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0/25/2020 주일
강하고 담대하게
여호수아 1장에서 우리는 모세가 죽은 후에 지도자가 여호수아로 바뀌는 것을 봅니다. “강하고 담대하라”는 이 명령은 그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여러 차례 반복되었습니다(6-7, 9절). 분명 그들은 불확실한 미래 앞에서 두려움을 느꼈지만, 하나님은 안심시키시며 “내가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 같이 너와 함께 있을 것임이니라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라”(5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런 일입니다. 그러나 계속 두려움 속에서 사는 것은 육체적, 영적 건강에 해롭습니다. 하나님이 지난날 자신의 종들에게 용기를 주셨듯이, 우리도 우리와 항상 함께 하겠다고 약속하시는 그분으로 말미암아 강하고 담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여호수아 1:1-9내가 모세와 함께 있었던 것 같이 너와 함께 있을 것임이니라 내가 너를 떠나지 아니하며 버리지 아니하리니
[여호수아 1:5]
당신에게 있는 가장 심하고 끈질긴 두려움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약속을 묵상하면 어떻게 당신의 두려움과 염려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신실하신 하나님 아버지, 항상 저와 함께 계시니 감사합니다. 두려울 때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고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25/2020 Sunday
STRONG AND COURAGEOUS
In Joshua 1, we read of the transition of leadership to Joshua after Moses died. The command to “be strong and courageous” was repeated several times to Joshua and the Israelites to emphasize its importance (VV. 6–7, 9). Surely, they felt trepidation as they faced an uncertain future, but God reassuringly said, “As I was with Moses, so I will be with you; I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V. 5).
It’s natural to have fears, but it’s detrimental to our physical and spiritual health to live in a state of constant fear. Just as God encouraged His servants of old, we too can be strong and courageous because of the One who promises to always be with us.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JOSHUA 1:1–9As I was with Moses, so I will be with you; I will never leave you nor forsake you.
[ JOSHUA 1:5 ]
What are your deepest and most persistent fears? How can meditating on God’s promises help you overcome your fear and anxiety?
Faithful Father, thank You that You’re always with me. Help me to remember Your promises and to trust in You when I’m afraid.
오늘의 말씀
10/24/2020 토요일
가뭄을 이겨내다
나는 예레미야가 “마음이 여호와에게서 떠난”(예레미야 17:5) 사람을 묘사하는 구절을 읽을 때 덤불이 생각납니다. 그는 “혈과 육”을 자기 힘으로 삼는 사람들은 “사막의 떨기나무” 같으며 “좋은 일이 오는 것을 보지 못한다” 라고 말합니다(5-6절). 그리고 사람 대신 여호와를 의뢰하는 사람들이 극명하게 대조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가뭄과 같은 상황에서도 물가에 심어진 나무처럼 강하고 깊은 뿌리가 있어 주님으로부터 힘을 얻고 생명으로 가득차게 됩니다.
덤불과 나무는 모두 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덤불은 생명의 원천에 계속 붙어있지 않아 말라 죽습니다. 반면에 뿌리와 연결되어 자라고 번성하는 나무는 어려울 때에도 지켜줄 수 있는 것에 닻을 내리듯 붙어 있습니다. 성경 속의 지혜에서 힘과 위로를 얻고 하나님께 기도하며 굳게 붙들 때, 우리도 그분이 주시는 영양분으로 생명을 얻고 유지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7:5-8여호와를 의뢰하는 그 사람은......물 가에 심어진 나무 같으리라
[예레미야 17:7-8]
고난의 때에 하나님께서 어떻게 당신을 지켜주셨습니까? 하나님과의 관계에 더욱 깊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 오늘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께서 또한 저를 지탱해 주십니다. 역경과 고난을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24/2020 Saturday
SURVIVING DROUGHT
Tumbleweeds are what I picture when I read Jeremiah’s description of a person “whose heart turns away from the Lord” (JEREMIAH 17:5). He says that those who draw their strength from “mere flesh” will be like “a bush in the wastelands” and be unable to “see prosperity when it comes” (VV. 5–6). In sharp contrast are those who put their trust in God instead of people. Like trees, their strong, deep roots draw strength from Him, enabling them to remain full of life, even in the midst of drought-like circumstances.
Tumbleweeds and trees both have roots. Tumbleweeds, however, don’t stay connected to their life-source, causing them to dry out and die. Trees, on the other hand, remain connected to their roots, enabling them to flourish and thrive, anchored to that which will sustain them in times of difficulty. When we hold fast to God, drawing strength and encouragement from the wisdom found in the Bible and talking to Him in prayer, we too can experience the life-giving, life-sustaining nourishment He provide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JEREMIAH 17:5–8The one who trusts in the LORD . . . will be like a tree planted by the water.
[ JEREMIAH 17:7–8 ]
How has God sustained you in times of drought? What can you do today to drive your roots more deeply into relationship with Him?
Life-giving God, You’re my sustainer. Thank You for giving me what I need to navigate my struggles and hardships.
오늘의 말씀
10/23/2020 금요일
나이스 샷?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는 아이들이 하는 난처한 말에 대해 웃습니다. 하지만 시편 136편의 사람들이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우리는 뭐라고 말해야 할까요? 하나님이 택하시고 구원하신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들의 원수들을 제외한 모든 피조물과 자신들을 위해 오래 참으시는 주님의 사랑을 기뻐하고 있습니다. 이 시편은 “애굽의 장자를 치신 이”(10절; 출애굽기 12:29- 30참조)를 찬양합니다.
다른 사람의 어머니나 자매, 아버지나 형제가 희생될 때 “나이스 샷” 이라고 외치는 소리와 비슷하게 들리지 않습니까?
그래서 우리는 나머지 이야기가 필요합니다. 예수님의 부활로 빛이 환하게 들어올 때 비로소 온 세상은 한 가족이 되어 모든 사연과 눈물과 웃었던 일들을 즐겁게 나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고 그분 안에서 생명을 얻을 때 비로소 우리는 주님의 희생으로 모든 사람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놀라우심을 나눌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6:10-26애굽의 장자를 치신 이에게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시편 136:10]
이 노래(시편 136)를 부르는 한 가지 이유가 스물여섯 번이나 나오는데, 그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의 마음이 노래를 부르는 이들의 생각을 뛰어넘는다고 말하는 가사는 어느 것입니까?
보이지 않으시는 하나님 아버지, 모든 사람에 대한 하나님의 비전과 사랑이 저 자신과 제 식구들을 향한 제 사랑보다 더 낫고 더 넓음을 믿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23/2020 Friday
NICE SHOT?
In time, we laugh at the embarrassing things our children say. But what are we to say when the people of Psalm 136 do something similar? Israel, God’s chosen and rescued people, celebrate a love that endures for all creation and for themselves—but not for their enemies. The psalm sings the praises of “him who struck down the firstborn of Egypt” (V. 10; SEE ALSO EXODUS 12:29–30).
Doesn’t that sound a bit like a shout of “nice shot” at the expense of someone else’s mother, sister, father, brother?
That’s why we need the rest of the story. Only when the lights come up in the resurrection of Jesus can the whole world be invited into the joy of one family’s stories, tears, and laughter. Only when we receive Jesus as our Savior and are made alive in Him can we share the wonder of a God who loves everyone—at His own expense. - MART DEHAAN
Today's Reading
PSALM 136:10–26To him who struck down the firstborn of Egypt His love endures forever.
[ PSALM 136:10 ]
What reason is given twenty-six times for this song? What lyrics show that the heart of God reaches beyond those who sing the words?
Unseen Father, thank You for giving me reasons to believe that Your vision and love for all are better and wider than my love for myself and my own.
오늘의 말씀
10/22/2020 목요일
세탁의 날
빨래방을 포함한 그들의 지역 봉사는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주신 지상 명령을 잘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마태복음 28:18-19).
성령님의 강한 임재는 빨래방뿐만 아니라 “어디든지” 갈 수 있게 합니다. 우리는 진정 혼자 가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20절)라고 약속해 주셨습니다.
채드 목사는 빨래방에서 암으로 투병 중인 제프라는 손님을 위해 기도한 후 그 진리를 경험했습니다. “우리가 눈을 떠보니 거기에 온 사람들 모두가 제프를 향해 손을 뻗고 우리와 함께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제가 목사로서 경험한 가장 거룩한 순간 중 하나였습니다.”라고 채드 목사는 말했습니다.
이 이야기의 교훈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전하기 위해서는 어디든 가라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6-20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마태복음 28:19]
오늘 이웃 어디에 가서 예수님을 전하시겠습니까?
예수님이 능력으로 함께 하시면 어떻게 전도할 수 있게 됩니까?
예수님, 오늘 어디서든 주님의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0/22/2020 Thursday
LAUNDRY DAY
Their neighborhood outreach, which dares to include a laundromat, reflects Jesus’ Great Commission to His disciples. As He said, “I have been given all authority in heaven and on earth. Go, then, to all peoples everywhere and make them my disciples: baptize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ATTHEW 28:18–19 GNT).
His Holy Spirit’s powerful presence enables “everywhere” outreach, including even a laundromat. Indeed, we don’t go alone. As Jesus promised, “I will be with you always, to the end of the age” (V. 20 GNT).
Pastor Chad experienced that truth after praying at the laundromat for a customer named Jeff who is battling cancer. As Chad reported, “When we opened our eyes, every customer in the room was praying with us, hands stretched out toward Jeff. It was one of the most sacred moments I have experienced as a pastor.”
The lesson? Let’s go everywhere to proclaim Christ.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MAT THEW 28:16–20Go, then, to all peoples everywhere and make them my disciples.
[ MATTHEW 28:19 GNT ]
Where can you go in your neighborhood today to proclaim Christ?
How could His powerful presence enable you?
Jesus, enable me to proclaim Your good news today—everywhere.
오늘의 말씀
10/21/2020 수요일
이 세상은 무엇이 문제일까?
정말 중요한 질문이지요. 이에 대해 어떤 사람은 “저에게 그걸 다 설명할 시간을 주실 건가요?” 라고 바로 답을 할지도 모릅니다. 이 세상에 너무나 많은 문제들이 있기에 그렇게 얘기할 수도 있을 겁니다. 여하튼 타임즈는 그 질문에 대해 수많은 응답을 받았는데 그중 눈에 딱 들어오는 답이 하나 있었습니다. 영국 작가이자 시인, 철학자였던 G.K. 체스터튼은 남에게 책임을 돌리려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세 단어의 짧은 답으로 신선한 충격을 주었습니다. “여러분, 제가 문제입니다.”
이 이야기가 진짜인지 아닌지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그의 답은 분명히 맞습니다. 체스터튼보다 훨씬 전에 바울이라는 사도가 있었습니다. 일평생 모범 시민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았던 바울은 자신의 결점들을 말하며 “내가 전에는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다”(13절)라고 고백했습니다. (“죄인들을”) 구원하러 오신 예수님을 언급하며 그는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15절)라고 체스터튼과 비슷하게 자신에 대해 말합니다. 바울은 과거나 지금이나 이 세상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았습니다. 나아가 그는 그 문제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 유일한 소망이 “우리 주의 은혜”(14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얼마나 놀라운 진실인가요! 이 영원한 진실로 우리는 눈을 들어 예수님의 구원하시는 사랑의 빛을 보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1:12-17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디모데전서 1:15]
이 세상은 무엇이 문제입니까? 당신은 바울과 체스터튼이 한 것과 같은 대답을 할 수 있습니까? 자기혐오에 빠지지 않고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하나님, 죄인인 저를 향한 하나님의 엄청난 인내에 감사드립니다.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을 영원히 돌려드립니다.
Daily Article
10/21/2020 Wednesday
WHAT’S WRONG WITH THE WORLD?
That’s quite the question, isn’t it? Someone might quickly respond, “Well, how much time do you have for me to tell you?” And that would be fair, as there seems to be so much that’s wrong with our world. As the story goes, The Times received a number of responses, but one in particular has endured in its brief brilliance. The English writer, poet, and philosopher G. K. Chesterton penned this four-word response, a refreshing surprise to the usual passing-of-the-buck: “Dear Sirs, I am.”
Whether the story is factual or not is up for debate. But that response? It’s nothing but true. Long before Chesterton came along, there was an apostle named Paul. Far from a lifelong model citizen, Paul confessed his past shortcomings: “I was once a blasphemer and a persecutor and a violent man” (V. 13). After naming who Jesus came to save (“sinners”), he goes on to make a very Chesterton-like qualification: “of whom I am the worst” (V. 15). Paul knew exactly what was and is wrong with the world. And he further knew the only hope of making things right—“the grace of our Lord” (V. 14). What an amazing reality! This enduring truth lifts our eyes to the light of Christ’s saving love. - JOHN BLASE
Today's Reading
1 TIMOTHY 1:12–17Christ Jesus came into the world to save sinners—of whom I am the worst.
[ 1 TIMOTHY 1:15 ]
What is wrong with the world? Can you own the answer Paul and Chesterton gave? What is one way you can accept that without sliding into self-hatred?
God, thank You for Your immense patience with me, a sinner.
To You be honor and glory forever and ever.
오늘의 말씀
10/20/2020 화요일
멋진 흉터
옷들은 찢어지고 해어진 부분들이 환히 드러나도록 모습이 달라집니다. 바울이 자신의 약한 것을 “자랑한다”고 말했을 때 아마도 이와 같은 것을 말한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는 “엄청난 계시”를 경험하고도 그것에 대해 자랑하지 않고(고린도후서 12:6), 그의 육체의 “가시” 때문에 스스로 자랑하거나 자만하지 않게 되었다고 말합니다(7절). 그가 말한 그것이 무엇인지는 아무도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아마도 우울증이나 말라리아 증상, 대적들의 박해, 아니면 다른 어떤 것일 것입니다. 그것이 무엇이었든지 바울은 하나님께 없애달라고 간구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9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해지고 찢어진 오래된 옷들이 디자이너들의 수선으로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 것처럼, 우리 삶의 약하고 망가진 부분들도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이 빛나는 곳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붙드시고 변화시키시며, 우리의 약한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만들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2:1-10내가 부득불 자랑할진대 내가 약한 것을 자랑하리라
[고린도후서 11:30]
세상에 숨기고 싶은 약점이 무엇입니까? 하나님은 어떻게 당신의 약함을 통해 그분의 강함을 드러내셨습니까?
하나님, 저를 고치고 회복시켜 제 모든 흉터를 황금으로 바꾸심으로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20/2020 Tuesday
GOLDEN SCARS
collaborate in mending clothes in ways that highlight the mending work rather than trying to mask it. Those who are invited bring “a dear but broken garment and mend it with gold.” As they remake their clothes, the repair becomes ornamental, a “golden scar.”
Articles of clothing are transformed in ways that highlight the places where they were torn or frayed. Perhaps this is something like what Paul meant when he said that he would “boast” in the things that showed his weakness. Although he’d experienced “surpassingly great revelations,” he doesn’t brag about them (2 CORINTHIANS 12:6). He is kept from getting proud and overconfident, he says, by a “thorn” in his flesh (V. 7). No one knows exactly what he was referring to—perhaps depression, a form of malaria, persecution from enemies, or something else. Whatever it was, he begged God to take it away. But God said,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V. 9).
Just as the rips and tears in old clothes can become sights of beauty as they’re remade by designers, the broken and weak places in our lives can become places where God’s power and glory may shine. He holds us together, transforms us, and makes our weaknesses beautiful. - AMY PETERSON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2:1–10If I must boast, I will boast of the things that show my weakness.
[ 2 CORINTHIANS 11:30 ]
What are some weaknesses you try to keep hidden from the world? How has God revealed His power through your weakness?
God, may all my scars become golden as You heal and repair me in ways that bring glory to Your name.
오늘의 말씀
10/19/2020 월요일
미움보다 강한 것
누가복음 23:26-49에서 우리는 두 범죄자와 죄 없는 예수님의 처형 장면을 가까이서 볼 수 있습니다(32절). 세 사람 다 십자가에 못박혔습니다 (33절). 십자가에 달린 이들의 가쁜 숨소리와 한숨, 신음 가운데 예수님의 말씀이 들렸습니다.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34절). 미움으로 가득찬 종교지도자들이 시작한 일이 최고의 사랑을 실현하신 그분을 십자가 형에 처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고통 속에서도 예수님의 사랑은 계속 승리하고 있었습니다.
당신이나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미움이나 악의, 조소, 나쁜 행위의 표적이 된 적이 있습니까? 당신의 고통이 기도가 되고, 예수님과 크리스같은 사람들이 본이 되어 성령님의 능력으로 미움 대신 사랑을 택하는 용기를 주시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32-34, 44-46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누가복음 23:34]
어떤 때에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기가 힘듭니까? 지금 용서하기 힘든 사람이 있습니까? 어떤 방법들을 취해볼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지 못할 때 저를 용서해 주소서.
사랑이 미움보다 강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0/19/2020 Monday
STRONGER THAN HATE
In Luke 23:26–49 we get a front row seat to an execution scene that included two criminals and the innocent Jesus (V. 32). All three were crucified (V. 33). Amid the gasps and sighs and the likely groans from those hanging on the crosses, the following words of Jesus could be hear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V. 34). The hate-filled initiative of the religious leaders had resulted in the crucifixion of the very One who championed love. Though in agony, Jesus’ love continued to triumph.
How have you or someone you love been the target of hate, illwill, bitterness, or ugliness? May your pain prompt your prayers, and may the example of Jesus and people like Chris encourage you by the power of the Spirit to choose love over hate.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LUKE 23:32–34, 44–46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 LUKE 23:34 ]
When have you found it hard to love someone? Is there someone you find it hard to forgive now? What steps might you take?
Father, forgive me when I find it hard to forgive others.
Help me to demonstrate that love is stronger than hate.
오늘의 말씀
10/18/2020 주일
별들 너머에 귀를 기울이다
이렇게 전파가 통제됨으로써 과학자들은 “천체의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 사실은 우주를 지으신 창조주의 음성을 듣기 위해서 우리도 조용히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줍니다.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멋대로 제 갈 길을 가는 백성들과 소통하셨습니다. “너희는 귀를 기울이고 내게로 나아와 들으라 그리하면 너희의 영혼이 살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영원한 언약을 맺으리라”(이사야 55:3). 하나님은 그분을 찾고 돌이켜 용서를 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그분의 신실하신 사랑을 약속해 주십니다.
우리는 성경과 기도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 주변의 산만한 것들로부터 돌이켜 하나님께 의도적으로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하나님은 멀리 계시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을 위해 시간을 내어 그분이 우리의 일상에서, 그리고 영원히 우리의 우선순위가 되시길 진실로 바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5:1-7너희는 여호와를 만날 만한 때에 찾으라
[이사야 55:6]
살면서 하나님께 귀를 기울이는 것이 왜 그렇게 중요할까요?
당신은 하나님을 위한 시간을 어떻게 마련하십니까?
사랑의 하나님, 오늘 비록 잠시라도 하나님 앞에서 조용히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Daily Article
10/18/2020 Sunday
LISTENING BEYOND THE STARS
This intentional quiet enables scientists to hear “the music of the spheres.” It also reminds me of our need to quiet ourselves enough to listen to the One who created the universe. God communicated to a wayward and distracted people through the prophet Isaiah, “Give ear and come to me; listen, that you may live. I will make an everlasting covenant with you” (ISAIAH 55:3). God promises His faithful love to all who will seek Him and turn to Him for forgiveness.
We listen intentionally to God by turning from our distractions to meet Him in Scripture and in prayer. God isn’t distant. He longs for us to make time for Him so He can be the priority of our daily lives and then for eternity. -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55:1–7Seek the LORD while he may be found.
[ ISAIAH 55:6 ]
Why is listening to God so vital in your life?
In what ways do you plan to take time for Him?
Help me to be quiet before You today, loving God, even if it’s only for a moment! Nothing matters more than being with You!
오늘의 말씀
10/17/2020 토요일
노래하는 사람의 마음
우리 막내는 늘 노래하는 아이입니다. 사실 막내는 노래를 ‘안 할’ 수가 없는 아이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면서 노래를 부르고, 학교 갈 때도 잠자리에 들 때도 노래를 부릅니다. 그 아이는 가슴에 노래를 품고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은 예수님에 관한 노래입니다. 딸아이는 언제 어디서나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나는 딸아이의 단순하고 헌신적이며 진심 어린 목소리를 좋아합니다. 아이의 마음에서 우러난 즐거운 노래들은 성경 곳곳에서 볼 수 있는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말씀들을 떠올려줍니다. 시편 95편에는 “오라 우리가 여호와께 노래하며 우리의 구원의 반석을 향하여 즐거이 외치자”(1절)라고 하고 있습니다. 계속 읽어내려 가면, 우리는 이 찬양이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며 (“여호와는 크신 하나님이시요 모든 신들보다 크신 왕이시기 때문이로다,” 3절), 우리가 누구의 것인가를 (“그는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우리는 그가 기르시는 백성이며”, 7절) 아는 데서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딸아이에게는 아침의 첫 생각이 바로 그런 진리들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이 작은 예배자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즐거움을 우리에게 깊이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95:1-7오라 우리가 여호와께 노래하며 우리의 구원의 반석을 향하여 즐거이 외치자
[시편 95:1]
무엇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찬송하게 합니까?
어떤 찬송이 하나님의 성품과 선하심을 알게 하고 그것에 집중하게 해줍니까?
하나님, 저의 주님이 되어주시고 우리를 주님 목장의 양으로 부르셔서 저와 주님의 모든 백성들에게 베풀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선하심을 찬양하는 노래들로 오늘을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10/17/2020 Saturday
A SINGER’S HEART
My youngest is a singer. In fact, she can’t not sing. She sings when she wakes up. When she goes to school. When she goes to bed. She was born with a song in her heart—and most of the time, her songs focus on Jesus. She’ll praise God anytime, anywhere.
I love the simplicity, devotion, and earnestness of my daughter’s voice. Her spontaneous and joyful songs echo invitations to praise God found throughout Scripture. In Psalm 95, we read, “Come let us sing for joy to the LORD; let us shout aloud to the Rock of our salvation” (V. 1). Reading further, we learn that this praise flows from an understanding of who He is (“For the LORD is the great God, the great King above all gods,” v. 3)—and whose we are (“For he is our God and we are the people of his pasture,” v. 7).
For my daughter, those truths are her first thought in the morning. By God’s grace, this little worshiper offers us a profound reminder of the joy of singing to Him. - ADAM R. HOLZ
Today's Reading
PSALM 95:1–7Come, let us sing for joy to the LORD; let us shout aloud to the Rock of our salvation.
[ PSALM 95:1 ]
What prompts you to praise God for His faithfulness to you?
What songs help you to remember and focus on His character and goodness?
God, thank You for who You are and for what You’ve done for me—and for all Your people—by inviting us to be sheep in Your pasture. Let today be filled with my songs of praise for Your goodness.
오늘의 말씀
10/16/2020 금요일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우리는 굉장한 것, 극적인 것, 단숨에 유명인이 되는 식의 명성과 성공에 집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겨자 씨와 누룩의 비유는 하나님 나라(이 땅에서의 하나님의 통치)의 방식을 서서히 조금씩 진행되는, 작고 드러나지 않고 사소해 보이는 것들에 비유합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그 왕을 닮습니다. 그리스도의 사명은 그분의 생명이 씨앗처럼 땅에 묻히고 누룩처럼 반죽에 숨겨지는 것으로 끝이 났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다시 사셨습니다. 흙을 뚫고 나오는 나무처럼, 열을 가했을 때 부푸는 빵처럼 예수님은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우리도 주님처럼 끈기 있게 계속 스며드는 방식으로 살아야 합니다. 일을 우리 방식으로만 장악하려는 유혹, 권력을 잡고싶은 유혹, 일의 결과물을 가지고 세상에서 자기가 한 일들을 모두 정당화하려는 유혹을 이겨내야 합니다. “나무에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는”(마태복음 13:32) 것이나, 떡이 풍성한 만찬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결과는 그리스도께서 만드시는 일이지 우리가 하는 일이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3:31-35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마태복음 13:32]
우리 삶에서 작고 사소해 보이지만 사람들을 격려하거나 복을 빌어주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거나, 중요성이나 성공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어디서부터 바꿔야 할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종종 작고 드러나지 않고 겉보기에 특별하지 않은 방법으로 일하심에 감사를 드립니다. 주님을 볼 수 없어도 주님께서 일하심을 믿게 하시고, 변함없이 충실할 수 있도록 은혜 내려주소서.
Daily Article
10/16/2020 Friday
SLOW, BUT SURE
We can be obsessed with significance and success—the big and the dramatic, the quick and the meteoric. But the parables of the mustard seed and yeast compare the way of the kingdom (God’s reign on earth) to small, hidden, and seemingly insignificant things whose work is slow and gradual.
The kingdom is like its King. Christ’s mission culminated in His life, like a seed, being buried in the ground; like yeast, being hidden in the dough. Yet He rose. Like a tree breaking through the dirt, like bread when the heat is turned up. Jesus rose.
We’re invited to live according to His way, the way that’s persisting and permeating. To resist the temptation to take matters into our own hands, to grasp for power and to justify our dealings in the world by the outcomes they may produce. The outcome— “a tree . . . that the birds come and perch in its branches” (V. 32) and the bread that provides a feast—will be Christ’s doing, not ours.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MAT THEW 13:31–35Though it is the smallest of all seeds, yet when it grows, it is the largest of garden plants and becomes a tree.
[ MATTHEW 31:32 ]
What small and seemingly insignificant things could you do to encourage or bless the people in your life? Where do you need to turn away from comparison with others or from a false picture of significance and success?
Dear Jesus, thank You for often working in small, hidden, and seemingly insignificant ways. Help me to trust You’re at work even when I can’t see You. Grant me the grace to remain faithfu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