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8/2020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4-6; 요한복음 10:24-42
찬송가: 441 (통498)

선한 헤아림

어느 날 주유소에서 스테이시는 은행 카드를 집에 놓고 온 여성을 만났습니다. 그 여성은 아기를 데리고 어쩔 줄 몰라 하며,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당시 스테이시는 실직 상태였지만, 이 낯선 이의 차에 연료를 넣어주는 데 15불을 썼습니다. 며칠 후 스테이시가 집에 돌아왔을 때, 아이들 장난감과 다른 선물들이 담긴 선물 바구니가
집 현관에 놓여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낯선 이의 친구들이 스테이시의 친절에 보답하여, 스테이시의 15불의 축복을 그녀 가족에게 기억에 남을 크리스마스로 바꾸어주었습니다.
이 가슴 따뜻한 이야기는 예수님의 다음 말씀의 요점을 잘 보여줍니다.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곧 후히 되어 누르고 흔들어 넘치도록 하여 너희에게 안겨 주리라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도 헤아림을 도로 받을 것이니라”(누가복음 6:38). 이것을 들으면, 우리가 베풀면 되돌려 받게 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기 쉽지만, 그렇게 한다면 요점을 놓치고 맙니다. 예수님은 그 말씀에 앞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 주라 그리하면 너희 상이 클 것이요 또 지극히 높으신 이의 아들이 되리니 그는 은혜를 모르는 자와 악한 자에게도 인자하시니라”(35절). 우리는 무엇을 얻기 위해 주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주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관대함을 기뻐하시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을 향한 우리의 사랑은 바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의 마음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6:32-38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누가복음 6:38]

은혜의 하나님 아버지, 당신이 저에게 그렇게 관대하셨으니, 저도 다른 사람들에게 관대하게 베풀 수 있게 하소서.

당신은 인생에서 하나님의 관대함을 어떤 방식으로 경험했습니까? 이제 당신은 어떻게 그 관대함을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28/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4–6; JOHN 10:24–42
Hymn: 441 (Old 498)

GOOD MEASURE

At a gas station one day, Staci encountered a woman who had left home without her bank card. Stranded with her baby, she was asking passersby for help. Although unemployed at the time, Staci spent $15 to put gas in the stranger’s tank. Days later, Staci came home to find a gift basket of children’s toys and other presents waiting on her porch. Friends of the stranger had reciprocated Staci’s kindness and converted her $15 blessing into a memorable Christmas for her family. This heartwarming story illustrates the point Jesus made when he said, “Give, and it will be given to you. A good measure, pressed down, shaken together and running over, will be poured into your lap. For with the measure you use, it will be measured to you” (LUKE 6:38). It can be tempting to hear this and focus on what we get out of giving, but doing so would miss the point. Jesus preceded that statement with this one: “Love your enemies, do good to them, and lend to them without expecting to get anything back. Then your reward will be great, and you will be children of the Most High, because he is kind to the ungrateful and wicked” (V. 35). We don’t give to get things; we give because God delights in our generosity. Our love for others reflects His loving heart toward us. REMI OYEDELE

Today's Reading

LUKE 6:32–38
Give, and it will be given to you.[ LUKE 6:38 ]

Gracious Father, help me to give generously to others because You’ve been so generous to me.

In what ways have you experienced God’s generosity in your life? How can you extend generosity to others?

오늘의 말씀

05/27/2020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3; 요한복음 10:1-23
찬송가: 429 (통489)

왜 나입니까?

‘확률 책’에 의하면 번개에 맞는 사람은 백만 명 중 한 명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엄청난 충격이나 상실에 직면하여 “상심 증후군”이라는 의학적 상태를 경험하는 것은 이만 오천 번 중 한 번이라고 합니다. 이 책의 페이지를 계속 넘기면 각기 특별한 문제들을 경험할 수 있는 확률이 계속 나오는데, ‘만일 우리가 그것을 경험하는 한 명이라면?’ 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보여주지 않습니다. 욥은 이 모든 확률에 해당되지 않는 경험을 했습니다. 하나님은 욥에 대해 “그와 같이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는 세상에 없느니라”(욥기 1:8)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럼에도 욥은 어떤 확률에도 해당 안 되는 상실의 연속으로 고통받도록 선택되었습니다. 지구상의 어느 누구보다도 욥은 그 답을 물어볼 이유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욥기 전체에서 “왜 나인가?”를 알아내려는 욥의 필사적인 투쟁을 읽습니다. 욥의 이야기는 설명되지 않는 고통과 악의 미스테리에 대응하는 길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선하심과 자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를 들며 고통과 혼란을 묘사함으로써(25장), 우리는 씨 뿌리고 거두는 변함없는 원칙(4:7- 8)에 대해서도 다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언젠가 자신의 아들에게 우리 죄를 담당하게 하실 하나님께서 욥과 관련하여 사탄으로 말미암은 혼란에 대한 뒷이야기(1장)와 그 후기(42:7-17)를 보여주심으로써, 우리는 욥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보이는 것보다 믿음으로 살아야 할 이유를 찾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7:17-21
나를 당신의 과녁으로 삼으셔서 내게 무거운 짐이 되게 하셨나이까 [욥기 7:20]

창조의 하나님, 생명을 주시는 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우리가 우리의 눈과 마음보다 하나님을 더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종종 아무 설명 없이 고통을 허락하시는 하나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욥의 이야기는 이것을 이해하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Daily Article

05/27/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3; JOHN 10:1–23
Hymn: 429 (Old 489)

WHY ME?

The Book of Odds says that one in a million people are struck by lightning. It also says that one in 25,000 experiences a medical condition called “broken heart syndrome” in the face of overwhelming shock or loss. In page after page the odds of experiencing specific problems pile up without answering: What if we’re the one? Job defied all odds. God said of him, “There is no one on earth like him; he is blameless and upright, a man who fears God and shuns evil” (JOB 1:8). Yet Job was chosen to suffer a series of losses that defied all
odds. Of all people on earth, Job had reason to beg for an answer. It’s all there for us to read in chapter after chapter of his desperate struggle to understand, “Why me?” Job’s story gives us a way of responding to the mystery of unexplained pain and evil. By describing the suffering and confusion of one of God’s best examples of goodness and mercy (CH. 25), we gain an alternative to the inflexible rule of sowing and reaping (4:7–8). By providing a backstory of satanic mayhem (CH. 1) and an afterword (42:7–17) from the God who would one day allow His Son to bear our sins, the story of Job gives us reason to live by faith rather than sight.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B 7:17–21
Why have you made me your target? Have I become a burden to you? [ JOB 7:20 ]

God of creation, Giver of life,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please help us to trust You more than our own eyes and hearts.

How do you feel about a God who sometimes allows suffering without explanation? How does the story of Job help you understand this?

오늘의 말씀

05/26/2020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8-29; 요한복음 9:24-41
찬송가: 200 (통235)

꿀보다 더 감미로운

연사의 주제는 인종 갈등이었습니다. 그런데 연사는 침착하고 차분함을 잃지 않았습니다. 많은 청중 앞에 서서 담대하게, 그러나 은혜롭고 겸손하고 친절하게, 심지어 유머까지 섞어가며 말했습니다. 이윽고 청중은 눈에 띄게 긴장이 풀리더니, 그들이 직면한 딜레마에 대해 연사와 함께 웃기도 했습니다. 그 딜레마는 감정과 언어를 진정시키면서 이 뜨거운 쟁점을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 것인가 하고, 그렇습니다, 그렇게 맛이 신 주제를 어떻게 은혜롭고 감미롭게 다룰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솔로몬왕도 우리 모두에게 그와 같은 접근 방식을 권했습니다. “선한 말은 꿀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잠언 16:24). 마찬가지로, “지혜로운 자의 마음은......그의 입술에 지식을 더하느니라”(23절). 왜 솔로몬 왕처럼 능력 있는 왕이 시간을 할애해 가며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대해 역설했을까요? 왜냐하면 말은 파괴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솔로몬 시대에는 왕들이 자국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전달자들에게 의지하던 때였습니다. 그러므로 침착하고 믿을 만한 전달자들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신중하고 정연한 단어를 사용했고, 어떤 문제든지 호들갑을 떨거나 거칠게 표현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의견과 생각에 경건하고 신중한 감미로움으로 은혜를 입힘으로써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솔로몬은 이렇게 말합니다. “마음의 경영은 사람에게 있어도 말의 응답은 여호와께로부터 나오느니라”(1절).

오늘의 성구

잠언 16:1-2, 21-24
선한 말은 꿀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 [잠언 16:24]

거룩하신 하나님, 어려운 주제에 대해 말할 때, 감미로운 성령님의 힘으로 우리의 마음과 언어를 부드럽게 해주소서.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뜨거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어떤 태도를 취합니까? 성령님의 힘으로 우리의 혀를 감미롭게 만들면 우리의 말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Daily Article

05/26/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8–29; JOHN 9:24–41
Hymn: 200 (Old 235)

SWEETER THAN HONEY

His topic was racial tension. Yet the speaker remained calm and collected. Standing on stage before a large audience, he spoke boldly—but with grace, humility, kindness, and even humor. Soon the tense audience visibly relaxed, laughing along with the speaker about the dilemma they all faced: how to resolve their hot issue, but cool down their feelings and words. Yes, how to tackle a sour topic with sweet grace. King Solomon advised this same approach for all of us: “Gracious words are a honeycomb, sweet to the soul and healing to the bones” (PROVERBS 16:24). In this way, “The hearts of the wise make . . . their lips promote instruction” (V. 23). Why would a powerful king like Solomon devote time to addressing how we speak? Because words can destroy. During Solomon’s time, kings relied on messengers for information about their nations, and calm and reliable messengers were highly valued. They used prudent words and reasoned tongues, not overreacting or speaking harshly, no matter the issue. We all can benefit by gracing our opinions and thoughts with godly and prudent sweetness. In Solomon’s words, “To humans belong the plans of the heart, but from the Lord comes the proper answer of the tongue” (V. 1).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ROVERBS 16:1–2, 21–24
Gracious words are a honeycomb, sweet to the soul and healing to the bones. [ PROVERBS 16:24 ]

Our holy God, when we speak on hard topics, soften our hearts and words with Your sweet Spirit.

What is your way of speaking when talking about a hot and divisive topic? When you allow God’s Spirit to sweeten your tongue, what changes in your words?

오늘의 말씀

05/25/2020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5-27; 요한복음 9:1-23
찬송가: 149 (통147)

기억하기

현충일에 나는 많은 전역군인들을 생각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복무했던 아버지와 삼촌들을 생각합니다. 그들은 다 집으로 돌아오셨지만, 그 전쟁에서 수십만 명의 가족들은 슬프게도 조국을 위해 복무했던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그때 그들에게 물어보았다면, 그 시대를 살았던 내 아버지와 대부분의 군인들은 사랑하는 사람들을 지키고 자신들이 옳다고 믿는 것을 위해 맞서서 기꺼이 그들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대답했을 것입니다. 자신의 나라를 지키기 위해 누군가가 죽을 때, 장례식에서 고인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요한복음 15장 13절의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나니” 라는 구절이 자주 인용됩니다. 그러나 이 구절이 어떤 상황에서 비롯되었을까요?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 중에 제자들에게 이 말씀을 하셨을 때 주님은 곧 죽음을 앞두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제자 중 한 사람 유다가 이미 주님을 배반하기 위해 떠난 상태였습니다(13:18-30). 그러나 그리스도는 이 모든 것을 다 아시고도 여전히 친구들은 물론 원수들을 위해서도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기로 선택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주님을 언젠가 믿게 될 사람들과, 심지어 아직 주님의 원수인 사람들을 위해서도 기꺼이 죽을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로마서 5:10). 그에 대한 응답으로, 주님은 제자들에게 (그때나 지금이나) 주님이 그들을 사랑하신 것 같이 “서로 사랑하라”고 하십니다(요한복음 15:12). 주님의 위대한 사랑은 친구나 원수나 똑같이 다른 사람들을 희생적으로 사랑하라고 우리를 강권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9-17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나니 [요한복음 15:13]

우리를 위해 기꺼이 돌아가신 예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예수님을 믿기 전 우리는 주님의 원수였지만,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죽으셨습니다.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의 죽음을 어떻게 기리고 기억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나 자신을 희생하면서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25/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5–27; JOHN 9:1–23
Hymn: 149 (Old 147)

REMEMBERING

On Memorial Day, I think of many military veterans but especially my dad and uncles, who served in the military during World War II. They made it home, but in that war hundreds of thousands of families tragically lost loved ones in service to their country. Yet, when asked, my dad and most soldiers from that era would say they were willing to give up their lives to protect their loved ones and stand for what they believed to be right. When someone dies in defense of their country, John 15:13—“Greater love has no one than this: to lay down one’s life for one’s friends”—is often recited during the funeral service to honor their sacrifice. But what were the circumstances behind this verse? When Jesus spoke those words to His disciples during the Last Supper, He was about to die. And, in fact, one of His small group of disciples, Judas, had already left to betray Him (13:18–30). Yet Christ knew all
of this and still chose to sacrifice His life for His friends and enemies. Jesus was willing and ready to die for those who’d one day believe in Him, even for those who were still His enemies (ROMANS 5:10). In return, He asks His disciples (then and now) to “love each other” as He has loved them (JOHN 15:12). His great love compels us to sacrificially love
others—friend and foe alike.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HN 15:9–17
Greater love has no one than this: to lay down one’s life for one’s friends. [ JOHN 15:13 ]

Jesus, we’re so thankful that You were willing to die for us!

Before we believed in Jesus, we were His enemies. Yet Jesus died for us. How can you honor and remember Jesus for His death on the cross for you? How can you sacrificially love others?

오늘의 말씀

05/24/2020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22-24; 요한복음 8:28-59
찬송가: 191 (통427)

대화 테이블

우리의 행복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인 외로움은 소셜미디어나 음식 소비 등의 우리의 행동을 통해 우리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사람들의 거의 삼분의 이 정도가 적어도 얼마 동안은 외로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영국의 어느 수퍼마켓은 사람들이 잘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한 방편으로 카페 안에 “대화 테이블”을 만들었습니다. 남들과 어울리고 싶은 사람들은 그런 목적을 위한 자리라고 명시된 테이블에 앉아 남들과 함께 하거나, 함께 하길 원한다는 의사를 표시합니다. 그러면 대화가 계속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서로 알게 되고 공동체 의식도 생기게 됩니다. 초대교회의 사람들도 서로 유대를 나누는 일에 힘썼습니다. 그렇게 함께하지 않았더라면, 그들은 아직까지 세상에서 생소했던 자신들의 믿음을 지키는데 매우 외로움을 느꼈을 것입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따른다는 의미를 알기 위해 “사도의 가르침을 받는데 [헌신했을]” 뿐 아니라,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서로 격려하고 교제를 나누었습니다(사도행전 2:42, 46). 우리는 사람들과의 연계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그렇게 창조 하셨기 때문입니다! 외로움으로 힘든 시절을 보내게 되면 그런 필요성을 더 느끼게 됩니다. 초대교회 사람들처럼 우리도 행복을 위해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우리 주위의 외로운 사람들과도 친교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2:42-47
날마다......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사도행전 2:46]

하나님,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서로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오늘 어떻게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과 유대를 맺을 수 있을까요? 어떻게 친교를 가질 기회를 지나쳐버리게 되는 걸까요?

Daily Article

05/24/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JOHN 8:28–59
Hymn: 191 (Old 427)

TALKING TABLES

Loneliness is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our sense of well-being, affecting our health through our behaviors on social media, food consumption, and the like. One study suggests that nearly twothirds of all people—regardless of age or gender—feel lonely at least some of the time. One British supermarket has created “talking tables” in their store cafés as a way to foster connection between people. Those looking for human interaction simply seat themselves at a table designated for that purpose, joining others or indicating a desire to be joined. Conversation ensues, providing a sense of connection and community. The people of the early church were committed to shared connection too. Without each other, they would likely have felt very alone in the practice of their faith, which was still new to the world. Not only did they “[devote] themselves to the apostles’ teaching” to learn what following
Jesus meant, they also “[met] together in the temple courts” and “broke bread in their homes” for mutual encouragement and fellowship (ACTS 2:42, 46). We need human connection; God designed us that way! Painful seasons of loneliness point to that need. Like the people of the early church, it’s important for us to engage in the human companionship our wellbeing requires and to offer it to those around us who also need it.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ACTS 2:42–47
Every day they continued to meet together in the temple courts. [ ACTS 2:46 ]

Help us, God, to seek connection for our sake and that of others!

How can you intentionally connect with someone today? How might you be overlooking opportunities for friendship?

오늘의 말씀

05/23/2020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9-21; 요한복음 8:1-27
찬송가: 502 (통259)

등불을 지키는 자들

사람들은 그들을 “등불을 지키는 자들”이라고 부릅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해안가에서 약간 떨어진 해트라스 섬의 곶에 있는 등대에는 1803년부터 그곳 등대를 보살펴 온 사람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습니다. 해안선 침식 때문에 기존 구조물이 내륙으로 옮겨진 후 얼마 안 되어, 오래된 주춧돌에 등대지기들의 이름이 새겨졌고 새로운 장소를 바라보며 원형극장 모양으로 배치되었습니다. 현수막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그렇게 하여 오늘날의 방문객들은 지금까지 있었던 등대지기들의 발자취를 따라가서 그 등대도 “지켜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궁극적으로 빛을 주시는 분입니다. 주님은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둠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요한복음 8:12)고 말씀하셨습니다. 다른 사람이 그랬다면 그것은 과격한 발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렇게 말씀하심으로써 빛과 생명의 창조주이시며 예수님을 보내신 하늘에 계신 아버지와 자신과의 관계를 확인시켜 주셨습니다. 우리가 구원받기 위해 예수님을 바라보고 주님의 가르침을 따를 때,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고 하나님은 우리에게 새 힘과 삶의 목적을 주십니다. “인류의 빛”(1:4, 현대인의 성경)이신 예수님의 변화시키는 삶과 사랑이 우리 안에서 빛을 발하고 우리를 통해 어둡고 때로는 위험한 이 세상을 비춰 주십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등불을 지키는 자들”입니다. 사람들이 예수님의 빛이 우리로부터 비취는 것을 보고, 예수님만이 주실 수 있는 생명과 소망을 찾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12-16
하나님께서......빛을 우리 마음에 비추셨느니라 [고린도후서 4:6]

예수님, 주님의 빛과 사랑을 찬미합니다. 예수님을 위해 빛을 발할 수 있게 하소서.

실제로 어떤 방법으로 예수님의 빛을 발할 수 있을까요? 오늘 어디서 하나님이 우리를 순종하라고 부르십니까?

Daily Article

05/23/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JOHN 8:1–27
Hymn: 502 (Old 259)

KEEPERS OF THE LIGHT

They call them “Keepers of the Light.” At the lighthouse on the cape of Hatteras Island just off the North Carolina coast of the United States, there’s a memorial to those who’ve tended the light stations there since 1803. Shortly after the existing structure was moved inland because of shoreline erosion, the names of the keepers were etched on the old foundation stones and arranged into an amphitheater shape facing the new site. That way—as a placard explains—today’s visitors can follow in the historical keepers’ footsteps and “watch over” the lighthouse as well. Jesus is the ultimate light-giver. He said, “I am the light of the world. Whoever follows me will never walk in darkness, but will have the light of life” (JOHN 8:12). That’s a radical thing for anyone to claim. But Jesus said it to affirm His relationship with His heavenly Father, the Creator of light and life who sent Him. When we look to Jesus for salvation and follow His teaching, we’re restored in relationship with God, and He gives us new power and purpose. His transforming life and love—“the light of all mankind” (1:4)—shines in us and through us and out to a dark and sometimes dangerous world. As believers in Jesus, we become “keepers of the light.” May others see His light shine from us and discover the life and hope He alone can give! JAMES BANKS

Today's Reading

JOHN 8:12–16
For God . . . made his light shine in our hearts. [ 2 CORINTHIANS 4:6 ]

Jesus, I praise You for Your light and love. Help me to shine for You.

In what practical ways can you shine Jesus’ light? Where is God calling you to be obedient to Him today?

오늘의 말씀

05/22/2020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6-18; 요한복음 7:28-53
찬송가: 91 (통91)

눈물을 하나님 앞으로 가져가라

지난 여름, 탈레콰라는 이름의 범고래가 새끼를 낳았습니다. 육식 고래인 탈레콰의 무리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었는데, 새로 태어난 새끼 고래는 그들의 미래의 희망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새끼 고래는 한 시간도 채 살지 못했습니다. 전 세계 사람들이 그 슬퍼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가운데, 탈레콰는 죽은 새끼를 17일 동안 태평양의 차가운 물 속에서 밀고 다니다가 마침내 떠나보냈습니다. 때때로 예수 믿는 신자들도 슬픔으로 어찌해야 할 지 모를 때가 있습니다. 우리가 슬퍼하면 마치 소망이 없는 것처럼 비춰질까 봐 두려워서 그런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성경은 비통 속에서 하나님께 부르짖는 많은 사람들의 예를 보여줍니다. 탄식과 소망은 둘 다 믿음을 보여주는 반응들입니다. 예레미야 애가는 나라를 잃은 사람들의 슬픔을 표현한 다섯 편의 시를 모은 책입니다. 그들은 적에게 쫓기다 거의 죽음의 문턱까지 갔고(3:52-54), 울면서 하나님께 공의를 행하시기를 구했습니다(64절). 그들은 소망을 잃었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듣고 계시다고 믿기 때문에 부르짖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애절하게 찾을 때 하나님이 가까이 다가오십니다(57절). 우리 세상이나 개인의 삶에서 깨어진 일들을 탄식하는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항상 듣고 계십니다. 하나님께서 천국에서 내려다보시며 우리를 보고 계심을 확실히 믿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49-66
내 눈에 흐르는 눈물이 그치지 아니하고 쉬지 아니함이여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살피시고 돌아보실 때까지니라 [예레미야애가 3:49-50]

사랑의 하나님, 우리가 잘못된 것을 바꾸기 이전에 먼저 그것을 탄식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는 것을 기억하게 도와주소서.

우리의 모든 감정을 하나님 앞으로 가져가는 것을 어떻게 연습할 수 있을까요? 슬픔 속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 가까이 다가오시는 것을 언제 느껴 보셨습니까?

Daily Article

05/22/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JOHN 7:28–53
Hymn: 91 (Old 91)

TAKE YOUR TEARS TO GOD

Last summer, an orca named Talequah gave birth. Talequah’s pod of killer whales was endangered, and her newborn was their hope for the future. But the calf lived for less than an hour. In a show of grief that was watch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Talequah pushed her dead calf through the cold waters of the Pacific Ocean for seventeen days before letting her go. Sometimes believers in Jesus have a hard time knowing what to do with grief. Perhaps we fear that our sorrow might look like a lack of hope. But the Bible gives us many examples of humans crying out to God in grief. Lament and hope can both be part of a faithful response. Lamentations is a book of five poems that express the sorrow of people who have lost their home. They’ve been hunted by enemies and were near death (3:52–54), and they weep and call on God to bring justice (V. 64). They cry out to God not because they have lost hope, but because they believe God is listening. And when they call, God does come near (V. 57). It’s not wrong to lament the broken things in our world or in your life. God is always listening, and you can be sure that God will look down from heaven and see you. AMY PETERSON

Today's Reading

LAMENTATIONS 3:49–66
My eyes will flow unceasingly, without relief, until the Lord looks down from heaven and sees. [ LAMENTATIONS 3:49–50 ]

Loving God, help us to remember that it’s right to lament wrongness before we can begin to change it.

How can you practice bringing all your emotions to God? When have you felt God draw near to you in your sadness?

오늘의 말씀

05/21/2020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15; 요한복음 7:1-27
찬송가: 348 (통388)

나이프 엔젤

칼을 사용한 범죄가 영국 전역에 만연했을 때, 영국의 철강산업 센터가 한 아이디어를 내놓았습니다. 센터가 지역 경찰들과 협력하여 전국에 200개의 수거함을 설치해 놓고 무기 자진 신고 캠페인을 벌인 것입니다. 십만여 개의 칼이 누가 버렸는지 모르게 거두어졌는데, 칼날에 아직도 피가 묻어 있는 칼들도 있었습니다. 그 칼들은 예술가 알피 브래들리에게 보내어져서, 무디게 만들고 어떤 칼들에는 범죄로 희생된 어린아이들의 이름과 범죄자들의 반성 메시지가 새겨졌습니다. 그런 다음 십만 개의 무기들을 함께 붙여 희미하게 반짝이는 강철 날개를 가진 27피트 (약 8미터) 높이의 천사 모양의 조소 작품 ‘나이프 엔젤’을 만들었습니다. ‘나이프 엔젤’ 앞에 섰을 때, 나는 많은 칼로 그 작품을 만듦으로써 칼로 인한 상처들이 얼마나 많이 방지되었을까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어려서 죽지 않고(20절) 범죄가 번식하는 빈곤 속에서 자 라지 않는 (22-23절) 곳, 모든 칼들이 다시 빚어져 보다 창조적인 목적을 위해 쓰임으로(2:4) 칼을 사용한 범죄가 더 이상 없는 곳인, 이사야가 환상으로 보았던 새 하늘과 새 땅(이사야 65:17)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새로운 세상은 이 땅에 아직 오지 않았지만, 우리는 그 세상이 올 때까지 기도하고 섬겨야 합니다(마태복음 6:10). ‘나이프 엔젤’은 그 나름대로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미래의 그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칼이 쟁기가 되고, 무기가 예술품이 됩니다. 그 미래의 모습을 좀 더 그려보기 위해 우리는 어떤 또 다른 구속 프로젝트를 시도해 볼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이사야 2:1-4
이 나라와 저 나라가 다시는 칼을 들고 서로 치지 아니하며 다시는 전쟁을 연습하지 아니하리라 [이사야 2:4]

예수님, 장차 주님의 다스림 아래 이 세상이 평화로워질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 성령의 힘으로 우리를 움직여 주님의 나라가 우리 사회에 임하는 것을 보게 하소서.

무엇이 악과 싸우도록 영감을 줍니까? 지역 사회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21/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JOHN 7:1–27
Hymn: 348 (Old 388)

THE KNIFE ANGEL

When knife crime rose across the United Kingdom, the British Ironwork Centre came up with an idea. Working with local police forces, the Centre built and placed two hundred deposit
boxes around the country and ran an amnesty campaign. One hundred thousand knives were anonymously surrendered, some still with blood on their blades. These were then shipped to artist Alfie Bradley, who blunted them, inscribed some with the names of young knife-crime victims, plus messages of regret from ex-offenders. All 100,000 weapons
were then welded together to create the Knife Angel—a twenty-sevenfoot- high angelic sculpture with shimmering steel wings. When I stood before the Knife Angel, I wondered how many thousands of wounds had been prevented by its existence. I thought too of Isaiah’s vision of the new heavens and earth (ISAIAH 65:17), a place where children won’t die young (V. 20) or grow up in crime-breeding poverty (VV. 22–23), a place where knife crime is no more because all swords have been reshaped and given more creative purposes (2:4).
That new world isn’t yet here, but we are to pray and serve until its arrival (MATTHEW 6:10). In its own way, the Knife Angel gives us a glimpse of God’s promised future. Swords become plow shares. Weapons become artworks. What other redemptive projects can we conjure up to glimpse that future a little mor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ISAIAH 2:1–4
Nation will not take up sword against nation, nor will they train for war anymore. [ ISAIAH 2:4 ]

Jesus, we can’t wait until the world is at peace under Your reign. Move us by Your Spirit to help see Your kingdom come in our communities.

What inspires you to combat evil? How can you work for peace in your community?

오늘의 말씀

05/20/2020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0-12; 요한복음 6:45-71
찬송가: 95 (통82)

미소 짓는 예수님

만약에 영화 속에서 예수님의 역할을 맡게 된다면 어떻게 그 역할에 접근하시겠습니까? 이것은 브루스 마치아노가 1993년에 상영된 ‘마태’라는 성경 영화에서 예수님의 역할을 맡으면서 당면했던 과제였습니다. 수백 만의 관객들이 그의 연기에 근거해서 예수님에 관한 결론을 내릴 거라는 것을 알고 나니, 예수님 역할을 “제대로” 해야 한다는 중압감이 엄습해 왔습니다. 그는 ‘예수님 역’을 위해 예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브루스는 히브리서 1장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저자는 하나님 아버지께서 어떻게 그의 아들이신 예수님께 “즐거움의 기름”을 부어 구별하셨는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1:9). 이런 기쁨은 하나님 아버지와의 관계를 온 마음으로 표현하는 환희의 축제입니다. 그 기쁨은 예수님의 삶 전체를 통해 언제나 그분의 마음을 다스렸습니다. 히브리서 12장 2절은 그것을 이렇게 묘사합니다.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성경의 이런 표현을 통해 힌트를 얻은 브루스는 영화 속에서 기쁨에 가득찬 특유의 구주 예수님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결과 그는 “미소 짓는 예수님”
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도 무릎을 꿇고 “예수님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도록 예수님께 간구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주님의 성품으로 우리를 채워 주셔서 우리 주위의 사람들이 우리 속에 나타난 예수님의 사랑을 볼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8-12
하나님이 즐거움의 기름을 주께 부어 주를 동류들보다 뛰어나게 하셨도다 [히브리서 1:9]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을 제대로 나타낼 수 있도록 주님께 간구합니다. 오늘 다른 사람들이 우리 속에서 주님의 마음을 볼 수 있게 하소서. 우리가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에서 주님의 기쁨을 발산할 수 있게 하소서.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 예수님은 어떤 분이시며, 생각을 바꾸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이 세상에 주님의 마음을 보여줄 때 어떻게 주님을 드러낼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20/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JOHN 6:45–71
Hymn: 95 (Old 82)

THE SMILING JESUS

If you were to play the part of Jesus in a movie, how would you approach the role? That was the challenge faced by Bruce Marchiano, who played Jesus in the 1993 Visual Bible movie Matthew. Knowing that millions of viewers would draw conclusions about Jesus based on his work, the weight of getting Christ “right” felt overwhelming. He fell to his knees in prayer and begged Jesus for—well, for Jesus. Bruce gained insight from the first chapter of Hebrews, where the writer tells us how God the Father set the Son apart by anointing Him
“with the oil of joy” (1:9). This kind of joy is one of celebration—a gladness of connection to the Father expressed wholeheartedly. Such joy ruled in Jesus’ heart throughout His life. As Hebrews 12:2 describes it, “For the joy set before him he endured the cross, scorning its shame, and sat down at the right hand of the throne of God.” Taking his cue from this scriptural expression, Bruce offered a uniquely joy-filled portrayal of his Savior. As a result, he became known as “the smiling Jesus.” We too can dare to fall to our knees and “beg
Jesus for Jesus.” May He so fill us with His character that people around us see the expression of His love in us! ELISA MORGAN

Today's Reading

HEBREWS 1:8–12
God . . . has set you above your companions by anointing you with the oil of joy. [ HEBREWS 1:9 ]

Dear Jesus, we beg You for You. May Your heart be what others see in us today. May we radiate Your joy in all we say and do.

What are your perceptions of Jesus and how might they need to change? How can you represent Him as you show His heart to the world?

오늘의 말씀

05/19/2020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7-9; 요한복음 6:22-44
찬송가: 384 (통434)

선택이 이끄는 곳

우리는 휴대전화나 등반 지도도 없이 트레일러 앞에 붙어 있던 지도의 기억만 의지하여 앞으로 나아갔습니다. 한 시간도 더 지나서야 마침내 우리는 숲을 벗어나 주차장으로 들어섰습니다. 반 마일(800미터) 정도의 등산길인데 갈림길을 잘못 들어서서 훨씬 긴 등산을 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인생도 그와 같습니다. 우리는 어떤 것이 옳고 그른지 뿐만 아니라, 그것이
어디로 이끌어가는지를 물어야 합니다. 시편 1편에서는 두 종류의 삶, 곧 의인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의 삶과 악인(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대적)의 삶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의인은 나무처럼 형통하지만 악인은 바람에 나는 겨와 같습니다(3-4절). 이 시편은 형통한 것이 실제로 어떤 모습인지를 보여줍니다. 그런 삶을 살아가는 사람은 새롭게 되기 위해, 삶을 위해 하나님을 의지하고 살아갑니다. 그러면 어떻게 그런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시편 1편은 여러 가지 예 가운데서도 파멸로 이끄는 관계나 불건전한 습관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가르침을 즐거워하라고 말합니다(2절). 궁극적으로, 우리가 번성하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살펴주시기 때문입니다. “의로운 사람의 길은 여호와께서 지켜주십니다”(6절, 현대인의 성경). 당신의 앞길을 하나님께 맡기고, 방황하던 당신의 옛 생활 습관들을 그분이 다시 바꾸게 하십시오. 그리고 성경 말씀들이 당신 마음의 뿌리에 물을 대는 강물이 되게 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시편 1
의로운 사람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지키시나 [시편 1:6, 현대인의 성경]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의 은혜로 저를 그릇된 길로 이끄는 것들에서 돌아서게 하소서. 주님 계신 강가로 저를 이끄셔서 말씀으로 먹여 주시고, 주님의 영광을 위하여 충성되고 열매 맺는 삶을 살게 하소서.

벗어나야 할 잘못된 친구 관계나 습관이 있습니까? 어떻게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시간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5/19/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JOHN 6:22–44
Hymn: 384 (Old 434)

WHERE CHOICES LEAD

With no cell service and no trail map, we had just our memory of a fixed map at the trailhead to guide us. More than an hour later, we finally emerged from the woods into the parking lot. Having missed the turn-off that would have made for a half-mile hike, we took a much longer trek. Life can be like that: we have to ask not simply if something is right
or wrong, but where it will lead. Psalm 1 compares two ways of living— that of the righteous (those who love God) and that of the wicked (the enemies of those who love God). The righteous flourish like a tree, but the wicked blow away like chaff (VV. 3–4). This psalm reveals what flourishing really looks like. The person who lives it out is dependent on God
for renewal and life. So how do we become that kind of person? Among other things, Psalm 1 urges us to disengage from destructive relationships and unhealthy habits and to delight in God’s instruction (V. 2). Ultimately, the reason for our flourishing is God’s attentiveness to us: “The Lord watches over the way of the righteous” (V. 6). Commit your way to God, let Him redirect you from old patterns that lead to nowhere, and allow the Scriptures to be the river that nourishes the root system of your heart.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SALM 1
The Lord watches over the way of the righteous. [ PSALM 1:6 ]

Dear Jesus, give me the grace to turn away from the things leading me down the wrong path. Lead me to the river of Your presence, and nourish me with the Scriptures. Make my life
faithful and fruitful for Your honor.

What friendships or habits do you need to make a break from? How can you create more time in your schedule to read the Bibl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