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Bread Detail Page - 오늘의 양식 내용

오늘의 말씀

12/26/2021     주일

성경읽기: 학개 1-2; 요한계시록 17
찬송가: 218(통369)

때맞은 해결

사이먼과 제프리 사이의 상처가 해결이 안 된 채로 몇 년이 지나면서 관계 회복을 위한 사이먼의 노력도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제프리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은 사이먼은 케냐의 “오지”로 가서 제프리 어머니의 장례식에 참석했습니다. 사이먼은 그날의 만남을 이렇게 회상합니다. “모든 일이 어떻게 되어갈지 아무런 기대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장례식이 끝난 후, 우리는 마음을 열고 유익한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우리는 서로를 안아주며 그 순간을 나누면서 함께 기도했고, 다시 만나기로 약속했습니다.” 사이먼과 제프리가 서로 좀 더 일찍 화해할 수 있었다면 그렇게 오랫동안 이어져왔던 고통을 피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마태복음 5:21-26에서 예수님이 하신 말씀은 해결되지 않은 인간관계에서 오는 긴장감을 균형 있는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해줍니다. 그 같이 갈라서게 만드는 분노는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22절) . 더 나아가 관계를 올바로 정립하는 것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데 있어 꼭 필요한 준비 과정입니다 (23-24절) . “너를 고소하는 사람과... 얼른 화해하도록 하여라” (25절, 새번역) 는 예수님의 지혜로운 말씀은 우리가 화해를 위해 더 일찍 노력할수록 모두에게 더 좋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관계에는 위험이 따릅니다. 그래서 우리의 가정과 직장에서, 교육 현장에서,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같은 믿음을 나누는 사람들 가운데서도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평강의 왕” (이사야 9:6) 이신 예수님을 대표하는 자인 우리가 먼저 우리와 해결되지 않은 갈등관계에 있는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우리의 마음과 손을 내밀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성구

마태복음 5:21-26
너를 고발하는 자와 급히 사화하라 [마태복음 5:25]

하나님 아버지, 제 삶의 어디에 관계의 균열이 있는지를 아십니다. 해결을 시도하기에 게으른 저를 용서하시고, 제게 힘주셔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게 해주소서.

먼저 다가가 관계를 원만히 풀어야 할 사람이 혹시 생각나십니까? 그 일을 미루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Daily Article

12/26/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HAGGAI 1–2; REVELATION 17
Hymn: 218(OLD 369)

TIMELY RESOLUTION

The unresolved hurt between Simon and Geoffrey had persisted for years, and Simon’s attempts to reenter the relationship had been resisted. Upon hearing the news of the death of Geoffrey’s mother, Simon traveled “up country” in Kenya to attend her funeral service. Simon reflected on their encounter: “I had no expectations at all in terms of how the whole thing would turn out, [but] after the service, we opened up and had a fruitful talk. We hugged, shared the moment, prayed together, and planned to
meet again.” If only Simon and Geoffrey had been able to reconcile earlier, so much ongoing pain could have been avoided.

The words of Jesus in Matthew 5:21–26 help to put unresolved relational tensions in perspective. The anger that can lead to such rifts is a serious matter (V. 22) . Furthermore, getting things in order relationally is a fitting prelude to worshiping God (VV. 23–24) . The wise words of Jesus to “settle matters quickly with your adversary” (V. 25) remind us that the sooner we do what we can to work toward reconciliation the better for all.

Relationships are risky; they demand work—in our families, in the workplace, in educational settings, and among people who share our faith in Christ. But as those who represent Him, the “Prince of Peace” (ISAIAH 9:6) , may we find ourselves going out of
our way to extend our hearts and hands to those with whom we have unresolved conflict. ARTHUR JACKSON

Today's Reading

MATTHEW 5:21–26
Settle matters quickly with your adversary. [ MATTHEW 5:25 ]

Father, You know where the relational fissures are in my life. Forgive me for my slowness to attempt resolution. Give me the strength to take the next steps.

Who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of someone you need to reach out to so that relational healing might begin? What’s keeping you from doing so?

오늘의 말씀

12/25/2021     토요일

성경읽기: 스바냐 1-3; 요한계시록 16
찬송가: 114(통114)

성탄절 아기

씨앗에서 향나무로 자라도록 하신 이가 하나의 배아로 생명을 시작하시는 것을 상상해보십시오. 하늘의 별들을 만드신 이가 자궁안으로 들어가시는 것을, 하늘을 채우시는 이가 오늘날 초음파의 작은 점 같은 존재가 되는 것을 상상해보십시오. 근본 하나님의 본체이신 예수님께서 자신을 비워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셨습니다 (빌립보서 2:6-7) . 생각만 해도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예수님이 평범한 농촌 마을에서 목동과 천사들, 그리고 환한 하늘의 빛 가운데 가축들의 울음소리를 자장가 삼아 태어났던 상황을 상상해보십시오. 그의 키가 자라며 더욱 사랑스러워져 가는 것을 보십시오. 소년 시절에는 어려운 질문들에 대답을 잘해 선생들을 놀라게 했고, 청년이 되어서는 요단강에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게 승인을 받고, 광야에서 금식과 기도로 씨름하시는 것을 보십시오.

다음으로 병든 자들을 고치시고, 나병환자들을 만지시며, 부정한 자들을 용서하시는 등, 세상을 바꾸는 사역을 시작하시는 것을 보십시오. 동산에서 번민 속에 무릎 꿇어 기도하는 모습을, 자신이 붙잡힐 때 가장 가까운 벗들이 도망치는 모습을 보십시오. 침 뱉음을 당하며, 이 세상의 죄를 그 어깨에 짊어지고 두 개의 나무판에 못 박히시는 모습을 보십시오. 하지만 잘 보십시오. 바위가 굴러가고 그분이 다시 살아나심으로 무덤은 텅 비어 공허하게 된 것을! 그분이 지극히 높은 곳으로 올라가시는 것을 (9절) , 그리고 그의 이름이 하늘과 땅에 가득 차는 것을 보십시오 (10-11절).

초음파의 한 작은 점이 되신 이 별들의 창조자, 이분이 우리의 성탄절 아기입니다.

오늘의 성구

빌립보서 2:6-11
그는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빌립보서 2:7]

예수님, 저의 죄를 사하시려고 스스로를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만드신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예수님께서 태어나시지 않았다면 인생과 역사가 어떻게 되었을까요? 하나님께 감사하기 위해 어떤 기도나 찬미시를 하나님께 드리시겠습니까?

Daily Article

12/25/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ZEPHANIAH 1–3; REVELATION 16
Hymn: 114(OLD 114)

CHRISTMAS CHILD

Imagine the One who made cedars spring from seeds starting life over as an embryo; the One who made the stars submitting Himself to a womb; the One who fills the heavens becoming what would be in our day a mere dot on an ultrasound. Jesus, in
very nature God, making Himself nothing (PHILIPPIANS 2:6–7) . What an astonishing thought!

Imagine the scene as He’s born in a plain peasant village, among shepherds and angels and bright lights in the sky, with the bleating of animals His first lullabies. Watch as He grows in favor and stature: as a youngster, astounding teachers with answers to grand questions; as a young man at the Jordan, getting His Father’s approval from heaven; and in the wilderness, as He wrestles in hunger and prayer.

Watch next as He launches His world-changing mission—healing the sick, touching lepers, forgiving the impure. Watch as He kneels in a garden in anguish and as they arrest Him while His closest friends flee. Watch as He is spat on and nailed to two
wooden posts, the world’s sins on His shoulders. But watch, yes watch, as the stone rolls away, an empty tomb ringing hollow, because He is alive!

Watch as He is lifted to the highest place (V. 9) . Watch as His name fills heaven and earth (VV. 10–11).

This Maker of the stars who became a dot on an ultrasound. This, our Christmas Child. SHERIDAN VOYSEY

Today's Reading

PHILIPPIANS 2:6–11
He made himself nothing by taking the very nature of a servant, being made in human likeness. [ PHILIPPIANS 2:7 ]

Jesus, thank You for making Yourself nothing so I could be forgiven.

What would life and history be like had Jesus never been born? What prayer or poem can you offer God to thank Him?

오늘의 말씀

12/24/2021     금요일

성경읽기: 하박국 1-3; 요한계시록 15
찬송가: 412(통469)

평강의 왕

존은 감기가 폐렴으로 진행되어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같은 시기에 그의 어머니도 암 진단을 받고 같은 병원의 위층에 입원하게 되자 존은 어머니와 자신의 건강을 걱정하며 너무 힘들어 했습니다. 그러던 중 성탄 전야에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캐럴 “거룩한 밤”을 들으면서 하나님의 평강이 그의 가슴 깊이 흘러 넘쳤습니다. 그는 사랑의 구주께서 태어나신 밤을 노래하는 가사를 귀기울여 들었습니다. “온 땅이 주의 나심 기뻐하며 희망의 아침 밝아오도다.” 그 순간, 자신과 어머니에 대한 걱정이 사라졌습니다.

우리에게 나신 “사랑의 구주” 예수님은 이사야가 예언했듯이 “평강의 왕”이십니다 (이사야 9:6) . 예수님은 아기로 이 세상에 오셔서 “죽음의 그림자가 둘린 땅에 사는 자들”에게 빛과 구원을 주시면서 이 예언을 성취하셨습니다 (마태복음 4:16; 이사야 9:2 참조) . 예수님은 그분이 사랑하는 사람들이 환난과 죽음을 맞이할 때조차도 평강을 보여주시고 평강으로 인도해 주십니다.

그 병원에서 존은 예수님의 탄생을 묵상하면서 모든 지각에 뛰어난 평강을 경험했습니다 (빌립보서 4:7) . 이렇게 하나님을 만난 경험은 그가 성탄절에 가족과 떨어져 무균실에 누워있을 때에도 그의 믿음과 감사의 마음을 굳건히 해주었습니다. 우리도 모두 하나님으로부터 평강과 소망의 선물을 받기를 기원합니다.

오늘의 성구

이사야 9:1-7
그의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이사야 9:6]

평강의 하나님, 제가 많은 일로 고민되고 방황할 때 하나님께로 돌이켜 평강의 선물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하나님의 평강을 경험해 보셨습니까? 이사야 9장 6절에 나오는 하나님의 이름 중 어느 이름이 당신에게 지금 가장 절실히 필요합니까? 왜 그렇습니까?

Daily Article

12/24/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HABAKKUK 1–3; REVELATION 15
Hymn: 412(OLD 469)

THE PRINCE OF PEACE

When John’s cold turned into pneumonia, he ended up in the hospital. At the same time, his mother was being treated for cancer a few floors above him, and he felt overwhelmed with worries about her and about his own health. Then on Christmas Eve, when the radio played the carol “O Holy Night,” John was flooded with a deep sense of God’s peace. He listened to the words about it being the night of the dear Savior’s birth: “A thrill of hope the weary soul rejoices, for yonder breaks a new and glorious morn!” In that moment, his worries about himself and his mother vanished.

This “dear Savior” born to us, Jesus, is the “Prince of Peace,” as Isaiah prophesied (ISAIAH 9:6) . Jesus fulfilled this prophecy when He came to earth as a baby, bringing light and salvation to “those living in the land of the shadow of death” (MATTHEW 4:16; SEE ISAIAH 9:2). He embodies and gives peace to those He loves, even when they face hardship and death.

There in the hospital, John experienced the peace that passes all understanding (PHILIPPIANS 4:7) as he pondered the birth of Jesus. This encounter with God strengthened his faith and sense of gratitude as he lay in that sterile room away from his family at Christmas. May we too receive God’s gift of peace and hope. AMY BOUCHER PYE

Today's Reading

ISAIAH 9:1–7
And he will be called Wonderful Counselor, Mighty God, Everlasting Father, Prince of Peace. [ ISAIAH 9:6 ]

God of peace, when I’m anxious and fretting about many things, help me to turn to You and receive Your gift of peace.

How have you experienced God’s peace in the midst of a difficult situation? Which aspect of God in Isaiah 9:6 do you most need today? Why?

오늘의 말씀

12/23/2021     목요일

성경읽기: 나훔 1-3; 요한계시록 14
찬송가: 449(통377)

그들이 어떻게 알까

태국 북부에 있는 “개더링(모임) 교회”는 교파를 초월한 다국적 교회입니다. 최근 어느 주일에 한국, 가나, 파키스탄, 중국, 방글라데시, 미국, 필리핀, 그리고 다른 나라들에서 온 신도들이 다 함께 한 허름한 호텔의 회의실에 모였습니다. 그들은 “오직 예수”와 “나는 하나님의 자녀” 같은 찬송가를 함께 불렀는데, 그 가사들은 그 상황 때문에 더욱 마음에 깊이 와 닿았습니다.

어느 누구도 예수님이 하신 것처럼 사람들을 함께 모을 수 없습니다. 예수님은 처음부터 그런 분이셨습니다. 초대교회 당시 안디옥에는 18 개의 다른 민족이 모여 살면서, 각 민족은 도시에 그들만의 구역을 만들어 따로 살고 있었습니다. 신자들이 처음 안디옥에 왔을 때에는 “유대인에게만” 예수님의 말씀을 전했습니다 (사도행전 11:19) . 그러나 그것은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이 아니었습니다. 곧 다른 신자들이 와서 “그리이스 사람 [이방인]들에게도 주 예수님에 대한 기쁜 소식을 전파하니” “많은 사람들이 주님을 믿게 되었습니다” (20-21절, 현대인의 성경) . 그 도시의 사람들은 예수님이 오랜 세월에 걸쳐 있었던 유대인과 헬라인 사이의 반목을 치유하시는 것을 보았으며, 이 다민족 교회를 “그리스도인” 혹은 “작은 그리스도” (26절) 라고 불러야 한다고 선포했습니다.

민족적, 사회적, 경제적 경계를 넘어 우리와 다른 그들을 껴안는 일은 어려운 일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은 우리에게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이 일이 어렵지 않다면 우리가 그렇게 하는데 예수님이 필요하지도 않을 것이며, 우리가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을 알아차릴 사람도 별로 없을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사도행전 11:19-26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 [사도행전 11:26]

예수님, 주님의 사랑으로 제가 그리스도인이라는 것을 그들이 알 수 있게 해주소서.

우리와는 다른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일이 왜 그토록 어려울까요?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예수님께서 주신 것이 무엇입니까?

Daily Article

12/23/2021     THURSDAY

The Bible in One Year: NAHUM 1–3; REVELATION 14
Hymn: 449(OLD 377)

HOW THEY’LL KNOW

“The Gathering” in northern Thailand is an interdenominational, international church. On a recent Sunday,believers in Jesus from Korea, Ghana, Pakistan, China, Bangladesh, the US, the Philippines, and other countries came together in a humble, thread-worn hotel conference room. They sang “In Christ Alone” and “I Am a Child of God,” lyrics that were especially poign­ ant in that setting.

No one brings people together like Jesus does. He’s been doing it from the start. In the first century, Antioch contained eighteen different ethnic groups, each living in its own part of the city. When believers first came to Antioch, they spread the word about Jesus “only among Jews” (ACTS 11:19) . That wasn’t God’s plan for the church, however. Others soon came who “began to speak to Greeks [gentiles] also, telling them the good news about the Lord Jesus,” and “a great number of people believed and turned to the Lord” (VV. 20–21) . People in the city noticed that Jesus was healing centuries of animosity between Jews and Greeks, and they declared this multi-ethnic church should be called “Christians,” or “little Christs” (V. 26).

It can be challenging for us to reach across ethnic, social, and economic boundaries to embrace those different from us. But this difficulty is our opportunity. If it wasn’t hard, we wouldn’t need Jesus to do it. And few would notice we’re following Him. MIKE WITTMER

Today's Reading

ACTS 11:19–26
The disciples were called Christians first at Antioch. [ ACTS 11:26 ]

Jesus, may they know I’m a Christian by Your love.

Why is it so challenging to reach out to those who are different from you? What has Jesus provided to help you do so?

오늘의 말씀

12/22/2021     수요일

성경읽기: 미가 6-7; 요한계시록 13
찬송가: 475(통272)

가상 공간에서 함께 하는 것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구 전역에 창궐함에 따라 보건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고했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국민들에게 자가 격리 또는 자택 격리를 요청했습니다. 기업들은 가능하면 직원들이 재택근무를 하도록 했고, 어떤 사람들은 실직으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처럼 나도 온라인을 통해서 교회 예배와 소그룹 모임에 참여했습니다. 비록 물리적으로는 서로 단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한 세계로서 새로운 형태로 함께 모이는 것을 실천하였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만 유대감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된 지체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바울은 오래전에 이 개념을 골로새서에서 설명했습니다. 그가 골로새 교회를 직접 세우지는 않았지만 골로새 교인들과 그들의 믿음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직접 그들과 함께 할 수는 없었지만, “심령으로는 [그들과] 함께 있다” (골로새서 2:5) 고 일깨워 주었습니다.

경제적인 이유, 건강상의 이유, 아니면 다른 이유들로 사랑하는 사람들과 항상 같이 할 수는 없지만 과학기술로 그 간격을 메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상 공간에서의 어떤 형태의 만남도 주님의 몸된 교회의 지체로서 “함께하는” 경험 (고린도전서 12:27) 과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게 함께할 때마다 우리는 바울처럼 서로의 견고한 믿음을 보면서 기뻐할 수 있고,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 (골로새서 2:2) 를 온전히 알아가도록 서로 격려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골로새서 2:1-5
이는 내가 육신으로는 떠나 있으나 심령으로는 너희와 함께 있어 [골로새서 2:5]

예수님, 다른 사람들이 나와 함께 있지 못할 때에도 주님이 저와 함께하여 주시니 고맙습니다. 성령님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연결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다른 지체들과의 유대감을 어떻게 경험해 보셨습니까? 오늘 당신의 격려의 기도가 필요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Daily Article

12/22/2021     WEDNES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6–7; REVELATION 13
Hymn: 475(OLD 272)

VIRTUAL PRESENCE

As the novel coronavirus marched across the globe, health experts advised increased physical distance between people as a means to slow the spread. Many countries asked their citizens to self-quarantine or shelter in place. Organizations sent employees home to work remotely if they could, while others suffered a financially debilitating loss of employment. Like others, I participated in church and small-group meetings through digital platforms. As a world, we practiced new forms of togetherness despite being physically disconnected.

It isn’t just the internet that lets us maintain a sense of connection. We connect to one another as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Spirit. Paul expressed this notion centuries ago in his letter to the Colossians. Though he hadn’t personally founded their church, he cared deeply for them and their faith. And even though Paul couldn’t be with them in person, he reminded them that he was “present with [them] in spirit” (COLOSSIANS 2:5).

We can’t always be with those we love for financial, health, or other practical reasons, and technology can help fill that gap. Yet any form of virtual connection pales in comparison to the “togetherness” we can experience as fellow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1 CORINTHIANS 12:27) . In such moments, we can, like Paul, rejoice in one another’s firmness of faith and, through prayer, encourage each other to fully “know the mystery of God, namely, Christ” (COLOSSIANS 2:2) . KIRSTEN HOLMBERG

Today's Reading

COLOSSIANS 2:1–5
Though I am absent from you in body, I am present with you in spirit. [ COLOSSIANS 2:5 ]

Jesus, thank You for being with me even when no other person can be present. Thank You for the connection You give me to others through the Holy Spirit.

How have you experienced a sense of connection with other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Who needs your prayers of encouragement today?

오늘의 말씀

12/21/2021     화요일

성경읽기: 미가 4-5; 요한계시록 12
찬송가: 206(통200)

하나님의 나침반

발데마르 세메노프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증기선 ‘알코아가이드’에서 부기관사로 복무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노스캐롤라이나 해상 300 마일 지점에서 독일 잠수함이 떠올라 그 화물 수송선에 포격을 가하자 포격 당한 배는 불에 타며 침몰하기 시작했습니다. 세메노프는 선원들과 함께 구명보트를 내리고 배의 나침반을 이용해 배송 항로 쪽으로 항해했습니다. 3일 후에 순찰기가 이 구명보트를 발견하여 다음날 미해군 전함 ‘브룸’이 그들을 구조했습니다. 그 나침반 덕에 세메노프와 26 명의 선원들이 구조된 것입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그들은 생명의 나침반, 곧 성경말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그는 성경을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에게 생명의 길을 밝혀 주기 위해 빛을 비추는 “등불” (시편 119:105) 에 비유했습니다. 시편 기자는 인생의 혼란스러운 물길에 떠밀려 헤매고 있을 때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해 영적 위도와 경도를 알려 주심으로 그를 살리실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이 그분의 빛을 보내어 그의 삶을 인도하시고, 거룩한 주님이 계시는 항구로 그를 안전하게 이끌어주시기를 기도했습니다 (43:3).

예수님을 믿는 우리가 길을 잃을 때, 하나님은 성령님을 통해, 그리고 성경에서 보여주신 방향대로 우리를 인도해 주십니다. 우리가 성경을 읽고 연구하고 그 속의 지혜를 따를 때, 하나님께서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바꾸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119:105-112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 [시편 119:105]

예수님, 제가 시험 들어 방황할 때 말씀의 지혜로 다시 돌아오게 도와주시니 감사합니다.

최근에 삶의 나침반으로 삼은 특정한 구절이나 말씀이 있습니까? 성경의 나침반이 지시하는 대로 따르고 싶지 않은 때가 언제입니까?

Daily Article

12/21/2021     TUES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4–5; REVELATION 12
Hymn: 206(OLD 200)

GOD’S COMPASS

During World War II, Waldemar Semenov was serving as a junior engineer aboard the SS Alcoa Guide when—nearly three hundred miles off the coast of North Carolina—a German submarine surfaced and opened fire on the ship. The ship was hit, caught fire, and began to sink. Semenov and his crew lowered a lifeboat into the water and used the vessel’s compass to sail toward the shipping lanes. After three days, a patrol plane spotted their lifeboat and the USS Broome rescued the men the
next day. Thanks to that compass, Semenov and twenty-six other crewmembers were saved.

The psalmist reminded God’s people that they were equipped with a compass for life—the Bible. He compared Scripture to “a lamp” (PSALM 119:105) that provides light to illuminate the path of life for those pursuing God. When the psalmist was adrift in the chaotic waters of life, he knew God could use Scripture to provide spiritual longitude and latitude and help him survive. Thus, he prayed that God would send out His light to direct him in life and bring him safely to the port of His holy presence (43:3).

As believers in Jesus, when we lose our way, God can guide us by the Holy Spirit and by the direction found in the Scriptures. May God transform our hearts and minds as we read the Bible, study it, and follow its wisdom. MARVIN WILLIAMS

Today's Reading

PSALM 119:105–112
Your word is a lamp for my feet, a light on my path. [ PSALM 119:105 ]

Jesus, thank You that when I’m tempted to drift away, the wisdom of Scripture helps bring me back.

How have you experienced a particular verse or passage as a compass for your life in recent days? When are you tempted not to follow the directions the compass of Scripture gives?

오늘의 말씀

12/20/2021     월요일

성경읽기: 미가 1-3; 요한계시록 11
찬송가: 399(통466)

무서워하지 말라

연재 만화 ‘피너츠’에 나오는 라이너스는 그의 파란 안전 담요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라이너스는 어디에나 그 담요를 가지고 다니며 마음의 안정을 위해 그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습니다. 그의 누나 루시는 그 담요를 유난히 싫어해서 종종 없애려고 합니다. 땅에 묻거나 연을 만들기도 하고, 과학 박람회 프로젝트에도 사용합니다. 라이너스 역시 담요에 덜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서 때로는 그냥 놔두기도 하지만 언제나 다시 되찾아옵니다.

영화 ‘찰리 브라운 크리스마스 편’에서 낙담한 찰리 브라운이 묻습니다. “혹시 크리스마스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 없어?” 라이너스는 안전 담요를 손에 들고 무대 중앙으로 걸어오면서 누가복음 2:8-14 말씀을 낭독합니다. 낭송 중에 “무서워하지 말라”는 구절이 나오자, 그는 두려울 때마다 꼭 붙잡았던 담요를 내려놓습니다.

크리스마스에 관한 어떤 것이 우리가 무서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상기시켜줄까요? 목자들에게 나타난 천사들이 말했습니다. “무서워하지 말라 ...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다” (누가복음 2:10-11).

예수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나님”이십니다 (마태복음 1:23) . 참된 보혜사이신 성령님을 통해 주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기 때문에 (요한복음 14:16) 우리는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안전 담요”를 내려놓고 주님을 의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누가복음 2:8-14
무서워하지 말라...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누가복음 2:10-11]

하나님, 저는 하나님이 최고의 위로자이심을 아직도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저에게 거짓 안정감을 주는 것들을 내려놓고 하나님만 붙잡을 수 있도록 인도해 주소서.

무엇을 두려워하고 있습니까? 성령님의 임재가 어려움에 처한 당신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Daily Article

12/20/2021     MONDAY

The Bible in One Year: MICAH 1–3; REVELATION 11
Hymn: 399(OLD 466)

FEAR NOT

Linus, in the Peanuts comic strip, is best known for his blue security blanket. He carries it everywhere and isn’t embarrassed at needing it for comfort. His sister Lucy especially dislikes the blanket and often tries to get rid of it. She buries it, makes it into a kite, and uses it for a science fair project. Linus too knows he should be less dependent on his blanket and lets it go from time to time, always to take it back.

In the movie A Charlie Brown Christmas, when a frustrated Charlie Brown asks, “Isn’t there anyone who knows what Christmas is all about?” Linus, with his security blanket in hand, steps center stage and quotes Luke 2:8–14. In the middle of his recitation, as he says, “Fear not,” he drops his blanket—the thing he clung to when afraid.

What is it about Christmas that reminds us we don’t need to fear? The angels that appeared to the shepherds said, “Do not be afraid . . . 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LUKE 2:10–11).

Jesus is “God with us” (MATTHEW 1:23) . We have His very presence through His Holy Spirit, the true Comforter (JOHN 14:16) , so we don’t need to fear. We can let go of our “security blankets” and trust in Him. ANNE CETAS

Today's Reading

LUKE 2:8–14
Do not be afraid . . . a Savior has been born to you. [ LUKE 2:10–11 ]

I’m still learning, God, that You’re the greatest Comforter. Help me to let go of the things that give me false security, and please guide me to cling to You.

What are you afraid of? How can the Holy Spirit’s presence help you with what troubles you?

오늘의 말씀

12/19/2021     주일

성경읽기: 요나 1-4; 요한계시록 10
찬송가: 363(통479)

기억해달라는 기도

아프리카의 어느 큰 교회에서 목사가 무릎을 꿇고 하나님께 “우리를 기억하소서!”라고 기도했습니다. 목사가 간구하자 교인들도 울면서 “주여, 우리를 기억하소서!”라고 따라 했습니다. 유튜브에서 이 장면을 보면서 나도 눈물을 흘리고 있음을 깨닫고 놀랐습니다. 그 기도는 몇 달 전에 촬영된 것이었습니다. 그 영상을 보면서 어린 시절 우리 가족이 섬기던 교회 목사님이 “주여, 우리를 기억하소서!”라고 똑같이 간구했던 기억이 났습니다.

어릴 때 그 기도를 들으며 나는 하나님이 때때로 우리를 잊으신다고 잘못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고 (시편 147:5; 요한1서 3:20) , 항상 우리를 지켜보시며 (시편 33:13-15) , 측량할 수 없을 만큼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에베소서 3:17-19).

더 나아가서 “기억하다”라는 의미의 히브리 단어인 ‘자카르’에서 볼 수 있듯이, 하나님이 우리를 “기억하실” 때 그분은 우리를 위해 일하십니다. ‘자카르’는 어떤 사람을 위해 행동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는 모든 들짐승과 가축”을 “기억하셨을” 때 “바람을 땅 위에 불게 하셔서 물이 줄어들었습니다” (창세기 8:1) . 하나님이 임신을 못하는 라헬을 “기억하셨을” 때 “그의 소원을 들으시고 그의 태를 여셨으므로 그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습니다” (30:22-23).

우리를 기억해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은 얼마나 대단한 믿음의 간구인지 모릅니다! 어떻게 응답하실지는 하나님께서 결정하실 것이지만, 우리의 겸손한 간구가 하나님을 움직이게 할 것을 알기에 우리는 기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성구

창세기 30:1-2, 22-24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하나님이 그의 소원을 들으시고 [창세기 30:22]

사랑하는 하나님 아버지, 하나님이 저를 기억하신다는 것을 알게 하시고, 제가 하나님의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저를 기억해 주소서.

삶의 어떤 영역에서 하나님이 당신을 기억해 주기 원하십니까? 그런 의도와 목적을 갖고 기도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Daily Article

12/19/2021     SUNDAY

The Bible in One Year: JONAH 1–4; REVELATION 10
Hymn: 363(OLD 479)

REMEMBERED IN PRAYER

In the large African church, the pastor fell to his knees, praying to God. “Remember us!” As the pastor pleaded, the crowd responded, crying, “Remember us, Lord!” Watching this moment on YouTube, I was surprised that I shed tears too. The prayer was
recorded months earlier. Yet it recalled childhood times when I heard our family’s pastor make the same plea to God. “Remember us, Lord!”

Hearing that prayer as a child, I’d wrongly assumed that God sometimes forgets about us. But God is all-knowing (PSALM 147:5; 1 JOHN 3:20) , He always sees us (PSALM 33:13–15) , and He loves us beyond measure (EPHESIANS 3:17–19).

Even more, as we see in the Hebrew word zakar, meaning “remember,” when God “remembers” us, He acts for us. Zakar also means to act on a person’s behalf. Thus, when God “remembered” Noah and “all the wild animals and the livestock that were with him in the ark,” He then “sent a wind over the earth, and the waters receded” (GENESIS 8:1) . When God “remembered” barren Rachel, He “listened to her and enabled her to conceive. She became pregnant and gave birth to a son” (30:22–23).

What a great plea of trust to ask God in prayer to remember us! He’ll decide how He answers. We can pray knowing, however, that our humble request asks God to move. PATRICIA RAYBON

Today's Reading

GENESIS 30:1–2, 22–24
Then God remembered Rachel; he listened to her. [ GENESIS 30:22 ]

Dear heavenly Father, grow my understanding of Your remembrance of me. Then, where I need You to act, please remember me.

In what area of your life do you need God to remember you?
How willing are you to pray with such intent and purpose?

오늘의 말씀

12/18/2021     토요일

성경읽기: 오바댜; 요한계시록 9
찬송가: 607(통292)

잘 했다!

아들 브라이언이 코치로 있는 학교 풋볼팀이 주 대회 결승전에서 접전 끝에 패했습니다. 상대팀은 지난 2년간 진 적이 없는 팀이었습니다. 나는 브라이언을 위로하기 위해 문자를 보냈는데, “아이들이 애썼어요!” 라는 간결한 답장을 받았습니다.

경기가 끝난 후 어떤 코치도 선수들에게 핀잔을 주지 않았습니다. 누구도 선수들이 경기 중에 했던 실수나 잘못된 판단에 대해 야단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코치들은 어린 선수들이 칭찬받을 만했던 것에 대해 아낌없이 칭찬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도 주님으로부터 가혹한 비난의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우리가 그 앞에 설 때, 그분은 우리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으시며 우리가 주님을 따라 살면서 행한 일을 보실 것입니다 (고린도후서 5:10; 에베소서 6:8) . 나는 주님께서 “네가 애썼구나! 잘 했다!”라고 말씀하실 것 같습니다. 바울 사도는 그가 “선한 싸움을 싸웠으며” 하나님께서 맞아주실 것을 기대한다고 증언했습니다 (디모데후서 4:7-8).

인생은 우리를 파괴하려고 달려드는 사납고 끈질긴 적과의 끊임없는 싸움입니다. 그 적은 예수님을 닮아가고 서로 사랑하려는 우리의 모든 노력을 막으려 할 것입니다. 때로는 멋진 승리도 있겠지만 뼈아픈 패배도 있을 것입니다. 하나님도 아십니다. 그러나 예수님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영원한 정죄란 없을 것입니다 (로마서 8:1) .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의 공로로 하나님 앞에 설 때, 각 사람은 하나님께 “칭찬을 받을” 것입니다 (고린도전서 4:5).

오늘의 성구

디모데후서 4:1-8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디모데후서 4:7]

하나님, 예수님을 구주로 모셨기에 결코 정죄 받지 않을 거라고 약속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 앞에 선다고 생각하면 두렵습니까 아니면 기쁩니까? 무엇이 그 차이를 만듭니까?

Daily Article

12/18/2021     SATURDAY

The Bible in One Year: OBADIAH; REVELATION 9
Hymn: 607(OLD 292)

WELL DONE!

The school where my son Brian coaches football lost the state title game in a hard-fought battle. Their opponent was undefeated over the past two years. I sent Brian a text to commiserate with him and received a terse reply: “Kids battled!”

No coach shamed the players after the game. No one shouted at them for their mishaps or bad decisions along the way. No, the coaches showered the young players with praise for what could be praised.

Along the same vein, it’s good to know that believers in Jesus will not hear harsh words of condemnation from Him. When Christ comes and we stand before Him, He won’t shame us. He’ll see what we’ve done as we’ve followed Him (2 CORINTHIANS 5:10; EPHESIANS 6:8) . I think He’ll say something like, “You battled! Well done!” The apostle Paul testified that he had “fought the good fight” and looked forward to being welcomed by God (2 TIMOTHY 4:7–8).

Life is a relentless struggle with a fierce, unyielding foe devoted to our destruction. He will resist every effort we make to be like Jesus and to love others. There’ll be a few good wins and some heartbreaking losses—God knows—but there will be no eternal
condemnation for those in Jesus (ROMANS 8:1) . If we stand before Him in the merits of God’s Son, each one will “receive [his] praise” from God (1 CORINTHIANS 4:5). DAVID H. ROPER

Today's Reading

TIMOTHY 4:1–8
I have fought the good fight, 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 [ 2 TIMOTHY 4:7 ]

Thank You, God, for the promise that because I have Jesus as my Savior, I’ll never be condemned.

Does the thought of standing before God fill you with dread or delight? What would make the difference?

오늘의 말씀

12/17/2021     금요일

성경읽기: 아모스 7-9; 요한계시록 8
찬송가: 473(통436)

아름답게 깨진

우리가 탄 버스는 마침내 고대하던 목적지인 이스라엘의 고고학 발굴지에 도착했습니다. 그곳은 우리가 실제로 발굴 작업을 직접 하게 될 곳이었습니다. 현장 책임자는 우리가 발굴할 모든 것들은 수천 년 동안 그대로 보존되어 온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깨진 도자기 조각을
발굴하며 우리는 마치 역사를 만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시간이 좀 더 흐른 뒤 우리는 아주 오래 전에 깨진 거대한 꽃병의 조각들을 복원하는 작업대로 안내되었습니다.

그것은 아주 분명한 이미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여러 세기가 지난 깨진 도자기를 복원하는 장인들은 부서진 것들을 고치기를 좋아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아름답게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다윗은 시편 31편 12절에 “내가 잊어버린 바 됨이 죽은 자를 마음에 두지 아니함 같고 깨진 그릇과 같으니이다” 라고 썼습니다. 비록 이 시편이 어떤 상황에서 쓰인 것인지는 나와있지 않지만 다윗은 삶의 어려움을 이처럼 슬픈 노래에 종종 담아냈습니다. 이 노래는 그가 위험과 적들, 그리고 절망감에 의해 무너졌다고 묘사합니다.

그때 그는 어디에서 도움을 구했습니까? 16절을 보면 다윗은 이렇게 하나님께 부르짖습니다. “주의 얼굴을 주의 종에게 비추시고 주의 사랑하심으로 나를 구원하소서.”

다윗에게 신뢰할 대상이 되어 주셨던 하나님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깨진 것을 고치시는 같은 분입니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은 단지 우리가 그분께 부르짖고 그분의 변함없는 사랑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

시편 31:12-24
내가 잊어버린 바 됨이 죽은 자를 마음에 두지 아니함 같고 깨진 그릇과 같으니이다 [시편 31:12]

저의 도움이신 하나님, 제가 쓰러지고 깨어질 때마다 다시 회복시켜 주신 모든 날들을 인해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어떤 부분에서 깨어짐을 경험했습니까? 그 어려운 시간을 지나는 동안 하나님께서 어떻게 도와주셨습니까?

Daily Article

12/17/2021     FRIDAY

The Bible in One Year: AMOS 7–9; REVELATION 8
Hymn: 473(OLD 436)

BEAUTIFULLY BROKEN

Our bus finally arrived at our much-anticipated destination—an archaeological dig in Israel where we would actually do some excavation work of our own. The site’s director explained that anything we might unearth had been untouched for thousands of
years. Digging up broken shards of pottery, we felt as though we were touching history. After an extended time, we were led to a workstation where those broken pieces—from huge vases shattered long, long ago—were being put back together.

The picture was crystal clear. Those artisans reconstructing centuries-old broken pottery were a beautiful representation of the God who loves to fix broken things. In Psalm 31:12, David wrote, “I am forgotten as though I were dead; I have become like broken pottery.” Though no occasion is given for the writing of this psalm, David’s life difficulties often found voice in his laments—just like this one. The song describes him as being broken down by danger, enemies, and despair.

So, where did he turn for help? In verse 16, David cries out to God, “Let your face shine on your servant; save me in your unfailing love.”

The God who was the object of David’s trust is the same One who still fixes broken things today. All He asks is that we call out to Him and trust in His unfailing love. BILL CROWDER

Today's Reading

PSALM 31:12–24
I am forgotten as though I were dead; I have become like broken pottery. [ PSALM 31:12 ]

God of my help, I thank You for all the times I’ve fallen and been broken—times when You’ve put me back together.

What areas of brokenness have you experienced? How has God helped you through those difficult times?

Pages