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07/2021     화요일

성경읽기: 잠언 1-2; 고린도전서 16
찬송가: 299(통418)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해짐

어느 인기 있는 영화에서 성공을 쫓다가 결혼 생활이 파경에 이르게 되는 스포츠 에이전트 역을 맡은 한 배우가 아내 도로시의 마음을 돌려보려고 아내의 눈을 바라보며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이 나를 온전케 해줘.” 그리스 신화의 한 이야기를 연상시키는 마음이 따뜻해지는 메시지입니다. 그 신화는 우리 각자는 반쪽이기 때문에 다른 반쪽을 반드시 찾아야만 온전한 하나가 된다고 말합니다.

요즘 대중문화는 낭만적인 상대가 우리를 “온전하게 해준다”는 믿음을 갖게 합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나는 아이를 가질 수 없어서거나, 아니면 아이들이 있어도 다른 무언가가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여전히 불완전하다고 느끼는 여러 결혼한 부부를 만나보았습니다. 궁극적으로 어떤 인간도 우리를
온전하게 만들 수 없습니다.

바울 사도는 여기 다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그 안에는 신성의 모든 충만이 육체로 거하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충만하여졌으니” (골로새서 2:9-10) . 예수님은 단지 우리의 죄를 사하시고 자유롭게 하실 뿐 아니라 하나님의 생명을 우리 삶에 주심으로 우리를 온전케 해주십니다 (13-15절) .

결혼도 좋지만 그것이 우리를 온전한 전체가 되게 할 수 없습니다. 오직 예수님만이 그렇게 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를 온전하게 하기 위해 사람이나 경력, 또는 그 어떤 다른 것을 기대하지 말고, 하나님의 초대를 받아들여 그분의 온전함이 우리의 삶을 점점 더 채워 나가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2:6-15
너희도 그 안에서 충만하여졌으니 [골로새서 2:10]

예수님, 주님의 죽음과 부활, 용서, 회복을 통해 저를 온전케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 대신 사람을 통해서 영적인 충만을 추구한 적이 있습니까? 예수님을 통해 온전해진다는 사실이 결혼과 독신에 대한 당신의 견해를 어떻게 바꾸어 줍니까?

Daily Article

09/07/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ROVERBS 1–2; 1 CORINTHIANS 16
Hymn: 299(OLD418)

COMPLETE IN CHRIST

In a popular film, an actor plays a success-driven sports agent whose marriage begins to crumble. Attempting to win back his wife, Dorothy, he looks into her eyes and says, “You complete me.” It’s a heart-warming message that echoes a tale in Greek philosophy. According to that myth, each of us is a “half” that must find our “other half” to become whole.

The belief that a romantic partner “completes” us is now part of popular culture. But is it true? I talk to many married couples who still feel incomplete because they haven’t been able to have children and others who’ve had kids but feel something else is missing. Ultimately, no human can fully complete us.

The apostle Paul gives another solution. “For in Christ lives all the fullness of God in a human body. So you also are complete through your union with Christ” (COLOSSIANS 2:9–10 NLT) . Jesus doesn’t just forgive us and liberate us, He also completes us by bringing the life of God into our lives (VV. 13–15) .

Marriage is good, but it can’t make us whole. Only Jesus can do that. Instead of expecting a person, career, or anything else to complete us, let’s accept God’s invitation to let His fullness fill our lives more and more.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COLOSSIANS 2:6–15
So you also are complete through your union with Christ. [ COLOSSIANS 2:10 nlt ]

Jesus, thank You for making me complete through Your death, resurrection, forgiveness, and restoration.

How have you sought spiritual fulfillment through people instead of God? How does Jesus’ completing you change your view of marriage and singleness?

오늘의 말씀

09/06/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148-150; 고린도전서 15:29-58
찬송가: 436(통493)

하나님 안에 안전히 거함

아이들이 십대가 될 때마다 나는 아이들에게 편지를 써주었습니다. 내가 십대였을 때 스스로 자신감과 확신이 없었던 것을 떠올리며, 편지에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우리의 정체성에 관해 이야기해주었습니다. 나도 하나님이 사랑하는 그분의 자녀임을 다시 배워야 했었습니다. 편지에서 나는 “네가 누구에게 속했는지를 알면 네가 누구인지를 알게 된다.”고 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이 우리를 만드셨다는 것을 알고 그분의 뜻을 따르기로 헌신한다면, 우리는 하나님이 의도하여 만드신 우리의 모습을 평안한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하나님이 매일 그분을 더 닮아가도록 우리를 변화시키신다는 것도 압니다.

하나님의 자녀라는 우리의 정체성에 대해 근본적으로 알려주는 말씀이 신명기 33장 12절입니다. “여호와의 사랑을 입은 자는 그 곁에 안전히 살리로다 여호와께서 그를 날이 마치도록 보호하시고 그로 자기 어깨 사이에 있게 하시리로다.” 모세는 죽기 직전 하나님의 백성들이 약속하신 땅으로 들어가려고
할 때 베냐민 지파에게 그렇게 축복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들이라는 사실을 언제나 기억하고, 그들이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을 갖고 안전히 거하기를 바라셨습니다.

하나님의 자녀라는 우리의 정체성을 아는 것은 십대나 중년이나 노년이나, 누구에게나 똑같이 중요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셨고 우리를 지켜주신다는 사실을 알면 우리는 안전과 소망과 사랑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신명기 33:1-5, 12
여호와의 사랑을 입은 자는 그 곁에 안전히 살리로다 여호와께서 그를 날이 마치도록 보호하시고 [신명기 33:12]

저를 지으시고 가까이 꼭 붙들어 주시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이 저의 생각과 행동에 스며들게 해주소서.

“하나님의 품 안에서 안식”할 수 있다는 것을 알면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어떻게 더 자라날까요? 이것이 어떻게 당신을 보다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줍니까?

Daily Article

09/06/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8–150; 1 CORINTHIANS 15:29–58
Hymn: 436(OLD493)

RESTING SECURE IN GOD

I wrote a letter to our children as each became a teenager. In one I talked about our identity in Christ, remembering that when I was a teenager, I felt unsure of myself, lacking confidence. I had to learn that I was God’s beloved—His child. I said in the letter, “Knowing who you are comes down to knowing Whose you are.” For when we understand that God has created us and we commit to following Him, we can be at peace with who He’s made us to be. And we also know that He changes us to be more like Him each day.

A foundational passage from Scripture about our identity as God’s children is Deuteronomy 33:12: “Let the beloved of the Lord rest secure in him, for he shields him all day long, and the one the Lord loves rests between his shoulders.” Just before Moses died, he proclaimed this blessing over the tribe of Benjamin as God’s people prepared to enter the land He’d promised them. God wanted them to always remember that they were His beloved and to rest secure in their identity as His children.

Knowing our identity as God’s children is equally important for everyone—teenagers, those in the middle of life, and those who have lived a long time. When we understand that God created us and watches over us, we can find security, hope, and lov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DEUTERONOMY 33:1–5, 12
Let the beloved of the Lord rest secure in him, for he shields him all day long. [ DEUTERONOMY 33:12 ]

Loving Father, You created me and You hold me close. Let my identity as Your child permeate my thoughts and actions.

How does knowing that you can “rest between his shoulders” increase your love for God? How does this deepen your understanding of who you are?

오늘의 말씀

09/05/2021     주일

성경읽기: 시편 146-147; 고린도전서 15:1-28
찬송가: 295(통417)

성령의 도움

대학교 때 친구들과 강의를 가끔 빼먹기는 했지만 기말고사 일주일 전에 있는 크리스 교수님 강의에는 항상 출석했습니다. 그 교수님은 그 강의 시간에 기말고사 문제에 관한 큰 힌트를 꼭 알려주셨기 때문입니다. 왜 그러셨는지 늘 궁금했었는데, 크리스 교수님은 진심으로 우리가 시험을 잘 보기를 원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우리가 그의 높은 기준에 이를 수 있도록 도와주셨던 것입니다. 우리는 강의에 출석해 그 강의를 잘 들어 기말고사를 제대로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나는 하나님도 그와 같으신 분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나님에게는 양보할 수 없는 그분의 기준이 있지만, 우리가 하나님을 닮기를 간절히 바라시기 때문에 우리가 그 기준에 이르도록 도와주시기 위해 성령님을 보내주셨습니다.

예레미야 3:11-14에서 하나님은 배역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라고 권고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그들이 얼마나 고집스럽고 연약한지 아시는 하나님은 그들을 도와주려고 하셨습니다. 그들의 배역함을 고쳐주시겠다고 약속하시고 (22절) 그들을 가르치고 이끌어줄
목자들을 보내주셨습니다 (15절) .

우리가 얼마나 큰 죄에 빠져 있고 하나님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떠나 있든지, 하나님은 우리의 믿음 없음을 치유해 주실 준비가 되어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지 모릅니다! 우리는 단지 우리의 잘못을 인정하고 성령님이 우리 마음을 변화시키는 일을 시작하시도록 하기만 하면 됩니다.

오늘의 성구

예레미야 3:11-15, 22
배역한 자식들아 돌아오라 내가 너희의 배역함을 고치리라 [예레미야 3:22]

사랑의 하나님, 하나님처럼 거룩해질 수 있도록 자비로운 사랑을 내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를 도우셔서 성령님이 저의 믿음 없음을 치유하시고 제 마음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해주소서.

어떤 부분에서 하나님을 신실하게 순종하며 따르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까? 치유와 도움을 위해 하나님께 어떻게 간구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05/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6–147; 1 CORINTHIANS 15:1–28
Hymn: 295(OLD417)

HELP FROM THE HOLY SPIRIT

While my classmates and I used to skip the occasional lecture in university, everyone always made sure to attend Professor Chris’ lecture the week before the year-end exams. That was when he would unfailingly drop big hints about the exam questions he’d set.

I always wondered why he did that, until I realized that Prof Chris genuinely wanted us to do well. He had high standards, but he would help us meet them. All we had to do was show up and listen so we could prepare properly.

It struck me that God is like that too. God can’t compromise His standards, but because He deeply desires us to be like He is, He’s given us the Holy Spirit to help us meet those standards.

In Jeremiah 3:11–14, God urged unfaithful Israel to acknowledge their guilt and return to Him. But knowing how stubborn and weak they were, He would help them. He promised to cure their backsliding ways (V. 22) , and He sent shepherds to teach and guide them (V. 15) .

How comforting it is to know that no matter how big the sin we’re trapped in or how far we’ve turned from God, He’s ready to heal us of our faithlessness! All we need to do is to acknowledge our wrong ways and allow His Holy Spirit to begin changing our hearts.
LESLIE KOH

Today's Reading

JEREMIAH 3:11–15, 22
Return, faithless people. I will cure you of backsliding. [ JEREMIAH 3:22 ]

Loving God, thank You for Your merciful love that enables me to be holy like You are. Please help me to let Your Spirit heal me of my faithlessness and transform my heart.

Where do you struggle to follow God faithfully and obediently? How can you ask God to heal you and help you?

오늘의 말씀

09/04/2021     토요일

성경읽기: 시편 143-145; 고린도전서 14:21-40
찬송가: 420(통212)

기도의 사람

우리 가족은 돌아가신 디어킹 할아버지를 신실한 믿음과 기도의 사람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고모는 할아버지가 “이제부터 식사 전 하나님께 감사 기도를 드리자.” 라고 가족에게 처음 말씀하셨던 때를 기억합니다. 할아버지의 첫 기도는 결코 유창하지 않았지만, 할아버지는 어떤 때는 하루 종일 기도하기도 하시면서 50년간 기도를 생활화했습니다.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을 때, 내 남편은 “할아버지는 기도의 사람이셨어요.”라고 하며 “기도하는 손”이라는 이름의 나무를 할머니께 드렸습니다. 하나님을 따르며 매일 하나님과 대화하기로 한 할아버지의 결심이 그를 그리스도의 충실한 종으로 변화시켜 주었습니다.

성경에는 기도에 대한 많은 말씀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마태복음 6:9-13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기도의 본을 보여주시면서,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진심으로 찬양하며 그분께 나아가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간구할 때 “일용할 양식” (11절) 을 제공해주시는 하나님을 믿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죄를 고백할 때 죄의 용서를 위해, 그리고 시험에 들지 않게 도와달라고 간구해야 합니다 (12-13절) .

하지만 우리의 기도는 “주기도문”에만 머물러 있을 수는 없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모든 기도와 간구” (에베소서 6:18) 를 하기를 바라십니다. 기도는 영적 성장에 필수적이며, 매일 하나님과 끊임없이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줍니다 (데살로니가전서 5:17-18) .

하나님과 대화하고 싶은 간절한 마음으로 겸허히 하나님께 나아갈 때, 우리가 하나님을 더 잘 알고 사랑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도와주시기를 간구합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6:9-13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데살로니가전서 5:17-18]

하나님 아버지, 기도의 복을 내려주시고 하나님을 찾을 때마다 받아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은 유창하지 않더라도 겸허한 자녀들의 기도를 어떻게 보실까요? 어떻게 기도를 매일의 삶의 일부로 만들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04/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3 ‌ –145; 1 CORINTHIANS 14:21–40
Hymn: 420(OLD212)

MAN OF PRAYER

My family remembers my Grandpa Dierking as a man of strong faith and prayer. But it wasn’t always so. My aunt recalls the first time her father announced to the family, “We’re going to start giving thanks to God before we eat.” His first prayer was far from eloquent, but Grandpa continued the practice of prayer for the next fifty years, praying often throughout each day. When he died, my husband gave my grandmother a “praying hands” plant, saying, “Grandpa was a man of prayer.” His decision to follow God and talk to Him each day changed him into a faithful servant of Christ.

The Bible has a lot to say about prayer. In Matthew 6:9–13, Jesus gave a pattern for prayer to His followers, teaching them to approach God with sincere praise for who He is. As we bring our requests to God, we trust Him to provide “our daily bread” (V. 11) . As we confess our sins, we ask Him for forgiveness and for help to avoid temptation (VV. 12–13) .

But we aren’t limited to praying the “Lord’s Prayer.” God wants us to pray “all kinds of prayers” on “all occasions” (EPHESIANS 6:18) . Praying is vital for our spiritual growth, and it gives us the opportunity to be in continual conversation with Him every day (1 THESSALONIANS 5:17–18) .

As we approach God with humble hearts that yearn to talk with Him, may He help us know and love Him better.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MATTHEW 6:9–13
Pray continually,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God’s will for you in Christ Jesus. [ 1 THESSALONIANS 5:17–18 ]

Father, thank You for the blessing of prayer and Your acceptance whenever I call on You.

How does God view the humble prayers of His children that may be less than eloquent? How can you make prayer a part of your daily life?

오늘의 말씀

09/03/2021     금요일

성경읽기: 시편 140-142; 고린도전서 14:1-20
찬송가: 280(통338)

빈손

로버트는 친구와 아침을 함께 하기로 한 날에 지갑을 가지고 가지 않아 당황했습니다. 그는 음식을 조금이라도 먹어야 할지 아니면 음료수만 시켜야 할지 고민에 빠졌는데, 친구가 돈을 내겠다는 말을 들은 후 마음이 편안해졌습니다. 그는 친구와 함께 아침 식사를 즐겼고, 친구가 기쁜 마음으로 계산서를 지불했습니다.

어쩌면 당신도 이런 난처한 상황에 처하거나, 다른 사람에게서 도움을 받게 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내 몫을 내가 지불하고 싶은 마음이야 당연하겠지만, 때로는 다른 사람의 호의를 겸허히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누가복음 15:17-24에서 아들이 아버지를 보고 했던 말을 통해 아들은 어떻게 해서라도 그의 죗값을 치러야 한다고 생각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19절) . ‘품꾼’이라고요?’ 그의 아버지에게는 말도 안되는
일이었습니다! 아버지의 눈에 그는 집으로 다시 돌아온 너무도 사랑하는 아들이었습니다. 그랬기에 아버지는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었습니다 (20절) . 얼마나 위대한 복음의 한 장면입니까! 이것은 예수님의 죽으심으로 빈손인 우리를 두 팔 벌려 맞아 주시는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를 상기시켜 줍니다. 한 찬송가 작가는 이것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빈손 들고 앞에 가 십자가를 붙드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15:17-24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누가복음 15:20]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을 통해서 주신 죄 사함을 받고 기뻐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예수님께서 우리 죗값을 대신 치르셔서 모든 죄를 용서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어떻게 느껴지십니까? 아직 이 죄 사함을 받지 못했다면, 무엇이 예수님을 통해 주시는 이 선물을 받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9/03/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40–142; 1 CORINTHIANS 14:1–20
Hymn: 280(OLD338)

EMPTY HANDS

Robert was embarrassed when he showed up for a breakfast meeting and realized he’d forgotten his wallet. It bothered him to the point that he pondered whether he should eat at all or simply get something to drink. After some convincing from his friend, he relaxed his resistance. He and his friend enjoyed their entrees, and his friend gladly paid the bill.

Perhaps you can identify with this dilemma or some other situation that puts you on the receiving end. Wanting to pay our own way is normal, but there are occasions when we must humbly receive what’s graciously being given.

Some kind of payback may have been what the younger son had in mind in Luke 15:17–24 as he contemplated what he would say to his father. “I am no longer worthy to be called your son; make me like one of your hired servants” (V. 19) . Hired servant? His father would have no such thing! In his father’s eyes, he was a much-loved son who’d come home. As such he was met with a father’s embrace and an affectionate kiss (V. 20) . What a grand gospel picture! It reminds us that by Jesus’ death He revealed a loving Father who welcomes
emptyhanded children with open arms. One hymn writer expressed it like this: “Nothing in my hand I bring, simply to thy cross I cling.”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LUKE 15:17–24
His father saw him and was filled with compassion for him. [ LUKE 15:20 ]

God of heaven, help me to receive and enjoy the forgiveness You’ve provided through Your Son, Jesus.

How does it make you feel that because Jesus has paid your sin debt, you can receive forgiveness for all your sins? If you’ve never received this forgiveness, what’s keeping you from accepting this gift through Jesus?

오늘의 말씀

09/02/2021     목요일

성경읽기: 시편 137-139; 고린도전서 13
찬송가: 200(통235)

성경이라는 큰 이야기

콜린에게 배달된 박스 안에는 프로젝트를 위해 주문한 스테인드글라스 조각들 대신 온전한 전체 창문이 들어있었습니다. 그 창문이 원래 어디 것이었는지 조사해 보니, 제2차 세계 대전 때 폭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교회에서 뜯어낸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콜린은 그 작품의 높은 수준과 그 “조각들”이 만들어내고 있는 매우 아름다운 그림에 경탄했습니다.

솔직히 말해, 족보가 나열된 성경의 장들을 읽을 때 그것들이 성경이라는 더 큰 그림에 어떻게 들어맞는지 바로 알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셈, 셀라, 에벨, 나홀과 데라 같은 익숙하지 않은 이름들과 그들 가족들의 계보가 반복되는 창세기 11장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10-32절) . 이런 구절들을 만나면 대충 훑어보고, 성경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나의 “창”에 더 쉽게 들어맞는 친숙한 내용이 있는 부분으로 건너뛰고 싶은 충동을 자주 느낍니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유익하기” (디모데후서 3:16) 때문에, 성령님은 한 조각이 어떻게 전체에 들어맞는지 우리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눈을 열어 다윗의 조상, 더 중요하게는 예수님의 조상인 아브람 (마태복음 1:2, 6, 16) 이 셀라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창세기 11:12–26) 를 보여주십니다. 하나님은 이런 빈틈없는 온전한 창문이라는 보물로, 성경 곳곳에서 어떤 작은 조각들로도 그분의 사역 이야기를 밝히 보여주시면서 우리를 놀라게 하기를 즐겨 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26-32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디모데후서 3:16]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와 아버지의 역사하심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성경의 각 부분이 하나님의 더 큰 이야기의 조각들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Daily Article

09/02/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7–139; 1 CORINTHIANS 13
Hymn: 200(OLD235)

THE BIG STORY OF THE BIBLE

When Colin opened the box of stained-glass pieces he’d purchased, instead of finding the fragments he’d ordered for a project, he discovered intact, whole windows. He sleuthed out the windows’ origin and learned they’d been removed from a church to protect them from World War II
bombings. Colin marveled at the quality of work and how the “fragments” formed a beautiful picture.

If I’m honest, there are times when I open particular passages of the Bible—such as chapters containing lists of genealogies—and I don’t immediately see how they fit within the bigger picture of Scripture. Such is the case with Genesis 11—a chapter that contains a repetitive cadence of unfamiliar names and their families, such as Shem, Shelah, Eber, Nahor, and Terah (VV. 10–32) . I’m often tempted to gloss over these sections and skip to a part that contains something that feels familiar and fits more easily into my “window” of understanding of the Bible’s narrative.

Since “all Scripture is God-breathed and is useful” (2 TIMOTHY 3:16) , the Holy Spirit can help us better understand how a fragment fits into the whole, opening our eyes to see, for example, how Shelah is related to Abram (GENESIS 11:12–26) , the ancestor of David and—more importantly—Jesus (MATTHEW 1:2, 6, 16) . He delights in surprising us with the treasure of a perfectly intact window where even the smaller parts reveal the story of God’s mission throughout the Bible.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GENESIS 11:26–32
All Scripture is God-breathed and is useful for teaching, rebuking, correcting and training in righteousness. [ 2 TIMOTHY 3:16 ]

Father, please help me to see You and Your work more clearly.

Why is it important to recognize each portion of Scripture as a fragment of God’s bigger story?

오늘의 말씀

09/01/2021     수요일

성경읽기: 시편 135-136; 고린도전서 12
찬송가: 196(통174)

고쳐야 할 시간

집내부를 새롭게 단장하려고 할 때였습니다. 방에 페인트 칠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던 바로 그때 주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때문에 집 수리에 필요한 여러 자재들의 판매가 곧 중지될 예정이라고 발표 했습니다. 그 발표를 듣자마자 가게로 달려가 필요한 물품들을 구입했습니다. 적절한 물품이 없으면 리모델링을 할 수 없습니다.

바울이 에베소서 4장을 쓸 때 어느 정도는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염두에 두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말했던 변화는 겉모습의 변화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구주로 믿어 새로운 피조물이 된다고 하지만, 여전히 성령님이 하셔야 할 일이 남아 있습니다. 성령님이 “의와 진리의 거룩함” (에베소서 4:24) 을 이루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사역이 필요합니다.

성령님의 임재는 우리 내면에 필요한 변화를 일으켜 우리의 말과 행동으로 예수님을 드러내도록 도움을 줍니다. 성령님은 우리가 거짓을 버리고 “참된 것을” 말하도록 도우시고 (25절) , 분을 내도 죄를 짓지 않도록 인도하시며 (26 절) , 우리가 “덕을 세우는 데 소용되는” 말을 하도록 지도해 주십니다 (29절) . 성령님에 의한 이런 행동들은 우리 내면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친절과 연민, 용서 (32절) 와 같은 모습 속에서 그것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성령님은 우리가 예수님을 닮고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드러낼 수 있도록 우리 안에서 역사하십니다 (24절; 5:1) .

오늘의 성구

에베소서 4:20-32
오직 너희의 심령이 새롭게 되어 [에베소서 4:23]

사랑의 하나님, 저를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로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저를 변화시킨 것을 보여주며 행동할 수 있도록 저를 인도해 주소서.

성령님의 인도하심과 능력을 힘입어 진정으로 마음 깊이 개선하고 싶은 부분은 무엇입니까? 그러기 위해 어떻게 시작하려고 하십니까?

Daily Article

09/01/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5–136; 1 CORINTHIANS 12
Hymn: 196(OLD174)

FIX UP TIME

I t was time to give the inside of our home a fresh, new look. But just as I’d begun prepping a room for painting, our state government announced it would be halting the sale of many home improvement item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soon as I heard the announcement, I rushed to the store and purchased the essential materials. You simply can’t remodel without the proper supplies.

Paul had a bit of a remodeling project in mind when he wrote Ephesians 4. But the changes he was talking about went far beyond superficial alterations. Even though trusting Jesus as Savior makes us a new creation, there’s still some ongoing work the Spirit needs to do. And it takes time and work for Him to accomplish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EPHESIANS 4:24) .

The presence of the Spirit makes needed changes on the inside that can help us reflect Jesus in our words and actions. He helps us replace lying with speaking “truthfully” (V. 25) . He guides us to avoid sin in regard to anger (V. 26) . And He directs us to speak words that are “helpful for building others up” (V. 29) . These Spiritcontrolled actions are part of the internal change that’s manifested in things like kindness, compassion, and forgiveness (V. 32) . The Spirit works in us to enable us to imitate Jesus Himself and reflect the heart of our heavenly Father (V. 24; 5:1) .
DAVE BRANON

Today's Reading

EPHESIANS 4:20–32
Be made new in the attitude of your minds. [ EPHESIANS 4:23 ]

Loving God, thank You for making me a new creation in Christ. Help my actions, through Your guidance, to reflect the change You’ve made in me.

What areas of real, heart-based improvement do you need the Holy Spirit to make in you through His leading and strength? How will you get started?

오늘의 말씀

08/31/2021     화요일

성경읽기: 시편 132-134; 고린도전서 11:17-34
찬송가: 518(통252)

예수님을 전하자

드와이트 무디(1837-1899)가 그리스도를 믿은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이 복음전도자는 매일 하루에 적어도 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그러나 바쁜 날에는 가끔 그 결심을 밤늦게까지 잊어버리곤 했습니다. 어느 날 밤에는 침대에 누워서야 그 결심이 생각났습니다. 그는 밖으로 나가면서 ‘이렇게 비가 쏟아지는 날엔 아무도 없겠지.’라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그때 한 남자가 길을 걷고 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무디는 서둘러 그 사람에게 다가가서 자기 우산을 같이 써서 비를 피하지 않겠냐고 물었습니다. 그가 그러겠다고 하자 무디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당신은 풍랑이 불어올 때 피할 피난처가 있습니까? 제가 예수님에 대해서 말씀드려도 될까요?”

무디는 주님이 우리를 죄의 결과로부터 어떻게 구해주셨는지 전할 준비가 몸에 배어 있었습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신, 하나님의 이름을 선포하고 “그 행하심을 만국 중에 선포하라”(이사야 12:4)는 지시에 순종하였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그 이름이 높다 하라”는 말씀을 선포할 뿐만 아니라(4절), 하나님이 어떻게 “[그들의] 구원이 되셨는지”도 전하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2절). 여러 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도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셔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고 다시 살아나신 놀라운 일들을 전하라는 부름을 받고 있습니다.

무디가 그랬던 것처럼, 누군가가 자신의 편안한 삶을 희생하고 우리에게 예수님을 전해주었기에 우리도 하나님의 사랑을 듣게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우리도 우리 각자의 방식으로, 다른 사람에게 우리를 구원해주신 분에 대해 알려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12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 이름을 부르며 그 행하심을 만국 중에 선포하며 [이사야 12:4]

예수님, 저를 죄로부터 자유롭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주님의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저를 준비시켜 주소서.

당신의 삶에서 하나님이 역사하신, 다른 사람과 나눌 만한 어떤 일이 있습니까?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당신을 어떻게 준비시켜 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08/31/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32–134; 1 CORINTHIANS 11:17–34
Hymn: 518(old 252)

SHARING JESUS

Shortly after Dwight Moody (1837–99) came to faith in Christ, the evangelist resolved not to let a day pass without sharing God’s good news with at least one person. On busy days, he’d sometimes forget his resolution until late. One night, he was in bed before he remembered. As he stepped outside, he thought, No one will be out in this pouring rain. Just then he saw a man walking down the street. Moody rushed over and asked to stand under his umbrella to avoid the rain. When granted permission, he asked, “Have you any shelter in the time of storm? Could I tell you about Jesus?”

Moody embodied a readiness to share how God saves us from the consequences of our sins. He obeyed God’s instructions to the Israelites to proclaim His name and “make known among the nations what he has done” (ISAIAH 12:4). Not only were God’s people called to “proclaim that his name is exalted” (V. 4), but they were also to share how He had “become [their] salvation” (V. 2). Centuries later, our call remains to tell the wonders of Jesus becoming a man, dying on the cross, and rising again.

Perhaps we heard about God’s love when, as Moody did, someone left their comfort zone to talk with us about Jesus. And we too, each in our own way, can let someone know about the One who saves.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12
Give praise to the Lord, proclaim his name; make known among the nations what he has done. [ ISAIAH 12:4 ]

Jesus, thank You for setting me free from my sins. Help me to be ready to tell others of Your good news.

What has God done in your life that you can share with another? How has He equipped you to present the good news?

Read Evangelism: Reaching out through Relationships at DiscoverySeries.org/Q0913.

오늘의 말씀

08/30/2021     월요일

성경읽기: 시편 129-131; 고린도전서 11:1-16
찬송가: 298(통35)

자비와 은혜

외로이 길게 뻗은 국도 한가운데, 그것도 추월차선에서 불과 몇 피트 떨어지지 않은 곳에 해바라기 하나가 위풍당당하게 서 있었습니다. 나는 그 곁을 지나가며 몇 마일에 걸쳐 해바라기라고는 전혀 보이지 않았는데 어떻게 거기서 그 꽃이 자랐는지 궁금했습니다. 중앙분리대의 회색 자갈 틈새에서 도로에 아주 가까이서 잘 자랄 수 있는 강한 식물은 오직 하나님만이 만드실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는 그곳에서 잘 자라 산들바람에 부드럽게 흔들리면서, 바쁘게 지나가는 여행자들을 기분 좋게 맞아주었습니다.

구약성경에는 유다 왕국에 불현듯 나타난 한 신실한 왕의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다른 신들을 섬기기에 열중했지만, 요시야는 왕위에 오른 지 8년 후 그가 “아직도 어렸을 때 그의 조상 다윗의 하나님을 비로소 찾았습니다”(역대하 34:3). 그는 “하나님 여호와의 전을 수리하려”(8절) 일꾼들을 보냈는데, 그들이 수리하던 중에 율법서(구약의 첫 다섯 권, 14절)를 발견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요시야에게 감동을 주셔서 온 유다 왕국을 이끌어 그 선조들의 믿음으로 돌아가게 하셨고, 그들은 “요시야가 사는 날에”(33절) 하나님을 섬겼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자비를 베푸시는데 탁월하십니다. 정말 피하고 싶은 인생의 험한 자갈길에서도 진정 멋진 깜짝 선물을 만들어 내시기도 합니다. 하나님을 잘 살펴보십시오. 하나님은 오늘 그 일을 또 하실지도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역대하 34:1-8
[요시야가] 그의 조상 다윗의 하나님을 비로소 찾고 [역대하 34:3]

언제나 변함없으신 하나님 아버지를 찬양합니다. 하나님의 자비는 “아침마다 새롭습니다”(예레미야애가 3:23). 오늘 저를 위해 예비하신 것들을 기다리게 하소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하나님의 어떤 자비들을 본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뜻밖의 좋은 일을 만드실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오늘 어떤 희망이 생깁니까?

Daily Article

08/30/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9–131; 1 CORINTHIANS 11:1–16
Hymn: 298(old 35)

MERCY AND GRACE

A stately sunflower stood on its own in the center of a lonely stretch of national highway, just a few feet from the fast lane. As I drove past, I wondered how it had grown there with no other sunflowers visible for miles. Only God could create a plant so hardy it could thrive so close to the roadway in the gray gravel lining the median. There it was, thriving, swaying gently in the breeze and cheerfully greeting travelers as they hurried by.

The Old Testament tells the story of a faithful king of Judah who also showed up unexpectedly. His father and grandfather had enthusiastically served other gods; but after Josiah had been in power for eight years, “while he was still young, he began to seek the God of his father David” (2 CHRONICLES 34:3). He sent workmen to “repair the temple of the Lord” (V. 8), and as they did they discovered the Book of the Law (the first five books of the Old Testament; V. 14). God then inspired Josiah to lead the entire nation of Judah to return to the faith of their ancestors, and they served the Lord “as long as [Josiah] lived” (V. 33).

Our God is the master of unanticipated mercies. He’s able to cause great good to spring up unexpectedly out of the hard gravel of life’s most unfavorable circumstances. Watch Him closely. He may do it again today. JAMES BANKS

Today's Reading

2 CHRONICLES 34:1–8
[Josiah] began to seek the God of his father David. [ 2 CHRONICLES 34:3 ]

Heavenly Father, I praise You for never changing. Your mercies are “new every morning!” (LAMENTATIONS 3:23). Help me to look forward to what You have for me today.

What mercies have you seen from God that you never anticipated? How does the thought that He’s able to bring about unexpected good give you hope today?

오늘의 말씀

08/29/2021     주일

성경읽기: 시편 126-128; 고린도전서 10:19-33
찬송가: 499(통277)

복음의 능력

고대 로마에는 그 나름대로 좋은 소식을 의미하는 “복음”이 있었습니다. 시인 베르길리우스에 따르면, 신들의 왕인 제우스는 로마인들을 위해 끝이나 경계가 없는 왕국을 선포하고, 신들은 아우구스투스를 평화와 번영의 황금기를 여는 신의 아들이자 세상의 구원자로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좋은 소식은 아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황제의 군대와 집행관들의 압제에 의해 강요된 달갑지 않은 현실이었습니다. 로마 제국의 영광은 인간으로서의 법적 권리나 재산도 없이 자신들을 지배하는 주인의 뜻에 따라 일해야 했던 노예들의 강제노동을 통해 세워졌습니다.

바로 이런 세상에서 바울은 자신을 그리스도의 종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로마서 1:1). 그리고 바울이 한때 예수라는 이름을 얼마나 증오했는지, 예수님이 자신을 유대인의 왕이요 세상의 구세주라고 시인한 대가로 얼마나 고난을 당하셨는지를 말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로마 사람들에게 보낸 그의 편지 나머지 부분에서 바울이 설명하려 했던 좋은 소식이었습니다.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16절)이었습니다. 그것은 로마 황제의 통치 아래 고통받던 자들에게 얼마나 필요한 것이었는지요! 이 복음은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구세주, 자신의 원수를 향해 무한한 사랑을 보이심으로 그들을 이기신 해방자에 대한 소식이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로마서 1:1-7, 14-17
그러므로 나는 할 수 있는 대로 로마에 있는 너희에게도 복음 전하기를 원하노라 [로마서 1:15]

복음의 필요성을 절실히 깨닫는 자가 복음을 가장 잘 이해한다.

바울이 쓴 로마서의 서두에서 어떤 구절이 복음을 설명하고 있습니까?(1:1–7). 한때 예수님을 그렇게 미워했던 바울이 이제는 모든 사람이 그분을 믿기를 바라는 이유가 무엇입니까?(사도행전 26장 참조).

Daily Article

08/29/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PSALMS 126–128; 1 CORINTHIANS 10:19–33
Hymn: 499(old 277)

THE POWER OF THE GOSPEL

Ancient Rome had its own version of “the gospel”—the good news. According to the poet Virgil, Zeus, king of the gods, had decreed for the Romans a kingdom without end or boundaries. The gods had chosen Augustus as divine son and savior of the world by ushering in a golden age of peace and prosperity.

This, however, wasn’t everyone’s idea of good news. For many it was an unwelcome reality enforced by the heavy hand of the emperor’s army and executioners. The glory of the empire was built on the backs of enslaved people who served without legal personhood or property at the pleasure of masters who ruled over them.

This was the world in which Paul introduced himself as a servant of Christ (ROMANS 1:1). Jesus—how Paul had once hated that name. And how Jesus Himself had suffered for admitting to being the king of the Jews and Savior of the world.

This was the good news Paul would explain in the rest of his letter to the Romans. This gospel was “the power of God that brings salvation to everyone who believes” (V. 16). Oh, how it was needed by those who suffered under Caesar! Here was the news of a crucified and resurrected Savior—the liberator who conquered His enemies by showing how much He loved them. MART DEHAAN

Today's Reading

ROMANS 1:1–7, 14–17
I am so eager to preach the gospel also to you who are in Rome. [ ROMANS 1:15 ]

Good news is known best by those who know how much they need it.

As you read Paul’s opening words to the Romans, what phrases describe the good news to you? (1:1–7). Why would Paul, who had once hated Jesus so much, now want everyone to believe in Him? (SEE ACTS 26).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