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17/2020 수요일
주님 앞에서 춤추는 것
마가복음에서 마리아의 “낭비”를 보여주는 이야기에 어떤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예수님을 향한 우리의 사랑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고 다른 사람들이 불편을 느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마가복음 14:1-9). 1년 치 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름 붓는데 사용한 마리아의 행동은 예수님의 제자들의 경멸을 받을 정도로 “어리석은” 것이었습니다. 제자들의 반응을 말해주려고 마가가 사용한 단어는 “코웃음치다”라는 단어인데 이는 경멸하고 조롱했다는 뜻입니다. 마리아는 예수님의 반응을 두려워하여 몸을 움츠렸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마리아의 헌신적인 행동에 대해 그녀를 칭찬하고 그의 제자들로부터 그녀를 변호해 주셨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마리아의 행위를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예수님은 그녀가 그런 행동을 하게끔 한 사랑을 보셨습니다. 예수님은 “너희가 어찌하여 그를 괴롭게 하느냐 그가 내게 좋은 일을 하였느니라”(6절)고 말씀하셨습니다.
격식이 있든 없든, 조용하든 열광적이든, 각기 다른 형식으로 드리는 예배들은 모두 예수님을 향한 진실하고 넘치는 사랑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사랑의 마음으로 드려지는 모든 예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4:1-9어떤 사람들이 화를 내어 서로 말하되 어찌하여 이 향유를 허비하는가
[마가복음 14:4]
왜 우리가 낯선 형식의 예배에 대해 비판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어떻게 하면 익숙하지 않은 예배 형식에 대해 우리의 생각을 바꿀 수 있을까요?
지금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 엎드려 경배합니다.
하나님은 최고의 찬양과 경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Daily Article
06/17/2020 Wednesday
DANCING BEFORE THE LORD
But if Mark’s story of Mary’s “waste” means anything at all, it suggests that our love for Jesus may express itself in ways that others find uncomfortable (MARK 14:1–9). A year’s wages were involved in Mary’s anointing. It was an “unwise” act that invited the disciples’ scorn. The word Mark uses to describe their reaction means “to snort” and suggests disdain and mockery. Mary may have cringed, fearing Jesus’ response. But He commended her for her act of devotion and defended her against His own disciples, for Jesus saw the love that prompted her action despite what some would consider the impractical nature of it. He said, “Why are you bothering her? She has done a beautiful thing to me” (V. 6).
Different forms of worship—informal, formal, quiet, exuberant— represent a sincere outpouring of love for Jesus. He’s worthy of all worship that comes from a heart of love.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MARK 14:1–9Some of those present were saying indignantly to one another, “Why this waste of perfume?”
[ MARK 14:4 ]
Why do you think we’re critical of unfamiliar forms of worship?
How can we change our thoughts about a form of worship that’s outside our comfort zone?
I bow before You, Almighty God, and worship You now.
You’re worthy of the highest praise and adoration.
오늘의 말씀
06/16/2020 화요일
만약을 대비한 우상들
예레미야는 이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유다야 네 신들이 네 성읍의 수와 같도다 너희가 예루살렘 거리의 수대로 그 수치스러운 물건의 제단 곧 바알에게 분향하는 제단을 쌓았도다”(11:13).
유대인들의 우상숭배는 심했습니다. 여호와가 하나님이신 것을 알면서도 어떻게 다른 것을 섬길 수 있었을까요? 그들은 만약의 경우를 생각해 그렇게 대비하려 했던 것입니다. 그들에게는 죽은 이후에나 하나님이 필요했습니다. 왜냐하면 참되신 하나님만이 죽은 자를 부활시키실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살아 있는 지금은? 이방 신들이 건강과 부와 번영을 주겠다고 약속하는데 그저 만약을 대비해 거기에다가도 기도하면 왜 안 될까?
우리도 유대인들처럼 우상숭배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재능이 있고 좋은 교육을 받고 돈이 있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조심하지 않으면 그런 것에 의지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죽을 때 하나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를 축복해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합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우리는 동시에 만약을 대비하여 이런 더 작은 신들에게도 의지합니다.
당신은 무엇을 신뢰합니까? 만약을 대비한 우상이라 해도 우상은 우상 입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많은 은사들에 감사하십시오. 그러나 그 중 어느
것에도 의지하지 않는다고 하나님께 아뢰십시오. 믿음은 하나님만 온전히 의지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1:9-13그들이 다른 신들을 따라 섬겼은즉
[예레미야 11:10]
우상처럼 의지하고 싶어지는 좋은 그 무엇이 있습니까?
어떻게 하나님만 온전히 의지하면서 선물로 주신 그것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제 모든 소망은 아버지께 있습니다.
제 능력이나 부가 아닌 오직 하나님만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6/2020 Tuesday
JUST-IN-CASE IDOLS
Jeremiah warned about this: “You, Judah, have as many gods as you have towns; and the altars you have set up to burn incense to that shameful god Baal are as many as the streets of Jerusalem” (11:13).
Judah’s idolatry is remarkable. They knew the Lord was God. How could they worship anyone else? They were hedging their bets. They needed the Lord for the afterlife, because only the true God could raise them from the dead. But what about now? Pagan gods promised health, wealth, and fertility, so why not pray to them too, just in case?
Can you see how Judah’s idolatry is also our temptation? It’s good to have talent, education, and money. But if we’re not careful, we might shift our confidence to them. We know we’ll need God when we die, and we’ll ask Him to bless us now. But we’ll also lean on these lesser gods, just in case.
Where is your trust? Back-up idols are still idols. Thank God for His many gifts, and tell Him you’re not relying on any of them. Your faith is riding entirely on Him.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EREMIAH 11:9–13They have followed other gods to serve them.
[ JEREMIAH 11:10 ]
What good thing are you tempted to turn into an idol?
How might you use this gift while still depending fully on God?
Father, all my hope is in You.
Help me trust in You alone, not in my abilities and assets.
오늘의 말씀
06/15/2020 월요일
재건하기
그는 성읍의 관리들에게 피해 규모를 보고하면서 “우리가 어떤 어려움에 처해 있는지는 여러분도 잘 아는 사실입니다”(느헤미야 2:17, 현대인의 성경)라고 하면서, 성읍은 폐허가 되었고 성읍을 지켜주던 성벽은 쓸모없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비탄에 빠진 주민들에게 “하나님의 선한 손이 자기를 도우신 일”을 말하며 희망을 불어넣었고, 백성들은 그 자리에서 “재건 공사를 시작합시다”(18절, 현대인의 성경)라고 화답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공사를 시작했습니다.’
공사는 너무나 크고 적들의 방해도 있었지만 예루살렘 사람들은 느헤미아의 지도 아래 하나님을 믿으며 총력을 기울여 단 52일 만에 성벽을 다시 세웠습니다(6:15).
당신의 상황에서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님께서 당신이 하기를 원하시는 일이 있는지요? 그것이 버리지 못할 것 같은 죄의 문제입니까? 아니면 하나님께 영광을 가로막는 누구와의 갈등 관계입니까? 아니면 하나님을 위한 일이지만 너무 어려운 일입니까?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하고(2:4-5), 문제를 분석하고(11-15절), 하나님께서 함께 하심을 아십시오(18절). 그리고 공사를 시작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2:11-18그들의 말이 일어나 건축하자 하고 모두 힘을 내어 이 선한 일을 하려 하매
[느헤미야 2:18]
당신을 힘들게 하는 어떤 “파괴된 성벽” 같은 것들이 있습니까? 기도로 하나님의 도우심과 인도하심을 구하면 공사를 시작하는데 어떤 도움이 될까요?
하나님, 당신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혼자서는 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상황을 이해하고 하나님의 도움과 인도하심을 구하여 제 앞의 문제들을 해결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5/2020 Monday
HOW TO REBUILD
When it came time to report the damage to the officials of the city, he began by saying, “You see the trouble we are in” (NEHEMIAH 2:17). He reported that the city was in ruins, and the protecting city wall had been rendered useless.
But then he made a statement that energized the troubled citizens: “I also told them about the gracious hand of my God on me.” Immediately, the people replied, “Let us start rebuilding” (V. 18).
And they did.
With faith in God and all-out effort, despite enemy opposition and a seemingly impossible task, the people of Jerusalem—under Nehemiah’s leadership—rebuilt the wall in just fifty-two days (6:15).
As you consider your circumstances, is there something that looks difficult but that you know God wants you to do? A sin you can’t seem to get rid of? A relationship rift that’s not God-honoring? A task for Him that looks too hard?
Ask God for guidance (2:4–5), analyze the problem (VV. 11–15), and recognize His involvement (V. 18). Then start rebuilding. - DAVE BRANON
Today's Reading
NEHEMIAH 2:11–18They replied, “Let us start rebuilding.” So they began this good work.
[ NEHEMIAH 2:18 ]
What are a couple of “destroyed wall” situations that are troubling you? How will prayerfully asking for God’s help and guidance help you start the rebuilding process?
God, I need Your help. I can’t fix these problems alone. Help m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then to seek Your help and guidance in resolving the challenges before me.
오늘의 말씀
06/14/2020 주일
서로를 위해 지음 받은 사람들
스텔라와 멀이 함께하는 삶은 창세기 2장에서 하나님이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18절)고 하신 말씀의 좋은 본보기입니다. 하나님이 아담에게 데려온 다른 어떤 피조물도 그 말씀에 맞지 않았습니다. 아담에게는 그의 갈비뼈로 만든 하와만이 꼭 맞는 배필이자 동반자였습니다(19-24절).
하와는 아담의 완벽한 동반자였으며 하나님은 그들을 통해 결혼제도를 만드셨습니다. 이는 두 사람이 만나 서로를 도울 뿐 아니라 가정을 꾸리고 다른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피조물을 돌보게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1:28). 그 첫 번째 가정으로부터 공동체가 생겼고, 결혼 여부나 나이와 관계없이 우리는 아무도 혼자가 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공동체로서 “짐을 서로 지는”(갈라디아서 6:2) 특권을 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18-24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창세기 2:18]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예수님을 믿는 우리가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 때 얼마나 도움이 됩니까? 어떻게 그리스도를 따르는 공동체가 활동하는 것을 보았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서로를 위해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우리 중 누구도 진실로 혼자가 되지 않도록 공동체를 세워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4/2020 Sunday
MADE FOR EACH OTHER
Stella and Merle’s life together is an example of Genesis 2, where God said, “It is not good for the man to be alone. I will make a helper suitable for him” (V. 18). None of the creatures God brought before Adam fit that description. Only in Eve, made from the rib of Adam, did Adam find a suitable helper and companion (VV. 19–24).
Eve was the perfect companion for Adam, and through them God instituted marriage. This wasn’t only for the mutual aid of individuals but also to begin a family and to care for creation, which includes other people (1:28). From that first family came a community so that, whether married or single, old or young, none of us would be alone. As a community, God has given us the privilege of sharing “each other’s burdens” (GALATIANS 6:2).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ENESIS 2:18–24It is not good for the man to be alone. I will make a helper suitable for him.
[ GENESIS 2:18 ]
How is it helpful to know that no matter our marital status, as believers in Jesus we’re never alone? How have you seen the body of Christ in action?
Dear God, thank You for creating man and woman for each other and for instituting community so that none of us are truly alone.
오늘의 말씀
06/13/2020 토요일
그분이 나를 변화시켰다
에스겔서에 나오는 이 말씀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유배지에 있을 때 주신 말씀이었습니다. 그들이 하나님에게서 돌아섰을 때에도 하나님은 그들이 죄악을 버리고 “마음과 영을 새롭게”(31절) 하기를 간절히 원하셨습니다. 그 말씀은 존이 죄인들을 불러 회개하게 하려고 오신 예수님 (누가복음 5:32)을 따르며 “돌이키고 살도록”(32절) 만들어 주었습니다.
우리도 성령님이 죄를 깨닫게 하실 때 응답하여 용서와 자유를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18:25-32만일 악인이......정의와 공의를 행하면 그 영혼을 보전하리라
[에스겔 18:27]
당신이 “좋은 사람”인지 아닌지에 대한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시겠습니까?
당신은 삶의 어떤 부분에서 “돌이키고 살 수” 있겠습니까?
아버지 하나님, 성령님을 통하여 나의 죄 된 행동을 알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제 심령을 부드럽게 하셔서 회개하고 아버지의 죄 사함을 받아들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6/13/2020 Saturday
HE CHANGED ME
These words from Ezekiel were spoken to God’s people when they were in exile. Although they had turned from God, He longed that they would rid themselves of their offenses and “get a new heart and a new spirit” (V. 31). Those words helped John to “Repent and live!” (V. 32) as he followed Jesus, the One who called sinners to repentance (LUKE 5:32).
May we respond to the Spirit’s conviction of sin, that we too might enjoy forgiveness and freedo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ZEKIEL 18:25–32But if a wicked person . . . does what is just and right, they will save their life.
[ EZEKIEL 18:27 ]
How do you react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you’re a “good person”?
In what areas of life could you “repent and live”?
Father God, thank You for making me aware of my sinful behavior through Your Holy Spirit. Soften my heart to repent and to receive Your forgiveness.
오늘의 말씀
06/12/2020 금요일
함께하면 이긴다
출애굽기 17:8-13에서 하나님은 전쟁터에서 군사들을 이끈 여호수아와 하나님의 지팡이를 잡고 손을 들어 올리고 있었던 모세의 노력을 합하여 큰 승리를 이루어주셨습니다. 아론과 홀은 모세의 손이 지쳐 가면 그를 도와 해가 질 때까지 손을 한 쪽씩 붙들어 올려 적을 물리칠 수 있었습니다.
서로 의지하는 것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사랑의 하나님은 은혜 가운데 사람들을 그분의 대리인으로 우리에게 보내어 서로에게 유익하게 하십니다. 잘 들어주는 귀와 도움의 손길들, 지혜롭고 위로가 되며 충고가 되는 말들, 그리고 다른 많은 것들이 우리에게 주어지고, 이것은 다시 우리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집니다. 함께하면 승리를 얻고 또 하나님께 영광이 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7:8-13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혹시 그들이 넘어지면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전도서 4:9-10]
살면서 다른 사람들의 도움으로 혜택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인생의 이 시점에 당신이 함께 달려주어야 할 사람들이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 삶에 은혜로이 사람들을 보내주시고, 또 서로의 유익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삶을 나눌 사람들을 보내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2/2020 Friday
TOGETHER WE WIN
In Exodus 17:8–13 the Lord orchestrated a great victory that included the efforts of Joshua, who led fighting men on the battlefield; and Moses, who kept his hands raised while holding the staff of God. When Moses’ hands grew weary, Aaron and Hur assisted by each holding up one of his hands until the setting of the sun and the defeat of the enemy.
The value of interdependence can never be underestimated. God, in His kindness, graciously provides people as His agents for mutual good. Listening ears and helpful hands; wise, comforting, and correcting words—these and other resources come to us and through us to others. Together we win and God gets the glory!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EXODUS 17:8–13Two are better than one . . . : If either of them falls down, one can help the other up.
[ ECCLESIASTES 4:9–10 ]
At what times in your life have you benefited from the support of others?
Who might you know who needs you to run with them in this season of their life?
Father, thank You for those You’ve graciously provided in my life and for those You’ve allowed me to share life with for our mutual good and Your glory.
오늘의 말씀
06/11/2020 목요일
위에서 내려다보는 관점
이사야 시대의 하나님의 백성들에게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관점”이 필요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것에 대해 자긍심을 가졌지만 불순종했고 우상들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다른 관점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그들의 불순종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뜻은 바벨론의 포로생활로부터 그들을 구원하는 것이었습니다. 왜였을까요? “나는 나를 위하여......내 영광을 다른 자에게 주지 아니하리라”(이사야 48:11). 위에서 내려다보시는 하나님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 삶은 우리의 영광과 목적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과 목적을 위해서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관심은 하나님과 그분의 계획에,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을 찬양하게 하는데 두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바로 우리 인생의 관점이 되면 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열립니다. 우리가 하나님에 대해서 새로이 알게 되는 것이 무엇이며, 또 그분이 우리를 위해서 무엇을 하실지는 오직 그분만이 아십니다. 하나님께서 무엇이 우리에게 좋은지 가르쳐주시고, 가야 할 길로 우리를 인도하실 것입니다(17절).
오늘의 성구
이사야 48:5-11, 17나는 내 영광을 다른 자에게 주지 아니하리라
[이사야 48:11]
오늘 어떤 일로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습니까? 당신의 삶에서 하나님이 커지고 당신은 작아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 제 삶이 저 자신이 아닌 하나님에 관한 것이 되기를 원합니다.
저를 가르쳐 변화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6/11/2020 Thursday
PERSPECTIVES FROM ABOVE
God’s people in Isaiah’s day needed “a perspective from above.” They prided themselves on being His people yet were disobedient and refused to give up their idols. God had another perspective. Despite their rebellion, He would rescue them from captivity to Babylon. Why? “For my own sake, . . . I will not yield my glory to another” (ISAIAH 48:11). God’s perspective from above is that life is for His glory and purpose— not ours. Our attention is to be given to Him and His plans and to pointing others to praise Him too.
Having God’s glory as our own life’s perspective opens a whole new world. Only He knows what we will discover about Him and what He has for us. God will teach us what is good for us and lead us along the paths we should follow (V. 17). - ANNE CETAS
Today's Reading
ISAIAH 48:5–11, 17I will not yield my glory to another.
[ ISAIAH 48:11 ]
What can you praise God for today? How might you go about having God increase in your life and you decrease?
God, I want my life to be about You and not myself.
Teach me and change me.
오늘의 말씀
06/10/2020 수요일
“하나님 이야기”
그래서 마이크는 이집트에서 노예로 살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이끌어내셨는지 말해주었습니다. 그는 열 가지 재앙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집집마다 사람과 가축 중 처음 태어난 것은 다 죽임을 당했다는 것을 말해주며, 제물로 바친 희생양의 피를 문설주에 발라놓은 집은 죽음의 사자가 그냥 “넘어 갔다”고 설명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이 나중에 유월절 절기에 십자가에 못박혀 최종적인 희생양으로 돌아가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순간 마이크는 깨달았습니다. ‘아! 나 지금 전도하고 있네!’
예수님의 제자 베드로는 하나님을 모르는 문화권의 한 교회에 이렇게 조언했습니다.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라”(베드로전서 3:15).
마이크는 그의 믿음을 사람들 앞에 드러내왔기 때문에 그 믿음을 자연스럽게 나눌 기회를 얻었고, 그것도 “부드럽고 공손하게”(15절, 현대인의 성경) 할 수가 있었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성령님의 도우심으로 삶에서 가장 중요한 “하나님 이야기”를 간단한 말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3:13-18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베드로전서 3:15]
누군가가 당신과 신앙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할 때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왜 베드로는 우리가 믿음을 나눌 때 “부드럽고 공손하게” 하라고 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서 우리 삶에 주시는 소망과 목적을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6/10/2020 Wednesday
“GOD STUFF”
So Mike explained how God brought the Israelites out of slavery in Egypt. He told them about the ten plagues, including the death of the firstborn in every household. He explained how the death angel “passed over” the houses whose doorframes were covered by the blood of a sacrificed lamb. Then he shared how Jesus was later crucified at the Passover season as the once-and-for-all sacrificial Lamb. Suddenly Mike realized, Hey, I’m witnessing!
Peter the disciple gave advice to a church in a culture that didn’t know about God. He said, “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to give the reason for the hope that you have” (1 PETER 3:15).
Because Mike had been open about his faith, he got the chance to share that faith naturally, and he could do so with “gentleness and respect” (V. 15).
We can too. With the help of God’s Holy Spirit, we can explain in simple terms what matters most in life—that “stuff” about God.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1 PETER 3:13–18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to give the reason for the hope that you have. [ 1 PETER 3:15 ]
How have you felt when someone wants to discuss matters of faith with you? Why does Peter add that we are to share our faith “with gentleness and respect”?
Father, help me be ready to explain the hope and purpose You can bring to life.
오늘의 말씀
06/09/2020 화요일
우리가 기뻐할 이유
시편 149편 기자는 지속적이고 조건 없는 기쁨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함께 모여 “새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라”(1절)고 하면서, “자기를 지으신 이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그들의 왕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라”고 권합니다(2절). 그리고 우리에게 춤과 음악으로 하나님을 예배하라고 합니다(1-3절). 왜 그렇습니까? 그것은 “여호와께서는 자기 백성을 기뻐하시며 겸손한 자를 구원으로 아름답게 하시기”(4절) 때문입니다.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아버지는 우리를 창조하셨고 우주를 운행하고 계십니다. 하나님은 그저 우리가 그의 사랑하는 자녀이기 때문에 우리를 기뻐하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계획하여 지으셨고, 우리를 아시며, 우리와 개인적인 관계를 가지기를 원하십니다. 얼마나 영광스러운 일인지요! 우리를 사랑하시는 살아 계신 하나님이 바로 우리가 영원히 기뻐할 이유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언제나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바로 그 선물에 기뻐하며 창조주께서 주신 하루하루에 감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49:1-5이스라엘은 자기를 지으신 이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시온의 주민은 그들의 왕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할지어다
[시편 149:2]
하나님께서 우리를 기뻐하신다는 것을 알면 왜 모든 상황 속에서 기뻐할 수 있을까요? 하루의 삶을 통해 어떻게 하나님께 기쁨을 표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우리를 사랑하시고 기뻐하시며 우리를 아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9/2020 Tuesday
OUR REASON FOR JOY
The writer of Psalm 149 describes the original source of enduring and unconditional joy—God. The psalmist encourages God’s people to join together and “sing to the Lord a new song” (V. 1). He invites Israel to “rejoice in their Maker” and “be glad in their King” (V. 2). He calls us to worship Him with dancing and music (VV. 1–3). Why? Because “the Lord takes delight in his people; he crowns the humble with victory” (V. 4).
Our adoring Father created us and sustains the universe. He delights in us just because we’re His beloved children. He designed us, knows us, and invites us into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Him. What an honor! Our loving and living God is our reason for everlasting joy. We can rejoice in the gift of His constant presence and be grateful for every day our Maker has given u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149:1–5Let Israel rejoice in their Maker; let the people of Zion be glad in their King.
[ PSALM 149:2 ]
Why does knowing God delights in us encourage joy in all circumstances? How can you express your joy in the Lord throughout the day?
Thanks for loving us, delighting in us, and knowing us, God.
오늘의 말씀
06/08/2020 월요일
참된 겸손과 진정 위대한 사람
바울도 이 진리를 알기에 우리에게 그리스도가 걸으셨던 겸손한 길을 따르라고 격려하였습니다. 예수님은 “근본 하나님의 본체”셨지만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빌립보서 2:6), 오히려 자신의 권세를 포기하고 “종”이 되어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습니다”(7-8절). 모든 권세를 가지셨던 그분은 사랑을 위해 그 권세의 남은 것 하나까지 모두 다 포기하였습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죄인의 십자가에서 “지극히 높은 위치로” 올려주시는 반전을 행하셨습니다(9절). 예수님은 우리에게 찬양을 요구하고 복종을 강요할 수 있었음에도 그분의 권세를 내려놓는 놀라운 모습을 직접 보여주심으로 우리의 경배와 헌신을 이끌어내셨습니다. 예수님은 완전한 겸손의 모습을 통하여 온 세상을 뒤집는 진정한 위대함을 보여주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11[예수 그리스도는] 오히려 자기를 비워
[빌립보서 2:7]
예수님의 겸손이 어디까지인지 놀랍지 않습니까? 주님의 겸손은 당신이 생각하는 위대함의 정의를 어떻게 다시 생각해보게 합니까?
예수님, 가장 비참하고 (보기에) 치욕적인 순간에 주님의 진정한 힘과 위대함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8/2020 Monday
TRULY HUMBLE, TRULY GREAT
Paul knew this same truth and encouraged us to follow Christ’s humble way. Even though Jesus was “in very nature God,” he “did not consider equality with God something to be used to his own advantage” (PHILIPPIANS 2:6). Instead, He surrendered His power, became “a servant” and “humbled himself by becoming obedient to death” (VV. 7–8) The One who held all power surrendered every bit of it for the sake of love.
And yet, in the ultimate reversal, God exalted Christ from a criminal’s cross “to the highest place” (V. 9). Jesus, who could demand our praise or force us to be obedient, laid down His power in a breathtaking act that won our worship and devotion. Through absolute humility, Jesus demonstrated true greatness, turning the world upside down.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11[Christ Jesus] made himself nothing.
[ PHILIPPIANS 2:7 ]
How does the depth of Jesus’ humility surprise you? How does His humility force you to reconsider your definition of greatness?
Thank You, Jesus, that in Your most destitute and (seemingly) disgraceful moment, You demonstrated Your true power and greatn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