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08/2021 주일
선한 분쟁
루이스는 진리를 지키기 위해 옳은 일을 하려면 “선한” 분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찍이 알았습니다. 그는 듣기 싫어 하는 말을 해야 했습니다. 아모스 선지자도 이 사실을 알았습니다. 이스라엘의 죄와 불의를 본 그는 침묵할 수 없었습니다. 아모스는 “아름다운 포도원”이 있는 “석조 건물”을 지으면서도, “의로운 사람을 학대하며 뇌물을 받고 법정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억울하게 하는” 권력자들을 꾸짖었습니다(아모스 5:11-12). 아모스는 언쟁을 피해 자신의 안전과 평안함을 추구하기보다는 악을 악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아모스 선지자는 선하고 필요한 분쟁을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다툼은 선한 것, 곧 모두의 정의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아모스는 “공의를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라고 외쳤습니다(24절). 선한 분쟁(정의를 위한 의롭고 비폭력적인 분쟁)을 하게 될 때, 우리는 항상 선함과 치유에 목적을 두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아모스 5:10-24오직 정의를 물 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 [아모스 5:24]
하늘에 계신 아버지, 저 혼자라면 안전한 길을 택해 편하고 조용하게 지낼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분별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어느 곳에서 성령께서 당신이 이 선한 분쟁을 시작하게 하신다고 느낍니까?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방법으로 투쟁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08/2021 Sunday
GOOD TROUBLE
Lewis learned early that doing what was right, to be faithful to the truth, required making “good” trouble. He would need to speak things that were unpopular. The prophet Amos knew this too. Seeing Israel’s sin and injustice, he couldn’t keep quiet. Amos denounced how the powerful were oppressing “the innocent and tak[ing] bribes and depriv[ing] the poor of justice in the courts,” while building “stone mansions” with “lush vineyards” (AMOS 5:11–12). Rather than maintaining his own safety and comfort by staying out of the fray, Amos named the evil. The prophet made good, necessary trouble.
But this trouble aimed at something good—justice for all. “Let justice roll on like a river!” Amos exclaimed (V. 24). When we get into good trouble (the kind of righteous, nonviolent trouble justice requires), the goal is always goodness and healing. WINN COLLIER
Today's Reading
AMOS 5:10–24Let justice roll on like a river, righteousness like a never-failing stream! [ AMOS 5:24 ]
Heavenly Father, if I’m left to myself, I’ll likely play it safe, stay comfortable, keep quiet. But I know that You might ask something different. Help me discern what to do to honor You.
Where do you sense the Holy Spirit might be prompting you to make some good trouble? How can you discern the godly way to do just that?
오늘의 말씀
08/07/2021 토요일
먼저 용서하라
하나님은 또한 에서와 그의 쌍둥이 형제 야곱 사이의 가슴 아픈 분쟁을 치유하셨고, 그들의 삶을 축복하셨습니다. 모략가이었던 야곱은 에서에게서 아버지의 축복을 빼앗았습니다. 그러나 20년 후, 하나님은 야곱을 고향으로 돌려보내셨습니다. 그래서 야곱은 에서를 달래려고 많은 선물을 먼저 보냈습니다. “그러자 에서가 달려와 그를 맞으며 목을 끌어안고 입을 맞췄습니다. 그리고서 그들은 서로 울었습니다”(창세기 33:4, 현대인의 성경).
그들의 재결합은 우리가 하나님께 우리의 재능이나 재물을 드리기 전에 형제나 자매와 먼저 화해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의 전형적인 한 예입니다(마태복음 5:23-24).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그 후에 와서 예물을 드리라”(24절). 야곱은 에서와 화해함으로써 하나님께 순종하였고, 그 후에 주님께 제단을 쌓았습니다(창세기 33:20). 먼저 용서하고 화해하면 하나님께서 그분의 제단에서 우리를 맞이해 주시는 것, 이 얼마나 멋진 순서입니까?
오늘의 성구
창세기 33:1-11에서가 달려와서 그를 맞이하여 안고 [창세기 33:4]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다른 믿는 사람에게 힘든 마음이 들 때, 하나님 앞에 나아가 먼저 용서를 구하게 하소서.
당신은 누구에게 원한이나 불만을 품고 있습니까? 당신은 화해하려고 어떤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8/07/2021 Saturday
FIRST FORGIVE
God also healed the bitter division between Esau and his twin brother, Jacob, and blessed both their lives. A onetime schemer, Jacob had robbed Esau of their father’s blessing. But twenty years later, God called Jacob to return to their homeland. So, Jacob sent ahead bountiful gifts to appease Esau. “But Esau ran to meet Jacob and embraced him; he threw his arms around his neck and kissed him. And they wept” (GENESIS 33:4).
Their reunion stands as a classic example of God’s urging to settle anger with a brother or sister before offering our gifts—talents or treasures—to Him (MATTHEW 5:23–24). Instead, “first go and be reconciled to them; then come and offer your gift” (V. 24). Jacob obeyed God by reconciling with Esau, and later setting up an altar to the Lord (GENESIS 33:20). What a beautiful order: First strive for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en, at His altar, He receives us.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GENE SIS 33:1–11Esau ran to meet Jacob and embraced him. [ GENESIS 33:4 ]
Dear God, when I hold onto hard feelings against another believer, inspire me on the way to Your altar to first forgive.
Against whom do you hold a grudge or grievance? What steps can you take to reconcile?
오늘의 말씀
08/06/2021 금요일
다시 일어남
성공과 실패를 함께 맛본 그를 지켜준 것은 예수님에 대한 믿음이었습니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성경말씀 중 하나는 잠언의 “대저 의인은 일곱 번 넘어질지라도 다시 일어나려니와”(24:16)라는 용기를 주는 말씀이었습니다. 이 잠언은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의인도 어려움과 역경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 줍니다. 하지만 그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계속 하나님을 찾을 때,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다시 일어날 힘을 주십니다.
근래에 커다란 실망과 실패로 다시 일어나지 못할 것 같이 느낀 적이 있습니까? 성경은 우리 자신의 힘을 의지하기보다는 계속해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약속을 믿으라고 권면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을 때 성령께서 우리의 삶 가운데 크고 작은 어떤 어려움도 이길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고린도후서 12:9).
오늘의 성구
잠언 24:15-18대저 의인은 일곱 번 넘어질지라도 다시 일어나려니와 [잠언 24:16]
하나님 아버지, 시련을 겪고 낙심될 때마다 언제나 가까이 계셔서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위로와 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힘든 실패를 겪은 당신에게 어떻게 힘을 주셨습니까? 그런 경험이 오늘 당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어떻게 용기를 줍니까?
Daily Article
08/06/2021 Friday
RISE AGAIN
Having tasted both success and failure, Hall credits his faith in Jesus for sustaining him. One of his favorite Bible verses is an encouraging reminder from the book of Proverbs that “though the righteous fall seven times, they rise again” (24:16). This proverb reminds us that the righteous, those who trust in and have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will still experience difficulties and hardships. However, as they continue to seek Him even in the midst of difficulty, God is faithful to give them the strength to rise again.
Have you recently experienced a devastating disappointment or failure and feel like you will never recover? Scripture encourages us not to rely on our strength but to continue to put our confidence in God and His promises. As we trust Him, God’s Spirit gives us strength for every difficulty we encounter in this life, from the seemingly mundane to significant struggles (2 CORINTHIANS 12:9). LISA M. SAMRA
Today's Reading
PROVERBS 24:15–18Though the righteous fall seven times, they rise again. [ PROVERBS 24:16 ]
Heavenly Father, thank You that in every trial and disappointment You’re always close, offering comfort and strength to help me rise again.
How has God strengthened you after a difficult disappointment? How does that give you encouragement for the struggles you face today?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F108 to discover how you can best serve others and understand yourself better.
오늘의 말씀
08/05/2021 목요일
큰 자
그 지역에 역병이 한 차례 지나간 후 커스버트는 주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마을들을 한 차례 순방했습니다. 어느 한 마을을 떠나기 전 기도해야 할 사람이 더 있는지 확인하다가 아이를 끌어안고 있는 한 여인을 보았습니다. 그녀는 이미 아들 하나를 잃은 후였고, 안고 있는 아이도 죽어가고 있었습니다. 커스버트는 고열에 시달리는 아이를 팔에 안고 기도한 후 이마에 입을 맞추었습니다. 그리고 아이 엄마에게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당신 가족 중에 아무도 죽지 않을 겁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 소년은 살았다고 전해집니다.
예수님도 한 번은 큰 자에 대해 가르치시려고 어린 소년을 팔에 안으시며,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요” (마가복음 9:37)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유대 문화에서 누군가를 “영접한다”는 것은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듯이 그들을 섬긴다는 뜻입니다. 당시에는 아이가 섬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어른을 섬기는 문화였으므로 그 말씀은 매우 충격적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요? 진정 큰 사람은 가장 작고 낮은 자를 섬기는 자라는 것입니다(35절).
커스버트는 군주들에게 조언을 하였고, 역사를 바꾸어 나갔으며, 그를 기념하는 도시도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천국에서는 그가 한 일을 이렇게 기록할 것입니다. ‘그는 한 어머니를 살폈고, 병든 아이의 이마에 입을 맞추었으며, 그의 주님을 본받아 평생 겸손히 살았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9:33-37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 [마가복음 9:35]
사랑하는 하나님, 다른 사람들을 겸손히 섬길 수 있게 도와주소서.
역사에서 “큰” 인물을 생각할 때 어떤 모습이 떠오릅니까? 오늘 어떻게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그런 큰 사람을 추구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05/2021 Thursday
GREATNESS
After a plague ravaged the region, Cuthbert once toured affected towns offering solace. Readying to leave one village, he checked if there was anyone left to pray for. There was—a woman, clutching a child. She had already lost one son, and the child she held was nearing death too. Cuthbert took the fevered boy in his arms, prayed for him, and kissed his forehead. “Do not fear,” he told her, “for no one else of your household will die.” The boy reportedly lived.
Jesus once took a small boy into his arms to give a lesson on greatness, saying, “Whoever welcomes one of these little children in my name welcomes me” (MARK 9:37). To “welcome” someone in Jewish culture meant to serve them, the way a host welcomes a guest. Since children were to serve adults and not be served, the idea must’ve been shocking. Jesus’ point? True greatness resides in serving the smallest and lowliest (V. 35).
A counselor to monarchs. An influencer of history. A city built in his honor. But perhaps heaven records Cuthbert’s legacy more like this: A mother noticed. A forehead kissed. A humble life reflecting his Master.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MARK 9:33–37Anyone who wants to be first must be the very last, and the servant of all. [ MARK 9:35 ]
Dear God, help me to humbly serve others.
When you think of a “great” person in history, what image comes to mind? How can you pursue Jesus’ kind of greatness today?
오늘의 말씀
08/04/2021 수요일
잊지 않으시는 하나님
자폐로 인한 제러드의 그런 기억력은 시간과 영원의 주관자이시며 모든 것을 아시는 사랑의 하나님을 생각하게 합니다. 하나님은 모든 사실을 아시고 자신이 한 약속과 자신의 백성들을 잊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이 당신을 잊으신 건 아닌지 의문을 품은 적이 있습니까? 다른 사람들이 나보다 더 건강하고 더 행복하고 더 성공한 것처럼 보일 때나 그냥 더 나아 보일 때 그런 생각이 들지 않았는지요?
옛적에 이스라엘은 어려운 상황에 놓이자,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시며 주께서 나를 잊으셨다”(이사야 49:14)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연민과 돌보심은 어머니가 자녀를 향해 갖는 본능적인 사랑보다 훨씬 큽니다(15절). “버려졌다”거나 “잊혔다”라는 말을 하기 전에 하나님께서 그분의 아들 예수님 안에서, 예수님을 통해 하신 일이 어떤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보십시오. 용서를 담은 복된 말씀으로 하나님은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15절).
오늘의 성구
이사야 49:14-18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 [이사야 49:15]
하나님 아버지, 무시되고 잊혀지고 버림받은 것 같이 느껴질 때, 나를 위해 예수님을 보내어 죽게 하심으로 보여주신 그 사랑을 다시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외롭고, 버려지고, 하나님께 잊혔다고 느낀 때가 언제였습니까? 우리의 죄를 위해 예수님을 보내시고 죽게 하신 하나님의 사랑이 어떻게 하나님께 잊혔다는 생각을 버릴 수 있게 해줄까요?
Daily Article
08/04/2021 Wednesday
NOT FORGOTTEN
Because of the way he’s wired, Jared possesses the kind of memory that reminds me of the all-knowing, loving God—the Keeper of time and eternity. He knows the facts and won’t forget His promises or His people. Have you had moments when you’ve questioned whether or not you’ve been forgotten by God? When others appear to be healthier or happier or more successful or otherwise better off?
Ancient Israel’s less-than-ideal situation caused her to say, “The Lord has forsaken me, the Lord has forgotten me” (ISAIAH 49:14). But that wasn’t the case. God’s compassion and care exceeded the natural bonds of affection that mothers have for their children (V. 15). Before embracing labels like “forsaken” or “forgotten,” think again of what God has done in and through His Son, Jesus. In the gospel that brings forgiveness, God has clearly said, “I will not forget you!” (V. 15).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ISAIAH 49:14–18I will not forget you! [ ISAIAH 49:15 ]
Father, when I’m tempted to feel neglected, forgotten, and abandoned, help me to ponder again the love You demonstrated by sending Jesus to die for me.
When have you felt alone, forsaken, and forgotten by God? How does processing the love of God expressed by sending Jesus to die for your sins help to counter feelings of being forgotten by Him?
오늘의 말씀
08/03/2021 화요일
예수님과 동행
마찬가지로 예수님을 믿는 신자로서 우리의 여정을 잘 마치려면 무엇을 지녀야 할 것인지를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히브리서 12장은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버리라”고 말합니다. 저자는 우리의 삶을 “우리가 감당할 경주”에 비교하며 “피곤하여 낙심하지 말라”고 말합니다(1, 3절). 죄로 힘겨워하거나 우리를 위해 하나님이 정해주신 길을 벗어나는 것은 불필요한 짐을 지는 것과 같습니다.
존 뮤어 등산로를 걷기 위해 필요한 목록이 있듯이, 하나님은 예수님을 따르는 지침들을 성경에서 제시해 주셨습니다. 우리는 성경말씀에 비추어 봄으로써 어떤 습관과 꿈, 소망이 지니고 갈 만한 가치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볍게 길을 갈 때 그 길을 잘 마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2:1-3이러므로 우리에게 구름 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 있으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 버리고 [히브리서 12:1]
예수님, 주님의 지혜를 따라 가볍게 길을 가고 잘 마치게 해주소서.
예수님을 따르는 우리를 얽매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어떤 것을 “버려야” 할까요?
Daily Article
08/03/2021 Tuesday
WALKING WITH JESUS
Finishing well on our journey as believers in Jesus also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what we bring. In Hebrews 12, we’re told to “throw off everything that hinders and the sin that so easily entangles.” The author compares our lives to a “race marked out for us,” one in which we must “not grow weary and lose heart” (VV. 1, 3). To become overburdened with sin or distracted by things outside of God’s purpose for us is to carry an unnecessary weight.
Just as there are packing lists for the John Muir Trail, God has provided directions for following Jesus in the Bible. We can know what habits, dreams, and desires are worth bringing along by examining them in light of the Scriptures. When we travel light, we’re able to finish well. KAREN PIMPO
Today's Reading
HEBREWS 12:1–3Therefore, since we are surrounded by such a great cloud of witnesses, let us throw off everything that hinders and the sin that so easily entangles. [ HEBREWS 12:1 ]
Jesus, help me travel lightly according to Your wisdom and to finish well.
What’s hindering you in following Jesus? What would it look like to “throw it off”?
Visit ChristianUniversity.org/SF104 to learn more about strengthening your walk with God.
오늘의 말씀
08/02/2021 월요일
입양은 아름다운 것
입양이 아름다운 것처럼, 이 장면은 참 아름답습니다. 한 가족이 팔을 벌려 새 식구를 맞이할 때 사랑은 더욱 커지고 완전한 한 식구가 될 수 있습니다. 입양으로 마이클의 인생이 완전히 바뀐 것처럼, 입양은 사람의 인생을 바꾸어 줍니다.
예수님 안에서 신자들은 주님을 믿는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가 됩니다(갈라디아서 3:26). 우리는 하나님께 입양되어 하나님의 아들과 딸이 되는 것입니다(4:5).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된 우리는 아들이신 예수님의 영을 받아 하나님을 “아버지”(6절)라고 부르며 그의 상속자가 되고(7절), 그리스도와 함께 공동상속자가 됩니다(로마서 8:17). 온전한 하나님의 가족 구성원이 되는 것입니다.
마이클 오어가 입양되었을 때 그의 인생과 정체성과 미래까지 바뀌었습니다. 하나님께 입양된 우리에게는 얼마나 더 많은 변화가 있겠습니까! 하나님이 아버지 되심을 알게 되면서 우리의 삶은 변합니다. 그분께 속함으로써 우리의 정체성도 변하며, 우리의 미래도 변하여 영광스럽고 영원한 유산을 약속 받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갈라디아서 3:26-4:7너희가 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으니 [갈라디아서 3:26]
하나님 아버지, 저를 자녀 삼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의 자녀라는 저의 정체성을 온전히 이해하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면 정체성이 어떻게 달라집니까? 이것이 자신을 보는 시각을 어떻게 바꾸어 줍니까?
Daily Article
08/02/2021 Monday
THE BEAUTY OF ADOPTION
It’s a beautiful moment, just as adoption is a beautiful thing. Love is extended and full inclusion is offered as a family opens its arms to a new member. Adoption changes lives, just as it profoundly changed Michael’s life.
In Jesus, believers are made “children of God” through faith in Him (GALATIANS 3:26). We’re adopted by God and become His sons and daughters (4:5). As God’s adopted children, we receive the Spirit of His Son, we call God “Father” (V. 6), and we become His heirs (V. 7) and coheirs with Christ (ROMANS 8:17). We become full members of His family.
When Michael Oher was adopted, it changed his life, his identity, and his future. How much more for us who are adopted by God! Our life changes as we know Him as Father. Our identity changes as we belong to Him. And our future changes as we’re promised a glorious, eternal inheritance. CON CAMPBELL
Today's Reading
GALATIANS 3:26–4:7In Christ Jesus you are all children of God through faith. [ GALATIANS 3:26 ]
Thank You, Father, for making me Yours. Help me to understand my identity as Your child.
How does being a child of God affect your self-identity? In what ways does this change the way you view yourself?
오늘의 말씀
06/30/2021 수요일
자족의 비결
몸의 자유를 잃은 조니는 로마 감옥에 갇혀 자유를 잃었던 바울 사도와, 그가 빌립보 교인들에게 보낸 편지를 생각하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조니는 “어떠한 형편에든지 나는 자족하기를 배웠노니”(빌립보서 4:11)라고 고백하는 바울의 자족을 배우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바울이 원래부터 평안한 사람이 아니라 평안해지는 법을 ‘배워야’ 했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바울은 어떻게 자족할 수 있었을까요? 그것은 그리스도를 신뢰함으로써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게”(13절) 된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살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만납니다. 그럴 때 우리는 순간 순간 예수님을 바라보고 도움과 힘과 평안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화를 내지 않게 도와줄 것이며, 그 다음의 어려운 일도 감당할 용기를 주실 것입니다. 주님을 바라보고 만족을 얻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4:10-13나는......그 어떤 경우에도 스스로 만족하게 생각하는 비결을 배웠습니다
[빌립보서 4:12, 현대인의 성경]
예수님을 의지함으로써 평안을 찾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습니까?
현재 삶의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그 부분을 하나님께 어떻게 맡길 수 있을까요?
구원의 주님, 저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약하다고 느낄 때 주님 안에서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30/2021 Wednesday
THE SECRET OF CONTENTMENT
Joni says her confinement made her look at another captive— the apostle Paul, who was imprisoned in a Roman jail—and his letter to the Philippians. Joni strives for what Paul achieved: “I have learned to be content whatever the circumstances” (PHILIPPIANS 4:11). Note that Paul had to learn to be at peace; he wasn’t naturally peaceful. How did he find contentment? Through trusting in Christ: “I can do all this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V. 13).
We all face different challenges throughout our days; and we all can look to Jesus moment by moment for help, strength, and peace. He will help us to hold back from snapping at our loved ones; He will give us the courage to do the next hard thing. Look to Him and find contentment. -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PHILIPPIANS 4:10–13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 PHILIPPIANS 4:12 ]
How has leaning on Jesus helped you to find peace?
In what areas of your life are you struggling right now? How could you commit them to God?
Saving Christ, thank You for giving me courage and hope.
When I feel weak, help me to find strength in You.
오늘의 말씀
06/29/2021 화요일
삶의 열정
길이 휘어지는 곳에 이르렀을 때, 큰 곰 한 마리가 어슬렁거리며 머리를 좌우로 흔들고 낮은 소리로 킁킁거리고 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바람이 우리 쪽에서 불고 있어서 곰이 아직 우리를 못 보았지만 곧 발견할 것 같았습니다.
한 친구가 “아, 이건 꼭 사진으로 남겨야 해!”라며 카메라를 꺼내려고 재킷을 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위험 앞에서 마음이 편치 않았던 나는 “아니야. 얼른 도망가야 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조용히 뒷걸음치다가 곰의 시야에서 벗어나자 냅다 뛰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위험도 무릅쓰고 부자가 되고 싶어 하는 열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잘 보여줍니다. 돈 자체는 문제가 아닙니다. 돈은 다만 교환의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부자가 되기를 ‘갈망하는’ 자들은 “시험과 함정에 빠지고 사람을 파멸시키는 여러 가지 해로운 욕망에 떨어진다” (디모데전서 6:9, 현대인의 성경)고 바울은 기록합니다. 재물은 가지면 가질수록 더 갖고 싶어지는 것입니다.
그 대신 우리는 “의와 경건과 믿음과 사랑과 인내와 온유를 따라야”(11 절) 합니다. 우리가 이 덕목들을 추구하고 우리 속에 이것들이 생기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면 우리 안에 그 덕목들이 자라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하나님 안에서 추구하는 깊은 만족을 확실히 누리는 방법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6:6-12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들을 피하고 의를 따르라
[디모데전서 6:10-11]
당신은 무엇에 열정을 갖고 있습니까? 예수님을 더 닮도록 만드는 덕목들을 어떻게 추구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그리스도를 더 닮아가고 싶습니다.
하나님이 제게 가르치려 하시는 것을 저도 같이 힘써서 할 수 있게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06/29/2021 Tuesday
YOUR LIFE’S PASSION
As we came around a bend, I saw a large bear moseying along, swinging his head from side to side, and quietly huffing. We were downwind, and he hadn’t detected our presence, but he would soon.
Our friend began to rummage around in her jacket for a camera. “Oh, I must take a picture!” she said. I, being less comfortable with our odds, said, “No, we must get out of here.” So we backed up quietly until we were out of sight—and ran.
That’s how we should feel about the dangerous passion to get rich. There’s nothing wrong with money; it’s just a medium of exchange. But those who desire to get rich “fall into temptation and a trap and into many foolish and harmful desires that plunge them into ruin and destruction,” Paul wrote (1 TIMOTHY 6:9). Wealth is only a goad to get more.
Instead, we should “pursue righteousness, godliness, faith, love, endurance and gentleness” (V. 11). These traits grow in us as we pursue them and ask God to form them within us. This is how we secure the deep satisfaction we seek in God. -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1 TIMOTHY 6:6–12The love of money is a root of all kinds of evil. . . .Flee from all this, and pursue righteousness.
[ 1 TIMOTHY 6:10–11 ]
What’s your passion in life? How might you pursue traits that will make you more like Jesus?
God, I want to grow to become more Christlike.
Help me cooperate with what You’re trying to teach me.
오늘의 말씀
06/28/2021 월요일
하나님의 보호하심
멍크와 해럴드 둘 다 공포로 떨고 있을 때 멍크의 불안한 마음에 갑자기 깨달음이 찾아왔습니다. 그래서 해럴드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내 생각에는 우리가 이 상황을 잘못된 관점으로 보고 있는 것 같아. 이 트렁크, 이 트렁크 내벽......이런 것들이 우리를 가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이것들이 우리를 보호하고 있는 거야. 이것들이 우리를 나쁜 것들......병균, 뱀, 하모니카로부터 보호하고 있어.” 해럴드도 눈을 크게 뜨면서 그 말의 의미를 알아듣고 경탄하며 속삭였습니다. “이 트렁크가 우리의 ‘친구’로구나.”
시편 63편을 보면 다윗도 거의 비슷한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보입니다. “물이 없어 마르고 황폐한 땅”에 있어도 그가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과 사랑을 기억할 때(1-3절) 사막도 하나님의 돌보심과 보호를 받는 땅으로 변화되는 것 같았습니다. 마치 아기 새가 어미의 날개 밑에 숨어 있는 것 같이 다윗은 하나님께 가까이 있을 때 그 광야에서도 “골수와 기름진 것을 먹음 같이”(5절) “생명보다 나은”(3절) 사랑 안에서 영양과 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63내가 주의 날개 그늘에서 즐겁게 부르리이다 나의 영혼이 주를 가까이 따르니 주의 오른손이 나를 붙드시거니와
[시편 63:7-8]
언제 어려운 상황에서 하나님의 돌보심을 경험해 보았습니까?
현재의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 “[하나님의] 날개 그늘에서 즐겁게 부르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사랑의 창조주이시며 붙드시며 먹이시는 하나님! 아주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사랑이 제 마음에 찾아와 그 상황들을 주 날개 밑 피난처로 바꾸어주시니, 그 놀라운 솜씨에 감사할 뿐입니다.
Daily Article
06/28/2021 Monday
GOD’S PROTECTION
It’s while Monk and Harold are both panicking that the epiphany comes, abruptly interrupting Monk’s angst. “I think we’ve been looking at this the wrong way,” he tells Harold. “This trunk, these walls . . . they’re not closing in on us . . . they’re protecting us, really. They’re keeping the bad stuff out . . . germs, and snakes, and harmonicas.” Eyes widening, Harold sees what he means and whispers in wonder, “This trunk is our friend.”
In Psalm 63, it’s almost as if David has a similar epiphany. Despite being in a “dry and parched land,” when David remembers God’s power, glory, and love (VV. 1–3), it’s as if the desert transforms into a place of God’s care and protection. Like a baby bird hiding in the shelter of a mother’s wings, David finds that when he clings to God, even in that barren place, he can feast “as with the richest of foods” (V. 5), finding nourishment and strength in a love that “is better than life” (V. 3). -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PSALM 63I sing in the shadow of your wings. I cling to you; your right hand upholds me.
[ PSALM 63:7–8 ]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care for you while you were in a difficult place?
In what current struggles might you learn to “sing in the shadow of [God’s] wings”?
Loving Creator, Sustainer, and Nourisher, thank You for the miraculous way Your love seeps into my heart in even the most difficult places, transforming them into the shelter of Your wing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