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14/2020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애가 3-5; 히브리서 10:19-39
찬송가: 354(통394)

불 가운데에서

스페인의 안디야에서 일어난 산불은 50,000 에이커(약 200 평방킬로미터) 에 가까운 삼림 지대를 불태웠습니다. 그러나 그 황폐해진 가운데서도 1,000여 그루의 밝은 녹색의 편백 나무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 그 나무의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그들로 불 가운데서도 안전히 견뎌내게 한 것입니다.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 통치 기간에 한 작은 무리의 친구들도 왕의 분노의 불길을 견뎌냈습니다.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는 느부갓네살이 만든 신상에 예배하기를 거부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이 계시다면 우리를 맹렬히 타는 풀무불 가운데에서 능히 건져내시리이다”(다니엘 3:17). 군주는 격분해 그 풀무불을 평소보다 일곱 배나 더 뜨겁게 했습니다 (19절).

왕의 명령을 따라 그 친구들을 불속으로 던져 넣은 병사들이 오히려 불길에 휩싸여 타버렸지만, 구경꾼들은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가 “결박되지 않은 채 상하지도 아니하고” 불 가운데로 다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풀무불 안에는 어떤 다른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 네 번째 사람은 “신들의 아들과 같아”(25절) 보였습니다.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성육신하기 이전의 예수님의 모습이었다고 믿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위협을 받고 시련을 당할 때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압제에 굴복하라는 충동을 강하게 받는 순간에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언제, 어떻게 우리를 도와주실지 항상 알지는 못해도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압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분께 계속 충실할 수 있는 힘을 주셔서 모든 “불길”을 견디게 해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3:12-18
내가 보니 결박되지 아니한 네 사람이 불 가운데로 다니는데 상하지도 아니하였고
[다니엘 3:25]

하나님의 임재하심이 주는 초자연적인 위안이 어떻게 힘이 됩니까?
강한 반대에 부딪힐지도 모를 사람들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영으로 저를 채워주셔서 굴복하라는 압력을 느낄 때 견딜 수 있게 해주소서. 굳건히 서 있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길 원합니다.

Daily Article

11/14/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LAMENTATIONS 3–5; HEBREWS 10:19–39
Hymn: 354(old 394)

INSIDE THE FIRE

A wildfire in Andilla, Spain, scorched nearly 50,000 acres of woodland. However, in the middle of the devastation, a group of nearly 1,000 bright green cypress trees remained standing. The trees’ ability to retain water had allowed them to safely endure the fire.

During King Nebuchadnezzar’s reign in Babylon, a small cluster of friends survived the flames of the king’s wrath.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refused to worship a statue Nebuchadnezzar had created, and they told him, “If we are thrown into the blazing furnace, the God we serve is able to deliver us from it” (DANIEL 3:17). Infuriated, the monarch cranked up the heat seven times hotter than normal (V. 19).

The soldiers who carried out the king’s orders and tossed the friends into the blaze were burned up, yet onlookers watched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walk around inside the flames “unbound and unharmed.” Someone else was in the furnace as well—a fourth man who looked “like a son of the gods” (V. 25). Many scholars believe this was a preincarnate appearance of Jesus.

Jesus is with us when we face intimidation and trials. In the moments when we’re urged to give in to pressure, we don’t have to be afraid. We may not always know how or when God will help us, but we know He’s with us. He’ll give us the strength to stay faithful to Him through every “fire” we endure. -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DANIEL 3:12–18
I see four men walking around in the fire, unbound and unharmed.
[ DANIEL 3:25 ]

Why is the supernatural comfort of God’s presence encouraging to you?
How can you support others who may be facing opposition?

Dear God, fill me with Your Spirit so that I can persevere when I feel pressured to give in. I want to honor You by standing strong.

오늘의 말씀

11/13/2020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애가 1-2; 히브리서 10:1-18
찬송가: 191(통427)

하나님이 말씀하실 때

성경 번역가인 릴리가 본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공항에서 억류되었습니다. 공항 관리들이 릴리의 휴대폰을 검색하다가 녹음된 신약성경이 들어있는 것을 발견하고, 휴대폰을 압수한 후 두 시간 동안 그녀를 심문했습니다. 심문 도중에 그 성경 애플리케이션을 열어보라고 했는데, 마침 마태복음 7:1-2이 흘러나왔습니다. “비판을 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가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 자신의 언어로 이 말씀을 듣게 된 한 관리의 얼굴이 창백해졌습니다. 그 후 릴리는 더 이상의 아무런 조치 없이 풀려났습니다.

그 공항 관리의 마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모르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입에서 나가는 말”이 그분이 원하시는 바를 이루는 것을 압니다 (이사야 55:11). 이사야는 유배당한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이 희망의 말들을 예언하면서, 비와 눈이 땅을 적셔 싹이 나고 소출이 나게 하는 것처럼 “[하나님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이 그분의 목적을 이룬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었습니다(10-11절).

위의 구절을 읽고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더욱 북돋우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공항 관리들과 마주한 릴리의 경우와 같은 단호한 상황에 맞닥뜨릴 때, 하나님이 일하고 계시다는 것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 최종 결과를 볼 수 없을 때라도 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5:10-13
내 입에서 나가는 말도 이와 같이 헛되이 내게로 되돌아오지 아니하고
[이사야 55:11]

하나님이 일하시는 것을 마지막으로 본 때가 언제입니까?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이 선포하신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받았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께서 환히 드러내 보여주심으로 저에게 희망과 평화와 사랑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자라가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3/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LAMENTATIONS 1–2; HEBREWS 10:1–18
Hymn: 191(old 427)

WHEN GOD SPEAKS

Lily, a Bible translator, was flying home to her country when she was detained at the airport. Her mobile phone was searched, and when the officials found an audio copy of the New Testament on it, they confiscated the phone and questioned her for two hours. At one point they asked her to play the Scripture app, which happened to be set at Matthew 7:1–2: “Do not judge, or you too will be judged. For in the same way you judge others, you will be judged, and with the measure you use, it will be measured to you.” Hearing these words in his own language, one of the officers turned pale. Later, she was released and no further action was taken.

We don’t know what happened in that official’s heart at the airport, but we know that the “word that goes out from [God’s] mouth” accomplishes what He desires (ISAIAH 55:11). Isaiah prophesied these words of hope to God’s people in exile, assuring them that even as the rain and snow make the earth bud and grow, so too what goes “out from [His] mouth” achieves His purposes (VV. 10–11).

We can read this passage to bolster our confidence in God. When we’re facing unyielding circumstances, such as Lily with the airport officials, may we trust that God is working—even when we don’t see the final outcome.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55:10–13
So is my word that goes out from my mouth: It will not return to me empty.
[ ISAIAH 55:11 ]

When was the last time you saw God at work?
How have you received God’s love through the words He has declared?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what You’ve revealed, which brings me hope, peace, and love. Help me to grow in my love for You.

오늘의 말씀

11/12/2020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51-52; 히브리서 9
찬송가: 384(통434)

먼 길

자신의 동료들이 하나 둘 승진하자, 벤자민은 약간 부러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어떻게 아직 매니저가 안 된거야? 너는 그럴 자격이 있는데.” 친구들이 말했습니다. 그러나 벤은 자신의 경력을 하나님께 맡기기로 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만약 이것이 나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라면 그냥 내 일을 열심히 할 거야.”

몇 년이 지난 후 벤은 마침내 승진이 되었습니다. 그는 그때까지 축적된 경험으로 자신 있게 일을 해나갈 수 있었고, 부하 직원들의 존경도 얻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그의 몇몇 동료들은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을 때 승진이 되었기에, 여전히 감독 책임 업무에 힘들어하고 있었습니다. 벤은 하나님이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준비할 수 있도록 그를 “멀리 돌아가게” 하셨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집트에서 인도해 내실 때(출애굽기 13:17-18), 가나안으로 가는 “지름길”이 위험으로 가득했기에 더 먼 길을 택하셨습니다. 성경 주석가들은 그들이 더 긴 여정을 감으로써 나중에 이어지는 전투를 위해 육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자신들을 강화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가장 짧은 길이 항상 가장 좋은 것은 아닙니다. 때로 우리의 경력이든 노력이든, 하나님은 우리 인생에서 더 먼 길을 가게 하셔서 우리가 앞으로의 삶의 여정에 더 잘 준비할 수 있게 하십니다. 일이 빨리 진행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 우리를 인도하시고 안내해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13:17-18
블레셋 사람의 땅의 길은 가까울지라도 하나님이 그들을 그 길로 인도하지 아니하셨으니
[출애굽기 13:17]

인생에서 “더 먼 길”을 가게 함으로써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강하게 하실 수 있을까요? 하나님을 계속 신뢰하도록 어떻게 자신을 일깨울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일이 빨리 진행되지 않아 보일 때 제가 어떻게 느끼는지 하나님은 잘 아십니다. 인내하게 하셔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주권적인 계획과 목적을 신뢰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12/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51–52; HEBREWS 9
Hymn: 384(old 434)

THE LONG WAY

As his peers were promoted one by one, Benjamin couldn’t help but feel a little envious. “How come you’re not a manager yet? You deserve it,” friends told him. But Ben decided to leave his career to God. “If this is God’s plan for me, I’ll just do my job well,” he replied.

Several years later, Ben was finally promoted. By then, his added experience enabled him to do his job confidently and won him the respect of subordinates. Some of his peers, meanwhile, were still struggling with their supervisory responsibilities, as they had been promoted before they were ready. Ben realized God had taken him the “long way around” so that he would be better prepared for his role.

When God led the Israelites out of Egypt (EXODUS 13:17–18), He chose a longer way because the “shortcut” to Canaan was fraught with risk. The longer journey, note Bible commentators, also gave them more time to strengthen themselves physically, mentally, and spiritually for subsequent battles.

The shortest way isn’t always the best. Sometimes God lets us take the longer route in life, whether it’s in our career or other endeavors, so that we’ll be better prepared for the journey ahead. When things don’t seem to happen quickly enough, we can trust in God—the One who leads and guides us. - LESLIE KOH

Today's Reading

EXODUS 13:17–18
God did not lead them on the road through the Philistine country, though that was shorter.
[ EXODUS 13:17 ]

How might God be strengthening you by letting you take the “longer way” in life? How can you remind yourself to keep trusting Him?

Loving God, You know how I feel when things don’t seem to happen quickly enough. Grant me the patience to trust in You and in Your sovereign plan and purpose.

오늘의 말씀

11/11/2020     수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50; 히브리서 8
찬송가: 527(통317)

귀향

월터 딕슨은 5일간 신혼여행을 다녀온 후에 바로 한국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배에 올랐습니다.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부대원들은 전장에서 그의 부인이 보낸 편지가 주머니에 들어있는 딕슨의 외투를 발견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그의 젊은 아내에게 남편이 전쟁 중에 전사했다고 알려주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딕슨은 살아 있었고, 전쟁 포로로 2년 반을 지냈습니다. 깨어 있는 순간마다 그는 집으로 돌아갈 계획을 세웠습니다. 딕슨은 다섯 번이나 탈출했지만 그때마다 다시 체포되었습니다. 마침내 그가 자유를 얻어 집으로 돌아왔을 때의 그 충격을 상상해 보십시오!

하나님의 백성들은 포로가 되어 멀리 유배되고 집을 그리워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거역해서 유배되었습니다. 그들은 아침마다 돌아가길 열망하며 잠을 깼지만, 그들 스스로 구원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감사하게도 하나님이 그들을 잊지 않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내가 그들을 긍휼히 여김으로 그들이 돌아오게 하리라” (스가랴 10:6). 그들의 인내가 아닌 하나님의 자비 때문에, 하나님은 그 백성들의 고향을 향한 끈질긴 갈망을 이루어주십니다. “내가 그들을 향하여 휘파람을 불어......그들이 돌아올지라”(8-9절).

우리의 잘못된 결정이나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어려움 때문에 우리가 유배되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 어떤 경우이든, 하나님은 우리를 잊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소망을 아시고 우리를 부르실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응답하면, 하나님께로, 곧 집으로 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스가랴 10:6-12
그들이 먼 곳에서 나를 기억하고...... 돌아올지라
[스가랴 10:9]

살면서 유배되었다고 느껴지는 상황이 있습니까? 집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보여주시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어떻게 듣고 있습니까?

하나님, 하나님으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음을 느낍니다. 가까이 계시다는 것을 알면서도 너무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나님의 부르심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집으로 데려다주소서.

Daily Article

11/11/2020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50; HEBREWS 8
Hymn: 527(old 317)

RETURNING HOME

Walter Dixon had five days to honeymoon before he shipped off to the Korean War. Less than a year later, troops found Dixon’s jacket on the battlefield, with letters from his wife stuffed in the pockets. Military officials informed his young wife that her husband had been killed in action. Actually, Dixon was alive and spent the next 2.5 years as a POW. Every waking hour, he plotted to get home. Dixon escaped five times but was always recaptured. Finally, he was set free. You can imagine the shock when he returned home!

God’s people knew what it was to be captured, moved far away, and to long for home. Due to their rebellion against God, they were exiles. They woke each morning yearning to return, but they had no way to rescue themselves. Thankfully, God promised He’d not forgotten them. “I will restore them because I have compassion on them” (ZECHARIAH 10:6). He would meet the people’s relentless ache for home, not because of their perseverance, but because of His mercy: “I will signal for them . . . and they will return” (VV. 8–9).

Our sense of exile may come because of our bad decisions or because of hardships beyond our control. Either way, God hasn’t forgotten us. He knows our desire and will call to us. And if we’ll answer, we’ll find ourselves returning to Him—returning hom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ZECHARIAH 10:6–12
In distant lands they will remember me . . . and they will return.
[ ZECHARIAH 10:9 ]

Where do you sense exile in your life? How are you hearing God calling you, showing you how to return home?

God, I feel far away from You. I know You’re near, but I feel so distant. Would You help me to hear Your call? Would You bring me home?

오늘의 말씀

11/10/2020     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8-49; 히브리서 7
찬송가: 250(통182)

용서가 주는 승리

약물 남용과 성적 죄악 가운데에서 허우적대고 있던 맥은 절망스러웠습니다. 소중하게 여겼던 인간관계들은 혼란스러워졌고, 그의 양심은 그를 사정없이 때리고 있었습니다. 이런 고통 가운데 그는 자신에 관한 일이 교회에 알려지기 전에 목사님에게 상담을 청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복잡한 상황을 솔직하게 털어놓고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에 대해 듣는 가운데 안도할 수 있었습니다.

시편 32편은 다윗이 성적인 죄를 저지른 다음 쓴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는 한 여인의 남편을 죽음에 이르게 한 사악한 계략을 짬으로써 자신의 잘못을 더 크게 만들었습니다(사무엘하 11-12장 참조). 이 추악한 사건들은 그에게는 이미 지나간 일이었지만 그가 저지른 행동의 결과들은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 시편 32:3-4은 그가 자신의 추악한 행위를 인정하기 전에 경험한 깊은 번민을 묘사하며, 자백하지 않은 죄가 주는 고통을 부인할 수 없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엇이 그에게 안도감을 가져다주었을까요? 안도감은 하나님께 죄를 자백하고 그분의 용서를 받게 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5절).

우리가 말과 행동으로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해를 끼칠 때, 하나님의 자비가 있다는 그 사실이 우리에게 얼마나 위대한 출발점인지 모릅니다. 우리의 죄에 대해 영원히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의 잘못을 인정하고 그분의 용서를 구할 때 두 팔을 활짝 벌려 우리를 받아주시는 분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허물의 사함을 받고 자신의 죄가 가려진 자는 복이 있도다”(1절)라고 노래하는 그 찬양의 대열에 우리도 동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2:1-7
허물의 사함을 받고 자신의 죄가 가려진 자는 복이 있도다
[시편 32:1]

당신이 한 행동이나 말 때문에 괴로울 때 어디로 달려갑니까?
죄책감에 시달리는 사람이 다가올 때 어떻게 조언해 주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살면서 유혹을 이기지 못했던 시간들을 용서해 주소서.
용서를 구하러 언제나 아버지께 달려갈 수 있게 도와주시고, 다른 사람의 용서가 필요할 때에는 그들에게 용서를 구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10/2020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8–49; HEBREWS 7
Hymn: 250(old 182)

THE TRIUMPH OF FORGIVENESS

Mack, having struggled with drug abuse and sexual sin, was desperate. Relationships he valued were in disarray, and his conscience was beating him up. In his misery, he found himself unannounced at a church asking to speak with a pastor. There he found relief in sharing his complicated story and in hearing about God’s mercy and forgiveness.

Psalm 32 is believed to have been composed by David after his sexual sin. He compounded his wrongdoing by devising a sinister strategy that resulted in the death of the woman’s husband (SEE 2 SAMUEL 11–12). While these ugly incidents were behind him, the effects of his actions remained. Psalm 32:3–4 describes the deep struggles he experienced before he acknowledged the ugliness of his deeds; the gnawing effects of unconfessed sin were undeniable. What brought relief? Relief began with confession to God and accepting the forgiveness He offers (V. 5).

What a great place for us to start—at the place of God’s mercy— when we say or do things that cause hurt and harm to ourselves and others. The guilt of our sin need not be permanent. There’s One whose arms are open wide to receive us when we acknowledge our wrongs and seek His forgiveness. We can join the chorus of those who sing, “Blessed is the one whose transgressions are forgiven, whose sins are covered” (V. 1).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PSALM 32:1–7
Blessed is the one whose transgressions are forgiven, whose sins are covered.
[ PSALM 32:1 ]

Where do you run when you find yourself burdened by something you’ve done or said?
When someone comes to you who’s struggling with guilt, how do you advise them?

Father, forgive me for the times when temptation has won in my life.
Help me always to run to You for forgiveness and to seek the forgiveness of others when needed.

오늘의 말씀

11/09/2020     월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6-47; 히브리서 6
찬송가: 196(통174)

자기 역할에 충실함

두 손녀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뮤지컬 공연 오디션에 참가했을 때, 자기들이 주연 역할을 맡기를 바랐습니다. 매기는 어린 앨리스 역할을, 케이티는 마틸다 역할을 원했습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돌아온 배역은 ‘꽃들’이었습니다. 브로드웨이 진출의 꿈은 날아갔습니다.

그러나 딸은 손녀들이 “주연을 맡게 된 친구들 때문에 신이 나 있으며, 주인공에 뽑힌 친구들을 응원하고 그들의 기쁨을 함께 나누는 즐거움이 훨씬 더 커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정말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에서 우리가 서로 가져야 할 교제를 잘 보여주는 그림이 아닐까요? 모든 지역교회에는 핵심 역할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회에는 꽃들처럼 그다지 이목을 끌지 못하지만 없어서는 안 되는 역할들도 필요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역할을 다른 사람들이 맡는다 하더라도,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역할을 열정적으로 맡으면서 핵심 역할을 맡은 사람들을 격려하는 쪽을 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다른 사람들을 돕고 격려하는 것은 하나님을 향한 사랑을 보여주는 한 방법입니다. 히브리서 6장 10절은 말합니다. “하나님은......너희 행위와 그의 이름을 위하여 나타낸 사랑으로 이미 성도를 섬긴 것과 이제도 섬기고 있는 것을 잊어버리지 아니하시느니라.” 그리고 하나님이 주신 은사 중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같이 서로 봉사하라”(베드로전서 4:10).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를 열심히 사용하며 서로를 격려하는 사람들이 모인 교회를 상상해 보십시오(히브리서 6:10). 정말 기쁜 상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6:9-12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같이 서로 봉사하라
[베드로전서 4:10]

당신이 원했던 직책, 업무, 혹은 역할을 맡게 된 누군가가 떠오릅니까? 당신은 그 사람을 격려할 수 있습니까?
다른 사람을 섬기는 일에 하나님이 당신에게 주신 사명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권자 되시는 하나님, 제가 다른 사람의 역할에 집중하기보다 제게 주신 신성한 부르심 안에서 하나님을 섬기게 해주소서.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을 위해 하는 일에 대해 격려하는 말로 그들을 돕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09/2020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6–47; HEBREWS 6
Hymn: 196(old 174)

DOING OUR ROLE

When two of my grandchildren tried out for the musical Alice in Wonderland Jr., their hearts were set on getting leading roles. Maggie wanted to be young Alice, and Katie thought Mathilda would be a good role. But they were chosen to be flowers. Not exactly a ticket to Broadway.

Yet my daughter said the girls were “excited for their friends who got the [leading roles]. Their joy seemed greater cheering for their friends and sharing in their excitement.”

What a picture of how our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in the body of Christ should look! Every local church has what might be considered key roles. But it also needs the flowers—the ones who do vital but not-so-high-profile work. If others get roles we desire, may we choose to encourage them even as we passionately fulfill the roles God has given us.

In fact, helping and encouraging others is a way to show love for Him. Hebrews 6:10 says, “[God] will not forget your work and the love you have shown him as you have helped his people.” And no gift from His hand is unimportant: “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as faithful stewards of God’s grace” (1 PETER 4:10).

Imagine a church of encouragers diligently using their God-given gifts to His honor (HEBREWS 6:10). That makes for joy! - DAVE BRANON

Today's Reading

HEBREWS 6:9–12
Each of you should use whatever gift you have received to serve others, as faithful stewards of God’s grace.
[ 1 PETER 4:10 ]

Do you know someone who received a position, task, or role you wanted, yet could use your encouragement?
Why is it good to thank God for the tasks He’s given you in serving others?

Sovereign God, help me not to focus on other roles, but to serve You in the sacred calling You’ve given me. Enable me to help others by a word of encouragement for what they do for You.

오늘의 말씀

11/08/2020     주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3-45; 히브리서 5
찬송가: 430(통456)

사람들은 잊어버린다

한 여인이 담임목사의 설교에 반복이 심한 것에 불평하며 “왜 자꾸 반복하세요?”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목사님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사람들이 잊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잊어버리는 데는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나이가 들어서, 아니면 그냥 너무 바빠서 그러기도 합니다. 우리는 비밀번호, 사람들의 이름, 심지어 차를 어디에 주차했는지도 잊어버립니다. 내 남편은 말합니다. “내 머리에 집어넣을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새로운 걸 기억하기 위해선 다른 것을 지워야 해.”

그 목사님 말처럼 사람들은 잊어버립니다. 그래서 우리는 종종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일들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광야에서 수많은 기적을 보고도 그들은 여전히 하나님의 돌보심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었습니다. 신명기 8장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배고픔을 겪었을 때 날마다 놀라운 기적의 음식 만나를 공급하셨음을 기억하게 하셨습니다. 또한 그들의 의복이 해어지지 않게 하셨으며, 뱀과 전갈이 있는 광야를 무사히 지나게 하셨고, 반석에서 물을 공급해주셨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하나님의 돌보심과 공급하심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깨닫고 겸손을 배웠습니다(2-4, 15-18절).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대대에 미칩니다”(시편 100:5). 우리가 잊어버릴 때마다 하나님이 우리의 기도에 어떻게 응답하셨는지 생각하고, 그럼으로써 하나님의 선하심과 신실한 약속들을 일깨울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8:2, 10-18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사십 년 동안에 네게 광야 길을 걷게 하신 것을 기억하라
[신명기 8:2]

당신은 어떤 부분에서 하나님을 신뢰하기 어렵습니까?
하나님이 얼마나 당신을 사랑하시는지 기억하도록 도와주는 성경 구절들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언제나 신실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제가 무슨 일을 만나든 하나님을 신뢰하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08/2020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3–45; HEBREWS 5
Hymn: 430(old 456)

PEOPLE FORGET

A woman complained to her pastor that she’d noticed a lot of repetition in his sermons. “Why do you do that?” she queried. The preacher replied, “People forget.”

There are lots of reasons we forget—the passage of time, growing older, or just being too busy. We forget passwords, names of people, or even where we parked our car. My husband says, “There’s only so much I can fit in my brain. I have to delete something before I can remember something new.”

The preacher was right. People forget. So we often need reminders to help us remember what God has done for us. The Israelites had a similar tendency. Even with the many miracles they’d seen, they still needed to be reminded of His care for them. In Deuteronomy 8, God reminded the Israelites that He’d allowed them to experience hunger in the wilderness, but then provided an amazing superfood for them every day—manna. He supplied clothing that never wore out. He led them through a wilderness of snakes and scorpions and provided water from a rock. They’d learned humility, as they realized how totally dependent they were on God’s care and provision (VV. 2–4, 15–18).

God’s faithfulness “continues through all generations” (PSALM 100:5). Whenever we find ourselves forgetting, we can think about the ways He’s answered our prayers, and that reminds us of His goodness and faithful promises.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8:2, 10–18
Remember how the Lord your God led you all the way.
[ DEUTERONOMY 8:2 ]

In what areas do you struggle to trust God?
What Bible verses help you to remember how much He cares for you?

Dear Father, thank You for always being faithful.
Help me to trust You in whatever I face today.

오늘의 말씀

11/07/2020     토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40-42; 히브리서 4
찬송가: 260(통194)

결과는 하나님께 맡기라

여러 해 전에 어느 대학의 남학생 동아리 모임에서 말씀을 전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그 단체는 분위기가 산만하기로 유명했기에 나는 한 친구를 도우미로 데리고 갔습니다. 학생들은 바로 얼마 전에 미식축구대회에서 우승해서 축제 분위기였고, 저녁시간은 그야말로 난장판이었습니다! 마침내 동아리의 대표가 우리를 소개했습니다. “여기 계시는 두 분이 하나님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고 하십니다.”

나는 떨리는 다리로 일어나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좌중은 점차 조용해졌고, 온 시선이 집중되었습니다. 이후에 활발하고 솔직한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습니다. 얼마 후 우리는 그 동아리에서 성경공부를 시작하게 되었고, 그 후 수년간 많은 사람이 예수님을 믿어 구원을 얻었습니다.

나는 그날처럼 “사탄이 하늘로부터 번개 같이 떨어지는 것을 본”(누가복음 10:18) 경험을 여러 번 하기도 했지만, 때로는 내 자신이 떨어져 코가 납작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했습니다.

누가복음 10장에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전도 여행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돌아와 예수님께 보고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 나라로 초대되었고, 귀신들이 쫓겨가며, 사람들이 고침 받았습니다. 제자들은 대단히 고무되었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사탄이 하늘로부터 번개 같이 떨어지는 것을 내가 보았다”라고 말씀하시고 나서 이렇게 경고하셨습니다. “귀신들이 너희에게 항복하는 것으로 기뻐하지 말고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으로 기뻐하라”(20절).

우리는 성공을 기뻐하지만, 실패하는 듯 보일 때는 절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명하신 일을 계속하고 결과를 하나님께 맡기십시오. 당신의 이름이 하나님의 책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0:1, 17-20
귀신들이 너희에게 항복하는 것으로 기뻐하지 말고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으로 기뻐하라
[누가복음 10:20]

하나님의 마음에 새겨져 있는 당신의 이름을 상상해 보십시오.
이 사실은 일이 잘 되어 갈 때, 그리고 잘못되어 갈 때 어떻게 계속 나아갈 수 있도록 힘을 더해줍니까?

하나님, 대적들을 이기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러나 제가 실패할 때에도 강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가족이 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07/2020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40–42; HEBREWS 4
Hymn: 260(old 194)

LEAVE THE RESULTS TO GOD

Years ago, I was invited to speak to the residents of a university’s fraternity house. They had a reputation for rowdiness so I brought along a friend for support. They were in a celebratory mood, having just won a football championship. At dinner, chaos reigned! Eventually, the president of the house announced: “There are two guys here that want to talk about God.”

I rose on rubbery legs and began to tell them of God’s love, and the room grew still. There was rapt attention. A vigorous and honest Q & A followed. Later, we started a Bible study there and in subsequent years many received salvation in Jesus.

I recall many days like that when I “saw Satan fall like lightning from heaven” (LUKE 10:18), but there were other days when it was I who fell—flat on my face.

Luke 10 tells of Jesus’ disciples returning from a mission to report great success. Many had been brought into the kingdom, demons were put to flight, and people were healed. The disciples were pumped! Jesus replied, “I saw Satan fall like lightning from heaven.” But then He issued a caveat: “Do not rejoice that the spirits submit to you, but rejoice that your names are written in heaven” (V. 20).

We delight in success. But we may despair when we seem to fail. Keep doing what God has called you to do—and leave the results to Him. He has your name in His book!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LUKE 10:1, 17–20
Do not rejoice that the spirits submit to you, but rejoice that your names are written in heaven.
[ LUKE 10:20 ]

Picture your name written on God’s heart.
How does that encourage you to carry on when things go well? And when things go wrong?

Thank You, God, when You grant me victory over my enemies, but also help me to be strong when I fail. I’m grateful to be in Your family.

오늘의 말씀

11/06/2020     금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7-39; 히브리서 3
찬송가: 591(통310)

가장 달콤한 수확

우리가 집을 사서 이사했을 때 이미 뿌리를 잘 내린 포도나무가 그 집에 있었습니다. 원예에 초보인 우리 가족은 많은 시간을 들여서 가지치기와 물주기, 포도나무 재배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처음 포도 수확을 하게 되었을 때 포도 한 알을 따서 입에 넣어보았습니다. 그런데 실망스럽게도 맛도 없고 신 맛뿐이었습니다.

그렇게 애를 써서 포도나무를 가꿨는데도 결국은 실망스럽게 쓴 맛의 포도를 수확하고 보니 이사야 5장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거기에서 우리는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하나님의 관계를 묘사한 비유를 읽을 수 있습니다. 농부로 비유된 하나님은 언덕의 돌을 제거하시고, 극상품의 포도나무를 심고, 포도나무를 보호하려고 망대를 세우고, 수고의 열매를 즐기기 위해 술틀도 준비하셨습니다(이사야 5:1-2). 그런데 실망스럽게도,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포도원에는 이기심과 불의와 압제라는 쓴 맛의 들포도가 열렸습니다(7절). 결국 하나님은 어쩔 수 없이 언젠가 좋은 수확을 맺을 한 그루터기만 남기고 포도원을 없애버리셨습니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은 포도원 이야기를 다시 꺼내시며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요한복음 15:5). 이사야서와 병행되는 이 이미지에서, 예수님은 믿는 자들을 포도나무이신 주님에게 연결된 가지로 그리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가 기도하는 마음으로 성령님께 의지해 예수님과 연결되어 있을 때, 우리는 가장 달콤한 열매, 곧 사랑을 수확할 수 있는 영적 자양분에 직접 닿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5:1-7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
[요한복음 15:5]

예수님과 연결된 삶이 어떻게 당신의 삶에서 사랑을 만들어 냅니까?
예수님께 연결되어 있을 때 오는 다른 복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예수님, 주님께 연결되어 있을 때 제 삶 가운데 좋은 열매들을 맺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의 생명이 저를 통해 흘러 제 삶 가운데 더 큰 사랑의 열매를 맺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06/2020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7–39; HEBREWS 3
Hymn: 591(old 310)

THE SWEETEST HARVEST

When we purchased our home, we inherited an established grapevine. As gardening novices, my family invested considerable time learning how to prune, water, and care for it. When our first harvest came, I popped a grape from the vine into my mouth—only to be disappointed with an unpleasant, sour taste.

The frustration I felt about painstakingly tending a grapevine, only to have a bitter harvest, echoes the tone of Isaiah 5. There we read an allegory of God’s relationship to the nation of Israel. God, pictured as a farmer, had cleared the hillside of debris, planted good vines, built a watchtower for protection, and crafted a press to enjoy the results of His harvest (ISAIAH 5:1–2). To the farmer’s dismay, the vineyard, representing Israel, produced sour-tasting grapes of selfishness, injustice, and oppression (V. 7). Eventually, God reluctantly destroyed the vineyard while saving a remnant of vines that someday would produce a good harvest.

In the gospel of John, Jesus revisits the vineyard illustration, saying, “I am the vine; you are the branches. If you remain in me and I in you, you will bear much fruit” (JOHN 15:5). In this parallel imagery, Jesus pictures believers in Him as grapevine branches connected to Him, the main vine. Now, as we remain connected to Jesus through prayerful reliance on His Spirit, we have direct access to the spiritual nourishment that will produce the sweetest fruit of all, love.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ISAIAH 5:1–7
“I am the vine; you are the branches. If you remain in me and I in you, you will bear much fruit.”
[ JOHN 15:5 ]

How does remaining connected to Jesus produce love in your life?
What are the other blessings of being connected to Him?

Jesus, thank You for creating good fruit in my life as I remain connected to You. May Your life flow through me to produce an even greater harvest of love in my life.

오늘의 말씀

11/05/2020     목요일

성경읽기: 예레미야 34-36; 히브리서 2
찬송가: 420(통212)

이 집을 헐라

미시간 주의 폰티악에 있는 철거 전문 회사가 허물지 않아야 할 집을 불도저로 밀어버렸습니다. 조사단은 철거 대상 주택의 소유자가 자기 집이 철거되지 않도록 이웃집에 자신의 주소를 붙여 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수님은 이와 상반된 일을 하셨습니다. 주님은 다른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집”을 허무는 사명을 수행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얼마나 받아들이기 힘들었을지 그 장면을 상상해보십시오. 예수님이 “이 성전을 헐라 내가 사흘 동안에 일으키리라”(요한복음 2:19)라고 말씀하시며 종교지도자들에게 도전했을 때, 제자들이 놀라 서로 쳐다보는 장면을 그려보십시오. 종교지도자들은 격분해서 쏘아붙였습니다. “이 성전은 사십육 년 동안에 지었거늘 네가 삼 일 동안에 일으키겠느냐”(20절). 예수님은 성전 된 자기 몸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지만(21절) 그들은 그것을 깨닫지 못했던 것입니다.

우리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가하는 해가 결국은 예수님께 지워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주님께서 오셨다는 것을 그들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예수님은 그 허물을 대속해주실 분이셨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 마음을 우리 자신보다 훨씬 더 잘 알고 계시기 때문에 주님이 행하시는 표적을 보고 믿는 사람들에게조차 그분의 계획을 온전히 알려주지 않으셨습니다(23-25절). 그래서 하나님은 지금과 같이 우리에게 직접 말씀하셔도 다 이해하지 못할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그분의 사랑과 선하심을 조금씩 드러내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13-25
너희가 이 성전을 헐라 내가 사흘 동안에 일으키리라
[요한복음 2:19]

예수님께서 “성전을 정결케 하신 것”에 평소에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한 지금, 어떻게 좀 더 긍휼과 연민 어린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하나님은 우리가 알고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훨씬 더 좋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언제나 일하고 계심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05/2020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EREMIAH 34–36; HEBREWS 2
Hymn: 420(old 212)

DESTROY THIS HOUSE

In Pontiac, Michigan, a demolition company bulldozed the wrong building. Investigators believe that the owner of a house scheduled to be demolished nailed the numbers of his own address to a neighbor’s house to avoid demolition.

Jesus did the opposite. He was on a mission to let his own “house” be torn down for the sake of others. Imagine the scene and how confused everyone must have been, including Jesus’ own disciples. Picture them eyeing one another as He challenged the religious leaders: “Destroy this temple,” Christ said, “and I will raise it again in three days” (JOHN 2:19). The leaders retorted indignantly, “It has taken forty-six years to build this temple, and you are going to raise it in three days?” (V. 20). But Jesus knew He was referring to the temple of His own body (V. 21). They didn’t.

They didn’t understand He had come to show that the harm we do to ourselves and to one another would ultimately fall on Him. He would atone for it.

God has always known our hearts far better than we do. So He didn’t entrust the fullness of His plans even to those who saw His miracles and believed in Him (VV. 23–25). Then as now He was slowly revealing the love and goodness in Jesus’ words that we couldn’t understand even if He told us. -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HN 2:13–25
Destroy this temple, and I will raise it again in three days.
[ JOHN 2:19 ]

What emotions do you usually associate with Jesus’ “cleansing of the temple”?
How can you see something more merciful and compassionate now that you understand what Jesus meant?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me to believe that You are always working in the background doing far more—and much better— than I know or understand.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