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14/2020 월요일
당신의 모습
세상은 아주 크지만 하나님은 이 세상과 그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모든 것을 완벽히 다 알고 계십니다. 시편 기자 다윗은 하나님의 손으로 지으신 모든 작품, 즉 만드신 하늘과 달과 별들을 볼 때 경외심을 가졌습니다(시편 8:3).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4절)라며 놀라워했습니다.
하나님은 다른 누구보다도 당신을 더 자세하게 알고 돌보십니다. 우리는 “여호와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요”(1, 9절)라고 응답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시편 8:4]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의 모든 창조물을 다 아신다는 것을 알게 되니 너무 놀랍습니다. 저를 개인적으로 알고 계신 하나님을 사랑합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계시며 사랑하신다는 것을 알 때 어떤 느낌이 듭니까? 오늘 삶 속에서 이 사실을 믿는 것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12/14/2020 MONDAY
WHO YOU ARE
It’s a very big world, yet God knows everything about it and the people in it—fully and completely. The psalmist David was in awe of God when he considered all the works of His hands: the making of the heavens, the moon, and the stars (PSALM 8:3). He wondered, “What is mankind that you are mindful of them, human beings that you care for them?” (V. 4).
God knows you more thoroughly than anyone else possibly can and He cares for you. We can only respond, “Lord, our Lord, how majestic is your name in all the earth!” (VV. 1, 9).
ANNE CETAS
Today's Reading
PSALM 8What is mankind that you are mindful of them? [ PSALM 8:4 ]
Dear God, it’s awesome to realize that You’re all-knowing about Your whole creation. I love You for knowing me personally too.
How do you feel knowing that God knows all about you and loves you? What does believing this truth look like in your life today?
오늘의 말씀
12/13/2020 주일
크리스마스 선물로 주신 말
“성탄 전에 있었던 이야기”에서 우리는 말을 못하게 된 한 사람을 만납니다. 천사 가브리엘이 제사장인 사가랴에게 나타나서 그가 가장 위대한 선지자의 아버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누가복음 1:11-17 참조). 나이가 많았던 사가랴와 그의 아내는 그 말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때 가브리엘은 “이 일이 되는 날까지”(20절) 사가랴가 말을 할 수 없게 되리라고 했습니다.
그날은 정말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기적처럼 얻은 아기의 이름을 짓는 예식에서 사가랴의 말문이 열렸습니다. 그는 말문이 열리자 바로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64절). 그리고 말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을 찬양하여라. 그가 오셔서 자기 백성을 죄에서 견져 주셨다”(68절, 현대인의 성경).
사가랴와 같이 톰은 말을 할 수 있게 되자마자 바로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그들의 마음은 그들의 혀와 생각을 지으신 그분께 향했습니다. 이 계절에 우리는 어떤 일을 만나든지 같은 방법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62-75이에 그 입이 곧 열리고 혀가 풀리며 말을 하여 하나님을 찬송하니 [누가복음 1:64]
하나님 아버지, 말이라는 선물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의심이 많을 때에 믿음이 강해지도록 함께 해 주소서. 주님께로 나아가 찬양할 때 어떤 말을 사용해야 할지 알게 해 주소서.
당신은 위기가 닥칠 때 어떻게 대응하십니까? 그것이 지나갔을 때는 어떻게 반응하십니까?
Daily Article
12/13/2020 SUNDAY
THE CHRISTMAS GIFT OF SPEECH
In the “pre-Christmas story” we meet a man who lost the gift of speech. Gabriel the angel appeared to Zechariah the priest and told him he would be the father of a great prophet (SEE LUKE 1:11–17). Zechariah and his wife were elderly, so he doubted it. That’s when Gabriel told him he would not speak “until the day this happens” (V. 20).
The day did happen. And at the ceremony to name the miracle baby, Zechariah spoke. With his first words he praised God (V. 64). Then he said, “Praise be to the Lord, the God of Israel, because he has come to his people and redeemed them” (V. 68).
Like Zechariah, as soon as he was able, Tom’s response was to praise God. Their hearts were inclined toward the One who made their tongues and their minds. Regardless of what faces us this season, we can respond the same way.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LUKE 1:62–75His mouth was opened and his tongue set free, and he began to speak, praising God. [ LUKE 1:64 ]
Thank You, Father, for the gift of speech. In my times of doubt, be with me to strengthen my faith. Help me learn how to use language to draw near to and honor You.
How do you respond when a crisis comes? What’s your reaction when you come through it?
오늘의 말씀
12/12/2020 토요일
기도의 씨름
우리는 육체적인 고통으로 하나님께 울부짖기도 하지만, 괴로운 삶의 환경 때문에도 주님께 달려갑니다. 데니스가 고통으로 씨름하던 밤보다 훨씬 오래 전, 절박했던 사람 야곱은 하나님과 대결하였습니다(창세기 32:24-32). 야곱에게는 해결하지 못한 가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는 형 에서에게 잘못을 저질렀고(27장), 자신에 대한 보복이 가까운 것을 알고 두려워했습니다. 야곱은 이 어려운 상황에서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다 하나님과 직접 대면하였고 (32:30), 그 일로 변화된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데니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기도로 하나님께 간구했던 데니스는 침상을 털고 일어날 수 있었으며, 검사에서도 종양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항상 기적적으로 치유하시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기도를 들으시고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것을 주실 것이라 확신합니다. 절망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께 진심으로 기도하고 결과를 하나님께 맡깁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2:24-32야곱은 홀로 남았더니 어떤 사람이 날이 새도록 야곱과 씨름하다가 [창세기 32:24]
하나님 아버지, 인생의 어려움들과 도전들이 기도로 주님을 찾고 주님이 어떤 분이신지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을 알게 도와주소서.
기도로 하나님 앞에 내려놓을 수 있는 어떤 문제들과 씨름하고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상황을 바꾸지 않으시더라도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기도하면 어떤 유익이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12/2020 SATURDAY
PRAYERFUL WRESTLING
Bodily pain can cause us to cry out to God, but other excruciating life circumstances also compel us to run to Him. Centuries before Dennis’ night of wrestling, a desperate Jacob faced off with God (GENESIS 32:24–32). For Jacob, it was unfinished family business. He had wronged his brother Esau (CH. 27), and he feared that pay- back was imminent. In seeking God’s help in this difficult situation, Jacob encountered God face-to-face (32:30) and emerged from it a changed man.
And so did Dennis. After pleading with God in prayer, Dennis was able to stand up after being bedridden, and the doctor’s examination showed no signs of the tumor. Although God doesn’t always choose to miraculously heal us, we’re confident that He always hears our prayers and will give us what we need for our situation. In our desperation we offer sincere prayers to God and leave the results to Him!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GENESIS 32:24–32Jacob was left alone, and a man wrestled with him till daybreak. [ GENESIS 32:24 ]
Father, help me to see that life’s difficulties and challenges are opportunities for me to seek You in prayer and to grow in my understanding of who You are.
What are you struggling with that you could bring before God in prayer? What are some of the benefits of praying from the depths of our hearts even when He chooses not to change the situation?
오늘의 말씀
12/11/2020 금요일
아침 안개
이내 햇빛이 구름 사이로 나오면서 안개는 사라졌습니다. 방금 읽었던 “내가 네 허물을 빽빽한 구름같이, 네 죄를 안개 같이 없이하였으니”(이사야 44:22)라는 말씀과 연결되어 이 광경은 나에게 위안을 주었습니다. 며칠 동안 나를 사로잡고 있던 꼬리를 무는 나쁜 생각들을 떨쳐내려고 그 장소를 찾은 것입니다. 죄를 고백했지만 같은 죄를 또다시 지었을 때 하나님께서 나를 용서해 주실지 의문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날 아침 이에 대한 답이 ‘그렇다’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계속해서 우상을 섬기는 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 하나님은 선지자 이사야를 통해 그들에게 은혜를 베푸셨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거짓 신을 좇는 것을 그만두라고 질책하신 동시에, “내가 너를 지었으니 너는 내 종이니라......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아니하리라”(21절)라고 말씀하시며 그들을 다시 부르셨습니다.
나는 그런 용서를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의 죄를 완전히 없애주고 그 죄에서 우리를 치유하실 수 있는 유일한 것임을 압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끝이 없고 그분처럼 거룩하며, 우리가 필요로 할 때 언제든 베풀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4:9-11, 21-23내가 네 허물을......안개 같이 없이하였으니 [이사야 44:22]
사랑하는 하나님, 제 삶에 은혜로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습관적인 죄 안에 살고 싶지 않습니다. 저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께서 그 죄를 완전히 없애주실 때 오는 자유를 느끼게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은혜가 어떻게 남용될 수 있습니까? 죄의 습관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용서를 경험하려면 어떤 단계들이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11/2020 FRIDAY
MORNING MIST
This scene comforted me because I connected it with a verse I’d just read: “I have swept away your offenses like a cloud, your sins like the morning mist” (ISAIAH 44:22). I visited the place hoping to distract myself from a series of sinful thoughts I’d been preoccupied with for days. Although I was confessing them, I began to wonder if God would forgive me when I repeated the same sin.
That morning, I knew the answer was yes. Through His prophet Isaiah, God showed grace to the Israelites when they struggled with the ongoing problem of idol worship. Although He told them to stop chasing false gods, God also invited them back to Himself, saying, “I have made you, you are my servant; . . . I will not forget you” (V. 21).
I don’t fully grasp forgiveness like that, but I do understand that God’s grace is the only thing that can dissolve our sin completely and heal us from it. I’m thankful His grace is endless and divine like He is, and that it’s available whenever we need it.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ISAIAH 44:9–11, 21–23I have swept away your offenses . . . like the morning mist. [ ISAIAH 44:22 ]
Dear God, thank You for Your gracious presence in my life. I don’t want to live in habitual sin. Help me to feel the freedom that comes when I confess my sin and You erase it completely.
How is it possible to abuse God’s grace? What steps can you take to break free of sinful habits and experience His forgiveness?
오늘의 말씀
12/10/2020 목요일
진실된 종
바울 사도는 예수님께서 자신을 비우시고 종의 모습을 취하셨다고 썼습니다. 아우구스투스도 같은 행동을 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아니면 실제로 그렇게 했을까요? 아우구스투스는 자기의 권력을 내려놓는 시늉만 한 것이지 사실은 자기 유익을 위해 그렇게 했습니다. 예수님은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셨습니다”(빌립보서 2:8). 로마의 십자가에서의 죽음은 가장 모욕적이고 치욕적인 것이었습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섬기는 리더십”을 미덕으로 여기는 첫 번째 이유는 예수님 때문입니다. 겸손은 그리스나 로마에서는 미덕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은 참된 종이시며 진정한 구주이십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서 종이 되셨습니다. 주님이 “자기를 비우심”(7절)으로 우리는 구원과 영생이라는 너무나 큰 선물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6-11[예수께서]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빌립보서 2:8]
예수님, 저를 위해 주님의 생명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이 종이 되심은 단지 보이기 위함이 아니라 저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었습니다. 오늘 사랑과 감사로 저의 마음을 채워주소서.
우리가 하나님의 손길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왜 사실일까요? 예수님이 당신을 구원하시기 위해 고난을 당하시고 죽기까지 한 종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Daily Article
12/10/2020 THURSDAY
THE TRUE SERVANT
Paul wrote of Jesus emptying Himself and taking on the form of a servant. Augustus appeared to do the same. Or had he? Augustus only acted like he was surrendering his power but was doing it for his own gain. Jesus “humbled himself by becoming obedient to death—even death on a cross!” (PHILIPPIANS 2:8). Death on a Roman cross was the worst form of humiliation and shame.
Today, a primary reason people praise “servant leadership” as a virtue is because of Jesus. Humility wasn’t a Greek or Roman virtue. Because Jesus died on the cross for us, He’s the true Servant. He’s the true Savior.
Christ became a servant in order to save us. He “made himself nothing” (V. 7) so that we could receive something truly great—the gift of salvation and eternal life.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HILIPPIANS 2:6–11Being found in appearance as a man, [Jesus] humbled himself by becoming obedient to death—even death on a cross! [ PHILIPPIANS 2:8 ]
Dear Jesus, thank You for giving Your life for me. Your servanthood wasn’t a show but the reality of Your love for me. Fill my heart with love and gratitude today.
Why is it true that we’re never out of God’s reach?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know that Jesus is the Servant who suffered and died in order to save you?
오늘의 말씀
12/09/2020 수요일
하나님의 인도하심
반대로 시편 기자는 우리의 인생을 망치지 않는 현명한 조언을 나누었습니다. 그는 진정으로 만족한 삶을 사는 사람, 곧 복 있는 사람은 하나님을 섬기지 않는 자들의 조언을 따르지 않는다고 기록했습니다(시편 1:1). 그들은 어리석고 악한 조언은 보이지 않는 위험과 큰 대가를 치를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또한 그들은 영원하고 흔들리지 않는 성경의 진리를 따르며 (“기쁨”을 찾으며) 그 진리에 사로잡히게 됩니다(“묵상합니다”)(2절). 그들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복종하면 평안과 결실을 얻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3절).
우리도 진로, 돈, 관계 등에 대하여 크고 작은 결정을 내릴 때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지혜와 신실한 조언, 성령의 인도하심을 구하길 바랍니다. 삶을 망치지 않고 만족스럽게 살기 위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꼭 필요하며 또 신뢰할만 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3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시편 1:1]
하나님, 제가 모르는 것들에 대해 하나님의 조언을 구하기 전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일을, 그리고 제가 알고 있는 것들을 먼저 실천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당신은 주님의 뜻에 합당한 결정을 내릴 때 왜 성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현명한 조언으로 당신을 도와주는 상담자는 누구입니까?
Daily Article
12/09/2020 WEDNESDAY
GOD’S GUIDANCE
In contrast, the psalmist shared wise advice that can help us avoid messing up in life. He wrote that those who find genuine fulfillment—who are “blessed”—refuse to be influenced by the advice of those who don’t serve God (PSALM 1:1). They know that unwise, ungodly counsel can lead to unseen dangers and costly consequences. Also, they’re motivated by (find “delight” in) and preoccupied with (“meditate on”) the timeless and unshakable truths of Scripture (V. 2). They’ve found that submitting to God’s guidance leads to stability and fruitfulness (V. 3).
When we’re making decisions, big or small, about our careers, money, relationships, and more, may we seek God’s wisdom found in the Bible, godly counsel, and the leading of the Holy Spirit. His guidance is essential and trustworthy for living a fulfilling life and not creating messes.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1–3Blessed is the one who does not walk in step with the wicked or stand in the way that sinners take or sit in the company of mockers. [ PSALM 1:1 ]
God, before I seek your advice about things I don’t know, help me to practice obedience in the areas I do know and in loving You and others.
Why do you believe Scripture is essential in making godly decisions? Who are your counselors that help you with wise advice?
오늘의 말씀
12/08/2020 화요일
같은 팀으로
바울 사도는 믿는 자들에게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빛의 자녀들” 로 살라고 일깨워줍니다(데살로니가전서 5:5-6). 그리스도께서 주신 구원에 대한 확실한 소망이 있기에 우리는 질투, 불안, 두려움, 또는 시기심으로 서로 경쟁하려는 유혹을 떨쳐버리고, 대신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울” 수 있습니다(11절). 우리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그들이 예수님을 위해 살도록 권면하는 그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함께 섬길 때, 하나님을 공경하고 “화목하게 살고 있는” 영적 지도자들을 존경할 수 있습니다(12-15절).
한 팀으로 섬기는 우리는 바울의 명령을 명심해야 합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16-18절).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1-11, 16-18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하는 것 같이 하라 [데살로니가전서 5:11]
예수님, 오늘 저와 함께 섬기는 사람을 격려할 기회를 주시옵소서.
같은 팀에서 섬기는 동안 누가 당신을 격려해 주었습니까? 당신과 함께 섬기는 사람을 어떻게 격려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8/2020 TUESDAY
ON THE SAME TEAM
The apostle Paul reminds believers to live as “children of the light” awaiting Jesus’ return (1 THESSALONIANS 5:5–6). With our hope secure in the salvation Christ has provided, we can shrug off any temptations to compete out of jealousy, insecurity, fear, or envy. Instead, we can “encourage one another and build each other up” (V. 11). We can respect spiritual leaders who honor God and “live in peace” as we serve together to accomplish our shared goal—telling people about the gospel and encouraging others to live for Jesus (VV. 12–15).
As we serve on the same team, we can heed Paul’s command: “Rejoice always, pray continually,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VV. 16–18).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T H E SS A L O N I A N S 5:1–11, 16–18Encourage one another and build each other up. [ 1 THESSALONIANS 5:11 ]
Jesus, please give me opportunities today to encourage someone who serves with me.
Who has encouraged you while serving on the same team? How can you encourage someone who serves alongside you?
오늘의 말씀
12/07/2020 월요일
절망에 빠진 자의 기도
베일리의 기도는 간단히 말해서 “나를 도와주세요”입니다. 시편 109 편이 바로 그것입니다. 다윗은 절망의 끝에 놓였습니다: “가난하고 궁핍하여,” “중심이 상하고”(22절), 육신이 “수척하고”(24절), 기력을 잃어. “석양의 그림자 같고”(23절), 비방하는 자들의 눈에 “경멸의 대상”임을 느꼈습니다 (25절). 철저히 무너진 그는 도움을 청할 곳이 없었습니다. 주권자 하나님께 길을 보여달라고 외쳤습니다.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시여 나를 도우소서”(26절).
살다보면 “망했다”라고 밖에 설명할 수 없는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무슨 기도를 해야 할지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사랑의 하나님은 도와 달라는 단순한 기도에 응답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9:21-27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나를 도우시며 [시편 109:26]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어떤 날들은 힘이 들어 절망에 빠집니다. 절망 가운데서 제 마음을 하나님께로 향하여 단순히 도움을 구할 수 있는 힘을 제게 주소서.
살면서 절망을 느낀 때가 마지막으로 언제였습니까? 만약 그런 느낌을 가진 가족이나 친구가 있다면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7/2020 MONDAY
PRAYER OF THE BROKEN-DOWN
Bailey’s prayer, boiled down, is simply “Help me.” And this is exactly what’s voiced in Psalm 109. David was at the end of his rope: “poor and needy,” his “heart . . . wounded” (V. 22), and his body “thin and gaunt” (V. 24). He was fading “like an evening shadow” (V. 23), and sensed himself to be an “object of scorn” in the eyes of his accusers (V. 25). In his extreme brokenness, he had nowhere else to turn. He cried out for the Sovereign Lord to show him the way: “Help me, Lord my God” (V. 26).
There are seasons in our lives when “broken down” says it all. In such times it can be hard to know what to pray. Our loving God will respond to our simple prayer for help.
JOHN BLASE
Today's Reading
P S A L M 109:21–27Help me, Lord my God. [ PSALM 109:26 ]
Dear Father, some days are hard. They feel hopeless. Turn my heart to You in my brokenness. Give me strength to simply ask for help.
When was the last time you felt broken down by life? If you have a family member or friend who currently feels that way, how might you help?
오늘의 말씀
12/06/2020 주일
베티 이모의 방식
하나님은 나에게 베티 이모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하십니다. 하나님은 한없는 사랑을 넘치게 베푸시며 심지어 우리가 저항하고 도망을 쳐도 그의 사랑은 흔들림이 없습니다. 그러나 또한 하나님에게는 우리가 지켜야 할 어떤 기준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에게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가르치실 때, 열 가지 제안이 아니라 열 가지 명령, 곧 십계명을 주셨습니다(출애굽기 20:1-17). 하나님은 우리가 그것을 지키지 못할 것을 아시고 우리에게 분명한 기대치를 말해주셨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의 계명을 [지키라]”(요한 1서 5:2).
감사하게도 “[하나님의] 계명은 무거운 것이 아닙니다”(3절). 성령의 능력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기쁨을 체험하면서 그가 주신 계명들을 지키며 살 수 있습니다.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사랑은 멈추지 않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는지 알 수 있는 질문을 이렇게 합니다.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고 있습니까?’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말’은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우리가 ‘행하는’ 것이 사실을 말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5:1-6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의 계명을 지킬 때에 이로써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를 사랑하는 줄을 아느니라 [요한1서 5:2]
하나님,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말은 하지만 사랑하기가 힘이 들고 순종하기가 어렵습니다. 진리를 보고 하나님을 행함으로 사랑하게 도와주소서.
When do you find it most difficult to obey God? How does this connection between obedience and love offer new insight for your life in Christ?
Daily Article
12/06/2020 SUNDAY
AUNT BETTY’S WAY
God asks more of me than Aunt Betty. While He floods us with relentless love, a love that never wavers even when we resist or run away, He does expect something of us. When God instructed Israel how to live, He provided Ten Commandments, not ten sug- gestions (EXODUS 20:1–17). Aware of our self-deception, God offers clear expectations: we’re to “[love] God and [carry] out his com- mands” (1 JOHN 5:2).
Thankfully, “[God’s] commands are not burdensome” (V. 3). By the Holy Spirit’s power, we can live them out as we experience God’s love and joy. His love for us is unceasing. But the Scriptures offer a question to help us know if we love God in return: Are we obeying His commands as the Spirit guides us?
We can say we love God, but what we do in His strength tells the real story.
WINN COLLIER
Today's Reading
1 JOHN 5:1–6This is how we know that we love the children of God: by loving God and carrying out his commands. [ 1 JOHN 5:2 ]
God, I say I love You, but it’s hard to love. It’s hard to obey. Help me see the truth and to love You with my actions.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이 언제 가장 어렵습니까? 순종과 사랑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당신의 삶에 어떤 새로운 깨달음을 줍니까?
오늘의 말씀
12/05/2020 토요일
크리스마스 야드 세일
하나님은 우리에게 너무나 많은 것으로 축복하셨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더 큰 집, 더 좋은 차, 더 많은 예금, 혹은 [0000000] 등, 더 많은 것을 항상 바라는 것 같습니다. 바울은 성도들을 이렇게 일깨우라고 디모데에게 권면합니다. “우리가 세상에 아무것도 가지고 온 것이 없으매 또한 아무것도 가지고 가지 못하리니 우리가 먹을 것과 입을 것이 있은즉 족한 줄로 알 것이니라”(디모데전서 6:7-8).
하나님은 우리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실 뿐 아니라 호흡과 생명을 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모든 선물에 기뻐하고 만족하며 “하나님, 너무 많이 주셨어요. 이젠 더 필요 없을 정도예요!”라고 말할 수 있다면 참으로 힘이 날 것입니다. “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6절).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6:6-10, 17-19자족하는 마음이 있으면 경건은 큰 이익이 되느니라 [디모데전서 6:6]
하나님 아버지, 우리에게 너무 많은 복을 주셨습니다. 매일 감사할 수 있게 가르쳐 주소서.
오늘 하나님께 무엇을 감사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자족을 배울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5/2020 SATURDAY
THE YARD-SALE CHRISTMAS
God has blessed us with so much, but it seems we’re always looking for more: a bigger house, a better car, a larger bank account, or [fill in the blank]. Paul encouraged Timothy to remind people in his congregation that “we brought nothing into this world, and we can take nothing out of it. But if we have food and clothing, we will be content with that” (1 TIMOTHY 6:7–8).
God has given us our very breath and life—besides providing for our needs. How refreshing it might be to enjoy and be content with His gifts and to say, You’ve given us so much! We don’t need more. “Godliness with contentment is great gain” (V. 6).
ANNE CETAS
Today's Reading
1 TIMOTHY 6:6–10, 17–19Godliness with contentment is great gain. [ 1 TIMOTHY 6:6 ]
Father, You’ve blessed me with so much. Teach me each day to give thanks.
What are you thankful to God for today? How might you learn content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