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13/2021     주일

성경읽기: 에스라 6-8; 요한복음 21
찬송가: 565(통300)

하나님의 나라

어머니는 일생 동안 많은 일에 헌신하셨는데 그중에서도 어린아이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려는 열정은 한결같았습니다. 어머니가 공개적으로 반대 의견을 표하는 것을 몇 번 본 적이 있는데, 그것은 모두 누군가가 그들이 생각하기에 더 “중요한” 사역을 내세우며 어린이 사역 예산을 삭감하려 했을 때였습니다. 어머니는 “너의 형을 임신했던 여름에 내가 쉬었던 것이 전부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대략 헤아려 보니 어머니는 55년 동안을 교회에서 아이들과 함께 일하셨습니다.

마가복음 10장에는 흔히 “어린아이들과 예수님”이라는 제목으로 친근한 복음서 이야기 중 하나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사람들은 아이들을 축복해달라고 예수님께 데려왔지만, 제자들은 그것을 막으려고 했습니다. 마가는 그때 예수님이 “노하시어......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14절)라고 자신의 제자들을 꾸짖으셨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찰스 디킨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이 작은 아이들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으로부터 갓 나온 그들이 우리를 사랑한다는 것은 작은 일이 아닙니다.” 어른인 우리가 어린아이들이 늘 새로운 예수님의 사랑으로부터 절대 차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작은 일이 아닙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0:13-16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마가복음 10:14]

어렸을 때 예수님을 소개받았다면 기억 속의 그 어른은 누구였습니까?
오늘 말씀에서 제자들에게 분노하신 예수님은 어떤 분이라는 인상을 줍니까?

예수님, 아이들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에게 주님의 사랑과 임재를 보여주게 하소서. 그들이 언제든지 주님께 올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을 상기시켜 주소서.

Daily Article

06/13/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6–8; JOHN 21
Hymn: 565(old300)

THE KINGDOM OF GOD

My mother has been committed to many things over the course of her life, but one that has remained constant is her desire to see little children introduced to Jesus. Of the few times I’ve witnessed my mother display disagreement publicly, all were when someone attempted to cut a children’s
ministry budget in favor of what they felt were more “serious” expenditures. “I took off one summer when I was pregnant with your brother, but that’s it,” she told me. I did a little family math and I realized my mom had been working with children in the church for fifty-five years.

Mark 10 records one of the endearing stories in the Gospels commonly titled “The Little Children and Jesus.” People were bringing children to Jesus that He might touch and bless them. But the disciples tried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Mark records Jesus as “indignant”—and rebuking His very own disciples: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V. 14).

Charles Dickens wrote, “I love these little people; and it’s not a slight thing when they, who are so fresh from God, love us.” And it’s not a slight thing when we, who are older, do all we can to make sure the little children are never hindered from the ever-fresh love of Jesus. - JOHN BLASE

Today's Reading

MARK 10:13–16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 MARK 10:14 ]

If you were introduced to Jesus as a child, who were the supporting adults in that memory?
What kind of impression does Jesus being indignant in this story make on you?

Jesus, help me to reveal Your love and presence to all people, including children. Make me mindful of ways to ensure that they can always come to You.

오늘의 말씀

06/12/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3-5; 요한복음 20
찬송가: 528(통318)

우리의 이름을 아시는 주님

우리 부부는 오래 다니던 교회를 떠났다가 3년 만에 다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대할까? 다시 받아줄까? 우리를 사랑할까? 떠났던 것을 용서할까?’ 화창한 주일 아침에 우리는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었습니다. 교회의 커다란 문에 들어서자 우리의 이름이 계속해서 들렸던 것입니다. “팻! 댄! 보게 돼서 정말 반가워요!” 그들의 음성은 아동 문학 작가 케이트 디카밀로가 그녀의 유명한 책에 썼던 것과 같았습니다. “독자 여러분, 이 슬픈 세상에서 당신이 사랑하는 누군가가 당신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만큼 더 아름다운 소리는 없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도 이 같은 약속이 있었습니다. 우리 부부는 한동안 다른 교회를 선택한 것이었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 등을 돌렸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을 다시 받아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보내어,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이사야 43:1)고 안심시키셨습니다.

눈에 띄지 않고, 인정받지 못하고, 심지어 아무도 우리를 모른다고 느껴지는 이 세상이지만 하나님은 우리 각자의 이름을 다 아신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하나님은 “네가 내 눈에 보배롭고 존귀하다”고 말씀하십니다 (4절).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너와 함께 할 것이라 강을 건널 때에 물이 너를 침몰하지 못할 것이라”(2절). 이 약속은 이스라엘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신 예수님은 우리의 이름을 알고 계십니다. 왜요? 사랑 안에서 우리는 주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7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이사야 43:1]

왜 하나님은 그의 백성이 돌아오는 것을 환영하십니까?
하나님은 당신의 이름을 아신다는 것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예수님, 주님의 품에서, 그리고 주님과의 교제에서 멀어졌을 때 저를 지명하여 불러 주소서. 제가 주님의 것임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6/12/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3–5; JOHN 20
Hymn: 528(old318)

HE KNOWS YOUR NAME

After breaking with our longtime church, my husband and I reunited with the fellowship after three long years. But how would people treat us? Would they welcome us back? Love us? Forgive us for leaving? We got our answer on a sunny Sunday morning. As we walked through the big church doors, we kept hearing our names. “Pat! Dan! It’s so great to see you!” As children’s author Kate DiCamillo wrote in one of her popular books, “Reader, nothing is sweeter in this sad world than the sound of someone you love calling your name.”

The same assurance was true for the people of Israel. We had chosen a different church for a time, but they had turned their backs on God. Yet He welcomed them back. He sent the prophet Isaiah to assure them, “Do not fear, for I have redeemed you; I have summoned you by name; you are mine” (ISAIAH 43:1).

In this world—where we can feel unseen, unappreciated, and even unknown—be assured that God knows each of us by name. “You are precious and honored in my sight,” He promises (V. 4). “When you pass through the waters, I will be with you; and when you pass through the rivers, they will not sweep over you” (V. 2). This promise isn’t just for Israel. Jesus ransomed His life for us. He knows our names. Why? In love, we are His. -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ISAIAH 43:1–7
I have summoned you by name; you are mine.
[ ISAIAH 43:1 ]

Why does God welcome His people back to Him?
How has He shown that He knows you by name?

Jesus, when I stray from Your arms and Your fellowship, summon me home by name. I’m so grateful to be Yours.

오늘의 말씀

06/11/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에스라 1-2; 요한복음 19:23-42
찬송가: 545(통344)

보이지 않는 경이로움

굿리치 여사는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들면서 힘겨웠지만 은혜로 가득 찬 삶의 기억들과 함께 이런저런 생각들이 떠오르곤 했습니다. 그녀는 미시간의 그랜드 트래버스 만이 내려다보이는 창가에 앉아 메모지를 집어 들었습니다. 조금 지나면 자신이 쓴 것조차 모르게 될 글이지만 그녀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지금 내가 늘 앉는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발은 문틀 위에 놓여 있고 마음은 하늘을 날아다닙니다. 저 아래엔 햇살 찬란한 물결이 쉼 없이 치고 있는데 다 어디로 가는 걸까요? 하지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가 주신 셀 수 없는 선물들과 영원한 사랑에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나를 감격시키는 그 사랑, 어떻게 그럴 수 있나요? 그 사랑 때문에 볼 수도 없는 하나님을 나도 이렇게 사랑합니다.”

베드로 사도도 그런 경이로움을 알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눈으로 예수님을 보았지만 그의 편지를 읽게 될 사람들은 본 적이 없었습니다. “예수를 너희가 보지 못하였으나......믿고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니” (베드로전서 1:8). 우리가 예수님을 사랑하는 것은 명령을 받았기 때문이 아니라 성령님의 도우심으로(11절) 예수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예수님이 우리 같은 사람들을 돌보신다는 말을 듣는 것 이상의 것입니다. 그것은 주님의 보이지 않는 임재와 성령님의 경이로움이 우리 삶의 모든 단계에서 현실이 되게 하겠다는 그리스도의 약속을 우리 스스로 경험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베드로전서 1:3-9
여러분은 그리스도를 본 일이 없으면서도 사랑하며, 지금 그를 보지 못하면서도 믿으며
[베드로전서 1:8, 새번역]

베드로전서 1:3-9을 다시 읽어보십시오. 이 말씀은 우리 하나님께서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실제가 되게 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보여줍니까?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께 얼마나 마음의 문이 열려있습니까?

하늘에 계신 우리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 안에서 기적 같은 하나님의 사랑과 임재를 보고, 성령님을 믿을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1/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EZRA 1–2; JOHN 19:23–42
Hymn: 545(old 344)

UNSEEN WONDER

In the twilight of her years, Mrs. Goodrich’s thoughts came in and out of focus along with memories of a challenging and grace-filled life. Sitting by a window overlooking the waters of Michigan’s Grand Traverse Bay, she reached for her notepad. In words she soon wouldn’t recognize as her own she wrote: “Here I am in my favorite chair, with my feet on the sill, and my heart in the air. The sun-struck waves on the water below, in constant motion—to where I don’t know. But thank You—dear Father above—for Your innumerable gifts and Your undying love! It always amazes me—How can it be? That I’m so in love with One I can’t see.”

The apostle Peter acknowledged such wonder. He had seen Jesus with his own eyes, but those who would read his letter had not. “Though you have not seen him . . . you believe in him and are filled with an inexpressible and glorious joy” (1 PETER 1:8). We love Jesus not because we’re commanded to, but because with the help of the Spirit (V. 11) we begin to see how much He loves us.

It’s more than hearing that He cares for people like us. It’s experiencing for ourselves the promise of Christ to make the wonder of His unseen presence and Spirit real to us at every stage of life. - MART DEHAAN

Today's Reading

1 PETER 1:3–9
Though you have not seen him, you love him; and even though you do not see him now, you believe in him.
[ 1 PETER 1:8 ]

Read 1 Peter 1:3–9 again. In what ways do these words show you how our God makes the inexpressible real to us? How open are
you to the Spirit of Jesus, who lives in and among us?

Our Father in heaven, please help me to see the miracle of Your love and presence in Your Son and to believe in Your Spirit.

오늘의 말씀

06/10/2021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4-36; 요한복음 19:1-22
찬송가: 86(통86)

당신은 누구입니까?

화상 회의에서 리더가 “안녕하세요!”하고 인사를 했습니다. 나는 그를 보지도 않고 그냥 “안녕하세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스크린에 비친 내 모습을 보는데 정신이 빠져 있었던 것입니다. ‘아니 내가 이렇게 생긴 거야?’ 화상 회의에 참석한 다른 사람들의 미소 띤 얼굴을 보니 늘 보던 그 모습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 이 모습이 바로 나의 모습임에 틀림없습니다. ‘살을 좀 빼야 겠네. 머리도 깎고.’

바로는 스스로 생각하기에 매우 위대했습니다. 그는 여러 나라 가운데 사자였고 바다 가운데의 큰 악어와 같았습니다(에스겔 32:2). 그러다가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어떻게 보시는지를 얼핏 보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그가 곤경에 처해 있으며, 하나님이 그의 시체를 들짐승에게 내어줌으로써 “많은 민족이 놀랄 것이며......네가 당한 일로 왕들이 두려워 떨 것”(10절) 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바로는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못 미치는 사람이었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영적으로 꽤 괜찮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하나님의 관점으로 우리 죄를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거룩한 기준에 비교해보면 “우리의 의는 다 더러운 옷 같습니다”(이사야 64:6). 그러나 하나님은 또한 그 외의 어떤 것, 더 참된 어떤 것을 보십니다. 곧 하나님은 예수님을 보시고, 예수님 ‘안에’ 있는 우리를 보십니다.

‘지금의 당신의 모습’에 낙심이 되십니까? 그러나 그것이 ‘당신의 본 모습’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예수님 안에 있고,
주님의 거룩하심이 당신을 덮고 있습니다. 당신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아름답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스겔 32:2-10
너를 여러 나라에서 사자로 생각하였더니 실상은 바다 가운데의 큰 악어라
[에스겔 32:2]

자신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까? 그것은 하나님께서 당신을 보시는 이미지와 어떻게 비교됩니까?

예수님, 주님을 의지합니다. 주님의 사랑과 선하심이 저를 아름답게 합니다.

Daily Article

06/10/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4–36; JOHN 19:1–22
Hymn: 86(old 86)

WHO ARE YOU?

The leader of our video conference said, “Good morning!” I said “Hello” back, but I wasn’t looking at him. I was distracted by my own image on the screen. Do I look like this? I looked at the smiling faces of the others on the call. That looks like them. So yes, this must be me. I should lose some weight. And get a haircut.

In his mind, Pharaoh was pretty great. He was “a lion among the nations . . . a monster in the seas” (EZEKIEL 32:2). But then he caught a glimpse of himself from God’s perspective. God said he was in trouble and that He would expose his carcass to wild animals, causing “many peoples to be appalled at you, and their kings [to] shudder with horror because of you” (V. 10). Pharaoh was much less impressive than he thought.

We may think we’re “spiritually handsome”—until we see our sin as God sees it. Compared to His holy standard, even “our righteous acts are like filthy rags” (ISAIAH 64:6). But God also sees something else, something even more true: He sees Jesus, and He sees us in Jesus.

Feeling discouraged about how you are? Remember this is not who you are. If you have put your trust in Jesus, then you’re in Jesus, and His holiness drapes over you. You’re more beautiful than you imagine. - MIKE WITTMER

Today's Reading

EZEKIEL 32:2–10
You are like a lion among the nations; you are like a monster in the seas.
[ EZEKIEL 32:2 ]

What image do you have of yourself? How does that compare to the image God has of you?

Jesus, I cling to You. Your love and goodness beautifies me.

오늘의 말씀

06/09/2021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2-33; 요한복음 18:19-40
찬송가: 455(통507)

영적 성숙으로 나아감

최근의 한 설문조사를 보면 자신이 성인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나이가 언제인지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스스로 성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 사실을 보여주는 구체적 행동들을 예시했는데, 가계 예산을 세우고 집을 사는 것이 “어른으로서의 행동” 순위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다른 어른스러운 행동으로는 주 중에 매일 저녁식사를 직접 준비한다거나, 병원 진료 예약을 직접 하는 것, 재미있는 예로 군것질로 저녁식사를 때워도 된다거나, 토요일 저녁에 놀러 나가지 않고 집에 있는 것이 더 좋아지는 것 등 다양했습니다.

성경은 우리가 영적으로도 힘써 성숙해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에베소 교회에 편지를 써서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라”(에베소서 4:13)고 강권했습니다. 우리 믿음이 “어릴” 동안에는 “온갖 교훈의 풍조”(14절)에 취약해 우리 사이에 자주 분열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와 반대로, 진리를 이해하는 데 성숙해지면 “머리가 되시는 그리스도”(15절, 새번역) 아래 한 몸이 되어 움직이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령을 주셔서 하나님이 누구신지 잘 알아가게 도우시며(요한복음 14:26), 목사와 교사들을 세워서 우리를 성숙한 믿음에 이르도록 가르치고 인도하게 하십니다(에베소서 4:11-12). 몸이 자라면서 그 증거로 어떤 특징들이 나타나는 것처럼, 우리가 주님의 몸으로 연합하는 모습이 영적으로 자랐다는 증거입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11-16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르리니
[에베소서 4:13 ]

당신은 어떤 면에서 여전히 “온갖 교훈의 풍조”에 약합니까?
어떻게 영적으로 계속 성장할 수 있을까요?

저의 성장과 성숙을 주관하시는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한 곳을 보게 도와주시고 하나님의 지혜를 더 많이 가르쳐 주소서.

Daily Article

06/09/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2–33; JOHN 18:19–40
Hymn: 455(old 507)

MOVING TOWARD MATURITY

A recent survey asked respondents to identify the age at which they believed they became adults. Those who considered themselves adults pointed to specific behaviors as evidence of their status. Having a budget and buying a house topped the list as being marks of “adulting.” Other adult activities ranged from cooking dinner every weeknight and scheduling one’s own medical appointments, to the more humorous ability to choose to eat snacks for dinner or being excited to stay at home on a Saturday evening instead of going out.

The Bible says we should press on toward spiritual maturity as well. Paul wrote to the church at Ephesus, urging the people to “become mature,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EPHESIANS 4:13). While we’re “young” in our faith, we’re vulnerable to “every wind of teaching” (V. 14), which often results in division among us. Instead, as we matur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truth, we function as a unified body under “him who is the head, that is, Christ” (V. 15).

God gave us His Spirit to help us grow into a full understanding of who He is (JOHN 14:26), and He equips pastors and teachers to instruct and lead us toward maturity in our faith (EPHESIANS 4:11–12). Just as certain characteristics are evidence of physical maturity, our unity as His body is evidence of our spiritual growth.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EPHESIANS 4:11–16
Become mature,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 EPHESIANS 4:13 ]

In what ways are you still vulnerable to “every wind of teaching”?
How can you continue to grow spiritually?

Loving God, You’re the author of my growth and maturity. Please help me to see where my understanding of You is still immature and teach me more of Your wisdom.

오늘의 말씀

06/08/2021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30-31; 요한복음 18:1-18
찬송가: 268(통202)

하나님의 구원

한 주민의 911 신고를 받고 경찰관이 기찻길을 따라 조명을 밝히며 운전해 가다 철로 위에 걸쳐 서 있는 자동차 한 대를 발견했습니다. 그때 경찰관의 계기판 카메라에 기차가 이 차를 향해 무서운 속도로 달려오는 아찔한 광경이 보였습니다. “시속 50에서 80마일(약 80에서 130 킬로미터) 정도의 빠른 속도로 기차가 다가오고 있었습니다.”라고 경찰관은 말했습니다. 그는 망설임 없이 뛰어가 기차가 차와 충돌하기 불과 몇 초 전에 의식을 잃은 한 남자를 차에서 끌어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종종 아무런 가망이 안 보이는 바로 그때 구원해 주시는 분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애굽에 갇혀 숨 막히는 억압 아래에서 이스라엘 민족은 벗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출애굽기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희망을 전해주는 말씀을 하시는 것을 봅니다. “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고 그들이......부르짖음을 듣고 그 근심을 알았다”(3:7). 그리고 하나님은 보실 뿐 아니라 행동하셨습니다.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애굽인의 손에서 건져내리라”(8절). 하나님은 이스라엘 민족을 속박에서 구해내셨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하신 구원이었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을 구한 하나님의 구원은 도움이 필요한 우리 모두를 도우시려는 그분의 마음과 권능을 보여줍니다. 하나님께서 구하러 오시지 않으면 파멸할 수밖에 없는 우리를 그분이 도와주십니다. 상황이 아무리 어렵고 불가능해 보일지라도, 우리는 눈을 들고 마음을 열어 구원하기를 기뻐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출애굽기 3:7-10
내가 내려가서 그들을 애굽인의 손에서 건져내고
[출애굽기 3:8]

모든 것을 잃은 것 같아 하나님의 구원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이 어디입니까? 이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하나님께 희망을 품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정말 곤경에 처해있어서 하나님의 도움 없이는 제대로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제발 저를 도와주소서. 저를 구원해 주소서.

Daily Article

06/08/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30–31; JOHN 18:1–18
Hymn: 268(old 202)

DIVINE RESCUE

After being informed of a 911 call from a concerned citizen, a police officer drove alongside the train tracks, shining his floodlight into the dark until he spotted the vehicle straddling
the iron rails. The trooper’s dashboard camera captured the harrowing scene as a train barreled toward the car. “That train was coming fast,” the officer said, “Fifty to eighty miles per hour.” Acting without hesitation, he pulled an unconscious man from the car mere seconds before the train slammed into it.

Scripture reveals God as the One who rescues—often precisely when all seems lost. Trapped in Egypt and withering under suffocating oppression, the Israelites imagined no possibility for escape. In Exodus, however, we find God offering them words resounding with hope: “I have indeed seen the misery of my people in Egypt,” He said. “I have heard them crying out . . . and I am concerned about their suffering” (3:7). And God not only saw—God acted.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V. 8). God led Israel out of bondage. This was a divine rescue.

God’s rescue of Israel reveals God’s heart—and His power—to help all of us who are in need. He assists those of us who are destined for ruin unless God arrives to save us. Though our situation may be dire or impossible, we can lift our eyes and heart and watch for the One who loves to rescue.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EXODUS 3:7–10
I have come down to rescue them.
[ EXODUS 3:8 ]

Where does all seem lost and where do you need God’s rescue? How can you turn your hope to Him in this dire place?

God, I’m in real trouble, and if You don’t help me, I don’t see a good ending. Will You help me? Will You rescue me?

오늘의 말씀

06/07/2021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8-29; 요한복음 17
찬송가: 204(통379)

현명한 건축업자

본래 이름이 이사벨라 바움프리였던 소저너 트루스는 1797년 뉴욕주의 에소퍼스에서 노예로 태어났습니다. 그녀의 자녀들도 대부분 노예로 팔려갔지만, 1826년 자유를 위해 딸 하나를 데리고 탈출하여, 그녀의 자유를 위해 돈을 지불한 어느 가정에서 자유인으로 살았습니다. 그녀는 부당한 제도에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는 것을 그냥 보고만 있지 않고 법적인 조치를
취해 그의 어린 아들 피터를 찾아왔는데, 이는 그 당시의 흑인 여성으로서는 놀랄만한 성과였습니다. 그녀는 하나님의 도움 없이는 자녀를 키울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가 되었고, 후에 하나님의 진리의 기초 위에 자신의 삶이 세워졌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름을 소저너 트루스로 바꿨습니다.

잠언 14장을 기록한 솔로몬 왕은 “지혜로운 여인은 자기 집을 세우되” 이와 반대로 미련한 여인은 “자기 손으로 그것을 허느니라”라고 말합니다(1절). 집에 대한 이 비유는 경청하려 하는 이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지혜를 보여줍니다. 어떻게 지혜로 집을 짓습니까? “오직 덕을 세우는 데 소용되는 대로”(에베소서 4:29; 데살로니가전서 5:11 참조) 말을 함으로써 가능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집을 허물어 버립니까? 잠언 14장이 대답해 줍니다. “미련한 자는 교만한 말로 화를 불러 일으킨다”(3절,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이 주신 지혜 덕분에 소저너에게는 격동의 시기에도 “안전한 피난처”(26절)가 있었습니다. 우리에게는 불의로부터 자녀를 구해야 할 일이 전혀 없을지도 모르지만, 우리도 소저너가 사용한 것과 같은 기초 위에, 곧 하나님의 지혜 위에 우리의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4:1-3, 26-27, 33
지혜로운 여인은 자기 집을 세우되 미련한 여인은 자기 손으로 그것을 허느니라
[잠언 14:1]

당신의 집은 어떤 기초 위에 지어졌습니까?
이번 주에 어떤 집을 지으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영광을 나타낼 영원한 유산을 남기기 위해 아버지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Daily Article

06/07/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8–29; JOHN 17
Hymn: 204(old379)

A WISE BUILDER

Sojourner Truth, whose birth name was Isabella Baumfree, was born a slave in 1797 in Esopus, New York. Though nearly all her children were sold as slaves, she escaped to freedom in 1826 with one daughter and lived with a family who paid the money for her freedom. Instead of allowing an unjust system to keep her family apart, she took legal action to regain her small son Peter—an amazing feat for an African American woman in that day. Knowing she couldn’t raise her children without God’s help, she became a believer in Christ and later changed her name to Sojourner Truth to show that her life was built on the foundation of God’s truth.

King Solomon, the writer of Proverbs 14, declares, “The wise woman builds her house” (V. 1). In contrast, one without wisdom “tears hers down.” This building metaphor shows the wisdom God provides to those willing to listen. How does one build a house with wisdom? By saying “only what is helpful for building others up” (EPHESIANS 4:29; SEE ALSO 1 THESSALONIANS 5:11). How does one tear down? Proverbs 14 gives the answer: “A fool’s mouth lashes out with pride” (V. 3).

Sojourner had a “secure fortress” (V. 26) in a turbulent time, thanks to the wisdom of God. You may never have to rescue your children from an injustice. But you can build your house on the same foundation Sojourner did—the wisdom of God. - LINDA WASHINGTON

Today's Reading

PROVERBS 14:1–3, 26–27, 33
The wise woman builds her house, but with her own hands the foolish one tears hers down.
[ PROVERBS 14:1 ]

What foundation is your house established upon?
How will you build your house this week?

Father, I need Your wisdom to build a lasting legacy for Your glory.

오늘의 말씀

06/06/2021     주일

성경읽기: 역대하 25-27; 요한복음 16
찬송가: 449(통377)

우리의 참 모습

부모님의 오래된 사진 앨범 안에 어린 남자아이의 사진이 있습니다. 그 아이는 둥근 얼굴에 주근깨가 있고 머리카락은 연한 금발에 곧은 편입니다. 그 아이는 만화를 좋아하고 아보카도를 싫어하며, 레코드가 한 장만 있는데 아바의 것입니다. 그 앨범 안에는 십대 아이의 사진들도 있습니다. 그의 얼굴은 둥글지 않고 깁니다. 머리카락은 곧지 않고 곱슬입니다. 주근깨가 없고 아보카도를 좋아하며 만화보다는 영화를 보고 아바의 레코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습니다. 어린 소년과 십대 아이는 같은 점이 거의 없습니다. 과학적으로 이 둘의 피부, 치아, 피, 뼈는 다 다릅니다. 그럼에도 이 둘은 다 나입니다. 이 모순 때문에 철학자들이 계속 골치를 앓아 왔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계속 변하기 때문에, 그러면 누가 진짜 우리인가 하는 질문이 생기는 것입니다.

성경이 그에 대해 답을 제공해 줍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모태에서 만들기 시작하신 그 순간부터(시편 139:13-14) 우리는 계속 성장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디자인으로 완성됩니다. 우리가 최종적으로 어떤 모습이 될지는 알 수 없지만, 하나님의 자녀라면 끝에 가서는 예수님 같이 될 것을 압니다(요한1서 3:2). 우리 몸에 예수님의 본성을 입게 되고, 우리 개성은 그대로이나 예수님의 성품을 지니게 되며, 우리의 모든 은사들이 빛을 발하고, 우리의 모든 죄가 사라져버립니다.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우리는 이런 미래의 자기 모습이 되어갑니다. 주님께서 역사하시면 우리는 점진적으로 그분의 형상을 더 분명하게 보여주게 됩니다(고린도후서 3:18). 우리가 아직은 본래의 의도된 모습이 아니지만, 우리가 예수님을 닮게 될 때 우리의 참 모습을 회복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3
그가 나타나시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요한1서 3:2]

많은 노래나 영화들이 “진정한 자신”을 찾으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들이 놓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오늘 어떤 부분에서 그리스도를 좀더 닮아갈 수 있을까요?

예수님, 오늘 그리고 매일 주님을 더욱 더 닮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6/06/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5–27; JOHN 16
Hymn: 449(old 377)

OUR TRUE SELVES

Inside my parents’ old photo album is a picture of a young boy. He has a round face, freckles, and straight, light-blond hair. He loves cartoons, hates avocados, and owns just one record, by Abba. Also inside that album are pictures of a teenager. His face is long, not round; his hair is wavy, not straight. He has no freckles, likes avocados, watches movies rather than cartoons, and would never admit to owning an Abba record! The boy and the teenager are little alike. According to science they have different skin, teeth, blood, and bones. And yet they are both me. This paradox has baffled philosophers. Since we change throughout our lives, who is the real us?

The Scriptures provide the answer. From the moment God began knitting us together in the womb (PSALM 139:13–14), we’ve been growing into our unique design. While we can’t yet imagine what we’ll finally become, we know that if we’re children of God we’ll ultimately be like Jesus (1 JOHN 3:2)—our body with His nature, our personality but His character, all our gifts glistening, all our sins gone.

Until the day Jesus returns, we’re being drawn towards this future self. By His work, step by step, we can reflect His image ever more clearly (2 CORINTHIANS 3:18). We aren’t yet who we’re meant to be, but as we become like Him, we become our true selves. -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JOHN 3:1–3
We know that when Christ appears, we shall be like him.
[ 1 JOHN 3:2 ]

When songs and films encourage us to find our “true selves,” what do you think they miss?
In what area can you step toward Christlikeness today?

Jesus, make me more like You today and every day.

오늘의 말씀

06/05/2021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3-24; 요한복음 15
찬송가: 459(통514)

소망 중에 기다림

로헬리오는 일주일 휴가 동안 우리에게 서빙했던 웨이터입니다. 한 번은 대화 중에 예수님이 그에게 복 주셔서 신실한 믿음에 사랑도 많은 케일리를 아내로 주셨다고 했습니다. 첫아이를 낳은 후 하나님은 그에게 다운증후군을 가진 조카를 돌볼 기회를 주셨습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장모님까지 함께 지내며 돌보게 되었습니다.

로헬리오는 아내가 집에 머물면서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맡기신 사람들을 돌볼 수 있도록 자주 2교대 근무를 하면서도 늘 기쁘게 일했습니다. 두 부부가 마음을 열고 집을 열어 가족들을 섬기는 모습에 내가 남들을 더 사랑하며 살 수 있게 감동을 받았다고 말하자, 그는 “그들을 돌보고......당신을 돌보는 것이 나의 기쁨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로헬리오의 삶은 베푸는 삶의 능력, 그리고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믿고 서로를 사심없이 돕는 삶의 능력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바울 사도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소망 중에 즐거워하며 환난 중에 참으며 기도에 항상 힘쓰며......성도들의 쓸 것을 공급하며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로마서 12:10-13)고 강력히 권면합니다.

우리의 삶은 한순간에 바뀔 수도 있고, 그 결과 우리나 사랑하는 사람들이 견디기 어려운 처지에 놓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섬기면서 우리가 받은 모든 것을 기쁨으로 나눌 때, 우리는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붙들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2:9-13
소망 중에 즐거워하며 환난 중에 참으며 기도에 항상 힘쓰며
[로마서 12:12]

오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기도로 물질로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하나님의 도움을 기다리고 있을 때 하나님은 누구를 통해 당신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셨습니까?

하나님, 제 상황 속에서 하나님께서 일하시기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05/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3–24; JOHN 15
Hymn: 459(old 514)

WAITING IN HOPE

Rogelio served as our waiter during our weeklong vacation. In one conversation, he credited Jesus for blessing him with Kaly, a compassionate wife with strong faith. After they had their first baby, God gave them the opportunity to help care for their niece who had Down syndrome. Soon after, Rogelio’s mother-inlaw needed live-in care.

Rogelio works with joy, often taking on double shifts to ensure his wife can stay home to care for the people God entrusted to them. When I shared how the couple inspired me to love better because of the way they opened their hearts and home to serve their family members, he said, “It is my pleasure to serve them . . . and you.”

Rogelio’s life affirms the power of living with generosity and trusting God to provide as we serve one another selflessly. The apostle Paul urged God’s people to be “devoted to one another in love . . . joyful in hope, patient in affliction, [and] faithful in prayer” as we “share with the Lord’s people who are in need [and] practice hospitality” (ROMANS 12:10–13).

Our life can change in an instant, leaving us or those we love in circumstances that feel impossible to bear. But when we’re willing to share all God has given us while we wait on Him, we can cling to His enduring love . . . together. -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OMANS 12:9–13
Be joyful in hope, patient in affliction, faithful in prayer.
[ ROMANS 12:12 ]

How can you prayerfully and physically support someone in need today?
How has God used someone to offer you tangible support while you waited for Him?

God, please help me love others while I wait for You to work in and through my circumstances.

오늘의 말씀

06/04/2021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하 21-22; 요한복음 14
찬송가: 516(통265)

완전한 정의

1983년, 십대 아이 세 명이 14세 소년을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었습니다. 나이가 더 어렸던 그 소년은 “입고 있던 [운동] 재킷 때문에......총에 맞았다”고 뉴스에 보도되었습니다.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그들은 감옥에서 36년을 보내고 나서야 새로운 증거가 나타나 무죄로 밝혀졌습니다. 다른 사람이 그 범행을 저질렀던 것입니다. 판사는 그들을 석방하기 전에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또 아무리 행정기관에서 바르게 일을 처리 하더라도), 인간의 정의에는 종종 허점이 있습니다. 우리는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때로는 부정직한 사람들이 사실을 조작하기도 하고, 때로는 우리가 잘못을 저지르도 합니다. 그리고 살다가 악한 일을 당하면 이것을 바로잡는데 여러 해가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변덕스러운 인간과는 달리 하나님은 완전한 정의를 행하십니다. 모세는 “그가 하신 일이 완전하고 그의 모든 길이 정의롭다”(신명기 32:4)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사실대로 보십니다. 우리가 아무리 제대로 하지 못해도 때가 되면 하나님께서 최종적이고 궁극적인 정의를 가져오실 것입니다. 우리는 그때가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공의로우시고 바르시고 진실하고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4절)을 섬기기 때문에 그런 확신이 있습니다.

우리는 옳고 그름이 분명하지 않을 때 고생할 수 있으며, 우리나 사랑하는 사람들이 불의를 당할 때 그것이 영영 바로 잡혀지지 않을 것 같아 두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공의의 하나님께서 우리의 생전이든 사후든 그 어느 날에 우리를 위해 정의를 행하신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2:1-4
[하나님의] 모든 길이 정의롭고
[신명기 32:4]

정의가 남용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보신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 정의를 실행해 달라며 부르짖는 곳이 어디입니까?

하나님, 뉴스나 저의 인간관계, 소셜 미디어 등, 제 주위의 모든 것에서 불의를 봅니다. 하나님과 하나님의 정의로운 방법 속에서 희망을 갖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04/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CHRONICLES 21–22; JOHN 14
Hymn: 516(old 265)

PERFECT JUSTICE

In 1983, three teens were arrested for the murder of a fourteen year- old. According to news reports, the younger teen was “shot . . . because of his [athletic] jacket.” Sentenced to life in prison, the three spent thirty-six years behind bars before evidence surfaced that revealed their innocence. Another man had committed the crime. Before the judge released them as free men, he issued an apology.

No matter how hard we try (and no matter how much good is done by our officials), human justice is often flawed. We never have all the information. Sometimes dishonest people manipulate the facts. Sometimes we’re just wrong. And often, evils may take years to be righted, if they ever are in our lifetime. Thankfully, unlike fickle humans, God wields perfect justice. “His works are perfect,” says Moses, “and all his ways are just” (DEUTERONOMY 32:4). God sees things as they truly are. In time, after we’ve done our worst, God will bring about final, ultimate justice. Though uncertain of the timing, we have confidence because we serve a “faithful God who does no wrong, upright and just is he” (V. 4).

We may be dogged by uncertainty regarding what’s right or wrong. We may fear that the injustices done to us or those we love will never be made right. But we can trust the God of justice to one day—either in this life or the next—enact justice for us. - WINN COLLIER

Today's Reading

DEUTERONOMY 32:1–4
All [God’s] ways are just.
[ DEUTERONOMY 32:4 ]

Where have you seen justice abused or misrepresented?
Where does your heart cry out for God to bring justice?

God, I see injustice all around me: in the news, in my relationships, on social media. Thank You for the hope I can have in You and Your just way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