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24/2020 화요일
칠면조를 보며 배우는 것
이전에는 이렇게 칠면조를 지켜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들은 멋있어 보이는 발톱으로 격렬하게 긁어대더니, 먹이를 찾고는 땅에 부리를 쪼아댔습니다. 나는 먹고 있나 보다 라고 짐작했습니다. (내가 처음으로 칠면조를 지켜본 것이어서 완전히 확신하지는 못했습니다.) 그 지역의 앙상한 덤불 때문에 그들이 살 수 있을 것 같아 보이지 않았지만, 여기 있는 십여 마리의 칠면조들은 먹음직스럽게 통통해 보였습니다.
잘 먹어서 통통한 칠면조들을 보면서 마태복음 6장 26절의 예수님의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기르시나니 너희는 이것들보다 귀하지 아니하냐.” 예수님은 하찮아 보이는 새들을 공급해 기르시는 하나님을 말씀하시면서 우리를 돌보시는 하나님을 상기시켜 주십니다. 한 마리 새의 생명이 중요하다면 우리의 생명은 얼마나 더 중요할까요? 그러시고 나서 예수님은 우리가 매일의 필요를 걱정하는 것(27-31절)과,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33절) 삶, 곧 우리의 필요를 주님이 넉넉히 공급해 주심을 확신하는 삶을 비교하십니다. 만일 하나님이 야생 칠면조 떼를 보살필 수 있다면, 당신과 나도 분명히 돌보아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25-34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 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기르시나니
[마태복음 6:26]
당신이 걱정하던 어떤 것을 하나님이 공급해 주시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과거에 하나님이 공급해 주셨던 것을 기억하고 돌아봄으로써 미래를 걱정하지 않는 데 어떤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때로는 두렵고 걱정되고 믿기가 힘들지만, 저를 돌보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난날 하나님께서 공급해 주신 것들을 기억하게 하셔서 미래에 대한 두려움 중에도 하나님을 더 잘 신뢰할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24/2020 Tuesday
TAUGHT BY TURKEYS
I’d never turkey-watched before. They scratched fiercely with spectacular talons. Then they hunted and pecked at the ground. Eating, I assume. (Since this was my first turkey-observation time, I wasn’t 100 percent positive.) The scrawny scrubs in the area didn’t look like they could sustain anything. Yet here were these turkeys, a dozen of them, all of which looked delectably plump.
Watching those well-fed turkeys brought to mind Jesus’ words in Matthew 6:26: “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Are you not much more valuable than they?” Jesus uses God’s provision for seemingly worthless birds to remind us of His care for us. If a bird’s life matters, how much more does ours? Jesus then contrasts fretting about our daily needs (VV. 27–31) with a life in which we “seek first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V. 33), one in which we’re confident of His rich provision for our needs. Because if God can care for that rafter of wild turkeys, He can certainly look after you and me. - ADAM R. HOLZ
Today's Reading
MAT THEW 6:25–34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 MATTHEW 6:26 ]
Where have you seen God provide for something that you were worrying about?
How might remembering and reflecting on His provision in the past help us not to be anxious in the future?
Father, sometimes I get scared. I worry. I struggle to trust. Thank You for Your care for me. Help me to remember Your provision in the past so I’m better able to trust You with future fears.
오늘의 말씀
11/23/2020 월요일
나를 위한 공간
그의 “거친 남자” 행동을 보여주는 한 모습일 수는 있지만, 그 말은 전혀 진실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특별히’ 거칠고 죄의식에 시달리고 소외된 자들이 하나님의 공동체에 소속되고 그 안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 주십니다. 이것은 예수님이 제자들을 부르실 때 예상 밖의 선택을 하신 사역 초기부터 분명한 사실이었습니다. 먼저, 예수님은 예루살렘 사람들이 보기에 “잘못된 궤도”에 있는 갈릴리 어부들을 선택하셨습니다. 그리고 억압받는 동족을 갈취하는 직업을 가진 세리 마태를 선택하시더니, 추가로 “열심당원” 이었던 “다른” 시몬을 부르셨습니다(마가복음 3:18).
우리는 이 사람 시몬(시몬 베드로가 아님)에 대해서 아는 게 별로 없지만, 열심당원에 대해서는 잘 압니다. 열심당원들은 경멸스런 로마인들과 협력해 부자가 된 마태 같은 반역자들을 혐오했습니다. 그럼에도 아주 역설적이게도 예수님은 마태와 함께 시몬을 택해 부르시고 예수님 팀 안에서 서로 어울리게 하셨습니다.
어느 누구도 예수님께 너무 “나쁜 사람”이라고 단념하지 마십시오. 예수님은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노라” (누가복음 5:32)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께는 당신과 나 같이 거친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3:13-19[예수께서] 산에 오르사 자기가 원하는 자들을 부르시니 나아온지라
[마가복음 3:13]
예수님께 그들의 삶을 드릴 것 같지 않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알고 있습니까?
어떻게 그들에게 그리스도가 누구시며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위해 마련한 공간을 생각해보도록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을 믿는 누구나 구원 받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23/2020 Monday
SPACE FOR ME
Perhaps that was just part of his “tough-guy” act, but his words couldn’t be further from the truth! God creates space especially for the rough, the guilt-ridden, and the excluded to belong and thrive in His community. This was obvious from the beginning of Jesus’ ministry, when He made some surprising choices for His disciples. First, He chose several fishermen from Galilee—the “wrong side of the tracks”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in Jerusalem. He also selected a tax collector, Matthew, whose profession included extorting from his oppressed countrymen. Then, for good measure, Jesus invited the “other” Simon—“the Zealot” (MARK 3:18).
We don’t know much about this Simon (he isn’t Simon Peter), but we do know about the Zealots. They hated traitors like Matthew, who got rich by collaborating with the despised Romans. Yet with divine irony, Jesus chose Simon along with Matthew, brought them together, and blended them into His team.
Don’t write anyone off as too “bad” for Jesus. After all, He said, “I have not come to call the righteous, but sinners to repentance” (LUKE 5:32). He has plenty of space for the tough cases—people like you and m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RK 3:13–19Jesus went up on a mountainside and called to him those he wanted, and they came to him.
[ MARK 3:13 ]
Who do you know that you think is unlikely to give their life to Jesus?
How might you invite them to consider who Christ is and the space He has for them?
Dear Father, thank You that salvation is available to anyone who puts their faith in Jesus.
오늘의 말씀
11/22/2020 주일
열린 너그러운 마음
성경은 우리가 너그러운 손길로 살면서, 할 수 있는 한 거리낌없이 베풀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진정 최선을 다하라고 권면합니다. 디모데가 말한 것처럼 “[부유한 자들에게] 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하게 하십시오” (디모데전서 6:18). 그저 여기저기서 자비로운 행동을 보여주기보다는, 늘 즐겁게 베푸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넓은 마음씨는 사람의 정상적인 생활 방식입니다. 성경은 “나누어주기를 좋아하며 너그러운 자가 되게 하라” (18절)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너그러운 열린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우리의 생필품이 바닥나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성경은 자비로이 베푸는 가운데 “참된 생명을 취한다”(19절)라고 말합니다. 하나님과 함께하는 진정한 삶은 우리의 꽉 쥐고 있던 손을 펴서 다른 사람들에게 거리낌 없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6:17-19나누어 주기를 좋아하며 너그러운 자가 되게 하라
[디모데전서 6:18]
언제 너그러워지기가 가장 어렵습니까?
하나님의 관대한 마음을 알고 어떻게 더 기꺼이 베풀게 됩니까?
하나님 제가 가진 것을 느슨하게 붙잡아 하나님처럼 너그러워지고 싶습니다.
제 마음을 바꾸어 기꺼이 베풀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2/2020 Sunday
AN OPEN, GENEROUS HEART
The Scriptures call us to live with open hands, giving freely as we can—providing what’s truly best for those in need. As Timothy says: “Command [those who are rich] to do good, to be rich in good deeds” (1 TIMOTHY 6:18). We don’t merely perform a benevolent act here or there, but rather live out a cheerful spirit of giving. Big-heartedness is our normal way of life. “Be generous and willing to share,” we’re told (V. 18).
As we live with an open, generous heart, we don’t need to fear running out of what we need. Rather, the Bible tells us that in our compassionate generosity, we’re taking “hold of [true] life” (V. 19). With God, genuine living means loosening our grip on what we have and giving to others freely.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TIMOTHY 6:17–19Be generous and willing to share.
[ 1 TIMOTHY 6:18 ]
When do you struggle the most with being generous?
How does God’s generous heart encourage you to give more freely?
I want to hold what I have loosely, God. I want to be generous, like You.
Transform my heart and help me to give freely.
오늘의 말씀
11/21/2020 토요일
평화의 도구
같은 규모나 크기는 아니지만, 우리 개인 생활에서도 대대적인 파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집, 직장, 교회, 또는 이웃도 갈등이라는 어두운 기운에 덮여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우리를 세상에서 차이를 만드는 사람으로 부르신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러러면 우리는 하나님의 지혜에 의지해야 합니다. 야고보 사도는 말합니다. “오직 위로부터 난 지혜는 첫째 성결하고 다음에 화평하고 관용하고 양순하며 긍휼과 선한 열매가 가득하고 편견과 거짓이 없나니 화평하게 하는 자들은 화평으로 심어 의의 열매를 거두느니라”(야고보서 3:17-18).
화평 중재자의 역할은 그 중재하는 일의 결과 때문에 중요합니다. ‘의’ 라는 말은 “바르게 서는 것” 또는 “바른 관계”라는 뜻입니다. 화평 중재자들은 ‘관계들’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마태복음 5:9)라고 하신 것도 전혀 놀랍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자녀들은 하나님의 지혜에 의존함으로 평화가 가장 필요한 곳에서 하나님의 평화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3:13-18화평하게 하는 자들은 화평으로 심어 의의 열매를 거두느니라
[야고보서 3:18]
어떤 개인적인 갈등을 풀기 위해 하나님의 지혜의 빛이 필요합니까?
주위에 싸우려는 사람들이 있을 때, 하나님의 평화가 어떻게 당신을 화평 중재자로 만들어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빛은 가장 깊은 어둠을 꿰뚫고, 하나님의 평화는 가장 고통받는 마음을 평온케 해줍니다. 하나님의 지혜와 평화를 알게 하셔서 다른 사람들이 힘들어할 때 그 평화를 전해줄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11/21/2020 Saturday
INSTRUMENTS OF PEACE
While not on the same scale or magnitude, devastation can also occur in our personal lives. Our home, workplace, church, or neighborhood can also be shrouded by the dark specter of conflict. This is one of the reasons God calls us to be difference-makers in the world. But to do so we must rely on His wisdom. The apostle James wrote, “The wisdom that comes from heaven is first of all pure; then peace-loving, considerate, submissive, full of mercy and good fruit, impartial and sincere. Peacemakers who sow in peace reap a harvest of righteousness” (JAMES 3:17–18).
The role of peacemaker is significant because of its harvest. The word righteousness means “right standing” or “right relationship.” Peacemakers can help restore relationships. No wonder Jesus said,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will be called children of God” (MATTHEW 5:9). His children, relying on His wisdom, become instruments of His peace where it’s needed most. -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AMES 3:13–18Peacemakers who sow in peace reap a harvest of righteousness.
[ JAMES 3:18 ]
In what personal conflicts do you need the light of God’s wisdom?
How can His peace enable you to be a peacemaker when people around you choose to fight?
Father, Your light penetrates the deepest darkness and Your peace calms the most troubled heart. Help me know Your wisdom and peace and carry it to others in their struggles as well.
오늘의 말씀
11/20/2020 금요일
다툼에서 돌아서기
로렌쯔는 과학자들이 정치적인 편견을 버리고 협력해 함께 일하도록 고무시켰는데, 특히 제 1차 세계 대전 이후에 더 그랬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노벨상 수상자 동료인 그에 대해 “전쟁이 끝나기 전에도 [로렌쯔는] 화해의 일에 온전히 헌신했다.”라고 말했습니다.
화해를 위해 일하는 것은 교회에서도 모든 사람들의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사실 어느 정도 갈등이 있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을 담당해야 합니다. 바울은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라”(에베소서 4:26)라고 썼습니다. 그는 우리가 함께 성장하기를 바라면서 이렇게 권면합니다. “무릇 더러운 말은 너희 입 밖에도 내지 말고 오직 덕을 세우는 데 소용되는 대로 선한 말을 하라”(29절).
마지막으로 바울은 말합니다. “너희는 모든 악독과 노함과 분냄과 떠드는 것과 비방하는 것을 모든 악의와 함께 버리고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31-32절). 우리가 할 수 있을 때마다 다툼에서 돌아선다면 하나님의 교회가 바로 세워지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참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합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6-32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에베소서 4:26]
하나님은 우리가 갈등을 해결하도록 어떻게 도와주실까요?
하나님과 교회를 영화롭게 하기 위해 어떤 갈등을 떨쳐버려야 할까요?
사랑의 하나님, 갈등에 마주할 때 제 분노를 하나님께로 넘길 수 있도록 제 마음을 일깨워 주소서.
Daily Article
11/20/2020 Friday
TURNING FROM CONFLICT
Lorentz inspired scientists to put aside political prejudice and work together, especially after World War I. “Even before the war was over,” Einstein said of his fellow Nobel Prize winner, “[Lorentz] devoted himself to the work of reconciliation.”
Working for reconciliation should be the goal of everyone in the church as well. True, some conflict is inevitable. Yet we must do our part to work for peaceful resolutions. Paul wrote, “Do not let the sun go down while you are still angry” (EPHESIANS 4:26). To grow together, the apostle advised, “Do not let any unwholesome talk come out of your mouths, but only what is helpful for building others up according to their needs” (V. 29).
Finally, said Paul, “Get rid of all bitterness, rage and anger, brawling and slander, along with every form of malice. Be kind and compassionate to one another, forgiving each other, just as in Christ God forgave you” (VV. 31–32). Turning from conflict whenever we are able helps build God’s church. In this, indeed, we honor Him.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EPHESIANS 4:26–32Do not let the sun go down while you are still angry.
[ EPHESIANS 4:26 ]
How can God help us deal with conflict?
To honor Him and your church, what conflict should you let go?
Loving God, when I face conflict, remind my heart to turn my anger over to You.
오늘의 말씀
11/19/2020 목요일
용감한 행동
당신과 내가 이 땅에서, 그리고 영원히 살 수 있도록 이천 년 전에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내어주신 분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어느 날 아침에 일어나 갑자기 인류의 죄로 인한 죽음의 형벌을 대신 갚겠다고 결심하신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그분 일생의 사명이었습니다. 주님은 유대 지도자들과 말씀하실 때 “나는 목숨을 버린다”(요한복음 10:11, 15, 17, 18)라고 반복해서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은 말씀만 하신 것이 아니라 십자가에서 실제로 끔찍한 죽음을 당하심으로 그 말씀대로 행하셨습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들, 존 하퍼, 그리고 우리가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고”(10절) 이 땅에 오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0:7-18나는 선한 목자라 나는 내 양을 알고 양도 나를 아는 것이......나는 양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노라
[요한복음 10:14-15]
주위 사람들을 진실로 사랑하는 것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
오늘 나의 행동을 통해 어떻게 누군가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예수님, 보여주신 최고의 사랑의 행위에 어떻게 감사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살 수 있도록 주님의 생명을 내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주님의 사랑을 다른 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9/2020 Thursday
VALIANT ACTIONS
There was One who laid down His life freely two thousand years ago so you and I can live not only in this life but for all eternity. Jesus didn’t just wake up one day and decide He would pay the penalty of death for humanity’s sin. This was His life’s mission. At one point when He was talking with the Jewish religious leaders He repeatedly acknowledged “I lay down my life” (JOHN 10:11, 15, 17, 18). He didn’t just say these words but lived them by actually dying a horrific death on the cross. He came so that the Pharisees, John Harper, and we “may have life, and have it to the full” (V. 10). -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JOHN 10:7–18I am the good shepherd; I know my sheep and my sheep know me . . . and I lay down my life for the sheep.
[ JOHN 10:14–15 ]
How do you reveal that you truly love those around you?
How can you show Jesus’ love to someone through your actions today?
Jesus, there aren’t words grand enough to thank You for demonstrating the greatest act of love there is. Thank You for giving Your life away so I might live. Help me to show Your love to others no matter how much it costs me.
오늘의 말씀
11/18/2020 수요일
잘못된 확신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에게 그 같은 일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종교생활이나 문화적 유행에 잘 따르는 것을 자랑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바울은 오히려 자신이 그런 것들을 자랑할 더 많은 이유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만일 누구든지 다른 이가 육체를 신뢰할 것이 있는 줄로 생각하면 나는 더욱 그러하리니”(3:4). 그러나 바울은 그의 혈통과 종교생활이 “그리스도를 아는 것”과 비교할 때 “배설물”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8절).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우리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시고 구원하시며 그분을 더욱 닮아갈 힘을 주십니다. 점수를 얻을 필요도 없고 점수를 기록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자랑은 그 자체로도 나쁘지만 잘못된 확신에 근거한 자랑은 비극입니다. 복음은 우리가 잘못된 확신에서 벗어나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위해 그분 자신을 주신 구주와 교제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3:2-8모든 것을 해로 여김은 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하기 때문이라 내가 그를 위하여 모든 것을 잃어
버리고 [빌립보서 3:8]
오늘날 하나님의 은혜를 신뢰한다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요?
어떻게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믿고 쉴 만한 곳에서 살면서 일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사랑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잘못된 확신의 근거인 자기 합리화의 점수표를 옆으로 제쳐 놓겠습니다.
Daily Article
11/18/2020 Wednesday
FALSE CONFIDENCE
Paul warned the Philippians about doing such things. Some were putting their confidence in religious performance or cultural conformity, and Paul told them he had more reason to boast of such things: “If someone else thinks they have reasons to put confidence in the flesh, I have more” (3:4). Yet Paul knew his pedigree and performance was “garbage” compared to “knowing Christ” (V. 8). Only Jesus loves us as we are, rescues us, and gives us the power to become more like Him. No earning required; no scorekeeping possible.
Boasting is bad in itself, but a boast based on false confidence is tragic. The gospel calls us away from misplaced confidence and into communion with a Savior who loves us and gave Himself for us. -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HILIPPIANS 3:2–8I consider everything a loss because of the surpassing worth of knowing Christ Jesus my Lord, for whose sake I have lost all things.
[ PHILIPPIANS 3:8 ]
What would it look like to trust in God’s grace today?
How can you live and work from a place of rest and trust in His love for you?
Dear Jesus, thank You for Your love for me. I set aside the scorecards of self-justification. Those are misguided grounds of confidence.
오늘의 말씀
11/17/2020 화요일
할 수만 있다면......
하나님은 다윗 왕이 다른 종류의 폭풍 가운데에서 하나님께 부르짖었을 때 다윗의 힘이 되어 주셨습니다(시편 28:8). 일부 주석가들은 그의 삶이 무너져 내리고 있던 시기에 이 글을 썼다고 말합니다. 그의 아들이 반란을 일으켜 왕위를 차지하려고 했던 것입니다(사무엘하 15장). 그는 너무나 연약하고 나약해져서 하나님이 침묵하시면 자기가 죽을까 봐 몹시 두려웠습니다(시편 28:1). 그는 하나님께 “주께 부르짖을 때에 나의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 (2절)라고 말했습니다. 다윗과 아들의 관계가 결코 나아지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다윗에게 계속 나아갈 힘을 주셨습니다.
우리는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얼마나 바라는지 모릅니다! 할 수만 있다면 말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약할 때 우리의 반석이 되어달라고 하나님께 언제나 요청할 수 있다고 약속하십니다(1-2절). 우리가 힘이 없을 때 하나님은 우리의 목자가 되셔서 우리를 영원히 인도하실 것입니다(8-9절).
오늘의 성구
시편 28여호와는 그들의 힘이시요
[시편 28:8]
연약해져 해결할 힘이 없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을 위해 다가오시는 것을 어떻게 보셨습니까?
하나님, 언제나 하나님의 특별한 능력이 필요한 일이 있음을 느낍니다.
하나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기억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11/17/2020 Tuesday
IF ONLY WE COULD . . .
God was King David’s strength when he called out to Him in another kind of storm (PSALM 28:8). Some commentators say he wrote this during a time when his world was falling apart. His own son rose in rebellion against him and tried to take the throne (2 SAMUEL 15). He felt so vulnerable and weak that he feared God might remain silent, and he would die (PSALM 28:1). “Hear my cry for mercy as I call to you for help,” he said to God (V. 2). God gave David strength to go on, even though his relationship with his son never mended.
How we long to prevent bad things from happening! If only we could. But in our weakness, God promises we can always call to Him to be our Rock (VV. 1–2). When we don’t have the strength, He’s our shepherd and will carry us forever (VV. 8–9). - ANNE CETAS
Today's Reading
PSALM 28The Lord is the strength of his people.
[ PSALM 28:8 ]
When have you felt vulnerable and unable to fix a situation?
How did you see God come through for you?
It seems there’s always something for which I need extra strength from You, O God.
Help me to remember that without You I can do nothing.
오늘의 말씀
11/16/2020 월요일
빌린 운동화
게이브의 경쟁자들은 그를 도와줘야 할 어떤 의무도 없었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본능에 따라 행동할 수 있었습니다(갈라디아서 5:13). 그렇게 하면 그들이 이길 확률이 더 높아질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우리에게 살면서 “사랑으로 서로 종 노릇”하고 “자비”와 “양선”을 베풀어 성령의 열매를 나타내라고 권유합니다(13, 22절). 우리가 본능에 따라 행동하지 않도록 성령에 의지한다면 우리 주위의 사람들을 더 잘 사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5:13-26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 노릇하라
[갈라디아서 5:13]
사람들을 대할 때 어떻게 “성령의 열매”를 보여주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이웃”을 더 잘 사랑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제 본능은 저를 돌보는 것이지만,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을 섬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16/2020 Monday
BORROWED SHOES
Gabe’s opponents had no obligation to help him. They could have given into their natural desires to look out for themselves (GALATIANS 5:13); doing so might have improved their own odds of winning. But Paul urges us to display the fruit of the Spirit in our lives—to “serve one another humbly in love” and to demonstrate “kindness” and “goodness” (VV. 13, 22). When we lean on the Spirit to help us not act on our natural instincts, we’re better able to love those around us.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AL ATIANS 5:13–26Serve one another humbly in love.
[ GALATIANS 5:13 ]
How are you showing the “fruit of the Spirit” in the way you treat others?
How can you better love your “neighbor”?
Dear God, my natural desire is to look out for myself. Help me to serve others out of love for You.
오늘의 말씀
11/15/2020 주일
불가능한 장애물은 없다
정복이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에 직면할 때, 두려움과 불안감은 의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변함없는 능력과 선하심, 신실하심에 대한 확신은 강한 신뢰의 안전띠를 만들어 냅니다. 이 견고한 확신은 구약성경에 나오는 성자들에게 용기를 더해주어, 믿음이 있으면 하나님의 계획을 상세한 부분까지 모두 알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해 보여줍니다(히브리서 11:1-13, 39). 우리는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을 간절히 찾지만, 하나님을 믿을 때 종종 홀로 서 있기도 합니다. 우리는 시련이 단지 일시적일 뿐이라는 것을 알고, 영원이라는 관점에서 우리의 상황을 봄으로써 우리의 문제들에 접근하는 방식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13-16절).
인생의 가파른 오르막길에만 몰두하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믿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것을 알게 되면, 우리는 믿음으로 우리의 불확실성에 안전띠를 매어, 한때 불가능해 보인 장애물들을 극복하도록 하나님이 우리를 도와주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1:1-6, 13-16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
[히브리서 11:1]
불가능한 일 앞에서 어떻게 더 용감해질 수 있을까요?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일을 해냈을 때 어떤 기분이 드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우리 믿음의 창조자요 완성자가 되셔서, 장애물을 만났을 때 우리 믿음의 정도가 우리의 힘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에 있음을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15/2020 Sunday
NO IMPOSSIBLE OBSTACLES
each climber to trust the harness and keep moving forward without looking down. One of our students stared at the barrier as we secured belts and buckles around her waist. “There’s no way I can do this,” she said. Affirming the strength of her harness, we encouraged her and cheered when she climbed up the wall and stepped onto the high platform.
When we face problems that seem impossible to conquer, fears and insecurities can cause doubts. The assurance of God’s unchanging might, goodness, and faithfulness creates a strong harness of trust. This confident assurance fueled the courage of the Old Testament saints, who demonstrated that faith trumps our need to know every detail of God’s plan (HEBREWS 11:1–13, 39). With conviction, we seek God earnestly, often standing alone when we trust Him. We can adjust the way we approach our challenges by viewing our circumstances with an eternal perspective— knowing our trials are only temporary (VV. 13–16).
Focusing on the steep climbs in life can prevent us from believing that God will bring us through. But knowing He’s with us, we can harness our uncertainties by faith as we trust God to help us overcome obstacles that once seemed impossible.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HEBREWS 11:1–6, 13–16Now faith is confidence in what we hope for and assurance about what we do not see.
[ HEBREWS 11:1 ]
How can you become more courageous in the face of an impossible task? How do you feel when you’ve accomplished something you didn’t think you could do?
Father, thank You for being the Author and Perfecter of my faith, so that the measure of my faith—when I face obstacles—is reliant on Your strength not my ow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