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16/2020 주일
충분히 큰
우리 삶에는 충분히 “커야만” 가능해지는 것들이 아주 많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어린이용 카시트에서 안전벨트로 옮기는 것. 뒷좌석에서 앞좌석으로 옮기는 것. 운전면허 시험을 치르는 것. 투표하는 것. 그리고 결혼하는 것. 내 손자처럼, 우리도 자라기를 갈망하며 평생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신약 시대에 아이들은 사랑은 받았지만 “나이가 차서” 가사에 보탬이 되고 성인의 특권으로 회당에 들어갈 수 있을 때까지는 사회에서 대수롭지 않게 여겨졌습니다. 예수님은 가난한 사람들, 병든 사람들, 나아가 아이들까지 반기심으로 당시의 기준을 깨뜨리셨습니다. 세 복음서(마태, 마가, 누가복음)는 예수님이 아이들에게 손을 얹고 위해서 기도할 수 있도록 부모들이 어린아이들을 예수님께 데려왔다고 말합니다(마태복음 19:13; 마가복음 10:16).
제자들은 그것을 그저 불편한 일로 여겨 부모들을 책망했습니다. 이것을 보고 예수님은 “노하시고”(마가복음 10:14) 팔을 벌려 어린아이들을 받아들이셨습니다. 예수님은 아이들이 하나님 나라에서 아주 귀한 자라고 하시며, 자신이 연약하다는 사실과 주님을 알기 위해 주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제자들도 모두 어린아이처럼 되어야 한다고 도전을 주셨습니다(누가복음 18:17). 우리가 주님의 사랑을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큰” 사람이 되려면 어린아이 같은 필요를 느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8:15-17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누가복음 18:16]
하나님을 알기 위해 작은 사람으로 살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이 당신에게 의미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오늘 하나님을 필요로 하는 마음을 주셔서 어린아이처럼 나를 하나님 품으로 더 가까이 이끌어 주소서.
Daily Article
08/16/2020 Sunday
BIG ENOUGH
In New Testament times, children were loved but not highly valued in society until they “became of age” and could contribute to the home and enter the synagogue with adult privileges. Jesus shattered the standards of His day by welcoming the impoverished, the diseased, and even children. Three gospels (Matthew, Mark, and Luke) tell of parents bringing little children to Jesus so that He might lay hands on them and pray for them (MATTHEW 19:13; MARK 10:16).
The disciples rebuked the adults for what they saw as an inconvenience. At this, Jesus was “indignant” (MARK 10:14) and opened His arms to the little ones. He elevated their value in His kingdom and challenged all to become like children themselves—to embrace their vulnerability and need for Him in order to know Him (LUKE 18:17). It’s our childlike need that makes us “big” enough to receive His lov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18:15–17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 LUKE 18:16 ]
How might you need to remain small in order to know God? What does His love, the love of a heavenly Father, mean to you?
Dear God, help me embrace my need for You today that You might draw me closer, like a child, to Your heart.
To learn more about Jesus and His life, visit christianuniversity.org/courses/life-of-christ/.
오늘의 말씀
08/15/2020 토요일
진정한 사랑과 마주침
노라는 자신의 작은 몸을 문과 브리짓 사이에 밀어 넣으며 “떠나기 전에 제가 당신을 안아주고 당신을 위해 기도해도 될까요?”라고 물었습니다. 그때까지 불순한 의도 말고는 안아준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브리짓이었습니다. 갑자기 예기치 않았던 눈물이 흘렀습니다.
노라는 “영원한 사랑으로”(예레미야 31:3) 그분의 백성 이스라엘을 사랑하신 우리 하나님의 마음을 아름답게 보여주었습니다. 그 백성들은 하나님의 가르침을 지속적으로 어겨서 어려운 일을 겪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에게 “내가 인자함으로 너를 이끌었다...... 내가 다시 너를 세우리라”(3-4절)고 말씀하셨습니다.
브리짓의 과거는 복잡합니다. (우리 중에도 많은 사람이 비슷한 경험을 했을 것입니다.) 그날 진정한 사랑을 만나보기 전까지 그녀는 하나님과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자기를 정죄만 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런 그녀에게 노라는 다른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우리의 죄를 못 본 척하지 않으시는 하나님 말입니다. 하나님은 두 팔 벌려 우리를 맞아주십니다. 우리는 계속 달아날 필요가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1:1-9내가 영원한 사랑으로 너를 사랑하기에 [예레미야 31:3]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알고 계십니까? 그것은 오늘의 성경말씀에서 읽은 하나님과 비교할 때 어떻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놀라운 사랑을 당연한 것으로 여길 때가 너무 많습니다. 저를 용서하시고 오늘 그 사랑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5/2020 Saturday
RUNNING INTO LOVE
Slipping her small frame between Bridget and the door, Nora asked, “Before you go, may I give you a hug, and may I pray for you?” No one had ever hugged her before—not with healthy intentions, anyway. Suddenly, unexpectedly, the tears came.
Nora beautifully reflects the heart of our God who loved His people Israel “with an everlasting love” (JEREMIAH 31:3). The people had stumbled into the hard consequences of their persistent violation of His guidelines. Yet God told them, “I have drawn you with unfailing kindness. I will build you up again” (VV. 3–4).
Bridget’s history is complex. (Many of us can relate.) Until she ran into real love that day, her belief had been that God and His followers would only condemn her. Nora showed her something different: the God who won’t ignore our sin because He loves us beyond imagination. He welcomes us with open arms. We don’t have to keep running.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EREMIAH 31:1–9I have loved you with an everlasting love. [ JEREMIAH 31:3 ]
What’s your perception of God? How does it line up with the God you read about in today’s Scripture reading?
Father, I so often take Your incredible love for granted. Forgive me, and help me to reflect that love to someone today.
오늘의 말씀
08/14/2020 금요일
희망의 꽃
유지니아 사우스 박사는 말했습니다. “녹지 공간이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점점 더 확실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빈민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특히 더 중요합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인 사우스 박사는 그 연구과제의 공동저자입니다.
억압받던 이스라엘과 유다 사람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아름답게 회복시키실 거라는 이사야 선지자의 환상을 통해 새로운 희망을 가졌습니다. 이사야가 예언했던 모든 파멸과 심판 가운데서도 이 밝은 약속은 깊이 뿌리를 내렸습니다. “광야와 메마른 땅이 기뻐하며 사막이 백합화 같이 피어 즐거워하며 무성하게 피어 기쁜 노래로 즐거워하며”(이사야 35:1-2).
우리도 오늘의 처지가 어떻든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 그분의 창조물들을 포함한 여러 아름다운 방법들을 사용하셔서 새로운 희망으로 우리를 회복시키시는 것을 기뻐할 수 있습니다. 낙담될 때 주님의 영광과 찬란함을 생각하면 기분이 되살아날 것입니다. 이사야는 “너희는 약한 손을 강하게 하며 떨리는 무릎을 굳게 하라”(3절)고 격려했습니다.
겨우 몇 송이의 꽃이 우리의 희망을 다시 살릴 수 있을까요? 선지자는 그렇다고 했습니다. 우리에게 희망을 주시는 하나님도 그렇다고 말씀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35:1-4광야와 메마른 땅이 기뻐하며 사막이 백합화 같이 피어 즐거워하며 [이사야 35:1]
절망적으로 느껴질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하십니까? 야외에서 하나님의 창조물 가운데 시간을 보내면 어떻게 당신의 절망이 하나님 안에 있는 새로운 희망으로 바뀔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찬란한 창조물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보게 하시고 하나님 안에서 나의 소망을 새롭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4/2020 Friday
HOPE BLOSSOMS
“There’s a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green space can have an impact on mental health,” said Dr. Eugenia South, “and that’s particularly important for people living in poorer neighborhoods.” South, a faculty member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s Perelman School of Medicine, is coauthor of a study on the subject.
The downtrodden people of Israel and Judah found fresh hope in the prophet Isaiah’s vision of their beautiful restoration by God. Amid all the doom and judgment Isaiah foretold, this bright promise took root: “The desert and the parched land will be glad; the wilderness will rejoice and blossom. Like the crocus, it will burst into bloom; it will rejoice greatly and shout for joy” (ISAIAH 35:1–2).
No matter our situation today, we too can rejoice in the beautiful ways our heavenly Father restores us with fresh hope, including through His creation. When we feel down, reflecting on His glory and splendor will bolster us. “Strengthen the feeble hands, steady the knees that give way,” Isaiah encouraged (V. 3).
Can a few flowers rekindle our hope? A prophet said yes. So does our hope-giving God.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ISAIAH 35:1–4The desert and the parched land will be glad; the wilderness will rejoice and blossom. [ ISAIAH 35:1 ]
When you feel hopeless, how do you usually respond? How could spending time outdoors in God’s creation transform your despair to renewed hope in God?
Dear God, thank You for the splendor of Your creation, pointing me to Your glory, and reviving my hope in You.
For encouragement, read Hope: Choosing Faith Instead of Fear at discoveryseries.org/q0733.
오늘의 말씀
08/13/2020 목요일
매우 큰 일
미국의 한 주요 정당의 본부인 워싱턴 디씨의 워터게이트 건물에서 일하던 이 젊은 보안 요원은 그저 자기의 일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충실히 해냄으로써 그의 평생에 가장 큰 정치 스캔들을 적발해낸 것입니다.
느헤미야는 예루살렘 성벽 재건축을 아주 진지하게 여기고 일을 시작했습니다. 그 일이 끝나갈 무렵 이웃의 대적들이 가까운 마을에서 만나자고 했습니다. 이는 친근한 초대를 가장한 은밀한 덫이었습니다(느헤미야 6:1-2). 그렇지만 느헤미야의 반응은 그의 깊은 신념을 보여줍니다. “내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내려가지 못하겠노라 어찌하여 역사를 중지하게 하고 너희에게로 내려가겠느냐”(3절).
느헤미야는 분명 어느 정도 권위는 있었겠지만 영웅 수준으로 아주 높게 인정받지는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그는 위대한 전사도, 시인이나 선지자도, 왕이나 현자도 아니었습니다. 그는 술 따르는 자였다가 지금은 계약을 맺고 온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을 하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우리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그분의 능력과 공급하심으로 충실히 그 일을 감당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6:1-4내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내려가지 못하겠노라 어찌하여 역사를 중지하게 하고 너희에게로 내려가겠느냐 [느헤미야 6:3]
하나님께서 어떤 일을 하라고 부르셨습니까? 그 일을 매우 큰 일로 보고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매우 큰 일을 한다는 믿음을 주소서. 하나님께서 이 때에 이것을 하라고 부르신 것을 믿습니다. 집중하여 그 일을 끝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3/2020 Thursday
A GREAT WORK
Working at the Watergate building in Washington, D.C., the headquarters of a major political party in the US, the young guard had just uncovered the biggest political scandal of his lifetime simply by taking his job seriously—and doing it well.
Nehemiah began rebuilding the wall around Jerusalem—a task he took very seriously. Toward the end of the project, neighboring rivals asked him to meet with them in a nearby village. Under the guise of a friendly invitation was an insidious trap (NEHEMIAH 6:1–2). Yet Nehemiah’s response shows the depth of his conviction: “I am carrying on a great project and cannot go down. Why should the work stop while I leave it and go down to you?” (V. 3).
Although he certainly possessed some authority, Nehemiah may not have rated very high on the hero scale. He wasn’t a great warrior, not a poet or a prophet, not a king or a sage. He was a cupbearer-turnedcontractor. Yet he believed he was doing something vital for God. May we take seriously what He’s given us to do and do it well in His power and provision.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NEHEMIAH 6:1–4“I am carrying on a great project and cannot go down. Why should the work stop while I leave it and go down to you?” [ NEHEMIAH 6:3 ]
What has God called you to do? Why is it important for you to take it seriously—seeing it as a great work?
Dear God, help me to believe that I’m doing a great work. I trust that You’ve called me to this in this season. Give me the focus to stay the course.
오늘의 말씀
08/12/2020 수요일
목적 있는 삶
손자가 “임무 수행”하러 간다는 개념을 어디서 들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나는 그 말을 듣고 공항으로 운전해 가는 동안 곰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내가 휴가를 떠나 며칠간 휴식을 취할 때에도, 매순간 하나님과 함께하며 하나님을 위해 살기 위해 “임무 수행” 중인 것을 명심하고 있는가? 내가 하는 모든 일에서 주님을 섬길 것을 기억하고 있는가?’
바울 사도는 로마제국의 수도인 로마에 살고 있는 신자들에게 “부지런 하여 게으르지 말고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로마서 12:11)고 격려했습니다. 그의 요점은 예수님 안에서 우리는 목적을 가지고 열심을 다해 살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매우 평범한 순간까지도 기대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바라보며 그분의 목적을 위해 살 때 새로운 의미가 생깁니다.
비행기 좌석에 앉았을 때 나는 기도했습니다. “주님, 저는 당신의 것입니다. 이 여행에서 주님께서 저에게 어떤 일을 계획하시더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매일 매일은 주님과 함께 영원히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날입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21너희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 [고린도전서 10:31]
임무를 수행해본 적이 있습니까? 어떻게 삶을 온전히 하나님의 것이 되게 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 저에게 은혜를 베푸셔서 주님 위해 살다가 어느 날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마태복음 25:23)라고 하시는 주님 말씀을 듣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2/2020 Wednesday
LIVING ON PURPOSE
We’re not sure where our grandson picked up the concept of going “on a mission,” but his comment gave me something to ponder as we drove to the airport: As I leave on this vacation and take a break for a few days, am I keeping in mind that I’m still “on a mission” to live each moment with and for God? Am I remembering to serve Him in everything I do?
The apostle Paul encouraged the believers living in Rome, the capital city of the Roman Empire, to “never be lacking in zeal, but keep your spiritual fervor, serving the Lord” (ROMANS 12:11). His point was that our life in Jesus is meant to be lived intentionally and with enthusiasm. Even the most mundane moments gain new meaning as we look expectantly to God and live for His purposes.
As we settled into our seats on the plane, I prayed, “Lord, I’m yours. Whatever you have for me to do on this trip, please help me not to miss it.”
Every day is a mission of eternal significance with Him! JAMES BANKS
Today's Reading
ROMANS 12:9–21Whatever you do, do it all for the glory of God. [ 1 CORINTHIANS 10:31 ]
Have you ever been on a mission? How can you make life all about God?
Please give me grace to live for You, Jesus, so that I may one day hear You say, “Well done, good and faithful servant!” (MATTHEW 25:23).
오늘의 말씀
08/11/2020 화요일
하나님이 주신 이름
별명은 수련회뿐 아니라 성경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은 야고보와 요한 사도에게 “우레의 아들”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셨습니다 (마가복음 3:17). 성경에서 누군가 ‘스스로 별명을 붙이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인데, 나오미라는 여인은 남편과 두 아들이 죽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괴로움”이란 뜻의 “마라”로 자신을 불러달라고 했습니다(룻기 1:20). 그녀는 하나님께서 자기의 인생을 쓰라리게 하셨다고 느꼈습니다(21절).
그러나 나오미가 자신에게 붙인 새 별명은 오래 가지 않았습니다. 가족을 잃은 엄청난 충격이 그녀의 인생의 끝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처절한 상황 가운데서도 하나님은 사랑하는 며느리 룻을 통해 그녀를 축복하셔서 결국에는 룻이 재혼하여 아들을 낳아 나오미에게 다시 가족을 이루어주셨습니다.
우리가 경험한 어려움이나 저지른 실수 때문에 자신에게 “실패자”, “사랑받지 못할 자”와 같은 쓰라린 별명을 붙이고 싶은 마음이 들 때도 있겠지만 그런 별명들이 우리 삶의 끝은 아닙니다. 우리는 그런 꼬리표들을 하나님께서 우리 각자에게 붙여주신 “사랑한 자”(로마서 9:25)라는 이름으로 바꾸고, 아무리 힘들 때라도 하나님의 공급하시는 손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룻기 1:19-22나오미가 그들에게 이르되 나를 나오미라 부르지 말고 나를 마라라 부르라 이는 전능자가 나를 심히 괴롭게 하셨음이니 [룻기 1:20]
사람들이 당신에게 붙여준 별명을 생각해보십시오. 그 별명이 좋았던 부분과 싫었던 부분은 어떤 것입니까? 하나님의 사랑하는 자녀라고 불리는 것이 자신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바꾸어줍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삶의 환경이나 경험에 의해 제가 정해지는 것이 아님을 감사합니다. 저를 하나님의 자녀라고 불러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11/2020 Tuesday
NAMED BY GOD
Nicknames aren’t limited to camp—we even find them used in the Bible. For example, Jesus dubs the apostles James and John the “sons of thunder” (MARK 3:17). It’s rare in Scripture for someone to give themselves a nickname, yet it happens when a woman named Naomi asks people to call her “Mara,” which means “bitterness” (RUTH 1:20), because both her husband and two sons had died. She felt that God had made her life bitter (V. 21).
The new name Naomi gave herself didn’t stick, however, because those devastating losses were not the end of her story. In the midst of her sorrow, God had blessed her with a loving daughter-in-law, Ruth, who eventually remarried and had a son, creating a family for Naomi again.
Although we might sometimes be tempted to give ourselves bitter nicknames, like “failure” or “unloved,” based on difficulties we’ve experienced or mistakes we’ve made, those names are not the end of our stories. We can replace those labels with the name God has given each of us, “loved one” (ROMANS 9:25), and look for the ways He’s providing for us in even the most challenging of times. LISA M. SAMRA
Today's Reading
RUTH 1:19–22“Don’t call me Naomi,” she told them. “Call me Mara, because the Almighty has made my life very bitter.” [ RUTH 1:20 ]
Think of a nickname someone gave you. What did you like or not like about it? How does being called a beloved child of God change how you see yourself?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I’m not defined by the circumstances or experiences of my life. Thank You for calling me Your child.
오늘의 말씀
08/10/2020 월요일
탈락위기에 놓인
인생의 경주에 출전하거나 완주할 능력이 있는지 불확실할 때 우리는 “탈락위기에 놓여”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느껴질 때는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결코 “탈락위기에 놓여” 있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님 나라에는 그의 자녀인 우리의 거처가 확실히 있습니다 (요한복음 14:3). 우리의 그런 확신은 하나님으로부터 말미암습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모퉁잇돌”로 택하여 그 위에 우리 삶을 세우시고 우리를 성령 충만한 “산 돌”로 택하여 하나님의 창조 목적에 합당한 사람이 될 수 있게 하셨습니다(베드로전서 2:5-6).
그리스도 안에서 그분께 소망을 두고 따르면 우리의 미래는 안전합니다 (6절). 왜냐하면 “[우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우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9절) 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보실 때 우리는 “탈락위기에 놓여”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귀하고 사랑받는 존재입니다(4절).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2:4-10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베드로전서 2:9]
삶의 영역에서 “탈락위기에 놓여” 있는 것처럼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예수님 안에서 다시 확신을 얻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아버지 하나님, 낙심하여 하나님의 자녀라는 저의 본래 모습이 흐려질 때마다 저를 깨우쳐 하나님께만 소망과 확신을 두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0/2020 Monday
ON THE BUBBLE
We can feel at times that we’re “on the bubble,” uncertain we have what it takes to compete in or finish the race of life. When we’re feeling that way,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n Jesus we’re never “on the bubble.” As children of God, our place in His kingdom is secure (JOHN 14:3). Our confidence flows from Him who chose Jesus to be the “cornerstone” on which our lives are built, and He chose us to be “living stones” filled with the Spirit of God, capable of being the people God created us to be (1 PETER 2:5–6).
In Christ, our future is secure as we hope in and follow Him (V. 6). For “[we]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that [we] may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us] out of darkness into his wonderful light” (V. 9).
In Jesus’ eyes we’re not “on the bubble.” We’re precious and loved (V. 4). RUTH O’REILLY-SMITH
Today's Reading
1 PETER 2:4–10You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that you may declare the praises of him who called you . . . into his wonderful light. [ 1 PETER 2:9 ]
In what areas of life have you found yourself “on the bubble” and struggling with uncertainty? What can you do to regain your confidence in Jesus?
Father God, when disappointments threaten to undermine my identity as Your child, remind me to put my hope and confidence in You alone.
오늘의 말씀
08/09/2020 주일
시간을 초월하여 전해지는 편지
성령께서 영감을 주시고 인도해주신 덕분에 성경에는 오랜 시간을 거쳐 우리에게 전해진 서신서들이 있습니다. 교회가 성장하면서 예수님의 제자들이 유럽과 소아시아에 있는 교회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삶을 이해시키려고 편지들을 썼는데 그 중 많은 편지들이 오늘날 우리가 읽는 성경 안에 담겨 있습니다.
이 서신서 저자들이 독자들에게 전하려 했던 것은 무엇일까요? 요한은 그의 첫 번째 편지에서 “태초부터 있었고, 우리가 들었고, 우리가 눈으로 보았으며, 자세히 보고, 우리의 손으로 만진 것”에 대해 쓴다고 설명하면서, 살아 계신 그리스도와의 만남에 대해 쓰고 있습니다(요한1서 1:1). 그는 독자들이 서로서로, 그리고 “아버지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사귐” 을 가지도록 쓴다고 하면서(3절), 우리가 서로 사귐이 있을 때 우리의 기쁨이 충만하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4절). 성경의 서신서들은 시간을 뛰어넘어 영원하신 하나님과의 사귐으로 우리를 인도해 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1:1-8이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이는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내신 바 된 이시니라 [요한1서 1:2]
만약 하나님께서 오늘 당신에게 편지를 쓰신다면 어떤 내용일까요? 만약 당신이 친구에게 살아 계신 하나님과 만난 이야기를 편지로 쓴다면 어떤 내용이 될까요?
하나님 아버지, 당신과 사귐이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9/2020 Sunday
TIME-TRAVELING LETTERS
In the Bible, we have a collection of letters that—thanks to the inspiration and guidance of the Holy Spirit—have made their way through time to us. As the Christian church grew, Jesus’ disciples wrote to local churches across Europe and Asia Minor to help the people understand their new life in Christ; many of those letters were collected in the Bible we read today.
What did these letter-writers want to convey to readers? John explains, in his first letter, that he’s writing about “that which was from the beginning, which we have heard, which we have seen with our eyes, which we have looked at and our hands have touched.” He’s writing about his encounter with the living Christ (1 JOHN 1:1). He writes so that his readers may “have fellowship” with one another, and with “the Father and with his Son, Jesus Christ” (V. 3). When we have fellowship together, he writes, our joy will be complete (V. 4). The letters in the Bible draw us into a fellowship that’s beyond time—fellowship with the eternal God. AMY PETERSO
Today's Reading
1 JOHN 1:1–8The life appeared; we have seen it and testify to it, and we proclaim to you the eternal life, which was with the Father and has appeared to us. [ 1 JOHN 1:2 ]
If God wrote a letter to you today, what would it say? If you wrote a letter to a friend telling about how you’ve encountered the living God, what would it say?
Thank You, Father, for the fellowship I have with You.
오늘의 말씀
08/08/2020 토요일
주님의 죽음이 가져다준 생명
바울 사도는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고린도후서 5:17)라고 기록했습니다. 우리가 플랜더스 토마스 여사처럼 극적인 변화를 매번 볼 수는 없어도 복음이 지닌 변화의 능력은 온 우주에서 희망을 주는 가장 위대한 힘입니다. 새로운 피조물. 이 얼마나 가슴 벅찬 소식입니까! 예수님의 죽음과 함께 시작된 주님을 닮아가는 우리의 여정은 주님의 얼굴을 대면하여 볼 그때에 끝이 나게 될 것입니다(요한1서 3:1-3 참조).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로서의 우리의 삶을 기뻐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치르신 대가를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됩니다. 주님의 죽음은 우리에게 생명을 가져다줍니다.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이를 우리를 대신하여 죄로 삼으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하심이라”(고린도후서 5:21).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4-21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고린도후서 5:17]
예수님의 변화시키는 능력이 당신의 삶에 어떻게 나타났습니까? 당신의 삶 가운데 아직 “새로운 피조물”로 변화되어야 할 부분은 어떤 부분입니까?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이 십자가 위에서 이루신 일로 인해 제가 새로운 피조물이 된 것을 감사드립니다. 때때로 없애야 할 이전 것들로 되돌아가는 저를 용서해 주소서.
Daily Article
08/08/2020 Saturday
HIS DEATH BRINGS LIFE
The apostle Paul wrote, “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2 CORINTHIANS 5:17). While we may not always see that newness expressed as dramatically as Flanders-Thomas did, the gospel’s power to transform is the greatest hope providing force in the universe. New creations. What an amazing thought! The death of Jesus launches us on a journey of becoming like Him—a journey that will culminate when we see Him face to face (SEE 1 JOHN 3:1–3).
As believers in Jesus we celebrate our life as new creations. Yet we must never lose sight of what that cost Christ. His death brings us life. “God made him who had no sin to be sin for us, so that in him we might become the righteousness of God” (2 CORINTHIANS 5:21). BILL CROWDER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4–21If anyone is in Christ, the new creation has come: The old has gone, the new is here! [ 2 CORINTHIANS 5:17 ]
How has Jesus’ transforming work been evidenced in your life? What areas are still in need of that “new creation” impact?
Loving Father, thank You that, because of what Jesus accomplished on the cross, I am a new creation. Forgive me for the times I return to the old things that need to pass away.
오늘의 말씀
08/07/2020 금요일
떠나보내기
사랑하는 이를 마지막으로 떠나보내는 것은 가슴 아픈 일입니다. 예수님도 그의 좋은 친구 나사로가 죽었을 때 눈물을 흘리셨습니다(요한복음 11:35).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이 있기에 우리에게는 육신의 죽음을 넘어선 소망이 있습니다. 시편 116편 15절에 하나님께 속한 “경건한 자들”은 그분께 “귀중하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죽지만 다시 살아날 것입니다.
예수님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요한복음 11:25-26)고 약속하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이 계신 곳에서 영원히 거할 것이라는 사실이 얼마나 큰 위로가 되는지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11:21-36그의 경건한 자들의 죽음은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귀중한 것이로다 [시편 116:15]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이루신 것이 무엇입니까? 주님의 희생이 이 땅을 살다간 모든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까?
존귀하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 계신 곳에서 영원히 살 거라고 약속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07/2020 Friday
LETTING GO
The final release of a loved one is painful. Even Jesus’ tears flowed when His good friend Lazarus died (JOHN 11:35). But because of God’s promises, we have hope beyond physical death. Psalm 116:15 says that God’s “faithful servants”—those who belong to Him—are “precious” to Him. Though they die, they’ll be alive again.
Jesus promises, “I am the resurrection and the life. The one who believes in me will live, even though they die; and whoever lives by believing in me will never die” (JOHN 11:25–26). What comfort it brings to know we’ll be in God’s presence forever.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JOHN 11:21–36Precious in the sight of the Lord is the death of his faithful servants. [ PSALM 116:15 ]
What did Jesus accomplish by His death on the cross? How does His sacrifice affect every person who has ever lived?
Precious Father, thank You for the promise of eternal life in Your presence.
For help in dealing with loss, read Life After Loss at discoveryseries.org/cb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