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05/25/2025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25-27; 요한복음 9:1-23
찬송가: 468(통464)

새롭게 찾은 소망

티아는 열 여덟 살인 아들이 요즘 도서관에서 왜 이렇게 오랜 시간을 보내는지 궁금했습니다. 자폐인 아들은 말수가 적었으며 학교가 끝나면 대개 집으로 곧장 왔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달라진 걸까? 아들을 재촉하자 마침내 이런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나빈과 같이 공부하고 있어요.”

알고 보니 나빈은 자기 아들이 공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고 함께 공부하자고 초청한 같은 반 친구였습니다. 18년 만에 처음으로 맺은 이 우정은 아들이 친구를 사귀는 희망을 포기했던 절망적인 아버지에게 큰 힘이 되었습니다.

한 사람이 도움이 필요한 다른 사람을 돌보며 함께 있어 주었기에 소망이 새롭게 피어났습니다. 바울은 초대 교회에서의 사역을 통해 이것이 우리의 구원의 소망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신자들이 주님의 재림을 기다리며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리고”(데살로니가전서 5:6) 있기 위해서는 서로가 서로를 도와주어야 합니다(11절).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 그렇게 해야 합니다.

바울은 그래서 신자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사랑의 삶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4:1, 10) 그들에게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라”(5:14)고 상기시켰습니다. 우리가 두려움과 불안, 낙심에 빠져 있는 그리스도인들을 알아보고, 그들 곁에 머무르며 귀 기울이고 따뜻한 말을 건네고 잠잠히 함께 있어줄 때, 하나님은 우리를 사용하여 그들이 예수님 안에서 소망을 붙들 수 있도록 그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전서 5:4-15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데살로니가전서 5:14]

이번 주에 이웃 중 누구와 함께할 수 있습니까? 그들에게 관심과 배려를 보여주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마음이 상하고 약한 사람들을 돌보게 하셔서 그들이 예수님 안에서 소망을 다시 찾을 수 있게 해주소서.

Daily Article

05/25/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5-27; JOHN 9:1-23
Hymn: 468(old464)

HOPE RENEWED

Thia was puzzled. Why was his eighteen-year-old son spending so much time in the library these days? His son, who was autistic and rarely spoke to anyone, would usually return straight home after class. What changed? When pressed, his son finally replied: “Studying with Navin.”

Navin, it turned out, was a classmate who noticed that Thia’s son was struggling in class and invited him to study together. This budding friendship—the first in eighteen years—greatly encouraged the disheartened father who’d given up hope of his son ever having a friend.

Hope was renewed because one person cared enough to come alongside another who needed help. In Paul’s ministry to the early church, he knew this also applied to our hope of salvation. For believers in Jesus to “be awake and sober” (1 THESSALONIANS 5:6), living in the hope of His return, they had to help one another (V. 11), especially those who were struggling.

That’s why even though these believers led lives of love that pleased God (4:1, 10), Paul reminded them to “encourage the disheartened, help the weak” (5:14). When we notice believers in Christ who are fearful, anxious, or despondent, and we come alongside them—whether to listen, offer a kind word, or sit quietly together—God can use us to give them the strength and courage to hold on to their hope in Jesus.

JASMINE GOH


Today's Reading

1 THESSALONIANS 5:4-15
Encourage the disheartened, help the weak, be patient with everyone. [ 1 THESSALONIANS 5:14 ]

Who in your community can you come alongside this week? What can you do to show them care and attention?

Dear God, please help me to care for the disheartened and the weak so that their hope in Jesus may be renewed.

오늘의 말씀

05/24/2025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22-24; 요한복음 8:28
찬송가: 393(통447)

믿음의 도약

남극 서부 지역에서 6개월 정도 밖에 안 된 황제펭귄 약 700마리가 차가운 해수면에서 50피트(약 15미터)나 높은 얼음절벽 가장자리에 모여 있었습니다. 마침내 펭귄 한 마리가 앞으로 몸을 기울이더니 “믿음의 도약”을 감행하여 얼음 같은 물 속으로 뛰어들어 헤엄쳐 갔습니다. 곧 수십 마리의 펭귄들이 뒤따라 뛰어내렸습니다.

어린 펭귄들은 처음 헤엄칠 때 대개 2피트(약 60센티미터) 높이에서 뛰어내려 물 속으로 들어갑니다. 이 펭귄 떼의 죽음을 무릅쓴 도약이 처음으로 카메라에 잡힌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 펭귄들이 알 수 없는 곳으로 눈감고 뛰어드는 것이 마치 사람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을 때와 비슷하다고 말하곤 합니다. 그러나 주님을 믿는 믿음은 이와 정반대입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히브리서 11:1)라고 했습니다.

에녹의 믿음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했습니다.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합니다”(6절). 세상은 그 같은 대홍수를 본 적이 없었지만, 노아는 하나님을 신뢰했기 때문에 “경외함으로 방주를 준비하여 그 집을 구원하였습니다”(7절). 아브라함은 믿음으로 “갈 바를 알지 못하고” 하나님의 지시를 따랐습니다(8절).

우리가 처음 예수님을 믿을 때, 그것은 믿음으로 이루어집니다. 우리가 주님을 계속 따르는 동안 우리의 믿음이 시험받을 때,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 믿음의 사람들을 위해 어떻게 행하셨는지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그 이유와 방법을 알지 못할 때라도 그 결과에 대해서는 하나님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1:1-8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 [히브리서 11:1]

당신의 믿음 때문에 하나님의 보호하시는 손길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을 믿는 당신의 삶 가운데 하나님께서 어떻게 일하고 계십니까?s

사랑하는 예수님, 주님의 신실하심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5/24/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22-24; JOHN 8:28-59
Hymn: 393(old447)

LEAP OF FAITH

About seven hundred emperor penguins in West Antarctica, only six months old, huddled together at the edge of a towering icy cliff fifty feet above the frigid water. Finally, one penguin leaned forward and took “a leap of faith,” diving into the icy water below and swimming away. Soon scores of penguins took the plunge.

Young penguins typically jump just a couple of feet into the water for their first swim. This group’s death-defying leap was the first to be caught on camera.

Some people would say that the blind leap into the unknown by those penguins is similar to what happens when a person trusts in Jesus for salvation. However, faith in Him is just the opposite. The author of Hebrews said, “Faith is confidence in what we hope for and assurance about what we do not see” (HEBREWS 11:1).

Enoch’s faith pleased God: “Without faith it is impossible to please God” (V. 6). The world hadn’t seen anything like the great flood and yet Noah “in holy fear built an ark to save his family” (V. 7) because he trusted in God. By faith Abraham followed God “even though he did not know where he was going” (V. 8).

When we first put our trust in Jesus, it’s by faith. As we continue following Him and our faith is tested, we can remember how God came through for these men. Even when we don’t know the whys and hows, we can trust God with the outcome.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HEBREWS 11:1-8
Now faith is confidence in what we hope for and assurance about what we do not see. [ HEBREWS 11:1 ]

When has your faith resulted in God’s hand of protection? How do you see God working in your life because of your faith in Him?

Dear Jesus, thank You for being so faithful

오늘의 말씀

05/23/2025     금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9-21; 요한복음 8:1-27
찬송가: 293(통414)

진리를 사랑하라

잭은 학교를 몹시 싫어합니다. 수학과 문법, 원소 주기율표 수업들을 지루해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집을 짓는 일은 아주 좋아합니다. 여름에 아버지와 함께 일하러 가는데, 잭은 아버지를 거드는 정도로 성이 차지 않습니다. 그는 지금 열 여섯 살 밖에 안 되었지만 시멘트와 지붕 재료에 대해, 그리고 벽의 틀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학교 수업과 건축,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사랑입니다. 잭은 건축은 사랑하지만 학교 수업은 사랑하지 않습니다. 그의 건축 사랑이 건축 지식을 갖게 해준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진리를 사랑”(데살로니가후서 2:10)해야 합니다. 바울은 사탄이 “멸망하는 자들”(10절)을 속이기 위해 “표적과 거짓 기적”(9절) 을 행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왜 멸망할까요? “그들은 진리를 사랑하지 않으므로 구원을 받지 못해 결국 멸망하고 말 것입니다”(10절, 현대인의 성경). 그들은 진리를 사랑하지 않아 진리를 알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거짓에 속을 것입니다(11절).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습니까? 이 중요한 질문은 ‘우리는 무엇을 사랑하는가?’라는 더 기본적인 질문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의 열정은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고 생각을 이끌어줍니다.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것을 소중히 여기며, 그것을 보호하고 더 많이 추구합니다. 우리가 진리와 지혜를 사랑한다면, 우리는 귀한 금을 찾듯 그것들을 찾을 것입니다(잠언 3:13-14; 4:7-9). 진리와 지혜가 우리를 지켜줄 것입니다. “지혜를 버리지 말라 그가 너를 보호하리라 그를 사랑하라 그가 너를 지키리라”(4:6).

무엇이 진정한 지혜입니까? 예수님은 그것이 주님 자신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요한복음 14:6).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누구를 사랑하느냐입니다. 예수님을 사랑하면 주님의 길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당신을 주님의 진리로 인도하심으로써 당신의 삶을 지켜 주실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데살로니가후서 2:7-12
이는 그들이 진리의 사랑을 받지 아니하여 구원함을 받지 못함이라 [데살로니가후서 2:10]

진리를 사랑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예수님은 왜 자신이 진리라고 말씀하실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과 진리에 대한 사랑으로 제 마음을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05/23/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9-21; JOHN 8:1-27
Hymn: 293(old414)

LOVE THE TRUTH

Jack hates school. The lectures on algebra, grammar, and the periodic table bore him. But he loves building houses. His father takes him to work in the summer, and Jack can’t get enough. He’s only sixteen, but he knows about cement, shingles, and how to frame a wall.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and construction? Love. Jack loves one and not the other. His love fuels knowledge.

As believers in Jesus, we’re to “love the truth” (2 THESSALONIANS 2:10). Paul says a satanic figure will use “signs and wonders” (V. 9) to deceive “those who are perishing” (V. 10). Why are they perishing? “They refused to love the truth and so be saved” (V. 10). Their failure to love the truth blinds them from knowing it. They’ll be duped (V. 11).

What do we know? That important question depends on a more basic one: what do we love? Our passions incline our heart and direct our mind. We cherish what we love. We protect it and seek more of it. If we love truth and wisdom, we’ll search for them as precious gold ( PROVERBS 3 :13-14; 4 :7-9). They’ll guard us. “Do not forsake wisdom, and she will protect you; love her, and she will watch over you” (4:6).

What is true wisdom? Jesus says it’s Him.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JOHN 14:6). Our most important question is who do we love? Love Jesus and you’ll learn His way. He’ll guard your life by guiding you into His truth.

MIKE WITTMER


Today's Reading

2 THESSALONIANS 2:7-12
They perish because they refused to love the truth and so be saved. [ 2 THESSALONIANS 2:10 ]

Why is it important to love the truth?
Why does Jesus say He is the truth?

Dear Father, please fill my heart with love for You and what’s true.

오늘의 말씀

05/22/2025     목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6-18; 요한복음 7:28-53
찬송가: 149(통147)

생명을 바칠 만큼 귀한 사랑

19세기 영국의 주교 윌리엄 템플은 어느 날 옥스퍼드 대학생들에게 찬송가 “주 달려 죽은 십자가”의 가사를 인용하면서 설교를 마쳤습니다. 하지만 그는 그 찬송가를 깊이 새기며 부르라고 경고했습니다. “[가사] 내용이 여러분의 진심이라면 최대한 큰 소리로 부르십시오. 그러나 여러분이 아무런 의미를 못 느낀다면 침묵하십시오. 조금이라도 의미가 있고 더 의미가 있기를 원한다면 아주 부드럽게 부르십시오.” 순간 모든 청중들이 가사를 살피느라 조용해졌습니다. 수천 명의 학생들이 속삭이는 목소리로 부르기 시작하여 마지막 구절에 이르러 “놀라운 사랑받은 나 몸으로 제물 삼겠네”를 큰 목소리로 엄숙하게 찬양했습니다.

옥스퍼드 대학생들은 예수님을 믿고 따르는 것이 우리의 모든 것을 요구하는 철저한 사랑에 순응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심각한 선택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해서는 우리의 모든 삶, 우리의 존재 전체를 드려야 합니다. 주님은 제자들에게 분명히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마태복음 16:24). 어느 누구도 이 선택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됩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따르는 것은 또한 우리의 가장 심오한 기쁨으로 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주님과 함께 하는 삶이 우리가 진정으로 바라는 삶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 말이 아주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에 응답하여 그리스도를 믿고 우리의 이기적이고 근시안적인 요구들을 포기한다면, 우리는 우리 영혼이 갈망하는 삶을 얻게 될 것입니다(25절).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16:21-28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찾으리라 [마태복음 16:25]

예수님을 믿고 따르기 위해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할까요? 그리고 무엇을 얻게 될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하나님을 따르는 것이 쉽지 않지만 제 삶과 저의 모든 것을 하나님께 드리고 싶습니다.

Daily Article

05/22/2025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6-18; JOHN 7:28-53
Hymn: 149(old147)

LOVE WORTHY OF OUR LIFE

William Temple, a nineteenth-century English bishop, once concluded a sermon to Oxford students with the words of the hymn “When I Survey the Wondrous Cross.” But he cautioned against taking the song lightly. “If you mean [the words] with all your hearts, sing them as loud as you can,” Temple said. “If you don’t mean them at all, keep silent. If you mean them even a little, and want to mean them more, sing them very softly.” The crowd went quiet as everyone eyed the lyrics. Slowly, thousands of voices began to sing in a whisper, mouthing the final lines with gravity: “Love so amazing, so divine / Demands my soul, my life, my all.”

Those Oxford students understood the reality that believing in and following Jesus is a serious choice, because it means saying yes to a radical love that demands everything from us. Following Christ requires our entire life, our whole being. He plainly told His disciples, “Whoever wants to be my disciple must deny themselves and take up their cross and follow me” (MATTHEW 16:24). No one should make this choice flippantly.

Yet, following Jesus is also the way to our deepest joy. Life with Him, we’ll discover, is the life we truly desire. It appears to be a great paradox. However, if we respond to God’s love, believe in Christ, and relinquish our selfish, shortsighted demands, we’ll find the life our soul craves (V. 25).

WINN COLLIER

Today's Reading

MAT THEW 16:21-28
Whoever wants to save their life will lose it, but whoever loses their life for me will find it. [ MATTHEW 16:25 ]

What will believing in and following Jesus cost you? What will you gain?

Dear God, following You isn’t easy, but I want to give You my life and my all.

오늘의 말씀

05/21/2025     수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15; 요한복음 7:1-27
찬송가: 517(통518)

이방인을 사랑함

일류 재봉 기술자였던 친구의 아내는 오랜 질병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 한 가지 사랑의 계획을 세워 자신의 모든 재봉 장비를 우리 마을의 재봉 조합에 기증했습니다. 그 기증으로 새로 도착한 이민자들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재봉틀과 재단 테이블, 그 외 여러 것들이 갖춰지게 되었습니다. 그녀의 남편이 말했습니다. “옷감만 스물 여덟 상자나 되었어요. 그 물품들을 다 가지러 여성 여섯 명이 왔는데, 이민자 학생들이 기술을 배우기 위해 아주 열심히 일한다고 했어요.”

다른 사람들은 그런 새 이민자들을 달갑지 않게 표현합니다. 이민자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은 논쟁거리가 되어 분열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세는 이렇게 하나님의 관점을 제시합니다.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라 너희가 애굽 땅에서 나그네 되었었은즉 나그네의 사정을 아느니라”(출애굽기 23:9). 더 나아가 그는 낯선 이방인들에 대한 하나님의 명령을 전해주었습니다. “너희가 너희의 땅에서 곡식을 거둘 때에... 네 포도원의 열매를 다 따지 말며 네 포도원에 떨어진 열매도 줍지 말고 가난한 사람과 거류민을 위하여 버려두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레위기 19:9-10).

하나님은 또 이렇게 선언하셨습니다. “거류민이 너희의 땅에 거류하여 함께 있거든 너희는 그를 학대하지 말고 너희와 함께 있는 거류민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자기 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거류민이 되었었느니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33-34절).

하나님이 기준을 정해 주셨습니다. 우리 가운데 있는 낯선 이들에게 사랑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우리 마음에 복을 내려 주시기를 소망합니다.

오늘의 성구

레위기 19:9-10, 33-34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라 너희가... 나그네의 사정을 아느니라 [출애굽기 23:9]

당신의 교회나 이웃 중에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들,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다른 문화권의 사람을 도울 기회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다른 사람들을 따뜻이 맞이하는 마음을 갖게 해 주소서.

Daily Article

05/21/2025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15; JOHN 7:1-27
Hymn: 517(old518)

LOVING THE STRANGER

A friend’s wife, a master seamstress, made a loving plan before she passed away from a long illness. She donated all her sewing equipment to our town’s sewing guild, providing sewing machines, cutting tables, and more for classes teaching newly arrived immigrants. “I counted twenty-eight boxes of fabric alone,” her husband told us. “Six women came by to pick up everything. Their students are hard workers, eager to learn a skill.”

Others describe such newcomers in less flattering ways. The plight of immigrants has become a divisive issue.

Moses, however, issued God’s view: “Do not oppress a foreigner; you yourselves know how it feels to be foreigners” (EXODUS 23:9). He further shared God’s decree regarding strangers. “When you reap the harvest of your land . . . do not go over your vineyard a second time or pick up the grapes that have fallen. Leave them for the poor and the foreigner. I am the Lord your God” (LEVITICUS 19:9-10).

God also declared, “When a foreigner resides among you in your land, do not mistreat them. The foreigner residing among you must be treated as your native-born. Love them as yourself, for you were foreigners in Egypt. I am the Lord your God” (VV. 33-34).

God set the standard. May He bless our hearts to show love to the strangers among us.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L EVITICUS 19:9-10, 33-34
Do not oppress a foreigner; you yourselves know how it feels to be foreigners. [ EXODUS 23:9 ]

How can you help those in your church or neighborhood from other countries or who speak another language? Where can you find opportunities to help someone from another culture?

Dear Father, please give me a heart that welcomes others.

오늘의 말씀

05/20/2025     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0-12; 요한복음 6:45-71
찬송가: 91(통91)

슬퍼하시는 하나님

2023년 2월, 튀르키예에서 엄청난 지진이 발생한 후 잊지 못할 사진 한 장이 뉴스에 올라왔습니다. 한 아버지가 무너진 건물 잔해 속에서 손을 뻗고 있는 자신의 딸의 손을 붙잡고 앉아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우리는 그 사진에서 딸이 자던 매트리스의 모서리와 지금 그의 손 안에 있는 딸의 생기 없는 손가락들을 봅니다. 아버지의 얼굴은 굳어 있고, 아주 깊은 슬픔에 잠겨 있습니다.

이 아버지의 굳은 얼굴을 보면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모습이 보입니다. 창세기는 하나님께서 죄로 완전히 파괴된 자신의 창조물을 보고 슬퍼하시며 “마음 아파하셨다”(6:6, 새번역)고 말합니다. 이사야는 미래의 메시아에 대해 “그는... 아주 깊은 슬픔을 잘 아는 슬픔의 사람이었다”(53:3, NLT)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위해 그리고 우리와 함께 슬퍼하시며, 우리 삶의 잔해 속에 앉아 우리에게 손을 뻗고 계십니다. “나는 너의 주 하나님이다. 내가 너의 오른손을 붙잡고 있다”(41:13, 새번역).

현재 당신이 어떤 끔찍한 상황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혹은 자신의 죄로 인한 결과 등 어떤 파괴적인 상태에 직면해 있더라도 하나님이 당신과 함께 슬퍼하고 계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어떤 지진이 당신의 삶을 흔들더라도 하나님께서 손을 뻗어 당신의 손을 잡고 계시다는 것을 깨달으십시오. 그리고 현재 어떤 슬픔 가운데 있더라도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도우리라”(13 절)고 하시는 사랑의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십시오.

오늘의 성구

이사야 41:10-13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이사야 41:10]

현재나 과거에 당신의 삶이 어떻게 핵심까지 흔들렸습니까? 하나님께서 당신과 함께 슬퍼하신다는 말이 어떤 의미로 다가옵니까?

나를 위해 나와 함께 슬퍼하시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의로운 오른손”에 감사드립니다.

Daily Article

05/20/2025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0-12; JOHN 6:45-71
Hymn: 91(old91)

A GRIEVING GOD

In the aftermath of Turkey’s devastating earthquake in February 2023, a haunting photo came across newswires: a father sitting amid ruins holding a hand extending from the rubble—the hand of his daughter. We see the edge of the mattress where his daughter had been sleeping, and we see her lifeless fingers that he now holds. His face is grim; his grief is profound.

In this father’s gritted face, I see a semblance of our own heavenly Father. Genesis tells us that God was grieved by the devastation of sin in His creation: “It broke his heart” (6:6 NLT). Isaiah, speaking of the future Messiah, says, “He was . . . a man of sorrows, acquainted with deepest grief” (53:3 NLT). God grieves for us, and with us, and sits at the edge of the rubble of our lives, reaching for us: “I am the Lord your God who takes hold of your right hand” (41:13).

Whatever devastation you currently face—a tragic circumstance, the loss of a dear one, or maybe even the effects of your own sin—know that God grieves with you. Whatever earthquake has shaken your life, see that God is reaching for your hand. Whatever your current sorrow, hear the God of love saying to you, “Do not fear; I will help you” (V. 13).

KENNETH PETERSEN


Today's Reading

ISAIAH 41:10-13
Do not fear, for I am with you. [ ISAIAH 41:10 ]

In what ways has your life, current or past, been shaken to the core? What does it mean to you that God grieves with you?

Father God who grieves with me and for me, thank You for Your “righteous right hand.”

오늘의 말씀

05/19/2025     월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7-9; 요한복음 6:22-44
찬송가: 218(통369)

함께하는 더 나은 삶

메기는 10년간 마약 투여로 계속 교도소를 들락거렸습니다. 삶의 변화가 없다면 곧 이전 삶으로 되돌아갈 것이 분명했습니다. 그러던 중 메기는 마약 남용으로 정맥이 터져 손을 잃을 뻔했던, 한때 중독자 한스를 만났습니다. 한스는 “그때 처음으로 하나님께 부르짖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한스는 지금 하나님의 응답으로 교도소 중독자들의 회복을 돕는 단체의 동료 전문가가 되어 있습니다.

미국 교도소에는 전과자들이 지역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돕는 ‘스톤 수프’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 프로그램을 통해 메기는 절제하는 생활을 할 수 있는 숙소로 들어가 마약 없는 삶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스는 이제 메기와 다른 사람들에게 취업 알선과 교육 선택, 치료, 가족 지원 등,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성경은 지혜로운 동반자 관계가 지닌 힘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혹시 그들이 넘어지면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홀로 있어 넘어지고 붙들어 일으킬 자가 없는 자에게는 화가 있으리라”(전도서 4:9-10).

한 배고픈 나그네가 마을 사람들을 설득하여 각자가 한 가지씩 재료를 가져와 모두를 위해 맛있는 수프를 만드는 ‘스톤 수프’ 이야기처럼, 성경은 우리가 함께하면 더 강해지고 더 좋아진다고 확인시켜 줍니다(12절). 하나님의 계획은 우리가 공동체 안에서 서로 돕고 또 도움을 받으면서 사는 것입니다. 그것은 동화 속의 이야기가 아니라 삶에서 가능한 진실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4:9-12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전도서 4:10]

자원들을 모아 어떻게 사람들을 더 잘 섬길 수 있을까요? 당신은 지역사회를 위한 “스톤 수프”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내어줄 수 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제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돕는 일을 잘할 수 있도록 축복해 주소서.

Daily Article

05/19/2025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7-9; JOHN 6:22-44
Hymn: 218(old369)

BETTER TOGETHER

Meggie’s ten years of drug use kept her in and out of jail. Without a life change, she’d soon return. Then she met Hans, a former addict who almost lost his hand when a vein ruptured due to his substance abuse. “That was the first time I cried out to God,” Hans said. God’s answer prepared him to be a peer specialist for an organization that coordinates recovery for jailed addicts.

Called Stone Soup, the program is helping an American jail provide formerly imprisoned people with support to reenter their communities. Through the plan, Meggie moved into a soberliving house and has stayed sober. Hans now helps her and others with job placement, educational options, treatment, and family resources—a coordinated approach.

The Bible describes the strength of wise partnering. “Two are better than one, because they have a good return for their labor: If either of them falls down, one can help the other up” (ECCLESIASTES 4:9-10). However, “pity anyone who falls and has no one to help them up” (V. 10).

Like the “Stone Soup” folktale, where a hungry traveler invites townspeople to each share one ingredient to make a delicious soup for all, the Bible confirms we’re stronger and better together (V. 12). God’s plan is for us to live in community, helping others and receiving help in return. That’s no fairy tale; it’s truth for life.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ECCLESIASTES 4:9-12
One can help the other up. [ ECCLESIASTES 4:10 ]

How can pooling our resources help us serve people better? What can you give to make a “stone soup” for your community?

Please bless me, dear God, to join others to help well.

오늘의 말씀

05/18/2025     주일

성경읽기: 역대상 4-6; 요한복음 6:1-21
찬송가: 580(통371)

하나님의 은혜로운 풍요

이네스 멕시아(1870-1938)는 51세의 나이에 식물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고 대학에 들어갔습니다. 멕시아는 13년 동안 중남미를 돌아다니면서 500여 종의 새로운 식물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그녀 혼자만 이런 탐구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과학자들은 매년 거의 2천 종의 새로운 식물을 발견합니다.

창세기 1장에서 하나님은 형태도 없고 공허하며 흑암에 싸여 있는 지구(2 절)를 취하셔서 풍요로움이 가득한 곳으로 만드셨습니다. 셋째 날에 하나님은 물을 한 곳으로 모아 마른 땅이 드러나게 하시고,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11절)를 내게 하심으로 사람이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시작하셨습니다. 그것들은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씨 맺는 채소와 열매 맺는 나무였습니다. 하나님은 열매 맺는 나무를 한 종류만 만들지 않으시고 아주 많이 만드셨습니다.

하나님은 창조주(1절)이실 뿐 아니라 또한 창조적인 분이십니다. 하나님은 각기 다른 종류의 식물과 동물, 별들을 만드시는 것을 즐겨 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먹을 것을 주시는 것만 신경 쓰셨다면, 씨 맺는 채소 한 가지만 만드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주 풍요로우신 하나님은 결코 일을 반쯤 하고 끝내신 적이 없습니다.

하나님의 풍요로움은 창조물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그분의 은혜에 있어서도 관대하십니다. 바울은 말합니다. “우리 주의 은혜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과 함께 넘치도록 풍성하였도다”(디모데전서 1:14). 하나님의 창조물에게 하신 것처럼,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를 생각하시며 우리의 필요 이상으로 내려 주십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1:1-13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창세기 1:11]

창조는 어떻게 하나님의 선하고 풍성한 은혜의 증거가 될 수 있을까요? 당신은 하나님의 어떤 은혜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아름다운 세상을 창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8/2025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4-6; JOHN 6:1-21
Hymn: 580(old371)

GOD’S GRACIOUS ABUNDANCE

At the age of fifty-one, Ynes Mexia (1870-1938) decided to study botany, enrolling as a college freshman. Over her thirteenyear career, she traveled across Central and South America, discovering five hundred new species of plants. She’s not alone in her quest. Scientists discover nearly two thousand new plants each year.

In Genesis 1, God took a formless, empty, and dark earth (V. 2) and created a place full of abundance. On the third day, God separated the waters to create dry land and began making it hospitable for humans by having “the land produce vegetation: seed-bearing plants and trees on the land that bear fruit” (V. 11). These were seed-bearing plants and fruit trees from which we could eat. God didn’t create just one type of fruit tree but an abundance.

God isn’t only the Creator (V. 1); He’s also creative. He enjoys making different types of plants and animals and stars. If God cared only about giving us food, He could have made just one kind of seed-bearing plant. But God is extravagant and never does things in half measures.

God’s abundance isn’t limited to His creation. He’s also generous with His grace. As Paul said, “The grace of our Lord was poured out on me abundantly, along with the faith and love that are in Christ Jesus” (1 TIMOTHY 1:14). As with God’s creation, His grace is more than we need and offered with us in mind.

MATT LUCAS

Today's Reading

GENE SIS 1:1-13
God said, “Let the land produce vegetation: seed-bearing plants and trees on the land that bear fruit with seed in it.” [ GENESIS 1:11 ]

How is creation a demonstration of God’s good and abundant grace? What stories of His grace can you share?

Father, thank You for creating a beautiful world.

오늘의 말씀

05/17/2025     토요일

성경읽기: 역대상 1-3; 요한복음 5:25-47
찬송가: 430(통456)

하나님을 따르는 삶

몇 년 전 파리에 갔을 때, 나는 친구와 에펠탑 근처에서 만나 저녁을 먹기로 했는데 좀 여유 시간이 있어서 혼자 도시를 돌아다녔습니다. 휴대폰 배터리가 다 소진될 때까지는 모든 일이 순조로웠습니다. 지도가 없어서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몰랐지만, 도시에서 자란 나는 당황하지 않고 우뚝 솟은 에펠탑에 눈을 고정시키고 센 강을 따라 계속 걸어갔습니다. 그런 내 계획은 잘 들어맞았지만 탑에 점점 더 가까워질수록 주위의 건물들에 가려 그만 탑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큰 구조물이 내 눈 앞에서 사라질 수 있다는 게 놀라웠습니다! 마침내 나는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길을 물어 친구를 만났습니다.

우리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삶을 살아가면서 장애물이나 어려움을 만날 때 우리는 하나님께 도움과 방향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 구하면 길을 잃지 않게 되고, 돌아가거나 포기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때 그러지 않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삶이 어렵고 혼란스러워 보일 때 하나님께 인도하심을 구할 수 있습니다.

잠언 3:5-6에서 솔로몬은 독자들에게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신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말라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고 하면서 그들을 격려하고 있습니다.

기도와 성경 읽기를 통해 하나님의 지혜를 구할 때 하나님이 우리를 인도해 주실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고 그분의 인도를 따르도록 합시다.

오늘의 성구

잠언 3:1-8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 [잠언 3:6]

왜 때때로 하나님을 따르는 것이 어렵습니까? 어떻게 하면 하나님과 더 잘 소통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를 이끌어 주시고 인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7/2025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1 CHRONICLES 1-3; JOHN 5:25-47
Hymn: 430(old456)

FOLLOWING GOD

On my free day in Paris during a visit a few years ago, I had some time to roam around the famed city by myself before meeting a friend by the Eiffel Tower for dinner. All was fine until my phone’s battery died. I didn’t have a map, so I wasn’t sure where I was going, but this city girl didn’t panic. I just continued to walk along the Seine River and kept my eyes on the towering Eiffel Tower. My plan worked until I got closer to the landmark that somehow disappeared behind the surrounding buildings.

I was astonished that such a large structure could be hidden in plain sight! I finally realized I needed help, so I asked for directions and found my friend.

Life can be so unpredictable. As we face obstacles and challenges in life, we can ask God for help and direction. Asking Him helps us not get lost along our journey or be tempted to take detours or to quit. Especially when life seems hard or confusing, we can turn to God for guidance.

In Proverbs 3:5-6, Solomon encourages his readers by telling them to “trust in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and lean not on your own understanding; in all your ways submit to him, and he will make your paths straight.”

As we seek God’s wisdom through prayer and reading the Bible, He’ll guide us. Let’s continue to trust Him and follow His lead.

NANCY GAVILANES

Today's Reading

PROVERBS 3:1-8
In all your ways submit to him, and he will make your paths straight. [ PROVERBS 3:6 ]

Why is it sometimes hard to follow God? How can you stay better connected to Him?

Dear God, thank You for leading and guiding me.

오늘의 말씀

05/16/2025     금요일

성경읽기: 열왕기하 24-25; 요한복음 5:1-24
찬송가: 96(통94)

하나님의 아들

내 동생 스캇은 최근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아버지의 병역 기록을 입수했습니다. 기록에는 놀랍거나 충격적인 내용은 없었으며, 아버지가 어떤 사람이었는지에 대한 내용도 없었고, 다만 단순히 사실들, 곧 데이터만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자료를 읽는 것은 흥미로웠지만 아버지에 대해 어떤 새로운 것도 발견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감사하게도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는 사복음서는 단순한 자료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복음서는 예수님이 이 땅에 계셨을 때 어떤 분이셨고 어떤 일을 하셨으며 어떤 말씀을 하셨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마가복음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1:1) 고 하는, 마가의 논지를 증명하기 위해 기록되었습니다. 마가는 곧바로 세례 요한이 이 메시아에 대해 어떻게 증언했는지 알려줍니다. 요한은 “나보다 능력 많으신 이가 내 뒤에 오시나니 나는 굽혀 그의 신발끈을 풀기도 감당하지 못하겠노라”(7절)고 말했습니다. 마가의 이 같은 언급은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요한 사도는 예수님의 생애에 대해 기록하면서,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는 것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요한복음 20:31)고 했습니다.

예수님의 생애에 대한 증거는 풍부합니다. 이제 남아 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예수님은 당신에게 어떤 분입니까? 예수님이 당신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셨습니까?

오늘의 성구

마가복음 1:1-8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 [마가복음 1:1]

예수님의 삶과 죽음, 부활의 증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 증거에 대한 당신의 반응을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말하시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의 삶을 분명하게 기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05/16/2025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2 KINGS 24-25; JOHN 5:1-24
Hymn: 96(old94)

THE SON OF GOD

Recently, my brother Scott acquired our dad’s military service records from World War II. As I studied the pages, there was nothing startling or shocking—nothing about who Dad was. There were mere facts. Data. It was interesting to read but ultimately dissatisfying because I didn’t come away feeling like I learned anything new about Dad.

Thankfully, in giving us a record of the life and work of Jesus, the four gospels are much more than just data. They are descriptions that reveal who Jesus was in His time on this earth as well as what He did and said. In Mark’s gospel, that record was for the purpose of proving Mark’s thesis statement: “The beginning of the good news about Jesus the Messiah, the Son of God” (1:1). Immediately, Mark tells us how John the Baptist testified about this Messiah. John said, “After me comes the one more powerful than I, the straps of whose sandals I am not worthy to stoop down and untie” (V. 7). Mark’s account makes it clear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As John the disciple adds in his own account of Jesus’ life, “These are written that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1).

The evidence of Jesus’ life is abundant. These questions remain: What does He mean to you? How has He changed your lif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MARK 1:1-8
The beginning of the good news about Jesus the Messiah, the Son of God. [ MARK 1:1 ]

What do you think of the evidence of Jesu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How might you tell someone about your response to it?

Father, thank You for the clear record of Your Son’s life.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