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9/17/2021 금요일
울타리를 옮겨라
그런데 다음날 아침 군인들은 무덤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어떻게 된 일입니까? 무덤이 사라졌네요.” 한 군인이 목사에게 물었습니다. 목사는 “아, 아직 거기 있습니다”라고 하면서 혼란스러워하는 군인에게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제가 안 된다고 말한 것을 후회했습니다. 그래서 어젯밤에 일어나서 울타리를 옮겼습니다.”
우리가 구할 때, 하나님은 인생의 어려움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주실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억압받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선포한 선지자 이사야의 메시지였습니다. 그 옛날 홍해를 건너며 구원받은 것을 그리워하며 뒤돌아보는 대신,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이 새로운 기적을 행하시며 새로운 길을 내시는 것을 바라보면서 그들의 안목을 바꿀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사야는 “옛날 일을 생각하지 말라”고 그들에게 촉구했습니다. “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라” (이사야 43:18-19) . 의심과 어려움을 겪을 때 하나님은 소망의 근원이 되십니다. “내가 광야에 물을, 사막에 강들을 내어 내 백성, 내가 택한 [백성] 에게 마시게 할 것임이라” (20절) .
새로운 시각을 되찾게 되면 우리도 삶 속에서 하나님의 새로운 방향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도 새로워진 눈으로 하나님의 새로운 길을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고 나서 용기를 내어 하나님을 용감하게 따르면서 새로운 땅에 발을 내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3:18-21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 [이사야 43:19]
자비의 하나님, 제 삶을 향한 새로운 시각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로워진 시각으로 하나님과 함께 갈 새 땅을 보게 하소서.
하나님은 당신에게서 어떤 새 일을 이루기 원하실까요? 어떤 새로운 땅으로 인도하셨으며, 당신은 그것으로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09/17/2021 FRIDAY
MOVE YOUR FENCE
The next morning, however, the soldiers couldn’t find the grave. “What happened? The grave is gone,” one soldier told the reverend. “Oh, it’s still there,” he told him. The soldier was confused, but the churchman explained. “I regretted telling you no. So, last night, I got up—and I moved the fence.”
God may give fresh perspective for our life challenges too—if we look for it. That was the prophet Isaiah’s message to the downtrodden people of Israel. Instead of looking back with longing at their Red Sea rescue, they needed to shift their sight, seeing God doing new iracles, blazing new paths. “Do not dwell on the past,” He urged them. “See, I am doing a new thing!” (ISAIAH 43:18–19) . He’s our source of hope during doubts and battles. “I provide water in the wilderness and streams in the wasteland, [providing] drink to my people, my chosen [people]” (V. 20) .
Refreshed with new vision, we too can see God’s fresh direction in our lives. May we look with new eyes to see His new paths. Then, with courage, may we step onto new ground, bravely following Him.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IS A I A H 43:18–21See, I am doing a new thing! [ ISAIAH 43:19 ]
Merciful God, thank You for providing fresh perspective for my life in You. Refresh my sight to see new ground to walk with You.
What new thing would God like to accomplish in your life? What new ground has God led you to and what will you do with it?
오늘의 말씀
09/16/2021 목요일
망가진 삶에서 복음을 전하는 삶으로
하나님에게는 어려운 일이란 아무것도 없습니다. 예수님이 제자들과 함께 갈릴리 바다에서 광풍이 부는 밤을 보낸 후 무덤 근처의 호숫가에 오셨을 때, 어둠의 영에 사로잡힌 사람이 갑자기 예수님께 다가왔습니다. 예수님은 그 사람 안에 있는 귀신들을 꾸짖어 몰아내시고 그를 자유롭게 해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떠나실 때 귀신 들렸던 사람은 함께 가기를 간청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사람이 따로 할 일이 있었기 때문에 허락하지 않으시고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집으로 돌아가 주께서 네게 어떻게 큰일을 행하사 너를 불쌍히 여기신 것을 네 가족에게 알리라” (마가복음 5:19) .
그 사람은 그 후 다시 등장하지 않지만 성경은 우리에게 흥미로운 것을 보여줍니다. 그 지역 사람들은 두려워하며 예수님께 “떠나시기를” (17 절) 간청했지만, 예수님이 나중에 다시 오셨을 때에는 큰 군중이 모였습니다 (8:1) . 그 군중들은 예수님이 귀신 들렸던 사람을 집으로 돌려보내셨기 때문이었을까요? 한때 어둠의 지배를 받았던 그 사람이 사실상 예수님의 구원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전하는 최초의 선교사 중 한 명이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천국의 이런 면에 대해서는 결코 알지 못할지라도, 이것만은 아주 분명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셔서 그분을 섬기게 하시면, 하나님은 엉망 같은 과거조차도 소망과 사랑의 메시지로 바꾸어 주신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5:1-20주께서 네게 어떻게 큰 일을 행하사 너를 불쌍히 여기신 것을 네 가족에게 알리라 [마가복음 5:19]
아름다운 구주시여, 당신의 놀라운 능력을 찬양합니다! 어떤 어둠도 당신을 대적할 수 없습니다! 오늘 당신의 빛 가운데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예수님께서 당신을 무엇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셨습니까? 예수님께서 당신을 위해 하신 일을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6/2021 THURSDAY
FROM MESS TO MESSAGE
Nothing is too hard for God. When Jesus came ashore near a cemetery after a stormy night on the Sea of Galilee with His disciples, a man possessed by darkness immediately approached Him. Jesus spoke to the demons inside him, drove them away, and set him free.
When Jesus left, the man begged to go along. But Jesus didn’t allow it, because He had work for him to do: “Go home to your own people and tell them how much the Lord has done for you” (MARK 5:19) .
We never see the man again, but Scripture shows us something intriguing. The people of that region had fearfully pleaded with Jesus “to leave” (V. 17) , but the next time He returned there, a large crowd gathered (8:1) . Could the crowd have resulted from Jesus sending the man home? Could it be that he, once dominated by darkness, became one of the first missionaries, effectively communicating Jesus’ power to save?
We’ll never know this side of heaven, but this much is clear. When God sets us free to serve Him, He can turn even a messy past into a message of hope and love.
JAMES BANKS
Today's Reading
MARK 5:1–20Tell them how much the Lord has done for you, and how he has had mercy on you. [ MARK 5:19 ]
Beautiful Savior, I praise You for Your amazing power! No darkness can stand against You! Help me to walk in Your light today.
What has Jesus set you free from? How can you share with others what He’s done for you?
오늘의 말씀
09/15/2021 수요일
하나님이 만드신 도구
오카리나는 언뜻 보기에 악기 같지 않습니다. 하지만 입구에 입을 대고 불면서 기형의 몸체에 뚫린 여러 구멍들을 손가락으로 막으며 연주하면, 놀랍도록 평온하고 귀에 남을 희망의 소리가 흘러나옵니다.
오카리나 제작자는 점토에 압력과 열을 가해 변형시켜 멋진 악기를 만들어냅니다. 나는 여기서 하나님과 우리의 모습을 봅니다. 이사야 64장 6 절과 8-9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무릇 우리는 다 부정한 자 같아서... 그러나 여호와여, 이제 주는 우리 아버지시니이다 우리는 진흙이요 주는 토기장이시니...
너무 분노하지 마시오며.” 선지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나님, 하나님이 주권자시고 우리 모두는 죄인입니다. 우리를 하나님을 위한 아름다운 도구로 빚어 주소서.’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하시는 일입니다! 자비하신 하나님은 그분의 아들 예수님을 보내셔서 우리의 죄를 대신해 죽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매일 성령님과 함께 걸을 때 우리를 빚으시고 변화시키십니다. 오카리나를 만드는 자의 숨결이 이 악기를 통해 흘러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내듯이, 하나님도
우리가 예수님을 더욱 닮게 하려는 (로마서 8:29) 그분의 아름다운 뜻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만드신 도구인 우리를 통해 일하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4:5-9우리는 진흙이요 주는 토기장이시니 우리는 다 주의 손으로 지으신 것이니이다 [이사야 64:8]
하나님 아버지, 저를 구원하시고 변화시켜 아버지의 아들 예수님을 더욱 닮아가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저를 변화시키는 성령님의 역사에 순종하도록 가르쳐주소서.
당신이 하나님의 자비를 입었다는 사실이 오늘 생각과 말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요? 하나님이 당신을 변화시키는 일에 어떻게 순종하며 따를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5/2021 WEDNESDAY
GOD’S MOLDED INSTRUMENTS
The ocarina doesn’t look like much of a musical instrument. However, when it’s played—by blowing into its mouthpiece and covering various holes around its misshapen body—it produces a strikingly serene and hauntingly hopeful sound.
The ocarina’s maker took a lump of clay, applied pressure and heat to it, and transformed it into an amazing musical instrument. I see a picture of God and us here. Isaiah 64:6, 8–9 tells us: “All of us have become like one who is unclean. . . . Yet you, Lord, are our Father. We are the clay, you are the potter. . . . Do not be angry beyond measure.” The prophet was saying: God, You’re in charge. We’re all sinful. Shape us into beautiful instruments for You.
That’s exactly what God does! In His mercy, He sent His Son, Jesus, to die for our sin, and now He’s shaping and transforming us as we walk in step with His Spirit every day. Just as the ocarina maker’s breath flows through the instrument to produce beautiful music, God works through us—His molded instruments—to accomplish His beautiful will: to be more and more like Jesus (ROMANS 8:29) .
RUTH WAN-LAU
Today's Reading
ISAIAH 64:5–9We are the clay, you are the potter; we are all the work of your hand. [ ISAIAH 64:8 ]
Father, thank You for saving me and transforming me so that I’ll become more like Your Son Jesus. Teach me to submit to Your Spirit’s work of transforming me.
How can knowing that you’re a recipient of God’s mercy affect what you think, say, and do today? How can you submit yourself to His transformation?
오늘의 말씀
09/14/2021 화요일
진영 밖
고대 이스라엘에서 나병과 같은 질병은 “진영 밖에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것은 버림받은 외로운 삶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율법에 따라 “나병 환자는 혼자 살아야 했습니다” (레위기 13:46) . 진영 밖은 희생 제물인 수송아지를 불태우는 곳이기도 했습니다 (4:12) . 그곳은 사람이 살 만한
장소가 아니었습니다.
이런 황량한 진영 밖 현실은 히브리서 13장의 예수님에 대한 말씀을 더욱 생생하게 해줍니다. “그런즉 우리도 그의 치욕을 짊어지고 영문 밖으로 그에게 나아가자” (13절) . 예수님이 예루살렘 성문 밖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셨다는 사실은 히브리 민족의 제사 제도를 생각해보면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누구나 인기 있고 존경받으며 편안한 삶을 살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에게 수치스러운 곳인 “진영 밖”으로 가라고 하십니다. 그곳은 우리가 한센병에 걸린 상인을 만나는 곳이며, 세상으로부터 거절당한 사람들을 만나는 곳입니다. 그곳은 바로 우리가 예수님을 만나는 곳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3:11-16예수도 자기 피로써 백성을 거룩하게 하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느니라 [히브리서 13:12]
누구도 편애하지 않으시는 예수님, 감사합니다. 저를 위해 진영 밖으로 가시니 감사합니다.
아웃사이더나 세상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할 때 처음에 어떤 반응을 보입니까? 어떤 실제적인 방법으로“진영 밖에”계신 예수님께 나아갈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4/2021 TUESDAY
OUTSIDE THE CAMP
In the time of the ancient Israelites, diseases like leprosy meant living “outside the camp.” It was a forlorn existence. Israelite law said of such people, “They must live alone” (LEVITICUS 13:46) . Outside the camp was also where the carcasses of the sacrificial bulls were burned (4:12) . Outside the camp was not where you wanted to be.
This harsh reality breathes life into the statement about Jesus in Hebrews 13: “Let us, then, go to him outside the camp, bearing the disgrace he bore” (V. 13) . Jesus was crucified outside the gates of Jerusalem, a significant point when we study the Hebrew sacrificial system.
We want to be popular, to be honored, to live comfortable lives. But God calls us to go “outside the camp”—where the disgrace is. That’s where we’ll find the vendor with Hansen’s disease. That’s where we’ll find people the world has rejected. That’s where we’ll find Jesus.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HEBREWS 13:11–16Jesus also suffered outside the city gate to make the people holy through his own blood. [ HEBREWS 13:12 ]
Thank You, Jesus, that You don’t show any favoritism. Thank You for going outside the camp for me.
How do you initially react to outsiders and misfits? In what practical way might you go to Jesus “outside the camp”?
오늘의 말씀
09/13/2021 월요일
살아 있는 기록
필립스의 학생들처럼 우리도 성경을 읽고 경험하는 데 여러 가지 장벽을 만납니다. 그것이 꼭 성경 번역 때문에 그런 것만은 아니라, 시간이 없거나 훈련이 되어 있지 않거나 이해를 돕는 적절한 도구가 부족해서도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편 1편은 우리에게 “복 있는 사람은...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한다” (1-2절) 고 말합니다. 성경을 매일 묵상하면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더라도 사시사철 “형통”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성경을 보는 관점은 어떻습니까? 성경은 오늘날의 삶에 대한 통찰에 있어 여전히 의미가 있고, 예수님을 믿고 따르라는 성경의 부르심에 있어서는 여전히 위험하며, 그것이 전달하는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진솔한 지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흥미진진합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매일 필요한 자양분을 제공해주는 시냇물과 같습니다 (3절) . 오늘 당장 시간을 내고 적절한 도구를 갖추어 살아 있는 기록으로 성경말씀을 경험하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시편 1복 있는 사람은...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시편 1:1-2]
하나님, 오늘 성경을 살아 있는 기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성경을 읽을 때 어떤 장벽들에 부딪칩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3/2021 MONDAY
A LIVING DOCUMENT
Like Phillips’ students, we face barriers to reading and experiencing Scripture, and not necessarily because of our Bible translation. We may lack time, discipline, or the right tools for understanding. But Psalm 1 tells us that “Blessed is the one . . . whose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VV. 1–2) . Meditating on Scripture daily allows us to “prosper” in all seasons, no matter what hardship we’re facing.
How do you view your Bible? It’s still relevant with insight for living today, still dangerous in its call to believe and follow Jesus, still exciting in the intimate knowledge of God and humanity that it imparts. It’s like a stream of water (V. 3) that provides the sustenance we need daily. Today, let’s lean in—make time, get the right tools, and ask God to help us experience Scripture as a living document.
KAREN PIMPO
Today's Reading
PSALM 1Blessed is the one . . . whose delight is in the law of the Lord, and who meditates on his law day and night. [ PSALM 1:1–2 ]
God, help me experience Scripture as a living document today.
What barriers do you face when reading the Bible? How can you make space to listen to God’s voice?
오늘의 말씀
09/12/2021 주일
위대한 사랑의 행위
성경은 모든 사람을 죄에 이르게 한 한 번의 불순종과 그것을 뒤집은 한 번의 순종에 대해 알려줍니다. 바울 사도는 아담과 예수님, 두 인물을 대조하고 있습니다 (로마서 5:14-15) . 아담의 죄는 “모든 사람에게” 정죄와 죽음을 가져왔으며 (12절) , 한번의 불순종으로 모든 사람이 죄인이 되었고 하나님 앞에 정죄를 받았습니다 (17절) . 그러나 하나님에게는 인류의 죄의 문제를 다룰 방법이 있었습니다. 십자가 위에서의 예수님의 의로운 행위를 통해 하나님은 영생과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는 자격을 주십니다. 아담의 한 번의 불순종의 행위를 이겨낼 만큼 충분히 강력한 그리스도의 사랑과 순종의 행위로 “많은 사람이 생명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18절) .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주님을 믿는 누구에게나 영생을 주십니다. 만약 주님의 용서와 구원을 받지 못했다면 오늘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믿고 있다면 주님의 위대한 사랑의 행위로 하신 일로 주님을 찬양하십시오!
오늘의 성구
로마서 5:12-19그런즉 한 범죄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른 것 같이 한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렀느니라 [로마서 5:18]
하나님, 예수님을 통해 구원과 영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구원의 길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아담과 예수님이 보여준 단 한번의 행위가 죄의 영향력에 대해 무엇을 말해줍니까? 예수님의 희생은 주님을 높이는 삶을 살고자 하는 당신의 바람에 어떻게 불을 붙이거나 새롭게 해줍니까?
Daily Article
09/12/2021 SUNDAY
A GREAT ACT OF LOVE
The Bible tells us of a single act of disobedience that caused widespread condemnation and a single act of obedience that reversed it. The apostle Paul contrasted two individuals—Adam and Jesus (ROMANS 5:14–15) . Adam’s sin brought condemnation and death “to all people” (V. 12) . Through one act of disobedience, all people were made sinners and stood condemned before God (V. 17) . But He had a means of dealing with humanity’s sin problem. Through the righteous act of Jesus on the cross, God provides eternal life and a right standing before Him. Christ’s act of love and obedience was powerful enough to overcome Adam’s one act of disobedience—providing “life for all people” (V. 18) .
Through His death on the cross, Jesus offers eternal life to anyone who puts their faith in Him. If you haven’t received His forgiveness and salvation, may you do so today. If you’re already a believer, praise Him for what He’s done by His great act of love!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ROMANS 5:12–19Consequently, just as one trespass resulted in condemnation for all people, so also one righteous act resulted in justification and life for all people. [ ROMANS 5:18 ]
God, thank You for providing salvation and eternal life through Jesus! Help me to reveal Your saving way to others
What do the single acts of Adam and Jesus tell you about the impact of sin? How does Jesus’ sacrifice ignite or renew your desire to live a life that honors Him?
오늘의 말씀
09/11/2021 토요일
지혜에서 기쁨이
지혜는 기쁨을 준다고 성경은 가르칩니다. “지혜와 깨달음을 가진 자는 행복하다” (잠언 3:13, 현대인의 성경) . 우리는 지혜에서 기쁨이 우러나는 이 길이 참으로 성경이 가르치는 미덕임을 알게 됩니다. “곧 지혜가 네 마음에 들어가며 지식이 네 영혼을 즐겁게 할 것이요” (잠언 2:10) . “하나님은 그가 기뻐하시는 자에게는 지혜와 지식과 희락을 주신다” (전도서 2:26) . 그리고 지혜의 길은 “즐거운 길”이라고 잠언 3장 17절은 덧붙여 말합니다.
작가 C.S. 루이스는 삶의 여러 일들을 돌아보며 “기쁨은 천국의 아주 중요한 사업”이라고 말했습니다. 천국에서 그 길은 지혜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107세까지 살았던 나의 교우도 그것에 동의할 것입니다. 그분은 왕이신 하나님께로 지혜롭고 기쁜 걸음으로 걸어갔습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3:13-18[지혜의] 길은 즐거운 길이요 [잠언 3:17]
사랑의 하나님, 제가 험한 길을 갈 때 하나님의 지혜와 기쁨의 길을 가르쳐 주소서
기쁨을 찾기 위해 어떤 길을 택하셨습니까? 지혜가 어떻게 기쁨으로 인도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1/2021 SATURDAY
FROM WISDOM TO JOY
Wisdom leads to joy, the Bible teaches. “Joyful is the person who finds wisdom, the one who gains understanding” (PROVERBS 3:13 NLT) . We find that this path—from wisdom to joy—is a biblical virtue, indeed. “For wisdom will enter your heart, and knowledge will fill you with joy” (PROVERBS 2:10 NLT) . “God gives wisdom, knowledge, and joy to those who please him” (ECCLESIASTES 2:26 NLT) . Wisdom “will guide you down delightful paths,” adds Proverbs 3:17 ( NLT ).
Reflecting on the matters of life, author C. S. Lewis declared that “joy is the serious business of heaven.” The path there, however, is paved with wisdom. My church friend, who lived to be 107, would agree. She walked a wise, joyful pace to the King.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P ROV E R BS 3:13–18[Wisdom] will guide you down delightful paths. [ PROVERBS 3:17 nlt ]
When I might take a rocky road, loving God, please point me back to Your path of wisdom and joy.
What paths have you taken in trying to find joy? How can wisdom lead you to joy?
오늘의 말씀
09/10/2021 금요일
교향곡처럼
여러 가지 악기들이 함께하는 연주에는, 보다 웅장하고 겹겹이 쌓인 음색의 풍경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조화가 주는 어떤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빌립보 교인들에게 “마음을 같이” 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여 한마음”을 품으라고 말하면서 조화의 아름다움을 강조했습니다 (빌립보서 2:2) . 그들에게 똑같이 되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겸손한 태도와 자기 희생적인 사랑을 품으라는 요구였습니다. 바울이 잘 알고 가르친 복음은 저마다 가진 특성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분열을 없애버릴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많은 신학자들이 여기에 기록된 바울 사도의 말들이 (6-11절) 초기 찬송가의 서막이라고 믿습니다. 요점은 이것입니다. 성령님이 우리의 각기 다른 삶과 상황을 통해 일하실 때 우리를 예수님과 더 닮아가게 하며, 우리는 더불어 예수님의 겸손한 사랑으로 울려 퍼지는 교향곡이 된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1-11마음을 같이 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여 한마음을 품어 [빌립보서 2:2]
사랑하는 예수님, 저를 구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성령님, 저를 주님의 형상으로 변화시켜 주소서. 저의 태도와 행동이 주님의 겸손과 희생적인 사랑의 모습을 띌 수 있게 도와주시고, 살면서 다른 신도들과 더 큰 연합을 이루게 해주소서.
오늘 누가 당신의 격려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하셨던 것처럼, 어떻게 다른 사람의 유익을 자신의 유익보다 먼저 생각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09/10/2021 FRIDAY
LIKE A SYMPHONY
There’s something beautiful about harmony—individual instruments playing together in a way that creates a bigger and more layered sonic landscape. The apostle Paul pointed to the beauty of harmony when he told the Philippians to be “like-minded,” have “the same love,” and be “one in spirit and . . . mind” (PHILIPPIANS 2:2) . He wasn’t asking them to become identical but to embrace the humble attitude and self-giving love of Jesus. The gospel, as Paul well knew and taught, doesn’t erase our distinctions, but it can eliminate our divisions.
It’s also interesting that many scholars believe Paul’s words here (VV. 6–11) are a prelude to an early hymn. Here’s the point: When we allow the Holy Spirit to work through our distinct lives and contexts, making us more like Jesus, together we become a symphony that
reverberates with a humble Christlike love.
GLENN PACKIAM
Today's Reading
PHILIPPIANS 2:1–11Make my joy complete by being like-minded, having the same love, being one in spirit and of one mind. [ PHILIPPIANS 2:2 ]
Dear Jesus, thank You for saving me. May Your Spirit transform me into Your image. In my attitude and actions, help me to take on Your humility and sacrificial love. May it result in a greater unity with other believers in my life.
Who could use some encouragement from you today? How could you put the interests of others above your own, just as Jesus did for us?
오늘의 말씀
09/09/2021 목요일
코로나 호텔
우리가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사람들, 그리고 비슷한 경험과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끌리는 것은 자연스럽고 지극히 정상적입니다. 그러나 바울 사도가 자주 강조한 것처럼, 복음은 우리가 “정상”이라고 보는 사람들 사이에 있는 모든 장벽에 대한 도전입니다 (고린도후서 5:15) . 복음이라는 안경을
통해 우리는 차이점보다는 상처와 소원을 함께 나누는 더 큰 그림을 보게 되고,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치유를 경험하게 됩니다.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다”는 것을 믿는다면, 더 이상 다른 사람들을 겉모습으로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그 대신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여” (14절) 우리의 생각 이상으로 더 많이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이 세상 모든 사람들과 함께 그분의 사랑과 사명을 나누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5:14-20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우리가 이제부터는 어떤 사람도 육신을 따라 알지 아니하노라 [고린도후서 5:14, 16]
예수님, 어려운 시기에 다른 사람들의 사랑과 기쁨을 통해 숨막히도록 아름다운 빛을 보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세상적인 안목으로 사람을 보지 않고” 매일 그 사랑과 기쁨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다른 사람들을 향한 사랑이라는 “더 큰 그림”을 언제 가장 쉽게 잊어버립니까? 우리가 다같이 상처받은 존재이며 그래서 예수님의 사랑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무엇이 다시 깨닫게 해줍니까?
Daily Article
09/09/2021 THURSDAY
HOTEL CORONA
It’s natural, normal even, for us to be drawn toward those we see as similar to us, people we suspect share similar experiences and values to our own. But as the apostle Paul often emphasized, the gospel is a challenge to any barriers between human beings that we see as “normal” (2 CORINTHIANS 5:15) . Through the lens of the gospel, we see a bigger picture than our differences—a shared brokenness and a shared longing and need to experience healing in God’s love.
If we believe that “one died for all,” then we can also no longer be content with surface-level assumptions about others. Instead, “Christ’s love compels us” (V. 14) to share His love and mission with those God loves more than we can imagine—all of us.
MONICA LA ROS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5:14–20Christ’s love compels us, because we are convinced that one died for all . . . . From now on we regard no one from a worldly point of view. [ 2 CORINTHIANS 5:14, 16 ]
In hard times, Jesus, thank You for those moments when I see a glimmer of breathtaking beauty through the love and joy of others. Help me to live each day this way, regarding “no one from a worldly point of view.”
When do you find yourself most prone to forget the “bigger picture” of your shared humanity with others? What helps remind you of our equal brokenness and need for Jesus’ love?
오늘의 말씀
09/08/2021 수요일
나를 보내소서
이사야 6장 8절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서 현재에 대한 심판과 미래에 대한 소망을 기꺼이 선포할 사람을 찾으셨습니다. 이사야는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라고 하며 담대하게 자원했습니다. 그는 이전에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 (5절) 이라고 고백했던 사람이기에 자신이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목격하고, 자신의 죄를 깨닫고, 정결함을 받았기 때문에 기꺼이 부르심에 응답했습니다 (1-7절) .
하나님께서 그분을 위해 어떤 일을 하라고 부르고 계신데 주저하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하나님께서 행하신 모든 일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를 돕고 인도하기 위해 성령님을 보내주신 하나님은 (요한복음 14:26; 15:26-27) 그분의 부르심에 응답할 수 있도록 우리를 준비시켜
주실 것입니다. 이사야처럼 우리도 “나를 보내소서!”라고 응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6:1-8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으니... 내가 누구를 보낼꼬 하시니... 내가 이르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하였더니 [이사야 6:8]
예수님, 저를 부르시고 예수님을 섬길 수 있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이것을 특권으로 여기고 주님을 기꺼이 섬길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께서 그분을 위해 어떤 일을 하라고 부르고 계십니까? 무엇이 그 부르심에 응답하지 못하도록 방해하고 있습니까?
Daily Article
09/08/2021 WEDNESDAY
SEND ME
In Isaiah 6:8, God asked for a willing person to go to Israel to declare His judgment for the present and hope for the future. Isaiah volunteered boldly: “Here am I. Send me!” He didn’t think he was qualified, for he’d confessed earlier: “I am a man of unclean lips” (V. 5) . But he responded willingly because he’d witnessed God’s holiness, recognized his own sinfulness, and received His cleansing (VV. 1–7) .
Is God calling you to do something for Him? Are you holding back? If so, remember all God has done through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He’s given us the Holy Spirit to help and guide us (JOHN 14:26; 15:26–27) , and He’ll prepare us to answer His call. Like Isaiah, may we respond, “Send me!”
FRANCIS NEIL G. JALANDO-ON
Today's Reading
ISAIAH 6:1–8Then I heard the voice of the Lord saying, “Whom shall I send? . . . I said, “Here am I. Send me!” [ ISAIAH 6:8 ]
Jesus, thank You for calling and enabling me to serve You. Help me to see this as a privilege and to serve You willingly.
Is God calling you to do something for Him? What’s hindering you from respon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