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1/06/2021 토요일
슬픔에 관한 용어집
유산. 영아의 갑작스러운 죽음. 자살. 질병. 사고. 죽음은 아이를 이 세상에서 빼앗아가면서 남아 있는 부모들에게서 자신을 지칭할 용어마저 빼앗아갑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독생자 예수님이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시며,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누가복음 23:46)라고 하나님을 부르신 것과 같은 통렬한 슬픔을 잘 이해하십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이 이 세상에 태어나시기 전에도 아버지이셨고, 마지막 숨을 내쉴 때에도 아버지이셨으며, 그분의 아들이 굳어진 몸으로 무덤에 뉠 때에도 여전히 아버지셨습니다. 오늘도 살아 계시는 하나님은 모든 부모에게 아이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시는 부활하신 예수님의 아버지이십니다.
이 세상을 위해, 그리고 당신과 나를 위해 그분의 아들을 희생시킨 하나님 아버지를 당신은 어떻게 부르십니까? 아버지입니다. 여전히 아버지이십니다. 슬픔에 관한 용어집에서 상실의 아픔을 표현할 단어를 찾을 수 없을 때에도, 하나님은 우리의 아버지이시고 우리를 그분의 자녀로 불러 주십니다(요한1서 3:1).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3:44-46예수께서 큰 소리로 불러 이르시되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 [누가복음 23:46]
하나님이 언제나 우리 아버지가 되시고 우리를 그분의 자녀라고 불러 주신다는 것을 깨달을 때 어떤 마음가짐을 갖게 됩니까? 이런 생각이 어떻게 위로가 됩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저의 아버지가 되어 주시고 저를 아버지의 자녀라고 하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1/06/2021 Saturday
A GLOSSARY FOR GRIEF
Miscarriage. Sudden infant death. Suicide. Illness. Accident. Death steals a child from this world and then robs the surviving parents of an expressed identity.
Yet God Himself understands such devastating grief as His only Son, Jesus, called to Him while dying on the cross,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LUKE 23:46). God was Father before Jesus’ earthly birth and remained Father when Jesus released His final breath. God continued as Father when the still body of His Son was laid in a tomb. God lives on today as Father of a risen Son who brings every parent the hope that a child can live again.
What do you call a heavenly Father who sacrifices His Son for the universe? For you and for me? Father. Still, Father. When there are no words in the glossary of grief to describe the pain of loss, God is our Father and calls us His children (1 JOHN 3:1). ELISA MORGAN
Today's Reading
LUKE 23:44–46Jesus called out with a loud voice,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 LUKE 23:46 ]
How does it shape your heart to realize that God remains your Father and calls you His child—always? How might this thought comfort you?
Dear heavenly Father, thank You for being my Father and claiming me as Your child.
Read Life After Loss at DiscoverySeries.org/CB131.
오늘의 말씀
11/05/2021 금요일
무의미한 것에서 즐거움 찾기
수천 년 전, 가장 현명한 왕이었던 솔로몬은 별 의미 없고 평범한 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사업을 일으키고, 가축 떼를 사들이고, 부를 축적하며, 노래하는 사람들을 두고, 건물들을 지었습니다 (전도서 2:4-9). 이런 일들 중 영예로운 일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일들도 많았습니다. 솔로몬 왕은 그런 일들의 의미를 찾으면서 결국 모든 것이 헛되어 싫증날 뿐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11절). 당시 솔로몬의 세계관에는 인간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는 하나님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솔로몬은 하나님을 기억하고 경배할 때에만 비로소 평범한 일들 속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12:1-7).
우리가 온통 지루한 일들에 매몰되어 있을 때 날마다 우리 스스로 미니 컨퍼런스를 열어서 지루한 일들에 의미를 부여해 주시는 “[우리] 창조주를 기억”(1절) 하도록 합시다. 우리가 하나님을 기억하고 경배할 때, 일상적인 것에서 경이로움을, 평범한 것에서 감사를, 삶의 무의미해 보이는 것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전도서 2:1-11그 후에 내가 생각해 본즉 내 손으로 한 모든 일과 내가 수고한 모든 것이 다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며 [전도서 2:11]
결코 만족할 수 없는 것에서 의미를 찾기가 힘든 이유가 무엇입니까? 어떻게 하나님께 헌신하며 경배하는 일에 우선순위를 재조정하여 하나님 안에서 당신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 제 삶의 대수롭지 않은 순간들을 하나님의 기쁨과 놀라움으로 가득 채워 주소서.
Daily Article
11/05/2021 Friday
FINDING JOY IN THE MEANINGLESS
Several millennia ago, Solomon, the wisest of kings, launched his own search for joy in the meaningless and mundane. He pursued work, bought flocks, built wealth, acquired singers, and constructed buildings (ECCLESIASTES 2:4–9). Some of these pursuits were honorable and some were not. Ultimately, in his pursuit of meaning, the king found nothing but boredom (V. 11). Solomon maintained a worldview that didn’t press beyond the limits of human experience to include God. Ultimately, however, he realized that he’d find joy in the mundane only when he remembered and worshiped God (12:1–7).
When we find ourselves in the whirlwind of tedium, let’s launch our own daily mini-conference, as we “remember [our] Creator” (V. 1)—the God who fills the mundane with meaning. As we remember and worship Him, we’ll find wonder in the ordinary, gratitude in the mundane, and joy in the seemingly meaningless things of life.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ECCLESIASTES 2:1–11When I surveyed all that my hands had done and what I had toiled to achieve, everything was meaningless, a chasing after the wind. [ ECCLESIASTES 2:11 ]
Why is it so hard to find meaning in things that can never satisfy? How do you need to reprioritize your commitment to and worship of God so you can find your meaning in Him?
God, take the unremarkable moments of my life and infuse them with Your joy and wonder.
오늘의 말씀
11/04/2021 목요일
어려운 때
그 목사는 “우리는 누군가가 힘든 날을 지날 때 불황에 대비한 기금을 그냥 깔고 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고 느꼈습니다.”라고 하면서, 주위 다른 교회들도 이 일에 함께 동참해 주기를 권면했습니다.
불황 대비 기금은 정상 운영이 계속되어야 함에도 정상적인 소득이 줄어드는 때를 대비해 따로 모아 둔 자금을 말합니다. 우리는 누구나 자연스럽게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게 마련이지만, 성경은 항상 자신의 필요를 넘어 다른 이들을 섬기는 길을 찾아 구제를 행하라고 우리에게 권하고 있습니다. 잠언 11장은 이렇게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흩어 구제하여도 더욱 부하게 되는 일이 있나니” “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자기도 윤택하여지리라”(24-25절).
오늘 당신의 삶에 햇살이 유난히 밝게 비치고 있습니까? 다른 사람의 삶에 폭우가 몰아치고 있지 않은지 둘러보십시오. 하나님의 은혜로 받은 축복을 아낌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줄 때 그 복은 몇 배나 크게 불어납니다. 너그럽게 풍성히 구제하는 것은 다른 이들에게 소망을 주고, 상처받은 이들에게 하나님 사랑을 깨우쳐주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의 성구
잠언 11:23-26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자기도 윤택하여지리라 [잠언 11:25]
누군가가 당신에게 아낌없이 자신의 시간과 물질을 베풀어준 적이 있습니까? 오늘 어떻게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똑같이 베풀어줄 수 있을까요?
자비로우신 하나님, 다른 사람들의 곤궁함을 보고 관대한 마음을 갖게 해주시고, 그들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를 베풀 수 있는지 보여 주소서.
Daily Article
11/04/2021 Thursday
RAINY DAYS
“We don’t feel like we can sit on a rainy-day fund when somebody else is going through a rainy day,” the pastor explained, as he encouraged other churches in the area to join the effort.
A rainy-day fund is money that’s put aside in case normal income is decreased for a time while regular operations need to continue. While it’s natural for us to look out for ourselves first, Scripture encourages us to always look beyond our own needs, to find ways to serve others, and to practice generosity. Proverbs 11 reminds us, “One person gives freely, yet gains even more,” “a generous person will prosper,” and “whoever refreshes others will be refreshed” (VV. 24–25).
Is the sun shining extra bright in your life today? Look around to see if there’s torrential rain in someone else’s world. The blessings God has graciously given you are multiplied when you freely share them with others. Being generous and open-handed is a wonderful way to give hope to others and to remind hurting people that God loves them.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ROVERBS 11:23–26A generous person will prosper; whoever refreshes others will be refreshed. [ PROVERBS 11:25 ]
When has someone been open-handed with their time or resources with you? How could you do the same for someone in need today?
Gracious God, help me to be tenderhearted toward the needs of others and show me how I can share Your love and generosity with them.
오늘의 말씀
11/03/2021 수요일
함께 나누는 위로
일곱 달 후, 딸도 피부가 타듯이 부어올라 가려움 때문에 계속 긁어야만 했습니다. 딸은 “이제야 캘럼이 겪고 있는 일을 이해하게 됐어요.”라고 고백했습니다. “어쩜 나도 ‘긁지 마’를 입어야 할 것 같아요.”
딸에게 일어난 일은 바울이 말한 고린도후서 1:3-5 말씀을 생각나게 해주었습니다.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며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그리스도의 고난이 우리에게 넘친 것 같이 우리가 받는 위로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치는도다.”
가끔 하나님은 우리가 질병이나 상실, 위기와 같은 곤경의 시기를 지나게 하시면서, 그 겪는 고난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겪으셨던 극심한 고통을 감사할 수 있도록 가르치십니다. 위로와 힘을 얻기 위해 하나님을 의지할 때, 우리는 고난을 겪고 있는 다른 사람들을 위로하고 용기를 줄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들로 누구를 위로해줄 수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1:3-8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고린도후서 1:4]
당신의 고난의 체험을 통해 하나님께서 누구를 위로할 수 있게 도와주셨습니까? 그들이 그들의 아픔을 통해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겪으신 고난에 감사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하나님, 고난 중에 하나님의 위로를 경험하게 하셔서 다른 사람들을 위로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03/2021 Thursday
COMFORT SHARED
Seven months later, Hayley’s skin flared up, and she couldn’t stop scratching. “I now understand what Callum endures,” Hayley confessed to me. “Maybe I should wear a ScratchMeNot!”
Hayley’s situation reminded me of 2 Corinthians 1:3–5, in which Paul says that our God is “the God of all comfort, who comforts us in all our troubles, so that 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For just as we share abundantly in the sufferings of Christ, so also our comfort abounds through Christ.”
Sometimes God allows us to go through trying times such as an illness, loss, or crisis. He teaches us through our suffering to appreciate the greatest suffering that Christ went through on our behalf on the cross. In turn, when we rely on Him for comfort and strength, we’re able to comfort and encourage others in their suffering. Let’s reflect on whom we can extend comfort because of what God has brought us through. GOH BEE LEE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1:3–8We can comfort those in any trouble with the comfort we ourselves receive from God. [ 2 CORINTHIANS 1:4 ]
Whom has God helped you to comfort through your own experiences of suffering? What can you do to help them appreciate Christ’s suffering on the cross through their pain?
God, help me to experience Your comfort in my sufferings and to become a source of comfort to others.
Read more about comforting others at DiscoverySeries.org/Q0729.
오늘의 말씀
11/02/2021 화요일
예수님을 알리려고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기
그때 한 선교팀이 그들에게 다가가, 반와온 사람들을 헬리콥터로 그 지역 안과 밖으로 실어 날랐습니다. 이 일로 이 종족은 필요한 물품이나 중요한 의료 혜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보다 큰 세상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예수님도 그렇게 해서 그들에게 전해졌습니다. 이제 그들은 정령들에게 노래하는 대신, 부족 전통의 노래를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찬양하는 새로운 노랫말로 바꾸어 부르고 있습니다. 항공 선교가 중요한 연결고리를 만든 것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 제자들에게 이렇게 명령 하셨습니다.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마태복음 28:19). 이 명령은 아직도 유효합니다.
미전도 종족 사람들은 우리가 들어보지도 못한 외진 땅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종종 그들은 우리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반와온 종족에게 다가가기 위해 창의성과 풍부한 자원이 필요했던 것처럼, 우리 지역사회 안에 있는 장벽을 넘기 위해 우리도 창의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 일은 전혀 고려하지도 않았던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들, 바로 당신의 이웃 중 누군가를 포함하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그들에게 다가가 예수님을 전하기 위해 하나님이 당신을 어떻게 사용하실까요?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28:16-20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마태복음 28:19]
당신의 지역사회에서 가장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들이 누구입니까? 어떤 방법으로 그들에게 예수님을 알릴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___________가 믿음으로 하나님께 돌아올 수 있도록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법으로 저를 사용해 주소서.
Daily Article
11/02/2021 Tuesday
REACHING OTHERS FOR JESUS
Then a mission group reached out, shuttling people in and out of the region via helicopter. This gained the Banwaon access to needed supplies, crucial medical help, and an awareness of the larger world. It also introduced them to Jesus. Now, instead of singing to the spirits, they chant their traditional tribal songs with new words that praise the one true God. Mission aviation established the critical link.
When Jesus returned to His heavenly Father, He gave His disciples these instructions: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MATTHEW 28:19). That command still stands.
Unreached people groups aren’t limited to exotic locales we haven’t heard of. Often, they live among us. Reaching the Banwaon people took creativity and resourcefulness, and it inspires us to find creative ways to overcome the barriers in our communities. That might include an “inaccessible” group you haven’t even considered—someone right in your neighborhood. How might God use you to reach others for Jesus?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MAT THEW 28:16–20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 MATTHEW 28:19 ]
Who are the hardest to reach people in your community? In what ways can you tell them about Jesus?
Father, please use me as You see fit in order that _____________might turn to You in faith.
Read Evangelism: Reaching Out Through Relationships at DiscoverySeries.org/Q0913.
오늘의 말씀
11/01/2021 월요일
벨을 울려라
다알라의 이야기에 나는 미소를 지으며 시편 기자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이 그들 삶 가운데 하신 일들을 송축하라고 할 때 가졌을지도 모를 그 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이 그들의 적들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그분의 사랑하는 백성으로 선택하셨기에, 그는 “손뼉을 치며” “하나님께 외치고” “찬양하라”고 그들을 격려하였습니다(시편 47:1, 6,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건강이나 금전, 대인 관계 등, 우리가 삶의 여러 문제들로 힘들어할 때 언제나 승리로 이끌어 주시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여전히 “그의 거룩한 보좌에 앉아 계시는”(8절) 분이심을 알기에, 하나님은 그런 상황에서도 경배와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한 분이십니다. 적어도 우리가 이 땅의 삶에서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하나님이 우리를 치유하실 때, 우리는 크게 기뻐해야 할 이유를 얻게 됩니다. 실제로 종을 치지는 않더라도 우리는 다알라가 보여준 것처럼 넘치는 기쁨으로 하나님의 선하심을 찬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47즐거운 소리로 하나님께 외칠지어다
[시편 47:1]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께 감사를 드립니까? 
당신 삶에서 최근 하나님께서 하신 일 가운데 기뻐할 만한 일은 무엇입니까?
하나님, 제게 많은 선물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소리 높여 하나님을 찬양하고 손뼉 치며 하나님이 제 삶에 하신 일들을 기뻐합니다.
Daily Article
11/01/2021 Monday
RING THE BELL
Darla’s story brings a smile to my face and gives me a sense of what the psalmist might have envisioned when he invited the Israelites to celebrate God’s work in their lives. The writer encouraged them to “clap [their] hands,” “shout to God,” and “sing praises” because God had routed their enemies and chosen the Israelites as His beloved people (PSALM 47:1, 6).
God doesn’t always grant us victory over our struggles in this life, whether health-related or financial or relational. He’s worthy of our worship and praise in even those circumstances because we can trust that He’s still “seated on his holy throne” (V. 8). When He does bring us to a place of healing—at least in a way we recognize in this earthly life—it’s cause for great celebration. We may not have a physical bell to ring, but we can joyfully celebrate His goodness to us with the same kind of exuberance Darla showed.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PSALM 47Shout to God with cries of joy.
[ PSALM 47:1 ]
How do you show your gratitude to God? 
What good work has He done in your life recently that merits celebration?
Thank You, God, for Your many gifts to me. I shout my praises to You and clap my hands in celebration of Your work in my life.
오늘의 말씀
10/31/2021 주일
절기의 의미를 되찾아
어둠에 맞서 작은 일부터 해보기로 나선 리사는 커다란 호박에 매직펜으로 감사 목록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쓴 것은 “햇살”이었습니다. 이후 그녀의 집을 방문한 사람들도 감사 목록을 썼습니다. “낙서하기”처럼 엉뚱한 목록도 있었고, “따뜻한 집”, “잘 굴러가는 자동차”같이 현실적인 것들도 있었습니다. 반면에 먼저 떠나간 사랑하는 사람의 이름을 쓴 가슴을 울리는 목록도 있었습니다. 감사를 기록한 띠가 호박을 감아 돌기 시작했습니다.
시편 104편은 우리가 지나치기 쉬운 것들을 가지고 하나님께 찬양 드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호와께서 샘을 골짜기에서 솟아나게 하시며”(10절), “그가 가축을 위한 풀과 사람을 위한 채소를 자라게 하신다”(14절)고 시인은 노래합니다. 그리고 어두운 밤조차 멋지고 조화롭다고 표현합니다. “주께서 흑암을 지어 밤이 되게 하시니 삼림의 모든 짐승이 기어나오나이다”(20절). 그러다가 “해가 돋으면... 사람은 나와서 일하며 저녁까지 수고하는도다”(22-23 절)라고 했습니다. 이 모든 것을 바라보며 시편 기자는 “내가 평생토록 여호와께 노래하며 내가 살아있는 동안 내 하나님을 찬양하리로다”(33절)라고 하며 마칩니다.
죽음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모르는 이 세상 속에서, 우리의 창조주께 드리는 가장 작은 찬양조차도 세상을 밝히는 소망의 빛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04:10-23여호와께서 달로 절기를 정하심이여
[시편 104:19]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대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하면 세상이 우리가 예수님 안에서 갖고 있는 소망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이 땅에 많은 좋은 것들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삶이 아버지께 드리는 감사의 찬양 제물이 되게 하소서.
Daily Article
10/31/2021 Sunday
REDEEMING THE SEASON
Determined to counter the darkness in some small way, Leisa began to write things she was grateful for with a permanent marker on a large pumpkin. “Sunshine” was the first item. Soon visitors were adding to her list. Some entries were whimsical: “doodling,” for instance. Others were practical: “a warm house”; “a working car.” Still others were poignant, like the name of a departed loved one. A chain of gratitude began to wind its way around the pumpkin.
Psalm 104 offers a litany of praise to God for things we easily overlook. “[God] makes springs pour water into the ravines,” sang the poet (V. 10). “He makes grass grow for the cattle, and plants for people to cultivate” (V. 14). Even the night is seen as good and fitting. “You bring darkness, it becomes night, and all the beasts of the forest prowl” (V. 20). But then, “The sun rises . . . . People go out to their work, to their labor until evening” (VV. 22–23). For all these things, the psalmist concluded, “I will sing praise to my God as long as I live” (V. 33).
In a world that doesn’t know how to deal with death, even the smallest offering of praise to our Creator can become a shining contrast of hope. -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PSALM 104:10–23He made the moon to mark the seasons.
[ PSALM 104:19 ]
How do you and your friends deal with the idea of death? What are some ways you might make the world curious about the hope you have in Jesus?
Thank You, Father, for the multiple good things You’ve placed on this earth. 
Make my life a grateful offering of praise to You.
오늘의 말씀
10/30/2021 토요일
새로운 소명
그 얼마 후 그는 독방에 수감되었습니다. 케이시는 독방에서 공상을 하던 중, 살면서 겪었던 주요 사건들을 마치 “영화”처럼 다시 보는 경험을 하게 되었고, 십자가에 끌려가 못 박히시는 예수님이 그에게 “이것은 다 너를 위한 일이다”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케이시는 바닥에 엎드려 눈물을 흘리며 죄를 고백했습니다. 나중에 교도소 소속의 목사에게 이 경험을 이야기하자 그는 예수님에 대해 더 많이 설명해주고 성경책도 주었습니다. 케이시는 “그렇게 내 믿음의 여정이 시작되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일반 수용소로 다시 돌아온 그는 그의 믿음 때문에 학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다른 재소자들에게 예수님을 전하는 새로운 소명을 받았기” 때문에 그는 마음이 평안했습니다.
바울 사도는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삶을 바꾸는 그리스도의 능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릇된 삶에서 벗어나 예수님을 따르고 섬기는 삶으로 부르십니다(디모데후서 1:9). 믿음으로 예수님을 영접하면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는 산증인이 되고 싶은 마음이 우러납니다. 우리가 고난 중에도 복음을 전하려고 노력할 때 성령님께서 우리를 도와 잘 감당할 수 있게 해주십니다(8절). 우리도 케이시처럼 새로운 소명에 따라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1:6-14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사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디모데후서 1:9]
복음을 증거한 것이 언제였습니까? 그 결과는 어땠습니까?
혹 그것 때문에 고난을 당했습니까? 무슨 일이 있었습니까?
사랑하는 하나님, 성자 예수님을 통해 새 소명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또 우리 안에 성령을 주셔서 하나님을 섬기도록 인도하시고 능력 주시니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30/2021 Saturday
A NEW CALLING
Sometime later, he was placed in solitary confinement. While daydreaming in his cell, Casey experienced a “movie” of sorts replaying key events of his life—and of Jesus, being led to and nailed to the cross and telling him, “I’m doing this for you.” Casey fell to the floor weeping and confessed his sins. Later, he shared his experience with a chaplain, who explained more about Jesus and gave him a Bible. “That was the start of my journey of faith,” Casey said. Eventually, he was released into the mainline prison population, where he was mistreated for his faith. But he felt at peace, because “[he] had found a new calling: telling other inmates about Jesus.”
In his letter to Timothy, the apostle Paul talks about the power of Christ to change lives: God calls us from lives of wrongdoing to follow and serve Jesus (2 TIMOTHY 1:9). When we receive Him by faith, we desire to be a living witness of Christ’s love. The Holy Spirit enables us to do so, even when suffering, in our quest to share the good news (V. 8). Like Casey, let’s live out our new calling. - ALYSON KIEDA
Today's Reading
2 TIMOTHY 1:6–14He has saved us and called us to a holy life.
[ 2 TIMOTHY 1:9 ]
When have you shared the gospel with someone, and what was the result? 
Did it ever lead to suffering? What happened?
Dear God, thank You for offering me a new calling through Your Son. And thank You for giving me the Spirit to live inside me to guide and empower me to serve You.
오늘의 말씀
10/29/2021 금요일
우리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시는 하나님
우리는 흔히 천사들이 노래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노래하신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하나님’도 노래를 부르십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 당신 때문에 노래하신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까? 스바냐는 예루살렘에 전하는 메시지에서 “너의 하나님 여호와” 가 너로 말미암아 기쁨을 이기지 못하시며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3:17)고 분명히 말합니다. 이 메시지는 예루살렘에게 직접 말하는 것이지만, 하나님은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한 우리로 말미암아서도 즐거이 부르십니다. 하나님은 어떤 노래를 부르실까요? 성경에 명확히 쓰여있지는 않지만 우리는 그분의 사랑에서 우러나온 그 노래는 참되고, 경건하며, 옳고, 정결하며, 사랑받을 만하며, 칭찬받을 만하다는 것을 믿을 수 있습니다(빌립보서 4:8).
오늘의 성구
스바냐 3:14-17[하나님이] 너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시리라
[스바냐 3:17]
하나님께서 우리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신다는 것을 생각하면 어떤 기분이 듭니까? 
이것을 믿기가 어렵습니까, 아니면 위로가 됩니까? 왜 그렇습니까?
좋으신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이 나로 말미암아 즐거이 부르며 기뻐하신다는 것을 생각하면 큰 확신과 위로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Daily Article
10/29/2021 Friday
GOD SINGS OVER YOU
We usually think about angels singing. But when was the last time you thought about God singing? That’s right—God singing. And furthermore, when was the last time you thought about Him singing over you? Zephaniah is clear in his message to Jerusalem, “The Lord your God” takes great delight in you, so much so that He “rejoice[s] over you with singing” (3:17). Although this message speaks directly to Jerusalem, it’s likely God sings over us—those who have received Jesus as Savior—too! What song does He sing? Well, Scripture’s not clear on that. But the song is born out of His love, so we can trust it’s true and noble and right and pure and lovely and admirable (PHILIPPIANS 4:8). - JOHN BLASE
Today's Reading
ZEPHANIAH 3:14–17[God] will rejoice over you with singing.
[ ZEPHANIAH 3:17 ]
What feelings are stirred when you consider God singing over you?
Is that something unbelievable or something comforting? Why?
Good Father, the thought that You would sing over me in joy is such an assurance and comfort. Thank You.
오늘의 말씀
10/28/2021 목요일
하나님이 듣고 계실까?
일생 동안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이 내 기도를 들으실까?”라는 의문을 갖습니다. 나는 한나가 기도한 것처럼 아기를 갖게 해달라고 간청했지만 오랫동안 응답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아버지가 믿음을 갖게 해달라고 간구했지만 아버지는 어떤 분명한 신앙고백도 없이 돌아가셨습니다.
하나님께서 귀 기울여 들으신 무수한 사례가 수천 년에 걸쳐 기록되어 있습니다. 노예 생활에 시달리는 이스라엘의 신음소리를 들으시고(출애굽기 2:24), 시내산에서 모세를 들으시며(신명기 9:19), 길갈에서 여호수아를 들으시고 (여호수아 10:14), 아이를 간구하는 한나의 기도를 들으시며(사무엘상 1:10-17), 사울로부터 구해달라고 부르짖는 다윗의 간구를 들으셨습니다(사무엘하 22:7).
요한1서 5장 14절 말씀은 우리가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 이라”고 강조합니다. “듣는다”라는 말의 의미는 들은 것에 기초하여 주의를 기울이고 반응한다는 뜻입니다.
오늘 우리가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 그의 백성의 역사 속에서 하나님이 언제나 그들에게 귀를 기울이셨던 것을 확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간구를 들으십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5:13-15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요한1서 5:14]
최근에 하나님께 무엇을 구했는지 잠시 생각해 보십시오.  간구의 동기가 무엇이었습니까?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께서 제 기도를 들으신다고 말씀하시기에 믿고 간구하며 나아갑니다.
Daily Article
10/28/2021 Thursday
IS GOD LISTENING?
Over our lifetimes, most of us question, “Does God hear me?” I remember my own Hannah-like pleas for a child that went unanswered for years. And there were my pleas that my father find faith, yet he died without any apparent confession.
Etched across the millennia are myriad instances of God’s ear bending to listen: to Israel’s groans under slavery (EXODUS 2:24); to Moses on Mount Sinai (DEUTERONOMY 9:19); to Joshua at Gilgal (JOSHUA 10:14); to Hannah’s prayers for a child (1 SAMUEL 1:10–17); to David crying out for deliverance from Saul (2 SAMUEL 22:7).
First John 5:14 crescendos,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The word for “hears” means to pay attention and to respond on the basis of having heard.
As we go to God today, may we have the confidence of His
listening ear spanning the history of His people. He hears our
pleas. - ELISA MORGAN
Today's Reading
1 JOHN 5:13–15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
[ 1 JOHN 5:14 ]
Pause to consider what you’ve most recently asked of God. What motivated you to ask? 
How can you know that God hears you?
Father, I come asking and trusting You to hear me because You say that You 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