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8/28/2021 토요일
멋진 결말
나도 좋아하는 책이나 영화의 결말을 보고 싶어 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심지어 성경도 쭉 훑어보고 나서, 내가 좋아하는 부분이나 내 기호에 더 맞고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에 집중했습니다. 그러나 성령님은 우리를 변화시키고 예수님을 믿는 자들에게 주님의 이야기가 좋은 결말로 끝난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하나님의 모든 신뢰할 수 있고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말씀들을 사용하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스스로를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요한계시록 22:13)고 선언하십니다. 주님은 그의 백성들이 영생을 상속받을 것이라고 선포하시고(14절), “이 두루마리의 예언의 말씀”에 더하거나 제하려는 사람들에게 경고하십니다(18-19절).
우리는 성경의 모든 것을 알거나 이해하지는 못해도, 예수님이 다시 오신다는 것은 압니다. 주님은 그분이 하신 말씀을 지킬 것입니다. 주님은 죄를 멸하시고, 잘못된 모든 것을 바로잡고,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시며, 우리의 사랑의 왕으로서 영원히 다스리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우리를 새로운 시작으로 이어주는 멋진 결말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계시록 22:12-21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내가 줄 상이 내게 있어 각 사람에게 그가 행한 대로 갚아 주리라 [요한계시록 22:12]
오소서,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
예수님이 다시 오신다는 확신이 오늘 그분을 위해 사는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그리스도의 약속된 재림에 관한 어떤 것이 가장 설레게 합니까?
Daily Article
08/28/2021 Saturday
A GREAT ENDING
I had to admit I too look forward to the endings of my favorite books or movies. I’ve even skimmed through my Bible and focused on my favorite parts or the stories that seem more palatable and easier to understand. But the Holy Spirit uses all of God’s reliable and life-applicable words to transform us and affirm that His story will end well for believers in Jesus.
Christ declares Himself to be “the Alpha and the Omega, the First and the Last, the Beginning and the End” (REVELATION 22:13). He proclaims that His people will inherit eternal life (V. 14) and warns those who dare to add or subtract from “the words of the prophecy of this scroll” (VV. 18–19).
We may not know or understand everything in the Bible, but we do know Jesus is coming again. He’ll keep His word. He’ll demolish sin, right every wrong, make all things new, and reign as our loving King forever. Now, that’s a great ending that leads to our new beginning!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REVE L ATION 22:12–21Look, I am coming soon! My reward is with me, and I will give to each person according to what they have done. [ REVELATION 22:12 ]
Come, Lord Jesus! Come!
How does the certainty of knowing Jesus is coming again help you live for Him today? What excites you the most about Christ’s promised return?
오늘의 말씀
08/27/2021 금요일
궁극의 치유자
이스라엘 민족도 하나님께서 그들을 치유하기 위해 쓰셨던 놋뱀에게 향을 피우기 시작하면서 이와 비슷한 함정에 빠졌습니다. 그들은 히스기야가 그 행위를 우상숭배로 단정하고 “모세가 만든 놋뱀을 부셔버릴”(열왕기하 18:4) 때까지 계속했습니다.
그보다 몇 백 년 앞서 이스라엘 진영에 독사들이 나타나 사람들을 물어서 많은 사람들이 죽었습니다(민수기 21:6). 그것은 영적으로 거역한 데서 생긴 문제였지만 사람들은 하나님께 도움을 청하며 울부짖었습니다. 자비로우신 하나님은 모세에게 놋뱀을 조각하여 장대에 매고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높이 들고 있으라고 지시하셨습니다. 이렇게 놋뱀을 바라본 사람들은 고침을 받았습니다(4-9절).
당신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들을 생각해보십시오. 그들 중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의 증거가 아니라 찬양의 대상이 된 것들이 있습니까? 모든 좋은 선물의 근원이신 거룩하신 우리의 하나님(야고보서 1:17)만이 예배 받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오늘의 성구
민수기 21:4-9; 열왕기하 18:4-7[히스기야가]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부수고 [열왕기하 18:4]
사랑하는 하나님, 제 기도를 들으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을 경배합니다. 제 생명을 지켜주시고 돌보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을 통해 그분의 선하심을 어떻게 보여주셨습니까? 왜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의 삶에서 행하신 일들을 너무나 쉽게 다른 사람들의 공로로 돌릴까요?
Daily Article
08/27/2021 Friday
THE ULTIMATE HEALER
The nation of Israel fell into a similar trap when they began to burn incense to a bronze snake which God had used to heal them. They’d been performing this act of worship until Hezekiah identified it as idolatry and “broke into pieces the bronze snake Moses had made” (2 KINGS 18:4).
Several centuries earlier, a group of venomous snakes had invaded the Israelite camp. The snakes bit the people and many died (NUMBERS 21:6). Although spiritual rebellion had caused the problem, the people cried out to God for help. Showing mercy, He directed Moses to sculpt a bronze snake, fasten it to a pole, and hold it up for everyone to see. When the people looked at it, they were healed (VV. 4–9).
Think of God’s gifts to you. Have any of them become objects of praise instead of evidence of His mercy and grace? Only our holy God—the source of every good gift (JAMES 1:17)—is worthy of worship. JENNIFER BENSON SCHULDT
Today's Reading
NUMBERS 21:4–9; 2 KINGS 18:4–7[Hezekiah] broke into pieces the bronze snake Moses had made. [ 2 KINGS 18:4 ]
Dear God, I worship You as the all-powerful God who hears my prayers. Thank You for sustaining my life and caring for me.
How has God shown you His goodness through other people? Why is it so easy to give people credit for what God has done in your life?
오늘의 말씀
08/26/2021 목요일
경고에 귀 기울임
다행히 내 지갑을 손에 쥔 젊은 남자가 지갑을 놓쳐 바닥에 떨어뜨리는 바람에 나는 그것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일은 내가 그 경고에 유념했어야 했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경고를 마음에 담아두기를 싫어하는 것은 즐겁게 사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경고는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은 제자들을 보내어 천국이 가까이 왔다(마태복음 10:7)고 선포하게 하실 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지 사람 앞에서 나를 시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시인할 것이요 누구든지 사람 앞에서 나를 부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부인하리라”(32-33절).
선택이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셔서 구주를 보내시고, 또 영원히 그분과 함께 지낼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셨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에게서 돌아서서 구원의 메시지와 주님이 주시는 지금부터 영원에 이르는 진정한 삶을 거부한다면, 하나님과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우리를 만드시고 사랑하시는 분과 영원히 떨어지지 않게 하려고 우리를 구원하러 오신 예수님을 믿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0:1-7, 32-33누구든지 사람 앞에서 나를 부인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앞에서 그를 부인하리라 [마태복음 10:33]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을 통해 구원을 베풀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리고 예수님께 믿음을 두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경고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수님을 부인하는 것이 왜 그렇게 심각한 일일까요? 당신은 예수님의 부름에 어떻게 응답하기로 결정하셨습니까?
Daily Article
08/26/2021 Thursday
HEEDING THE WARNINGS
Fortunately, the young man who grabbed my wallet had slippery fingers, so it fell to the floor where I could retrieve it. But the incident reminded me that I should have heeded the warnings.
We don’t like to dwell on warnings because we think they’ll get in the way of enjoying life, but it’s imperative to pay attention to them. For instance, Jesus gave us a clear warning while sending out His disciples to proclaim God’s coming kingdom (MATTHEW 10:7). He said, “Whoever acknowledges me before others, I will also acknowledge before my Father in heaven. But whoever disowns me before others, I will disown before my Father in heaven” (VV. 32–33).
We have a choice. In love, God provided a Savior and a plan for us to be in His presence for eternity. But if we turn away from God and choose to reject His message of salvation and the real life He offers for both now and forever, we lose out on the opportunity to be with Him.
May we trust in Jesus, the One who chose to save us from being eternally separated from the One who loves and made us. DAVE BRANON
Today's Reading
MAT THEW 10:1–7, 32–33Whoever disowns me before others, I will disown before my Father in heaven. [ MATTHEW 10:33 ]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providing salvation through Jesus. And thank You for sending warnings to remind me of the importance of putting my faith in Him.
Why is rejecting Jesus such a serious thing? How have you chosen to respond to His call?
오늘의 말씀
08/25/2021 수요일
그럴 만한 이유
우리 모두가 이렇게 말할 수 있다면 얼마나 멋진 일일까요? 어떤 부모는 가장 친한 친구 같습니다. 하지만 어떤 부모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부모와의 관계는 아무리 좋아도 언제나 복잡한 것이 사실입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관계의 복잡함을 인정하면서도 우리에게 부모와 조부모, 나아가 “친척”과 “집안”을 돌봄으로써 “경건을 실천하라”고 요구합니다 (디모데전서 5:4, 8).
우리는 가족들이 과거에 우리에게 잘해 주었거나 지금 잘해 주는 경우에만 돌보는 경우가 너무나 많습니다. 다시 말해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만 돌본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우리가 그들에게 보답해야 할 더 아름다운 이유를 보여줍니다. 그들을 돌보는 이유는 “이것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4절, 현대인의 성경)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전서 5:1-8그들로 먼저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디모데전서 5:4]
하나님 아버지, 나를 돌보아준 분들을 돌볼 수 있는 은혜와 자비를 베풀어주소서. 그리고 내가 그렇게 하는 이유도 잊지 말게 하소서.
부모님이 아직 살아 계시다면, 당신과 부모님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겠습니까? 부모로서 그들이 어떻게 하셨는지 상관없이, 지금 그들을 돌볼 수 있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25/2021 Wednesday
A GOOD REASON
Wouldn’t it be great if we could all say something like that? Some parents are like best friends. Some parents are nothing like that. The truth is those relationships are always complicated at best. While Paul’s letter to Timothy doesn’t ignore that complexity, it still calls us to put our “religion into practice” by taking care of parents and grandparents—our “relatives,” our “own household” (1 TIMOTHY 5:4, 8).
We all too often practice such care only if family members were or are good to us. In other words, if they deserve it. But Paul offers up a more beautiful reason to repay them. Take care of them because “this is pleasing to God” (V. 4). JOHN BLASE
Today's Reading
1 TIMOTHY 5:1–8Put [your] religion into practice by caring for [your] own family. [ 1 TIMOTHY 5:4 ]
Father, give me grace and mercy as I seek to care for those who cared for me. And help me to remember the reason I’m doing it.
If your parents are still living, how would you describe your relationship with them? Regardless of what kind of job they did as parents, what are some ways you can take care of them right now?
오늘의 말씀
08/24/2021 화요일
하나님의 공급하심
우리가 한 시간 전에 떠났던 동네에 사는 함께 갔던 동료들이 야유회를 갖자고 했습니다. 좋은 생각이었지만 음식이 없었습니다. 우리는 아무것도 가져오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런데 친구들이 인근 숲으로 사라지더니 여러 가지 과일과 채소, 그리고 물고기까지 잡아 돌아왔습니다. 작은 보라색 꽃이 달린 ‘슈이샹카이’라는 채소는 이상해 보였지만, 그 맛은 천상의 맛이었습니다!
나는 창조세계는 하나님이 넘치게 공급하심을 드러낸다는 말이 기억났습니다. 우리는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창세기 1:12)에서 넉넉히 주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만드시고 우리에게 음식으로 주셨습니다(29절).
때때로 당신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시는 하나님을 믿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까? 자연 속을 걸어보십시오. 거기서 눈에 보이는 세계를 통해 예수님이 하신 확신의 말씀을 생각해 보십시오. “염려하여 이르기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하지 말라......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줄을 아시느니라”(마태복음 6:31-32).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1-13, 29-30들의 백합화가 어떻게 자라는가 생각하여 보라......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 보냐 [마태복음 6:28, 30]
넉넉하게 공급해주시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제 필요를 채워 주시는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지금까지 당신에게 어떻게 공급해 주셨습니까? 이제부터는 어떻게 주님의 공급하심에 계속 의지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8/24/2021 Tuesday
GOD’S PROVISION
Our hiking companions, who lived in the village we had left an hour earlier, decided that we should have a picnic. Great idea, but where was the food? We hadn’t brought any. My friends disappeared into the surrounding forest and returned with an assor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even some fish. The shuixiangcai looked strange with its small purple flowers, but tasted heavenly!
I was reminded that creation declares God’s extravagant provision. We can see proof of His generosity in “all sorts of seedbearing plants, and trees with seed-bearing fruit” (GENESIS 1:12 nlt). God has made and given us for food “every seed-bearing plant . . . and every tree that has fruit with seed in it” (V. 29).
Do you sometimes find it hard to trust God to meet your needs? Why not take a walk in nature? Let what you see remind you of Jesus’ assuring words: “Do not worry, saying, ‘What shall we eat?’ or ‘What shall we drink?’ . . . Your heavenly Father knows that you need [all these things]” (MATTHEW 6:31–32). POH FANG CHIA
Today's Reading
GENESIS 1:11–13, 29–30See how the flowers of the field grow. . . . Will he not much more clothe you? [ MATTHEW 6:28, 30 ]
Loving Father, You’re a generous provider. Help me to trust You to meet my needs.
How has God provided for you in the past? How can you continue to lean on His provision in the present?
오늘의 말씀
08/23/2021 월요일
원수 사랑하기
유대인과 사마리아인도 서로 껄끄러운 관계에 있었습니다. 혼혈이며 자신의 신들을 섬기고 있던 사마리아인들은 유대인들이 보기에 그리심 산에서 이방신을 섬기는, 유대의 혈통과 신앙을 망쳐 놓은 사람들이었습니다(요한복음 4:20). 실제로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심히 경멸해서 자기 나라 안의 직선 길을 놓아두고 먼 길로 돌아서 다녔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더 나은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주님은 사마리아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을 가져오셨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죄 많은 여인과 그 마을에 생명수를 전해주기 위해 사마리아의 중심부로 들어가시기로 작정하셨습니다(4-42절). 제자들을 향한 주님의 마지막 말씀은 주님의 본을 따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사마리아를 지나 “땅 끝”까지 이르도록 흩어져 모든 사람에게 주님의 복음을 전해야 했습니다 (사도행전 1:8). 사마리아는 지리적으로 예루살렘 옆에 있는 곳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사마리아는 그들의 선교 사명 중 가장 고통스러운 부분 이었습니다. 제자들은 자신들이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을 사랑하기 위해 평생 가졌던 편견을 극복해야만 했습니다.
우리에게 불평거리보다 예수님이 더 중요하십니까?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한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당신의 “사마리아인”을 사랑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1-8너희가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내 증인이 되리라 [사도행전 1:8]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사랑의 물결이 저를 덮고, 다시 저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큰 파도로 밀려가게 하소서.
그다지 사랑스럽지 않은 사람들을 어떻게 사랑하기 시작할 수 있을까요? 까다로운 사람을 사랑하고 나서 부드러워진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Daily Article
08/23/2021 Monday
LOVING YOUR ENEMY
The Jews and Samaritans also shared a mutually irritating relationship. Being a people of mixed origin and worshiping their own gods, the Samaritans—in the eyes of the Jews—had spoiled the Jewish bloodline and faith, erecting a rival religion on Mount Gerazim (JOHN 4:20). In fact, the Jews so despised Samaritans they would walk the long way around rather than take the direct route through their country.
Jesus revealed a better way. He brought salvation for all people, including Samaritans. So He ventured into the heart of Samaria to bring living water to a sinful woman and her town (VV. 4–42). His last words to His disciples were to follow His example. They must share His good news with everyone, beginning in Jerusalem and dispersing through Samaria until they reached “the ends of the earth” (ACTS 1:8). Samaria was more than the next geographical sequence. It was the most painful part of the mission. The disciples had to overcome lifetimes of prejudice to love people they didn’t like.
Does Jesus matter more to us than our grievances? There’s only one way to be sure. Love your “Samaritan.”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TS 1:1–8You will be my witnesses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Samaria. [ ACTS 1:8 ]
Father, may the waves of Your love crash over me, producing a torrent that streams to others through me.
How can you begin to show love to those who aren’t very loving? When have you been loving to a difficult person and then found them softening?
오늘의 말씀
08/22/2021 주일
복수를 꾀하지 말라
농부는 음식 쓰레기봉투들을 트럭에 옮겨 싣다가 봉투 한 장을 발견 했습니다. 그 봉투에는 쓰레기 투기꾼의 주소가 인쇄되어 있었습니다. 그냥 지나쳐버릴 수 없는 너무나 좋은 기회였습니다. 그날 밤 농부는 쓰레기 투기꾼의 집으로 차를 몰고 가 그 사람이 버린 것뿐 아니라 자기의 쓰레기까지 그 사람의 마당에 갖다 버렸습니다.
복수는 달콤하다는 말이 있지만, 그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요? 사무엘상 24장을 보면 다윗과 그의 부하들은 그들을 죽이려는 사울 왕을 피해 동굴 속에 숨어 있었습니다. 사울 왕이 볼일을 보려고 그 동굴 속을 서성일 때 부하들은 복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생각했습니다(3-4절). 그러나 다윗은 똑같이 되갚아주고 싶은 마음을 억제하며, “내 주를 치는 것은 여호와께서 금하시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6절). 다윗이 자신의 목숨을 살려주기로 했다는 것을 알게 된 사울은 그것을 못 믿어 하며 “너는 나보다 의롭도다”라고 외쳤습니다 (17-18절).
우리와 우리의 사랑하는 사람들이 억울한 일을 당할 때, 가해자에게 복수할 기회가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그 농부처럼 복수심에 자신을 내어주어야 할까요, 아니면 다윗처럼 억제해야 할까요? 우리는 복수가 아닌 의로움을 선택할 수 있을까요?
오늘의 성구
사무엘상 24:1-4, 14-18[사울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나를 네 손에 넘기셨으나 네가 나를 죽이지 아니하였도다 [사무엘상 24:18]
우리의 원수들을 사랑하시는 예수님, 주님의 방식으로 정의를 추구하도록 도와주소서.
언제 가장 복수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나요? 당신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정의를 구현하려 할 때 다윗의 대응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Daily Article
08/22/2021 Sunday
NOT SEEKING REVENGE
As he filled the truck with the bags of food scraps, the farmer found an envelope. On it was printed the offender’s address. Here was an opportunity too good to ignore. That night he drove to the offender’s house and filled his garden with not just the dumped trash but his own!
Revenge is sweet, some say, but is it right? In 1 Samuel 24, David and his men were hiding in a cave to escape a murderous King Saul. When Saul wandered into the same cave to relieve himself, David’s men saw a too-good-to-ignore opportunity for David to get revenge (VV. 3–4). But David went against this desire to get even. “The Lord forbid that I should do such a thing to my master,” he said (V. 6). When Saul discovered that David chose to spare his life, he was incredulous. “You are more righteous than I,” he exclaimed (VV. 17–18).
As we or our loved ones face injustice, opportunities to take revenge on offenders may well come. Will we give in to these desires, as the farmer did, or go against them, like David? Will we choose righteousness over reveng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1 SAMUEL 24:1–4, 14–18[Saul said], “The Lord delivered me into your hands, but you did not kill me.” [ 1 SAMUEL 24:18 ]
Jesus, lover of our enemies, may I seek justice Your way.
When have you most felt like getting even with someone? How can David’s response guide you as you seek justice for yourself and others?
Visit ChristianUniversity.org/courses/70x7 to learn more about finding personal peace in forgiveness.
오늘의 말씀
08/21/2021 토요일
폭풍을 뚫고 지나감
시편 107편에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신 방법 몇 가지를 기록합니다. 더프와 선원들은 의심 없이 다음의 하나님의 말씀에 공감하며 위로를 얻었습니다. “(여호와께서) 광풍을 고요하게 하사 물결도 잔잔하게 하시는도다 그들이 평온함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는 중에 여호와께서 그들이 바라는 항구로 인도하시는도다”(29-30절).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그들도 “여호와의 한결같은 사랑과 그가 행하신 놀라운 일에 대하여 감사했습니다” (31절).
우리는 신약성경(마태복음 8:23-27; 마가복음 4:35-41)에서 시편 107:28-30과 비슷한 경우를 봅니다.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이 배에 있을 때 사나운 광풍이 일기 시작했습니다. 제자들이 두려워서 소리치자 인간의 몸을 입으신 하나님이신 예수님께서 바다를 잠잠하게 하셨습니다. 우리도 용기를 낼 수 있습니다! 능력의 하나님이요 구원자이신 우리 예수님께서 폭풍 속에서 우리의 외침을 듣고 응답하시며 우리를 위로해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7:1-3, 23-32(여호와께서) 광풍을 고요하게 하사 물결도 잔잔하게 하시는도다 [시편 107:29]
하나님, 혼자서 폭풍을 감당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으시니 감사합니다. 저는 하나님이 필요합니다!
언제 “폭풍” 중에 하나님께 울부짖어 보았습니까? 그 결과는 어땠습니까?
Daily Article
08/21/2021 Saturday
CARRIED THROUGH THE STORM
Psalm 107 lists some of the ways God delivered the Israelites. Duff and his shipmates no doubt identified with and took comfort in the words: “He stilled the storm to a whisper; the waves of the sea were hushed. They were glad when it grew calm, and he guided them to their desired haven” (VV. 29–30). And, like the Israelites, they too “[gave] thanks to the Lord for his unfailing love and his wonderful deeds for mankind” (V. 31).
We see a parallel to Psalm 107:28–30 in the New Testament (MATTHEW 8:23–27; MARK 4:35–41). Jesus and His disciples were in a boat at sea when a violent storm began. His disciples cried out in fear, and Jesus—God in flesh—calmed the sea. We too can take courage! Our powerful God and Savior hears and responds to our cries and comforts us in the midst of our storms. ALYSON KIEDA
Today's Reading
PSALM 107:1–3, 23–32He stilled the storm to a whisper; the waves of the sea were hushed. [ PSALM 107:29 ]
Thank You, God, for not leaving me to face the storms on my own. I need You!
When have you cried out to God in a “storm”? What was the result?
오늘의 말씀
08/20/2021 금요일
혼란 속의 평화
수사관들은 가스관에서 불과 0.5인치(약 1.3센티미터) 떨어진 곳에서 총알을 발견했습니다. 만약 총알이 가스관에 맞았다면 그녀는 아마 살아 있지 못했을 것입니다. 나중에 그것이 인근 아파트에서 날아온 유탄으로 판명되었지만, 조앤은 집에 있는 것이 두려웠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평안을 위해 기도했습니다. 그리고 유리 조각을 치우고 나자 곧 마음이 평온해졌습니다.
시편 121편은 고난의 시기에 하나님을 바라보라고 말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우리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2절) 오기 때문에 마음의 평화와 평온을 누릴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주를 창조하신 하나님은 결코 주무시지 않으시며(4절) 우리가 자는 동안에도 우리를 도우시고 지켜주십니다 (3절). 하나님은 “지금부터 영원까지”(8절) 우리를 밤낮으로 보살펴 주십니다 (6절).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하나님은 보고 계시며 우리가 하나님께로 향하기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그럴 때 우리의 상황이 항상 바뀌지는 않아도 하나님은 그 모든 상황 속에서 그분의 평안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21[우리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 [시편 121:2]
사랑의 하나님, 주님의 평안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살면서 혼란을 겪을 때마다 늘 제 마음을 평온케 해주소서.
곤경에 처하여 하나님의 평안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이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을 언제 보았습니까?
Daily Article
08/20/2021 Friday
PEACE IN THE CHAOS
Investigators found a bullet only a half-inch from the gas line. If it had struck the line, she probably wouldn’t have made it out alive. Later they discovered it was a stray bullet from nearby apartments, but now Joanne was afraid to be at home. She prayed for peace, and once the glass was cleaned up, her heart calmed.
Psalm 121 is a reminder for us to look to God in times of trouble. Here, we see that we can have peace and calm because our “help comes from the Lord,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V. 2). The God who created the universe helps and watches over us (V. 3)—even while we sleep—but He Himself never sleeps (V. 4). He watches over us day and night (V. 6), “both now and forevermore” (V. 8).
No matter what kind of situations we find ourselves in, God sees. And He’s waiting for us to turn to Him. When we do, our circumstances may not always change, but He’s promised His peace in the midst of it all. JULIE SCHWAB
Today's Reading
PSALM 121[Our] help comes from the Lord,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 PSALM 121:2 ]
Loving God, thank You for Your peace. Please continue to calm my heart in the areas of my life that feel chaotic.
When have you experienced God’s peace in a troubling situation? How have you seen Him help others?
오늘의 말씀
08/19/2021 목요일
추모와 축하
인간의 역사에서 가장 큰 비극은 인간이 창조주를 십자가에 못 박은 사건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어두운 순간 또한 추모와 축하, 두 가지를 다 가져왔습니다.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날 밤 예수님은 이스라엘의 유월절 예식을 취하여 그분 자신의 기념일로 만드셨습니다. 누가의 기록은 그 장면을 이렇게 묘사합니다. “또 떡을 가져 감사 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누가복음 22:19).
오늘날에도 우리는 성찬식을 할 때마다 우리를 구원한 아픈 대가를 추모하고, 주님의 희생으로 얻은 생명의 선물을 기뻐하며 우리를 향한 그분의 크고 변함없는 사랑에 영광을 올려드립니다. 찰스 웨슬리는 그의 위대한 찬송가에서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놀라운 사랑! 어찌하여 나의 하나님이 나를 위해 죽으셔야 했나?”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2:14-23[예수께서] 떡을 가져 감사 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라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누가복음 22:19]
하나님 아버지, 성찬식에 참여할 때마다 왜 저를 용서하시려고 그 비싼 값을 치르셨는지 기억하게 하시고, 하나님의 위대하고 놀라운 사랑을 기뻐하는 시간이 되게 하소서.
성찬식을 그저 형식으로만 치르는 경우가 얼마나 있었는지요? 십자가에 계속 초점을 맞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Daily Article
08/19/2021 Thursday
REMEMBER AND CELEBRATE
The greatest tragedy in human history occurred when human beings crucified their Creator. Yet, that dark moment also produced both remembrance and celebration. The night before He would go to the cross, Jesus took the elements of Israel’s Passover and created His own memorial celebration. Luke’s record describes the scene this way: “And he took bread, gave thanks and broke it, and gave it to them, saying, ‘This is my body given for you;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 (LUKE 22:19).
Still today, whenever we take communion, we honor His great, unflinching love for us—remembering the cost of our rescue and celebrating the gift of life His sacrifice produced. As Charles Wesley said in his great hymn, “Amazing love! How can it be that Thou, my God, shouldst die for m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LUKE 22:14–23[Jesus] took bread, gave thanks and broke it, and gave it to them, saying, “This is my body given for you;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 LUKE 22:19 ]
Father, when I come to the memorial table, help me to remember why my forgiveness was so costly, and help me to celebrate Your great, awesome love.
How often do you find yourself just going through the motions when taking communion? What are some ways to keep your focus on the cro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