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6/17/2021 목요일
믿음의 길
미국의 인구와 자원은 카리브 해의 이 작은 나라와는 비교도 안 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승리는 어떤 면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겉보기에 압도적으로 유리해도 투지로 뭉친 소카 전사들을 꺾을 수는 없었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소수의 전사들과 대규모 군대 사이에 일어난 뜻밖의 결과로는 기드온과 미디안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스라엘에는 실제로 3만 명이 넘는 군사가 있었지만 하나님은 단 300명의 용사로 줄이셨습니다. 그것은 그들의 승리가 군대의 규모나 금고에 있는 돈의 액수, 지도자의 능력이 아니라 하나님께 달려 있다는 것을 이스라엘로 알게 하시기 위함이었습니다(사사기 7:1-8).
눈에 보이거나 측정할 수 있는 것들을 믿고 신뢰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믿음의 길이 아닙니다. 어려울 때가 많아도 하나님께 의지하여 “주 안에서와 그 힘의 능력으로 강건하여”(에베소서 6:10) 지고자 하면, 힘들고 위축될 때라도 용기와 자신감을 가지고 상황들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주님의 임재와 능력은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를 통해 놀라운 일을 행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사사기 7:1-8, 22여호와께서 기드온에게 이르시되 너를 따르는 백성이 너무 많은즉 내가 그들의 손에 미디안 사람을 넘겨주지 아니하리니 이는 이스라엘이 나를 거슬러 스스로 자랑......할까 함이니라
[사사기 7:2]
못 넘을 것 같은 역경을 만난 적이 있습니까? 그때 승리나 패배에 상관없이 당신을 위한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어떻게 경험하셨습니까?
하나님, 삶이 어려워질 때 하나님의 크신 능력과 은혜에 더욱 의지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7/2021 Thursday
THE WAY OF FAITH
Trinidad and Tobago’s victory was so unexpected in part because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and resources dwarfed those of the small Caribbean nation. But those seemingly insurmountable advantages weren’t enough to defeat the passionate Soca Warriors.
The story of Gideon and the Midianites features a similar upset, one between a small group of fighters and a large army. The Israelite army actually had more than thirty-thousand fighters, but the Lord whittled the army down to just three hundred warriors so the nation would learn that their success was dependent on God—not the size of their army, the amount of money in their treasury, or the skill of their leaders (JUDGES 7:1–8).
It can be tempting to put our trust and confidence in things we can see or measure, but that’s not the way of faith. Though it’s often difficult, when we’re willing to depend on God, to “be strong in the Lord and in his mighty power” (EPHESIANS 6:10), we can go into situations with courage and confidence, even when we feel overwhelmed and unqualified. His presence and power can do amazing things in and through us. - LISA M. SAMRA
Today's Reading
JUDGES 7:1–8, 22The Lord said to Gideon, “You have too many men. I cannot deliver Midian into their hands, or Israel would boast against me.”
[ JUDGES 7:2 ]
When have you faced seemingly insurmountable odds? Whether you tasted victory or defeat, how did you experience God’s provision for you?
God, when life gets challenging, help me learn to rely more and more on Your mighty power and grace.
오늘의 말씀
06/16/2021 수요일
예수님 의자
성경공부 모임에 가 본 적이 없었던 태미는 그 모임에서 다른 여성들이 하나님과 대화한다는 말을 듣고는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자기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일이었으니까요.
하나님의 음성을 너무나 듣고 싶었던 태미는 어떤 행동을 취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얼마 후 마지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오래된 나무 의자를 옆에 두고 성경을 공부할 때마다 예수님께 그 의자에 앉으시라고 말씀드려.” 그런 다음 눈에 띄는 성경 구절이 나타날 때마다 의자에 분필로 그 구절을 쓴다고 설명했습니다. 그것은 태미의 특별한 “예수님 의자”가 되었고, 그 의자는 성경을 통해 그녀에게 직접 들려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덮이게 되었습니다.
마지는 말합니다. “[예수님 의자]가 [태미의] 삶을 바꾸었어요. 성경이 개인적으로 다가오니 영적으로 성장하고 있어요.”
예수님은 유대인 신자들에게 말씀하실 때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한복음 8:31- 32)고 하셨습니다. 의자에 주님의 말씀을 쓰거나, 외우거나, 행동으로 옮기는 등, 어떤 식으로 하든 주님의 가르침을 붙잡읍시다. 그리스도의 말씀에 담긴 진리와 지혜는 우리를 그분 안에서 자라게 하고 자유롭게 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8:27-32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요한복음 8:31]
성경의 지혜를 좀더 규칙적으로 배우기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성령님께서 어떻게 성경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십니까?
하나님, 성경에서 우리에게 주신 지혜를 통해 하나님과 점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그리고 배우는 것들을 적용하여 점점 더 예수님을 닮아갈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16/2021 Wednesday
THE JESUS CHAIR
Tami had never been to a Bible study, and she was having a hard time understanding something the other women in the study talked about: that God communicated with them—something she’d never experienced.
She so desired to hear from God that she took action. Later, she told Marge. “I set aside an old wooden chair, and every time I study my Bible, I ask Jesus to come sit in it.” Then Tami explained that whenever a verse stood out to her, she would write out the verse in chalk on the chair. It’s become her special “Jesus chair,” and she’s filled it up with God’s messages to her directly from the Bible.
Marge says, “[The Jesus Chair] has changed [Tami’s] life. She’s growing spiritually because Scripture is becoming personal.”
While speaking to Jewish believers, Jesus said, “If you hold to my teaching, you are really my disciples. Then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 (JOHN 8:31–32). Let’s hold to His teaching, whether it means writing His words on a chair, memorizing them, or seeking to put them into action. The truth and wisdom of Christ’s messages help us grow in Him and set us free. - DAVE BRANON
Today's Reading
JOHN 8:27–32If you hold to my teaching, you are really my disciples.
[ JOHN 8:31 ]
What can you do in a practical way to more regularly take in the wisdom found in the Bible? How does the Holy Spirit help you understand Scripture?
Help me, God, to connect with You more and more through the wisdom You’ve given me in the Bible. And then help me apply what I learn to help me grow more and more like Jesus.
오늘의 말씀
06/15/2021 화요일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돌보심
마태복음 10장에서 예수님은 앞에 놓인 위험에 대해 제자들에게 경고하시면서 그들을 위로하시려고 참새를 보살피시는 하나님 아버지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그러고는 열 두 제자에게 지시하시며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는 권능을 주셨습니다”(1절).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이 제자들에게 대단하게 보였을지 모르지만, 통치자나 자신들의 가족, 그리고 함정에 빠뜨리려는 악한 자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대적하게 될 것이었습니다(16-28절).
그런 뒤 예수님은 10:29-31에서 제자들에게 절대로 하나님의 돌보심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므로 어떤 일을 만나든지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참새 두 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지 않느냐 그러나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는 많은 참새보다 귀하니라”라고 하셨습니다. 종일 그 새를 살폈는데, 살아있지만 움직이지를 않았습니다. 그 후 늦은 저녁에 보니 새는 사라졌습니다. 나는 그 새가 살아났기를 기도했습니다. 내가 이처럼 새를 생각했는데, 하나님은 틀림없이 더 많이 생각하셨을 것입니다. 그런 하나님께서 당신과 나를 얼마나 많이 보살피고 계시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0:16-20, 26-31참새 두 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지 않느냐 그러나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마태복음 10:29]
지난날 하나님이 당신을 어떻게 보살피셨습니까? 하나님 아버지의 보살핌을 받지 않는 때가 한순간도 없다는 것을 깨달으면 어떻게 모든 일 가운데 힘을 얻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항상 저를 지키시고 보살펴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6/15/2021 Tuesday
OUR FATHER’S CARE
In Matthew 10, Jesus described His Father’s care for sparrows in order to comfort the disciples as He warned of upcoming dangers. He offered instructions to the twelve as He “gave them authority to drive out impure spirits and to heal every disease and sickness” (V. 1). While the power to do such deeds might have seemed grand to the disciples, many would oppose them, including governing authorities, their own families, and the ensnaring grip of the evil one (VV. 16–28).
Then in 10:29–31, Jesus told them not to fear whatever they faced because they would never be out of their Father’s care. “Are not two sparrows sold for a penny?” He asked. “Yet not one of them will fall to the ground outside your Father’s care. . . . So don’t be afraid; you are worth more than many sparrows.” I checked on the bird throughout the day, each time finding it alive but unmoved. Then, late into the evening, it was gone. I prayed it had survived. Surely, if I cared this much about the bird, God cared even more. Imagine how much He cares for you and me!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MAT THEW 10:16–20, 26–31Are not two sparrows sold for a penny? Yet not one of them will fall to the ground outside your Father’s care.
[ MATTHEW 10:29 ]
How have you seen God care for you in the past? How can you gain courage for all you face by understanding that you’re never outside your Father’s care?
Dear Father, thank You for always watching over and caring for me.
오늘의 말씀
08/01/2021 주일
누가 당신의 도움이 필요합니까?
예레미야 선지자와 우리야도 깊은 곤경에 빠졌습니다. 그들은 유다 사람들에게 회개하지 않으면 하나님께서 심판하실 것이라고 경고하였습니다 (예레미야 26:12-13, 20). 이 말에 화가 난 유다 백성들과 고관들은 두 선지자를 죽이려고 하였습니다. 그들은 우리야를 잡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애굽으로 도망쳤던 우리야는 왕 앞에 잡혀 와 “칼로 죽임을 당하였습니다”(23절). 그런데 왜 예레미야는 죽이지 않았을까요? 한 가지 이유는 아히감이 “예레미야를 도와주어 그가 백성의 손에 내어주지 아니하여 죽이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었습니다(24절).
우리가 아는 사람 중에 사형을 앞둔 사람은 없을지라도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있을 것입니다. 주위에 권리가 짓밟힌 사람이나, 재능이 묻힌 사람이 있습니까?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티보도 변호사나 아히감처럼 나서는 것이 위험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지극히 올바른 일입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우리가 나서서 도와주어야 할 사람은 누구입니까?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26:12-15, 20-24사반의 아들 아히감의 손이 예레미야를 도와주어 그를 백성의 손에 내어 주지 아니하여 죽이지 못하게 하니라 [예레미야 26:24]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이 저를 사랑하신 것처럼 저도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도록 도와주소서.
당신은 누구를 도울 수 있습니까? 당신이 돕겠다고 나선다면 그들에게, 당신에게,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합니까?
Daily Article
08/01/2021 Sunday
WHO NEEDS YOUR SUPPORT?
The prophets Jeremiah and Uriah were also in deep trouble. They had told Judah that God promised to judge His people if they didn’t repent (JEREMIAH 26:12–13, 20). This message angered the people and officials of Judah, who sought to kill both prophets. They succeeded with Uriah. He fled to Egypt, but was brought back to face the king, who “had him struck down with a sword” (V. 23). Why didn’t they kill Jeremiah? In part because Ahikam “stood up for Jeremiah” (nlt), “and so he was not handed over to the people to be put to death” (V. 24).
We may not know anyone facing death, but we probably know someone who could use our support. Whose rights are trampled? Whose talents are dismissed? Whose voice isn’t heard? It may be risky to step out like Thibodeau or Ahikam, but it’s so right. Who needs us to stand up for them as God guides us? MIKE WITTMER
Today's Reading
JEREMIAH 26:12–15, 20–24Ahikam son of Shaphan supported Jeremiah, and so he was not handed over to the people to be put to death. [ JEREMIAH 26:24 ]
Loving God, help me to love others as You’ve loved me.
Whom can you stand with? If you voice your support, what do you think might happen to them, to you, and to others?
Learn more at DiscoverTheWord.org/series/the-mercy-prayer/.
오늘의 말씀
07/31/2021 토요일
값을 매길 수 없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
나는 대답했습니다. “고마워요. 하지만 반지 값보다 반지에 담긴 감정의 가치가 훨씬 커요. 다른 것들로 바꿀 수 없어요.” 나는 계속 반지를 찾으면서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제발 반지를 찾게 도와주세요.”
얼마 후 이번 주 초에 입었던 스웨터의 주머니에 손을 넣어보니 거기에 그 귀한 반지들이 있었습니다. 나는 “예수님, 고맙습니다!” 소리를 질렀습니다. 남편과 함께 기뻐하면서 반지를 손에 끼다가 동전 하나를 잃어버린 여인에 대한 비유가 생각났습니다 (누가복음 15:8-10) . 잃어버린 은화 한 닢을 찾아
헤맸던 여인처럼 나도 잃어버린 것의 가치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 여인이나 나나 귀중품을 찾으려고 한 것이 잘못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분이 창조하신 모든 사람을 구원하시려는 간절한 바람을 강조하시기 위해 단순히 그 이야기를 사용하셨던 것입니다.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늘에서는 기쁨입니다.
잃어버린 귀중품을 찾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것만큼 열정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 얼마나 큰 선물인지 모릅니다. 그리고 누군가가 회개하고 그들의 삶을 그리스도께 헌신하는 것을 축하해 주는 것도 얼마나 특별한 은혜인지요. 우리가 예수님을 진정 신뢰하고 있다면, 우리를
찾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결코 포기하지 않으신 그분께 사랑 받는 기쁨을 누리는 것에 감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5:8-10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나님의 사자들 앞에 기쁨이 되느니라 [누가복음 15:10]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께서 창조하신 모든 이들이 구원받을 가치가 있을 만큼 아주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당신은 오늘 누구의 구원을 위해 기도하겠습니까? 당신의 간증을 누구와 나누겠습니까?
Daily Article
07/31/2021 SATURDAY
PRICELESS LIVES IN CHRIST
“Thanks,” I responded. “But their sentimental value surpasses their material worth. They’re irreplaceable.” Praying, I continued hunting for the jewelry. “Please, God. Help me find them.”
Later, while reaching into the pocket of a sweater worn earlier in the week, I found the priceless jewels. “Thank You, Jesus!” I exclaimed. As my husband and I rejoiced, I slipped on the rings and recalled the parable of the woman who lost a coin (LUKE 15:8–10). Like the woman who searched for her lost silver coin, I knew the worth of what had been lost. Neither of us was wrong for wanting to find our valuables. Jesus simply used that story to emphasize His desire to save every person He created. One sinner repenting results in a celebration in heaven.
What a gift it would be to become a person who prays as passionately for others as we pray for lost treasures to be found. What a privilege it is to celebrate when someone repents and surrenders their lives to Christ. If we’ve placed our trust in Jesus, we can be thankful we’ve experienced the joy of being loved by Someone who never gave up because He thought we were worth finding.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LUKE 15:8–10There is rejoicing in the presence of the angels of God over one sinner who repents. [ LUKE 15:10 ]
Father, thank You for reminding me that every person You create is a priceless life worth saving.
Whose salvation will you commit to praying for today? Who can you share your testimony with?
오늘의 말씀
07/30/2021 금요일
시기심 극복하기
노래가 그 배경이 된 시기심에 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습니다. 다윗이 골리앗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후 이스라엘 백성들은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사무엘상 18:7) 라는 노래를 진심을 다해 불렀습니다. 사울 왕은 비교당하는 것을 참을 수 없었습니다. 다윗의 성공에 시기심을 느낀 사울은 왕좌를 뺏길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8-9절) 다윗을 죽이려고 끈질긴 추격전을 시작합니다.
살리에리가 음악으로, 사울이 권력 때문에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우리와 비슷하지만 같은 분야에서 더 큰 재능을 가진 이들을 시기하는 유혹에 빠지기 쉽습니다. 그들의 일에 괜히 트집을 잡든지, 아니면 그들의 성공을 과소평가하면서 우리의 “라이벌들”에게 해를 입히려 들 수도 있습니다.
사울은 하나님의 선택으로 왕의 지위를 얻었는데 (10:6-7, 24) , 그 자리는 시기심보다는 안위를 지켰어야 하는 위치였습니다. 우리 또한 각자 고유하게 부름을 받았기 때문에 (에베소서 2:10) 우리 자신들을 서로 비교하지 않는 것이 시기심을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일 지도 모릅니다. 시기심 대신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18:5-9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사무엘상 18:7]
사랑의 하나님, 나의 친구들과 동료들을 형통케 하시니 감사합니다.
가장 시기심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습니까? 어떻게 그들의 성공을 축하해 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30/2021 FRIDAY
OVERCOMING ENVY
A song lies at the heart of another envy story. After David’s victory over Goliath, the Israelites heartily sing, “Saul has slain his thousands, and David his tens of thousands” (1 SAMUEL 18:7) . The comparison doesn’t sit well with King Saul. Envious of David’s success and afraid of losing his throne (VV. 8–9) , Saul begins a prolonged pursuit of David, trying to take his life.
Like Salieri with music or Saul with power, we’re usually tempted to envy those with similar but greater gifts than we possess. And whether it’s picking fault with their work or belittling their success, we too can seek to damage our “rivals.”
Saul had been divinely chosen for his task (10:6–7, 24) , a status that should’ve fostered security in him rather than envy. Since we each have unique callings too (EPHESIANS 2:10) , maybe the best way to overcome envy is to quit comparing ourselves. Let’s celebrate each other’s successes instead.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SAMUEL 18:5–9Saul has slain his thousands, and David his tens of thousands. [ 1 SAMUEL 18:7 ]
Loving God, I thank You for my friends’ and colleagues’ successes.
Whom are you most tempted to envy? How can you celebrate their success?
오늘의 말씀
07/29/2021 목요일
예수님은 우리의 화평
바울이 예수님을 “우리의 화평”이라고 부른 것은 이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적대감의 종언을 의미합니다 (에베소서 2:14) .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이었던 이스라엘은 다른 민족들과 구별되어 특정한 특권들을 누렸습니다. 예를 들어, 이방인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배를 드릴 수는 있었지만 벽으로
나뉘어 죽음의 형벌의 장소였던 벽 바깥쪽에서만 가능했습니다. 유대인은 이방인을 부정하게 여겼고 그들은 서로 적대감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이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 주님을 믿는 믿음에 따라 자유롭게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8-22절) . 나누는 벽은 더 이상 없으며, 어느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 특권을 누리는 것도 없습니다. 둘 다 하나님 앞에서 평등하게 되었습니다.
텔레마코스의 죽음이 검투사들에게 화평을 가져왔듯이, 예수님은 그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주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의 화평과 화해가 가능케 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의 화평이 되셨으니 우리가 서로 다르다고 해서 갈라서지 않도록 합시다. 주님은 그분의 보혈로 우리를 하나 되게 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2:11-22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원수 된 것 곧 중간에 막힌 담을 자기 육체로 허시고 [에베소서 2:14]
사랑하는 화평의 하나님, 우리를 예수님 안에서 하나로 만드신 것을 깨닫고 그렇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모든 사람들과 더불어 화평하다는 것을 어떻게 드러낼 수 있을까요? 혹시 인종이나 신분, 특권 같은 문제가 그것을 가로막고 있지는 않습니까? 왜 그렇습니까?
Daily Article
07/29/2021 THURSDAY
JESUS IS OUR PEACE
When Paul calls Jesus “our peace,” he refers to the end of hostility between Jews and gentiles (EPHESIANS 2:14) . God’s chosen people Israel were distinct from the nations and enjoyed certain privileges. For instance, while gentiles were allowed to worship at the Jerusalem temple, a dividing wall restricted them to the outer court—on punishment of death. Jews regarded gentiles unclean, and they experienced mutual hostility. But now, because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for all, both Jew and gentile can worship God freely through faith in Him (VV. 18–22) . There’s no dividing wall. There’s no privilege of one group over the other. Both are equal in their standing before God.
Just as Telemachus brought peace to warriors through his death, so Jesus makes peace and reconciliation possible for all who believe in Him through His death and resurrection. So, if Jesus is our peace, let’s not let our differences divide us. He’s made us one by His blood.
CON CAMPBELL
Today's Reading
EPHESIANS 2:11–22For he himself is our peace, who has made the two groups one and has destroyed the barrier, the dividing wall of hostility. [ EPHESIANS 2:14 ]
Dear God of peace, You’ve made us one in Jesus. Help me to know it and live it.
How do you reveal you’re at peace with all people? What issues—such as race, status, or privilege—sometimes get in the way? Why?
오늘의 말씀
07/28/2021 수요일
더 강한 하나님의 사랑
이 이야기는 아가서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는 사랑의 한 좋은 본보기입니다. “사랑은 죽음처럼 강하며 질투는 무덤처럼 잔인합니다” (8:6, 현대인의 성경). 무덤과 죽음을 사랑에 비교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지지만, 그것들은 한번 붙잡으면 절대 내어놓지 않기 때문에 아주 강한 것들입니다. 하지만 진정한
사랑 또한 사랑하는 이를 포기하지 않습니다. 아가서는 6-7절에서 절정에 이르는데, 하나를 이룬 부부의 사랑은 아주 강해서 “많은 물도 이 사랑을 끄지 못한다” (7절) 고 묘사합니다.
성경 전체를 통틀어 부부간의 사랑은 하나님의 사랑에 비교됩니다. (이사야 54:5; 에베소서 5:25; 요한계시록 21:2) . 예수님은 신랑이시고 교회는 그의 신부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죄 때문에 우리가 죽지 않도록 그리스도를 보내어 죽게 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우리에게 보여주셨습니다 (요한복음
3:16) . 우리가 결혼했든 독신이든,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그 무엇보다도 강하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아가 8:6-7사랑은 죽음 같이 강하고 [아가 8:6]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너무나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주님의 사랑을 떠올리고 그 사랑의 모습들을 볼 수 있게 해주소서.
하나님이 당신을 얼마나 많이 사랑하시는지 알고 나니 어떤 느낌이 듭니까? 당신을 향한 그분의 사랑은 무엇을 떠올리게 합니까?
Daily Article
07/28/2021 WEDNESDAY
GOD’S LOVE IS STRONGER
This story could stand as an example of the kind of love that’s described in detail in Song of Songs. “Love is as strong as death, its jealousy unyielding as the grave” (8:6) . Comparing graves and death to love seems odd, but they’re strong because they don’t give up their captives. However, neither will true love give up the loved one. The book reaches its peak in verses 6–7, describing marital love as one so strong that “many waters cannot quench [it]” (V. 7).
Throughout the Bible, the love of a husband and wife is compared to God’s love (ISAIAH 54:5; EPHESIANS 5:25; REVELATION 21:2) . Jesus is the groom and the church is His bride. God showed His love for us by sending Christ to face death so we wouldn’t have to die for our sins (JOHN 3:16) . Whether we’re married or single, we can remember that God’s love is stronger than anything we could imagine.
JULIE SCHWAB
Today's Reading
SONG OF SONGS 8:6–7Love is as strong as death. [ SONG OF SONGS 8:6 ]
Dear Jesus, thank You for loving me so much! Remind me of Your love each day and give me glimpses of it.
How do you feel knowing how much God loves you? What reminds you of His love for you?
오늘의 말씀
07/27/2021 화요일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
그 생각에는 어느 정도 과학적인 근거가 있습니다. 입가의 근육과 눈을 주름지게 만드는 근육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것을 ‘뒤센 스마일’이라고 부르는데 “눈으로 미소 짓기”라는 표현입니다.
잠언은 “눈이 맑은 것은 마음을 기쁘게 하고”, “마음의 즐거움은 양약” 이라고 우리에게 일깨워 줍니다 (15:30; 17:22) . 하나님 자녀들의 미소는 언제나 그들 마음속에 있는 초자연적인 기쁨에서 우러나옵니다. 무거운 짐을 지고 가는 사람들을 격려하고, 삶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나눌 때, 그 기쁨은 그때마다 우리 삶을 채워주는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우리가 고통을 겪을 때라도 우리의 기쁨은 고통 속에서도 여전히 빛날 수 있습니다.
삶이 암울해 보일 때 기쁨을 선택하십시오. 당신의 미소가 하나님의 사랑과, 당신의 삶 속에 그분이 함께 하는 빛을 드러내는 희망의 창이 되게 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잠언 15:13-15, 30마음의 즐거움은 양약이라 [잠언 17:22]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은 저에게 힘이 됩니다. 사람들에게 당신의 사랑을 전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하나님 안에서 찾는 기쁨에 대해 성경에 어떤 다른 가르침들이 있습니까? 내면의 기쁨은 마음과 몸과 영혼이 건강해지는데 어떤 영향을 줍니까?
Daily Article
07/27/2021 TUESDAY
THE JOY GOD PROVIDES
There’s actually a bit of science behind that idea. The muscles for the corners of the mouth and the ones that make the eyes crinkle can work in tandem. It’s called a Duchenne smile, and it has been described as “smiling with the eyes.”
Proverbs reminds us that “a cheerful look brings joy to the heart” and “a cheerful heart is good medicine” (15:30 nlt; 17:22). Quite often, the smiles of God’s children stem from the supernatural joy we possess. It’s a gift from God that regularly spills out into our lives, as we encourage people who are carrying heavy burdens or share with those who are looking for answers to life’s questions. Even when we experience suffering, our joy can still shine through.
When life seems dark, choose joy. Let your smile be a window of hope reflecting God’s love and the light of His presence in your life.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ERBS 15:13–15, 30A cheerful heart is good medicine. [ PROVERBS 17:22 ]
The joy You provide is my strength, dear God. Help me to be a messenger of Your love to others.
What else does the Bible teach us about the joy found in God? How does inner joy contribute to a healthy mind, body, and spirit?
오늘의 말씀
07/26/2021 월요일
예수님을 위해 꽃피움
결국 늦은 9월이 되어서야 딸을 생각하며 사랑으로 “내 딸의” 그 구근을 심었습니다. 흙에서 자갈을 고를 때마다 구근이 어떻게 클지에 대한 관심도 생겼습니다. 화단을 마지막으로 두드리고 봄에 피어날 튤립을 기대하며, 나는 “잘 자거라.” 하면서 구근을 축복해 주었습니다.
이 작은 일은 비록 우리가 서로 “좋아하는” 사이가 아닐지라도 서로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요구를 겸손히 떠올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서로 간에 “잡초” 같은 과거의 결점을 되돌아볼 때 하나님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우리가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해주십니다. 그러면 시간이 지나 서로의 부족함을 넘어
서로 간에 사랑이 꽃 피게 됩니다. 예수님은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35절) 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께서 가지치기 해주시면 우리는 축복받아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마치 내가 심었던 튤립이 다음 해 봄에 꽃을 피운 것처럼 말입니다. 마침 꽃이 핀 그 주말에 딸이 잠시 집에 들렀습니다. 나는 딸에게, “꽃 핀 것 좀 봐!”라고 말했습니다. 마침내 ‘나 자신’이 꽃을 피우게 된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복음 13:31-35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요한복음 13:34]
사랑하는 예수님, 제 마음을 다듬어 그리스도 안에서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하소서.
비록 ‘좋아하지는’ 않지만 하나님이 사랑하라고 말씀하시는 사람이 누구입니까? 어떻게 그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사랑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7/26/2021 MONDAY
BLOOMING FOR JESUS
Finally, however, in late September, I planted “my daughter’s” bulbs—thinking of her and thus planting them with love. With each turn of the rocky soil, my concern for the bulbs grew. Giving their plant bed a final pat, I offered the bulbs a blessing, “sleep well,” hoping to see blooming tulips in the spring.
My little project became a humble reminder of God’s call for us to love one another, even if we’re not each other’s “favorites.” Looking past each other’s faulty “weeds,” we’re enabled by God to extend love to others, even in temperamental seasons. Then, over time, mutual love blooms in spite of ourselves. “By this,” Jesus said, “everyone will know that you are my disciples, if you love one another” (V. 35) . Pruned by Him, we’re blessed then to bloom, as my tulips did the next spring—on the same weekend my daughter arrived for a short visit. “Look what’s blooming!” I said. Finally, me.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OHN 13:31–35A new command I give you: Love one another. 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 [ JOHN 13:34 ]
Dear Jesus, prune my heart so I can learn to love others in Christ
Whom is God asking you to love, even if that person isn’t your “favorite”? What can you do to show that person more of the love of Chri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