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26/2020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119:89-176; 고린도전서 8
찬송가: 382(통432)

영적 운전

내가 운전교육을 받을 때 배운 많은 세부 사항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인지 그때 배운 약어 S-I-P-D-E는 기억 속에 생생히 남아 있습니다.

이 첫 글자들은 스캔(훑어보기)의 S, 아이덴티파이(식별하기)의 I, 프리딕트 (예측하기)의 P, 디사이드(결정하기)의 D, 엑시큐트(실행하기)의 E에서 따온 것인데, 계속해서 연습하라고 배웠던 하나의 순서입니다. 우리는 도로를 ‘훑어보고’,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위험 요소가 어떻게 될지 ‘예측하고’, 대응 방법을 ‘결정한’ 다음, 필요한 경우 계획을 ‘실행하도록’ 배웠습니다. 그것은 사고에 대비해 마음의 준비를 위해 만든 하나의 전략이었습니다.

나는 그 개념을 어떻게 우리의 영적 삶에 적용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바울은 에베소서 5장에서 에베소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라”(15절). 바울은 예수님 안에서의 새로운 삶과 상충되는 옛 삶의 방식 같은 위험요소들이 에베소 사람들을 잘못 인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8, 10-11절). 그래서 그는 성장하고 있는 교회에게 주의하라고 가르쳤던 것입니다.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라고 번역된 말은 문자적으로는 “너희가 어떻게 걷는지 보라”는 뜻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주위를 돌아보라는 것입니다. 위험요소들을 주의하고, 술 취함이나 방탕한 생활과 같은 개인에게 닥치는 함정들을 피하십시오(18절). 그 대신 바울 사도가 말한 것처럼 우리 삶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알기를 구하면서(17절), 다른 믿는 사람들과 함께 주님을 찬양하고 감사하십시오(19-20절).

어떤 위험에 처해서도, 그리고 혹 넘어지더라도 우리는 주님의 무한한 능력과 은혜에 의지하여 자라가면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로운 삶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5:8-20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 [에베소서 5:15-16]

영적으로 넘어뜨리는 것을 알아내는데 어떤 방법을 사용하십니까? 영적 위험요소들을 식별하고 대항하는 데 다른 신자들이 어떤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영적인 함정을 피하는데 감사가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까요?

하늘에 계신 아버지, 인생길에서 영적인 함정을 지날 때 도움을 구하며 하나님을 바라보라고 일러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26/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M 119:89–176; 1 CORINTHIANS 8
Hymn: 382(old432)

SPIRITUAL DRIVING

I don’t remember many specifics about my driver’s education class. But for some reason, an acronym we learned, S-I-P-D-E, remains firmly lodged in my memory.

The letters stood for Scan, Identify, Predict, Decide, and Execute, a process we were taught to practice continually. We were to scan the road, identify hazards, predict what the hazards might do, decide how we’d respond, and then, if necessary, execute that plan. It was a strategy for being intentional to avoid accidents.

I wonder how that idea might translate to our spiritual lives. In Ephesians 5, Paul told Ephesian believers, “Be very careful, then, how you live—not as unwise, but as wise” (V. 15). Paul knew certain hazards could derail the Ephesians—old ways of living at odds with their new life in Jesus (VV. 8, 10–11). So he instructed the growing church to pay attention.

The words translated “be very careful, then, how you live” literally mean “see how you walk.” In other words, look around. Notice hazards, and avoid personal pitfalls like drunkenness and wild living (V. 18). Instead, the apostle said, we can seek to learn God’s will for our lives (V. 17), while, with fellow believers, we sing to and give Him thanks (VV. 19–20).

No matter what hazards we face—and even when we stumble—we can experience our new life in Christ as we grow in dependence on His boundless power and grace. ADAM HOLZ

Today's Reading

EPHESIANS 5:8–20
Be very careful, then, how you live—not as unwise but as wise, making the most of every opportunity, because the days are evil. [ EPHESIANS 5:15–16 ]

What strategy do you use to recognize what might trip you up spiritually? What role do you think other believers play in identifying and resisting spiritual hazards? How might thanksgiving be an important part of avoiding spiritual pitfalls?

Heavenly Father, as I navigate the spiritual potholes on life’s road, thank You for reminding me to look up to You for help.

오늘의 말씀

08/25/2020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19:1-88; 고린도전서 7:20-40
찬송가: 202(통241)

멋진 보상

교사인 도닐란은 언제나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었는데 어느 날 정말로 그것 때문에 득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여행을 계획하면서 긴 여행보험 약관을 읽다가 7 페이지에 있는 멋진 보상선물을 발견했습니다. “읽으면 득이 됩니다”라는 공모전의 일환으로 그 회사는 계약서를 거기까지 읽는 첫 번째 사람에게 만 불을 준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회사는 또한 아이들의 읽고 쓰는 능력 향상을 위해 도닐란의 지역에 있는 학교들에도 수천 불을 기부했습니다. 그녀는 말합니다. “저는 항상 계약서를 다 읽는 괴짜였습니다. 누구보다도 제가 가장 놀랐습니다!”

시편 기자는 눈이 열려 하나님에 관한 “놀라운 것을 보게” 되기를 원했습니다(시편 119:18). 그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에게 잘 알려지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이해했음이 틀림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 더욱 가까이 다가가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 그의 바람은 하나님이 누구신지, 그분이 이미 주신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분을 더 가까이 따를 수 있는지를 더 많이 아는 것이었습니다(24, 98절).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내가 주의 법을 어찌 그리 사랑하는지요 내가 그것을 종일 작은 소리로 읊조리나이다”(97절).

하나님에 대해 배우고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시간을 내어 하나님과, 그분의 성품과, 그분의 예비하심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특권이 우리에게도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가르치고 인도하시며, 그분의 존재 앞에 우리의 마음을 열기를 간절히 바라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찾을 때 하나님은 그분에 대한 커다란 경이감과 함께 임재하시는 기쁨을 보상으로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17-24
내 눈을 열어서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하소서 [시편 119:18]

성경을 열어 읽을 때 어떻게 하나님과 그분의 길에 마음과 생각이 열립니까? 무엇을 더 알고 경험하고 싶으십니까?

하나님, 제가 주의 말씀을 얼마나 사랑하는지요. 내 입에 달아서 꿀보다 더 달콤합니다.

Daily Article

08/25/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 S A LM 119:1–88; 1 CORINTHIANS 7:20–40
Hymn: 202(old241)

WONDERFUL REWARD

Donelan, a teacher, had always been a reader, but one day it literally paid off. She was planning a trip and reviewing her lengthy travel insurance policy when on page seven she discovered a wonderful reward. As part of their “It Pays to Read” contest, the company was giving $10,000 to the first person to read that far into the contract. They also donated thousands of dollars to schools in Donelan’s area for children’s literacy. She says, “I’ve always been that nerd who reads contracts. I was the most surprised of anyone!”

The psalmist wanted his eyes opened to “see wonderful things” about God (PSALM 119:18). He must have had an understanding that God wants to be known, and so he longed for a deeper closeness to Him. His desire was to see more of who God is, what He’d already given, and how to follow Him more closely (VV. 24, 98). He wrote, “Oh, how I love your law! I meditate on it all day long” (V. 97).

We too have the privilege of taking time to ponder God, His character, and His provisions—to learn about and grow closer to Him. God longs to instruct us, guide us, and open our hearts to who He is. When we search for Him, He rewards us with greater wonder at who He is and the enjoyment of His presence! ANNE CETAS

Today's Reading

PSALM 119:17–24
Open my eyes that I may see wonderful things in your law. [ PSALM 119:18 ]

As you open your Bible and read, how is your heart and mind opened to God and His ways? What would you like to know or experience more of?

How I love Your Word, God. It’s sweet to my taste, sweeter than honey to my mouth.

오늘의 말씀

08/24/2020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116-118; 고린도전서 7:1-19
찬송가: 569(통442)

어떻게 이렇게 됐지?

티파니는 칠흑 같이 어두운 에어 캐나다 비행기 안에서 잠이 깼습니다. 다른 승객들이 다 내리고 비행기가 계류장에 주차되는 동안에도 그녀는 여전히 안전벨트를 맨 채로 잠들어 있었습니다. ‘왜 아무도 깨우질 않았을까? 어떻게 이렇게 됐지?’ 그녀는 혼미한 머리를 흔들어 깨우며 기억을 살려보려고 애를 썼습니다.

당신도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일을 당해본 적이 있습니까? 너무나 젊은 나이에 치료법도 없는 병에 걸리거나, 직장에서 지난번 실적평가는 아주 좋았는데 자리가 없어지거나, 참으로 단란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임시직에 혼자 아이를 키우게 되는 경우들 말입니다.

‘어떻게 이렇게 됐지?’ “욥이 재 가운데 앉아”(욥기 2:8) 있을 때에도 그렇게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욥은 자녀들과 부와 건강을 한 번에 다 잃어 버렸습니다. 그는 자기가 어떻게 거기까지 왔는지 짐작도 할 수 없었습니다. 단지 기억해야할 일이 있음을 알았을 뿐입니다.

욥은 그의 창조주를 기억하며 그분이 얼마나 선하신 분이었는지를 기억했습니다. 그는 아내에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복도 받았는데 재난을 당하지 말라는 법이 있겠소?”(10절, 현대인의 성경). 욥은 신실함을 지키려면 이 선하신 하나님을 의지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한탄하며 하늘을 향해 절규했습니다. 그리고 소망 가운데 이렇게 애도했습니다. “내가 알기에는 나의 대속자가 살아 계시니...... 내가 육체 밖에서 하나님을 보리라”(욥기 19:25-26). 욥은 모든 이야기가 어떻게 시작해서 어떻게 끝나는지를 기억했기 때문에 소망에 매달릴 수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2:1-10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않겠느냐 [욥기 2:10]

무슨 상황 때문에 번민하고 두려워합니까? 어떻게 하면 태도를 회복하여 소망과 기쁨으로 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는 놀라도 하나님은 놀라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전에도 선하셨고 지금도 선하십니다.

Daily Article

08/24/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6–118; 1 CORINTHIANS 7:1–19
Hymn: 569(old442)

HOW DID I GET HERE?

Tiffani awoke in the pitch-black darkness of an Air Canada jet. Still wearing her seat belt, she’d slept while the other passengers exited and the plane was parked. Why didn’t anyone wake her? How did she get here? She shook the cobwebs from her brain and tried to remember.

Have you found yourself in a place you never expected? You’re too young to have this disease, and there’s no cure. Your last review was excellent; why is your position being eliminated? You were enjoying the best years of your marriage. Now you’re starting over, as a single parent with a part-time job.

How did I get here? Job may have wondered as “he sat among the ashes” (JOB 2:8). He‘d lost his children, his wealth, and his health, in no time flat. He couldn’t have guessed how he got here; he just knew he had to remember.

Job remembered his Creator and how good He’d been. He told his wife, “Shall we accept good from God, and not trouble?” (V. 10). Job remembered he could count on this good God to be faithful. So he lamented. He screamed at the heavens. And he mourned in hope, “I know that my redeemer lives,” and that “in my flesh I will see God” (19:25–26). Job clung to hope as he remembered how the story began and how it ends.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OB 2:1–10
Shall we accept good from God, and not trouble? [ JOB 2:10 ]

What situation fills you with agony and dread? How might you regain your bearings and live with hope and joy?

Father, You’re not surprised by what surprises me. You were good before, and You remain good now.

To learn more about the book of Job and its message, visit bit.ly/337DURd.

오늘의 말씀

08/23/2020     주일

성경읽기: 시편 113-115; 고린도전서 6
찬송가: 254(통186)

낚시 금지

홀로코스트에서 생존한 코리 텐 붐 여사는 용서의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그녀는 그의 책 ‘주님을 향한 방랑자’에서 가장 좋아하는 마음속의 이미지는 용서 받은 죄가 바다 속으로 던져지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우리의 죄를 자백할 때, 하나님은 그것들을 가장 깊은 바다로 던져버려서 영원히 없어지게 하십니다...... 그러고는 하나님께서 거기에 ‘낚시 금지’라는 표지판을 세우신다고 나는 믿습니다.”

그녀는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 때로 놓치는 중요한 진리 하나를 말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잘못을 용서하시면 그 용서는 완전한 용서라는 사실입니다! 우리는 나쁜 감정들에 사로잡혀 과거의 부끄러웠던 일들을 계속 들먹일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를 받아들이고 하나님을 자유롭게 따르면 됩니다.

우리는 시편 130편에서도 이 “낚시 금지”의 개념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공의로운 분이시지만, “사유하심이 주께 있다”(4절)고 한 것처럼 회개하는 자들의 죄를 용서하신다고 시편 기자는 선언합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을 신뢰하고 기다리면서(5절), “그가 이스라엘을 그의 모든 죄악에서 속량하시리로다”(8절)고 믿음으로 고백합니다. 믿는 사람들은 “풍성한 속량” (7절)을 얻게 될 것입니다.

수치심이나 무가치하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면 온 마음으로 하나님을 섬기지 못하고 오히려 과거에 묶여버리고 맙니다. 만일 잘못한 일로 앞이 막혀 있다고 느낀다면, 하나님께서 주시는 용서와 새 생명의 선물을 온전히 믿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십시오. 하나님은 당신의 죄를 이미 바다 깊이 던져버리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0
[하나님께서] 우리의 모든 죄를 깊은 바다에 던지시리이다 [미가 7:19]

살면서 지은 어떤 죄는 하나님이 용서 안하실지도 모른다는 잘못된 믿음에 사로잡혀 있습니까? 하나님은 당신이 그분의 용서를 받아들여 자유롭게 되기를 원하십니다!

용서의 하나님, 하나님은 아들 예수님을 보내셔서 저를 죄와 수치에서 구원하셨습니다. 완전히 용서받아 얻은 자유 안에서 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3/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3–115; 1 CORINTHIANS 6
Hymn: 254(old186)

NO FISHING ALLOWED

Holocaust survivor Corrie ten Boom knew the importance of forgiveness. In her book Tramp for the Lord, she says her favorite mental picture was of forgiven sins thrown into the sea. “When we confess our sins, God casts them into the deepest ocean, gone forever. . . . I believe God then places a sign out there that says No Fishing Allowed.”

She points to an important truth that believers in Jesus can sometimes fail to grasp—when God forgives our wrongdoing, we’re forgiven fully! We don’t have to keep dredging up our shameful deeds, wallowing in any mucky feelings. Rather we can accept His grace and forgiveness, following Him in freedom.

We see this idea of “no fishing allowed” in Psalm 130. The psalmist proclaims that although God is just, He forgives the sin of those who repent: “But with you there is forgiveness” (V. 4). As the psalmist waits for God, putting his trust in Him (V. 5), he states in faith that He “himself will redeem Israel from all their sins” (V. 8). Those who believe will find “full redemption” (V. 7).

When we’re caught in feelings of shame and unworthiness, we can’t serve God with our whole hearts. Instead, we’re restricted by our past. If you feel stymied by the wrong you’ve done, ask God to help you fully believe in His gift of forgiveness and new life. He’s cast your sins into the ocean!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PSALM 130
[God will] hurl all our iniquities into the depths of the sea. [ MICAH 7:19 ]

Are you holding on to the false belief that God can’t possibly forgive you for some sin in your life? God wants you to allow His forgiveness to set you free!

Forgiving God, You sent Your Son Jesus to save me from my sins and shame. Help me to live in the freedom of being fully forgiven.

오늘의 말씀

08/22/2020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110-112; 고린도전서 5
찬송가: 496(통260)

수확 때까지 충성하라

내가 아는 한 여성은 동네 공원에서 행사를 계획하여 이웃에 있는 아이들 모두를 초대했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믿음을 이웃과 나눌 수 있는 기회에 신이 나 있었습니다.

그녀는 자신을 도와줄 손주 세 명과 고등학생 두 명을 설득해서 과제를 주고, 여러 게임과 다른 활동들을 계획하고, 음식도 준비하고, 아이들에게 전해줄 예수님에 관한 성경 이야기를 준비한 후 아이들이 모이기를 기다렸습니다.

첫째 날에 단 한 명의 아이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둘째 날, 셋째 날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하지만 친구는 매일 손주와 도우미들과 함께 계획된 그날그날의 순서를 진행했습니다.

나흘 째 되는 날, 그녀는 근처에 소풍을 온 가족을 발견하고는 아이들을 게임에 초대했습니다. 한 여자 아이가 와서 재미있게 놀고 식사를 함께 하며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마도 세월이 지난 후에도 아이는 그 일을 기억할 것입니다. 결과가 어떻게 될지 누가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은 갈라디아서를 통하여 이렇게 우리를 격려해 주십니다.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그러므로 우리는 기회 있는 대로 모든 이에게 착한 일을 하되 더욱 믿음의 가정들에게 할지니라”(6:9–10).

숫자나 눈에 보이는 다른 성공의 척도를 가지고 염려하지 마십시오. 우리가 할 일은 하나님께서 하기를 바라시는 일에 충성을 다하고 그 수확은 하나님께 맡기는 것입니다. 결과를 결정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6:7-10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갈라디아서 6:9]

아주 잘 세운 계획이 잘못된 적이 있습니까? 실망이 되더라도 결과를 하나님께 맡기는 것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 하나님께서 결과를 책임져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일하시니,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은 무엇이든 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8/22/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10–112; 1 CORINTHIANS 5
Hymn: 496(old260)

FAITHFUL UNTIL THE HARVEST

A woman I know planned an event at a local park and invited all the neighborhood children to participate. She was excited about the opportunity to share her faith with her neighbors.

She recruited her three grandchildren and two high school students to help her, gave the assignments, planned a number of games and other activities, prepared food, prepared a Bible story about Jesus to present to the children, and waited for them to gather.

Not a single child showed up the first day. Or the second day. Or the third day. Yet, each day my friend went through that day’s activities with her grandchildren and helpers.

On the fourth day, she noticed a family picnicking nearby and invited the children to join in the games. One little girl came, entered into the fun, ate with them, and listened to the story about Jesus. Perhaps years from now she’ll remember. Who knows what the outcome will be? God, through the book of Galatians, encourages us, “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for at the proper time we will reap a harvest if we do not give up. Therefore, as we have opportunity, let us do good to all people” (6:9–10).

Don’t worry about numbers or other visible measures of success. Our job is to be faithful to what He wants us to do and then leave the harvest to Him. God determines the outcomes.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GALATIANS 6:7–10
Let us not become weary in doing good. [ GALATIANS 6:9 ]

What best-laid plans of yours have gone wrong? How can you learn to trust God with the outcome despite disappointment?

God, I’m grateful that You’re the one in charge of the results. You’re the one at work. Help me to do what You ask no matter what.

오늘의 말씀

08/21/2020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107-109; 고린도전서 4
찬송가: 327(통361)

황량한 곳에도 좋은 것은 있다

남편과 함께 와이오밍 주의 작지만 험한 산모퉁이를 답사할 때, 산쑥과 쐐기풀, 가시 선인장과 다른 식물들이 듬성듬성 자라고 있는 바위투성이의 건조한 곳에서 갑자기 해바라기 하나가 눈에 띄었습니다. 그것은 집에서 키우는 해바라기만큼 키가 크지는 않았지만 밝은 색깔은 마찬가지여서 기분이 아주 좋아졌습니다.

거칠기만 한 곳에서 우연하게 좋은 것을 만나고 보니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도 삶이 얼마나 생기가 없고 황량하게 보일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어려움은 극복할 수 없을 것 같고, 시편 기자 다윗의 외침처럼 우리의 기도도 때로는 소용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여호와여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오니 주의 귀를 기울여 내게 응답하소서”(시편 86:1). 우리도 다윗처럼 기쁨을 갈망하는 존재들입니다(4절).

그러나 다윗은 이어서 주를 부르는 모든 사람들에게 인자함을 넘치게 베풀어주시는 하나님(5절), 신실하시고(11절) “긍휼히 여기시며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15절)을 섬긴다고 선언합니다. 하나님은 정말로 응답해 주십니다(7절).

때때로 하나님은 황량한 곳에 해바라기를 보내주십니다. 그것은 친구로부터의 격려의 말이나 글, 위로의 문장이나 성경구절, 혹은 아름다운 해돋이처럼 우리에게 희망을 가지고 더 가벼운 발걸음으로 앞으로 나가게 해주는 것들입니다. 우리를 어려움에서 건져주시는 하나님을 경험할 그 날을 기다릴 때에도 시편 기자처럼 “주는 위대하사 기이한 일들을 행하시오니 주만이 하나님이시니이다”(10절)라고 선언하는 우리가 될 수 있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6:1-13
주는 선하사 사죄하기를 즐거워하시며 주께 부르짖는 자에게 인자함이 후하심이니이다 [시편 86:5]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 구해주셨습니까? 그 기간 동안 인내를 도운 어떤 “해바라기들”을 경험하셨습니까?

사랑의 하나님, 긍휼히 여기시고 은혜를 베풀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이 과거에 나의 기도를 어떻게 응답하셨고 또 미래에 어떻게 응답하실지 기억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21/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7–109; 1 CORINTHIANS 4
Hymn: 327(old361)

BRIGHT SPOTS IN BLEAK PLACES

When my husband and I were exploring a small, rugged corner of the state of Wyoming, I spied a sunflower in a rocky, dry place where sagebrush, nettles, prickly cactus, and other scraggly plants grew. It wasn’t as tall as the domestic sunflower, but it was just as bright—and I felt cheered.

This unexpected bright spot in rough terrain reminded me of how life, even for the believer in Jesus, can seem barren and cheerless. Troubles can seem insurmountable, and like the cries of the psalmist David, our prayers sometimes seem to go unheeded: “Hear me, Lord, and answer me, for I am poor and needy” (PSALM 86:1). Like him, we too long for joy (V. 4).

But David goes on to declare that we serve a faithful (V. 11), “compassionate and gracious God” (V. 15), who abounds in love for all who call on Him (V. 5). He does answer (V. 7).

Sometimes in bleak places, God sends a sunflower—an encouraging word or note from a friend; a comforting verse or Bible passage; a beautiful sunrise—that helps us to move forward with a lighter step, with hope. Even as we await the day we experience God’s deliverance out of our difficulty, may we join the psalmist in proclaiming, “You are great and do marvelous deeds; you alone are God”! (V. 10). ALYSON KIEDA

Today's Reading

PSALM 86:1–13
You, Lord, are forgiving and good, abounding in love to all who call to you [ PSALM 86:5 ]

Out of what difficult place has God delivered you? During that time, did you experience any “sunflowers” that helped you persevere?

Loving God, thank You for being compassionate and gracious. Help me to remember how You’ve been faithful and answered my prayers in the past—and will again in the future.

오늘의 말씀

08/20/2020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105-106; 고린도전서 3
찬송가: 430(통456)

하나님과 동역함

빌 애쉬는 1962년에 멕시코에 있는 한 고아원을 방문해서 풍차의 작은 펌프들을 고쳐주었습니다. 15 년 후 그는 어려운 마을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것을 도와주는 일로 하나님을 섬기고 싶은 간절한 바람으로 비영리단체를 설립했습니다. 빌은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저를 일깨워 시골 빈민들에게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려는 열망을 지닌 사람들을 찾아내어 ‘시간을 최대한 선용하라’고 하셨습니다.” 나중에 빌은 100개가 넘는 나라로부터 수많은 목사들과 복음전도자들을 통하여 전 세계적으로 안전한 식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 사역에 참여할 기회를 주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하나님과 함께,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팀을 이루어 섬기기를 원하십니다. 고린도 사람들이 어느 지도자를 더 선호하는지를 놓고 다툴 때, 바울 사도는 자신의 역할이 예수님을 섬기는 자요 아볼로의 동역자이며, 영적 성장을 위해서는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지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습니다(고린도전서 3:1-7). 모든 일에는 하나님이 부여하신 가치가 있다고 상기시키면서(8절), 바울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나님을 섬기는 특권에 대해 말하며 하나님이 사랑 안에서 우리를 변화시키시는 것처럼 우리도 서로를 세워 나가라고 권면합니다(9절).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는 그분의 위대한 사역을 성취하기 위해 우리 도움이 필요하지 않으시지만 우리를 그분과 동역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시고 불러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3:1-9
우리는 하나님의 동역자들이요 너희는 하나님의 밭이요 하나님의 집이니라 [고린도전서 3:9]

하나님께 결과를 맡길 때 어떻게 불가능해 보이는 일에 도전할 용기가 생길까요? 하나님께서 어떤 힘든 일들을 당신과 함께 하시기를 원하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서 커다란 일들을 계속 이루어 가실 때 제게 필요한 모든 것을 채워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8/20/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5–106; 1 CORINTHIANS 3
Hymn: 430(old456)

WORKING WITH GOD

During his 1962 visit to Mexico, Bill Ashe helped fix windmill hand pumps at an orphanage. Fifteen years later, inspired by a deep desire to serve God by helping provide clean water to villages in need, Bill founded a nonprofit organization. He said, “God awoke me to ‘make the most of the time’ by finding others with a desire to bring safe drinking water to the rural poor.” Later, having learned about the global need for safe water through the requests of thousands of pastors and evangelists from more than 100 countries, Bill invited others to join the ministry’s efforts.

God welcomes us to team up to serve with Him and others in various ways. When the people of Corinth argued over which teachers they preferred, the apostle Paul affirmed his role as a servant of Jesus and a teammate of Apollos, fully dependent on God for spiritual growth (1 CORINTHIANS 3:1–7). He reminds us that all work has God-given value (V. 8). Acknowledging the privilege of working with others while serving Him, Paul encourages us to build each other up as He transforms us in love (V. 9).

Though our mighty Father doesn’t need our help to accomplish His great works, He equips us and invites us to partner with Him.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3:1–9
We are co-workers in God’s service; you are God’s field, God’s building. [ 1 CORINTHIANS 3:9 ]

How does leaving the results to God give you the courage to risk doing what seems impossible? What hard thing has He invited you to do with His help?

Father, thank You for providing all I need as You continue to accomplish great things in me.

오늘의 말씀

08/19/2020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103-104; 고린도전서 2
찬송가: 15(통55)

오직 믿음

삼백 명의 아이들이 옷을 차려 입고 앉아서 아침 식사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의 기도를 드리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 앞에는 아무런 음식이 없었습니다! 고아원을 운영하고 있는 선교사 조지 뮬러에게 이런 일은 자주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상황은 하나님께서 어떻게 공급해 주시는지 알게 해주는 기회이기도 했습니다. 뮬러가 기도한지 몇 분 안 되어 간밤에 잠을 이루지 못한 제빵사가 고아원의 문을 두드렸습니다. 그는 고아원에 빵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되어 세 바구니나 되는 빵을 간밤에 만들었던 것입니다. 조금 후에는 우유장수가 나타났습니다. 그의 손수레가 고아원 앞에서 고장 나는 바람에 우유가 상하는 것을 원치 않은 그는 뮬러에게 우유를 모두 주었습니다.

우리가 잘 지내는데 필요한 자원인 음식과 집, 건강, 재정, 친구들이 없을 때, 염려나 걱정, 자기 연민 등을 한바탕 치르는 것은 정상적인 일입니다. 그런데 열왕기상 17:8-16 말씀은 하나님의 도움이 “나는 떡이 없고 다만 통에 가루 한 움큼과 병에 기름 조금 뿐이라”(12절)고 말한 가난한 과부처럼,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법으로 올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 이전에 엘리야에게 공급해준 것은 까마귀였습니다(4–6절). 우리는 부족한 것을 채우려고 염려함으로 여러 갈래로 길을 찾아 나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우리의 필요를 채워주시겠다고 약속하신 공급자시라는 것을 분명히 알면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우리 스스로 해결책을 찾기 전에, 먼저 하나님을 찾는데 주의를 기울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시간과 힘을 절약할 수 있고 좌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17:8-16
그와 엘리야와 그의 식구가 여러 날 먹었으나 [열왕기상 17:15]

기도로 공급자 되시는 하나님을 찾기 전에 공급을 확보하는 데 먼저 치중했을 때 어떤 일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지금 하나님 앞에 기도로 구하는 것들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저의 모든 필요를 공급하시는 하나님을 분명히 볼 수 있게 해주소서. 하나님을 먼저 찾지 않고 헛되이 제 방법을 먼저 찾았던 날들을 용서해 주소서.

Daily Article

08/19/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3–104; 1 CORINTHIANS 2
Hymn: 15(old55)

ONLY TRUST

Three hundred children were dressed and seated for breakfast, and a prayer of thanks was offered for the food. But there was no food! Situations like this were not unusual for orphanage director and missionary George Mueller (1805–1898). Here was yet another opportunity to see how God would provide. Within minutes of Mueller’s prayer, a baker who couldn’t sleep the night before showed up at the door. Sensing that the orphanage could use the bread, he had made three batches. Not long afterward, the town milkman appeared. His cart had broken down in front of the orphanage. Not wanting the milk to spoil, he offered it to Mueller.

It’s normal to experience bouts of worry, anxiety, and self-pity when we lack resources essential to our well-being—food, shelter, health, finances, friendships. First Kings 17:8–16 reminds us that God’s help can come through unexpected sources like a needy widow. “I don’t have any bread—only a handful of flour in a jar and a little olive oil in a jug” (V. 12). Earlier it was a raven that provided for Elijah (VV. 4–6). Concerns for our needs to be met can send us searching in many directions. A clear vision of God as the Provider who has promised to supply our needs can be liberating. Before we seek solutions, may we be careful to seek Him first. Doing so can save us time, energy, and frustration.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1 KINGS 17:8–16
So there was food every day for Elijah and for the woman and her family. [ 1 KINGS 17:15 ]

What’s been your experience when you’ve focused on securing provision before seeking the Provider in prayer? What current needs will you bring before God?

Father, sharpen my vision of You as the Provider for all my needs. Forgive me for times I have futilely sought to find my way without seeking You first.

오늘의 말씀

08/18/2020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00-102; 고린도전서 1
찬송가: 505(통268)

적인가, 우리 편인가?

텍사카나라는 도시는 정확하게 텍사스와 아칸소 주 경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주민 7만 명의 이 도시에는 두 명의 시장, 두 개의 시 의회, 그리고 두 개의 경찰서와 소방서가 있습니다. 도시 양쪽에 위치한 고등학교들 간의 스포츠 경기에는 자신의 주에 있는 학교에 대한 깊은 충성심을 반영하듯 다른 곳과는 달리 많은 사람들이 보러 옵니다. 두 개의 주 법이 적용되는 공용수도에 대한 논쟁과 같은 더 중요한 문제가 대두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도시는 시를 나누는 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합하는 모습으로 유명합니다. 주민들은 매년 주 경계 도로에서 열리는 만찬에 모여 공동체로서 하나 됨을 축하하며 음식을 함께 나눕니다.

고린도 교인들은 그들의 주요 도로를 따라 선을 긋지는 않았겠지만 사람들은 분열되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에게 예수님에 대해 가르쳐준 바울과 아볼로, 게바(베드로)에게 충성한 결과 서로 다투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모두에게 그들을 위해 십자가에 못 박힌 분은 그들의 영적 지도자가 아니라 그리스도시라는 것을 상기시키며 “같은 마음과 같은 뜻으로” (고린도전서 1:10) 하나가 되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도 오늘날 이와 비슷하게 행동하지는 않는지요? 우리는 예수님께서 우리 죄 때문에 돌아가셨다는 가장 중요한 이 한 가지 믿음을 나누는 사람들까지도 때로는 우리 편이 아니라 적으로 만들어 대적합니다. 그리스도 그분 자신이 나뉘지 않는 것처럼, 이 땅에서 주님의 대리인이요 그의 몸인 우리도 비본질적인 것에 대한 차이 때문에 갈라져서는 안 됩니다. 그러기보다는, 주님 안에서 우리가 하나라는 점을 더 기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10-17
같은 마음과 같은 뜻으로 온전히 합하라 [고린도전서 1:10]

당신은 어떤 비본질적인 영적 문제들 때문에 잘 나눠집니까? 그 대신 어떻게 하나 됨을 도모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하나님께 그리고 하나님의 백성들을 위한 하나님의 희생에 집중하도록 도와주소서. 덜 중요한 문제에 집중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과 믿음의 공동체로서 하나 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8/18/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0–102; 1 CORINTHIANS 1
Hymn: 505(old268)

RIVALS OR ALLIES?

The city of Texarkana sits squarely on the state border between Texas and Arkansas. The city of 70,000 inhabitants has two mayors, two city councils, and two police and fire departments. The cross-town sporting rivalry between high schools draws an uncommonly high attendance, reflecting the deep allegiance each has to their own state’s school. More significant challenges arise as well, such as disputes over the shared water system, governed by two sets of state laws. Yet the town is known for its unity despite the line that divides it. Residents gather annually for a dinner held on State Line Avenue to share a meal in celebration of their oneness as a community.

The believers in Corinth may not have drawn a line down their main thoroughfare, but they were divided. They’d been quarreling as a result of their allegiances to those who taught them about Jesus: Paul, Apollos, or Cephas (Peter). Paul called them all to oneness “in mind and thought” (1 CORINTHIANS 1:10), reminding them it was Christ who was crucified for them, not their spiritual leaders.

We behave similarly today, don’t we? We sometimes oppose even those who share our singularly important belief—Jesus’ sacrifice for our wrongdoings—making them rivals instead of allies. Just as Christ Himself is not divided, we, as His earthly representation—His body—mustn’t allow differences over nonessentials to divide us. Instead, may we celebrate our oneness in Him.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10–17
Be perfectly united in mind and thought. [ 1 CORINTHIANS 1:10 ]

Over what nonessential spiritual issues are you likely to allow division? How can you foster unity instead?

God, help me to remain focused on You and Your sacrifice for Your people. May I not be distracted by the less important issues but call others to oneness as a community of faith.

오늘의 말씀

08/17/2020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97-99; 로마서 16
찬송가: 342(통395)

불로 정제되다

24캐럿 금은 불순물이 거의 없는 100퍼센트에 가까운 금입니다. 그러나 그 수치를 달성하기가 힘이 듭니다. 정제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두 가지 정제 공정 중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밀러 공정은 가장 빠르고 비용도 적게 들지만 나오는 금의 순도는 99.95퍼센트입니다. 월윌 공정은 시간과 비용이 조금 더 들지만 나오는 금의 순도는 99.99퍼센트입니다.

성경시대에 사람들은 금을 정제하는데 불을 사용했습니다. 불은 불순물을 표면 위로 떠오르게 해서 비교적 쉽게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베드로 사도는 소아시아(터키 북부) 전역에 있는 신자들에게 보낸 첫 번째 서신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에 시련이 닥치는 것에 대한 비유로 금 정제 과정을 예로 들었습니다. 그 당시 많은 신자들이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때문에 로마인들에게 박해를 받고 있었습니다. 베드로는 그것이 어떤 것인지 몸소 알고 있었지만, 박해는 “[우리의] 믿음의 확실함”을 이끌어낸다고 설명했습니다(베드로전서 1:7).

어쩌면 당신도 좌절이나 질병, 혹은 다른 역경의 열기로 제련소의 불 속에 있는 것처럼 느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고난은 종종 하나님께서 우리 믿음의 금을 정제하시는 과정입니다. 고통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께 그 과정을 빨리 끝내 달라고 간구할 수도 있지만, 하나님은 삶이 괴롭더라도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알고 계십니다. 구주 하나님의 위로와 평화를 구하며 그분께 계속 붙어 있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6-9
너희 믿음의 확실함은 불로 연단하여도 없어질 금보다 더 귀하여 [베드로전서 1:7]

어떤 어려움들을 통해 성장하게 된 경험이 있습니까? 그 어려움들에 어떻게 반응하셨습니까?

아버지 하나님, 제 인생의 시련이 어떻게 제 안에 금을 만들어내는지 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8/17/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7–99; ROMANS 16
Hymn: 342(old395)

REFINED IN THE FIRE

Twenty-four-karat gold is nearly 100 percent gold with few impurities. But that percentage is difficult to achieve. Refiners most commonly use one of two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Miller process is the quickest and least expensive, but the resulting gold is only about 99.95 percent pure. The Wohlwill process takes a little more time and costs more, but the gold produced is 99.99 percent pure.

In Bible times, refiners used fire as a gold purifier. Fire caused impurities to rise to the surface for easier removal. In his first letter to believers in Jesus throughout Asia Minor (northern Turkey), the apostle Peter used the gold-refining process as a metaphor for the way trials work in the life of a believer. At that time, many believers were being persecuted by the Romans for their faith in Christ. Peter knew what that was like firsthand. But persecution, Peter explained, brings out the “genuineness of [our] faith” (1 PETER 1:7).

Perhaps you feel like you’re in a refiner’s fire—feeling the heat of setbacks, illness, or other challenges. But hardship is often the process by which God purifies the gold of our faith. In our pain we might beg God to quickly end the process, but He knows what’s best for us, even when life hurts. Keep connected to the Savior, seeking His comfort and peace.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1 PETER 1:6–9
These trials will show that your faith is genuine. [ 1 PETER 1:7 nlt ]

What challenges have you faced that led to your growth? How did you respond to them?

Father God, help me see how the trials of my life bring out the gold in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