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4/10/2021     토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5-16; 누가복음 10:25-42
찬송가: 31(통46)

찬양 속에서 찾는 기쁨

영국의 저명한 작가 C.S. 루이스는 예수님께 처음으로 그의 삶을 드렸을 때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꺼렸습니다. 사실, 그는 찬양이 “걸림돌”이라고까지 말했습니다. 그의 고민은 “하나님이 친히 찬양을 요구하셨다고 하는 사실”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루이스는 마침내 “하나님은 예배 받으시는 중에” 그의 백성들에게 “자신의 현존을 나타내신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렇게 하실 때, “거울이 받는 빛”과 “거울이 내는 빛”을 분리할 수 없는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의 온전한 사랑으로” 그분 안에서 분리할 수 없는 기쁨을 누리게 됩니다.

하박국 선지자도 오래 전에 같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하박국은 유다 백성들의 악을 하나님 앞에 불평한 후, 하나님이 하시는 일보다도 하나님 그분만으로 하나님을 찬양할 때 기쁨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처럼 나라나 세계에 위기가 있을 때에도 하나님은 여전히 위대하십니다. 하박국 선지자가 다음과 같이 선포한 것처럼 말입니다.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하지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으며 감람나무에 소출이 없으며 밭에 먹을 것이 없으며 우리에 양이 없으며 외양간에 소가 없을지라도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나의 구원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리로다”(하박국 3:17-18).

C.S. 루이스가 깨달은 것처럼, “온 세상에 찬양이 울려 퍼집니다.” 하박국도 똑같이 “행하심이 예로부터 그러하신”(6절) 그분 안에서 풍성한 기쁨을 발견하며 늘 하나님을 찬송하는 데 자신을 바쳤습니다.

오늘의 성구

하박국 3:6, 16-19
나는 여호와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며 [하박국 3:18]

사랑의 하나님, 어려울 때에도 제 영혼이 풍족하여 마음과 입술로 기쁨이 넘치는 찬양을 하나님께 드리게 하소서.

당신은 하나님을 찬양할 때 영적으로 어떤 영향을 받습니까? 하나님의 선하심을 묵상하면서, 오늘 그분을 찬양할 세 가지를 말해 보십시오.

Daily Article

04/10/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5–16; LUKE 10:25–42
Hymn: 31(old 46)

FINDING JOY IN PRAISE

When the famous British writer C. S. Lewis first gave his life to Jesus, he initially resisted praising God. In fact, he called it “a stumbling block.” His struggle was “in the suggestion that God Himself demanded it.” Yet Lewis finally realized “it is in the process of being worshipped that God communicates His presence” to His people. Then we, “in perfect love with God,” find joy in Him no more separable “than the brightness a mirror receives” from the “brightness it sheds.”

The prophet Habakkuk arrived at this conclusion centuries earlier. After complaining to God about evils aimed at the people of Judah, Habakkuk came to see that praising Him leads to joy— not in what God does, but in who He is. Thus, even in a national or world crisis, God is still great. As the prophet declared:

“Though the fig tree does not bud and there are no grapes on the vines, though the olive crop fails and the fields produce no food, though there are no sheep in the pen and no cattle in the stalls, yet I will rejoice in the Lord” (HABAKKUK 3:17–18). “I will be joyful in God my Savior,” he added.

As C. S. Lewis realized, “The whole world rings with praise.” Habakkuk, likewise, surrendered to praising God always, finding rich joy in the One who “marches on forever” (V. 6).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HABAKKUK 3:6, 16–19
Yet I will rejoice in the Lord. [ HABAKKUK 3:18 ]

Loving God, even during hard times, stir in my heart—and on my lips—the rich spirit of joyful praise to You.

When you praise God, what’s the impact on your spirit? Reflecting on God’s goodness, name three things you can praise Him for today.

To learn more about the book of Habakkuk, visit ChristianUniversity.org/OT314.

오늘의 말씀

04/09/2021     금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3-14; 누가복음 10:1-24
찬송가: 189(통181)

거부받은 사람들의 피난처

수많은 사람들을 예수님께로 인도했던 조지 휫필드(1714-1770)는 역사상 가장 많은 은사를 받은 위대한 설교자 중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그의 삶에도 논란거리가 없지는 않았습니다. 수많은 관중을 수용하기 위해 야외에서 설교를 했던 그는 때때로 그의 의도를 의심하며 사방에 벽이 있는 교회 건물 안에서만 설교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사람들의 심한 비판의 말에 대한 휫필드의 대답은 그의 묘비명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나는 내 평판에 대한 진실이 밝혀지기를 심판의 날까지 편안히 기다릴 것입니다. 그리고 내가 죽은 뒤 묘비에는 이렇게만 써주시기 바랍니다. ‘여기 조지 휫필드 눕다. 그가 어떤 사람이었는지는 위대한 심판의 날이 밝혀주리라.’”

구약 성경에서 다윗도 다른 사람들에게 가혹한 비난을 받았을 때 자신을 하나님께 맡겼습니다. 반란을 주도한다는 사울의 거짓 모함을 받고 다가오는 사울의 군대를 피해 동굴에 숨어야만 했을 때, 다윗은 자신을 “사자 가운데서 살고”, “그들의 이는 창과 화살이요 그들의 혀는 날카로운 칼 같은” 사람들 중에 있다고 표현했습니다(시편 57:4). 그러나 그 힘든 곳에서도 다윗은 하나님께로 향하며 그분 안에서 안식을 얻었습니다. “무릇 주의 인자는 커서 하늘에 미치고 주의 진리는 궁창에 이르나이다”(10절).

다른 사람이 우리를 오해하고 거절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1절) 되십니다. 변함없이 자비로운 사랑을 베푸시는 하나님을 영원토록 찬양합시다!

오늘의 성구

시편 57
하나님이여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내 영혼이 주께로 피하되 [시편 57:1]

아바 아버지, 성자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저를 영원히 받아주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오늘 하나님의 완전하신 사랑에서 위안을 얻습니다.

낙심될 때 하나님의 자비를 깊이 생각하면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하나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09/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14; LUKE 10:1–24
Hymn: 189(old 181)

REFUGE FOR THE REJECTED

George Whitefield (1714–1770) was one of the most gifted and effective preachers in history, leading thousands to faith in Jesus. But his life wasn’t without controversy. His practice of preaching outdoors (to accommodate large crowds) was sometimes criticized by those who questioned his motives and felt he should speak only within the four walls of a church building. Whitefield’s epitaph sheds light on his response to others’ harsh words: “I am content to wait till the Day of Judgment for the clearing up of my character; and after I am dead, I desire no other epitaph than this, ‘Here lies George Whitefield—what sort of a man he was, the great day will discover.’ ”

In the Old Testament, when David faced harsh criticism from others, he too entrusted himself to God. When Saul falsely accused David of leading a rebellion and he was forced to hide from Saul’s approaching army in a cave, David described being “in the midst of lions,” among “men whose teeth are spears and arrows, whose tongues are sharp swords” (PSALM 57:4). But even in that difficult place, he turned to God and found comfort in Him: “For great is your love, reaching to the heavens; your faithfulness reaches to the skies” (V. 10).

When others misunderstand or reject us, God is our “refuge” (V. 1). May He be forever praised for His unfailing and merciful love!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57
Have mercy on me, my God, have mercy on me, for in you I take refuge. [ PSALM 57:1 ]

Abba Father, I praise You that I can be accepted by You forever because of Your Son. I take refuge in Your perfect love today.

How does dwelling on God’s mercy help you when you’re discouraged? How can you demonstrate His love to another?

오늘의 말씀

04/08/2021     목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0-12; 누가복음 9:37-62
찬송가: 366(통485)

사랑으로 자제하기

대부분의 사모아 소년들은 자기 민족과 족장에 대한 책임감을 표시하는 문신을 새깁니다. 그래서 자연히 사모아 남자 럭비팀의 팔뚝에는 그 표시가 가득합니다. 그런 문신들이 부정적인 이미지가 될 수 있는 일본으로 여행할 때 럭비 팀원들은 그들을 초대한 사람들에게 그것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사려 깊은 우정의 행위로 그들은 피부색 소매를 입어 문신을 가렸습니다. “우리는 일본의 문화를 존중하고 배려합니다. 우리 모습에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하겠습니다.”라고 팀 주장이 설명했습니다.

개인의 표현을 강조하는 이 시대에 자기 절제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참 놀랍습니다. 이것은 바울 사도가 로마서에 기록하고 있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그는 때때로 사랑은 다른 이들을 위해 우리의 권리를 내려놓기를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랑은 우리의 자유를 최대한 밀어부치기 보다는 때때로 우리를 자제하게 합니다. 사도는 교회의 어떤 이들은 “모든 것을 먹을” 자유가 있다고 믿지만, 어떤 이들은 “채소만” 먹는다고 설명합니다(로마서 14:2). 이것은 사소한 문제 같지만, 초대교회 시대에는 음식에 관한 구약의 율법을 고수하는 것 때문에 논란이 많았습니다. 바울은 먼저 모두에게 “서로 비판하지 말라”(13절)고 지시하면서, 자유롭게 먹는 사람들을 향해 특별히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고기도 먹지 아니하고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고 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21절).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은 때로는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해서 다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때에 따라 사랑으로 자제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4:1-13
무엇이든지 네 형제로 거리끼게 하는 일을 아니함이 아름다우니라 [로마서 14:21]

하나님, 어디서 다른 사람들이 자유를 누리도록 격려하며, 어떻게 저의 자유를 제한해야 하는지 알게 해주소서.

당신은 언제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는 다른 성도들를 위해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을 보셨습니까? 그 모습은 어떤 모습이었습니까? 사랑이 우리를 자제시킬 때 어떤 어려운 점들이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08/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0–12; LUKE 9:37–62
Hymn: 366(old 485)

LOVE REINS US IN

Most young Samoan boys receive a tattoo signaling their responsibility to their people and their chief. Naturally, then, the marks cover the arms of the Samoan men’s rugby team members. Traveling to Japan where tattoos can carry negative connotations, the teammates realized their symbols presented a problem for their hosts. In a generous act of friendship, the Samoans wore skin-colored sleeves covering the designs. “We’re respectful and mindful to . . . the Japanese way,” the team captain explained. “We’ll be making sure that what we’re showing will be okay.”

In an age emphasizing individual expression, it’s remarkable to encounter self-limitation—a concept Paul wrote about in the book of Romans. He told us that love sometimes requires us to lay down our rights for others. Rather than pushing our freedom to the boundaries, sometimes love reins us in. The apostle explained how some people in the church believed they were free “to eat anything,” but others ate “only vegetables” (ROMANS 14:2). While this might seem like a minor issue, in the first century, adherence to Old Testament dietary laws was controversial. Paul instructed everyone to “stop passing judgment on one another” (V. 13), before concluding with particular words for those who ate freely. “It is better not to eat meat or drink wine or to do anything else that will cause your brother or sister to fall” (V. 21).

At times, loving another means limiting our own freedoms. We don’t have to always do everything we’re free to do. Sometimes love reins us in. WINN COLLIER

Today's Reading

ROMANS 14:1–13
It is better not to . . . do anything . . . that will cause your brother or sister to fall. [ ROMANS 14:21 ]

God, help me to see where I need to encourage others to experience freedom and how I need to limit how I use my own freedoms.

When have you seen people limit their freedom for the sake of other believers in Jesus? What was that like? What’s difficult about those situations where love reins us in?

오늘의 말씀

04/07/2021     수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7-9; 누가복음 9:18-36
찬송가: 438(통495)

언제나 변함없이

1986년 1월 28일, 미국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이륙 후 73초 만에 산산조각이 났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국민을 위로하는 연설에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조종사였던 존 길레스피 매기의 시 “고공비행”을 인용했습니다. 그 시에서 존은 “아무도 침범하지 못한 높이에 있는 우주의 신성함”과 “하나님의 얼굴”을 만지기 위해 손을 내미는 느낌을 표현했습니다.

우리는 실제로 하나님의 얼굴을 만질 수는 없지만, 때로는 눈부시도록 아름다운 일몰이나 자연 속 명상의 장소에서 하나님이 옆에 계신다는 놀라운 느낌을 경험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순간들을 “얇은 곳”이라고 부릅니다. 천국과 세상을 분리하는 장벽이 더 얇아져 가는 것처럼 보이면서, ‘하나님이 좀 더 가까이 느껴집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 생활에서 하나님이 가까이 계심을 느꼈을 때 “얇은 곳”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광야에서 그들을 인도하시기 위해 낮에는 구름 기둥을, 밤에는 불기둥을 주셨습니다(출애굽기 40:34-38). 그들이 진을 치고 머무를 때에는 “여호와의 영광이 성막에 충만했습니다”(35절). 그들의 모든 여정에 하나님이 함께하심을 그들은 알았습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놀라운 아름다움을 즐기면서, 우리는 하나님은 어디에나 계심을 점점 깨닫게 됩니다. 기도로 하나님께 말하고 들으면서, 그리고 성경을 읽으면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즐거이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40:34-38
낮에는 여호와의 구름이 성막 위에 있고 밤에는 불이 그 구름 가운데에 있음을 이스라엘의 온 족속이 그 모든 행진하는 길에서 그들의 눈으로 보았더라 [출애굽기 40:38]

하나님 아버지, 제가 광야에서 길을 잃을 때에도 하나님을 구하고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자연에서 어떤 장소가 특히 하나님과 가까이 있다고 느끼게 합니까? 어떻게 하면 언제 어디서나 하나님을 찾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07/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7–9; LUKE 9:18–36
Hymn: 438(old 495)

THROUGH THICK AND THIN

On January 28, 1986, the US Space Shuttle Challenger broke apart seventy-three seconds after takeoff. In a speech of comfort to the nation, President Reagan quoted from the poem “High Flight” in which John Gillespie Magee, a World War II pilot, had written of “the high untrespassed sanctity of space” and the sense of putting out his hand to touch “the face of God.”

Although we can’t literally touch God’s face, we sometimes experience a stunning sunset or a place of meditation in nature that gives us an overwhelming sense that He’s near. Some people call these moments “thin places.” The barrier separating heaven and earth seems to grow a little thinner. God feels a little closer.

The Israelites may have experienced a “thin place” as they sensed the nearness of God in the desert wilderness. God provided a pillar of cloud by day and pillar of fire by night to lead them through the desert (EXODUS 40:34–38). When they were staying in the camp, “the glory of the Lord filled the tabernacle” (V. 35). Throughout all their travels, they knew God was with them.

As we enjoy the incredible beauty of God’s creation, we grow conscious that He’s present everywhere. As we talk with Him in prayer, listen to Him, and read the Scriptures, we can enjoy fellowship with Him anytime and anywhere.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EXODUS 40:34–38
The cloud of the Lord was over the tabernacle by day, and fire was in the cloud by night, in the sight of all the Israelites during all their travels. [ EXODUS 40:38 ]

Father, help me to seek and find You even when I’m lost in a desert wilderness.

What places in nature make you feel especially close to God? How can you seek Him anytime and anywhere?

오늘의 말씀

04/06/2021     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4-6; 누가복음 9:1-17
찬송가: 221(통525)

그리스도 안에서의 친구

수십 년을 이어온 하버드의 성인발달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로 사람들은 건강한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1930년대에 268명의 하버드 대학 2학년생들로 시작된 것이 나중에 확대되어 456명의 보스턴 시내 주민들까지 참여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참가자들과 인터뷰를 하면서 몇 년마다 그들의 의료기록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거기서 그들은 친밀한 인간관계가 행복과 건강을 예측하는 가장 큰 요소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곧 주위에 잘 맞는 사람들이 많을 때 우리가 더 즐겁게 살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바울 사도가 빌립보서 1장에서 말하고 있는 내용이 바로 이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감옥에서 편지를 쓰면서 바울은 빌립보에 있는 그의 친구들을 생각할 때마다 하나님께 감사하며 “기쁨으로” 간구한다고(4절)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냥 친구가 아니라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은혜에 참여한” 형제자매이자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동역자들입니다 (7절). 함께 나누고 공유하는 그들의 관계는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에 의해 형성된 진정한 성도의 교제였습니다.

맞습니다. 친구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서의 친구는 참되고 깊은 기쁨을 만들어내는 촉매제입니다. 그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를 같이 묶어줍니다. 삶의 가장 어두운 시기를 지날 때라도 그 결속에서 오는 기쁨은 영원히 지속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1:3-8
내가 너희를 생각할 때마다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며 [빌립보서 1:3]

사랑하는 하나님, 친구를 선물로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게 진실했던 친구들에게 감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제게 은혜를 베풀어 그들에게 힘이 되고 격려가 될 수 있게 하소서.

당신 주변에 어떤 친구들이 있습니까? 그들과의 관계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은혜로 그들과 친구가 되었습니까?

Daily Article

04/06/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4–6; LUKE 9:1–17
Hymn: 221(old 525)

COMPANIONS IN CHRIST

The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 is a decades-long project that’s resulted 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healthy relationships. The research began with a group of 268 sophomores at Harvard University in the 1930s and later expanded to, among others, 456 Boston inner-city residents. Researchers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pored over their medical records every few years. They discovered that close relationships are the biggest factor in predicting happiness and health. It turns out that if we surround ourselves with the right people, we’ll likely experience a deeper sense of joy.

This appears to reflect what the apostle Paul is describing in Philippians 1. Writing from prison, Paul can’t help but tell his friends that he thanks God for them every time he remembers them, praying “with joy” (V. 4). But these aren’t just any friends; these are brothers and sisters in Jesus who “share in God’s grace,” partners in the gospel with Paul (V. 7). Their relationship was one of sharing and mutuality—a true fellowship shaped by God’s love and the gospel itself.

Yes, friends are important, but fellow companions in Christ are catalysts of a true and deep joy. The grace of God can bind us together like nothing else. And even through the darkest seasons of life, the joy that comes from that bond will last. GLENN PACK

Today's Reading

PHILIPPIANS 1:3–8
I thank my God every time I remember you. [ PHILIPPIANS 1:3 ]

Dear God, thank You for the gift of friendship. Help m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ose who have been faithful companions to me. Give me the grace to strengthen and encourage them.

Who are the friends that surround you? What’s the substance of your relationships? How has the grace of God shaped your choice of companions?

오늘의 말씀

04/05/2021     월요일

성경읽기: 사무엘상 1-3; 누가복음 8:26-56
찬송가: 96(통94)

진리에 단단히 매인

우리 가족은 멋있는 문양으로 장식된 석고벽을 포함하여 많은 특징들이 있는 거의 백 년 된 집에 살고 있습니다. 한 건축업자는 이 집 벽에 액자를 걸려면 나무 받침에 나사 못을 박든지 받침용 석고 지주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의를 주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액자가 바닥에 떨어져 부서지고 벽에도 보기 흉한 구멍이 남을 위험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두드러지지 않은 성경 속의 한 인물 엘리아김을 벽에 단단히 박힌 못의 이미지로 설명했습니다. 부패한 관리 셉나(이사야 22:15-19)와 자신들의 힘을 믿은 이스라엘 민족(8-11절)과는 달리 엘리아김은 하나님을 의지했습니다. 이사야는 엘리아김이 히스기야 왕의 궁정 관리인으로 높아질 것을 예언하며, 하나님이 엘리아김을 “못이 단단한 곳에 박힘 같이” 견고하게 하시리라고 기록했습니다(23절). 그리고 하나님의 진리와 은혜에 단단히 닻을 내린 엘리아김은 그의 가족과 민족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었습니다(22-24절).

그러나 이사야는 이 예언의 끝에 가서 어느 누구도 자기의 친구나 가족을 궁극적으로 지켜줄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는 실패한다는 것을 분명히 일깨워줍니다(25절). 우리의 삶을 완전히 신뢰하고 맡길 수 있는 닻은 오직 예수님뿐입니다(시편 62:5-6; 마태복음 7:24). 다른 사람들을 돌보고 그들의 짐을 덜어줄 때, 결코 실패하지 않는 닻이신 주님께로 그들을 인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22:15-20, 22-25
못이 단단한 곳에 박힘 같이 그를 견고하게 하리니 [이사야 22:23]

사랑하는 예수님, 저의 닻이 되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제가 주님의 자녀로 주님 안에 견고히 심겨져 있다는 것을 압니다.

어떻게 하나님의 진리와 은혜 가운데 단단히 매여 있을 수 있을까요? 삶의 무거운 짐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4/05/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SAMUEL 1–3; LUKE 8:26–56
Hymn: 96(old 94)

ANCHORED IN TRUTH

My family lives in a nearly century-old house with a lot of character, including wonderfully textured plaster walls. A builder cautioned me that with these walls, to hang a picture I’d have to either drill the nail into a wood support or use a plaster anchor for support. Otherwise, I’d risk the picture crashing to the ground, leaving an ugly hole behind.

The prophet Isaiah used the imagery of a nail driven firmly into a wall to describe a minor biblical character named Eliakim. Unlike the corrupt official Shebna (ISAIAH 22:15–19), as well as the people of Israel—who looked to themselves for strength (VV. 8–11)—Eliakim trusted in God. Prophesying Eliakim’s promotion to palace administrator for King Hezekiah, Isaiah wrote that Eliakim would be driven like a “peg into a firm place” (V. 23). Being securely anchored in God’s truth and grace would also allow Eliakim to be a support for his family and his people (VV. 22–24).

Yet Isaiah concluded this prophecy with a sobering reminder that no person can be the ultimate security for friends or family— we all fail (V. 25). The only completely trustworthy anchor for our lives is Jesus (PSALM 62:5–6; MATTHEW 7:24). As we care for others and share their burdens, may we also point them to Him, the anchor who will never fail. LISA M. SAMRA

Today's Reading

ISA I AH 22:15–20, 22–25
I will drive him like a peg into a firm place. [ ISAIAH 22:23 ]

Dear Jesus, thank You for being my anchor. As Your child, I know that I’m firmly planted in You.

How can you stay firmly anchored in God’s truth and grace? In what ways can you support those feeling weighed down by life’s burdens?

Read Navigating the Storms of Life at DiscoverySeries.org/HP061.

오늘의 말씀

04/04/2021     주일

성경읽기: 룻기 1-4; 누가복음 8:1-25
찬송가: 162(통151)

저 장미꽃 위에 이슬

아버지는 옛 찬송가를 즐겨 부르셨습니다. “저 장미꽃 위에 이슬”도 아버지가 좋아하던 찬송 중의 하나였습니다. 몇 해 전 우리는 이 찬송가를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불렀습니다. 후렴은 간단합니다. “주님 나와 동행을 하면서 나를 친구 삼으셨네. 우리 서로 받은 그 기쁨은 알 사람이 없도다.” 이 찬송가는 아버지에게 기쁨을 가져다주었고 나에게도 기쁨을 줍니다.

찬송가 작가 C. 오스틴 마일즈는 1912년 봄, 요한복음 20장을 읽고서 이 곡을 썼다고 합니다. “그날 말씀을 읽던 나는 그 이야기 속에 나도 함께 있는 듯했습니다. 나는 마리아가 주님 앞에서 무릎을 꿇고 ‘랍오니[선생님]’ 하고 외치는 극적인 장면을 본 말없는 증인이 되었습니다.”

요한복음 20장에서 우리는 예수님의 빈 무덤 옆에서 울고 있는 막달라 마리아를 봅니다. 그녀는 거기서 왜 울고 있냐고 묻는 남자를 만났습니다. 동산지기인 줄 알았는데, 그녀는 부활하신 구주, ‘예수님’과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슬픔이 기쁨으로 변한 마리아는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달려가서 “내가 주님을 보았어요!”(18절, 현대인의 성경)라고 말했습니다.

우리에게도 예수님께서 부활하셨다는 확신이 있습니다! 지금 주님은 천국에서 하나님 아버지와 함께 계시지만 우리를 홀로 두고 떠나지 않으셨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우리 안에 주의 영을 모시고 있으며, 그분을 통해 주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고 우리가 “주님의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기뻐합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11-18
막달라 마리아가 가서 제자들에게 내가 주를 보았다 하고 [요한복음 20:18]

예수님, 주님이 살아계시고 주님의 자녀 된 제 안에 살고 계시니 감사합니다!

삶을 혼자서 살아가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때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당신은 언제 예수님이 함께 계시는 것을 친밀하게 느껴보았습니까?

Daily Article

04/04/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RUTH 1–4; LUKE 8:1–25
Hymn: 162(old 151)

IN THE GARDEN

My dad loved to sing the old hymns. One of his favorites was “In the Garden.” A few years back, we sang it at his funeral. The chorus is simple: “And He walks with me, and He talks with me, and He tells me I am His own, and the joy we share as we tarry there none other has ever known.” That song brought joy to my dad—as it does to me.

Hymn writer C. Austin Miles says he wrote this song in spring 1912 after reading chapter 20 of the gospel of John. “As I read it that day, I seemed to be part of the scene. I became a silent witness to that dramatic moment in Mary’s life when she knelt before her Lord and cried, ‘Rabboni [Teacher].’ ”

In John 20, we find Mary Magdalene weeping near Jesus’ empty tomb. There she met a man who asked why she was crying. Thinking it was the gardener, she spoke with the risen Savior—Jesus! Her sorrow turned to joy, and she ran to tell the disciples, “I have seen the Lord!” (V. 18).

We too have the assurance that Jesus is risen! He’s now in heaven with the Father, but He hasn’t left us on our own. Believers in Christ have His Spirit inside us, and through Him we have the assurance and joy of knowing He’s with us, and we are “His own.” ALYSON KIEDA

Today's Reading

JOHN 20:11–18
Mary Magdalene went to the disciples with the news: “I have seen the Lord!” [ JOHN 20:18 ]

Jesus, I’m so thankful You’re alive and that as Your child You live in me!

How is it comforting to know that you don’t have to do this life on your own? When have you intimately felt Jesus’ presence?

To learn more about the resurrection of Jesus, visit ChristianUniversity.org/resurrection.

오늘의 말씀

04/0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9-21; 누가복음 7:31-50
찬송가: 390(통444)

파도타기

남편이 바위로 덮인 해변을 따라 하와이의 수평선 풍경 사진을 찍는 동안 나는 큰 바위에 앉아 다시 찾아온 몸의 이상에 대해 걱정하였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면 그 문제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겠지만, 그 순간만큼은 내 마음에 평화가 필요했습니다. 몰려오는 파도가 검고 삐죽삐죽한 바위들에 부딪히는 것을 바라보고 있는데, 파도의 곡선을 따라 한 검은 물체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카메라의 망원렌즈로 보니 그것은 발을 쭉 뻗은 채로 가만히 있으면서 평화롭게 파도를 타고 있는 바다거북이었습니다. 나는 얼굴을 돌려 바다 바람을 맞으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하늘이 주의 놀라운 일을 찬양합니다”(시편 89:5, 현대인의 성경). 우리의 비할 데 없는 하나님은 “바다의 파도를 다스리시며 그 파도가 일어날 때에 [하나님이] 잔잔하게 하십니다”(9절). 하나님은 “세계와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을 만드셨습니다”(11절,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그분의 영광과 우리의 기쁨을 위해 모든 것을 만드셨고, 모든 것을 소유하시고, 주관하시고, 그 모든 것에 목적을 부여하십니다.

우리는 변함없는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믿는 믿음의 기초 위에 서서 “주의 얼굴 빛 안에서 다닐”(15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항상 전능하시고, 우리를 대하실 때 언제나 자비로우십니다. 우리는 온종일 주의 이름 때문에 기뻐할 수 있습니다(16절). 어떤 난관을 만나고 얼마나 많은 좌절을 견뎌야 하든지, 하나님은 파도가 솟구치고 떨어질 때 우리를 꼭 붙들고 계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9:5-17
여호와 만군의 하나님이여 주와 같이 능력 있는 이가 누구리이까 여호와여 주의 성실하심이 주를 둘렀나이다 [시편 89:8]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 보여주신 신실함에 닻을 내리고, 용기 있는 믿음으로 인생의 파도를 탈 수 있게 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삶의 거센 파도 앞에서 놀라우신 하나님을 묵상할 때, 어떻게 마음의 평화와 용기, 그리고 하나님이 늘 함께 계시고 돌보신다는 확신이 생기게 될까요? 인생의 파도를 타면서 하나님께 맡겨야 할 상황들은 어떤 것들인가요?

Daily Article

04/0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9–21; LUKE 7:31–50
Hymn: 390(old 444)

RIDING THE WAVES

As my husband strolled down the rocky beach taking photos of the Hawaiian horizon, I sat on a large rock fretting over another medical setback. Though my problems would be waiting for me when I returned home, I needed peace in that moment. I stared at the incoming waves crashing against the black, jagged rocks. A dark shadow in the curve of the wave caught my eye. Using the zoom option on my camera, I identified the shape as a sea turtle riding the waves peacefully. Its flippers spread wide and still. Turning my face into the salty breeze, I smiled.

The “heavens praise [God’s] wonders” (PSALM 89:5). Our incomparable God rules “over the surging sea; when its waves mount up, [God] stills them” (V. 9). He “founded the world and all that is in it” (V. 11). He made it all, owns it all, manages it all, and purposes it all for His glory and our enjoyment.

Standing on the foundation of our faith—the love of our unchanging Father—we can “walk in the light of [His] presence” (V. 15). God remains mighty in power and merciful in His dealings with us. We can rejoice in His name all day long (V. 16). No matter what obstacles we face or how many setbacks we have to endure, God holds us as the waves rise and fall.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PSALM 89:5–17
Who is like you, Lord God Almighty? You, Lord, are mighty and your faithfulness surrounds you. [ PSALM 89:8 ]

Father, thank You for empowering me to ride the waves of life with courageous faith, anchored in Your proven faithfulness.

When facing rough waves in life, how can reflecting on God’s wonders fill you with peace, courage, and confidence in His ongoing presence and sufficient care? What situations do you need to release to God as you ride the waves of life?

오늘의 말씀

04/0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6-18; 누가복음 7:1-30
찬송가: 149(통147)

예수님이 지불하신 대가

예수님의 삶의 여러 측면을 탐구하고 있는 미켈란젤로의 작품들 중에 가장 가슴 아프면서도 가장 단순한 한 작품이 있습니다. 1540년대에 그는 친구 비토리아 콜로나를 위해 피에타(죽은 그리스도의 몸을 안고 있는 예수님의 어머니를 그린 그림)를 스케치했습니다. 분필로 그린 이 작품은 마리아가 움직이지 않는 아들을 무릎에 놓고서 하늘을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마리아의 뒤로 위를 향해 세워진 십자가 기둥에는 단테의 ‘신곡’의 ‘천국’편에 나오는 이런 말이 씌어 있습니다. “저들은 거기서 얼마나 많은 피가 대가로 치러졌는지를 생각하지 않는다.” 미켈란젤로가 말하고자 했던 요점은 아주 심오했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을 묵상할 때 우리는 주님이 지불하신 대가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지불하신 대가는 주님이 돌아가시면서 선포하셨던, “다 이루었다”(요한복음 19:30)라는 말씀 속에 담겨 있습니다. “다 이루었다” (‘테텔레스타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청구서가 완납되었다, 과제가 완수되었다, 희생 제물이 바쳐졌다, 걸작이 완성되었다 등과 같은 의미입니다. 그런데 이 하나하나가 모두 예수님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십자가에서 하신 일입니다! 그래서 아마 바울 사도가 이렇게 쓴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니라”(갈라디아서 6:14).

예수님이 기꺼이 우리를 대신해 죽으신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보여주는 영원한 증거입니다. 예수님이 지불하신 값을 깊이 생각하면서, 우리 모두 예수님의 사랑을 찬양하고 십자가로 말미암아 감사를 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9:25-30
예수께서 신 포도주를 받으신 후에 이르시되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이니 영혼이 떠나가시니라 [요한복음 19:30]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이 저를 대신해 희생하신 것을 생각하면 겸손해지고 깊이 감사하게 됩니다. 예수님을 보내시고 십자가를 지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테텔레스타이’(다 이루었다)가 뜻하는 각 의미가 예수님이 지신 십자가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이루신 일들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습니까? 왜 그 하나하나가 당신에게 의미가 있습니까?

Daily Article

04/0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6–18; LUKE 7:1–30
Hymn: 149(old 147)

THE COST

Michelangelo’s works explored many facets of the life of Jesus, yet one of the most poignant was also one of the most simple. In the 1540s he sketched a pieta (a picture of Jesus’ mother holding the body of the dead Christ) for his friend Vittoria Colonna. Done in chalk, the drawing depicts Mary looking to the heavens as she cradles her Son’s still form. Rising behind Mary, the upright beam of the cross carries these words from Dante’s Paradise, “There they don’t think of how much blood it costs.” Michelangelo’s point was profound: when we contemplate the death of Jesus, we must consider the price He paid.

The price paid by Christ is captured in His dying declaration, “It is finished” (JOHN 19:30). The term for “it is finished” (tetelestai) was used in several ways—to show a bill had been paid, a task finished, a sacrifice offered, a masterpiece completed. Each of them applies to what Jesus did on our behalf on the cross! Perhaps that’s why the apostle Paul wrote, “May I never boast except in the cross of our Lord Jesus Christ, through which the world has been crucified to me, and I to the world” (GALATIANS 6:14).

Jesus’ willingness to take our place is the eternal evidence of how much God loves us. As we contemplate the price He paid, may we also celebrate His love—and give thanks for the cross. BILL CROWDER

Today's Reading

JOHN 19:25–30
When he had received the drink, Jesus said, “It is finished.” With that, he bowed his head and gave up his spirit. [ JOHN 19:30 ]

Father, when I consider the sacrifice Jesus made on my behalf, I am humbled and deeply grateful. Thank You for Jesus, and thank You for the cross.

How could each meaning of tetelestai be applied to the cross of Jesus and what He accomplished there? Why does each one have meaning to you?

오늘의 말씀

04/0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사사기 13-15; 누가복음 6:27-49
찬송가: 218(통369)

“큰 도움”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에 한 청취자가 전화하여 그의 아내가 수술이 끝나 퇴원해서 집으로 돌아온다고 말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내 마음에 깊이 와닿는 말을 했습니다. “그동안 교회 식구들이 모두 나서서 돌봐주신 것이 저희에게 큰 도움이 되었어요.”

이 간단한 말을 듣고 나는 그리스도인의 친절과 돌봄이 얼마나 가치 있고 필요한 것인지를 다시 되새기게 되었습니다. 나는 성도 간의 사랑과 도움이 삶을 변화시키는 복음의 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베드로전서는 베드로 사도가 지금의 터키에 있는 초대 교회들이 서로 회람할 수 있도록 쓴 편지입니다. 편지에서 그는 그의 친구 바울이 로마서 12장 13절에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고 썼던 것과 같이, 그의 글을 읽는 신자들에게 그와 같은 일을 하라고 강권했습니다. 베드로는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서로 대접하라”고 하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를 사용하여 “서로 봉사하라” 고 말했습니다(베드로전서 4:8-10). 바울과 베드로의 말은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이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분명히 보여줍니다.

우리 모두는 그 청취자의 아내처럼, 옆에 와서 관심을 갖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보여주는 누군가가 필요한 사람들을 압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능력으로 우리도 “큰 도움”이 되었다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4:7-11
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 [로마서 12:13]

사랑의 하나님, 제 격려의 말이나 행동이 필요한 사람들을 주위에서 찾게 하셔서, 그들을 환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예비해주신 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은 그분의 베푸시는 마음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04/0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UDGES 13–15; LUKE 6:27–49
Hymn: 218(old369)

“SO HELPFUL”

The caller to the Christian radio station said that his wife was coming home from the hospital following surgery. Then he shared something that spoke deeply to my heart: “Everyone in our church family has been so helpful in taking care of us during this time.”

When I heard this simple statement, it reminded me of the value and necessity of Christian hospitality and care. I began to think that the love and support of fellow believers for one another is one of the greatest ways to demonstrate the lifechanging power of the gospel.

In First Peter, the apostle was writing a letter to be circulated among the first-century churches in what’s now the country of Turkey. In that letter, he compelled his readers to do something that his friend Paul wrote about in Romans 12:13: “Practice hospitality.” Peter said, “Love each other deeply . . . offer hospitality,” and he told them to use the gifts God gave them to “serve others” (1 PETER 4:8–10). These are clear directions to all believers in Jesus for how we’re to treat fellow believers.

All of us know people like that caller’s wife—those who need someone to come alongside and show concern and Christlike love. In God’s strength, may we be among the ones who are noted for being “so helpful.” DAVE BRANON

Today's Reading

1 PE TER 4:7–11
Share with the Lord’s people who are in need. Practice hospitality. [ ROMANS 12:13 ]

Loving God, help me to look around for people who need an encouraging word or action from me. Then help me offer hospitality to them.

What has God equipped you to do for those in need?
How has God revealed His own hospitable natur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