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15/2020 목요일
전도할 것인가 밭을 갈 것인가?
두 형제는 그들이 본 것이 각각 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다고 여겼습니다. 한 사람은 그것이 “가서 전도하라(Go preach)”는 의미로 생각했고, 다른 하나는 “가서 밭을 갈아라(Go plow)”는 뜻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훗날 형제 중 한 사람인 빌리 그레이엄은 복음을 전파하는 일에 헌신해 복음 전도의 상징이 되었고, 그의 동생 멜빈은 그 후로 오랫동안 가족의 낙농장을 착실하게 운영했습니다.
하늘에 쓰여진 글씨가 아니라도, 이 경우처럼 하나님께서 빌리는 전도를 하고 멜빈은 밭을 가는 사람으로 부르셨다면, 이 두 사람 모두 그들의 소명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 것입니다. 빌리는 복음 전도자로서 오랜 경륜을 쌓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밭을 갈라는 부르심에 응답한 동생의 순종이 형의 성공에 비해 결코 덜 중요했던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전임목회자라 부르는 일을 맡기시지만 (에베소서 4:11-12), 다른 직업이나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들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느 역할이든지 바울이 말한 것처럼 “각 지체가 그 맡은 분량대로 [활동해야 합니다]”(16절, 새번역). 그것은 예수님이 주신 은사를 충실하게 사용해 주님을 높여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하면 전도하는 것이든 밭을 가는 것이든 우리가 섬기거나 일하는 곳마다 예수님을 위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4-16[그리스도]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받음으 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
[에베소서 4:16]
우리의 일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기 위해 우리의 은사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다른 사람들도 예수님을 섬기는 일에 그들의 소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어떻게 격려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하나님께서 저를 두신 바로 그곳에서 쓰임받게 도와주소서. 나의 말과 행동과 일하는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깊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5/2020 Thursday
PREACH OR PLOW?
Both brothers decided that what they saw had meaning for them. One thought it meant “Go preach.” The other read it as “Go plow.” Later, one of the boys, Billy Graham, dedicated himself to preaching the gospel, becoming an icon of evangelism. His brother Melvin went on to faithfully run the family dairy farm for many years.
Skywriting signs aside, if God did call Billy to preach and Melvin to plow, as seems to be the case, they both honored God through their vocations. While Billy had a long preaching career, his success doesn’t mean that his brother’s obedience to his calling to plow was any less important.
While God does assign some to be in what we call full-time ministry (EPHESIANS 4:11–12), that doesn’t mean those in other jobs and roles aren’t doing something just as important. In either case,
as Paul said, “each part [should do] its work” (V. 16). That means honoring Jesus by faithfully using the gifts He’s given us. When we do, whether we “go preach” or “go plow,” we can make a difference for Jesus wherever we serve or work. - DAVE BRANON
Today's Reading
EPHESIANS 4:4–16From [Christ] the whole body, joined and held together by every supporting ligament, grows and builds itself up in love, as each part does its work.
[ EPHESIANS 4:16 ]
How can you use your gifts to honor God in your vocation? How can you encourage others you know so they too can use their calling as a way to serve Jesus?
Help me, God, to be used right where You put me. Help me to see that my words, actions, and work ethic can profoundly affect others.
오늘의 말씀
10/14/2020 수요일
함께 번성하기
그날 밤 남편에게 얼음주머니를 주면서 “괜찮아요?”라고 물었습니다. 그는 어깨를 문지르며 “그때 친구들이 펜스가 가까이 있다고 말해주었더라면 더 좋았을텐데.”라고 말했습니다.
팀은 함께 움직일 때 가장 잘 작동됩니다. 동료 선수 중 한 명이라도 그가 펜스쪽으로 다가갈 때 소리쳐 알려주었다면 앨런은 부상을 피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성경을 통해 교회 교인들은 함께 일하면서 한 팀이 되어 서로를 보살피도록 계획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한 사람의 행동이 전체 교회 공동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서로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해 하나님께서 중요히 여기신다고 말합니다(골로새서 3:13-14). 우리 모두가 서로를 섬길 기회를 기쁘게 받아들이고 화합과 평화에 전적으로 헌신할 때 교회는 번성하게 됩니다(15절).
바울은 그의 편지를 읽는 신자들에게 “그리스도의 말씀이 너희 속에 풍성히 거하여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라”(16절)고 가르칩니다. 이렇게 우리는 사랑하는 솔직한 관계를 맺으며 서로를 격려하고 지켜주면서,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순종하고 찬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함께 번성하는 길입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5-16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 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골로새서 3:15]
이번 주에 어떻게 성도들과 성경말씀을 함께 나누며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을 이루어 연합과 사랑을 독려할 수 있을까요? “그리스도의 말씀이 너희 속에 풍성히 거한다”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하나님 아버지, 성경으로 저를 가르치시고, 성령으로 저를 인도하시며, 주님의 백성들로 제가 변함없이 책임을 감당케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14/2020 Wednesday
THRIVING TOGETHER
Later that night, I handed him an ice pack. “Are you feeling okay?” I asked. He rubbed his shoulder. “I’d feel better if my buddies had warned me that I was getting near the fence,” he said.
Teams function best when they work together. Alan’s injury could have been avoided, if only one of his teammates had yelled out a warning as he approached the fence.
Scripture reminds us that members of the church are designed to work together and watch out for each other like a team.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God cares about how we interact with each other, because the actions of one person can impact the whole community of believers (COLOSSIANS 3:13–14). When we all embrace opportunities to serve each other, fully devoted to unity and peace, the church flourishes (V. 15).
Paul instructed his readers to “let the message of Christ dwell among you richly as you teach and admonish one another with all wisdom through psalms, hymns, and songs from the Spirit” (V. 16). In this way we can inspire and protect one another through loving and honest relationships, obeying and praising God with grateful hearts—thriving together.-XOCHITL DIXON
Today's Reading
COLOSSIANS 3:5–16Le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since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
[ COLOSSIANS 3:15 ]
How can you share Scripture this week with others to encourage unity and love in the body of Christ?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have “the message of Christ [dwelling] among you richly”?
Father God, thank You for using Scripture to instruct me, Your Spirit to guide me, and Your people to keep me focused and accountable.
오늘의 말씀
10/13/2020 화요일
우리를 붙들어주시는 하나님
블롬의 말은 이스라엘이 무서운 적의 압제에 시달릴 때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신 것과 비슷합니다. 하나님은 이렇게 약속하셨습니다. “내가 너를 굳세게 하리라 참으로 너를 도와주리라 참으로 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이사야 41:10). 상황이 절망적이고 구조될 가능성이 아무리 없어 보여도 하나님은 그의 백성을 사랑의 보살핌으로 붙들어 주신다고 확신시켜 주셨습니다. 그리고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놀라지 말라 나는 네 하나님이 됨이라”(10절)라고 강조하셨습니다.
우리에게 몇 년의 시간이 주어졌든 인생의 어려움은 언제나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문제 있는 결혼 생활, 가족을 저버리는 아이, 의사에게 듣게 되는 끔찍한 소식, 심지어 박해까지.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에게 다가와 우리를 굳게 붙잡아주십니다. 그분은 우리를 모으시고 강하고 부드러운 손으로 붙잡아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1:1-10참으로 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
[이사야 41:10]
혼자라는 생각이나 위험에 처했다는 생각이 든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강한 손이 당신의 삶을 붙잡고 계시다는 걸 알고나니 어떻게 격려가 됩니까?
하나님, 한 가닥 줄에 매달린 것같은 저를 하나님이 붙들고 계시다는 것을 믿게 해주소서. 저를 도우시고 세워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합니다.
Daily Article
10/13/2020 Tuesday
GOD HOLDS US
Blom echoes words similar to what God spoke to Israel, as the nation wilted under the oppression of fierce enemies. “I will strengthen you and help you,” God promised. “I will uphold you with my righteous right hand” (ISAIAH 41:10). No matter how desperate their situation, how impossible the odds that they would ever find relief, God assured His people that they were held in His tender care. “Do not fear, for I am with you,” He insisted. “Do not be dismayed, for I am your God” (V. 10).
No matter how many years we’re given, life’s hardships will come knocking at our door. A troubled marriage. A child abandoning the family. Terrifying news from the doctor. Even persecution. However, our God reaches out to us and holds us firmly. He gathers us and holds us in His strong, tender hand.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41:1–10I will uphold you with my righteous right hand.
[ ISAIAH 41:10 ]
When have you felt isolated or exposed?
How does it encourage you to know that your life is being held in God’s strong hand?
God, assure me that You’re holding me because I feel like I’m only hanging on by a thread. I trust that You’ll help and uphold me.
오늘의 말씀
10/12/2020 월요일
이방인을 사랑하라
나중에 내가 경험했던 이런 관습과는 달리,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에게 어떻게 이방인을 환대해야 하는지 가르치신 것을 묵상해보았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번창하도록 율법의 토대를 세우시면서, 그들 자신도 전에 이방인이었기에 그들 또한 이방인들을 환대해야 한다고 일깨워주셨습니다 (레위기 19:34). 그들은 이방인들에게 친절하게 대해야 할 뿐 아니라 “[자신들] 같이 사랑해야”(34절) 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애굽의 압제로부터 구하셨고,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거하게 하셨습니다(출애굽기 3:17).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이 그 땅에 함께 거주하게 된 이방인들을 사랑하기를 원하셨습니다.
우리 가운데 이방인을 만나게 될 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관습들이 무엇인지 보여달라고 먼저 간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33-37거류민을......자기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거류민이 되었었느니라
[레위기 19:34]
우리 집과 교회로 사람들을 초대하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그럴 때에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고 가장 보람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은 저를 매일매일 사랑하셔서 두 팔 벌려 저를 맞아주십니다. 이런 아버지의 사랑을 다른 이들과 나누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2/2020 Monday
LOVING THE STRANGER
Later, I reflected on how God instructed the Israelites to welcome foreigners, in contrast to cultural practices such as I encountered. In setting out the laws that would allow His people to flourish, He reminded them to welcome foreigners because they themselves were once foreigners (LEVITICUS 19:34). Not only were they to treat strangers with kindness (V. 33), but they were also to “love them as [themselves]” (V. 34). God had rescued them from oppression in Egypt, giving them a home in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EXODUS 3:17). He expected His people to love others who also made their home there.
As you encounter strangers in your midst, ask God to reveal any cultural practices that might keep you from sharing His love with them.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LEVITICUS 19:33–37Love them as yourself, for you were foreigners in Egypt.
[ LEVITICUS 19:34 ]
Why is it so important that we welcome people into our homes and churches?
What do you find most challenging and most rewarding in this?
Father God, You welcome me with open arms, for You love me day after day. Give me Your love to share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10/11/2020 주일
지혜를 찾습니다
케네스는 자기가 가고 싶은 곳을 찾아갈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하긴 했지만, 두 살배기 아이들에게서 또 하나의 중요 덕목인 지혜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그리고 어른들도 지혜롭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아버지 다윗 왕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은 솔로몬(열왕기상 2장)은 자신이 어린아이와 같다고 고백했습니다. 하나님은 꿈에서 그에게 나타나 “내가 네게 무엇을 줄꼬 너는 구하라”(3:5) 하시자, 그는 “종은 작은 아이라 출입할 줄을 알지 못하고...... 듣는 마음을 종에게 주사 주의 백성을 재판하여 선악을 분별하게 하옵소서” (7-9절)라고 합니다. 하나님은 솔로몬에게 “넓은 마음을 주시되 바닷가의 모래 같이” 하셨습니다(4:29).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를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솔로몬은 지혜의 근본을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잠언 9:10). 그러므로 우리도 하나님께 그분에 대해 가르쳐주시고 우리의 지각을 넘어서는 지혜를 달라고 간구를 시작하면 됩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상 3:5-12듣는 마음을 종에게 주사......선악을 분별하게 하옵소서
[열왕기상 3:9]
하나님의 지혜가 어느 곳에 필요합니까?
어떻게 잘 배우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하나님, 저는 항상 지혜가 부족합니다. 아버지의 길을 따르기를 원하오니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10/11/2020 Sunday
MISSING: WISDOM
Kenneth was actually rather smart to get where he wanted to go, but two-year-olds are missing another key quality: wisdom. And as adults we sometimes lack it too. Solomon, who’d been appointed king by his father David (1 KINGS 2), admitted he felt like a child. God appeared to him in a dream and said, “Ask for whatever you want me to give you” (3:5). He replied, “I am only a little child and do not know how to carry out my duties. . . . So give your servant a discerning heart to govern your people and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VV. 7–9). God gave Solomon “a breadth of understanding as measureless as the sand on the seashore” (4:29).
Where can we get the wisdom we need? Solomon said the beginning of wisdom is a “fear” or awe of God (PROVERBS 9:10). So we can start by asking Him to teach us about Himself and to give us wisdom beyond our own. - ANNE CETAS
Today's Reading
1 KINGS 3:5–12Give your servant a discerning heart . . .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 1 KINGS 3:9 ]
In what areas do you need God’s wisdom?
What might give you a teachable heart?
I’m always in need of wisdom, God. I want to follow Your ways. Please show me which way to go.
오늘의 말씀
10/10/2020 토요일
인생의 용과 싸우기
그러나 그런 싸움에서 우리에게는 승리자가 있습니다. 동화 속의 승리자가 아닌, 우리를 대신해서 싸우고 우리를 파멸시키려 하는 용들을 물리친 최후의 승리자입니다. 그것이 실패라는 용이든 우리를 파멸시키려는 영적 원수의 용이든, 바울이 예수님에 관해 기록한 것처럼 우리의 승리자가 그것들보다 더 위대하십니다. “통치자들과 권세들을 무력화하여 드러내어 구경거리로 삼으시고 십자가로 그들을 이기셨느니라”(골로새서 2:15). 이 망가진 세상의 파괴적인 힘들은 우리 주님과 상대가 안됩니다!
삶의 용들이 내가 감당하기에 너무 크다고 깨닫는 순간이 바로 우리가 그리스도의 구원 안에서 안식하기를 시작할 수 있는 순간입니다. 우리는 자신 있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승리를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니”(고린도전서 15:57)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2:9-15통치자들과 권세들을 무력화하여 드러내어 구경거리로 삼으시고 십자가로 그들을 이기셨느니라
[골로새서 2:15]
삶에서 어떤 “용”들과 마주하고 있습니까? 그것들을 대할 때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이루신 승리가 어떤 격려가 됩니까?
하나님 아버지, 오늘 제가 직면할 어떤 위험들보다도 더 크시니 감사합니다.
아버지와 동행하는 지혜와 능력 주셔서 하나님께서 제게 필요한 은혜 주심을 믿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10/2020 Saturday
FIGHTING LIFE’S DRAGONS
But in those battles, we have a Champion. Not a fairy tale champion—the ultimate Champion who has fought on our behalf and conquered the dragons that seek to destroy us. Whether they’re dragons of our own failures or the spiritual enemy who desires our destruction, our Champion is greater, allowing Paul to write of Jesus, “Having disarmed the powers and authorities, he made a public spectacle of them, triumphing over them by the cross” (COLOSSIANS 2:15). The destructive forces of this broken world are no match for Him!
The moment we realize that the dragons of life are too big for us is the moment we can begin to rest in Christ’s rescue. We can confidently say, “But thanks be to God! He gives us the victory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1 CORINTHIANS 15:57).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COLOSSIANS 2:9–15Having disarmed the powers and authorities, he made a public spectacle of them, triumphing over them by the cross.
[ COLOSSIANS 2:15 ]
What “dragons” are you facing in life? How can Christ’s victory on the cross provide encouragement as you deal with them?
Father, thank You for being more than enough for the threats I will face today.
Give me the wisdom and strength to walk with You, trusting You for the grace I need.
오늘의 말씀
10/09/2020 금요일
중대한 반응
한 친구는 “잊어버려.”라고 충고했습니다. 나는 책 쓰기 전문 잡지에서 이에 관한 조언들을 찾아 알려주었습니다. 그중엔 그런 비평을 잊는 방법이나, 그저 계속 책을 쓰면서 비평에서 배울 점은 배우라는 것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나는 무엇보다 최고의 조언이 담겨있는 성경에서 심한 비판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라고 하는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야고보서는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라”(1:19)라고 권면하고 있고, 바울 사도는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로마서 12:16) 살라고 조언합니다.
그런데 잠언은 한 개의 장 전부를 할애해서 분쟁에 대처하는 폭넓은 지혜를 제시합니다. 잠언 15장 1절은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하여도” 라고 말하고 있고,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시비를 그치게 하느니라”(18절), 그리고 “견책을 달게 받는 자는 지식을 얻느니라”(32절)라고 말합니다. 그런 교훈을 생각하며, 내 친구처럼 하나님께서 우리의 입술을 제어해 주시기를 소원합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지혜는 우리에게 “겸손은 존귀의 길잡이” 이기 때문에 “여호와를 경외”하라고 가르쳐줍니다(33절).
오늘의 성구
잠언 15:1-2, 31-33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시비를 그치게 하느니라
[잠언 15:18]
당신은 비판을 받을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합니까?
분쟁이 있을 때 겸손히 입술을 제어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비판이 날아들고 분쟁으로 상처받을 때
겸손히 주님을 높이도록 제 입술을 주장해 주소서.
Daily Article
10/09/2020 Friday
A CRITICAL REACTION
One friend advised, “Let it go.” I shared advice from writing magazines, including tips to ignore such criticism or learn from it even while continuing to work and write.
Finally, however, I decided to see what Scripture—which has the best advice of all—has to say about how to react to strong criticism. The book of James advises, “Everyone should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1:19). The apostle Paul counsels us to “live in harmony with one another” (ROMANS 12:16).
An entire chapter of Proverbs, however, offers extended wisdom on reacting to disputes. “A gentle answer turns away wrath,” says Proverbs 15:1. “The one who is patient calms a quarrel” (V. 18). Also, “The one who heeds correction gains understanding” (V. 32). Considering such wisdom, may God help us hold our tongues, as my friend did. More than all, however, wisdom instructs us to “fear the Lord” because “humility comes before honor” (V. 33).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ROVERBS 15:1–2, 31–33The one who is patient calms a quarrel.
[ PROVERBS 15:18 ]
What’s your typical reaction when you’re criticized?
In a dispute, what’s a humble way you can guard your tongue?
Dear God, when criticism strikes or a dispute hurts,
guard my tongue in humble honor of You.
오늘의 말씀
10/08/2020 목요일
고집쟁이의 본능
이 이야기는 불편하지만 인간의 본성을 정확히 보여줍니다. 우리에게는 자신이 옳다는 반사적인 “욕구”가 있어서, 파괴적일지라도 그 본능에 고집스럽게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하나님께서 자비롭게도 인간의 완고한 마음을 부드럽게 만들어주십니다. 바울 사도는 이 사실을 알고 있었기에 빌립보 교회에서 두 성도 간에 말다툼이 있을 때 그들을 사랑으로 권면했습니다(빌립보서 4:2).
그런 다음 이전에 그리스도의 헌신적인 사랑과 “같은 마음가짐”을 가지라고 가르쳤던 신자들에게(2:5-8) 복음 전파 사역에 그와 함께하는 귀한 동역자들인 “저 여인들을 도와주라고” 부탁했습니다(4:3). 평화롭고 현명한 화해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노력이 요구됩니다.
물론 분명한 태도를 보여야 할 때가 있지만, 주님과 같은 접근 방식은 완고한 고집쟁이들과는 많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우리 삶의 너무 많은 것들이 사실 싸울 가치가 없는 것들입니다. 우리는 스스로를 무너뜨릴 때까지 사소한 문제로 서로 다툴 수도 있지만(갈라디아서 5:15), 자존심을 삼키고 지혜로운 조언을 상냥하게 받아들여 형제자매들과의 연합을 추구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7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 하라
[빌립보서 4:5]
지금 이 순간 당신이 싸우고 있는 문제들은 무엇입니까? 현명한 친구가 있다면 그 상황을 해결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단단하고 완고한 제 마음을 부드럽게 하셔서 진정으로 연합해 살 수 있게 해주소서. 그리고 현명한 조언을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08/2020 Thursday
ZAX NATURE
The tale offers an uncomfortably accurate picture of human nature. We possess a reflexive “need” to be right, and we’re prone to stubbornly cling to that instinct in rather destructive ways!
Happily for us, God lovingly chooses to soften stubborn human hearts. The apostle Paul knew this, so when two members of the Philippian church were squabbling, he loved them enough to call them out (PHILIPPIANS 4:2). Then, having earlier instructed the believers to have “the same mindset” of self-giving love as Christ (2:5–8), Paul asked them to “help these women,” valued coworkers with him in sharing the gospel (4:3). It seems peacemaking and wise compromise call for team effort.
Of course there are times to take a firm stand, but a Christlike approach will look a lot different than an unyielding Zax! So many things in life aren’t worth fighting over. We can bicker with each other over every trivial concern until we destroy ourselves (GALATIANS 5:15). Or we can swallow our pride, graciously receive wise counsel, and seek unity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7Let your gentleness be evident to all.
[ PHILIPPIANS 4:5 ]
What are the things you’re fighting over right now?
How could wise friends help you resolve your situation?
Soften my hardened, stubborn heart, loving God, so I can truly live in unity. And help me to be open to wise counsel.
오늘의 말씀
10/07/2020 수요일
우리가 중요한 존재인가요?
이스라엘의 선지자 모세도 그런 말을 했습니다. “우리의 연수가......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시편 90:10). 찰나의 인생이기에 우리는 불안해하고, 우리가 중요한 존재일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우리는 실제로 중요한 존재입니다. 우리를 만드신 하나님이 우리를 깊이 또 영원히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이 시편에서 모세는 “주의 한결같은 사랑으로 우리를 만족하게 하소서”(14절, 현대인의 성경)라고 기도합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중요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어서 또한 중요합니다. 우리의 삶은 짧지만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을 유산으로 남긴다면 그 삶은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는 돈을 벌고 멋지게 은퇴하기 위해 이 땅에 온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하나님을 보여주기” 위해 왔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세상의 삶은 일시적이지만 우리는 영원한 피조물입니다. 예수님께서 죽음에서 부활하셨기에 우리도 영원히 살 것입니다. 그래서 모세는 하나님이 “아침마다 주의 한결같은 사랑으로 우리를 만족하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시켜 주었던 것입니다. 그 “아침”에 우리는 다시 살아나 영원히 사랑하고 사랑받을 것입니다. 그것이 의미 있지 않다면 다른 무엇이 의미가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시편 90:1-2, 10-17아침에 주의 인자하심이 우리를 만족하게 하사 우리를 일생 동안 즐겁고 기쁘게 하소서
[시편 90:14]
당신의 인생이 중요한지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까?
시편 90편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사랑의 하나님, 저를 중요하게 여기시니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07/2020 Wednesday
DO WE MATTER?
Moses, Israel’s prophet, would agree: “Our days . . . quickly pass, and we fly away” (PSALM 90:10). The brevity of life can worry us and cause us to wonder if we matter.
We do. We matter because we’re deeply, eternally loved by the God who made us. In this poem, Moses prays, “Satisfy us . . . with your unfailing love” (V. 14). We matter because we matter to God.
We also matter because we can show God’s love to others. Though our lives are short, they’re not meaningless if we leave a legacy of God’s love. We’re not here on earth to make money and retire in style, but to “show God” to others by showing them His love.
And finally, though life here on earth is transient, we’re creatures of eternity. Because Jesus rose from the dead, we’ll live forever. That’s what Moses meant when he assured us that God will “satisfy us in the morning with [His] unfailing love.” On that “morning” we’ll rise to live and love and be loved forever. And if that doesn’t create meaning, I don’t know what does.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PSALM 90:1–2, 10–17Satisfy us in the morning with your unfailing love, that we may sing for joy and be glad all our days.
[ PSALM 90:14 ]
When have you struggled with wondering if your life counts?
How does Psalm 90 help?
I’m grateful, loving God, that I matter to You.
Help me to share You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10/06/2020 화요일
다시 보리라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성경 말씀을 읽기로 하였습니다. 나는 가방에서 성경을 꺼내어 고린도전서 1장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문병을 마치고 세워둔 차 안에서 홀로 감정을 추스렸습니다. 그러자 한 가지 생각이 떠오르며 흐르던 눈물이 멈추었습니다. ‘친구를 다시 보리라’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슬픔에 젖어 믿는 자들에게 죽음은 단지 일시적이라는 것을 잊고 있었습니다(고린도전서 15:21-22). 재키와 나는 우리의 죄를 용서하기 위해 예수님이 죽으시고 부활하셨다는 것을 믿고 있기에 나는 친구를 다시 보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3-4절).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신 후 다시 살아나셨을 때 사망은 믿는 자들을 서로 갈라놓고 하나님과도 갈라놓는 궁극적인 힘을 잃었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죽은 후 천국에서 하나님과, 그리고 영적인 형제자매들과 함께 다시 살게 될 것입니다. 영원히.
예수님은 오늘도 살아 계시기에 주님을 믿는 자들에게는 상실과 슬픔을 지날 때도 소망이 있습니다. 십자가의 승리로 죽음은 이미 삼킨 바 되었습니다 (54절).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15:3-4, 12-22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이 죽은 것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이 삶을 얻으리라
[고린도전서 15:22]
슬픔 가운데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위로하셨습니까? 오늘 슬퍼하는 누군가를 위로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사용하기를 원하실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나의 죄를 대신해 죽으심을 감사드립니다. 하나님께서 주님을 죽음에서 다시 일으키셨기에 지금도 살아계심을 믿습니다.
Daily Article
10/06/2020 Tuesday
YOU’LL SEE HER AGAIN
Not knowing what to say, I decided to read some Scripture. I pulled my Bible out of my purse and turned to a reference in 1 Corinthians and began to read.
After the visit and an emotional time in the seclusion of my parked car, a thought came to mind that slowed my tears: You’ll see her again. Caught up in sadness, I had forgotten that death is only temporary for believers (1 CORINTHIANS 15:21–22). I knew I’d see Jacquie again because both of us had trusted in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for the forgiveness of our sin (VV. 3–4). When Jesus came back to life after His crucifixion, death lost its ultimate power to separate believers from each other and from God. After we die, we’ll live again in heaven with God and all of our spiritual brothers and sisters—forever.
Because Jesus is alive today, believers in Him have hope in times of loss and sorrow. Death has been swallowed up in the victory of the cross (V. 54).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1 CORINTHIANS 15:3–4, 12–22For as in Adam all die, so in Christ all will be made alive.
[ 1 CORINTHIANS 15:22 ]
How has God comforted you in times of sorrow? How might He want to use you to comfort someone who’s grieving today?
Dear Jesus, thank You for dying for my sin. I believe that You’re alive today because God raised You from the de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