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15/2025 목요일
아주 영광스러운 지식
바울 사도도 하나님과의 경험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 이었다고 말합니다. “낙원으로 이끌려 가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을 들었으니 사람이 가히 이르지 못할 말이로다”(고린도후서 12:4). “이 지극히 큰 계시 때문에” 바울은 계속 겸손하게 하나님을 의지하도록 알 수 없는 “육체의 가시”(7절)를 받았습니다. 그는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 짐이라”(9절)는 말씀도 들었습니다.
하나님에 대해 더 많이 알수록 우리는 그분을 말로 표현하기가 얼마나 불가능한지 더 잘 알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여전히 연약하고 무슨 말을 해야 할 지 몰라도, 그럼에도 그리스도의 은혜와 아름다움은 뚜렷하게 빛을 내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2:1-10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 이는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물게 하려 함이라 [고린도후서 12:9]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어떤 하나님에 대한 경험을 가져 보셨습니까? 그런 경험들이 당신을 어떻게 변화시켰습니까?
하나님, 하나님의 아름다움과 그 아름다움이 저를 변화시키는 방식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제가 하나님 안에서 겸손히 안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5/2025 THURSDAY
SUCH GLORIOUS KNOWLEDGE
The apostle Paul also described an experience from God so overwhelming that it was impossible to put into words, when he was “caught up to paradise and heard inexpressible things, things that no one is permitted to tell” (2 CORINTHIANS 12:4). “Because of these surpassingly great revelations,” Paul was given an unidentified “thorn in [his] flesh” (V. 7) to keep him humble and reliant on God. He was told,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V. 9).
The more we understand about God, the more we understand how impossible it is for us to capture who He is in words. Yet in our weakness and in our loss for what to say, Christ’s grace and beauty shines clearly through.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2:1-10I will boast all the more gladly about my weaknesses, so that Christ’s power may rest on me. [ 2 CORINTHIANS 12:9 ]
What experiences from God do you find impossible to put into words? How have these experiences changed you?
Thank You, God, for Your beauty and the way it changes me. Please help me humbly rest in You.
오늘의 말씀
05/14/2025 수요일
하나님께 가져가라
히스기야 왕은 “편지를 여호와 앞에 펴 놓았습니다”(열왕기하 19:14). 편지의 내용은 심각한 병의 상태에 관한 것이 아니라, 유다의 모든 요새화 된 도시를 점령하고 수도인 예루살렘을 공격하려는 강적 앗수르의 위협적인 경고문이었습니다. 히스기야는 기도했습니다. “주는 천하 만국에 홀로 하나님 이시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여 원하건대 이제 우리를... 구원하옵소서”(15, 19절). 곧 이사야 선지자가 히스기야에게 이렇게 메시지를 보내어 말했습니다.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기도하는 것을 내가 들었노라”(20절). 그리고 “그날 밤” 하나님은 앗수르 군대를 멸하셨습니다(35절).
당신이 오늘 무엇을 마주하든 하나님 앞에 펼쳐 놓으십시오. “구할 것을 하나님께 아뢰면”(빌립보서 4:6) 하나님은 들으시고 당신과 함께하십니다. 당신은 하나님의 지혜와 사랑과 희망을 경험하며 그분의 손 안에서 안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19:14-20히스기야가... 편지를 받아보고... 그 편지를 여호와 앞에 펴 놓고 [열왕기하 19:14]
오늘 마음의 걱정을 하나님 앞에 펼쳐 놓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어떻게 하나님의 권능과 임재 안에서 쉼을 선택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제 걱정들을 하나님 앞에 가져올 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4/2025 WEDNESDAY
BRING IT TO GOD
King Hezekiah “spread [a letter] out before the Lord” (2 KINGS 19:14). The words in the letter didn’t address a threatening medical condition but the threat of a powerful enemy—Assyria—that had seized all the fortified cities of Judah and was preparing to attack Jerusalem, its capital. Hezekiah prayed, “You alone are God over all the kingdoms of the earth. . . . Now, Lord our God, deliver us” (VV. 15, 19). Soon the prophet Isaiah sent a message to Hezekiah, telling him, “The Lord . . . says: I have heard your prayer” (V. 20). And “that night” God destroyed the Assyrian army (V. 35).
Whatever you face today, spread it out before God. As you “present your requests to God” (PHILIPPIANS 4:6), He hears you and is with you. You can rest in His hands as you experience His wisdom, love, and hope.
TOM FELTEN
Today's Reading
2 KINGS 19:14-20Hezekiah received the letter . . . and spread it out before the Lord. [ 2 KINGS 19:14 ]
What will it mean for you to spread out before God the concerns on your heart today? How can you choose to rest in His power and presence?
Loving God, thank You for hearing me when I bring my concerns to You.
오늘의 말씀
05/13/2025 화요일
도움의 손길
레위기도 다른 사람들을 잘 대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에게 “[가난한 자들을] 도와 거류민이나 동거인처럼 너와 함께 생활하게 하라”(25:35)고 지시하셨습니다. 또 서로, 특히 도움이 필요한 자들을 잘 대하고 공평하게 대하라고도 하셨습니다. 그들은 힘든 일을 당해 쓰러져 자신을 돌볼 수 없는 사람들을 하나님을 “경외”(36절) 하는 마음으로 도와야 했습니다. 마치 “거류민이나 동거인”(35절)인 것처럼 그들을 친절과 사랑으로 대해야 했습니다.
거스 톰슨과 그의 아내 엠마는 자신들과 모습이 다른 가족을 도왔습니다. 그 보답으로 그 가족은 지금 다른 많은 사람들을 축복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에게 하나님의 자비를 전하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25:35-38너는 [가난한 자들을] 도와 거류민이나 동거인처럼 너와 함께 생활하게 하되 [레위기 25:35]
당신의 공동체 안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습니까? 어떻게 그들을 보살필 수 있을까요?
돌보시는 하나님 아버지, 제 눈을 열어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볼 수 있게 하소서.
Daily Article
05/13/2025 TUESDAY
A HELPING HAND
Leviticus also speaks of what it means to treat others well. God instructed His people, “Help [the poor] as you would a foreigner and stranger, so they can continue to live among you” (25:35). He instructed the people to treat each other well and fairly, especially those in need. Out of reverent “fear” (V. 36) for Him, they were to help those who’d fallen on hard times and weren’t able to take care of themselves. They were to treat them just as they would treat a “foreigner and stranger” (V. 35)—with hospitality and love.
Gus Thompson and his wife helped a family that didn’t look like them. In return, that family is blessing many other people. Let’s extend God’s compassion to those in need as He helps us reveal His love for them.
KATARA PATTON
Today's Reading
LEVITICUS 25:35-38Help [the poor] as you would a foreigner and stranger, so they can continue to live among you. [ LEVITICUS 25:35 ]
Who needs help in your community? How can you extend care to them?
Caring Father, please open my eyes so I can see how to help others.
오늘의 말씀
05/12/2025 월요일
후회 없음
웨어의 목록을 보면 누가복음 12장에 나오는 예수님의 비유가 떠오릅니다. 한 부자가 많은 수확물을 저장하기 위해 더 큰 곳간을 짓기로 결심합니다. 그리고 그 후 멋지게 은퇴하고 물러나 죽을 때까지 편안히 쉬면서 살겠다고 자신에게 말합니다(18-19절). 하지만 그 순간 하나님은 꽤 가혹하게 그의 생명을 요구하십니다. “어리석은 자여”라는 말과 함께 잊지 못할 질문이 이어집니다. “네 준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20절).
후회 없이 죽는 것이 가능할까요? 확실히 알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알고 있는 사실이 성경에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우리 자신을 위해 물질을 쌓아두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진정한 부는 하나님께 투자한 삶에서 나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2:13-21어리석은 자여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누가복음 12:20]
오늘 당신의 생명이 요구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당신의 경우는 지혜로운 자의 것입니까, 아니면 어리석은 자의 것입니까? 왜 그렇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그 때가 될 때 가능한 한 후회를 적게 하고 싶습니다. 지혜롭게 살면서 하나님 안에서 풍성한 삶을 누릴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2/2025 MONDAY
NO REGRETS
Ware’s list brings to mind the parable Jesus tells in Luke 12. A rich man decides to build bigger barns to store his great harvest, after which he tells himself he’ll retire in style, sit back and relax, and live until he dies (VV. 18-19). But in that moment, God demands his life with a rather harsh address: “You fool!”—followed by a haunting question: in essence, “And what will become of all your stuff?” (V. 20).
Is it possible to die with zero regrets? That’s hard to know for certain. But what we do know is clearly expressed in Scripture— storing up stuff for ourselves is a dead end. True riches come from a life invested in God.
JOHN BLASE
Today's Reading
LUKE 12:13-21You fool! This very night your life will be demanded from you. [ LUKE 12:20 ]
What if your life was demanded of you today? Would wise or foolish be applied to you? Why?
Dear Jesus, when the time comes, I want to have as few regrets as possible. Please help me to live wisely, building a life rich in You.
오늘의 말씀
05/11/2025 주일
삶을 돌아보는 엄마
도나는 높은 기대를 갖고 육아를 시작했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혀 그 기준을 낮춰야만 했습니다. “엄마가 되는 것은 지금껏 내가 한 일 중 가장 힘든 일이었어요. 그리고 까다로운 아이 하나가 나를 매번 짜증나게 했어요.”
하나님이 레아를 이스라엘의 여자 가장으로 선택하셨을 때, 레아는 분명히 자녀 한 명 한 명에게 큰 기대를 가졌을 것입니다. 레아는 첫 네 아들에게 자신의 힘든 상황과 관련된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창세기 29:32-35). 하지만 성경의 암울한 이야기에 이르러 보면 그 아들들은 나쁜 자들로 등장합니다. 살인한 자(34:24-30)도 있었고 노예매매를 한 자(37:17-28)도 있었습니다. 레아의 아들 유다는 성경의 더 추악한 이야기 중 하나에서 악한 사람으로 나옵니다(38장).
어떻게 하나님처럼 유다를 포함한 레아의 혈통에서 메시아가 나게 하실 수 있을까요? 하나님은 가장 어려운 상황에서 가장 예상치 못한 사람들을 통해 구원을 이루십니다.
도나도 이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도나는 아이들을 양육하면서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계속 노력하고 기도하는 것 외에는” 어떤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도나를 가장 짜증나게 했던 그 아이는 이제 자라서 엄마를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도나는 돌이켜보며, “아마도 그 아이는 나와 하나님에 관해 무언가를 가르쳐 주려고 나에게 보내진 것 같아요.”라고 말합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29:31-35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하고 이로 말미암아 aws[레아가] 그의 이름을 유다라 하였고 [창세기 29:35]
살면서 가장 심한 실망감을 느꼈던 곳이 어디입니까?
이를 통해 하나님에 대해 무엇을 배우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하늘에 계신 아버지, 모든 일에서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1/2025 SUNDAY
A MOM LOOKS BACK
Donna started her parenting life with high expectations. Reality lowered the bar. “Being a mother was really the hardest thing I ever did,” she said. And one particular child “pushed every button I had.”
When God chose Leah to be a matriarch of Israel, no doubt she had high expectations for each of her children. She gave her first four sons names with relevance to her difficult situation (GENESIS 29:32-35). Yet when it comes to dark stories in the Bible, these sons have starring roles as the bad guys. Some were guilty as murderers (34:24-30) and slavers (37:17-28). Leah’s son Judah is the villain in one of the uglier accounts in Scripture (CH. 38).
How like God to bring the Messiah through Leah’s descendants— including Judah. In the most difficult circumstances and through the most unexpected people, God works out redemption.
Donna learned this too. As she faced all her parenting challenges, she never found an answer “except to keep going and keep praying.” And that kid who pushed all her buttons? He’s grown now, and he loves and respects his mom. Looking back, Donna says, “Perhaps he was sent to me to teach me something about myself and something about my God.”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GENE SIS 29:31-35“This time I will praise the Lord.” So [Leah] named him Judah. [ GENESIS 29:35 ]
Where have you sensed the keenest disappointments in your life?
What do you find you’re learning about God through this?
Heavenly Father, please help me to trust You in everything.
오늘의 말씀
05/10/2025 토요일
완전한 믿음으로 살기
예수님이 다시 오실 때까지, 이 세상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시험으로 말미암아 근심하게”(베드로전서 1:6) 될 것입니다. 우리는 실제 고통에서 오는 실제적인 감정을 겪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누구나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남” (3절)을 경험하는 모든 사람들은 예수님을 향한 사랑으로 삶에 닻을 내리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할”(8절)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우리 믿음의 마지막 결과는 바로 “[우리] 영혼의 구원”(9절)입니다.
우리가 온전한 믿음을 가지고 우리의 기도와 형편을 담대하게 그리스도께 맡길 수 있도록 성령님이 우리에게 힘을 더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3-9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으로 말미암아 잠깐 근심하게 되지
않을 수 없으나 오히려 크게 기뻐하는도다 [베드로전서 1:6]
절망적인 상황에서 예수님 안에 있는 구원의 소망으로 기뻐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도와주신 적이 있습니까? 주님을 향한 확신이 당신의 기도하는 방식을 어떻게 바꾸어 주었습니까?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을 신뢰하면서 다시 오셔서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실 것이라는 주님의 약속을 기다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10/2025 SATURDAY
LIVING WITH FULL FAITH
In this world, until Jesus comes again, we’ll “suffer grief in all kinds of trials” (1 PETER 1:6). We’ll need to process real emotions caused by real pain. However, everyone who experiences “new birth” in Christ (V. 3) can be anchored in life by love for Jesus and be “filled with an inexpressible and glorious joy” (V. 8). The end result of our faith in Christ is this: “the salvation of [our] souls” (V. 9).
The Holy Spirit empowers us to have full faith—living with our prayers and our situations confidently surrendered to Christ.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PETER 1:3-9In all this you greatly rejoice, though . . . you . . . suffer grief in all kinds of trials. [ 1 PETER 1:6 ]
When has God helped you rejoice in the hope of salvation in Jesus while facing devastating circumstances? How has your confidence in Him changed the way you pray?
Dear Jesus, please help me trust You as I wait for Your promised return when You’ll make all things new.
오늘의 말씀
05/09/2025 금요일
사랑이 주는 큰 놀라움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님이 죽음에서 부활하신 후 처음 만났을 때 그런 경험을 했습니다. 마리아는 텅 빈 무덤 옆에서 흐느끼고 있었고, 몸을 돌이켜 “예수께서 서 계신 것을 보았으나 예수이신 줄은 알지 못했습니다”(요한복음 20:14). 마리아는 왜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했을까요? 어쩌면 눈에 고인 눈물 때문일 수도 있고, 아니면 밖이 “아직 어두웠기”(1절)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더 가능성이 높은 것은 마리아가 마지막으로 본 예수님은 피투성이였고 매를 맞고 고문당해 죽으신 모습이었기 때문입니다. 살아 있는 예수님을 다시 볼 수 있을 거라고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마리아는 너무도 생기가 넘치신 예수님의 모습에 이 엄청난 진실을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아나셔서”(고린도전서 15:42) 거기 서 계셨습니다! 예수님이 그의 이름을 부르자 그제야 마리아는 신실한 친구이자 “선생님”(요한복음 20:16)으로 뿐 아니라 부활하신 생명의 주님으로 그를 알아보았습니다. 하나님은 항상 그분의 경이로움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십니다. 주님이 우리를 위해 죽음을 이기신 것이 무엇보다도 큰 놀라움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20:11-18내가 주를 보았다
[요한복음 20:18]
하나님은 당신을 어떻게 놀라게 하셨습니까? 오늘 당신이 경험한 하나님의 자비를 어떻게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을까요?
아빠 아버지, 예수님을 죽음에서 살리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오늘 하나님이 주시는 생명 안에서 살아가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09/2025 FRIDAY
LOVE’S GREAT SURPRISE
Mary Magdalene had that experience when she first met Jesus after He rose from the dead. Mary was weeping beside the empty tomb when she turned “and saw Jesus standing there, but she did not realize that it was Jesus” (JOHN 20:14). Why didn’t she recognize Him? Perhaps because of the tears in her eyes or because it “was still dark” (V. 1). More likely, it was because when she last saw Him, He’d been bloodied and beaten and tortured to death. She never expected to see Him alive again; He was so alive that it took time for the magnificent truth to sink in.
Yet there Jesus stood, “raised imperishable” (1 CORINTHIANS 15:42)! And the moment He called her by name, Mary recognized Him, not only as her faithful friend and “Teacher” (JOHN 20:16), but also as the risen Lord of life. God always has ways of astounding us with His wonders. His conquering death for us is the greatest surprise of all.
JAMES BANKS
Today's Reading
JOHN 20:11-18I have seen the Lord!
[ JOHN 20:18 ]
How has God surprised you? How can you share His kindness to you with someone today?
Abba, Father, I praise You for raising Jesus from the dead! Please help me live in the life You give today!
오늘의 말씀
05/08/2025 목요일
그리스도 안에 깊이 뿌리내림
머리 목사는 이 예를 바울 사도가 에베소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내용과 연관시켰습니다. 바울은 로마 감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아주 잘 정리한 편지를 썼습니다. 그의 목회자로서의 열정은 신자들이 그들 안에 계신 그리스도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능력으로 강건하게 되고, 믿음으로 말미암아 주님이 그들의 마음에 계시도록 기도할 때 빛이 납니다(에베소서 3:16-17). 바울은 그들이 “사랑 가운데서 뿌리가 박히고 터가 굳어져서” 하나님의 풍성한 사랑을 온전히 알기를 간절히 바랐습니다(17-18절).
예수님을 믿는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이라는 비옥한 토양에 깊이 뿌리를 내리면, 그곳의 영양분으로 강건하게 되고 성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가 예수님께 접붙여질 때 성령께서 우리가 열매를 맺도록 도와주십니다. 때론 우리를 뒤흔드는 폭풍을 맞을 때도 있지만, 우리가 생명과 사랑의 근원이신 예수님께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폭풍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3:14-21너희가 사랑 가운데서 뿌리가 박히고 터가 굳어져서 능히... 기도하노라 [에베소서 3:17-18]
포도나무이신 예수님께 접붙여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하나님과 함께할 때 성장하기에 충분한 영양분을 얻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의 사랑 안에 저를 세워주셔서 열매를 맺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5/08/2025 THURSDAY
DEEPLY ROOTED IN CHRIST
Murray connected this illustration to the apostle Paul’s epistle to the Ephesians. From prison in Rome, Paul wrote a letter that wonderfully summarizes the gospel of Jesus Christ. His pastoral heart shines through when he prayed that the believers would be strengthened with power through Christ’s Spirit in their inner being so that He would dwell in their hearts by faith (EPHESIANS 3:16-17). Paul longed that they’d be “rooted and established in love” and would grasp the full measure of God’s abundant love (VV. 17-18).
As believers in Jesus, our roots sink deeply into the rich soil of God’s love, where the nutrients fortify us and help us grow. And as we’re grafted onto Jesus, His Spirit helps us to produce fruit. We may have to weather storms that bend us one way or another, but we can withstand them when we’re rooted in the Source of life and lov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EPHESIANS 3:14-21I pray that you, being rooted and established in love, may have power. [ EPHESIANS 3:17-18 ]
What does it mean to you to be grafted into Jesus, the Vine? How can you ensure you’re receiving enough nutrients in your life with God to flourish?
Loving God, please establish me in Your love so that I bear fruit and bring You glory.
오늘의 말씀
05/07/2025 수요일
예수님 안에서 다른 사람 사랑하기
학교가 그런 방식으로 학생들을 격려하는 데에는 신중하고 현명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들의 노력은 성경에서 다윗 왕이 우리에게 제시한 모범을 생각나게 해줍니다.
다윗 시대에 “‘맹인과 다리 저는 사람’은 왕궁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사무엘하 5:8)는 속담이 있었는데, 이는 다윗의 적들을 은유적으로 지칭하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두 다리를 저는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을 왕궁으로 데려와 그를 높여 “[그의] 상에서 함께 먹도록” 자리를 마련해주었습니다(9:7).
바울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지침을 제시합니다.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라”(로마서 12:10).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을 예수님의 사랑으로 존중하며 하나된 삶을 살아가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하 9:1-10너는 항상 내 상에서 떡을 먹을지니라
[사무엘하 9:7]
당신의 영향권 안에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격려할 수 있습니까?
다른 사람들을 존중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의 사랑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은혜와 자비를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07/2025 WEDNESDAY
LOVING OTHERS IN JESUS There’s
It takes deliberate, wise leadership for schools to honor students in this way. And their efforts reflect an example set for us in Scripture by King David.
A common saying in David’s day was that “the ‘blind and lame’ will not enter the palace” (2 SAMUEL 5:8)—used metaphorically in reference to his enemies. David, however, did choose to take Jonathan’s son Mephibosheth, who had two lame feet, into his palace and honor him with a place to “eat at [his] table” (9:7).
Paul presents a clear guideline for how we’re to treat others. “Love each other with genuine affection, and take delight in honoring each other” (ROMANS 12:10 NLT).
Let’s practice unified living—making sure to honor, in Jesus’ love, everyone we encounter.
DAVE BRANON
Today's Reading
2 SAMUEL 9:1-10You will always eat at my table.
[ 2 SAMUEL 9:7 ]
How can you encourage the people in your sphere of influence?
What does it mean for you to show honor to others?
Dear God, please help me show grace and kindness toward those who need my love and assistance.
오늘의 말씀
05/06/2025 화요일
겸손한 자의 영예
예수님은 저녁 식사 자리에서 이와 비슷한 자리 다툼을 보시고, 한 비유를 말씀하시면서 함께 온 제자들을 아주 놀라게 하셨습니다. 주님은 혼인 잔치 이야기를 하시면서 “높은 자리에 앉지 말고” 대신 “끝자리에 앉으라”고 가르치셨습니다(누가복음 14:8-10). 예수님은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11절)는 말씀으로 그들이 갖고 있던 사회적 통념을 무너뜨리셨습니다.
특히 “성공”에 여전히 집착하는 우리의 인간적인 유혹 때문에, 지금 끝자리에 앉으면 나중엔 처음이 될 것이라는 천국의 원칙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가 주님의 모범을 따르면서, 주님의 도움으로 생각을 바꿔 겸손과 맨 끝과 낮아짐이 진정한 영예의 자리임을 알라고 강권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4:7-11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누가복음 14:11]
당신 주위에 예수님이 말씀하는 겸손을 갖춘 사람이 누구입니까?
당신은 언제 자신의 영예로운 자리를 내려놓는 게 어렵습니까?
예수님, 어떤 환경에서도 겸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5/06/2025 TUESDAY
HUMBLE HONOR
When Jesus observed similar jockeying for position at a dinner table, He responded by telling a parable that undoubtedly surprised His fellow guests. Using a story about a wedding feast, He instructed them to “not take the place of honor” but instead “take the lowest place” (LUKE 14:8-10). Christ confounded their social norms by saying that “all those who exalt themselves will be humbled, and those who humble themselves will be exalted” (V. 11).
This kingdom principle can be a difficult one to adopt, especially because our human temptation will be to still focus on “winning” somehow—choosing the last position now so we’ll be first later. But Jesus urges us to follow His example and look to Him for help in reorienting our thinking to see being humble, last, and lowly as truly being in the place of honor.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LUKE 14:7-11All those who exalt themselves will be humbled, and those who humble themselves will be exalted.
[ LUKE 14:11 ]
Who in your life embodies the kind of humility Jesus calls us to?
When do you struggle to surrender your own place of honor?
Please help me, Jesus, to show humility in all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