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25/2020     금요일

성경읽기: 아가 6-8; 갈라디아서 4
찬송가: 293(통414)

사랑의 자물쇠

나는 파리 퐁데자르 다리 곳곳에 달려 있는 연인 이름의 첫 글자가 새겨진 수십만 개의 자물쇠를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센 강을 가로지르는 보행자 전용 다리에도 연인의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는 그런 상징물들로 넘쳐났습니다. 2014년에 모두 50톤이나 되는 것으로 추정된 그 사랑의 자물쇠들 때문에 다리의 일부분이 무너져 자물쇠들을 철거해야 했습니다.

그토록 많은 사랑의 자물쇠는 변치 않는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 연인 간의 대화를 묘사한 구약의 아가서에서 여자는 “나를 도장 같이 마음에 품고 도장 같이 팔에 두라” (아가 8:6)고 요구하며 연인에게 변치 않는 사랑에 대한 소망을 표현합니다. 그 여자는 남자의 사랑이 그의 마음에 새겨진 도장이나 그의 손가락에 끼워진 반지처럼 안전하고 확실하기를 바랐습니다.

아가서에 표현된 영원한 낭만적인 사랑에 대한 소망은 우리가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다고(1:13) 하는 에베소서의 신약성경의 진리로 우리를 인도해 줍니다. 인간의 사랑은 변덕스럽고 자물쇠들은 다리에서 철거될 수 있지만, 우리 안에 거하시는 그리스도의 영은 하나님의 자녀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영원하고 헌신적인 사랑을 증명하는 영구적인 도장입니다.

오늘의 성구

아가 8:5-7
나를 도장 같이 마음에 품고 도장 같이 팔에 두라 [아가 8:6]

하늘에 계신 아버지, 인간의 사랑은 불확실하나 저를 향한 아버지의 사랑은 강하고 튼튼하며 영원하니 감사합니다.

하나님 아버지의 변치 않는 사랑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이 당신을 인도하고 용기를 주게끔 하겠습니까?

Daily Article

09/25/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S OF SONGS 6–8; GALATIANS 4
Hymn: 293(Old414)

LOVE LOCKS

I stood amazed at the hundreds of thousands of padlocks, many engraved with the initials of sweethearts, attached to every imaginable part of the Pont des Arts bridge in Paris. The pedestrian bridge across the Seine River was inundated with these symbols of love, a couple’s declaration of “forever” commitment. In 2014, the love locks were estimated to weigh a staggering fifty tons and had even caused a portion of the bridge to collapse, necessitating the locks’ removal.

The presence of so many love locks points to the deep longing we have as human beings for assurance that love is secure. In Song of Songs, an Old Testament book that depicts a dialogue between two lovers, the woman expresses her desire for secure love by asking her beloved to “place me like a seal over your heart, like a seal on your arm” (SONG OF SONGS 8:6). Her longing was to be as safe and secure in his love as a seal impressed on his heart or a ring on his finger.

The longing for enduring romantic love expressed in Song of Songs points us to the New Testament truth in Ephesians that we are marked with the “seal” of God’s Spirit (1:13). While human love can be fickle, and locks can be removed from a bridge, Christ’s Spirit living in us is a permanent seal demonstrating God’s never- ending, committed love for each of His children.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SONG OF SONGS 8:5–7
Place me like a seal over your heart, like a seal on your arm. [ SONG OF SONGS 8:6 ]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even though the security of human love often remains elusive, Your love for me is strong, steadfast, and eternal.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secure love of your heavenly Father? How might you allow His love to guide and encourage you today?

오늘의 말씀

09/24/2020     목요일

성경읽기: 아가 4-5; 갈라디아서 3
찬송가: 255(통187)

결코 너무 죄가 많지 않은

내가 다니던 전문대학 영어 교수가 “성경책을 만지면 내 손에 불이 붙을 것 같아.”라고 말하자 내 마음이 무너졌습니다. 그날 아침 우리가 읽던 소설에서 참고한 성경 구절을 찾으려고 꺼낸 성경을 보고 한 말이었습니다. 교수님은 자신이 용서 받기에는 너무 큰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용기가 부족했던 나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그리고 우리가 ‘언제나’ 하나님의 용서를 구할 수 있다는 성경의 말씀을 전하지 못했습니다.

느헤미야서에 회개와 용서의 본보기가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의 죄 때문에 유배되었지만 이제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들이 예루살렘에 정착한 후 서기관 에스라가 그들에게 율법을 읽어주었습니다(느헤미야 7:73-8:3). 그들은 그들의 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자신들을 버리거나” “떠나지 않으셨음”을 기억하며 그들의 죄를 고백했습니다 (9:17,19). 하나님은 그들이 부르짖을 때 “들으셨고”, 긍휼과 자비로 그들에게 오래 참으셨습니다(27-31절).

이처럼 하나님은 우리에게도 오래 참으십니다. 우리가 죄를 자백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선다면 하나님은 우리를 버리지 않으십니다. 그 당시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나는 교수님에게 그분의 과거가 어떠하든 예수님이 그를 사랑하시며 예수님의 가족이 되기를 원하신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예수님은 당신과 나에 대해서도 똑같이 느끼십니다. 우리는 용서를 구하며 예수님께 나아갈 수 있고, 예수님은 우리를 용서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느헤미야 9:17, 27-31
주께서는 용서하시는 하나님이시라...... 인자가 풍부하시므로 [느헤미야 9:17]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죄를 용서하시고 용서 받기에 너무 많은 죄를 지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확신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예수님께 용서를 구하기에는 너무 많은 죄를 지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알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이런 사람에게 예수님은 “의인이 아닌 죄인”을 위해 오셨다는(마가복음 2:17) 진리를 말해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24/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4–5; GALATIANS 3
Hymn: 255(Old187)

NEVER TOO SINFUL

“If I touched a Bible, it would catch fire in my hands,” said my community college English professor. My heart sank. The novel we’d been reading that morning referenced a Bible verse, and when I pulled out my Bible to look it up, she noticed and commented. My professor seemed to think she was too sinful to be forgiven. Yet I wasn’t bold enough to tell her about God’s love— and that the Bible tells us we can always seek God’s forgiveness.

There’s an example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in Nehemiah. The Israelites had been exiled because of their sin, but now they were allowed to return to Jerusalem. When they’d “settled in,” Ezra the scribe read the law to them (NEHEMIAH 7:73–8:3). They con- fessed their sins, remembering that despite their sin God “did not desert” or “abandon them” (9:17, 19). He “heard them” when they cried out; and in compassion and mercy, He was patient with them (VV. 27–31).

In a similar way, God is patient with us. He won’t abandon us if we choose to confess our sin and turn to Him. I wish I could go back and tell my professor that, no matter her past, Jesus loves her and wants her to be part of His family. He feels the same way about you and me. We can approach Him seeking forgiveness—and He will give it! - JULIE SCHWAB

Today's Reading

NEHEMIAH 9:17, 27–31
You are a forgiving God . . . abounding in love. [ NEHEMIAH 9:17 ]

Dear Father, thank You for forgiving my sins and for Your assurance that no one is too sinful to be forgiven.

Do you know someone who feels they’re too sinful for Jesus to forgive them? How does the truth that Jesus has come not for “the righteous, but sinners” (MARK 2:17) speak to this way of thinking?

오늘의 말씀

09/23/2020     수요일

성경읽기: 아가 1-3; 갈라디아서 2
찬송가: 407(통465)

하나님이 깔아주신 기억들

다 큰 아들이 어려움을 당했을 때, 나는 아이의 아빠가 실직한 해에 하나님이 끊임없이 보살피고 공급해주신 것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리고 내 엄마가 백혈병과 투병하다 돌아가셨을 때, 하나님이 우리 가족을 강건케 하고 평안을 주신 것도 말해주었습니다. 또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이야기들을 강조하며 나는 하나님은 약속을 지키시는 선한 분이라는 것을 분명히 말해주었습니다. 나는 아들에게 우리 가정이 험한 산과 골짜기를 지날 때 하나님은 여전히 우리가 의지할 분이셨던 것을 떠올려주며, 하나님이 우리 가정에 깔아주신 기억의 길로 그를 인도했습니다. 우리가 어려움을 겪든 기뻐하든 어떤 상황에도, 하나님의 임재와 사랑과 은혜가 충분하다는 것은 확실했습니다.

믿음을 강화시키는 이 전략을 내가 고안한 것이라 주장하고 싶지만, 사실 이 이야기를 나누는 습관은 하나님이 다음 세대의 믿음을 고무시키기 위해 고안하신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과거에 하나님이 하신 일들을 보았던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었기에, 하나님은 그들의 거룩하게 깔린 기억의 길을 따라 확신의 돌들을 놓아주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이 하나님을 따를 때 하나님이 자신의 약속을 신실히 지키시는 것을 목도했습니다(신명기 4:3-6). 하나님은 언제나 그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셨습니다(7절). 이스라엘 백성들은 다음 세대와 함께 기뻐하고 추억하면서(9절),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 나직이 말씀하시고 보존하신 거룩한 말씀을 함께 나눴습니다(10절).

위대하신 하나님의 위엄과 자비, 그리고 친밀한 사랑에 대해 말할 때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영원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우리의 확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믿음이 더욱 강건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4:3-10
나에게 백성을 모으라 내가 그들에게 내 말을 들려주어 그들이......나를 경외함을 배우게 하며 [신명기 4:10]

주권자 하나님, 세대를 거쳐 굳건히 다져진 믿음으로 걸을 수 있는 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자신의 삶에서 하나님이 행하셨던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당신의 영적 성장을 도와준 이들이 있습니까? 어떤 창의적인 방법으로 세대 간에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사랑을 나눌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23/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SONG OF SONGS 1–3; GALATIANS 2
Hymn: 407(Old465)

GOD-PAVED MEMORIES

When my grown son faced a difficult situation, I reminded him about God’s constant care and provision during his dad’s year of unemployment. I recounted the times God strengthened our family and gave us peace while my mom fought and lost her battle with leukemia. Highlighting the stories of God’s faithfulness stitched into Scripture, I affirmed He was good at keeping His word. I led my son down our family’s God-paved memory lane, reminding him about the ways He remained reli- able through our valley and mountaintop moments. Whether we were struggling or celebrating, God’s presence, love, and grace proved sufficient.

Although I’d like to claim this faith-strengthening strategy as my own, God designed the habit of sharing stories to inspire the future generations’ belief in Him. As the Israelites remembered all they’d seen God do in the past, He placed cobblestones of confidence down their divinely paved memory lanes.

The Israelites had witnessed God holding true to His promises as they followed Him (DEUTERONOMY 4:3–6). He’d always heard and answered their prayers (V. 7). Rejoicing and reminiscing with the younger generations (V. 9), the Israelites shared the holy words breathed and preserved by the one true God (V. 10).

As we tell of our great God’s majesty, mercy, and intimate love, our convictions and the faith of others can be strengthened by the confirmation of His enduring trustworthiness.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DEUTERONOMY 4:3–10
Assemble the people before me to hear my words so that they may learn to revere me. [ DEUTERONOMY 4:10 ]

Sovereign God, thank You for empowering me to walk with sure-footed faith that crosses generational lines.

Who’s invested in your spiritual growth by sharing what God has done in their lives? What creative ways can you share His faithfulness and love across generational lines?

오늘의 말씀

09/22/2020     화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10-12; 갈라디아서 1
찬송가: 595(통372)

모험적인 우회

할리는 ‘이건 정말 시간 낭비야.’라고 생각했습니다. 보험사 직원이 한 번 더 만나자고 조르고 있었습니다. 할리는 또 지겨운 보험상품 이야기를 듣게 되리라고 생각했지만, 그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 자신의 믿음에 대한 이야기를 할 기회를 만들어보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할리는 보험사 직원이 눈썹에 문신을 한 것을 보고 망설이다가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직원은 행운을 가져다줄 것 같아서 문신을 했다고 대답했습니다. 할리의 질문은 재정에 관한 일반적인 대화에서 벗어나 모험적으로 돌려 말한 것이었지만, 그 질문으로 행운과 믿음에 관한 대화의 문이 열려 자기가 왜 예수님을 의지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 “낭비”의 시간이 거룩한 만남의 시간으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예수님도 모험적으로 돌아서 가신 적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유대에서 갈릴리로 여행하시는 동안 길을 벗어나 사마리아 여인과 대화를 나누셨습니다. 이것은 유대인에게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심지어 그 여인은 같은 사마리아인조차도 피하는 간음한 여인이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그 여인과 대화를 나누심으로 결과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구원에 이르게 하셨습니다 (요한복음 4:1-26, 39-42).

정말 보기 싫은 사람을 만나고 있습니까? 보통 때 피하고 있는 이웃과 자꾸 마주칩니까? 성경은 우리가 복음을 전하기 위해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디모데후서 4:2). 모험적인 우회를 해볼 것을 고려해 보십시오. 하나님이 오늘 당신에게 하나님을 전할 거룩한 기회를 주실지 누가 알겠습니까!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4:1-5
너는 말씀을 전파하라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항상 힘쓰라 [디모데후서 4:2]

예수님, 주님의 사랑을 나눌 수 있게 열어 주신 문을 볼 수 있게 하시고, 다른 사람들에게 주님을 전할 수 있는 용기를 주소서.

오늘 누구를 만나게 될까요? 어떻게 하면 그 만남에서 예수님을 전할 기회가 생길까요? 어떻게 담대하지만 사랑스럽게, 그리고 세심하게 복음을 전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22/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0–12; GALATIANS 1
Hymn: 595(Old372)

A RISKY DETOUR

What a waste of time, thought Harley. Her insurance agent was insisting they meet again. Harley knew it would be yet another boring sales pitch, but she decided to make the most of it by looking for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her faith.

Noticing that the agent’s eyebrows were tattooed, she hesi- tantly asked why and discovered that the woman did it because she felt it would bring her luck. Harley’s question was a risky detour from a routine chat about finances, but it opened the door to a conversation about luck and faith, which gave her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why she relied on Jesus. That “wasted” hour turned out to be a divine appointment.

Jesus also took a risky detour. While traveling from Judea to Galilee, He went out of His way to speak to a Samaritan, something unthinkable for a Jew. Worse, she was an adulterous woman avoided even by other Samaritans. Yet He ended up having a con- versation that led to the salvation of many (JOHN 4:1–26, 39–42).

Are you meeting someone you don’t really want to see? Do you keep bumping into a neighbor you normally avoid? The Bible reminds us to be always ready—“in season and out of season”—to share the good news (2 TIMOTHY 4:2). Consider taking a “risky detour.” Who knows, God may be giving you a divine opportunity to talk to someone about Him today! - LESLIE KOH

Today's Reading

2 TIMOTHY 4:1–5
Preach the word; be prepared in season and out of season. [ 2 TIMOTHY 4:2 ]

Jesus, teach me to see the doors You’ve opened for me to share Your love, and give me the courage to tell others about You.

Whom might you meet today? How might there be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Jesus? How can you go out of your way to share the good news in a bold but loving, sensitive way?

오늘의 말씀

09/21/2020     월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7-9; 고린도후서 13
찬송가: 414(통475)

문제를 평안으로

집에 거의 도착했을 때 차의 온도계 바늘이 치솟고 있었습니다. 차를 세우자마자 우리는 엔진을 끄고 차에서 뛰쳐나왔습니다. 후드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왔고, 엔진이 베이컨처럼 지글거렸습니다. 차를 몇 피트 후진하자 바닥에 기름이 번져 있었습니다. 나는 바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았습니다. 엔진헤드 개스킷이 터진 것이었습니다.

나는 불평했습니다. 큰돈을 들여 차의 다른 곳을 수리한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몹시 투덜거렸습니다. ‘왜 제대로 작동이 안 되는 거지? 왜 계속 망가지는 거야?’ 공감이 가십니까? 때때로 우리는 한 위기를 넘기고, 한 문제를 해결하고, 큰 금액의 청구서를 지불하고 나서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곤 합니다. 갑작스러운 병이나 때 이른 죽음, 끔찍한 상실 등, 어떤 때는 엔진 고장보다 훨씬 큰 문제들을 겪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덜 고통스럽고 덜 어려운 세상을 갈망합니다. 예수님은 그런 세상이 올 거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나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요한복음 16장에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33절). 예수님은 그 장에서 믿음 때문에 받는 박해 같은 커다란 어려움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가르쳐주셨듯이 그런 어려움조차도 주님 안에서 소망을 지닌 사람들을 결코 어떻게 하지 못합니다.

크고 작은 문제가 매일 우리를 괴롭힐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과 함께 하는 더 나은 내일에 대한 예수님의 약속은 우리의 문제가 오늘 우리의 삶을 규정하지 않도록 용기를 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6:25-33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 [요한복음 16:33]

하나님 아버지, 문제가 결코 멀리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가까이 있더라도 하나님은 더 가까이 계십니다. 오늘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 어려움을 맡긴다는 것이 어떤 것일까요? 하루 내내 당신의 염려를 주님께 맡기라는 신호로 무엇을 사용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9/21/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7–9; 2 CORINTHIANS 13
Hymn: 414(Old475)

MAKING PEACE WITH TROUBLE

We were almost home when I noticed it: the needle of our car’s temperature gauge was rocketing up. As we pulled in, I killed the engine and hopped out. Smoke wafted from the hood. The engine sizzled like bacon. I backed the car up a few feet and found a puddle beneath: oil. Instantly, I knew what had happened: The head gasket had blown.

I groaned. We’d just sunk money into other expensive repairs. Why can’t things just work? I grumbled bitterly. Why can’t things just stop breaking?

Can you relate? Sometimes we avert one crisis, solve one problem, pay off one big bill, only to face another. Sometimes those troubles are much bigger than an engine self-destructing: an unexpected diagnosis, an untimely death, a terrible loss. In those moments, we yearn for a world less broken, less full of trouble. That world, Jesus promised, is coming. But not yet: “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He reminded His disciples in John 16. “But take heart! I have overcome the world” (V. 33). Jesus spoke in that chapter about grave troubles, such as persecution for your faith. But such trouble, He taught, would never have the last word for those who hope in Him.

Troubles small and large may dog our days. But Jesus’ promise of a better tomorrow with Him encourages us not to let our troubles define our lives today. - ADAM R. HOLZ

Today's Reading

JOHN 16:25–33
In this world you will have trouble. But take heart! I have overcome the world. [ JOHN 16:33 ]

Father, troubles never seem far away. But when they’re close, You’re even closer. Please help me to cling to You in trust today.

What does it look like for you to surrender your troubles to God? What might you use as a prompt to remind yourself to offer up your anxieties to Him throughout the day?

오늘의 말씀

09/20/2020     주일

성경읽기: 전도서 4-6; 고린도후서 12
찬송가: 465(통523)

소문을 멈추게 하라

찰스 시므온(1759–1836)은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성삼위일체 교회의 담임목사로 임명된 후, 여러 해 동안 반대파에 시달렸습니다. 대부분 시므온보다는 부목사가 담임목사로 임명되기를 바랐던 성도들은 그에 관한 나쁜 소문을 퍼뜨리고 그의 사역을 거부했으며, 심지어 때로는 그를 내쫓고 교회 문을 잠그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성령 충만하기를 바라던 시므온은 소문에 대처하기 위해 몇 가지 지켜야 할 원칙을 정했습니다. 한 가지는 전적으로 사실이 아니면 소문을 믿지 않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다른 편의 말을 들으면 그 문제에 대해 매우 다른 설명이 있을 것이라고 항상 믿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실행하면서 시므온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에게 서로의 사랑을 훼손할 소문과 악한 대화를 멈추라고 하신 하나님의 명령을 따랐습니다. 하나님의 십계명 중 하나는 성도들이 참되게 살기를 바라는 하나님의 소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라”(출애굽기 20:16). 출애굽기의 또 다른 가르침은 이 계명을 보강하여 이렇게 말합니다. “거짓된 풍설을 퍼뜨리지 말라”(23:1).

우리 각자가 소문과 허위 보고를 절대 퍼뜨리지 않고, 또 그것들을 듣는 순간 멈춰버릴 때 세상이 얼마나 달라질지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가 우리의 말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여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할 수 있도록 성령에 의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23:1-3
거짓된 풍설을 퍼뜨리지 말며 [출애굽기 23:1]

예수님, 사랑 안에서 주님의 진리를 말하도록 도와주소서. 평화와 은혜와 용기를 주는 말을 하게 하소서.

반대에 부딪혔을 때 무엇이 당신을 도와주었습니까? 당신은 소문을 들을 때 어떻게 반응합니까?

Daily Article

09/20/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4–6; 2 CORINTHIANS 12
Hymn: 465(Old523)

STOPPING RUMORS

After Charles Simeon (1759–1836) was named the minister of Holy Trinity Church in Cambridge, England, he faced years of opposition. As most in the congregation had wanted the associate minister to be appointed rather than Simeon, they spread rumors about him and rejected his ministry—even at times locking him out of the church. But Simeon, who desired to be filled by God’s Spirit, sought to cope with the gossip by creating some principles to live by. One was never to believe rumors unless they were absolutely true and another was “always to believe, that if the other side were heard, a very different account would be given of the matter.”

In this practice, Simeon followed God’s instructions to His people to cease the gossip and malicious talk He knew would erode their love for each other. One of God’s Ten Commandments reflects His desire for them to live truthfully: “You shall not give false testimony against your neighbor” (EXODUS 20:16). Another instruction in Exodus reinforces this commandment: “Do not spread false reports” (23:1).

Think of how different the world would be if each of us never spread rumors and false reports and if we stopped them the moment we heard them. May we rely on the Holy Spirit to help us speak the truth in love as we use our words to bring glory to God.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 XO D US 23:1–3
Do not spread false reports. [ EXODUS 23:1 ]

Jesus, help me to speak Your truth in love. Give me words that bring peace, grace, and encouragement.

What has helped you when you’ve faced opposition? How do you react when you hear gossip?

오늘의 말씀

09/19/2020     토요일

성경읽기: 전도서 1-3; 고린도후서 11:16-33
찬송가: 288(통204)

초점을 맞추라

작가 마크 트웨인은 우리가 인생에서 무엇을 어떻게 바라보는지가 우리의 다음 단계, 심지어 우리의 운명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트웨인이 말한 것처럼, “우리의 상상력이 초점을 벗어난다면 우리 눈을 의지할 수 없습니다.”

베드로도 요한과 함께 ‘미문’이라고 불리는 붐비는 성전 문을 지나가면서 못 걷게 된 거지를 마주치고 보는 것에 대해 말했습니다(사도행전 3:2). 거지가 돈을 요구하자, 베드로와 요한이 그를 똑바로 바라보며 “우리를 보라”(4절) 고 하였습니다.

베드로가 왜 그렇게 말했을까요? 그리스도의 대사로서 베드로는 거지가 자신의 한계를 그만 보기를 원했을 것입니다. 심지어 돈이 필요한 것을 바라보는 것도 그만 두기를 원했을 것입니다. 거지가 사도들을 바라보았을 때, 그는 하나님을 믿는 것의 실제가 어떤 것인지 보았을 것입니다.

베드로가 그에게 말했습니다.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이것을 네게 주노니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6절). 그리고 베드로가 “오른손을 잡아 일으키니 발과 발목이 곧 힘을 얻고 뛰어 서서 걸으며 그들과 함께 성전으로 들어가면서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며” 하나님을 찬송하였습니다(7-8절).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까? 그 사람이 하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16절). 전도자 찰스 스펄전이 강조했듯이 “당신의 눈을 단순히 하나님께만 두십시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장애물을 보지 않고, 우리의 길을 깨끗하게 하시는 하나님을 보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3:2-8, 16
그[예수의] 이름을 믿으므로 그 이름이 너희가 보고 아는 이 사람을 성하게 하였나니 [사도행전 3:16]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눈이 아버지에게서 벗어날 때, 제 시선이 아버지의 무한한 능력에 초점을 맞추게 해주소서.

당신은 하나님 대신 무엇에 집중하고 있습니까? 믿음에 다시 집중할 때, 하나님 안에서 당신의 삶을 위한 어떤 것을 볼 수 있습니까?

Daily Article

09/19/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CCLESIASTES 1–3; 2 CORINTHIANS 11:16–33
Hymn: 288(Old204)

IN FOCUS

Author Mark Twain suggested that whatever we look at in life— and how we see it—can influence our next steps, even our destiny. As Twain said, “You can’t depend on your eyes when your imagination is out of focus.”

Peter too spoke of vision when he replied to a lame beggar, a man whom he and John encountered at the busy temple gate called Beautiful (ACTS 3:2). As the man asked them for money, Peter and John looked directly at the man. “Then Peter said, ‘Look at us!’ ” (V. 4).

Why did he say that? As Christ’s ambassador, Peter likely wanted the beggar to stop looking at his own limitations—yes, even to stop looking at his need for money. As he looked at the apostles, he would see the reality of having faith in God.

As Peter told him, “Silver or gold I do not have, but what I do have I give you.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walk” (V. 6). Then Peter “helped him up, and instantly the man’s feet and ankles became strong. He jumped to his feet and began to walk” and give praise (VV. 7–8).

What happened? The man had faith in God (V. 16). As evangelist Charles Spurgeon urged, “Keep your eye simply on Him.” When we do, we don’t see obstacles. We see God, the One who makes our way clear.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AC T S 3:2–8, 16
By faith in the name of Jesus, this man whom you see and know was made strong. [ ACTS 3:16 ]

Heavenly Father, when my eyes wander from You, focus my gaze on Your unlimited power.

What are you focused on instead of God? With refocused faith, what could you see in Him for your life?

오늘의 말씀

09/18/2020     금요일

성경읽기: 잠언 30-31; 고린도후서 11:1-15
찬송가: 221(통525)

엘리베이터 고치기

사라는 관절이 탈구되는 희귀병에 걸려 전기 휠체어에 의지해 돌아다닙니다. 사라는 얼마 전 회의에 참석하려고 휠체어를 타고 기차역에 갔으나 엘리베이터가 또 고장나 있었습니다. 승강장까지 갈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 40분 정도 떨어진 다른 역까지 택시를 타라고 누가 일러주었습니다. 택시를 불렀지만 끝내 오지 않았습니다. 결국 사라는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불행히도 이런 일은 사라에게 자주 일어납니다. 엘리베이터가 고장이 나서 기차를 타지 못하거나, 승강판을 내려주지 않아 열차에서 내리지 못하기도 합니다. 때때로 철도 직원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라를 귀찮은 존재로 취급합니다. 그래서 종종 눈물이 날 지경입니다.

인간관계를 가르치는 많은 성경 계명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입니다(레위기 19:18; 로마서 13:8-10). 이런 사랑은 우리가 거짓말하거나, 도둑질하거나, 남을 학대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레위기 19:11, 14) 우리가 일하는 방식도 바꿔줍니다. 직원들은 공평하게 대우받아야 하며(13절), 우리는 모두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대해야 합니다(9-10절). 사라의 경우처럼 엘리베이터를 고치거나 승강판을 내려주는 사람들은 하찮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중요한 섬김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자신의 직업을 단지 돈을 벌거나 다른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만 여긴다면, 우리는 곧 다른 사람들을 귀찮은 대상으로 취급할 것입니다. 그러나 직업을 누군가 사랑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긴다면, 가장 일상적인 일도 거룩한 사업이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9-18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레위기 19:18]

하나님 아버지, 직업이 주님에게는 결코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우리가 주님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들을 섬길 수 있는 기회입니다. 오늘 제 일을 다른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기회로 삼도록 도와주소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우리가 왜 귀찮게 여긴다고 생각합니까? 오늘 우리의 일을 어떻게 사랑을 실천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8/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30–31; 2 CORINTHIANS 11:1–15
Hymn: 221(Old525)

FIXING ELEVATORS

Sarah has a rare condition that causes her joints to dislocate, making her reliant on an electric wheelchair to get around. On her way to a meeting recently, Sarah rode her wheel- chair to the train station but found the elevator broken. Again. With no way of getting to the platform, she was told to take a taxi to another station forty minutes away. The taxi was called but never arrived. Sarah gave up and went home.

Unfortunately, this is a regular occurrence for Sarah. Broken elevators stop her from boarding trains, forgotten ramps leave her unable to get off them. Sometimes Sarah is treated as a nuisance by railway staff for needing assistance. She’s often close to tears.

Out of the many biblical laws governing human relationships,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s key (LEVITICUS 19:18; ROMANS 13:8–10). And while this love stops us from lying, stealing, and abusing others (LEVITICUS 19:11, 14), it also changes how we work. Employees must be treated fairly (V. 13), and we should all be generous to the poor (VV. 9–10). In Sarah’s case, those who fix elevators and drag out ramps aren’t doing inconsequential tasks but offering important service to others.

If we treat work as just a means to a wage or other personal benefit, we will soon treat others as annoyances. But if we treat our jobs as opportunities to love, then the most everyday task becomes a holy enterpris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L E V ITICUS 19:9–18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 am the Lord. [ LEVITICUS 19:18 ]

Father, a job is never just a job to You but an opportunity to love You and serve others. Help me to see my work as an opportunity to benefit others today.

Why do you think we can become annoyed at someone needing extra assistance? How can you turn your job into a channel of love today?

오늘의 말씀

09/17/2020     목요일

성경읽기: 잠언 27-29; 고린도후서 10
찬송가: 187(통171)

속지 말라

꽃 매미는 겉 날개에 반점이 있으며, 날 때 속 날개의 선홍색의 얼룩무늬가 번쩍이는 예쁜 곤충입니다. 하지만 이 아름다움은 속임수입니다. 2014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 곤충은 북아메리카의 환경과 경제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높은 해충입니다. 꽃매미는 “목본 식물의 내부를 갉아먹는데” 체리와 다른 과일나무의 내부를 갉아먹고 곰팡이가 쉽게 자라게 하는 끈적한 물질을 남겨서 나무를 완전히 죽이거나 열매를 맺지 못하게 합니다.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다른 종류의 위협적인 존재를 알게 됩니다. 사탄인 뱀은 “하나님처럼 되려면” 하나님 명을 거역하고 선악과를 먹어야 한다고 아담과 하와를 속였습니다(창세기 3:1–7). 그런데 왜 뱀의 말을 들었을까요? 말로만 하와를 유혹하였을까요, 아니면 뱀에게 어떤 매력이 있었을까요? 성경은 사탄이 아름답게 창조되었다고 암시합니다(에스겔 28:12). 그런데 사탄도 그가 하와를 유인했던 것과 같은 유혹, 곧 “내가 [하나님과] 같아지리라”(이사야 14:14; 에스겔 28:9)는 유혹에 넘어졌습니다.

사탄이 가진 아름다움은 속이는데 사용됩니다(창세기 3:1; 요한복음 8:44; 고린도후서 11:14). 사탄은 자신이 넘어진 것처럼 끊임없이 사람을 끌어내리거나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훨씬 강한 분이 계십니다! 우리는 우리의 아름다운 구주이신 예수님께 달려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1-7
[마귀는] 거짓말쟁이요 거짓의 아비가 되었음이라 [요한복음 8:44 ]

사랑하는 하나님, 복음의 진리로 제가 보고 듣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십자가로 악을 이기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개인이나 단체가 말하는 그럴듯한 생각에 속았던 적이 있습니까? 무엇이 속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도와주었습니까?

Daily Article

09/17/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7–29; 2 CORINTHIANS 10
Hymn: 187(Old171)

DON’T BE DECEIVED

The spotted lanternfly is a pretty insect with speckled outer wings and a splotch of bright red on its inner wings that flashes when it flies. But its beauty is a bit deceptive. This insect, first seen in the US in 2014, is considered invasive to North America, which means it has the potential to harm the environment and economy. The lanternfly will “eat the innards of practically any woody plant,” which includes cherry and other fruit trees, and leaves a sticky goo that leads to mold—killing trees outright or leaving them with little energy to grow fruit.

In the story of Adam and Eve, we learn of a different kind of menace. The serpent, Satan, deceived the couple into disobeying God and eating the forbidden fruit so they would “be like God” (GENESIS 3:1–7). But why listen to a serpent? Did his words alone entice Eve, or was there also something attractive about him? Scripture hints at Satan being created beautiful (EZEKIEL 28:12). Yet Satan fell by the same temptation he used to entice Eve: “I will make myself like [God]” (ISAIAH 14:14; EZEKIEL 28:9).

Any beauty Satan now has is used to deceive (GENESIS 3:1; JOHN 8:44; 2 CORINTHIANS 11:14). Just as he fell, he seeks to pull others down—or keep them from growing. But we have someone far more powerful on our side! We can run to Jesus, our beautiful Savior. ALYSON KIEDA

Today's Reading

GENESIS 3:1–7
[The devil]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 JOHN 8:44 ]

Dear God, help me to weigh what I see and hear by the truths of the gospel. Thank You for triumphing over evil through the cross.

When have you been deceived by a person or group’s seemingly attractive idea? What helps you to recognize deception?

오늘의 말씀

09/16/2020     수요일

성경읽기: 잠언 25-26; 고린도후서 9
찬송가: 50(통71)

가진 모든 것을 주라

‘스케일링’이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체력 훈련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팔굽혀펴기를 연속해서 열 번 할 수 있을지 몰라도 나는 네 번밖에 못합니다. 그러면 강사는 나의 체력에 맞춰 팔굽혀펴기 횟수를 ‘줄이자고’ 할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같은 수준은 아니지만 같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강사는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온 힘을 다해 팔굽혀펴기를 네 번 하되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마세요. 지금은 그 정도로 하되 꾸준히 최선을 다 한다면 언젠가는 일곱 번, 혹은 어느 날 열 번도 할 수 있는 자신에 놀랄 겁니다.”

바울 사도는 베풂에 대해 말하며, “하나님은 즐겨내는 자를 사랑하신다” (고린도후서 9:7)고 분명히 말합니다. 바울 사도가 고린도 신자들과 우리에게 권면하는 것은 일종의 스케일링입니다.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7절). 우리는 각자 베푸는 정도가 다르며, 때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그 정도도 바뀌는 것을 봅니다. 비교는 유익하지 않지만 베푸는 자세는 유익합니다. 당신이 할 수 있을 만큼 아낌없이 베푸십시오(6절). 우리 하나님은 그렇게 기쁘게 내는 것을 훈련하여 실천하면 모든 면에서 “하나님께 감사”(11절)하는 복된 삶으로 가득 채워질 거라고 약속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9:6-11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고린도후서 9:7]

자비하신 하나님, 저는 온 힘을 다해 기쁘게 주는 자가 되고 싶습니다. 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압니다. 비교하지 않는 지혜와, 아낌없이 나눌 힘과, 결과를 주님께 맡기는 믿음을 제게 주소서.

당신은 베풀 때 어떻게 합니까? 기쁘게 합니까, 마지못해 합니까? 아니면 강요 당해서 합니까?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고 기쁘게 베푸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요?

Daily Article

09/16/2020     We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25–26; 2 CORINTHIANS 9
Hymn: 50(Old71)

GIVE IT ALL YOU’VE GOT

Scaling. It’s a term used in the world of fitness that allows room for anyone to participate. If the specific exercise is a push-up, for example, then maybe you can do ten in a row, but I can only do four. The instructor’s encouragement to me would be to scale back the push-ups according to my fitness level at the time. We’re not all at the same level, but we can all move in the same direction. In other words, she would say, “Do your four push-ups with all the strength you have. Don’t compare yourself with anyone else. Scale the movement for now, keep doing what you can do, and you may be amazed in time you’re doing seven, and even one day, ten.”

When it comes to giving, the apostle Paul was clear: “God loves a cheerful giver” (2 CORINTHIANS 9:7). But his encouragement to the believers in Corinth, and to us, is a variation of scaling. “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V. 7). We each find ourselves at different giving levels, and sometimes those lev- els change over time. Comparison is not beneficial, but attitude is. Based on where you are, give generously (V. 6). Our God has prom- ised that the disciplined practice of such cheerful giving brings enrichment in every way with a blessed life that results in “thanks- giving to God” (V. 11). JOHN BLAS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9:6–11
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to give. [ 2 CORINTHIANS 9:7 ]

Generous God, I want to be a cheerful giver, to give it my best effort. I know that discipline in this area is crucial. Give me the wisdom not to compare, the strength to sow generously, and the faith to leave the results in Your hands.

How would you describe your giving: Cheerful? Reluctant? Under compulsion? Not comparing yourself to anyone else, what might cheerful giving look lik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