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27/2020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43-45; 사도행전 27:27-44
찬송가: 502(통259)

하나님의 세상을 경작하기

“ 아빠, 왜 일하러 가야 해요?” 자기와 놀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어린 딸이 내게 물었습니다. 나는 일을 가지 않고 딸아이와 놀아주고 싶었지만, 꼭 해야 할 일들이 쌓여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질문은 좋은 질문입니다. 왜 우리는 일을 합니까? 단지 우리 자신과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서 입니까? 보수가 없는 일은 어떻습니까? 왜 그 일을 할까요? 창세기 2장은 하나님이 첫 번째 사람을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셨다” (15절) 고 말합니다. 우리 장인은 농부인데 땅과 가축을 너무 좋아해서 농사일을 한다고 자주 말합니다. 그런 경우는 참 좋습니다. 그러나 자기 일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습니다. 왜 하나님은 우리에게 정해진 장소에서 정해진 일을 하도록 맡기셨을까요? 창세기 1장에 그 답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이 세상을 잘 관리하도록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습니다 (26절) . 믿지 않는 사람들은 태초에 “신들이” 인간을 그들의 노예로 만들었다고 말합니다. 창세기는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 그분의 뜻에 따라 창조하신 이 세상을 관리하도록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인간을 만드셨다고 분명히 말합니다. 우리가 지혜롭고 사랑이 넘치는 하나님의 명령을 이 세상에 잘 수행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일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하나님의 세계를 경작하라는 소명입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26-27; 2:15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어 그것을 경작하며 지키게 하시고 [창세기 2:15]

사랑하는 하나님,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사역에 동참할 수 있는 영광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지혜, 그리고 질서를 나의 삶과 일터에서 드러내게 도와주소서.

하나님이 당신에게 하라고 맡기신 일이 무엇입니까?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의 은혜로 이 “세상”에 질서를 부여하면서 이 “세상”으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도록 경작할 수 있습니까?

Daily Article

07/27/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43 – 45; A C T S 27:27– 44
Hymn: 502(Old259)

CULTIVATING GOD’S WORLD

“ Dad, why do you have to go to work?” The question from my young daughter was motivated by her desire to play with me. I would have preferred to skip work and spend time with her, but there was a growing list of things at work that required my attention. The question, nevertheless, is a good one. Why do we work? Is it simply to provide for ourselves and for the people we love? What about labor that’s unpaid—why do we do that? Genesis 2 tells us that God placed the first human in the garden to “work it and take care of it” (V. 15) . My father-in-law is a farmer, and he often tells me he farms for the sheer love of land and livestock. That’s beautiful, but it leaves lingering questions for those who don’t love their work. Why did God put us in a particular place with a particular assignment? Genesis 1 gives us the answer. We’re made in God’s image to carefully steward the world He made (V. 26) . Pagan stories of the way the world
began reveal “gods” making humans to be their slaves. Genesis declares that the one true God made humans to be His representatives—to steward what He’d made on His behalf. May we reflect His wise and loving order into the world. Work is a call to cultivate God’s world for His glory.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G E N E S I S 1:26–27; 2:15
The Lord God took the man and put him in the Garden of Eden to work it and take care of it. [ GENESIS 2:15 ]

Dear God, thank You for the honor of joining You in Your work in the world. Help me to reflect Your love, wisdom, and order in my life and in the place where I work.

What’s the work God has given you to do? How could you cultivate this “field” by bringing order into it and bringing good from it, by His grace?

오늘의 말씀

07/26/2020     주일

성경읽기: 시편 40-42; 사도행전 27:1-26
찬송가: 456(통509)

배반당함

2019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죽음 500주년을 기념하여 세계적으로 큰 전시회들이 열렸습니다. 그가 그린 많은 그림과 과학적인 발견들이 전시되었지만, 다빈치의 작품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것은 ‘최후의 만찬’을 포함한 다섯 개의 완성된 그림뿐입니다. 이 복잡한 벽화는 요한복음에 묘사된 대로 예수님이 그의 제자들과 함께 마지막 식사를 하는 장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예수님이 “너희 중 하나가 나를 팔리라” (요한복음 13:21) 고 하신 말씀에 혼란스러워하는 제자들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제자들은 당황하며 그 배반자가 누구일지 서로 갑론을박합니다. 그러는 동안 가룟 유다는 조용히 어둠 속으로 빠져나가 당국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어디 있는가를 알려주었습니다. ‘배반당했습니다.’ 유다의 배반으로 인한 고통은 “내 빵을 먹는 자가 나를 배반하였다” (18절, 새번역) 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 속에 분명히 드러납니다. 음식을 같이 먹을 정도로 가까운 친구가 예수님을 해치기 위해 그 관계를 이용한 것입니다. 우리도 친구의 배반을 경험했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 고통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이 자기를 배반할 자가 식탁에 함께 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기 위해 (요한복음 13:18) 인용한 시편 41편 9절 말씀은 우리에게 소망을 줍니다. 다윗은 두 마음을 품은 가까운 친구를 보고 번민을 토로한 후, 그를 붙드시고 영원히 하나님 앞에 세우실 하나님의 사랑과 함께하심에 위로를 받습니다 (시편 41:11-12) . 친구들이 실망을 안겨줄 때, 우리는 하나님의 지속적인 사랑과 능력이 우리와 함께함으로 아무리 어려운 고통도 인내할 수 있도록 우리를 도와 주신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위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18-22; 시편 41:9-12
내가 신뢰하여 내 떡을 나눠 먹던 나의 가까운 친구도 나를 대적하여 그의 발꿈치를 들었나이다 [시편 41:9]

하나님 아버지, 어떤 배반보다 하나님의 사랑이 더 강하다는 것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배반당할 때에 하나님이 언제나 저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앎으로써 힘을 얻게 도와주소서.

어떻게 친구의 배반을 경험해보셨습니까? 하나님께서 사랑하시고 함께하신다는 확신이 어떻게 당신을 붙들어주었습니까?

Daily Article

07/26/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40 – 42; A C T S 27:1 – 26
Hymn: 456(Old509)

BETRAYED

In 2019, art exhibitions worldwide commemorated the fiv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Leonardo da Vinci. While many of his drawings and scientific discoveries were showcased, there are only five finished paintings universally credited to da Vinci, including The Last Supper. This intricate mural depicts the final meal Jesus ate with His disciples, as described in the gospel of John. The painting captures the disciples’ confusion at Jesus’ statement, “One of you is going to betray me” (JOHN 13:21) . Perplexed, the disciples discussed who the betrayer might be—while Judas quietly slipped out into the night to alert the authorities of the whereabouts of his teacher and friend. Betrayed. The pain of Judas’ treachery is evident in Jesus’ words, “He who shared my bread has turned against me (V. 18) . A friend close enough to share a meal used that connection to harm Jesus. Each of us has likely experienced a friend’s betrayal. How can we respond to such pain? Psalm 41:9, which Jesus quoted to indicate His betrayer was present during the shared meal (JOHN 13:18) , offers hope. After David poured out his anguish at a close friend’s duplicity, he took solace in God’s love and presence that would uphold and set him in God’s presence forever (PSALM 41:11–12) . When friends disappoint, we can find comfort knowing God’s sustaining love and His empowering presence will be with us to help us
endure even the most devastating pain.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J O H N 13:18–22; P S A L M 41:9–12
Even my close friend, someone I trusted, one who shared my bread, has turned against me. [ PSALM 41:9 ]

Heavenly Father, I’m thankful that Your love is stronger than any betrayal. When I face rejection, help me find strength in the knowledge that You are always with me.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betrayal of a friend? How has the reassurance of God’s love and presence sustained you?

오늘의 말씀

07/25/2020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37-39; 사도행전 26
찬송가: 447(통448)

인내하며 꾸준히 걸으라!

하나님은 이 세상이 주목하지 않는 사람들을 사용하기를 좋아하십니다. 윌리엄 케리는 1700년대에 아주 작은 마을에서 정식 교육도 거의 받지 못한 채 자랐습니다. 그는 자신의 직업에서 크게 성공도 못하고 가난하게 살았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에게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열정을 주시고 그를 선교사로 부르셨습니다. 케리는 헬라어, 히브리어, 라틴어를 배웠고, 나중에 신약성경을 뱅골어로 처음으로 번역했습니다. 오늘날 그는 “현대 선교의 아버지”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조카에게 쓴 편지에서
그의 능력에 대해 겸손하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인내하며 꾸준히 걸을 수 있을 뿐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불러 어떤 사역을 맡기실 때 하나님은 우리 능력의 한계와 관계없이 그것을 이룰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사사기 6장 12절을 보면 여호와의 사자가 기드온에게 나타나 “큰 용사여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계시도다”라고 말합니다. 그러고 나서 그 사자는 그에게 마을과 농작물을 파괴하는 미디안 백성들로부터 이스라엘을 구원하라고 말했습니다. “큰 용사”라는 명성을 얻기 전이었던 기드온은 겸손하게 말했습니다. “내가 무엇으로 이스라엘을 구원하리이까...... 나는 내 아버지 집에서 가장 작은 자니이다” (15절) . 그럼에도, 하나님은 기드온을 사용하셔서 자기 백성들을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기드온의 성공의 핵심은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계시도다” (12절) 라는 말씀 속에 있습니다. 우리도 우리 구주와 함께 겸손하게 동행하며 그분의 능력을 의지할 때, 주님은 그분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을 성취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힘을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사기 6:7-16
내가 너를 보낸 것이 아니냐 [사사기 6:14]

나의 구주시며 힘이 되시는 하나님, 제게 능력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더욱 가까이 따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부르신 일 중에 당신의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이 무엇입니까? 오늘 어떻게 그분의 능력을 의지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25/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37– 39; A C T S 26
Hymn: 447(Old448)

PLOD ON!

God loves to use people the world might overlook. William Carey was raised in a tiny village in the 1700s and had little formal education. He had limited success in his chosen trade and lived in poverty. But God gave him a passion for sharing the good news and called him to be a missionary. Carey learned Greek, Hebrew, and Latin and eventually translated the first New Testament into the Bengali language. Today he is regarded as a “father of modern missions,” but in a letter to his nephew he offered this humble assessment of his abilities: “I can plod. I can persevere.” When God calls us to a task, He also gives us strength to accomplish it regardless of our limitations. In Judges 6:12 the angel of the Lord appeared to Gideon and said, “The Lord is with you, mighty warrior.” The angel then told him to rescue Israel from the Midianites who were raiding their towns and crops. But Gideon, who hadn’t earned the title of “mighty warrior,” humbly responded, “How can I save Israel? . . . I am the least in my family” (V. 15) . Still, God used Gideon to set His people free. The key to Gideon’s success was in the words, “the Lord is with you” (V. 12) . As we humbly walk with our Savior and rely on His strength, He will empower us to accomplish what’s only possible through Him. - JAMES BANKS

Today's Reading

J U D G E S 6:7–16
“Am I not sending you?” [ JUDGES 6:14 ]

Thank You for empowering me, my Savior and my strength! Please help me to follow You closely.

What’s God calling you to do that you can’t do in your own strength? How can you rely on His power today?

오늘의 말씀

07/24/2020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35-36; 사도행전 25
찬송가: 151(통138)

주님의 상처

나는 그레디와 대화를 나눈 후에, 왜 그가 악수를 하는 대신 “주먹을 맞대는 인사”를 선호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악수를 하게 되면, 그가 자신을 자해하려고 했다가 생긴 손목의 흉터가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타인에게 받았거나 혹은 자해로 인한 몸이나 마음의 상처들을 흔히 감추려 합니다. 나는 그레디와 만나고 난 후, 예수님의 손과 발에 박힌 못 자국과 창에 찔린 옆구리의 상처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분의 상처들을 감추시기보다는 그것들을 주목하여 보라고 하셨습니다.
도마는 처음에 예수님이 죽음에서 부활하셨다는 것을 의심했습니다. 예수님은 그에게 “네 손가락을 이리 내밀어 내 손을 보고 네 손을 내밀어 내 옆구리에 넣어 보라 그리하여 믿음 없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라” (요한복음 20:27) 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마는 예수님의 상처들을 직접 보고 또 주님의 놀라운 말씀을 듣고 나서, 그분이 예수님이심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믿음 안에서,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 (28절) 라고 외쳤습니다. 그러고 나서 예수님은 주님이나 주님 몸의 상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특별한 축복을 선포하셨습니다. “보지 못하고 믿는 자들은 복되도다” (29절) . 지금껏 가장 좋은 소식은 주님의 상처가 우리가 타인이나 우리 자신에게 범한 ‘우리의’ 죄를 위함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죽음은 예수님을 믿고 도마처럼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라고 고백하는 모든 사람들의 죄를 용서하시기 위함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20:24-29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이사야 53:5]

하나님 아버지, 그리스도의 상처가 제 죄 때문인 것을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떤 일로 인해 예수님의 상처가 당신을 위한 것임을 믿게 되었습니까? 예수님이 당신의 죄를 용서해 주셨음을 아직도 믿지 못한다면, 오늘 주님을 신뢰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Daily Article

07/24/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35 – 36; A C T S 25
Hymn: 151(Old138)

HIS SCARS

After my conversation with Grady, it occurred to me why his preferred greeting was a “fist bump” not a handshake. A handshake would’ve exposed the scars on his wrist—the result of his attempts to do himself harm. It’s not uncommon for us to hide our wounds—external or internal—caused by others or self-inflicted. In the wake of my interaction with Grady, I thought about Jesus’ physical scars, the wounds caused by nails pounded into His hands and feet and a spear thrust into His side. Rather than hiding His scars, Christ called attention to them. After Thomas initially doubted that Jesus had risen from the dead, He said to him, “Put your finger here; see my hands. Reach out your hand and put it into my side. Stop doubting and believe” (JOHN 20:27) . When Thomas saw those scars for himself and heard Christ’s amazing words, he was convinced that it was Jesus. He exclaimed in belief, “My Lord and my God!” (V. 28) . Jesus then pronounced a special blessing for those who haven’t seen Him or His physical wounds but still believe in Him: “Blessed are those who have not seen and yet have believed” (V. 29) . The best news ever is that His scars were for our sins—our sins against others or ourselves. The death of Jesus is for the forgiveness of the sins of all who believe in Him and confess with Thomas, “My Lord and my God!”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J O H N 20:24–29
He was pierced for our transgressions, . . . and by his wounds we are healed. [ ISAIAH 53:5 ]

Father, I believe that Christ’s scars were for my sin. I’m grateful!

What circumstances led you to believe that Jesus’ scars were for you? If you haven’t believed in Him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 what keeps you from trusting Him today?

오늘의 말씀

07/23/2020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33-34; 사도행전 24
찬송가: 272(통330)

바다 위를 비추는 희미한 빛

저널리스트 말콤 머거리지는 그가 제2차 세계대전 중 스파이로 일하던 때 유독 우울했던 어느 날 저녁에 대해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나는 우주와 영원 속에서 희미한 빛도 없이 홀로 퀴퀴한 술과 절망에 절어 침대에 누워있었다.” 그런 상태에서 합리적이고 유일한 길은 물에 빠져 죽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는 그렇게 하려고 했습니다. 그는 근처의 마다가스카르 해변으로 차를 몰고 간 다음 완전히 지칠 때까지 바다를 향해 오랫동안 헤엄을 치기 시작했습니다. 문득 뒤를 돌아보자 멀리 있는 해안의 불빛이 언뜻 보였습니다. 그 순간 자신도 모르게 되돌아서 그 불빛을 향하여 헤엄을 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비록 몸은 지쳤지만 “기쁨이 넘쳤다”고 회상합니다. 머거리지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었지만, 하나님께서 그 암울한 순간에 그에게 찾아오셔서 오직 초자연적으로만 가능한 방법으로 그에게 소망을 불어넣어 주셨다고 생각합니다. 바울 사도는 그런 소망에 대해 자주 기록했습니다. 그는 에베소서에서 예수님을 알기 전 우리 각자는 “[우리의] 허물과 죄로 죽었던......세상에서 소망이 없고 하나님도 없는 자” (2:1,12) 였다고 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이......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습니다” (4–5절) . 이 세상은 우리를 밑바닥으로 끌어내리려고 하지만, 절망 앞에 굴복할 이유는 없습니다. 머거리지는 자신이 바다에서 헤엄치던 경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어둠이란 없으며, 영원히 비추고 있는 빛을 못 보는 경우만 있다는 것을 나는 분명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5, 11-13
그 때에 너희는 밖에 있었고......세상에서 소망이 없고 하나님도 없는 자이더니 [에베소서 2:12]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참 소망의 근원이십니다. 하나님의 빛과 기쁨으로 우리를 채워주소서.

당신에게 가장 어두웠던 순간은 언제였습니까? 당신은 어디에서 “영원히 비추는 빛”을 보았습니까?

Daily Article

07/23/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33 – 34; A C T S 24
Hymn: 272(Old330)

A GLIMMER ON THE SEA

“ I lay on my bed full of stale liquor and despair,” wrote journalist Malcolm Muggeridge of a particularly dismal evening during his work as a World War II spy. “Alone in the universe, in eternity, with no glimmer of light.” In such a condition, he did the only thing he thought sensible; he tried to drown himself. Driving to the nearby Madagascar coast, he began the long swim into the ocean until he grew exhausted. Looking back, he glimpsed the distant coastal lights. For no reason clear to him at the time, he started swimming back toward the lights. Despite his fatigue, he recalls “an overwhelming joy.” Muggeridge didn’t know exactly how, but he knew God had reached him in that dark moment, infusing him with a hope that could only be supernatural. The apostle Paul wrote often about such hope. In Ephesians he noted that, before knowing Christ, each of us is “dead in [our] transgressions and sins . . . . without hope and without God in the
world” (2:1, 12) . But “God, who is rich in mercy, made us alive with Christ even when we were dead” (VV. 4–5) . This world tries to drag us into the depths, but there’s no reason to succumb to despair. As Muggeridge said about his swim in the sea, “It became clear to me that there was no darkness, only the possibility of losing sight of a light which shone eternally.”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E P H E S I A N S 2:1–5, 11–13
At that time you were separate from Christ. . . . without hope and without God in the world. [ EPHESIANS 2:12 ]

Father, You’re the source of all our genuine hope. Fill us with Your light and joy.

What has been your darkest moment? In what places have you glimpsed the “light that shines eternally”?

오늘의 말씀

07/22/2020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31-32; 사도행전 23:16-35
찬송가: 290(통412)

모든 것을 없애주시는 넓은 은혜

목소리로 작동되는 아마존 알렉사는 한 가지 흥미로운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바로 당신이 말한 모든 것을 다 지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신이 알렉사에게 무엇을 시켰든, 어떤 정보를 요구했든 “내가 오늘 말한 것 다 지워”라는 간단한 한 문장으로 마치 전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깨끗이 지울 수 있습니다. 불행히도 우리 인생에는 이런 기능이 없습니다. 우리는 때로 모든 말 실수와 수치스런 행동들, 또 없애버리고 싶은 모든 순간들을 단순한 명령어 한 마디로 전부 없앨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 각 사람에게 완전히 새롭게 시작할 기회를 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단순히 지우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를 구속하심으로써 우리를 변화시키고 새롭게 만드는 깊은 치유를 허락하십니다.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너는 내게로 돌아오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음이니라” (이사야 44:22) . 비록 이스라엘은 반역하고 불순종하였지만 하나님은 넘치는 자비로 그들에게 다가오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허물을 빽빽한 구름같이, [그들의] 죄를 안개 같이 없이 하셨습니다” (22절) . 하나님은 그들의 모든 수치와 실패를 모든 것을 없애주시는 그분의 넓은 은혜로 깨끗케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와 실수에 대해서도 똑같이 하실 것입니다. 그분은 우리의 모든 문제를 고치시며 모든 상처를 치유해주십니다. 하나님의 자비는 우리 영혼의 가장 아픈 곳, 곧 우리가 오랫동안 숨겨왔던 것들까지도 고치시고 구원해주십니다. 그분의 자비는 우리의 모든 죄를 쓸어 없애시고 모든 후회되는 일도 다 씻겨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4:21-23
내가 네 허물을......없이 하였으니 [이사야 44:22]

저에게는 후회가 너무 많고 다르게 행동했으면 했던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하나님, 하나님은 저를 용서하시고 고쳐주신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자신의 실패가 가장 잘 느껴지는 부분은 어디입니까? 우리의 모든 실수를 완전히 없애시는 하나님의 모습에서 어떤 희망을 얻습니까?

Daily Article

07/22/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31 – 32; A C T S 23:16 – 35
Hymn: 290(Old412)

A WIDE, SWEEPING GRACE

Alexa, Amazon’s voice-controlled device, has an interesting feature: it can erase everything you say. Whatever you’ve asked Alexa to do, whatever information you’ve asked Alexa to retrieve, one simple sentence (“Delete everything I said today”) sweeps it all clean, as if it never happened. It’s too bad that the rest of our life doesn’t have this capability. Every misspoken word, every disgraceful act, every moment we wish we could erase—we’d just speak the command, and the entire mess would disappear. There’s good news, though. God does offer each of us a clean start. Only, He goes far deeper than merely deleting our mistakes or bad behavior. God provides redemption, a deep healing that transforms us and makes us new. “Return to me,” He says, “I have redeemed you” (ISAIAH 44:22) . Even though Israel rebelled and disobeyed, God reached out to them with lavish mercy. He “swept away [their] offenses like a cloud,
[their] sins like the morning mist” (V. 22) . He gathered all their shame and failures and washed them away with His wide, sweeping grace. God will do the same with our sin and blunders. There’s no mistake He can’t mend, no wound He can’t heal. God’s mercy heals and redeems the most painful places in our soul—even the ones we’ve hidden for so very long. His mercy sweeps away all our guilt, washes away every regret.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 S A I A H 44:21–23
I have swept away your offenses. [ ISAIAH 44:22 ]

So many regrets, so many things I’d do differently. God, You tell me that You can forgive and heal me. Thank You for Your mercy and grace.

Where are you most aware of your failures? How does the image of God sweeping away all your mistakes give you hope?

오늘의 말씀

07/21/2020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29-30; 사도행전 23:1-15
찬송가: 288(통204)

왕족의 역할

왕실에서 후계 순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대중의 이목을 더 많이 끌게 되지만, 그 밖의 사람들은 거의 잊힙니다. 영국 왕실에는 거의 예순 명의 후계자가 있습니다. 그 중 한 명이 프레드릭 윈저 경인데, 마흔아홉 번째의 왕위 계승 순위를 갖고 있습니다. 그는 대중의 이목을 끌기보다는 조용히 자신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는 재무 분석가로 일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왕실 사람”, 곧 왕실을 대표하는 것으로 재정 후원을 받는 주요 왕실 가족의 일원으로는 대우받지 못합니다. 다윗의 아들 나단 (사무엘하 5:14) 은 주목 받지 못하며 살았던 또 다른 왕가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그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습니다. 마태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계보에는 다윗의 아들 솔로몬이 언급되어 있지만(요셉의 족보, 마태복음 1:6), 많은 학자들이 마리아의 가족 계보라고 믿고 있는 누가복음의 계보에는 나단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누가복음 3:31) . 비록 나단은 왕위에 오르지 못했지만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서 한 역할을 담당한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도 역시 왕족입니다. 요한 사도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다고 기록했습니다 (요한복음 1:12) . 비록 주목을 받지 못하더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입니다! 하나님은 우리 각자를 이 땅에서 그분을 대표하는 자로 삼을 만큼 중요한 자로 여기시며, 우리는 언젠가 그분과 함께 다스릴 것입니다 (디모데후서 2:11-13) . 우리도 나단처럼 이 땅의 왕관을 쓰지는 못할지라도, 우리에게는 여전히 하나님 나라를 위해 맡겨진 일들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9-14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요한복음 1:12]

하나님 아버지, 저를 하나님의 영원한 가족으로 불러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자녀로서 왕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때 어떤 느낌이 듭니까? 왕의 자녀로서 다른 사람들에 대해 어떤 책임감을 느낍니까?

Daily Article

07/21/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29 – 30; A C T S 23:1 – 15
Hymn: 288(Old204)

A ROYAL ROLE

The closer someone in a royal family is to the throne, the more the public hears about him or her. Others are almost forgotten. The British royal family has a line of succession that includes nearly sixty people. One of them is Lord Frederick Windsor, who’s forty-ninth in line for the throne. Instead of being in the limelight, he quietly goes about his life. Though he works as a financial analyst, he’s not considered a “working royal”—one of the important family members who are paid for representing the family. David’s son Nathan (2 SAMUEL 5:14) is another royal who lived outside the limelight. Very little is known about him. But while the genealogy of Jesus in Matthew mentions his son Solomon (tracing Joseph’s line, Matthew 1:6), Luke’s genealogy, which many scholars believe is Mary’s family line, mentions Nathan (LUKE 3:31) . Though Nathan didn’t hold a scepter, he still had a role in God’s forever kingdom. As believers in Christ, we’re also royalty. The apostle John wrote that God gave us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JOHN 1:12) . Though we may not be in the spotlight, we’re children of the King! God considers each of us important enough to represent Him here on earth and to one day reign with Him (2 TIMOTHY 2:11–13) . Like Nathan, we may not wear an earthly crown, but we still have a part to play in God’s kingdom.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J O H N 1:9–14
To all who did receive him, to those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the right to become children of God. [ JOHN 1:12 ]

Heavenly Father, I’m grateful that You adopted me into Your forever family.

How does knowing you’re royalty—God’s child—make you feel? As a child of the King, what do you see as your responsibilities to the people around you?

오늘의 말씀

07/20/2020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26-28; 사도행전 22
찬송가: 363(통479)

어떻게 기다릴 것인가

교회에 좌절하고 실망한 17세의 트레버는 답을 찾기 위해 일 년간의 탐구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탐구한 어떤 것도 그가 바라는 바를 만족시키지도, 그의 질문들에 대한 답도 주지 못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 부모님과 더 가까워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그는 기독교 신앙에 대해 회의적이었습니다. 어떤 토론 중에 그는 “성경은 공허한 약속들로 가득 차 있다”고 쓴 소리를 내뱉었습니다. 실망과 역경을 겪으며 의심이 더해 갔던 사람이 또 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그를 죽이려는 적들로부터 도망칠 때, 하나님으로부터 달아나지 않고 오히려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전쟁이 일어나 적군이 나를 칠지라도 내가 여전히 하나님을 의지하리라” (시편 27:3, 현대인의 성경) . 하지만 다윗의 시는 여전히 의심에 머물러 있음을 암시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는 공포와 의문에 쌓인 사람처럼 이렇게 울부짖습니다. “나를 긍휼히 여기사 응답하소서” (7절) . 그는 애원합니다. “주의 얼굴을 내게서 숨기지 마시고...... 나를 버리지 마시고 떠나지 마소서” (9절) . 그러나 다윗은 의심이 그를 마비시키도록 내버려두지 않았습니다. 의심 속에서도 그는 “내가 산 자들의 땅에서 여호와의 선하심을 보게 될 줄 확실히 믿었도다” (13절) 라고 선언합니다. 그리고 그의 독자들, 곧 당신과 나, 그리고 이 세상의 트레버들에게 전합니다. “너는 여호와를 기다릴지어다 강하고 담대하며
여호와를 기다릴지어다 ”(14절) . 우리는 아주 큰 의문에 대해 빠르고 간단한 답을 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의 응답을 기다릴 때 신뢰할 수 있는 그분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27:1-3, 7-14
여호와여 내가 소리 내어 부르짖을 때에 들으시고 또한 나를 긍휼히 여기사 응답하소서 [시편 27:7]

하나님 아버지, 나의 두려움과 분노와 함께 나의 마음을 녹여 주소서.

커다란 의문이 생길 때 어떻게 하십니까? “산 자들의 땅” (시편 27:13) 어디에서 해답을 찾았습니까? 그리고 어디에서 그 해답을 아직 기다리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7/20/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26 – 28; A C T S 22
Hymn: 363(Old479)

HOW TO WAIT

Frustrated and disappointed with church, seventeen-year-old Trevor began a years-long quest for answers. But nothing he explored seemed to satisfy his longings or answer his questions. His journey did draw him closer to his parents. Still, he had problems with Christianity. During one discussion, he exclaimed bitterly, “The Bible is full of empty promises.” Another man faced disappointment and hardship that fueled his doubts. But as David fled from enemies who sought to kill him, his response was not to run from God but to praise Him. “Though war break out against me, even then I will be confident,” he sang (PSALM 27:3) . Yet David’s poem still hints at doubt. His cry, “Be merciful to me and
answer me” (V. 7) , sounds like a man with fears and questions. “Do not hide your face from me,” David pleaded. “Do not reject me or forsake me” (V. 9) . David didn’t let his doubts paralyze him, however. Even in those doubts, he declared, “I will see the goodness of the Lord in the land of the living” (V. 13) . Then he addressed his readers: you, me, and the Trevors of this world. “Wait for the Lord; be strong and take heart and wait for the Lord” (V. 14) . We won’t find fast, simple answers to our huge questions. But we will find—when we wait for Him—a God who can be trusted.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 S A L M 27:1–3, 7–14
Hear my voice when I call, Lord; be merciful to me and answer me. [ PSALM 27:7 ]

Father, melt my heart along with my fears and my anger.

What do you do with your big questions? Where have you seen answers “in the land of the living” (PSALM 27:13) , and where are you still waiting for answers?

오늘의 말씀

07/19/2020     주일

성경읽기: 시편 23-25; 사도행전21:18-40
찬송가: 200(통235)

우리 마음속에

한 어린 소년이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자, 소년의 아버지는 학교 가기 전 매일 아침마다 서약을 암송하도록 가르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 나를 깨워주신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나는 배우고......하나님께서 세워주실 지도자가 되기 위해 학교에 갑니다.” 그 서약은 아버지가 아들로 하여금 인생에서 피할 수 없는 도전을 대처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생각한 한가지 방법입니다. 이 아버지는 아들이 서약을 기억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어떤 면에서는 하나님이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명령하신 것과 유사한 일을 행한 것입니다.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라” (신명기 6:6-7) . 광야에서 40년을 방황하고 난 후, 이제 이스라엘의 다음 세대가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려 하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하나님께 집중하지 않고는
성공하기가 쉽지 않을 거라는 사실을 아셨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그들에게 하나님을 기억하고 순종하도록 권고하셨고, 그들의 자녀들이 하나님을 알고 사랑할 수 있도록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을 갈 때에든지 누워 있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7절)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이야기해주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또한 날마다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면서 성경말씀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이끌어주도록 서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6:1-9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신명기 6:6-7]

사랑하는 하나님, 매일 새로운 날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 마음과 생각 속에 하나님의 지혜를 지닐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성경말씀을 마음에 새기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말씀을 읽고 이야기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Daily Article

07/19/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23 – 25; A C T S 21:18 – 40
Hymn: 200(Old235)

ON OUR HEARTS

After a young boy faced some challenges in school, his dad began to teach him a pledge to recite each morning before school: “I thank God for waking me up today. I am going to school so I can learn . . . and be the leader that God has created me to be.” The pledge is one way the father hopes to help his son apply himself and deal with life’s inevitable challenges. In a way, by helping his son to commit this pledge to memory, the father is doing something similar to what God commanded the Israelites in the desert: “These commandments . . . are to be on your hearts. Impress them on your children” (DEUTERONOMY 6:6–7) . After wandering in the wilderness for forty years, the next generation of Israelites was about to enter the Promised Land. God knew it wouldn’t be easy for them to succeed—unless they kept their focus on Him. And so, through Moses, He urged them to remember and be obedient to Him—and to help their children to know and love God by talking about His Word “when you sit at home and when you walk along the road, when you lie down and when you get up” (V. 7) . Each new day, we too can commit to allowing Scripture to guide our
hearts and minds as we live in gratitude to Him.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D E U T E RO N O M Y 6:1–9
These commandments . . . are to be on your hearts. Impress them on your children. [ DEUTERONOMY 6:6–7 ]

Dear God, thank You for giving me each new day. Help me to keep Your wisdom in my heart and on my mind.

What can you do to keep Scripture on your heart? Why is it important to read and talk about the Word with loved ones?

오늘의 말씀

07/18/2020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20-22; 사도행전 21:1-17
찬송가: 300(통406)

눈부신 아름다움이 사라졌을 때

나는 우리 딸 멜리사의 눈부신 아름다움을 다시는 되찾을 수 없습니다. 딸이 고등학교에서 즐겁게 배구를 하던 것을 보던 그 멋진 시간이 내 기억 속에서 점점 사라져갑니다. 가족끼리 시간을 보낼 때 딸의 얼굴에 가득했던 그 만족스러운 듯 수줍은 미소가 때론 잘 생각나지 않습니다. 열일곱 살 딸아이의 죽음으로 딸과 함께하는 즐거움이 막을 내렸습니다. 예레미야애가에서 우리는 예레미야의 글을 통해 마음에 구멍이 날 수 있다는 것을 그가 이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이제 내게서는 찬란함도 사라지고, 주님께 두었던 마지막 희망마저 사라졌다” (3:18, 새번역) . 그의 상황은 우리의 상황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심판을 전했었고, 예루살렘이 패하는 것을 직접 보았습니다. 눈부신 아름다움이 사라졌습니다. 패배하고 (12절) 고립되고 (14절) 하나님께 버림받았다고 (15-20절) 느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이야기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빛이 비추어졌습니다. 예레미야는 힘에 겹고 절망적이었지만 “희망을 가진다” (21절, 새번역) 고 머뭇거리며 말했습니다. 그 희망은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않는다” (22절) 는 것을 깨달은 데서 왔습니다. 눈부신 아름다움이 사라졌을 때 기억해야 할 한 가지 사실이 여기 있습니다. 그것은 여호와의 “긍휼이 무궁하며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롭다” (22-23절) 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암울한 날들을 지날지라도 하나님의 위대한 신실하심의 빛이 빛나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애가 3:13-24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예레미야애가 3:22]

긍휼의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어둠의 골짜기를 지나갈 때라도 하나님의 긍휼과 신실하심을 기억할 때 아침은 찾아올 것입니다.

희망이 없다고 느낄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용기를 주셨습니까? 하나님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격려하기 위해 그 경험을 어떻게 사용하기를 원하실까요?

Daily Article

07/18/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 M S 20 – 22; A C T S 21:1 – 17
Hymn: 300(Old406)

WHEN THE SPLENDOR IS GONE

I can never recapture the splendor that was our daughter Melissa. Fading from my memory are those wonderful times when we watched her joyfully playing high school volleyball. And it’s sometimes hard to remember the shy smile of contentment that crossed her face when we were doing family activities. Her death at age seventeen dropped a curtain on the joy of her presence. In the book of Lamentations, Jeremiah’s words show he understood that the heart can be punctured. “My splendor is gone,” he said, “and all that I had hoped from the Lord” (3:18) . His situation was far different from yours and mine. He had preached God’s judgment, and he saw Jerusalem defeated. The splendor was gone because he felt defeated (V. 12) , isolated (V. 14) , and abandoned by God (VV. 15–20) . But that’s not the end of his story. Light shined through. Jeremiah, burdened and broken, stammered out “I have hope” (V. 21) —hope that comes from realizing that “because of the Lord’s great love we are not consumed” (V. 22) . And here is just what we need to remember when the splendor is gone: God’s “compassions never fail. They are new every morning” (VV. 22–23) . Even in our darkest days, God’s great faithfulness shines through. - DAVE BRANON

Today's Reading

LA M E N TAT I O N S 3:13–24
Because of the Lord’s great love we are not consumed, for his compassions never fail.[ LAMENTATIONS 3:22 ]

Thank You, Father, that You’re the God of compassion. Even while I walk through the valley of darkness, morning will follow as I remember Your compassion and Your faithfulness.

How has God encouraged you when you felt hopeless? How might He want you to use that to encourage other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