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7/09/2021     금요일

성경읽기: 욥기 38-40; 사도행전 16:1-21
찬송가: 196(통174)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라감

영국의 설교가 찰스 스펄전 (1834-1892) 은 그야말로 “전속력으로” 살았습니다. 열 아홉 살에 목사가 된 그는 곧 많은 청중 앞에서 설교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가 직접 편집한 그의 모든 설교는 마침내 육십 세 권의 책으로 발간되었고, 그 밖에 여러 성경주석과 기도에 관한 책들, 그리고 다른 저술들이 있습니다. 그는 일주일에 보통 여섯 권의 책을 읽었습니다! 스펄전은 한 설교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죄는 모든 죄 중에서 가장 큰 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다른 대부분의 죄를 수반하기 때문입니다...... 이 끔찍한 게으름! 하나님, 우리를 거기서 구해 주소서!”

찰스 스펄전은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라고 하나님을 위해 살기 위해 열심히, “더욱 힘써” (베드로후서 1:5) 살았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이라면, 하나님은 우리가 “더욱 힘써 [우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절제를, 인내를......경건을 더하” (5-7절) 도록 더욱 예수님을 닮아 자라갈 수
있는 열정과 능력을 불어넣어 주실 것입니다.

우리는 제각각 동기부여나 능력, 활력 등이 다 달라서, 우리 모두가 찰스 스펄전과 같은 속도로 살 수도 없고 또 그렇게 살아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 하신 모든 일을 이해할 때, 우리는 부지런하고 신실한 삶을 살아야 할 최고의 동기부여를 갖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위하고 섬기며 살도록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자원들을 통해 힘을 얻습니다. 하나님은 성령님을 통해 크든 작든 그렇게 하려는 우리의 모든 노력에 힘을 더해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후서 1:3-11
여러분은 열성을 다하여 여러분의 믿음에 덕을 더하고, 덕에 지식을 더하고 [베드로후서 1:5, 새번역]

사랑의 하나님, 저의 모든 말과 행동으로 하나님을 위해 열심히 살도록 도와주소서. 제 안에 계시는 성령님을 통해 그렇게 할 수 있는 힘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리스도를 더욱 닮아 자라가려고 어떻게 노력하고 있습니까? 무엇이 그런 노력에 도움이 될까요?

Daily Article

07/09/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8–40; ACTS 16:1–21
Hymn: 196(OLD174)

GROWING IN GOD’S GRACE

The English preacher Charles H. Spurgeon (1834–1892) lived life “full throttle.” He became a pastor at age nineteen— and soon was preaching to large crowds. He personally edited all of his sermons, which eventually filled sixty-three volumes, and wrote many commentaries, books on prayer, and other works. And he typically read six books a week! In one of his sermons, Spurgeon said, “The sin of doing nothing is about the biggest of all sins, for it involves most of the others. . . . Horrible idleness! God save us from it!”

Charles Spurgeon lived with diligence, which meant he “[made] every effort” (2 PETER 1:5) to grow in God’s grace and to live for Him. If we’re Christ’s followers, God can instill in us that same desire and capacity to grow more like Jesus, to “make every effort to add to [our] faith goodness; and to goodness, knowledge . . . self-control, perseverance . . . godliness” (VV. 5–7) .

We each have different motivations, abilities, and energy levels—not all of us can, or should, live at Charles Spurgeon’s pace! But when we understand all Jesus has done for us, we have the greatest motivation for diligent, faithful living. And we find our strength through the resources God has given us to live for and serve Him. God through His Spirit can empower us in our efforts—big and small—to do so.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PETER 1:3–11
Make every effort to add to your faith goodness; and to goodness, knowledge. [ 2 PETER 1:5 ]

Loving God, help me to be diligent to live for You in all I do and say. Thank You for enabling me to do so through Your Spirit inside me.

How are you making every effort to grow more like Christ? What will help you in this endeavor?

오늘의 말씀

07/08/2021     목요일

성경읽기: 욥기 36-37; 사도행전 15:22-41
찬송가: 282(통339)

막힌 기도

14년 동안 화성탐사선 ‘오퍼튜니티호’는 미국항공우주국의 제트추진 연구소 사람들과 아무 문제없이 소통했습니다. 2004년에 착륙한 후, 화성 표면 28마일(45킬로미터)을 횡단하며 수천 장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많은 물질들을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2018년 큰 먼지 폭풍이 태양 전지판을 덮어버리면서 탐사선이 전력을 잃어 ‘오퍼튜니티호’와 과학자들 사이의 통신은 끝이 나버렸습니다.

“먼지” 때문에 우리가 세상 바깥에 계시는 분과 소통하는 것이 막힐 수 있을까요? 하나님과 소통하는 수단인 기도를 생각해 보면 방해되는 분명한 것들이 있습니다.

성경은 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막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내가 나의 마음에 죄악을 품었더라면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리라” (시편 66:18) . 예수님도 “서서 기도할 때에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 그리하여야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 허물을 사하여 주시리라” (마가복음 11:25) 고
가르치십니다. 하나님과의 소통은 의심하거나 인간관계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야고보서 1:5-7; 베드로전서 3:7).

‘오퍼튜니티호’와의 통신이 막혀버린 것은 영구적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기도는 막혀서는 안 됩니다. 성령님의 역사로 하나님은 사랑으로 우리와 하나님과의 소통을 회복시켜 주십니다. 우리가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께로 돌이킬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우주에서 가장 위대한 소통인, 우리와
거룩하신 하나님 사이의 일대일 기도를 체험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1:20-25
서서 기도할 때에 아무에게나 혐의가 있거든 용서하라 그리하여야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 허물을 사하여 주시리라 [마가복음 11:25]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와의 소통을 제한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도록 인도해 주소서. 하나님과 연결되도록 도와주시니 감사합니다!

우리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는 것이 어떻게 하나님과의 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까? 우리의 기도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08/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6–37; ACTS 15:22–41
Hymn: 282(OLD339)

BLOCKED PRAYERS

For fourteen years, the Mars rover Opportunity faithfully communicated with the people at NASA’s Jet Propulsion Laboratory. After it landed in 2004, it traversed twenty-eight miles of the Martian surface, took thousands of images, and analyzed many materials. But in 2018, communication between Opportunity and scientists ended when a major dust storm coated its solar panels, causing the rover to lose power.

Is it possible that we can allow “dust” to block our communication with Someone outside of our world? When it comes to prayer—communicating with God—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can get in the way.

Scripture says that sin can block our relationship with God. “If I had cherished sin in my heart, the Lord would not have listened” (PSALM 66:18) . Jesus instructs, “When you stand praying, if you hold anything against anyone, forgive them, so that your Father in heaven may forgive you your sins” (MARK 11:25) . Our communication with God can also be hindered by doubt and relationship problems (JAMES 1:5–7; 1 PETER 3:7).

Opportunity’s blockage of communication seems to be permanent. But our prayers don’t have to be blocked.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God lovingly draws us to restored communication with Him. As we confess our sins and turn to Him, by God’s grace we experience the greatest communication the universe has ever known: one-to-one prayer between us and our holy God.

DAVE BRANON

Today's Reading

MARK 11:20–25
When you stand praying, if you hold anything against anyone, forgive them, so that your Father in heaven may forgive you your sins. [ MARK 11:25 ]

Father, guide me to discover what’s limiting my communication with You. Thank You for helping me connect with You!

How can confessing your sins to God improve your communication with Him? What can you do to enrich your prayer life?

오늘의 말씀

07/07/2021     수요일

성경읽기: 욥기 34-35; 사도행전 15:1-21
찬송가: 613(통284)

우리에게 필요한 지혜

엘렌이 우편함을 열자 거기에 친한 친구의 주소가 적힌 부피가 큰 봉투가 있었습니다. 며칠 전 엘렌은 그 친구와 다투었습니다. 호기심을 가지고 포장을 풀어 보니 색색의 구슬이 소박한 황마 줄에 꿰어진 목걸이가 들어있었습니다. 목걸이에 “모스 부호로 말하라”는 회사의 구호가 인쇄된 카드가 붙어 있었는데, 카드 안에는 목걸이에 숨겨진 지혜로운 메시지가 번역되어 쓰여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길을 찾으라.” 엘렌은 그것을 목에 걸며 미소를 지었습니다.

잠언서는 지혜로운 말들을 모아 놓은 책인데, 그 시대에 가장 현명한 사람으로 찬사를 받았던 솔로몬이 많이 집필했습니다 (열왕기상 10:23) . 서른 한개의 장으로 되어 있어 독자에게 지혜에 귀 기울이고 어리석음을 피하라고 권하고 있는 잠언서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는 1장 7절
의 핵심 메시지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언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지혜는 하나님의 길을 구함으로써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데서 옵니다. 잠언서의 서두 부분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내 아들아 네 아비의 훈계를 들으며 네 어미의 법을 떠나지 말라 이는 네 머리의 아름다운 관이요 네 목의 금사슬이니라” (8-9절).

엘렌의 친구는 그녀에게 필요한 지혜의 근원인 하나님의 길을 찾게 해주었습니다. 그 선물은 엘렌으로 하여금 필요한 도움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지에 관심을 집중하게 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을 공경하고 그분의 길을 추구할 때, 삶에서 직면하는 모든 문제에 필요한 지혜를 얻게 됩니다. 이것은 우리 각자 누구에게나 다 그렇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9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잠언 1:7]

하나님, 제게 필요한 지혜의 근원이 하나님이심을 상기시켜 주소서.

지혜가 필요할 때 어디로 가십니까? 어떻게 주님의 말씀을 마음의 맨 앞에 간직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07/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4–35; ACTS 15:1–21
Hymn: 613(OLD284)

THE WISDOM WE NEED

Ellen opened her mailbox and discovered a bulky envelope with her dear friend’s return address. Just a few days prior, she’d shared a relational struggle with that friend. Curious, she unwrapped the package and found a colorful beaded necklace on a simple jute string. Attached was a card with a company’s slogan, “Say It in Morse Code,” and words translating the necklace’s hidden and wise message, “Seek God’s Ways.” Ellen smiled as she fastened it around her neck.

The book of Proverbs is a compilation of wise sayings—many penned by Solomon, who was acclaimed as the wisest man of his era (1 KINGS 10:23) . Its thirty-one chapters call the reader to listen to wisdom and avoid folly, starting with the core message of Proverbs 1:7: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knowledge.” Wisdom—knowing what to do when—comes from honoring God by seeking His ways. In the introductory verses, we read, “Listen when your father corrects you. Don’t neglect your mother’s instruction. What you learn from them will crown you with grace and be a chain of honor around your neck” (VV. 8–9 NLT).

Ellen’s friend had directed her to the Source of the wisdom she needed: Seek God’s ways. Her gift focused Ellen’s attention on where to discover the help she needed.

When we honor God and seek His ways, we’ll receive the wisdom we need for all the matters we face in life. Each and every one.

ELISA MORGAN

Today's Reading

PROVERBS 1:1–9
Fear of the Lord is the foundation of true knowledge. [ PROVERBS 1:7 nlt ]

God, remind me that You’re the Source of the wisdom I need.

Where do you go when you need wisdom? How can you keep God’s words in the forefront of your mind?

오늘의 말씀

07/06/2021     화요일

성경읽기: 욥기 32-33; 사도행전 14
찬송가: 187(통171)

아버지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존 소어즈는 그의 책 ‘아버지 없는 세대’에서 “이천 오백만 명이나 되는 많은 아이들이 편모 가정에서 자라는 이 세대처럼 아버지의 부재를 경험한 세대는 없었다.”라고 말합니다. 나의 경우를 봐도 만약 길거리에서 아버지를 마주쳤어도 몰라봤을 것입니다. 부모님은 내가 아주 어렸을 때 이혼했고, 아버지의 모든 사진은 불태워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여러 해 동안 나는 아버지가 없는 느낌 속에 자랐습니다. 그러다가 열세 살 되었을 때 주기도문 (마태복음 6:9-13) 을 듣고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게 육신의 아버지는 없을 지는 몰라도 이제 하늘에 계신 하나님 아버지가 계셔.’

마태복음 6장 9절은 우리에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라고 기도하라고 가르칩니다. 그전의 7절에서는 기도할 때 “중언부언하지” 말라고 하는데 이 두 개의 절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다 기억하시기 때문에 반복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정말로 다 이해하시기 때문에 설명할 필요가 없으며, 따뜻한 마음을 지니셨기에 그분의 선하심을 의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시작부터 끝까지 다 아시기에 우리는 하나님의 때가 완벽하다는 것도 압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아버지 되시므로 하나님을 감동시키기 위해 “많은 말” (7절) 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기도를 통해 우리를 사랑하고 돌보시며, 예수님을 통해 자녀로 삼아 주신 하나님 아버지와 대화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5-13
성령이 친히 우리의 영과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언하시나니 [로마서 8:16]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자녀 삼아 주시고, 제 아버지 되셔서 기도를 통해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언제 기도하면서 많은 말로써 하나님을 감동시키려 했습니까? 하나님이 아버지인 것이 어떻게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게 도와줍니까?

Daily Article

07/06/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2–33; ACTS 14
Hymn: 187(OLD171)

NOT FATHERLESS

John Sowers in his book Fatherless Generation writes that “No generation has seen as much voluntary father absence as this one with 25 million kids growing up in single-parent homes.” In my own experience, if I’d bumped into my father on the street, I wouldn’t have known him. My parents were divorced when I was very young, and all the photos of my dad were burned. So for years I felt fatherless. Then at age thirteen, I heard the Lord’s Prayer (MATTHEW 6:9–13) and said to myself, You may not have an earthly father, but now you have God as your heavenly Father.

In Matthew 6:9 we’re taught to pray, “Our Father in heaven, hallowed be your name.” Previously verse 7 says not to “keep on babbling” when praying, and we may wonder how these verses are connected. I realized that because God remembers, we don’t need to repeat. He truly understands, so we don’t need to explain. He has a compassionate heart, so we don’t need to be uncertain of His goodness. And because He knows the end from the beginning, we know His timing is perfect.

Because God is our Father, we don’t need to use “many words” (V. 7) to move Him. Through prayer, we’re talking with a Father who loves and cares for us and made us His children through Jesus.

ALBERT LEE

Today's Reading

M AT T H E W 6:5–13
The Spirit himself testifies with our spirit that we are God’s children. [ ROMANS 8:16 ]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making me Your child and for being a Father that welcomes me into Your presence through prayer.

When have you tried to “move God” in prayer by using many words? How does having a relationship with Him as your Father help you to trust Him?

오늘의 말씀

07/05/2021     월요일

성경읽기: 욥기 30-31; 사도행전 13:26-52
찬송가: 497(통274)

전도할 때의 그 “무엇”

어느 날 알렌이 찾아와 대중 앞에서 발표할 때 어떻게 하면 떨리지 않는지 조언을 부탁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이, 그도 대중 앞에 서면 심장이 두근거리고, 입이 바짝 마르는 것 같고, 얼굴이 벌겋게 상기된다고 합니다. ‘발표 공포증’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흔한 사회적 불안 중의 하나인데, 심지어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것이 죽는 것보다 더 두렵다고 농담하는 사람들까지 있습니다. 알렌이 발표를 잘하지 못할까 봐 걱정하는 두려움을 없애 주려고, 나는 그에게 얼마나 잘 발표하는가 보다는 전하려는 메시지의 내용에 집중하라고 말해 주었습니다.

사람의 전달하는 능력보다 ‘무엇’을 전달할지에 중점을 두는 것은 바울이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기 위해 접근했던 방법과 비슷합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쓴 서신에서 그의 설교가 “설득력 있는 지혜의 말로 하지 아니했다” (고린도전서 2:4) 고 했습니다. 대신 그는 그의 유려한 말솜씨보다는 그의 말에 힘을 더하시는 성령님을 의지하면서,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주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에만 집중하기로 작정하였습니다 (2절).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알고 나면 주변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전하고 싶어지는데, 종종 “올바르게” 또는 매끄러운 말로 잘 전하지 못할까 봐 두려워서 그것을 피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며 하나님이 어떤 놀라운 일을 행하셨는지를 알려주는 진리, 곧 그 “무엇”에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도 바울과 같이 우리 말에 힘을 더하시는 하나님을 믿고 두려움과 주저함 없이 전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전서 2:1-5
내 말과 내 전도함이 설득력 있는 지혜의 말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성령의 나타나심과 능력으로 하여 [고린도전서 2:4]

하늘에 계신 하나님, 성경을 통해 제게 나타나시고 그것을 나눌 수 있는 자들을 제 삶 속에 허락하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제 말에 힘을 더하시는 것을 믿고 사람들에게 전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에게 진리이신 하나님을 전하려 할 때 무엇이 종종 그 일을 가로막았습니까? 바울의 접근 방식이 어떻게 담대하게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해줍니까?

Daily Article

07/05/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30–31; ACTS 13:26–52
Hymn: 497(OLD274)

THE “WHAT” IN SHARING OUR FAITH

Alan came to me for advice on how to deal with his fear of public speaking. Like so many others, his heart would begin to race, his mouth would feel sticky and dry, and his face would flush bright red. Glossophobia is among the most common social fears people have—many even joke that they’re more fearful of public speaking than of dying! To help Alan conquer his fear of not “performing” well, I suggested he focus on the substance of his message instead of how well he’d deliver it.

Shifting the focus to what will be shared, instead of one’s ability to share it, is similar to Paul’s approach to pointing others to God. When he wrote to the church at Corinth, he remarked that his message and preaching “were not with wise and persuasive words” (1 CORINTHIANS 2:4) . Instead, he’d determined to focus solely on the truth of Jesus Christ and His crucifixion (V. 2) , trusting the Holy Spirit to empower his words, not his eloquence as a speaker.

When we’ve come to know God personally, we’ll want to share about Him with those around us. Yet we sometimes shy away from it because we’re afraid of not presenting it well—with the “right” or eloquent words. By focusing instead on the “what”—the truth of who God is and His amazing works—we can, like Paul, trust God to empower our words and share without fear or reluctanc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1 CORINTHIAN S 2:1–5
My message and my preaching were not with wise and persuasive words, but with a demonstration of the Spirit’s power. [ 1 CORINTHIANS 2:4 ]

Father in heaven, thank You for revealing Yourself to me through the Bible and those You put in my life to share with me. Please help me to share with others, trusting You to empower my words.

What has prevented you at times from sharing the truth of God with others? How can Paul’s approach embolden you to share the gospel?

오늘의 말씀

07/04/2021     주일

성경읽기: 욥기 28-29; 사도행전 13:1-25
찬송가: 393(통447)

우리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미국 독립전쟁 초기에, 미국은 퀘벡에 있는 영국군을 상대하기 위해 원정대를 보냈습니다. 원정대는 캐나다로 가는 길에 매사추세츠 주 뉴베리포트를 지나갈 때, 유명한 복음전도자 조지 휫필드의 무덤을 찾아갔습니다. 그들은 휫필드의 관을 열고 그의 성직복에서 옷깃과 소매 끝동을 잘라냈습니다. 그러고는 그것을 조각 내어 나누어 가졌는데, 그것은 그 옷 조각들이 군인들에게 전쟁의 승리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그 원정대는 전투에서 졌습니다. 그러나 그 군인들이 한 일은 궁극적인 행복을 위해 돈이나 인간의 능력, 심지어 종교적인 관습 등, 하나님과의 관계보다 못한 것에 의지하려는 인간의 성향을 잘 보여줍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임박한 앗수르의 침략으로 위협받을 때, 그들의 죄에서 돌이켜 스스로 하나님께로 향하는 대신 바로에게 도움을 청하자 하나님께서 이에 대해 이렇게 경고하셨습니다. “주 여호와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가 이같이 말씀하시되 너희가 돌이켜 조용히 있어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거늘 너희가 원하지 아니하고 이르기를 아니라 우리가 말 타고 도망하리라 하였으므로 너희가 도망할 것이요” (이사야 30:15-16).

바로의 “원정대” 또한 실패했습니다(하나님의 말씀 그대로). 그리고 앗수르가 유다를 정복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또 말씀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기다리시나니 이는 너희에게 은혜를 베풀려 하심이요.” 심지어 우리가 하찮은 것들을 믿을 때라도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께로 돌이킬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위해 여전히 손을 내밀고 계십니다. “그를 기다리는 자마다 복이 있도다” (18절) .

오늘의 성구

이사야 30:1-5, 15-18
너희가 돌이켜 조용히 있어야 구원을 얻을 것이요 잠잠하고 신뢰하여야 힘을 얻을 것이거늘 [이사야 30:15]

하나님, 저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시니 늘 의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때때로 하나님이 아닌 다른 어떤 것을 믿고 싶은 유혹을 받습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을 의지하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07/04/2021     SUM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8–29; ACTS 13:1–25
Hymn: 393(OLD447)

IN GOD WE TRUST

In the early days of the American Revolutionary War, an expedition was launched against British forces in Quebec. When the expedition passed through Newburyport, Massachusetts, on the way to Canada, they visited the tomb of the renowned evangelist George Whitefield. Whitefield’s coffin was opened and his clerical collar and cuffs were removed. The clothing was cut in pieces and distributed in the mistaken belief that it could somehow give the soldiers success.

The expedition failed. But what the soldiers did demonstrates our human tendency to trust in something less than a relationship with God—money or human strength or even religious traditions—for our ultimate well-being. God cautioned His people against this when invasion from Assyria threatened, and they sought Pharaoh’s help instead of turning from their sins and turning personally to Him: “This is what the Sovereign Lord, the Holy One of Israel, says: ‘In repentance and rest is your salvation, in quietness and trust is your strength, but you would have none of it. You said, “No, we will flee on horses.” Therefore you will flee!’ ” (ISAIAH 30:15–16).

Their “expedition” failed as well (just as God said it would) and Assyria overwhelmed Judah. But God also told His people, “The Lord longs to be gracious to you.” Even when we have trusted in lesser things, God still holds out His hand to help us return to Him. “Blessed are all who wait for him!” (V. 18)

JAMES BANKS

Today's Reading

ISAIAH 30:1–5, 15–18
In repentance and rest is your salvation, in quietness and trust is your strength. [ ISAIAH 30:15 ]

I trust You, God. Please help me to always rely on You because You’re always faithful!

In what other than God are you sometimes tempted to place your trust? How will you rely on Him today?

오늘의 말씀

07/03/2021     토요일

성경읽기: 욥기 25-27; 사도행전 12
찬송가: 348(통388)

청결하게 씻는 방법

싱크대에서 두 어린아이가 손을 씻으며 “생일 축하합니다” 노래를 두 번씩 명랑하게 부르고 있습니다. 아이들 엄마가 “병균을 씻어내려면 그만큼 씻어야 해.”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이미 아이들은 코비드-19 팬데믹이 시작되기도 전에 충분한 시간 동안 손을 씻어야 하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팬데믹을 통해 알게 되었듯이 여러 가지 것들을 깨끗이 유지하는 것은 귀찮은 일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죄를 씻어 없애는 것은 집중하여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과정을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야고보는 로마제국에 흩어져 있는 신자들에게 그들의 초점을 하나님께로 다시 돌리라고 권고했습니다. 언쟁과 싸움에 휩싸여 자신들의 우월의식이나 소유, 세상의 쾌락, 돈과 명예를 위해 다툼으로써 그들은 하나님과 적이 되어 버렸던 것입니다. 그래서 야고보는 이렇게 경고했습니다. “그런즉 너희는
하나님께 복종할지어다 마귀를 대적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피하리라...... 죄인들아 손을 깨끗이 하라 두 마음을 품은 자들아 마음을 성결하게 하라” (야고보서 4:7-8) . 그러면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을 가까이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가까이하시리라” (8절) . 이 말씀은 삶에서 더러운 죄를 씻어 없애기 위해 왜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하는지 설명해주는 살균제와 같은 말씀입니다. 그러고 나서 야고보는 청결하게 씻는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슬퍼하며 애통하며 울지어다 너희 웃음을 애통으로, 너희 즐거움을 근심으로 바꿀지어다 주 앞에서 낮추라 그리하면 주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 (9-10절).

우리의 죄를 다루는 것은 겸손한 일입니다. 하지만 신실하신 하나님은 우리의 “죄 씻는 행위”를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으로 바꾸어 주십니다. 할렐루야.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4:4-10
죄인들아 손을 깨끗이 하라 마음을 성결하게 하라 [야고보서 4:8]

거룩하신 하나님, 죄를 씻으시는 주님의 방법으로 저를 주님께로 돌아서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주님께 돌아설 때 제 두 손을 씻고 제 마음을 성결하게 해주소서.

삶의 어느 부분에서 죄가 지워지지 않고 있습니까? 하나님이 당신을 깨끗하게 하시도록 하나님께로 돌아섰습니까?

Daily Article

07/03/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5–27; ACTS 12
Hymn: 348(OLD388)

CLEANING METHOD

At the sink, two little children cheerfully sing the “Happy Birthday” song—two times each—while washing their hands. “It takes that long to wash away the germs,” their mother tells them. So eve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y’d learned to take time to clean dirt from their hands.

Keeping things clean can be a tedious process, as we learned in the pandemic. Scrubbing away sin, however, means following focused steps back to God.

James urged believers in Jesus scattered throughout the Roman Empire to turn their focus back to God. Beset by quarrels and fights, their battles for one-upmanship, possessions, worldly pleasures, money, and recognition made them an enemy of God. He warned them, “Submit yourselves, then to God. Resist the devil, and he will flee from you. . . . Wash your hands, you sinners, and purify your hearts, you double-minded” (JAMES 4:7–8) . But how?

“Come near to God and he will come near to you” (V. 8) . These are sanitizing words describing the necessity of turning to God to scour away the soil of sin from our lives. James then further explained the cleaning method: “Grieve, mourn and wail. Change your laughter to mourning and your joy to gloom. Humble yourselves before the Lord, and he will lift you up” (VV. 9–10).

Dealing with our sin is humbling. But, hallelujah, God is faithful to turn our “washing” into worship.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AMES 4:4–10
Wash your hands, you sinners, and purify your hearts. [ JAMES 4:8 ]

Holy God, thank You that Your cleaning methods for purifying sin draw me back to You. Wash my hands and purify my heart as I return.  

Where in your life does sin persist? Have you turned back to God to let Him clean you up?

오늘의 말씀

07/02/2021     금요일

성경읽기: 욥기 22-24; 사도행전 11
찬송가: 366(통485)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선택

레오 톨스토이의 소설 ‘가정의 행복’에서 주인공 세르게이와 마샤는 마샤가 젊고 매력적일 때 만납니다. 세르게이는 나이가 더 많고 여행을 많이 다녀, 마샤가 사는 시골 밖의 세상을 잘 알고 있는 사업가입니다. 시간이 흘러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지고 결혼하게 됩니다.

그들은 시골에 정착하여 살지만, 마샤는 주변 환경을 지루하게 느끼기 시작합니다. 마샤를 아끼는 세르게이는 세인트 피터스버그로의 여행을 마련하는데, 그곳에서 마샤는 그녀의 아름다움과 매력으로 인해 곧 유명해집니다. 부부가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려고 할 때, 한 왕자가 마샤를 만나고 싶어 그 도시에 찾아옵니다. 세르게이는 억지로 마샤를 끌고 그곳을 떠날 수 있었지만, 마샤가 스스로 결정하도록 합니다. 그러자 마샤는 그 도시에 남기로 결정하고, 아내의 배신은 세르게이의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세르게이처럼 하나님은 우리가 주님께 신실하도록 결코 강요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우리가 하나님을 바라보거나 등을 돌리거나, 스스로 선택하도록 하십니다. 우리가 처음 하나님을 선택하는 것은 우리 죄를 대속하신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할 때입니다 (요한
1서 4:9-10) . 그 후, 우리는 평생을 결정하면서 살아갑니다. 성령님이 인도하시는 대로 하나님을 향한 믿음을 선택하겠습니까, 아니면 세상 유혹을 따라가겠습니까? 다윗의 삶은 완전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여호와의 도”를 지키는 것과 그렇게 함으로써 얻게 된 좋은 결과에 대해 자주 기록했습니다 (시편 18:21-24) . 우리의 선택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때 우리는 다윗이 기술한, 신실한 사람에게는 하나님이 그분의 신실하심으로 대해 주시는 복을 경험하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8:20-27
주님께서는 신실한 사람에게는 주님의 신실하심으로 대하시고 [시편 18:25, 새번역]

사랑하는 하나님, 제 선택으로 주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평생 저를 신실하게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어려운 결정을 가장 최근에 내린 적이 언제입니까? 그 결정이 당신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습니까?

Daily Article

07/02/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2–24; ACTS 11
Hymn: 366(OLD485)

CHOOSING TO HONOR GOD

In the novella Family Happiness by Leo Tolstoy, main characters Sergey and Masha meet when Masha is young and impressionable. Sergey is an older, well-traveled businessman who understands the world beyond the rural setting where Masha lives. Over time, the two fall in love and marry.

They settle in the countryside, but Masha becomes bored with her surroundings. Sergey, who adores her, arranges a trip to St. Petersburg. There, Masha’s beauty and charm bring her instant popularity. Just as the couple is about to return home, a prince arrives in town, wanting to meet her. Sergey knows he can force Masha to leave with him, but he lets her make the decision. She chooses to stay, and her betrayal breaks his heart.

Like Sergey, God will never force us to be faithful to Him. Because He loves us, he lets us choose for or against Him. Our first choice for Him happens when we receive His Son, Jesus Christ, as the sacrifice for our sin (1 JOHN 4:9–10) . After that, we have a lifetime of decisions to make. Will we choose faithfulness to God as His Spirit guides us or let the world entice us? David’s life wasn’t perfect, but he often wrote about keeping “the ways of the Lord” and the good outcomes that came from doing so (PSALM 18:21–24) . When our choices honor God,
we can experience the blessing David described: to the faithful, God shows Himself faithful.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PSALM 18:20–27
To the faithful you show yourself faithful. [ PSALM 18:25 ]

Dear God, help me to honor You with the choices I make. Thank You for loving me faithfully throughout my life.

When was the last time you made a difficult decision that honored God? How did it affect your relationship with Him?

오늘의 말씀

07/01/2021     목요일

성경읽기: 욥기 20-21; 사도행전 10:24-48
찬송가: 546(통399)

서두르지 않는 기도

앨리스 카홀루수나는 하와이 사람들이 사원에 들어가기 전에 얼마나 오랜 시간을 사원 바깥에 앉아 준비하는지 들려줍니다. 사원에 들어간 후에도 그들은 제단까지 천천히 다가가 기도를 드리고, 그런 후 그들의 기도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다시 밖에 나와 오랫동안 앉아 있곤 합니다. 선교사들이 섬에 왔을 때 하와이 사람들은 가끔 선교사들이 하는 기도가 이상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선교사들은 일어서서 몇 마디 문장을 말하고는 그것을 “기도”라고 부르고 ‘아멘’ 하면서 기도를 끝마쳤습니다. 하와이 사람들은 이런 기도를 “생명이 없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앨리스가 한 말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가만히 있어......알게 되는” (시편 46:10)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오해하지 마십시오. 하나님은 빨리 하는 기도든 천천히 하는 기도든 다 들으십니다. 하지만 종종 삶의 속도는 마음의 속도를 보여주는 것이기에, 하나님이 우리 삶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삶에 말씀하실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드려야 합니다. 서둘러 ‘아멘’ 하면서 기도를 끝내버리면 얼마나 많은 생명의 순간들을 놓치겠습니까?

우리는 행동이 느린 사람들을 보던가 길이 막혀 차가 느리게 갈 때 등, 모든 일에 종종 참을성이 없어집니다. 그러나 나는 다정한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고 믿습니다. “가만히 있어 숨을 들이쉬고 내쉬어 봐. 천천히 가. 그리고 내가 하나님이라는 것을, 네 피난처요 힘이요, 환난 중에 언제나 함께하면서 돕는다는 것을 잊지 마.” 우리가 그렇게 할 때 하나님이 하나님 되심을 알게 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살아갈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6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 [시편 46:10]

하나님 아버지, 좋을 때나 어려울 때나 항상 함께 하시며 저의 도움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가만히 있어 하나님이 하나님 되심을 알 수 있는 은혜를 주소서.

천천히 하나님께 귀 기울이며 기도하던 때를 기억해 보십시오. 그때 느낌이 어땠습니까? 하나님 앞에 자신을 가만히 내려놓고 하나님을 알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01/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JOB 20–21; ACTS 10:24–48
Hymn: 546(OLD 399)

NOT RUSHING PRAYER

Alice Kaholusuna recounts a story of how the Hawaiian people would sit outside their temples for a lengthy amount of time preparing themselves before entering in. Even after entering, they would creep to the altar to offer their prayers. Afterward, they would sit outside again for a long time to “breathe life” into their prayers. When missionaries came to the island, the Hawaiians sometimes considered their prayers odd. The missionaries would stand up, utter a few sentences, call them “prayer,” say amen, and be done with it. The Hawaiians described these prayers as “without breath.”

Alice’s story speaks of how God’s people may not always take the opportunity to “be still, and know” (PSALM 46:10) . Make no mistake—God hears our prayers, whether they’re quick or slow. But often the pace of our lives mimics the pace of our hearts, and we need to allow ample time for God to speak into not only our lives but the lives of those around us. How many life-giving moments have we missed by rushing, saying amen, and being done with it?

We’re often impatient with everything from slow people to the slow lane in traffic. Yet, I believe God in His kindness says, “Be still. Breathe in and out. Go slow, and remember that I am God, your refuge and strength,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To do so is to know that God is God. To do so is to trust. To do so is to live.
JOHN BLASE

Today's Reading

PSALM 46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 PSALM 46:10 ]

Father, thank You for being my ever-present help in good times and bad. Give me the grace to be still and know that You’re God.

Recall a time when you slowed down and listened to God in your prayer time. How did that feel? What actions can you put into place to still yourself in God’s presence and know Him?

오늘의 말씀

05/31/2021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13-14; 요한복음 12:1-26
찬송가: 211(통346)

은밀히 베푸는 자

상이용사인 크리스토퍼에게는 일상의 활동들이 점점 더 버거워지고, 시간도 더 오래 걸리고, 통증도 늘어가기만 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최선을 다해 아내와 아이를 돌보았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매주 그가 손으로 미는 제초기로 잔디를 깎는 모습을 보곤 했습니다.

어느 날 크리스토퍼는 익명의 기부자에게서 한 장의 편지와 함께 타고 다니는 비싼 잔디 깎는 기계를 받았습니다. 익명의 기부자는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남모르게 돕는 특권을 통해 보람을 느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주는 모든 것을 은밀히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지는 않지만, 우리가 베풀 때 우리의 동기를 살펴보라고 상기시켜 주십니다(마태복음 6:1). 그리고 “구제할 때에 외식하는 자가 사람에게서 영광을 받으려고 회당과 거리에서 하는 것 같이 너희 앞에 나팔을 불지 말라”(2절)고도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너그러운 기부자가 되기를 바라시면서도, 사람에게서 칭찬이나 특별한 인정을 받으려고 선행을 베푸는 것을 피하라고 권고하십니다(3절).

우리에게 있는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임을 깨달을 때, 우리는 자신의 등을 쓰다듬거나 타인의 칭찬을 얻으려 하지 않는 은밀히 베푸는 자가 될 수 있습니다. 모든 좋은 것을 다 주시는 전지하신 하나님은 그분의 백성들이 참된 선행을 베푸는 모습을 보시며 기뻐하십니다. 하나님의 인정을 받는 보상을 능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1-4
사람에게 보이려고 그들 앞에서 너희 의를 행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마태복음 6:1]

하나님은 어떻게 누군가의 은밀한 구제를 통해 당신을 도우셨습니까?
오늘 익명의 선물로 누구를 도울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께서 저에게 주신 것처럼, 저도 이기심 없이 희생적으로 베풀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5/31/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13–14; JOHN 12:1–26
Hymn: 211(old 346)

SECRET GIVER

For Christopher, a physically disabled veteran, everyday activities had become more challenging, took longer to finish, and increased his pain. Still, he did his best to serve his wife and child. Passersby would see him using a push-mower to cut his lawn every week.

One day, Christopher received a letter—and an expensive riding lawnmower—from an anonymous donor. The secret giver’s satisfaction came through the privilege of helping someone in need.

Jesus doesn’t say that all our giving should be in secret, but He does remind us to check our motives when we give (MATTHEW 6:1). He also said: “When you give to the needy, do not announce it with trumpets, as the hypocrites do in the synagogues and on the streets, to be honored by others” (V. 2). While God expects us to be openhanded givers, He encourages us to avoid doing good deeds in front of people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accolades or special recognition (V. 3).

When we realize everything we have comes from God, we can be secret givers who don’t need to pat our own backs or gain the admiration of others. Our all-knowing Giver of all good things delights in the genuine generosity of His people. Nothing beats the reward of His approval.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MAT THEW 6:1–4
Be careful not to practice your righteousness in front of others to be seen by them.
[ MATTHEW 6:1 ]

How has God helped you through someone else’s secret giving?
Who can you help with an anonymous gift today?

Loving God, please bless me with opportunities to give as selflessly and sacrificially as You have given to m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