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07/2020 주일
구조를 기다리며
예수님은 한 “율법교사”(누가복음 10:25)에게 도움이 필요한 한 사람에 관하여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습니다. 제사장과 레위인이 길을 가다가 다친 사람을 보았지만 둘 다 그를 돕기는커녕 “피하여 지나갔습니다”(31-32절). 왜 그랬는지 우리는 모릅니다. 둘 다 종교인이었기에 자기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율법을 잘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레위기 19:17-18). 어쩌면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아니면 시신을 만지면 율법적으로 부정하게 되어 성전의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의 율법을 어기고 싶지 않아서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유대인들에게 멸시를 받던 한 사마리아인은 아주 고귀하게 행동했습니다. 그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보고는 헌신적으로 돌보았습니다.
예수님은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누가복음 10:37)는 명령으로 가르침을 마치셨습니다. 위험이 따르더라도 기꺼이 다른 이들을 사랑으로 도울 수 있는 마음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30-37어떤 사마리아인은 여행하는 중 거기에 이르러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누가복음 10:33]
예수님께서 당신의 도움이 필요한 누구를 만나게 하셨습니까?
오늘 어떻게 당신의 사랑을 행동으로 옮기시겠습니까?
하나님, 눈을 떠 주위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보게 하시고, 타인을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07/2020 Sunday
IN NEED OF RESCUE
Jesus told a parable to an “expert in the law” (LUKE 10:25) about someone who needed to be rescued. Two men—a priest and a Levite—saw an injured man as they were traveling. But rather than help him, both “passed by on the other side” (VV. 31–32). We aren’t told why. Both were religious men and would have been familiar with God’s law to love their neighbor (LEVITICUS 19:17–18). They may have thought it was too dangerous. Or perhaps they didn’t want to break Jewish laws about touching dead bodies, making them ceremonially unclean and unable to serve in the temple. In contrast, a Samaritan—who was despised by the Jews— acted nobly. He saw the man in need and selflessly took care of him.
Jesus wrapped up His teaching with the command that His followers should “go and do likewise” (LUKE 10:37). May God give us the willingness to risk reaching out in love to help others. -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LUKE 10:30–37A Samaritan, as he traveled, came where the man was; and when he saw him, he took pity on him.
[ LUKE 10:33 ]
Who has Jesus put in your path that needs your help?
How can you put your love into action today?
God, open my eyes to the needs around me and give me Your heart of compassion for others.
오늘의 말씀
06/06/2020 토요일
소외된 자를 찾으시는 예수님
아이들이 높은 데로 올라가 구경하는 것을 보면서 누가가 부자 세리라고 한 삭개오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누가복음 19:2). 유대인들은 종종 세무 관원들을 자기의 재산을 모으려고 세금 이외에 추가로 돈을 요구할 뿐 아니라 로마 정부를 위해 이스라엘 동족들로부터 세금을 걷는 반역자로 여겼습니다. 그러므로 삭개오도 그의 동네에서 따돌림을 받았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여리고를 지나가실 때 삭개오도 예수님을 보고 싶었지만 수많은 관중 때문에 볼 수가 없었습니다. 아마도 그래서 절박감과 외로움에서 예수님을 잠시라도 보기 위해 돌무화과나무 위로 올라갔던 것 같습니다(3-4절). 그런데 바로 거기서 군중들의 바깥쪽에 있는 그를 예수님이 찾아내시고 그의 집에 머무르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5절).
삭개오의 이야기는 예수님이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셔서” 주님과의 사귐과 구원의 선물을 주시기 위해 오셨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9-10절). 우리가 “군중들 뒤로” 밀려 사회에서 소외감을 느낄지라도 거기서도 예수님은 우리를 찾아내신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9:1-10인자가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
[누가복음 19:10]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외면당한다는 느낌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예수님은 외로움 가운데 있는 당신을 어떻게 찾아내어 함께 지내자고 초대하셨습니까?
예수님, 우리가 고통받고 있을 때 그냥 지나치지 않으시고 멈추어 주님과 친구가 되자고 초대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6/2020 Saturday
FOUND ON THE EDGES
Watching the kids peer out from their lofty location, I couldn’t help but think of Zacchaeus, who Luke identifies as a wealthy tax collector (LUKE 19:2). Jews often viewed tax collectors as traitors for working for the Roman government collecting taxes from fellow Israelites, as well as frequently demanding additional money to pad their personal bank accounts. So Zacchaeus was likely shunned from his community.
As Jesus passed through Jericho, Zacchaeus longed to see Him but was unable to see over the crowd. So, perhaps feeling both desperate and lonely, he climbed into a sycamore tree to catch a glimpse (VV. 3–4). And it was there, on the outskirts of the crowd, that Jesus searched him out and announced His intention to be a guest at his home (V. 5).
Zacchaeus’ story reminds us that Jesus came to “seek and to save the lost,” offering His friendship and the gift of salvation (VV. 9–10). Even if we feel on the edges of our communities, pushed to the “back of the crowd,” we can be assured that, even there, Jesus finds us. LISA M. SAMRA
Today's Reading
LUKE 19:1–10For the Son of Man came to seek and to save the lost.
[ LUKE 19:10 ]
How have you experienced feelings of being pushed aside by friends or family?
In the midst of loneliness, how has Jesus found you and invited you to spend time with Him?
Jesus, thank You for never simply walking by when I’m hurting but stopping to invite me into friendship with You.
오늘의 말씀
06/05/2020 금요일
유혹도 유익하다
‘겸손과 인내’. 내가 유혹에 그렇게 대응했다면 예수님과 동행하는 내 삶이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하지만 나는 수치심과 짜증으로, 조급히 문제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으려 할 때가 더 많습니다.
그러나 야고보서 1장에서 배우듯, 우리가 당면하는 유혹과 시련들은 아무런 목적도 없거나 그저 견뎌내야 하는 위협이 아닙니다. 유혹에 이끌려 상처와 절망을 겪을지라도(13-15절) 우리가 겸허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 그분의 지혜와 은총을 구하면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5절) 하나님을 만나게 됩니다. 우리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통해서, 시련과 고통을 겪으며 죄와 맞서 싸울 때 우리 속에 인내가 자라나 “[우리로] 온전하게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만들어줍니다(4절).
우리는 예수님을 믿기 때문에 두려움 속에서 살 이유가 없습니다. 하나님의 사랑받는 귀한 자녀로서 우리는 유혹을 받아도 하나님의 사랑의 품안에 쉬며 평강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1:2-5, 12-21너희 영혼을 능히 구원할 바 마음에 심어진 말씀을 온유함으로 받으라
[야고보서 1:21]
겸허와 인내의 태도를 가지면 지금 받는 유혹이나 고통을 어떻게 다르게 대할 수 있을까요? 그것이 어떻게 자유롭게 해줍니까?
예수님, 살면서 유혹과 고통을 만날 때 예수님 없이 나 혼자 할 수 있는 것처럼 혼자 애쓰는 때가 얼마나 많은지 알고나니 마음이 슬픕니다. 저를 끝없는 사랑과 인내로 받아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5/2020 Friday
USEFUL TEMPTATION
Humility and patience. How different my walk with Christ would be if that were how I naturally responded to temptation! More often, I react with shame, frustration, and impatient attempts to get rid of the struggle.
But, as we learn from James 1, the temptations and trials we face don’t have to be without purpose or merely a threat we endure. Although giving in to temptation can bring heartbreak and devastation (VV. 13–15), when we turn to God with humble hearts seeking His wisdom and grace, we find He “gives generously to all without finding fault” (V. 5). Through His power in us, our trials and struggles to resist sin build perseverance, “so that [we] may be mature and complete, not lacking anything” (V. 4).
As we trust in Jesus, there’s no reason to live in fear. As God’s dearly loved children, we can find peace as we rest in His loving arms even as we face temptation.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JAMES 1:2–5, 12–21Humbly accept the word planted in you, which can save you.
[ JAMES 1:21 ]
How might an attitude of humility and patience change how you respond to a current temptation or struggle? How is it freeing?
Jesus, I’m saddened when I realize how often I try to face life’s temptations and struggles on my own—as if I’m self-sufficient, as if I don’t need You. Thank You for Your unending love and patience with me.
오늘의 말씀
06/04/2020 목요일
내 아버지의 자녀
예수님을 따르던 빌립이 어느 날 이렇게 요청했습니다.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주옵소서”(요한복음 14:8). 예수님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지만 이 때에도 잠시 침묵하셨다가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다”(9절)고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아버지와 닮았다는 것과는 달리, 예수님이 여기 하신 말씀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내가 아버지 안에 거하고 아버지는 내 안에 계신 것을 네가 믿지 아니하느냐”(10절). 예수님은 그분의 본질과 성품이 하나님 아버지와 똑같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때 예수님은 사랑하는 제자들과 우리에게 사실 그대로를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 알고 싶으면 나를 보아라.’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4:8-14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요한복음 14:9]
예수님(그리고 하나님 아버지)의 어떤 점이 당신 마음에 강하게 와 닿습니까? 왜 그렇습니까? 그분은 당신의 모습을 어떻게 바꾸어 오셨습니까?
예수님, 일들이 감당하기 어려워 보일 때 주님을 보는 것이 하나님 아버지를 보는 것임을 알게 하소서. 늘 주님을 바라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04/2020 Thursday
MY FATHER’S CHILD
A follower of Jesus named Philip once asked, “Lord, show us the Father” (JOHN 14:8). And while it wasn’t the first time Jesus had indicated as much, His response was still cause for pause: “Anyone who has seen me has seen the Father” (V. 9). Unlike the physical resemblances between my father and me, what Jesus says here is revolutionary: “Don’t you believe that I am in the Father, and that the Father is in me?” (V. 10). His very essence and character were the same as His Father’s.
In that moment Jesus was being straightforward with His beloved disciples and us: If you want to know what God is like, look at Me. - JOHN BLASE
Today's Reading
JOHN 14:8–14Anyone who has seen me has seen the Father.
[ JOHN 14:9 ]
What ar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Jesus (and the Father) that resonate strongly with you, and why? How has He been molding your character?
Jesus, when things seem overwhelming, remind me that to see You is to see the Father. Help me keep my eyes fixed on You.
오늘의 말씀
06/03/2020 수요일
거룩한 모임
나는 그 저녁시간들이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에게 초막절에 매년 모이도록 명하셨을 때 의도하셨던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상상해 봅니다. 다른 축제들과 마찬가지로 초막절을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루살렘을 향해 떠나야 했습니다. 그들이 도착하면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함께 모여 예배드리고 약 1주일의 축제 기간 동안 “아무 노동도 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레위기 23:35). 초막절은 하나님의 예비하심을 기리고 애굽을 떠나 광야에서 보낸 시간들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42-43절).
이 모임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은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굳게 다지고, 개인적이나 집단적으로 겪는 고난들이 있음에도 하나님은 선하신 분이라는 것을 선포하였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같이 모여 삶 가운데 하나님께서 함께하시며 베풀어주신 것들을 기억할 때, 우리도 믿음 안에서 더욱 강해집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23:33-36, 39-44너희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이레 동안 즐거워할 것이라
[레위기 23:40]
함께 예배하고 서로 권면할 수 있는 사람들이 당신에게 있습니까?
다른 사람들과 공동체를 이루면서 당신의 믿음이 어떻게 강해졌습니까?
아버지 하나님, 제 인생에 사람들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가 서로 권면하며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3/2020 Wednesday
SACRED GATHERING
I imagine those nights are similar to what God intended when He instructed His people to gather each year for the Festival of Tabernacles. This feast, like many others, required the Israelites to travel to Jerusalem. Once they arrived, God instructed His people to gather together in worship and to “do no regular work” for the duration of the feast—about a week! (LEVITICUS 23:35). The Festival of Tabernacles celebrated God’s provision and commemorated their time in the wilderness after leaving Egypt (VV. 42–43).
This gathering cemented the Israelites’ sense of identity as God’s people and proclaimed His goodness despite their collective and individual hardships. When we gather with those we love to recall God’s provision and presence in our lives, we too are strengthened in faith.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LEVITICUS 23:33–36, 39–44Rejoice before the Lord your God for seven days.
[ LEVITICUS 23:40 ]
Who can you gather with for worship and encouragement?
How has your faith been strengthened in community with others?
Father God, thank You for the people You’ve put in my life.
Please help us to encourage one another.
오늘의 말씀
06/02/2020 화요일
용서하라고 선택받음
오랜 회복 기간 동안 패트릭은 원망을 품고 살면 상처가 더 깊어진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하나님은 용서의 비결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한 일들보다는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서 하신 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패트릭에게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을 괴롭히던 사람들을 향해 십자가 위에서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누가복음 23:34)라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예수님의 용서를 예언한 스가랴 제사장의 예언을 이룬 것이었습니다(1:77). 나아가 예수님이 보이신 본은 패트릭에게 한 가지 목적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비극이 일어난 지 20년이 지나서 패트릭은 말했습니다. “아마도 나는 용서를 하라고 선택되었나 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콜럼바인에서와 같은 상상도 못할 참사를 겪지는 않지만 누구나 어떤 식으로든 부당한 일을 당합니다. 배우자가 배신하고, 자식이 반항하고, 직장상사가 괴롭힙니다. 그런데도 어떻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요? 아마도 우리 구주 예수님의 본을 바라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주님은 배척받고 잔인한 일을 당하시면서 용서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용서하심으로 우리가 구원받았고, 이로써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는 능력도 얻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도 패트릭처럼 원망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어 용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76-79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누가복음 23:34]
당신은 마음을 열어 용서할 수 있습니까? 당신에게 잘못한 사람을 용서하는 것이 예수님께서 죽으심으로 이루신 구원을 어떻게 좀 더 체험하게 해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가 용서해야 할 사람이 누구인지 보여주시고, 주님이 죽음으로 보여주신 용서를 저도 할 수 있게 힘을 주소서.
Daily Article
06/02/2020 Tuesday
CHOSEN TO FORGIVE
Through his long recovery, Patrick learned that clinging to bitterness causes further wounding. God showed Patrick that the key to forgiveness is to stop focusing on what others have done to us and to focus on what Jesus has done for us. Christ’s words on the cross toward His tormenters,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LUKE 23:34), fulfilled Zechariah the priest’s prophecy of Jesus’ forgiveness (1:77). Additionally, His example revealed a purpose for Patrick, and twenty years after the tragedy, Patrick shared, “Maybe I was chosen to forgive.”
While most of us will not endure an unimaginable calamity such as the one committed at Columbine, each of us has been wronged in some way. A spouse betrays. A child rebels. An employer abuses. How do we move forward? Perhaps we look to the example of our Savior. In the face of rejection and cruelty, He forgave. It is through Jesus’ forgiveness of our sins that we, ourselves, find salvation, which includes the ability to forgive others. And like Patrick, we can choose to let go of our bitterness to open our hearts to forgiveness.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1:76–79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 LUKE 23:34 ]
Is your heart open to forgive? How might you experience more of the salvation Jesus died to provide by choosing to move toward forgiving someone who has wronged you?
Dear Father, show me who I’m chosen to forgive today, and give me the strength to offer the forgiveness You died to provide.
오늘의 말씀
06/01/2020 월요일
주님의 인도하심이 필요해
지칠대로 지쳐 비탄에 빠졌던 다윗도 인간의 도움이 아닌 그가 섬겼던 하나님께 도움을 청했습니다. 시편 61편 2절은 이렇게 기록합니다. “내 마음이 약해질 때에 땅 끝에서부터 주께 부르짖으오리니 나보다 높은 바위에 나를 인도하소서.” 그는 하나님의 임재 속으로 새롭게 인도되는 안전과 구원을 갈망하였습니다(3-4절).
성경에서 “각기 제 길로 간”(이사야 53:6) 양들이라 표현한 사람들의 삶에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는 혼자 있으면 무너진 세상의 사막에서 길을 잃고 절망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혼자가 아닙니다! 우리에게는 “쉴만한 물 가로”인도하시고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안내하시는 목자가 계십니다(시편 23:2-3).
오늘 주님의 인도가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주님께 간구하십시오. 그분은 당신을 결코 홀로 버려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1땅 끝에서부터 주께 부르짖으오리니
[시편 61:2]
길을 잃었다고 느꼈을 때 어떤 심정이었습니까? 헤매일 때 목자처럼 인도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을 당신은 이제부터 어떻게 신뢰하겠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저의 목자이자 안내자가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을 신뢰하고 주님의 지혜 안에서 안식하게 하시고, 삶의 어려운 순간에 성령께서 인도해주소서.
Daily Article
06/01/2020 Monday
NEEDING HIS LEADING
In a time of great weariness and heartache, David looked beyond any human guide, seeking direction from the God he served. In Psalm 61:2 we read, “From the ends of the earth I call to you, I call as my heart grows faint; lead me to the rock that is higher than I.” He longed for the safety and relief of being ushered afresh into God’s presence (VV. 3–4).
God’s guidance in life is desperately needed for people the Scriptures describe as sheep that have “gone astray” (ISAIAH 53:6). Left to ourselves, we would be hopelessly lost in the desert of a broken world.
But we are not left to ourselves! We have a Shepherd who leads us “beside quiet waters,” refreshes our souls, and guides us (PSALM 23:2–3).
Where do you need His leading today? Call on Him. He will never leave you.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61From the ends of the earth I call to you.
[ PSALM 61:2 ]
What was it like when you felt lost? How can you begin to trust God’s desire to guide you like a shepherd in those times of seeking?
Loving Father, thank You for being my Shepherd and Guide.
Help me to trust You and rest in Your wisdom, allowing Your Spirit to guide me through the challenging moments of life.
오늘의 말씀
05/31/2020 주일
편하게 하라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2-18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 [빌립보서 2:13]
하나님, 제가 예수님을 닮도록 제 마음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계시니 감사합니다. 겸손한 태도로 당신께 배울 수 있게 해주소서.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라는 말씀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 안에서 무엇을 하시길 원하십니까?
Daily Article
05/31/2020 SUNDAY
EASY DOES IT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2–18It is God who works in you to will and to act in order to fulfill his good purpose. [ PHILIPPIANS 2:13 ]
God, I’m grateful that You’re changing my heart and actions to make me like Jesus. Please give me a humble attitude to learn from You.
What does it mean to you that “It is God who works in you”? What do you want Him to do in you?
오늘의 말씀
05/30/2020 토요일
무엇이든 하라
오직 한 가지만이 전도서의 저자를 절망에서 건져줍니다. 삶의 여러 가지 시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하나님과 함께 생활하고 일할 때 비로소 충만함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분께서 주시지 않고서야 누가 먹을 수 있으며, 누가 즐길 수 있겠는가?”(2:25, 새번역). 인생은 때때로 무의미하게 느껴질지라도, “당신의 창조주를 기억하십시오”(12:1). 인생이 무엇인가 알아내려고 자신을 지치게 하지 말고,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의 명령들을 지키십시오”(13절). 하나님을 우리의 중심에 두지 않는다면 인생의 즐거움과 슬픔은 환멸을 초래할 뿐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2:17-25그분께서 주시지 않고서야 누가 먹을 수 있으며, 누가 즐길 수 있겠는가? [전도서 2:25, 새번역]
하나님, 당신 없이는 아무것도 만족스럽거나 의미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오늘 하나님을 나의 삶과 일, 즐거움, 실망 가운데에 새롭게 모십니다.
순간적인 행복을 찾아 헤매고 있습니까? 로마서 8:11, 18-25 말씀에 비추어 볼 때 전도서의 저자가 부활의 희망을 몰랐기 때문에 한 그의 행복추구 노력들이 어떻게 생각됩니까?
Daily Article
05/30/2020 SATURDAY
DO WHATEVER
Today's Reading
ECCLESIASTES 2:17–25For without him, who can eat or find enjoyment? [ ECCLESIASTES 2:25 ]
God, today I place You anew at the center of my living, working, joys, and disappointments, for without You nothing will satisfy or make sense.
How much do you seek happiness through things that won’t last? Since the writer of Ecclesiastes didn’t know the hope of resurrection, how would you consider his search in light of Romans 8:11, 18–25?
오늘의 말씀
05/29/2020 금요일
달의 창조자
이고 위압적인 모습으로 저기에 있었습니다. 나는 지구가 우연히 생겨났다고 하기에는 너무 아름답다고 느꼈습니다. 당신보다, 그리고 나보다 더 큰 누군가가 계시지 않았다면 불가능합니다.” 깊은 우주 공간에서 바라보는 그들의 남다른 관점으로 보더라도, 그들은 우주의 광대함에 비하여 자신들이 아주 작은 존재임을 깨달았습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도 하나님의 광대하심을 지구와 만물의 창조주이자 주재자 로서 보았습니다. 만물의 창조주께서는 그분의 백성들에게 사랑과 용서와 소망을 베푸시며 자신을 절친한 모습으로 드러내실 거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예레미야 31:33-34).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광대하심을 “해를 낮의 빛으로 주셨고 달과 별들을 밤의 빛으로 정하신”(35절) 분이라고 단언합니다. 우리의 창조주이자 전능하신 주님께서는 모든 백성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일하시면서 만물 위에 군림하실 것입니다(36-37절). 우리는 우주의 측량할 수 없는 광활함과 지구 기반의 깊이에 대한 탐구를 결코 끝내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주의 복합적인 모습에 경외심을 품고 달과 그 밖의 모든 것을 만드신 분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1:33-37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예레미야 31:33]
만물의 창조주이자 주재자이신 하나님, 오늘 그리고 영원히 하나님을 알고 신뢰할 수 있도록 불러 주시니 감사합니다.
우주 만물의 창조주이자 주재자이신 하나님의 거대하심을 상상해볼 때, 앞에 장애물이 있음에도 그분을 신뢰하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우주의 복합성은 삶의 세세한 부분에서 하나님을 신뢰하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Daily Article
05/29/2020 FRIDAY
THE MAKER OF THE MOON
Today's Reading
JEREMIAH 31:33–37[The Lord said,] “I will be their God and they will be my people.” [ JEREMIAH 31:33 ]
Creator and Sustainer of all, thanks for inviting us to know You and trust You today and forever.
How does imagining God’s bigness as Creator and Sustainer of the universe help you trust Him with the obstacles that come your way? How does the complexity of the universe help you trust God with the details of your l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