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18/2021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100-102; 고린도전서 1
찬송가: 390(통444)

우리 삶의 이야기를 아시는 하나님

가장 친한 친구와 점심을 먹고서 집으로 운전하여 돌아오면서 그 친구로 인해 큰 소리로 하나님께 감사했습니다. 친구는 나를 잘 알고 나조차도 사랑하지 않는 어떤 내 모습에도 불구하고 나를 사랑합니다. 그녀는 나의 특이한 부분이나 습관, 실수 등, 나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받아주는 몇 안 되는 친구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내게는 그녀와, 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를 꺼려 하는 내 이야기가 여전히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분명히 용기 내어 할 일을 못했을 때라든지, 남을 비판하고 함부로 대하고 차갑게 대했던 경우들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의 이야기를 다 알고 계십니다.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기가 꺼려질 때에도 마음 편히 이야기할 수 있는 분이십니다.

우리가 잘 아는 시편 139편은 우리를 다스리시는 왕이신 주님과의 친밀한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주님은 우리를 완전히 아십니다!(1절). 주님은 “[우리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십니다”(3절). 주님은 우리의 혼란스러움과 불안한 마음, 유혹과의 싸움을 가지고 나아오라고 하십니다. 우리가 자신을 주님께 온전히 드리고자 하면, 주님은 오셔서 우리가 주님으로부터 벗어남으로 겪는 슬픈 이야기들을 고쳐서 새로 쓰십니다.

하나님은 누구보다도 우리를 더 잘 아십니다. 더 나아가 사랑하기까지 하십니다! 우리가 매일 주님께 자신을 맡기고 그분을 더 많이 알려고 할 때, 주님은 그분의 영광을 위해 우리의 이야기를 바꾸어 주실 것입니다. 주님은 우리의 이야기를 계속해서 써 나가시는 분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9:1-6, 23-24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 [시편 139:23]

존귀하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을 실망시킬 때라도 저를 아버지의 자녀로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동행하시는 신실한 하나님을 굳게 믿고 저의 전부를 아버지께 드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언제나 무조건적으로 사랑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확신하십니까? 어떻게 매일의 삶을 하나님께 내어 드릴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18/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00–102; 1 CORINTHIANS 1
Hymn: 390(old 444)

GOD KNOWS YOUR STORY

As I drove home after lunch with my best friend, I thanked God out loud for her. She knows me and loves me in spite of things I don’t love about myself. She’s one of a small circle of people who accept me as I am—my quirks, habits, and screw-ups. Still, there are parts of my story I resist sharing even with her and others that I love—times where I’ve clearly not been the hero, times I’ve been judgmental or unkind or unloving.

But God does know my whole story. He’s the One I can freely talk to even if I’m reluctant to talk with others.

The familiar words of Psalm 139 describe the intimacy we enjoy with our Sovereign King. He knows us completely! (V. 1). He’s “familiar with all [our] ways” (V. 3). He invites us to come to Him with our confusion, our anxious thoughts, and our struggles with temptation. When we’re willing to yield completely to Him, He reaches out to restore and rewrite the parts of our story that make us sad because we’ve wandered from Him.

God knows us better than anyone else ever can, and still . . . He loves us! When we daily surrender ourselves to Him and seek to know Him more fully, He can change our story for His glory. He’s the Author who’s continuing to write it.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SALM 139:1–6, 23–24
Search me, God, and know my heart; test me and know my anxious thoughts. [ PSALM 139:23 ]

Precious Father, thank You for loving me as Your child despite the times I’ve disappointed You. Help me to yield all of myself to You in full assurance that You’re faithfully walking beside me.

What assurance do you have that God will always love you unconditionally? How can you make yielding to Him a daily practice?

오늘의 말씀

08/17/2021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97-99; 로마서 16
찬송가: 200(통235)

성경을 믿음

미국 복음주의의 거장 빌리 그래함은 한때 성경을 온전한 사실로 받아들이는 게 힘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어느 날 밤 샌 버나디노 산맥에 있는 한 수양관에서 달빛을 받으며 혼자 걷던 그는 나무 그루터기에 성경을 놓고 무릎을 꿇고는 “더듬거리며” 이렇게 기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나님! 이 책에는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그래함은 자신의 혼란스러움을 고백함으로써 성령께서 마침내 “나를 자유롭게 하셔서, ‘하나님 아버지, 제가 믿음으로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겠습니다.’라고 말하게 하셨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일어서는 그에게는 아직도 의문들이 있었지만, “나의 영이 영적 전쟁을 싸워 이겼음을 알았다.”라고 말했습니다.

젊은 선지자 예레미야도 영적 싸움을 싸웠습니다. 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성경 속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내가 주의 말씀을 얻어 먹었사오니 주의 말씀은 내게 기쁨과 내 마음의 즐거움입니다”(예레미야 15:16). 그는 “여호와의 말씀으로 말미암아......나의 마음이 불붙는 것 같아서 골수에 사무친다”(20:8-9)고 선언했습니다. 19세기 복음주의자 찰스 스펄전은 이렇게 썼습니다. “[예레미야가] 우리에게 한 가지 비밀을 알려줍니다. 그의 외면적인 삶, 특히 그의 신실한 사역은 내면적으로 자신이 전하는 말씀을 사랑한 데서 말미암은 것이었습니다.”

우리도 여러 어려움 가운데서 성경의 지혜를 통해 우리의 삶을 빚어갈 수 있습니다. 우리는 늘 믿음으로 계속 공부해 나가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15:15-21
내가 주의 말씀을 얻어 먹었사오니 [예레미야 15:16]

하늘에 계신 아버지, 성경을 읽을 때 하나님의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주소서. 하나님의 길을 가르쳐주시고,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소서.

당신의 삶은 성경 말씀에 의해 어떻게 빚어졌습니까? 믿음으로 성경을 받아들일 때, 당신의 삶이 어떻게 바뀌기를 기대하십니까?

Daily Article

08/17/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7–99; ROMANS 16
Hymn: 200(old 235)

TRUSTING THE BIBLE

Billy Graham, the renowned American evangelist, once described his struggle to accept the Bible as completely true. One night as he walked alone in the moonlight at a retreat center in the San Bernardino Mountains, he dropped to his knees and placed his Bible on a tree stump, able only to “stutter” a prayer: “Oh, God! There are many things in this book I do not understand.”

By confessing his confusion, Graham said the Holy Spirit finally “freed me to say it. ‘Father, I am going to accept this as thy Word—by faith!’ ” When he stood up, he still had questions, but he said, “I knew a spiritual battle in my soul had been fought and won.”

The young prophet Jeremiah fought spiritual battles too. Yet he consistently sought answers in Scripture. “When your words came, I ate them; they were my joy and my heart’s delight” (JEREMIAH 15:16). He declared, “The word of the Lord . . . is in my heart like a fire, a fire shut up in my bones” (20:8–9). Nineteenth-century evangelist Charles Spurgeon wrote, “[Jeremiah] lets us into a secret. His outer life, especially his faithful ministry, was due to his inward love of the word which he preached.”

We too can shape our life through the wisdom of Scripture despite our struggles. We can keep studying, as always, by faith.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JEREMIAH 15:15–21
When your words came, I ate them. [ JEREMIAH 15:16 ]

Heavenly Father, show me new things about You as I read the Bible. Teach me Your ways. Show me Your love.

How has your life been shaped by Scripture? As you accept it by faith, how do you expect your life to change?

오늘의 말씀

08/16/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94-96; 로마서 15:14-33
찬송가: 503(통373)

행동하는 믿음

샘의 아버지는 군사 쿠데타 중에 목숨을 위해 피신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수입이 갑자기 없어진 그의 가족은 샘의 동생의 생명 연장에 꼭 필요한 약을 더 이상 살 수 없게 되었습니다. 샘은 하나님에 대해 분노하며 ‘도대체 우리가 무엇을 했기에 이런 일을 당해야 되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을 믿는 한 사람이 그 가족이 처한 곤경에 대해 듣고는 자기가 가진 돈으로 충분히 약을 살 수 있음을 알고 약을 사서 그들에게 전해주었습니다. 어느 모르는 사람이 전해준 생명을 살리는 선물은 커다란 영향을 미쳤습니다. 샘의 어머니는 “이번 주일에 이 분이 다니는 교회에 가자.” 라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샘의 분노도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한 사람 한 사람씩, 온 식구가 다 예수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야고보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고백에 합당한 진실된 생활방식의 필요성에 대해 말하면서 무엇보다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만일 형제나 자매가 헐벗고 일용할 양식이 없는데 너희 중에 누구든지 그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덥게 하라, 배부르게 하라 하며 그 몸에 쓸 것을 주지 아니하면 무슨 유익이 있으리요”(2:15-16).

우리의 행동들은 우리 믿음의 진정성을 보여줍니다. 중요한 것은 그 행동이 다른 사람들이 믿음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샘의 경우, 그는 목사이자 교회 개척자가 되었습니다. 나중에 샘은 그의 가족을 도와주었던 그 사람을 “마페스 아빠”라고 부르곤 했습니다. 그는 그 사람을 그의 가족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보여준 영적인 아버지로 알고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야고보서 2:14-26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보고 [야고보서 1:27]

신실하신 하나님,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실천하며 살게 하소서. 다른 사람들을 섬김으로 하나님을 높이는 그 길로 가게 하소서.

당신은 누군가를 통한 예수님의 사랑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기 위해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16/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4–96; ROMANS 15:14–33
Hymn: 503(old 373)

ACTIVE FAITH

Sam’s father had to flee for his life during a military coup. With the sudden loss of income, the family could no longer afford the crucial medicine that kept Sam’s brother alive. Seething at God, Sam thought, What have we done to deserve this?

A follower of Jesus heard about the family’s troubles. Finding he had enough money to cover the medicine, he bought a supply and took it to them. The life-saving gift from a stranger had a profound impact. “This Sunday, we will go to this man’s church,” his mother declared. Sam’s anger began to subside. And eventually, one by one, each member of the family put their faith in Jesus.

When James wrote about the necessity of a lifestyle of integrity accompanying a profession of faith in Christ, he singled out the need to care for others. “Suppose a brother or a sister is without clothes and daily food,” James wrote. “If one of you says to them, ‘Go in peace; keep warm and well fed,’ but does nothing about their physical needs, what good is it?” (2:15–16).

Our actions demonstrate the genuineness of our faith. Significantly, those actions can influence the faith-choices of others. In Sam’s case, he became a pastor and church-planter. Eventually he would call the man who helped his family “Papa Mapes.” He now knew him as his spiritual father—the one who showed them the love of Jesus.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JAME S 2:14–26
Religion that God our Father accepts as pure and faultless is this: to look after orphans and widows in their distress. [ JAMES 1:27 ]

Faithful God, help me to live out my faith in You. I want the way I serve others to honor You.

How have you experienced the love of Jesus extended to you? What can you do to help someone in need?

오늘의 말씀

08/15/2021     주일

성경읽기: 시편 91-93; 로마서 15:1-13
찬송가: 302(통408)

받은 은혜를 나누기

우리 아들은 입양 전에 보육원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우리는 아이를 그 콘크리트 건물에서 집으로 데려오기 전에 먼저 남아있는 그의 소지품을 모아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아이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우리는 아이가 입고 있는 옷을 준비한 새 옷으로 갈아입히고, 다른 아이들을 위해서도 옷들을 남겨두었습니다. 나는 그가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이 슬펐지만, 이제부터 우리가 그의 육체적 정서적 필요를 채워줄 수 있다는 것이 기뻤습니다.

몇 년 후, 우리는 가난한 가정들을 위해 기부를 부탁하는 한 사람을 만났습니다. 내 아들은 즐거이 자신의 동물 인형들과 동전 얼마를 기부했습니다. 그의 배경을 생각해보면 자기가 가진 것을 꼭 붙잡고 싶은 마음이 더 컸을지도 모릅니다(이해할 만하지요).

그가 너그러움을 보인 이유는 초대교회의 경우와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그들 모두에게 너무나도 강력하게 역사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 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었습니다(사도행전 4:33-34). 사람들은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기 위해 자발적으로 자신들의 소유를 팔았습니다.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알게 될 때, 우리 속에 역사하는 하나님의 은혜가 매우 강하여 초대 교회와 같이 궁핍한 이들에게 마음으로부터 기꺼이 베풀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것은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한 마음과 한 뜻”(32절)을 품은 성도로서 하나님의 은혜의 질그릇이 되게 해줍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4:32-35
무리가 큰 은혜를 받아 그 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으니 [사도행전 4:33-34]

하나님, 하나님의 은혜를 포함하여 제게 주신 모든 것에 감사드립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전하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은혜가 당신 안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습니까? 하나님의 은혜를 증거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무엇을 나눌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15/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91–93; ROMANS 15:1–13
Hymn: 302(old 408)

EXTENDING GRACE TO OTHERS

Our son spent the early years of his life in a children’s home prior to our adopting him. Before leaving the cinderblock building together to go home, we asked to collect his belongings. Sadly, he had none. We exchanged the clothes he was wearing for the new items we’d brought for him and also left some clothing for the other children. Even though I was grieved by how little he had, I rejoiced that we could now help meet his physical and emotional needs.

A few years later, we saw a person asking for donations for families in need. My son was eager to donate his stuffed animals and a few coins to help them. Given his background, he might have (understandably) been more inclined to hold tightly to his belongings.

I’d like to think the reason for his generous response was the same as that of the early church: “God’s grace was so powerfully at work in them all” that nobody in their midst had need (ACTS 4:33–34). The people willingly sold their own possessions to provide for one another’s needs.

When we become aware of the needs of others, whether material or intangible, may God’s grace be so powerfully at work in us that we respond as they did, willingly giving from our hearts to those in need. This makes us vessels of God’s grace as fellow believers in Jesus, “one in heart and mind” (V. 32).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AC TS 4:32–35
God’s grace was so powerfully at work in them all that there were no needy persons among them. [ ACTS 4:33–34 ]

Thank You, God, for all You’ve given to me, including Your grace. Help me to extend Your grace to others.

How is God’s grace at work in you? What could you share with others as a manifestation of His grace?

Learn more about grace at DiscoverySeries.org/Q0613.

오늘의 말씀

08/14/2021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89-90; 로마서 14
찬송가: 543(통342)

이해가 안 될 때

“나는 주님의 계획을 이해할 수 없어요. 나의 온 삶을 주님께 맡겼는데 이런 일이 벌어지다니!” 이것은 어떤 아들이 프로 운동선수로 성공하려는 자신의 꿈이 잠시 틀어졌을 때 그의 어머니에게 보낸 메시지입니다. 우리 중 누가 탄식과 의문이 밀려드는 예상 못한 실망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가족 중 하나가 아무런 말도 없이 소식을 끊고, 호전되던 건강이 다시 나빠지며, 회사가 예기치 않게 이전을 하고, 삶을 바꾸어 놓는 사건이 일어납니다.

욥기 1-2장은 욥이 연속으로 겪는 삶의 비극과 좌절을 기록합니다. 인간적으로 말해서 세상에 아무런 문제없이 살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욥이었을 것입니다. “그 사람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더라”(욥기 1:1). 하지만 삶은 항상 우리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습니다. 욥에게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그렇습니다. 그의 아내가 “하나님을 욕하고 죽으라”(2:9)고 일렀을 때, 욥이 그녀에게 한 말은 지혜롭고 교훈적이며, 우리가 마주하고 싶지 않은 크고 작은 일이 일어날 때 우리에게도 해당되는 말입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아니하겠느냐 하고 이 모든 일에 욥이 입술로 범죄하지 아니하니라”(10절).

인생의 어려운 시절에 하나님의 일하심을 이해하지 못해도,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를 신뢰하고 경외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2:7-10
이 모든 일에 욥이 입술로 범죄하지 아니하니라 [욥기 2:10]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손길이 안 보이고 계획을 이해하지 못할 때도 하나님을 신뢰하고 드높이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언제 시험받았습니까? 역경 속에서 온전히 하나님을 경외하도록 하나님께서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08/14/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9–90; ROMANS 14
Hymn: 543(old 342)

WHEN WE DON’T UNDERSTAND

“I don’t understand His plan. I turned my whole life over to Him. And this happens!” Such was the message of a son to his mother when his dream to succeed as a professional athlete was temporarily derailed. Who among us hasn’t had some kind of unexpected, disappointing experience that sends our minds into overdrive with exclamations and questions? A family member cuts off communication without explanation; health gains are reversed; a company relocates unexpectedly; a life-altering accident happens.

Job 1–2 records a series of tragedies and setbacks in Job’s life. Humanly speaking, if there was anyone who qualified for a life free from trouble, it was Job. “This man was blameless and upright; he feared God and shunned evil” (JOB 1:1). But life doesn’t always work out the way we’d like it to—it didn’t for Job, and it doesn’t for us. When his wife counseled him to “curse God and die!” (2:9), Job’s words to her were wise, instructive, and fitting for us as well when things happen—big or small—that we’d rather not face. “ ‘Shall we accept good from God, and not trouble?’ In all this, Job did not sin in what he said” (V. 10).

By God’s strength, may our trust in and reverence for Him remain, even when we can’t understand how He’s at work during life’s difficult days.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JOB 2:7–10
In all this, Job did not sin in what he said. [ JOB 2:10 ]

Father, help me to trust You and honor You when I can’t see Your hand or understand Your plan.

When has your faith in God been tested? What has He used during tough circumstances to help your reverence for Him to remain intact?

오늘의 말씀

08/13/2021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87-88; 로마서 13
찬송가: 311(통185)

사랑의 참된 본질

팬데믹으로 인한 봉쇄 기간에 어쩔 수 없이 피트니스센터를 닫아야 했던 제리는 몇 달 동안 수입이 없었습니다. 하루는 친구에게서 제리의 시설에서 오후 6시에 만나자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제리는 이유를 몰랐지만 그곳으로 갔습니다. 곧 차들이 주차장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차의 운전자가 건물 근처의 인도에 바구니를 놓았습니다. 그 뒤를 이어 (오십 대 가량의) 차들이 계속 들어왔습니다. 차 안에 있던 사람들은 제리에게 손을 흔들거나 큰소리로 안부를 묻고는 그 바구니 앞에 멈춰 카드나 돈을 놓고 갔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어려운 형편에도 돈을 냈습니다. 이들 모두가 시간을 내어 그를 격려해 주었습니다.

바울 사도에 따르면 사랑의 본질은 희생입니다. 그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마게도니아 사람들이 그들의 “힘에 지나도록” 베풀어 사도들과 다른 이들의 필요를 채울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고린도후서 8:3). 마게도니아 사람들은 사도들과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베풀 기회를 달라고 바울에게 “간곡히 부탁” 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들이 헌금한 바탕에는 예수님의 희생하는 마음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종이 되어 자신의 생명을 주시기 위해 천국의 부요함을 버리고 이 땅에 오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부요하나, [우리를] 위해서 가난하게 되셨습니다”(9절, 새번역).

우리도 사랑으로 다른 이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베푸는 은혜에도 풍성할”(7절) 수 있도록 하나님께 간구하길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8:1-9
그들이 힘 대로 할 뿐 아니라 [고린도후서 8:3]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은 정말 선하신 분입니다. 하나님의 권능과 지혜로 다른 이들을 축복할 기회를 제게 주소서.

이번 주 어떻게 희생하는 마음으로 섬기거나 베풀 수 있을까요? 당신의 격려가 필요한 사람이 누구입니까?

Daily Article

08/13/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7–88; ROMANS 13
Hymn: 311(old 185)

THE TRUE NATURE OF LOVE

During the pandemic lockdown, Jerry was forced to close his fitness center and had no income for months. One day he received a text from a friend asking to meet him at his facility at 6:00 p.m. Jerry wasn’t sure why but made his way there. Soon cars started streaming into the parking lot. The driver in the first car placed a basket on the sidewalk near the building. Then car after car (maybe fifty of them) came by. Those inside waved at Jerry or hollered out a hello, stopped at the basket, and dropped in a card or cash. Some sacrificed their money; all gave their time to encourage him.

The true nature of love is sacrificial, according to the apostle Paul. He explained to the Corinthians that the Macedonians gave “even beyond their ability” so they could meet the needs of the apostles and others (2 CORINTHIANS 8:3). They even “pleaded” with Paul for the opportunity to give to them and to God’s people. The basis for their giving was the sacrificial heart of Jesus Himself. He left the riches of heaven to come to earth to be a servant and to give His very life. “Though he was rich, yet for [our] sake he became poor” (V. 9).

May we too plead with God so that we might “excel in this grace of giving” (V. 7) in order to lovingly meet the needs of others. ANNE CETAS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8:1–9
They gave as much as they were able. [ 2 CORINTHIANS 8:3 ]

Loving God, You are so good. Please give me opportunities to bless others for You in Your power and wisdom.

How might sacrificial service or giving fit into your life this week? Who needs your encouragement?

오늘의 말씀

08/12/2021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84-86; 로마서 12
찬송가: 518(통252)

듣는 것이 중요하다

“당장 와주세요. 우리 배가 빙산에 부딪혔습니다.” 이는 ‘카파시아호’ 무선통신사 헤럴드 코탐이 1912년 4월 15일 오전 12시 25분에 침몰하는 ‘타이타닉호’로부터 받은 무전의 첫마디였습니다. 이렇게 ‘카파시아호’는 재난 현장에 도착해 706명의 생명을 구한 첫 번째 배가 됩니다.

여러 날 후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카파시아호’ 선장 아서 로스트론은 다음과 같이 증언했습니다. “모든 것은 절대적으로 하나님의 섭리였습니다. 그 시간에 무선통신사는 자기 선실에 있었습니다. 근무시간도 아니었고, 옷을 벗다가 그냥 들은 것입니다...... 아마도 10분 후엔 잠을 청했을 텐데, 그랬다면 아무도 그 메시지를 못 들었을 것입니다.”

듣는 것은 중요합니다. 특히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은 더 그렇습니다. 시편 85편을 기록한 고라 자손들은 잘 듣고 순종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했습니다. “내가 하나님 여호와께서 하실 말씀을 들으리니 무릇 그의 백성, 그의 성도들에게 화평을 말씀하실 것이라 그들은 다시 어리석은 데로 돌아가지 말지로다. 진실로 그의 구원이 그를 경외하는 자에게 가까우니”(8-9 절). 그들의 조상인 고라가 하나님을 거스르고 광야에서 죽었기 때문에 그들의 훈계는 더욱 와닿습니다(민수기 16:1-35).

‘타이타닉호’가 침몰하던 그날 밤, 또 다른 배가 더 가까이 있었지만 그 배의 무선통신사는 이미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그가 그 조난신호를 들었다면 아마도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가르침에 순종하여 하나님께 귀 기울이면 아무리 어려운 삶의 풍파 속에서도 헤쳐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85
내가 하나님 여호와께서 하실 말씀을 들으리니 [시편 85:8 ]

하나님 아버지, 제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주님과 늘 가까이 있게 하소서. 저를 아버지의 일꾼으로 사용하셔서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소망을 전하게 하소서.

오늘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과 성경에 주의를 기울이겠습니까? 그것이 어떻게 다른 사람을 돕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12/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4–86; ROMANS 12
Hymn: 518(old 252)

LISTENING MATTERS

“Come at once. We have struck a berg.” Those were the first words Harold Cottam, the wireless operator on the RMS Carpathia, received from the sinking RMS Titanic at 12:25 a.m. on April 15, 1912. The Carpathia would be the first ship to the disaster scene, saving 706 lives.

In the US Senate hearings days later, the Carpathia’s captain Arthur Rostron testified, “The whole thing was absolutely providential. . . . The wireless operator was in his cabin at the time, not on official business at all, but just simply listening as he was undressing. . . . In ten minutes maybe he would have been in bed, and we would not have heard the message.”

Listening matters—especially listening to God. The writers of Psalm 85, the sons of Korah, urged attentive obedience when they wrote, “I will listen to what God the Lord says; he promises peace to his people, his faithful servants—but let them not turn to folly. Surely his salvation is near those who fear him” (VV. 8–9). Their admonition is especially poignant because their ancestor Korah had rebelled against God and had perished in the wilderness (NUMBERS 16:1–35).

The night the Titanic sank, another ship was much closer, but its wireless operator had gone to bed. Had he heard the distress signal, perhaps more lives would have been saved. When we listen to God by obeying His teaching, He’ll help us navigate even life’s most troubled waters. JAMES BANKS

Today's Reading

PSALM 85
I will listen to what God the Lord says. [ PSALM 85:8 ]

Father, help me to stay close to You in my thoughts, words, and actions. Please use me as Your servant to bring Your hope to others.

In what ways will you stay attentive to God and the Scriptures today? How can doing so help you to help others?

오늘의 말씀

08/11/2021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81-83; 로마서 11:19-36
찬송가: 521(통253)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천국

카리브해의 작은 섬 일루서라에 있는 인공 다리에서 여행객들은 대서양의 거칠고 짙푸른 바다와 카리브해의 잔잔한 청록색 바다 사이의 뚜렷한 대조에 감탄합니다. 원래 천연 석조 아치로 구분되었던 지대가 오랜 기간 동안 폭풍에 의해 씻겨 나가 버렸습니다. 현재 일루서라의 관광 명소인 유리로 된 그 다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좁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경은 영생으로 가는 길은 좁고 “찾는 자가 적다”(마태복음 7:14)고 말합니다. 그 문이 작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성자 하나님이 타락한 사람과 성부 하나님을 성령의 능력으로 화해시킬 수 있는 유일한 다리이기 때문입니다 (13-14절; 요한복음 10:7-9; 16:13 참조). 그러나 성경은 또한 모든 백성과 모든 나라, 모든 사회 계급 출신의 믿는 자들이 천국에 들어갈 수 있고, 왕 중의 왕 앞에서 절하며 그의 보좌를 둘러서서 함께 예배할 것이라고 말합니다(요한계시록 5:9). 이 놀라운 대조와 연합의 장면에는 하나님의 아름다운 다양한 백성들이 모두 들어있습니다.

우리는 죄 때문에 하나님과 분리되었지만, 하나님이 창조하신 각 사람은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관계를 통한 화해의 좁은 길을 걸어서 영원한 천국에 들어오도록 초대를 받았습니다. 십자가에서의 주님의 희생과 무덤에서의 부활, 그리고 승천의 좋은 소식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며 언제나 전파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7:13-14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길이 협착하여 찾는 자가 적음이라 [마태복음 7:14]

하나님 아버지, 성령님을 통하여 저에게 힘을 주셔서 당신의 아들 예수님께 다가가는 길을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게 하소서.

당신은 복음을 듣고 어떻게 반응했습니까?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11/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81–83; ROMANS 11:19–36
Hymn: 521(old 253)

ACCESSIBLE TO ALL

From a manmade bridge on the small Caribbean island of Eleuthera, visitors can admire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roiling dark blue waters of the Atlantic and the calm turquoise waters of the Caribbean Sea. Over time, storms washed away the original strip of land once marked by a natural stone arch. The glass window bridge that now serves as a tourist attraction on Eleuthera is known as “the narrowest place on earth.”

The Bible describes the road that leads to eternal life as narrow “and only a few find it” (MATTHEW 7:14). The gate is considered small because God the Son is the only bridge that can reconcile fallen man and God the Father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VV. 13–14; SEE JOHN 10:7–9; 16:13). However, Scripture also says that believers from every people, nation, and societal rank can enter heaven and will bow before the King of Kings and worship together around His throne (REVELATION 5:9). This phenomenal image of contrast and unity includes all of God’s beautifully diverse people.

Though we are separated from God by our sin, every person God created is invited to enter eternity in heaven by walking this narrow path of reconciliation through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Christ. His sacrifice on the cross, resurrection from the tomb, and ascension to heaven is the good news, accessible to all and worth sharing today and every day.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MAT THEW 7:13–14
Small is the gate and narrow the road that leads to life, and only a few find it. [ MATTHEW 7:14 ]

God the Father, please empower me through Your Holy Spirit so I can show others the accessible path that leads to Your approachable Son, Jesus.

How did you respond after hearing the good news? How can you be more intentional about sharing it with others?

오늘의 말씀

08/10/2021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79-80; 로마서 11:1-18
찬송가: 205(통236)

징계하는 사랑

딸아이가 문을 쾅 닫았습니다. 그리고는 한 번 더 문을 쾅 닫았습니다. 나는 차고로 가서 망치와 드라이버를 가져와 딸의 방으로 갔습니다. 그리고 조용히 말했습니다. “얘야, 화가 났을 때는 조절하는 법을 배워야 해.” 그러고는 문을 떼어내 차고에 옮겨다 놓았습니다. 나는 문을 잠시 없애는 것이 딸아이가 자제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랐습니다.

잠언 3:11-12에서 지혜로운 스승은 하나님의 징계를 받아들이라고 권면합니다. ‘징계’는 “교정”이라는 말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선하시고 사랑이 많으신 아버지로서, 하나님은 성령님과 성경을 통해 우리 자신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고치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의 징계는 관계적인 것으로, 그분의 사랑과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을 주기 원하는 그분의 마음에서 나옵니다. 때로는 잘못의 결과로 징계를 받기도 하며, 때로는 우리가 미처 모르고 지내던 것들을 하나님이 다른 사람을 통해 지적해 주시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징계는 대개 불편하지만, 사실 그것은 선물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혜자는 “여호와의 징계를 경히 여기지 말라”(11절)고 경고합니다. 우리는 때때로 하나님의 징계를 두려워합니다. 그리고 삶의 나쁜 일들을 하나님의 징계라고 잘못 해석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우리를 기뻐하시기에 징계하시고,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교정하시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과는 거리가 아주 멉니다.

하나님의 징계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것을 받아들이기를 배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를 바로잡아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마음으로 듣거나 말씀을 읽으면서 찔림이 올 때에는, 우리를 너무나 기뻐하셔서 가장 좋은 길로 인도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3:11-12
여호와의 징계를 경히 여기지 말라 [잠언 3:11]

하나님, 하나님의 징계를 잘 알아차려서 저에게 주시는 자유를 찾을 수 있게 하소서.

하나님의 징계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의 징계 가운데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느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10/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9–80; ROMANS 11:1–18
Hymn: 205(old 236)

LOVE THAT DISCIPLINES

She slammed the door. She slammed the door again. I went to the garage, grabbed a hammer and a screwdriver, and walked to my daughter’s room. Calmly, I whispered, “Sweetheart. You have to learn to control your temper.” And then I removed her door from the hinges and carried it to the garage. My hope was that temporarily removing the door would help her remember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Proverbs 3:11–12, the wise teacher invites readers to accept God’s discipline. The word discipline could be translated “correction.” As a good and loving Father, God speaks through His Spirit and the Scriptures to correct self-destructive behavior. God’s discipline is relational—rooted in His love and His desire for what’s best for us. Sometimes it looks like consequences. Sometimes God prompts someone to point out our blind spots. Often, it’s uncomfortable, but God’s discipline is a gift.

But we don’t always see it that way. The wise man cautioned, “Do not despise the Lord’s discipline” (V. 11). Sometimes we fear God’s discipline. At other times we misinterpret bad things in our lives as God’s discipline. This is far from the heart of a loving Father who disciplines because He delights in us and corrects because He loves us.

Instead of fearing God’s discipline, may we learn to accept it. When we hear God’s voice of correction in our hearts or experience conviction when reading Scripture, may we thank God that He delights in us enough to lead us to what’s best. DANIEL RYAN DAY

Today's Reading

PROVERBS 3:11–12
Do not despise the Lord’s discipline. [ PROVERBS 3:11 ]

God, help me to recognize Your discipline so that I can discover the freedom You offer.

How do you recognize God’s discipline? How do you sense the love of God in the midst of it?

오늘의 말씀

08/09/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77-78; 로마서 10
찬송가: 299(통418)

두려움 없는 사랑

사람마다 결코 잊을 수 없는 아주 강렬한 인상을 준 장면들이 있습니다. 나의 경우는 고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유명한 사진을 보았을 때였습니다. 처음 봤을 때 사진 속의 장면은 그냥 평범해 보였습니다. 왕세자비가 따뜻하게 웃으며 어느 모르는 사람과 악수를 하는 모습이었으니까요. 하지만 이 사진에 얽힌 이야기는 놀랄 만한 것이었습니다.

1987년 4월 19일, 다이애나 왕세자비가 런던의 미들섹스 병원을 방문했을 때 영국은 에이즈의 창궐로 두려움에 공황 상태에 빠져 있었습니다. 무서운 속도로 사망에 이르게 하는 그 병이 어떻게 퍼지는지를 알지 못했던 당시 사람들은 에이즈 환자들을 사회적으로 버림받은 사람들처럼 취급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그날 다이애나가 장갑을 끼지 않은 채 진실된 미소로 조용히 에이즈 환자와 악수를 하는 모습은 충격적인 장면이었습니다. 그 존중과 친절의 장면은 에이즈 환자들을 동일한 자비와 연민의 마음으로 대하도록 세상에 감동을 주었을 것입니다.

그 사진은 내가 종종 잊어버리는 한 가지를 생각나게 합니다. 예수님의 사랑을 다른 사람들에게 기꺼이 너그럽게 베푸는 일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요한은 초대 그리스도인들에게 두려움 앞에서 사랑을 표현하지 않거나 숨기는 것은 “사망 가운데” 사는 것이라고 일깨워 주었습니다(요한1서 3:14). 자신을 내어주는 성령님의 사랑으로 채워지고 힘을 얻어 남들을 거리낌없이 담대히 사랑할 때, 우리는 부활의 삶을 충만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14, 16절).

오늘의 성구

요한1서 3:1, 11-18
우리는 형제를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옮겨 생명으로 들어간 줄을 알거니와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사망에 머물러 있느니라 [요한1서 3:14]

사랑의 하나님, 당신은 사랑이시기에 사랑 안에 사는 것이 당신 안에 사는 것 입니다. 두려움 없는 기쁨의 사랑을 하며 살고 싶습니다. 두려움이 사라지고 당신의 사랑이 나를 통해 넘쳐흐르도록 성령으로 나를 채워 주시고 당신의 사랑을 더 깊이 체험하게 하소서.

당신은 언제 가장 두려움 때문에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게 됩니까? 어떻게 하면 그 두려운 곳에서도 성령님의 끝없는 사랑을 체험하고 나눌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09/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77–78; ROMANS 10
Hymn: 299(old 418)

FEARLESS LOVE

There are some images so powerful they can never be forgotten. That was my experience when I viewed a famous photograph of the late Princess Diana of Wales. At first glance, the captured scene looks mundane: smiling warmly, the princess is shaking the hand of an unidentified man. But it’s the photograph’s story that makes it remarkable.

On April 19, 1987, when Princess Diana visited London Middlesex Hospital, the United Kingdom was engulfed in a wave of panic as it confronted the AIDS epidemic. Not knowing how the disease—which often killed with terrifying speed—was spread, the public at times treated AIDS victims like social pariahs.

So it was a stunning moment when Diana, with ungloved hands and a genuine smile, calmly shook an AIDS patient’s hand that day. That image of respect and kindness would move the world to treat victims of the disease with similar mercy and compassion.

The picture reminds me of something I often forget: freely and generously offering the love of Jesus to others is worth it. John reminded early believers in Christ that to let love wither or hide in the face of our fear is really to live “in death” (1 JOHN 3:14). And to love freely and unafraid, filled and empowered with the Spirit’s self-giving love, is to experience resurrection life in all its fullness (VV. 14, 16).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1 JOHN 3:1, 11–18
We know that we have passed from death to life, because we love each other. Anyone who does not love remains in death. [ 1 JOHN 3:14 ]

God of love, You are love, and to live in love is to live in You. I long to live with that kind of fearless, joyous love. Fill me with Your Spirit, and carry me ever deeper into Your love, until fear dissolves and Your love flows freely through me.

When are you most prone to let fear stifle your love for others? How can you grow in experiencing and sharing the Spirit’s boundless love within those fearful plac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