

목사님이 우리 반에서 예수님의 삶에 대한 어려운 문제를 내셨을 때, 나는 손을 번쩍 들었습니다. 그 이야기를 읽은 지 얼마 안 되어 그 답을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나는 그 방 안에 있던 다른 사람들도 내가 답을 알고 있다는 것을 알기를 바랐습니다. 사실 나는 명색이 성경교사입니다. 그런 내가 그들 앞에서 쩔쩔맨다면 얼마나 창피한 일일까요! 헌데 이제 나는 창피하게 되는 것이 두려워지면서 당황스러워졌습니다. 그래서 손을 내렸습니다. ‘내가 이렇게 자신이 없나?’ 세례 요한은 이런 경우에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람들이 그를 떠나 예수님을 따른다고 제자들이 불평했을 때, 세례 요한은 그 이야기를 듣고 오히려 기쁘다고 했습니다. 그는 단지 소식을 전하는 전달자에 불과했습니다.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요 그의 앞에 보내심을 받은 자라......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3:28-30). 요한은 자신이 예수님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예수님은 “하늘로부터 오시는 이”시며 “만물 위에 계시는” (31절) 거 룩하신 하 나님의 아 들이시며, 우 리를 위 해 자 신의 목 숨을 버 리신 분이십니다. 주님이 모든 영광과 명예를 받아 마땅합니다. 어떤 식으로든 우리 자신에게 주목하면 하나님에게서 멀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주님은 우리의 유일한 구주시며 이 세상의 유일한 희망이시기 때문에, 그분의 명성을 조금이라도 훔쳐온다면 결국은 우리를 상하게 합니다.
우리 모두 예수님의 사진에서 빠져나와 예수님의 참 모습을 망치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그렇게 하는 것이 주님과 세상과 우리에게 가장 좋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3:26-36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요한복음 3:30]

하나님 아버지, 우리의 임무는 모든 사람의 관심을 당신의 아들에게로 향하게 하여, 주님이 큰 틀을 채워 나가시게 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우리는 쇠하고 주님은 흥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소서.

예수님과 함께 각광을 받고 싶었던 적이 있습니까? 그런 주목을 어떻게 본 위치로 되돌려놓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13/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7–18; JOHN 3:19–36
Hymn: 95 (Old 82)

PHOTOBOMBING JESUS

When my pastor asked our class a difficult question about the life of Jesus, my hand shot up. I had just read the story, so I knew this one. And I wanted the others in the room to know that I knew it too. After all, I’m a Bible teacher. How embarrassing it would be to be stumped in front of them! Now I was embarrassed by my fear of embarrassment. So I lowered my hand. Am I this insecure? John the Baptist shows a better way. When his disciples complained that people were beginning to leave him and follow Jesus, John said he was glad to hear it. He was merely the messenger. “I am not the Messiah but am sent ahead of him. . . . He must become greater; I must become less” (3:28–30). John realized the point of his existence was Jesus. He is “the one who comes from heaven” and “is above all” (V. 31)—the divine Son who gave His life for us. He must receive all the glory and fame. Any attention drawn to ourselves distracts from God. And since He is our only Savior and the only hope for the world, any credit we steal from Him ends up hurting us. Let’s resolve to step out of the picture—to stop photobombing Jesus. It’s best for Him, for the world, and for us.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HN 3:26–36
He must become greater; I must become less. [ JOHN 3:30 ]

Heavenly Father, help us understand that our task is to direct everyone’s attention to Your Son, so that He increasingly fills up the frame. Help us see that we must decrease and He
must increase.

When are you tempted to share the spotlight with Jesus? How can you turn the attention to where it belongs?

오늘의 말씀

05/12/2020     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5-16; 요한복음 3:1-18
찬송가: 70 (통79)

열려 있는 두 팔

세이디와 그의 가족들은 “두 팔 벌려 열린 집”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집에 오는 사람들은 언제나 환영받는데, “특히 곤경에 처한 사람들”이 더 환영받는다고 합니다. 그가 라이베리아에서 9명의 형제자매들과 함께 자랄 때 그의 집이 그랬습니다. 세이디의 부모는 다른 사람들을 항상 가족처럼 맞아주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우리는 공동체로 자랐습니다. 서로 사랑했고, 서로를 책임지고 돌보았습니다. 우리 아버지는 우리에게 서로 사랑하고 서로 보살펴주고 서로 보호하라고 가르쳐 주셨습니다.” 다윗 왕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하나님 안에서 이런 사랑의 돌봄을 받았습니다. 사무엘하 22장(그리고 시편 18편)에 그는 평생 동안 피난처가 되어주셨던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렇게 회상합니다. “내가 환난 중에서 여호와께 아뢰며 나의 하나님께 아뢰었더니 그가 그의 성전에서 내 소리를 들으심이여 나의 부르짖음이 그의 귀에 들렸도다” (사무엘하 22:7). 하나님은 사울 왕을 비롯한 그의 원수들로부터 여러 번 그를 구해주셨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그가 피할 요새이며 구원자라고 찬양하였습니다 (2-3절). 우리의 곤경이 다윗이 처했던 것보다 하찮을지 모르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갈급하여 피난처를 찾아 그분께로 달려가면 반기십니다. 하나님의 두 팔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의 이름을 찬양합니다”(50절).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22:1-7, 17-20
내가 환난 중에서 여호와께 아뢰며......나의 부르짖음이 그의 귀에 들렸도다 [사무엘하 22:7]

하나님, 하나님은 항상 제가 머물 수 있는 안전한 장소이셨고 앞으로도 그러실 것이므로 감사드립니다.

언제 하나님께서 당신의 피난처가 되어주셨습니까? 어떻게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께 달려가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12/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5–16; JOHN 3:1–18
Hymn: 70 (Old79)

OPEN ARMS

Saydee and his family have an “open arms and open home” philosophy. People are always welcome in their home, “especially those who are in distress,” he says. That’s the kind of household he had growing up in Liberia with his nine siblings. Their parents always welcomed others into their family. He says, “We grew up as a community. We loved one another. Everybody was responsible for everybody. My dad taught us to love each other, care for each other, protect each other.” When King David was in need, he found this type of loving care in God. Second Samuel 22 (and Psalm 18) records his song of praise to God for the ways He had been a refuge for him throughout his life. He recalled, “In my distress I called to the Lord; I called out to my God. From his temple he heard my voice; my cry came to his ears” (2 SAMUEL 22:7). God had delivered him from his enemies, including King Saul, many
times. He praised God for being his fortress and deliverer in whom he took refuge (VV. 2–3). While our distresses may be small in comparison to David’s, God welcomes us to run to Him to find the shelter we long for. His arms are always open. Therefore we “sing the praises of [His] name” (V. 50). ANNE CETAS

Today's Reading

2 SAMUEL 22:1–7, 17–20
In my distress I called to the Lord . . . . My cry came to his ears. [ 2 SAMUEL 22:7 ]

God, I’m grateful You’ve always been and will always be my secure place to land.

When has God been your refuge? How can you help someone else run to Him?

오늘의 말씀

05/11/2020     월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3-14; 요한복음 2
찬송가: 366 (통485)

어린아이들에게서 배움

친구와 함께 자동차로 케냐의 나이로비에 있는 어떤 빈민가로 갔을 때, 그곳의 빈곤을 목격하면서 우리의 마음은 아주 무거웠습니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이 “므충가지, 므충가지!”(스와힐리어로 “목사님”) 소리치면서 뛰어오는 것을 보면서 우리 마음에는 동시에 신선한 물같은 색다른 감정들이 솟아났습니다. 아이들은 우리와 함께 차에 타고 있던 그들의 영적 지도자를 보고 기쁨이 가득 찬 반응을 보인 것입니다. 그렇게 정겹게 외치면서 그 어린아이들은 자기들을 관심 있게 돌보는 사람을 환영해 주었습니다. 예수님이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오셨을 때, 그분을 축하하는 사람들 중에 즐거워하는 아이들도 있었습니다.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마태복음 21:9, 15). 그러나 예수님을 찬양하는
소리만 공중에 울려 퍼진 것이 아니라, 예수님에 의해 황급히 쫓겨난 상인들의 시끄러운 소리도 있었습니다(12-13절). 게다가 이전에 예수님의 자애로운 행위를 보았던 종교지도자들은 “분노하기도” 했습니다(14-15절). 그들은 어린아이들의 찬양에(16절) 불쾌감을 표현하며 자신들의 마음이 빈곤함을 드러냈습니다. 예수님을 세상의 구주로 인정하는 하나님의 자녀들이라면 나이의 많고 적음이나 장소가 다르더라도 그들의 믿음으로부터 배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님은 우리의 찬양과 외침을 들으시는 분이시며, 우리가 어린아이와 같은 믿음으로 주님께 나아갈 때 우리를 돌보아 구원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1:8-17
주님께서는 어린 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에서 찬양이 나오게 하셨다 [마태복음 21:16, 새번역]

예수님, 당신을 나의 주님과 구주로 제대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지난 여러 해 동안 예수님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습니까? 어떤 것들이 주님을 우리를 구하려 오신 하나님의 아들로 보는 데 방해가 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5/11/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3–14; JOHN 2
Hymn: 366 (Old485)

LEARNING FROM LITTLE ONES

When a friend and I rode into one of the slums in Nairobi, Kenya, our hearts were deeply humbled by the poverty we witnessed. In that same setting, however, different emotions—like fresh waters—were stirred in us as we witnessed young children running and shouting, “Mchungaji, Mchungaji!” (Swahili for “pastor”). Such was their joy-filled response upon seeing their spiritual leader in the vehicle with us. With these tender shouts, the little ones welcomed the one known for his care and concern for them. As Jesus arrived in Jerusalem riding on a donkey, joyful children were among those who celebrated Him.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 . . Hosanna to the Son of David” (MATTHEW 21:9, 15). But
praises for Jesus were not the only sounds in the air. One can imagine the noisiness of scurrying, money-making merchants who were put to flight by Jesus (VV. 12–13). Furthermore, religious leaders who had witnessed His kindness in action “were indignant” (VV. 14–15). They voiced their displeasure with the children’s praises (V. 16) and thereby exposed
the poverty of their own hearts. We can learn from the faith of children of God of all ages and places who recognize Jesus as the Savior of the world. He’s the One who hears
our praises and cries, and He cares for and rescues us when we come to Him with childlike trust.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MATTHEW 21:8–17
From the lips of children and infants you, Lord, have called forth your praise. [ MATTHEW 21:16 ]

Jesus, help me to see You for who You are—my Lord and Savior.

How have your views of Jesus changed over the years? What things get in the way of seeing Him as the Son of God who has come to save you?

오늘의 말씀

05/10/2020     주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10-12; 요한복음 1:29-51
찬송가: 304 (통404)

영원한 사랑

여러 해 전에 네 살 난 아들이 나에게 선물을 준 적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트 모양의 나무 틀을 금속판에 고정시키고, 가운데에 ‘영원히’ 라고 글귀를 적어놓은 것이었습니다. 아들은 “영원히 사랑해요, 엄마.”라고 말했습니다. 나는 아들을 안으며 감사했습니다. “내가 널 더 사랑해.” 너무나 소중한 그 선물은 지금까지도 나를 향한 아들의 변함없는 사랑을 확인시켜 주고 있습니다. 힘든 나날을 보낼 때에도 하나님은 그 사랑스러운 선물을 통해 내가 깊이 사랑받고 있음을 확신시켜 주시며 따뜻한 위로와 격려를 받게 하십니다. 또한 그 하트 모양의 틀을 볼 때마다 나는 말씀 속에 드러나고 성령을 통해 확증된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의 선물을 생각합니다. 우리는 시편 기자처럼 하나님의 변함없는 선하심을 믿고 끝없는 사랑을 확신하며 감사의 찬양을 드릴 수 있습니다(시편 136:1). 우리는 하나님의 끝없는 경이로움과 무한한 이해심을 되돌아보며(4-5절) 모든 것보다 뛰어나고 더 크신 하나님을 높혀드릴 수 있습니다
(2-3절). 우리를 영원히 사랑하시는 하나님은 지각 있는 섬세한 손길로 하늘과 땅을 만드셨으며 시간까지도 통치하는 분이십니다(6-9절). 시편 기자가 찬양했던 영원한 사랑이 바로 전능하신 창조주이자 주재 하시는 분께서 오늘날 그 자녀들에게 부어주시는 끝없는 사랑이라는 사실이 우리를 기쁘게 합니다. 우리가 어떤 상황에 있든지, 우리를 창조하시고 함께
하시는 하나님은 그분의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사랑을 보증해 주심으로써 우리를 강하게 해주십니다. 하나님, 하나님의 영원하신 사랑, 삶을 변화시키는 사랑을 헤아릴 수 없이 일깨워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6:1-9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사랑을 우리가 알고 믿었노니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요한1서 4:16]

하나님, 우리를 향한 당신의 영원한 사랑 속에서 더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분의 사랑을 확신시켜 주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의 믿음을 강하게 해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05/10/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10–12; JOHN 1:29–51
Hymn: 304 (Old404)

FOREVER LOVE

Years ago, my four-year-old son gave me a framed wooden heart mounted on a metal plate with the word forever painted in its center. “I love you forever, Mommy,” he said.
I thanked him with a hug. “I love you more.” That priceless gift still assures me of my son’s never-ending love. On tough days, God uses that sweet present to comfort and encourage me as He affirms I’m deeply loved. The frame also reminds me of the gift of God’s everlasting love, as expressed throughout His Word and confirmed by His Spirit. We can
trust God’s unchanging goodness and sing grateful praises that confirm His enduring love, as the psalmist does (PSALM 136:1). We can exalt the Lord as greater than and above all (VV. 2–3), as we reflect on His endless wonders and unlimited understanding (VV. 4–5). The God who loves us forever is the conscious and caring Maker of the heavens and earth, who maintains control of time itself (VV. 6–9). We can rejoice because the everlasting love the psalmist sang about is the same continuing love our all-powerful Creator and Sustainer pours into the lives of His children today. No matter what we’re facing, the One who made us and remains with us strengthens us by asserting He loves us unconditionally and completely. Thank You, God, for the countless reminders of Your endless and life-transforming love!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36:1–9
And so we know and rely on the love God has for us. God is love. [ 1 JOHN 4:16 ]

God, please help us to love You and others, as we become more confident in Your never-ending love for us.

How has God assured you of His love? How has He strengthened your faith?

오늘의 말씀

05/09/2020     토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7-9; 요한복음 1:1-28
찬송가: 543 (통342)

의심과 믿음

밍텍은 심한 두통을 느끼며 잠에서 깼지만 그것이 늘 있던 편두통 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침대에서 일어났을 때 그만 바닥으로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넉달 동안의 재활훈련 끝에 언어와 사고 기능은 회복되었지만, 아직도 걸을 때마다 고통스럽게 다리를 접니다. 그는 종종 절망에 빠지기도 하지만 욥기서에서 큰 위안을 얻고 있습니다. 욥은 하루아침에 그의 모든 재산과 자녀들을 잃어버렸습니다. 이런 끔찍한 소식에도 그는 먼저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을 바라보며, 모든 것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그는 재앙이 닥친 시기에도 하나님의 다스리는 손길이 역사하신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욥기 1:21). 우리는 욥의 강한 믿음에 감탄하지만, 그 역시도 절망하며 힘들어 했습니다. 건강을 잃고 나서(2:7) 자신이 태어난 날을 저주하기도 하고(3:1), 하나님과 친구들에게 자신의 고통을 솔직하게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욥은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모두 다 하나님 손에 달렸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됩니다(13:15; 19:25-27). 우리도 어려운 일을 당할 때, 절망과 희망 사이,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흔들리는 우리 자신을 발견하곤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역경에 처했을 때 담대하게 맞서지만 말고, 대신 우리의 문제를 들고 하나님 앞으로 나오라고 하십니다. 우리가 믿음이 약해 자주 넘어지지만,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언제나 믿음에 바로 서 있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1:20-22; 2:7-10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 [욥기 1:21]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의심과 두려움이 나를 뒤덮을 때 하나님께서 나를 소중하게 여기심을 기억하게 하소서. 하나님은 항상 한결 같으시며, 나를 돌보시는 분이십니다.

오늘 하나님께 어떤 의심과 문제들을 들고 가겠습니까? 욥기 1장 21절 말씀이 당신의 기도를 어떻게 인도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09/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7–9; JOHN 1:1–28
Hymn: 543 (Old342)

DOUBT AND FAITH

MingTeck woke up with a severe headache and thought it was another migraine. But when he got out of bed, he collapsed onto the floor. He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where the doctors informed him he’d had a stroke. After four months of rehabilitation, he recovered his ability to think and talk but still walks with a painful limp. He often struggles with despair, but he finds great comfort from the book of Job. Job lost all his wealth and his children overnight. Despite the harrowing news, he at first looked to God in hope and praised Him for being the source of everything. He acknowledged God’s sovereign hand even in times of calamity (JOB 1:21). We marvel at his strong faith, but Job also struggled with despair. After he lost his health too (2:7), he cursed the day he was born (3:1). He was honest with his friends and God about his pain. Eventually, however, he came to accept that both good and bad come from God’s hand (13:15; 19:25–27). In our sufferings, we too may find ourselves vacillating between despair and hope, doubt and faith. God doesn’t require us to be dauntless in the face of adversity but instead invites us to come to Him with our questions. Though our faith may fail at times, we can trust God to always be faithful.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JOB 1:20–22; 2:7–10
The Lord gave and the Lord has taken away; may the name of the Lord be praised. [ JOB 1:21 ]

Dear Father, when doubts and fears overwhelm me, help me remember I’m precious in Your sight. You’re always in control, and You care for me.

What doubts and questions do you need to bring before God today? How can you use Job 1:21 to guide you in your pray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