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2/09/2021     화요일

성경읽기: 레위기 6-7; 마태복음 25:1-30
찬송가: 357(통397)

위를 바라보기

짝눈 오징어는 햇빛이 거의 들지 않는 깊은 바닷속의 “약광층” 에서 삽니다. 이 오징어의 별명은 아주 다르게 생긴 두 눈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왼쪽 눈은 시간이 지나면서 오른쪽 눈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커집니다. 연체동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그 오징어의 작은 오른쪽 눈은 바닷속 깊이 더 어두운 곳을 내려다볼 때 사용하고, 큰 왼쪽 눈은 햇빛을 향해 위를 바라볼 때 사용한다고 추측합니다.

뜻밖에 이 오징어는 이 땅에서 현재를 살면서 동시에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리심을 받은”(골로새서 3:1) 우리가 기다리는 확실한 미래를 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골로새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바울은 우리의 생명이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안에 감추어져” 있으니 “위의 것을 생각하라”고 권면합니다 (2-3절).

천국에서의 삶을 기다리며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는 현실에서 우리 주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훈련된 눈으로 계속 주시합니다. 그러나 오징어의 왼쪽 눈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 커지고 위쪽에서 일어나는 일에 더 민감해져 가는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께서 영적 영역에서 일하시는 방식을 더 잘 알 수 있도록 자라가야 합니다. 예수님 안에 살아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충분히 이해 못하더라도, “위”를 바라볼 때 우리의 눈으로 점점 더 많은 것을 보아 알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3:1-4
위의 것을 생각하고 땅의 것을 생각하지 말라
[골로새서 3:2]

어떻게 “위를 향하는” 시선을 개발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천국의 일에 마음을 둘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의 일에 제 생각과 마음을 두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9/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6–7; MAT THEW 25:1–30
Hymn: 357(old 397)

LOOKING UP

The cockeyed squid lives in the ocean’s “twilight zone” where sunlight barely filters through the deep waters. The squid’s nickname is a reference to its two extremely different eyes: the left eye develops over time to become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right—almost twice as big. Scientists studying the mollusk have deduced that the squid uses its right eye, the smaller one, to look down into the darker depths. The larger, left eye, gazes upward, toward the sunlight.

The squid is an unlikely depiction of what it means to live in our present world and also in the future certainty we await as people who “have been raised with Christ” (COLOSSIANS 3:1). In Paul’s letter to the Colossians, he insists we ought to “set [our] minds on things above” because our lives are “hidden with Christ in God” (VV. 2–3).

As earth-dwellers awaiting our lives in heaven, we keep an eye trained on what’s happening around us in our present reality. But just as the squid’s left eye develops over time into one that’s larger and more sensitive to what’s happening overhead, we too can grow in our awareness of the ways God works in the spiritual realm. We may not have yet fully grasped what it means to be alive in Jesus, but as we look “up,” our eyes will begin to see it more and more.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COLOSSIANS 3:1–4
Set your minds on things above, not on earthly things.
[ COLOSSIANS 3:2 ]

How can you develop your “upward” vision?
How can you set your mind on heavenly things?

Loving God, help me to set my mind and heart on those things that are of You!

오늘의 말씀

02/08/2021     월요일

성경읽기: 레위기 4-5; 마태복음 24:29-51
찬송가: 464(통27)

빛을 믿으라

‘강한 회오리를 동반한 폭설’이 예보되었습니다. 그것은 기압이 떨어져 겨울폭풍이 갑자기 강해질 때 발생합니다. 밤이 되자, 눈보라가 심해져 덴버 공항으로 향하는 고속도로는 ‘거의’ 한치 앞도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딸이 비행기를 타고 집으로 오고 있다면 우리는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게 됩니다. 여분의 옷과 물을 챙기고 (고속도로 중간에 갇히게 되는 상황을 대비해서), 아주 천천히 운전하고, 끊임없이 기도하며, 마지막으로 똑같이 중요한 자동차 전조등을 의지해서 앞으로 갑니다. 그러면 때로는 거의 불가능한 일을 이루기도 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죽음을 가져올(요한복음 12:31-33), 그리고 자신을 따르는 자들의 믿음과 섬김을 시험할(26절) 폭풍이 곧 닥칠 거라고 예언하셨습니다. 곧 어둡게 되어 ‘거의’ 한치 앞도 볼 수 없게 될 것이었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무엇을 하라고 말씀하셨습니까? 빛(예수님)을 믿으라, 의지하라 (36절). 그것만이 앞으로 계속 나아가고 믿음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잠시 동안만 더 그들과 함께 있을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믿는 자들에게는 주의 성령이 함께 있어 우리의 앞 길을 비추며 계속 인도해 주십니다. 우리도 ‘거의’ 한치 앞을 볼 수 없는 어둠의 때를 지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빛이신 주님을 믿고 의지함으로, 우리는 계속 전진해 나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2:25-33, 35-36
빛을 믿으라 그리하면 빛의 아들이 되리라
[요한복음 12:36]

최근 어떤 어두움의 때를 지나셨습니까?
빛이신 예수님이 어떻게 계속 나아가도록 도와주셨습니까?

예수님, 어둠 가운데 빛이 되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의지하고 계속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8/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4–5; MAT THEW 24:29–51
Hymn: 464(old 27)

TRUST THE LIGHT

The weather forecast said bomb cyclone. That’s what happens when a winter storm rapidly intensifies as the atmospheric pressure drops. By the time night fell, the blizzard conditions made the highway to the Denver airport almost impossible to see. Almost. But when it’s your daughter who’s flying home to visit, you do what you have to do. You pack extra clothes and water (just in case you get stranded on the highway), drive very slowly, pray without ceasing, and last but not least, trust your headlights. And sometimes you can achieve the almost impossible.

Jesus foretold of a storm on the horizon, one that would involve His death (JOHN 12:31–33), and one that would challenge His followers to stay faithful and serve (V. 26). It was going to get dark and be almost impossible to see. Almost. So what did Jesus tell them to do? Believe, or trust, the Light (V. 36). That was the only way they could keep going forward and stay faithful.

Jesus would only be with them a little while longer. But believers have His Spirit as our constant guide to light the way. We too will face dark times when it’s almost impossible to see the way ahead. Almost. But by believing, or trusting in the Light, we can press on. - JOHN BLASE

Today's Reading

JOHN 12:25–33, 35–36
Believe in the light . . . so that you may become children of light.
[ JOHN 12:36 ]

What dark season have you been through lately?
How did Jesus, the Light, help you keep going?

Jesus, thank You for being the light in my darkness.
Help me to trust and keep going.

오늘의 말씀

02/07/2021     주일

성경읽기: 레위기 1-3; 마태복음 24:1-28
찬송가: 382(통432)

잃은 것을 되찾다

젊은 목사는 전화기 대리점에서 나쁜 소식을 들을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하고 있었습니다. 성경공부 중에 실수로 스마트폰을 떨어뜨렸는데, 완전히 못 쓰게 된 줄 알았으나 그렇지 않았습니다. 점원은 그 목사의 성경공부 동영상과 사진들을 포함한 전화기 속의 모든 자료를 복구해 주었습니다. 목사는 말했습니다. “그녀는 내가 지웠던 사진들까지도 복구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 가게는 내 부서진 전화기도 새것으로 바꿔줬습니다. 잃어버린 것보다 ‘더’ 돌려받은 것이지요.”

다윗은 한때 악한 아말렉 족속의 공격을 받은 후 복구를 위한 원정에 나섰습니다. 블레셋의 방백들에게 외면당한 다윗과 그의 군대는 자신들의 시글락 성읍이 아말렉 족속에 의해 침략당해 불에 타버린 것을 알게 되었던 것입니다. 게다가 자기들의 아내와 자녀들을 포함하여 “거기에 있는 여인들은 다” 사로잡혀 갔습니다(사무엘상 30:2-3). 그래서 “다윗과 그와 함께 한 백성이 울 기력이 없도록 소리 높여 울었습니다”(4절). 병사들은 그들의 지도자 다윗을 향한 너무 쓰라린 마음에 그를 “돌로 치자”고 했습니다(6절).

그러나 “다윗은......그의 하나님 여호와를 힘입고 용기를 얻었습니다” (6절).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다윗은 아말렉 족속을 추격하여 “아말렉 사람들이 빼앗아 갔던 모든 것을 도로 찾고......그들이 약탈하였던 것 곧 무리의 자녀들이나 빼앗겼던 것은 크고 작은 것을 막론하고 아무것도 잃은 것이 없이 모두 다윗이 도로 찾아왔습니다”(18-19절). 영적인 공격을 당하여 소망까지 “빼앗기게” 될 때,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힘을 얻으시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은 삶의 모든 어려운 순간에 우리와 함께 하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30:1-6, 18-19
다윗이......그의 하나님 여호와를 힘입고 용기를 얻었더라
[사무엘상 30:6]

당신은 어떤 영적 공격이나 삶의 상실을 겪고 있습니까?
절망으로부터 하나님께로 돌아설 때, 어떻게 주님 안에서 새로운 힘을 얻게 될까요?

하나님, 인생의 어려운 일을 만날 때라도 하나님 안에서 소망을 갖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7/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LEVITICUS 1–3; MAT THEW 24:1–28
Hymn: 382(old 432)

RECOVERING WHAT’S LOST

At the phone store, the young pastor steeled himself for bad news. His smartphone, accidentally dropped during our Bible class, was a total loss, right? Actually, no. The store clerk recovered all of the pastor’s data, including his Bible videos and photos. She also recovered “every photo I’d ever deleted,” he said. The store also “replaced my broken phone with a brand-new phone.” As he said, “I recovered all I had lost and more.”

David once led his own recovery mission after an attack by the vicious Amalekites. Spurned by Philistine rulers, David and his army discovered the Amalekites had raided and burned down their town of Ziklag—taking captive “the women and everyone else in it,” including all their wives and children (1 SAMUEL 30:2–3). “So David and his men wept aloud until they had no strength left to weep” (V. 4). The soldiers were so bitter with their leader David that they talked of “stoning him” (V. 6).

“But David found strength in the Lord his God” (V. 6). As God promised, David pursued the Amalekites and “recovered everything the Amalekites had taken . . . . Nothing was missing: young or old, boy or girl, plunder or anything else they had taken. David brought everything back” (VV. 18–19). As we face spiritual attacks that “rob” us even of hope, may we find renewed strength in God. He will be with us in every challenge of life.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1 SAMUEL 30:1–6, 18–19
But David found strength in the Lord his God.
[ 1 SAMUEL 30:6 ]

What spiritual attacks or life loss are you experiencing?
Turning from your despair to God, how will you find renewed strength in Him?

God, help me to find hope in You even as I face life’s challenges.

오늘의 말씀

02/06/2021     토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39-40; 마태복음 23:23-39
찬송가: 502(통259)

당신의 명성은 어떻습니까?

어느 고등학교의 스포츠 행사 때마다 테드는 관중석에서 응원하는 사람들 중에 가장 덩치가 크고 제일 목소리가 큰 사람이었습니다. 퇴행성 질환으로 몸이 쇠약해지기 전에 그는 6피트 6인치(약 2미터)의 키에 몸무게가 290파운드(약 132킬로그램)까지 나갔었습니다. 테드가 외치는 “블루!”(학교의 상징색)라는 구호나, 학교행사 때 캔디를 던져주던 일들은 전설이 되어 그는 “빅 블루”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테드가 그 지역에서 유명해진 것은 응원 때문도 아니었고, 또 젊었을 때의 알코올 중독 때문도 아니었습니다. 그것보다 하나님과 가족에 대한 사랑, 그리고 주는 것을 좋아하는 따뜻한 사람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그의 삶을 추모하는 4시간에 걸친 장례식에서 많은 사람들이 앞으로 나와 복음 안에 있는 예수님의 권능으로 구원받은 한 남자의 예수님을 닮은 힘찬 삶에 대해 간증했습니다.

에베소서 5장 8절에서, 바울은 신자들에게 “전에는 어둠이더니”라고 한 후, 곧이어 “이제는 주 안에서 빛이라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고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을 믿는 모든 신자들이 들어야 할 말씀입니다. 테드와 같은 빛의 자녀들은 이 세상의 어둠 속에 빠져 있는 사람들을 위해 할 일이 많습니다. “어둠의 열매 없는 일”에 참여해서는 안 됩니다(3-4, 11절 참조). 그리스도의 빛을 받은 믿는 사람들은 우리 지역뿐 아니라 온 세상에서 남달리 구별되는 뛰어난 증인들이 되어야 합니다(14절). 어떻게 달라야 할까요? 어둠과 빛이 다른 것처럼 그렇게 달라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5:8-14
너희가 전에는 어둠이더니 이제는 주 안에서 빛이라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에베소서 5:8]

주님의 빛을 좀 더 주도적으로 세상에 비추는 일을 망설이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우리 주위에 주님의 빛이 필요한 곳이 어디입니까?

하나님 아버지, 빛이 되는 일에 소극적인 저를 용서해 주시고, 저를 인도하여 이 세상 어두운 곳에 빛으로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02/06/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9–40; MAT THEW 23:23–39
Hymn: 502(old 259)

WHAT’S YOUR REPUTATION?

At local high school sporting events, Ted was the largest and loudest cheerleader in the stands. Before a degenerative condition took its toll on him, he stood six feet six inches tall and weighed 290 pounds. Ted’s crowd-stirring chants of “Blue!” (the school’s color) and candy-tossing at school events were legendary, earning him the name “Big Blue.”

But Ted’s reputation in his community wasn’t just for cheerleading. Neither was it for the alcohol addiction he experienced as a younger man. No, he will be remembered for his love for God and family, for his generosity and kindness. At a four-hour “homegoing service” that celebrated his life, person after person came forward to testify about the vibrant Christlike ways of a man who’d been rescued from darkness by the power of Jesus through the gospel.

In Ephesians 5:8, Paul reminded believers that they “were once darkness” but quickly noted, “but now you are light in the Lord. Live as children of light.” Such is the call for every believer in Jesus. Children of light, like Ted, have much to offer those engulfed in this world’s darkness. “Fruitless deeds of darkness” are to be avoided (SEE VV. 3–4, 11). Those in our communities and throughout the world need the brilliant, distinctive witness of those upon whom Jesus has shined (V. 14). How distinctive? As different as light is from darkness. -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EPHESIANS 5:8–14
Now you are light in the Lord. Live as children of light.
[ EPHESIANS 5:8 ]

What are some reasons you hesitate to more intentionally spread Christ’s light in this world?
Where are the places around you that need His light?

Father, forgive me for my passivity about being light. Lead me and use me as light in the dark spaces of this world.

오늘의 말씀

02/05/2021     금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36-38; 마태복음 23:1-22
찬송가: 524(통313)

단단히 붙잡으라

헤리엇 터브맨은 19세기 미국의 위대한 영웅 중의 한 사람입니다. 그녀는 미국 북부의 자유 지역으로 탈출하여 자신이 먼저 노예 상태에서 벗어난 후 300명이 넘는 같은 처지의 노예들을 자유로 인도하는 놀라운 용기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녀는 자신이 얻은 자유를 누리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열아홉 차례에 걸쳐 노예제도가 있는 여러 주로 되돌아가 친구와 가족과 모르는 사람들까지 자유로 인도해내는 일을 감행했으며, 때로는 캐나다까지 걸어서 그들을 인도하기도 했습니다.

무엇이 터브맨으로 하여금 그처럼 용감한 일을 하게 했을까요? 믿음이 깊은 그녀는 언젠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항상 하나님께 이렇게 말했어요. 제가 하나님을 단단히 붙잡고 있을 테니, 하나님께서 저를 책임져 주셔야 해요.” 사람들을 인도하여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게 할 때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지했던 것이 그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보증 마크였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손을 “단단히 붙잡는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이사야서의 한 구절은 우리가 하나님의 손을 잡을 때 실제로는 하나님이 우리를 붙잡으시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이사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이렇게 전합니다. “이는 나 여호와 너의 하나님이 네 오른손을 붙들고 네게 이르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도우리라”(41:13).

헤리엇이 하나님을 단단히 붙잡자 하나님이 그녀를 책임져 주셨습니다. 당신은 지금 어떤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의 손과 삶을 “붙잡고” 계시므로 하나님의 손을 단단히 잡고 계십시오.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하나님이 당신을 도와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1:10-13
이는 나 여호와 너의 하나님이 네 오른손을 붙잡고
[이사야 41:13]

지금 당신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입니까? 어떤 행위와 말로 당신이 하나님을 믿고 있다는 것을 그분께 알려드리겠습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제 힘만으로 살아가려고 할 때 삶이 힘듭니다.
그래서 아버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큰 문제에 마주칠 때, 제 곁에 오셔서 저 혼자가 아님을 알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2/05/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6–38; MAT THEW 23:1–22
Hymn: 524(old 313)

HOLD STEADY

Harriet Tubman was one of the great American heroes of the nineteenth century. Showing remarkable courage, she guided more than three hundred fellow slaves to freedom after she first escaped slavery by crossing into free territory in the United States North. Not content to simply enjoy her own freedom, she ventured back into slave states nineteen times to lead friends, family, and strangers to freedom, sometimes guiding people on foot all the way to Canada.

What drove Tubman to such brave action? A woman of deep faith, she at one time said this: “I always told God, I’m going to hold steady on you, and you’ve got to see me through.” Her dependence on God’s guidance as she led people out of slavery was a hallmark of her success.

What does it mean to “hold steady” to God? A verse in the prophecy of Isaiah might help us see that in reality it’s He who holds us as we grab His hand. Isaiah quotes God, who said, “I am the Lord your God who takes hold of your right hand and says to you, Do not fear; I will help you” (41:13).

Harriet held tightly to God, and He saw her through. What challenges are you facing? Hold steady to God as He “takes hold” of your hand and your life. “Do not fear.” He will help you. - DAVE BRANON

Today's Reading

ISAIAH 41:10–13
I am the Lord your God who takes hold of your right hand.
[ ISAIAH 41:13 ]

What’s your biggest challenge right now? What can you do or say to let God know you trust Him?

Father in heaven, life is hard when I try to do it alone, so I need Your help.
Please come alongside me in my greatest challenges and help me know I’m not alone.

오늘의 말씀

02/04/2021     목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34-35; 마태복음 22:23-46
찬송가: 566(통301)

믿음에 투자하라

한 소년이 열두 번째 맞는 크리스마스 때 트리 밑에 있는 선물들을 열어보는 시간을 애타게 기다렸습니다. 그는 새 자전거를 몹시 갖고 싶어 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선물로 ‘사전’을 받으면서 그의 바람은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사전의 첫 장에는 “엄마 아빠가 찰스에게, 1958년. 학교에서 최선을 다하길 바라는 소망과 사랑으로”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그 후 10년 동안 척은 정말 공부를 잘 했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나중에 항공 훈련도 마쳤습니다. 그는 조종사로 해외에서 일하면서 열정을 다해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그들에게 예수님을 전했습니다. 이 선물을 받은 지 6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는 낡아버린 그 사전을 손주들에게 보여주며 그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것은 그에게 부모님이 사랑으로 자신의 미래에 투자한 하나의 상징이 되었고, 척은 지금도 그것을 소중히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부모님이 하나님과 성경에 대해 가르치시면서 그의 믿음이 자라도록 매일 투자한 것에 대해 더 감사하고 있습니다.

신명기 11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아이들과 하나님의 말씀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또 그것을 너희의 자녀에게 가르치며 집에 앉아 있을 때에든지, 길을 갈 때에든지, 누워 있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하고”(19절).

척이 어렸을 때 심어진 영원한 가치들은 그가 구주를 평생 섬기는 것으로 꽃을 피웠습니다. 하나님께서 가능케 하시면, 우리가 누군가의 영적 성장을 위해 투자한 것이 얼마나 많은 열매를 맺을지 그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11:18-20
또 [나의 이 말을] 너희의 자녀에게 가르치며
[신명기 11:19]

당신이 자랄 때 누가 당신의 영적인 삶에 투자해 주었습니까?
어떻게 아이들의 마음을 성경 속의 지혜로 이끌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성경 속의 지혜를 읽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하셔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자라고 그것을 아이들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 나누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4/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4–35; MAT THEW 22:23-46
Hymn: 566(old 301)

FAITH INVESTMENTS

On his twelfth Christmas, the boy eagerly awaited the opening of the gifts under the tree. He was yearning for a new bike, but his hopes were dashed—the last present he received was a dictionary. On the first page, he read: “To Charles from Mother and Daddy, 1958. With love and high hopes for your best work in school.”

In the next decade, Chuck did do well in school. He graduated from college and later, aviation training. He became a pilot working overseas, fulfilling his passion to help people in need and to share Jesus with them. Now some sixty years after receiving this gift, he shared the well-worn dictionary with his grandchildren. It had become for him a symbol of his parents’ loving investment in his future, and Chuck still treasures it. But he’s even more grateful for the daily investment his parents made in building his faith by teaching him about God and the Scriptures.

Deuteronomy 11 talks about the importance of taking every opportunity to share the words of Scripture with children: “Teach them to your children, talking about them when you sit at home and when you walk along the road, when you lie down andwhen you get up” (V. 19).

For Chuck, the eternal values planted when he was a boy bloomed into a lifetime of service for his Savior. With God’s enablement, who knows how much our investment in someone’s spiritual growth will yield. -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11:18–20
Teach [these words of mine] to your children.
[ DEUTERONOMY 11:19 ]

Who invested in your spiritual life as you were growing up?
How can you direct children’s hearts to the wisdom found in Scripture?

Loving Father, help me to invest more of my time reading the wisdom found in the Bible so that I may grow in my knowledge of You and share it with others—including children.

오늘의 말씀

02/03/2021     수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31-33; 마태복음 22:1-22
찬송가: 366(통485)

축복을 기다림

방콕의 인기 있는 한 식당은 지난 45년간 매일 조금씩 채워가며 계속 끓여온 육수로 만든 수프를 제공합니다. “영원한 국”이라 불리는 이 방식은 중세 때부터 유래되었습니다. 가끔은 “남은 음식”이 며칠 후 더 맛있어지는 것처럼 오랫동안 끓이면 맛이 우러나와 독특한 맛을 만들어냅니다. 그 식당은 태국에서 가장 맛있는 육수로 여러 번 상을 받았습니다.

좋은 일들은 종종 시간이 오래 걸리곤 하지만 우리 인간의 성품은 기다리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성경 곳곳에도 “어느 때까지리이까”라는 질문이 등장합니다. 하박국 선지가가 이에 맞는 예입니다. 그는 하박국서를 이런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니 어느 때까지리이까”(하박국 1:2). 하박국(“붙잡고 싸우는 자”라는 뜻의 이름)은 하나님이 무자비한 바벨론 왕국의 침략을 통해 그의 나라(유다) 를 심판하신다는 것을 예언하면서, 남을 착취하는 부패한 백성이 번성하는
것을 하나님이 어떻게 그냥 내버려 두시는지를 놓고 씨름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소망을 주시며 그분의 때에 다시 회복하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이 [하나님의 도움의] 묵시는 정한 때가 있나니......비록 더딜지라도 기다리라 지체되지 않고 반드시 응하리라”(2:3).

바벨론 포로생활은 70년 동안 이어졌습니다. 인간의 셈으로는 긴 시간 이지만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시고 그분의 말씀을 지키십니다.

하나님의 가장 큰 축복의 어떤 것은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비록 더딜지라도 계속 그분을 바라보십시오! 하나님은 완전한 지혜와 돌보심으로 모든 축복을 준비하십니다. 하나님은 기다리면 언제나 좋은 것을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1:12-2:4
비록 더딜지라도 기다리라
[하박국 2:3]

하나님께 어떤 축복을 기다리고 계십니까? 축복이 언제 임하든 관계없이 그분을 어떻게 경배하시렵니까?

아빠, 아버지, 제 삶의 모든 시기에 선하시고 신실하시니 감사합니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기대하며 바라보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3/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31–33; MAT THEW 22:1–22
Hymn: 366(old 485)

WAITING FOR A BLESSING

A popular restaurant in Bangkok serves soup from a broth that has been cooking for forty-five years and is replenished a bit each day. The practice, called “perpetual stew,” dates back to medieval times. Just as some “leftovers” taste better a few days later, the extended cooking time blends and creates unique flavors. The restaurant has won multiple awards for the most delicious broth in Thailand.

Good things often take time, but our human nature struggles with patience. The question “How long?” occurs throughout the Bible. One poignant example is from the prophet Habakkuk, who begins his book by asking, “How long, Lord, must I call for help, but you do not listen?” (HABAKKUK 1:2). Habakkuk (whose name means “grappler”) prophesied God’s judgment on his country (Judah) through the invasion of the ruthless Babylonian Empire, and he wrestled with how God could allow corrupt people to prosper as they exploited others. But God promised hope and restoration in His own time: “For the revelation [of God’s help] awaits an appointed time . . . . Though it linger, wait for it; it will certainly come and will not delay” (2:3).

The Babylonian captivity lasted seventy years. By human reckoning that’s a long time, but God is always faithful and true to His Word.

Some of God’s best blessings may be long in coming. Though they linger, keep looking to Him! He prepares every blessing with perfect wisdom and care—and He’s always worth waiting for. - JAMES BANKS

Today's Reading

HABAKKUK 1:12–2:4
Though it linger, wait for it.
[ HABAKKUK 2:3 ]

What blessings are you waiting for from God? How do you plan to worship Him regardless of when blessings come?

Abba, Father, thank You for Your kindness and faithfulness in every season and blessing of life.
Help me to look forward to You most of all.

오늘의 말씀

02/02/2021     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9-30; 마태복음 21:23-46
찬송가: 342(통395)

더 잘 자라게 가지치기

러시안 세이지(관목 식물의 일종)에 꿀벌이 사뿐히 내려앉는 것을 보며 나는 무성히 자란 그 관목이 발산하는 색조에 감탄하였습니다. 나무의 눈부신 푸른 꽃들은 우리의 눈길을 끌고 벌들도 끌어당겼습니다. 그러나 작년 가을까지만 해도 나는 이 나무가 꽃을 다시 피울 수 있을지 의심스러웠습니다. 왜냐하면 장인 장모님이 이 페리윙클(푸른 꽃을 피우는 식물)을 밑동까지 가지치기하시는 것을 보고 그것을 없애버리려고 그러시는 줄 알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때엔 무자비하게 느껴졌던 가지치기였지만 지금 그 빛나는 결과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사정없이 잘라낸 데서 놀랍도록 아름다운 것이 나오는 그 모습에, 예수님도 믿는 자들 가운데 행하시는 하나님의 역사를 가지치기 이야기로 설명하셨는지 모릅니다. 요한복음 15장에서 예수님은 “나는 참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농부라...... 무릇 열매를 맺는 가지는 더 열매를 맺게 하려 하여 그것을 깨끗하게 하시느니라”(1-2절)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하나님이 좋은 때나 나쁜 때나 언제든지 우리 안에서 영적인 회복과 결실을 위해 일하고 계신다는 것을 상기시켜 줍니다(5절). 살다가 어려움이 생기고 정서도 바닥나 “가지치기”의 과정에 들어서면 언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의문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그분께 계속 붙어있으라고 권하십니다.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아니하면 스스로 열매를 맺을 수 없음 같이 너희도 내 안에 있지 아니하면 그러하리라”(4절).

예수님으로부터 영적인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얻을 때 우리 삶에 나타나는 아름다움과 결실들이(8절) 하나님의 선하심을 세상에 드러내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5:1-12
무릇 열매를 맺는 가지는 더 열매를 맺게 하려 하여 그것을 깨끗하게 하시느리라 [요한복음 15:2]

하나님께서 당신의 힘든 삶을 성장과 결실을 위해 사용하시는 것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시간이 지나면 하나님의 손길이 우리 삶 가운데 역사하신 것을 볼 수 있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하나님 아버지, 제 삶에 아름다움과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하나님께서 일하 신다는 것을 알고, 제 인생의 어려운 시절에도 하나님을 신뢰하게 하소서.

Daily Article

02/02/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9–30; MAT THEW 21:23–46
Hymn: 342(old 395)

PRUNED TO THRIVE

As I watched a bumblebee land lightly on the Russian sage, I marveled at the bush’s lush branches exploding with color. Its brilliant blue blossoms attracted eyes and bees alike. Yet only last fall, I’d wondered if it would ever blossom again. When my wife’s parents trimmed the periwinkle plant down to a stub, I’d assumed they’d decided to get rid of it. But now I was witnessing the radiant result of pruning that had seemed brutal to me.

The surprising beauty that results from harsh cuts may be one of the reasons Jesus chose pruning imagery to describe God’s work among believers. In John 15, He says, “I am the true vine, and my Father is the gardener. . . . Every branch that does bear fruit he prunes so that it will be even more fruitful” (VV. 1–2).

Jesus’ words remind us that in the good times and bad, God is always working in us toward spiritual renewal and fruitfulness (V. 5). During “pruning” seasons of suffering or emotional barrenness, we may wonder if we’ll ever thrive again. But Christ encourages us to continue to stick close to Him: “No branch can bear fruit by itself; it must remain in the vine. Neither can you bear fruit unless you remain in me” (V. 4).

As we continually draw spiritual nourishment from Jesus, the resulting beauty and fruitfulness in our lives (V. 8) will show the world God’s goodness. - ADAM R. HOLZ

Today's Reading

JOHN 15:1–12
Every branch that does bear fruit he prunes so that it will be even more fruitful. [ JOHN 15:2 ]

How have you seen God use struggle in your life to produce growth and fruitfulness?
How do you think time gives us the perspective to see God’s hand at work in our lives?

Father, help me to trust You during difficult seasons in my life, knowing that You are at work to bring beauty and change.

오늘의 말씀

02/01/2021     월요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7-28; 마태복음 21:1-22
찬송가: 204(통379)

반석 위에 지은 집

미국의 어느 주에는 3만 4천호나 되는 집이 잘못된 기초공사로 붕괴될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한 콘크리트 회사가 어느 채석장에서 돌에 광물질이 섞여있는 것을 모른 채 돌을 캐내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것 때문에 콘크리트가 갈라지고 부서지게 된 것입니다. 이미 6백여 채의 집이 무너졌고 그 숫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급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수님은 잘못된 기초 위에 집을 짓는 것에 비유하시면서 우리 삶을 불안정한 토대 위에 짓는 것은 그보다 훨씬 위험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 중 어떤 사람들은 삶을 견고한 반석 위에 지어서 극심한 폭풍우를 만나도 든든히 서 있을 수 있지만, 어떤 사람들은 모래 위에 세워 폭풍이 몰아칠 때 “심하게” 무너져버린다고 하셨습니다(마태복음 7:27). 흔들리지 않는 토대와 무너지는 토대의 한 가지 차이는 그리스도의 말씀을 “실천”하느냐 않느냐는 것입니다(26절). 문제는 주님의 말씀을 ‘듣느냐’ 아니냐가 아니라, 주님께서 힘주실 때 그 말씀을 ‘실천하느냐’ 않느냐 하는 것입니다.

세상에는 많은 지혜와 더불어 많은 조언과 도움들이 있고 그중 많은 것이 선하고 유익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진리에 겸손히 순종하는 것 외의 다른 기초에 우리 삶을 세우면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힘으로 그분의 말씀을 행하는 것만이 집, 곧 우리 ‘삶’을 반석 위에 짓는 유일한 길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7:24-29
누구든지 나의 이 말을......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으리니 [마태복음 7:24]

누구의 지혜나 통찰, 의견을 가장 많이 듣습니까?
예수님의 말씀을 실천하며 삶의 기초를 더 잘 세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 제 삶의 많은 경우가 불안하고, 그때뿐이고, 모래 위에 지은 삶 같습니다. 이젠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하나님께 순종하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2/01/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7–28; MAT THEW 21:1–22
Hymn: 204(old 379)

A HOUSE ON A ROCK

As many as 34,000 homes in one US state are at risk of collapsing due to faulty foundations. Without realizing it, a concrete company pulled stone from a quarry laced with a mineral that, over time, causes concrete to crack and disintegrate. The foundations of nearly six hundred homes have already crumbled, and that number will likely skyrocket over time.

Jesus used the image of building a home atop a faulty foundation to explain the far riskier danger of building our lives on unsteady ground. He explained how some of us construct our life on sturdy rock, ensuring that we hold solid when we face fierce storms. Others of us, however, erect our lives on sand; and when the tempests rage, our lives tumble “with a great crash” (MATTHEW 7:27). The one distinction between building on an unshakable foundation and a crumbling one is whether or not we put
Christ’s words “into practice” (V. 26). The question isn’t whether or not we hear His words, but whether we practice them as He enables us.

There’s much wisdom offered to us in this world—plus lots of advice and help—and much of it is good and beneficial. If we base our life on any foundation other than humble obedience to God’s truth, however, we invite trouble. In His strength, doing what God says is the only way to have a house, a life, built on rock.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T THEW 7:24–29
Everyone who [practices] these words of mine . . . is like a wise man who built his house on the rock. [ MATTHEW 7:24 ]

Whose wisdom, insights, or opinions do you listen to the most?
How can you better build your life’s foundation by putting Jesus’ words into practice?

God, so much of what I experience feels unsteady and temporary, a life built on sand. I want to live a solid life. Help me to obey You.

오늘의 말씀

01/31/2021     주일

성경읽기: 출애굽기 25-26; 마태복음 20:17-34
찬송가: 293(통414)

용서가 있는 미래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정책) 정부 체제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하던 1994년 당시, 아파르트헤이트 체제 때 저질러진 범죄 행위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심각한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국가 지도자들은 과거사를 덮어둘 수 없었지만, 단순히 그 범죄에 대해 가혹한 형벌을 내리면 국가의 상처를 더 심화시킬 위험이 있었습니다. 남아공 성공회의 첫 흑인 대주교인 데스먼드 투투는 그의 저서 ‘용서 없이는 미래도 없다’에서 이렇게 회고했습니다. “우리도 보복적인 정의로 충분히 정의로울 수 있었다. 하지만 그랬다면 남아공은 잿더미가 되었을 것이다.”

새 민주정부는 진실화해위원회를 세워서 진실과 정의, 자비를 모두 추구하는 쉽지 않은 길을 택했습니다. 죄를 지은 자가 진심으로 죄를 고백하고 보상하고자 하면 회복의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용기 있게 진실을 직면함으로써 이 나라는 치유의 걸음을 내디딜 수 있었습니다.

남아공의 딜레마에서 우리는 우리 모두가 겪는 문제점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정의와 자비를 둘 다 함께 행하라는 부르심을 받았지만(미가 6:8), 정의를 행하는 것이 종종 보복으로 왜곡되기도 하고, 자비는 책임을 덮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나아가야 할 유일한 길은 “악을 미워하면서도”(로마서 12:9) 우리가 변화되어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않기를 바라게 되는 그런 사랑입니다 (13:10). 우리는 그리스도의 영을 힘입음으로 선으로 악을 이기는(12:21) 미래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21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로마서 12:21]

자비와 은혜를 목적했던 것이 불의를 용납하는 것으로 왜곡돼 보인 적이 있습니까? 정의와 자비가 조화를 이루는 것을 본 적이 있는지요?

사랑의 하나님, 저를 둘러싼 고통과 불의로 괴로울 때, 변화시키고 치유하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을 굳게 믿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정의와 자비, 그리고 사랑을 제 삶으로 나타내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1/31/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XODUS 25–26; MAT THEW 20:17–34
Hymn: 293(old 414)

A FUTURE WITH FORGIVENESS

In 1994, when South Africa made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by apartheid (imposed racial segregation) to a democracy, it faced the difficult question of how to address the crimes committed under apartheid. The country’s leaders couldn’t ignore the past, but merely imposing harsh punishments on the guilty risked deepening the country’s wounds. As Desmond Tutu, the first black Anglican Archbishop of South Africa, explained in his book No Future Without Forgiveness, “We could very well have had justice, retributive justice, and had a South Africa lying in ashes.”

Through establishing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the new democracy chose the difficult path of pursuing truth, justice, and mercy. Those guilty of crimes were offered a path to restoration—if they were willing to confess their crimes and seek to make restitution. Only by courageously facing the truth could the country begin to find healing.

In a way, South Africa’s dilemma mirrors the struggle we all face. We’re called to pursue both justice and mercy (MICAH 6:8), but mercy is often misunderstood to be a lack of accountability, while pursuing justice can become distorted into pursuing revenge.

Our only path forward is a love that not only “hates what is evil” (ROMANS 12:9) but also longs for the transformation and good of our “neighbor” (13:10). Through the power of Christ’s Spirit, we can learn what it means to have a future of overcoming evil with good (12:21).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ROMANS 12:9–21
Do not be overcome by evil, but overcome evil with good. [ ROMANS 12:21 ]

When have you witnessed times when the goal of mercy and grace seemed distorted to enable injustice? When have you seen both justice and mercy working in harmony?

Loving God, when the pain and injustice around me breaks my heart, help me to still believe in Your love and power to transform and heal. Help me to point with my life to Your justice, mercy, and lov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