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06/2021 월요일
기꺼이 베푸는 기부자
니콜라스보다 더 오래 전에 바울 사도는 고린도의 신자들에게 기꺼이 내는 기부자가 되라고 권고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의 형제자매들이 겪는 극심한 재정적 어려움을 알리며 그들에게 아낌없이 도와줄 것을 권면하였습니다. 바울은 가진 것을 나눠주는 이들에게 오는 유익과 축복을 설명하면서,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 (고린도후서 9:6) 고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들이 기쁜 마음으로 너그러움을 베푼 결과 그들은 “모든 일에 넉넉하여” (11절) 졌고 하나님이 영광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이 성탄절 기간 뿐 아니라 일년 내내 기쁜 마음으로 베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하나님의 “형언할 수 없는 선물”인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우리에게 주신 (15절) , 그 놀라운 아버지의 관대한 베푸심에 감사드립니다.
오늘의 성구
고린도후서 9:6-15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 [고린도후서 9:7]
베푸시는 하나님, 베풀 때에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에게 넘치는 복을 주시는 하나님의 원리를 생각하며 제가 베푸는 사람이 되도록 힘을 더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이번 주에 당신의 도움이 필요한 곳은 어디입니까? 어떻게 당신의 시간과 가진 것을 아낌없이 줄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6/2021 MONDAY
CHEERFUL GIVER
Long before Nicholas, the apostle Paul urged the believers in Corinth to be cheerful givers. He wrote to them about the great financial needs of their brothers and sisters in Jerusalem and encouraged them to give generously. Paul explained to them the benefits
and blessings that come to those who give of their possessions. He reminded them that “whoever sows sparingly will also reap sparingly, and whoever sows generously will also reap generously” (2 CORINTHIANS 9:6) . As a result of their cheerful generosity, they would be “enriched in every way” (V. 11) , and God would be honored.
Father, would you help us to be cheerful givers not only during this Christmas season but all year long? Thank You for Your incredible generosity in giving us Your “indescribable gift,” Your Son, Jesus (V. 15). ESTERA PIROSCA ESCOBAR
Today's Reading
2 CORINTHIANS 9:6–15Each of you should give what you have decided in your heart to give, not reluctantly or under compulsion, for God loves a cheerful giver. [ 2 CORINTHIANS 9:7 ]
Thank You, giving God, for encouraging me to be generous because in Your economy, generosity will bring the giver and the receiver abundant blessings.
Where do you see a need you could help with this week? How could you give generously of your time or resources?
오늘의 말씀
12/05/2021 주일
그림으로 성경 가르치기
찰스 디킨스는 19세기 때 그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에서 이 타일이 성경을 설명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묘사했습니다. 그는 진기한 델프트 타일들로 겉이 둘러싸인, 한 네덜란드인이 만든 오래된 벽난로를 설명하면서 “그 타일들에는 가인과 아벨, 바로의 딸들, 스바의 여왕들... [그리고] 바다로 떠나는 사도들이 있었다.”고 했습니다. 많은 가정에서 식구들이 따뜻한 불 가에 모여 앉아 성경 이야기를 나눌 때 성경을 가르치는 도구로 이 타일을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공의, 사랑, 자비와 같은 성품에 대해 배웠습니다.
성경의 진리는 오늘날에도 계속 적용됩니다. 시편 78편은 우리에게 “옛날부터 감추어진 것, 우리가 이미 들어서 알고 있는 것, 우리 조상들이 우리에게 전해준 것”을 가르치라고 권면합니다 (2-3절, 현대인의 성경) . 시편은 계속해서 우리가 “주님의 영광스러운 행적과 능력과 그가 이루신 놀라운 일들을 미래의 세대에게 전하면” “그들도 그들의 자손에게 대대손손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4, 6절, 새번역).
우리가 하나님께서 마땅히 받으셔야 할 온전한 영광과 찬양을 드리기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도움으로 각 세대에게 성경의 진리를 설명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78:1-8우리가 이를 그들의 자손에게 숨기지 아니하고 여호와의 영예와 그의 능력과 그가 행하신 기이한 사적을 후대에 전하리로다 [시편 78:4]
사랑의 하나님, 성경에서 배운 것을 설명하는 방법을 보여주셔서 다른 사람들도 하나님의 경이로움을 알게 해주소서.
성경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성경의 진리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주님의 영광스러운 행적”에 대해 알아야 할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Daily Article
12/05/2021 SUNDAY
ILLUSTRATING SCRIPTURE
In the nineteenth century, Charles Dickens wrote in his book A Christmas Carol how these tiles were used to illustrate the Scriptures. He described an old fireplace built by a Dutchman paved with these quaint Delft tiles: “There were Cains and Abels, Pharaohs’ daughters; Queens of Sheba, . . . [and] Apostles putting off to sea.” Many households used these tiles as a teaching tool as the family gathered around the warmth of a fire and shared the stories of the Bible. They learned about God’s character—His justice, compassion, and mercy.
The truths of the Bible continue to be relevant today. Psalm 78 encourages us to teach the “hidden lessons from our past—stories we’ve heard and known, stories our ancestors handed down to us” (VV. 2–3 NLT) . It goes on to instruct us to “tell the next generation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his power, and the wonders he has done” and “they in turn [can] tell their children” (VV. 4, 6).
With God’s help, we can find creative and effective ways to illustrate the truths of Scripture to each generation as we strive to give God the full honor and praise He deserves. CINDY HESS KASPER
Today's Reading
PSALM 78:1–8We will tell the next generation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his power, and the wonders he has done. [ PSALM 78:4 ]
Loving God, show me ways to illustrate what I’ve learned from Scripture so others may know of Your wonders.
What ways have you found effective in illustrating the truths of the Bible to someone who’s new to Scripture? Who needs to know about the “praiseworthy deeds of the Lord”?
오늘의 말씀
12/04/2021 토요일
지금 세대
밀레니엄 세대를 폄하하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혹은 그 반대는요? 다른 세대를 향한 그릇된 생각 때문에 세대 간의 통로가 막힐 수 있습니다. 분명히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말입니다.
히스기야는 훌륭한 왕이었지만 다음 세대에 대해서는 관심이 부족했습니다. 젊은 시절 히스기야가 불치병에 걸렸을 때 (열왕기하 20:1) 그는 하나님께 살려 달라고 부르짖었습니다 (2-3절) . 그래서 하나님은 그에게 15년의 삶을 더해 주셨습니다 (6절).
그러나 히스기야는 그의 자녀들이 언젠가 포로로 잡힐 것이라는 무서운 소식을 듣고도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습니다 (16-18절) . 그는 “적어도 자기 시대에는 평화와 안전이 있을 것” (19절, 현대인의 성경)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히스기야는 자신의 안위에 쏟은 열정을 다음 세대를 위해서는 보여주지 못한 것 같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나누는 세대 간의 벽을 넘어 사랑하라고 하십니다. 나이 든 세대에게는 젊은 세대의 참신한 이상주의와 창의성이 필요하며, 반대로 젊은 세대는 윗 세대의 지혜와 경험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로를 비난하는 메시지나 슬로건이 아니라, 사려 깊게 생각들을 주고받는 것이 필요한 때입니다. 우리는 이 일에 함께 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
열왕기하 20:1-19히스기야가 낯을 벽으로 향하고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르되 [열왕기하 20:2]
하나님 아버지, 나와는 다른 세대들을 존중하지 않은 것을 용서하소서.
당신은 어떤 식으로 다른 세대를 무시했거나 무례히 대했다고 생각합니까?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주신 재능을 다른 세대를 위해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04/2021 SATURDAY
GENERATION NOW
Have you heard disparaging comments aimed at millennials? Or vice versa? Ill thoughts directed from one generation toward another can cut both ways. Surely there’s a better way.
Although he was an excellent king, Hezekiah showed a lack of concern for another generation. When, as a young man, Hezekiah was struck with a terminal illness (2 KINGS 20:1) , he cried out to God for his life (VV. 2–3) . God gave him fifteen more years (V. 6).
But when Hezekiah received the terrible news that his children would one day be taken captive, the royal tears were conspicuously absent (VV. 16–18) . He thought, “Will there not be peace and security in my lifetime?” (V. 19) . It may have been that Hezekiah didn’t apply the passion he had for his own well-being to the next generation.
God calls us to a love that dares to cross the lines dividing us. The older generation needs the fresh idealism and creativity of the younger, who in turn can benefit from the wisdom and experience of their predecessors. This is no time for snarky memes and slogans but for thoughtful exchange of ideas. We’re in this together. TIM GUSTAFSON
Today's Reading
2 KINGS 20:1–19Hezekiah turned his face to the wall and prayed to the Lord. [ 2 KINGS 20:2 ]
Forgive me, Father, for not appreciating others in a stage of life different from mine.
In what ways do you think you may have ignored or disrespected others from a different age group? How might you use the gifts God has given you to serve them?
오늘의 말씀
12/03/2021 금요일
진정한 정체성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알게 될 때 주님은 우리에게 사랑으로 관을 씌우시며 하나님의 자녀라고 부르십니다 (요한1서 3:1) . 그리고 우리에게 믿음으로 인내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셔서 “그가 강림하실 때에 우리로 담대함을 얻어 그 앞에서 부끄럽지 않게” (2:28) 하십니다. 주님은 우리를 있는 그대로 받아 주시지만 주님의 사랑은 우리를 깨끗하게 하고 주님과 같은 모습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3:2-3) . 주님은 우리에게 그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하시고, 우리를 죄에서 돌이키게 하시는 그 능력으로 기쁨 가운데 회개하게 도우십니다 (7-9절) . 우리는 우리 마음속에 감춰져 있는 주님의 진리와 우리 삶에 임재하시는 성령님과 더불어 신실하게 순종하며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10절) .
그날 내 친구에게 작은 왕관이나 다른 장신구가 정말 필요한 것은 아니었지만, 우리 두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사랑하는 자녀로서의 우리의 가치를 다시 기억시켜 줄 어떤 것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요한1서 2:28-3:10보라 아버지께서 어떠한 사랑을 우리에게 베푸사 하나님의 자녀라 일컬음을 받게 하셨는가 [요한1서 3:1]
사랑의 하나님, 제가 누구인지는 제가 누구의 것인지에 달려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하나님의 것, 오직 하나님의 것입니다.
당신의 결점이나 과거의 실패가 자신의 정체성을 결정짓도록 한 적이 있습니까? 하나님의 자녀로서 사랑받고 선택받고 면류관을 받았다는 것을 알면 의와 사랑 안에서 사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Daily Article
12/03/2021 FRIDAY
TRUE IDENTITY
God and others, whose genuine kindness, generosity, and faithfulness have made a difference in so many lives.” When I noticed the tears brimming her eyes, I said, “I think you need a tiara!” Later that afternoon, we picked out the perfect crown for my friend so she would never forget her true identity.
When we come to know Jesus personally, He crowns us with love and calls us His children (1 JOHN 3:1) . He gives us the power to persevere in faith so that “we may be confident and unashamed before him at his coming” (2:28) . Though He accepts us as we are, His love purifies us and transforms us into His likeness (3:2–3) . He helps us recognize our need for Him and repent as we rejoice in the power to turn away from sin (VV. 7–9) . We can live in faithful obedience and love (V. 10) , with His truth hidden in our hearts and His Spirit present in our lives.
My friend didn’t really need a tiara or any other trinket that day. But we both needed the reminder of our worth as God’s beloved children. XOCHITL DIXON
Today's Reading
1 JOHN 2:28–3:10See what great love the Father has lavished o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children of God! [ 1 JOHN 3:1 ]
Loving God, thank You for reminding me that who I am is based on whose I am—Yours, simply Yours.
What personal faults and past failings have you allowed to determine your identity? How can knowing you’re loved, chosen, and crowned as God’s child help you live in righteousness and love?
오늘의 말씀
12/02/2021 목요일
다양성을 누림
부르는 동안 학생들은 서 있으면서 서로 환호해주었습니다. 한 고등학교 안에 60개 나라가 모인 것입니다.
다양함 가운데 연합한 그 아름다운 모습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한 가지를 강력히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사람들이 하나로 어울려 사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절기를 따라 예루살렘에 들어가며 불렀던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인 시편 133편에서 우리는 하나님 백성들 사이의 연합을 격려하는 것을 봅니다. 이 시편은 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차이가 있음에도 연합하여 사는 삶의 유익을 일깨워줍니다 (1절) . 연합은 상쾌한 이슬 (3절) 이나 제사장 직분을 위임하기 위해 머리에 부었던 관유 (출애굽기 29:7) 가 제사장의 머리와 수염, 의복에 “흘러내리는” (2절) 것 같은 생생한 이미지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런 이미지들은 다 우리가 연합할 때 하나님의 축복이 담아두지 못할 만큼 넘치게 흐른다는 사실을 강조해 줍니다.
인종이나 국적, 나이는 달라도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성령 안에서 더 깊은 연합이 있습니다 (에베소서 4:3) . 우리가 함께 서서 예수님이 이끄시는 대로 하나됨을 누릴 때,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차이들을 받아들이게 되고 진정한 연합을 이루신 분을 기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33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 [시편 133:1]
하늘에 계신 아버지,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과 연합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제가 맡은 역할을 다 하게 하소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연합의 좋은 점을 언제 경험하셨습니까? 그것이 어떻게 축복이 되었습니까?
Daily Article
12/02/2021 THURSDAY
CELEBRATING DIVERSITY
of the country where they were born: Afghanistan, Bolivia, Bosnia . . . . The principal kept going until he’d named sixty countries and every student was standing and cheering together. Sixty countries; one high school.
The beauty of unity amid diversity was a powerful image that celebrated something near to God’s heart—people living together in unity.
We read an encouragement for unity among God’s people in Psalm 133, a psalm of ascent—a song sung as people entered Jerusalem for annual celebrations. The psalm reminded the people of the benefits of living harmoniously (V. 1) despite differences that could cause division. In vivid imagery, unity is described as refreshing dew (V. 3) and oil—used to anoint priests (EXODUS 29:7) —“running down” the head, beard, and clothing of a priest (V. 2) . Together, these images point to the reality that in unity God’s blessings flow so lavishly they can’t be contained.
For believers in Jesus, despite differences such as ethnicity, nationality, or age, there’s a deeper unity in the Spirit (EPHESIANS 4:3). When we stand together and celebrate that common bond as Jesus leads us, we can embrace our God-given differences and
celebrate the source of true unity. LISA M. SAMRA
Today's Reading
PSALM 133How good and pleasant it is when God’s people live together in unity! [ PSALM 133:1 ]
Heavenly Father, help me do my part to live in unity with all of God’s people.
When have you experienced the goodness of unity in Christ? How has it brought blessing?
오늘의 말씀
12/01/2021 수요일
교회 공동체는 필요합니다
물론 이것이 우리가 교회에 가는 유일한 이유는 결코 아니지만, 그의 대답은 히브리서 기자의 마음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신자들에게 믿음 안에서 인내하라고 권면하면서, 그 목표를 위해 “모이기를 폐하지 말라” (히브리서 10:25) 고 강조했습니다. 왜냐하면 모이지 않으면 “서로 격려하는” 중요한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25절, 현대인의 성경). 우리는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 (24절) 하기 위해 상호간의 격려가 필요합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함께 모이기를 계속하십시오. 어쩌면 반대로 당신에게 그들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오늘의 성구
히브리서 10:19-25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그 날이 가까움을 볼수록 더욱 그리하자 [히브리서 10:25]
하늘에 계신 아버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예배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할 때 아버지의 이름으로 사람들을 격려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나 자신에 너무 사로잡혀 그들을 그냥 지나칠 때 저를 용서해 주소서.
교회에 가거나 가지 않는 주요한 이유 네 가지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면 함께 모이는 것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게 됩니까?
Daily Article
12/01/2021 WEDNESDAY
WE NEED OUR CHURCH COMMUNITY
Now by no means is that the only reason we go to church, but his response does resonate with the heartbeat of the writer to the Hebrews. He urged the believers to persevere in the faith, and to achieve that goal he stressed “not giving up meeting together”
(HEBREWS 10:25) . Why? Because something vital would be missed in our absence: “encouraging one another” (V. 25) . We need that mutual encouragement to “spur one another on toward love and good deeds” (V. 24).
Brothers and sisters, keep meeting together, because someone may need you there. And the corresponding truth is that you may need them as well.
JOHN BLASE
Today's Reading
H E B R E W S 10:19–25[Let us] not [give] up meeting together, as some are in the habit of doing, but [encourage] one another. [ HEBREWS 10:25 ]
Heavenly Father, as I meet with others to worship and praise Your name, help me to also encourage others in Your name. Forgive me when I overlook the latter because I’m too preoccupied with myself.
What are the top four reasons you either go to church or don’t go? How does knowing “someone may need you there” make you feel about meeting together?
오늘의 말씀
11/30/2021 화요일
큰 빛
이사야 선지자는 폭력과 탐욕이 넘치고 반항과 고뇌로 산산이 부서진 음울한 흑암의 세상을 묘사했습니다(이사야 8:22). 폐허 밖에 없고, 희망의 촛불이 깜박이다가 희미해지면서 잠깐 반짝이다가 어둠의 허무 속으로 사라집니다. 하지만 이사야는 이 어둠의 절망이 끝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곧 “전에 고통받던 자들에게는 흑암이 없을 것입니다”(9:1). 하나님은 그의 백성들을 결코 그늘진 폐허에 내버려두지 않으실 것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자기 백성들에게 희망을 선포하며, 죄가 드리운 흑암을 몰아 내실 예수님이 오실 때를 언급했습니다.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이제는 이사야의 말이 새로운 의미로 다가옵니다. 이사야는 말합니다. “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사망의 그늘진 땅에 거주하던 자에게 빛이 비치도다”(2절).
밤이 얼마나 어둡든지, 우리의 상황이 얼마나 절망적인지 상관없이, 우리는 이 흑암 속에서 절대로 버림받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여기 계십니다. 큰 빛이신 예수님이 빛을 비추십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9:1-3흑암에 행하던 백성이 큰 빛을 보고 [이사야 9:2]
당신은 얼마나 자주 어둠과 절망을 경험합니까? 예수님의 이미지를 큰 빛으로 생각해 보십시오. 이 빛이 어떻게 새로운 희망을 갖게 합니까?
하나님, 너무 어둡습니다. 가끔은 이 어둠이 저를 삼켜버릴까 두렵습니다. 저의 큰 빛이 되셔서 빛나는 사랑으로 저를 비춰 주소서.
Daily Article
11/30/2021 Tuesday
A GREAT LIGHT
The prophet Isaiah described a world of brooding darkness, one overrun by violence and greed, shattered by rebellion and anguish (ISAIAH 8:22). Nothing but ruin; hope’s candle flickering and fading, sputtering before succumbing to dark nothingness. And yet, Isaiah insisted, this dim despair was not the end. Because of God’s mercy, soon “there will be no more gloom for those who were in distress” (9:1). God would never abandon His people in shadowy ruin. The prophet announced hope for his people then and pointed to the time when Jesus would come to dispel the darkness sin has caused.
Jesus has come. And now we hear Isaiah’s words with renewed meaning: “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a seen a great light,” Isaiah says. “On those living in the land of deep darkness a light has dawned” (V. 2).
No matter how dark the night, no matter how despairing our circumstances, we’re never forsaken in the dark. Jesus is here. A great Light shines. WINN COLLIER
Today's Reading
ISAIAH 9:1–3The people walking in darkness have seen a great light. [ ISAIAH 9:2 ]
How are you prone to experience darkness and despair? Consider this image of Jesus as the great light— how does this light renew you with hope?
God, there’s so much darkness. I fear sometimes that the darkness will overwhelm me. Be my great light. Shine on me with radiant love.
오늘의 말씀
11/29/2021 월요일
반대와 맞서 하나님을 신뢰함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옛날 바벨론에서 포로 생활을 하던 유다의 세 젊은이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처럼 반대에 맞서서 하나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다니엘서를 보면 그들은 죽음의 위협을 당했을 때에도 느부갓네살 왕의 모습으로 만든 큰 금상에 절하기를 거부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을 보호하실 수 있으며, 만약 “그렇게 하지 아니하실지라도”(다니엘 3:18) 하나님을 섬기겠다고 단호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그들이 풀무불 가운데로 던져졌을 때 하나님은 실제로 그들의 고난과 함께 하셨습니다(25절). 놀랍게도 그들은 “머리털도 그을리지” 않고 살아남았습니다(27절).
우리가 믿음의 행위 때문에 고난이나 박해를 겪을 때, 결과가 비록 우리가 바라던 바와 달리 나타난다 해도 하나님께 순종하겠다고 결심하면, 우리를 강하게 하시고 지탱시켜 주시는 성령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과거와 현재의 여러 사례들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다니엘 3:13-18, 25-27그렇게 하지 아니하실지라도... 우리가 왕의 신들을 섬기지도 아니하고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도 아니할 줄을 아옵소서 [다니엘 3:18]
당신은 “그렇게 하지 않으실지라도” 하나님을 따르기로 선택한 경우들이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그때 어떻게 함께 하셨습니까?
하나님, 저를 아낌없이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령 반대에 부딪혀도 기쁨으로 하나님을 따르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9/2021 Monday
TRUSTING GOD IN OPPOSITION
Serving God in the face of opposition is a reality for many today just as it was for Shadrach, Meshach, and Abednego, three young Israelites living in captivity in Babylon. In the book of Daniel, we learn that they refused to pray to a large golden image of King Nebuchadnezzar even when threatened with death. The men testified that God was capable of protecting them, but they chose to serve Him “even if” He didn’t rescue them (DANIEL 3:18). When they were thrown into the fire, God actually joined them in their suffering (V. 25). To everyone’s amazement, they survived without even “a hair of their heads singed” (V. 27).
If we face suffering or persecution for an act of faith, ancient and modern examples remind us that God’s Spirit is present with us to strengthen and sustain us when we choose to obey Him, “even if” things turn out differently than we hope. LISA M. SAMRA
Today's Reading
DANIEL 3:13–18, 25–27But even if he does not . . . we will not serve your gods or worship the image of gold you have set up. [ DANIEL 3:18 ]
What are some ways you’ve chosen to follow God “even if”? What are ways He’s been with you?
God, thank You for loving me so generously. Help me to follow You with joy even in the face of opposition.
오늘의 말씀
11/28/2021 주일
상처에 모욕을 더함
욥의 삶은 그런 고통스러운 현실을 보여줍니다. 초기에는 믿음의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절망에 빠지게 되자, 그의 친구들은 상처에 모욕을 더하여 그를 더 아프게 했습니다. 친구들은 욥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4:7-8) 하나님이 고쳐 주시는 것에서 배울 수 있다면, 그가 당면한 문제 앞에서도 웃을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그럴듯한 주장을 펼쳤습니다(5:22).
욥의 “위로자들”은 좋은 의도로 그렇게 말했겠지만 너무나 틀린 생각이었습니다(1:6-12). 그들은 앞으로 “친구들이 그와 같다면 누가 적이 필요할까?”라는 예가 될 거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욥이 그들을 구하려 그들을 위해 기도한다고는, 아니 그들에게 왜 기도가 필요하게 될지를 전혀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42:7-9).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장 큰 기쁨을 위해 엄청난 오해를 겪으셨던 주님을 고소하는 자의 모습을 그들이 어떻게 미리 보여주게 되었는지도 결코 상상할 수 없었습니다.
오늘의 성구
욥기 5:17-27사람은 고생을 위하여 났으니 불꽃이 위로 날아 가는 것 같으니라 [욥기 5:7]
사람들이 당신을 잘못 판단했을 때 어떤 느낌이 들었습니까? 당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던 적은 없었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욥의 친구들처럼 저도 다른 사람들이 문제가 있을 때 그럴 만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소자의 말과 생각보다는 성령 안에서 이 하루를 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8/2021 Sunday
INSULT TO INJURY
The life of Job unfolds in such troubled realism. When his early expressions of faith eventually gave way to despair, his friends multiplied his pain by adding insult to injury. With good sounding arguments they insisted that if he could admit his wrongs (4:7–8) and learn from God’s correction, he would find strength to laugh in the face of his problems (5:22).
Job’s “comforters” meant well while being so wrong (1:6–12). Never could they have imagined that they would one day be invoked as examples of “With friends like that, who needs enemies?” Never could they have imagined the relief of Job praying for them, or why they would need prayer at all (42:7–9). Never could they have imagined how they foreshadowed the accusers of the One who suffered so much misunderstanding to become the source of our greatest joys. MART DEHAAN
Today's Reading
JOB 5:17–27Man is born to trouble as surely as sparks fly upward. [ JOB 5:7 ]
How have others misjudged you, and how did you feel? When have you been critical of others whose pain you didn’t understand?
Father, like Job’s friends, I’m inclined to assume that the troubles of others are somehow deserved. Please help me live this day in the Spirit of Your Son rather than in the words and thoughts of the accuser.
오늘의 말씀
11/27/2021 토요일
담대한 믿음
베드로 사도는 예수님을 믿는 믿음 때문에, 그리고 하나님께 쓰임 받아 “못 걷는 사람”(사도행전 4:9)을 고친 것 때문에 강한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그리스도를 담대하게 증거하는 기회로 사용했습니다 (8-13절).
오늘날 우리도 베드로처럼 강한 반대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3절). 하지만 우리에게는 우리의 죄값으로 죽으시고 용서의 능력을 보여주시기 위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며(10절)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12절) 그분에 대한 이야기를 꼭 들어야 할 가족과 직장 동료, 학교 친구, 그리고 우리가 아는 다른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수님에게 있는 구원의 좋은 소식을 그들이 들을 수 있도록 기도하는 마음으로 담대하게 선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4:8-13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사도행전 4:12]
오늘 어떻게 담대하게 예수님을 증거하시겠습니까? 주님에 대해 사람들에게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담대히 증거하기 위해 어떻게 더 잘 준비할 수 있을까요?
하나님 아버지, 저를 위해 하신 일에 감사드립니다. 저의 믿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 이름으로 담대하게 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Daily Article
11/27/2021 Saturday
BOLD FAIT
The apostle Peter faced opposition due to his faith in Jesus and for being used by God to heal a “man who was lame” (ACTS 4:9). But he used the opportunity to boldly speak for Christ (VV. 8–13).
Today, like Peter, we too may face opposition (V. 3), yet we have family members, co-workers, fellow students, and others we know who desperately need to hear about the One in whom “salvation is found” (V. 12), who died as payment for our sins and was raised from the dead as proof of His power to forgive (V. 10). May they hear as we prayerfully and boldly proclaim this good news of salvation found in Jesus.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ACTS 4:8–13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 ACTS 4:12 ]
How will you boldly share Jesus today? What keeps you from telling others about Him? How can you be better prepared to do so?
Father, thank You for what You’ve done for me. Help me, in Jesus’ name, to boldly share my faith with oth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